KR100302571B1 - 바코드펜스캐너의렌즈모듈 - Google Patents

바코드펜스캐너의렌즈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571B1
KR100302571B1 KR1019970062381A KR19970062381A KR100302571B1 KR 100302571 B1 KR100302571 B1 KR 100302571B1 KR 1019970062381 A KR1019970062381 A KR 1019970062381A KR 19970062381 A KR19970062381 A KR 19970062381A KR 100302571 B1 KR100302571 B1 KR 100302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ns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4162A (ko
Inventor
손기익
이호준
Original Assignee
이호준
손병익
주식회사허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준, 손병익, 주식회사허브텍 filed Critical 이호준
Priority to KR1019970062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571B1/ko
Publication of KR980004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4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31Arrangement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pr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8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f hand-held scan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2007/10485Arrange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2007/10524Hand-held scanners

Abstract

본 발명은 바코드 펜 스캐너에 있어서 광선을 주사하고 이를 다시 되받아 수광하는 렌지부를 하나의 모듈로 형성한 바코드 펜 스캐너의 렌즈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광선을 발광 주사하는 발광다이오드와, 그 반사광을 집광하는 렌즈와, 슬롯으로 빛을 모아 통과시키는 집광판을, 일체의 관체로 된 모듈바디에 조합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코드 펜스캐너의 렌즈모듈
본 발명은 바코드 펜 스캐너에 있어서 광선을 주사하고 이를 다시 되받아 수광하는 렌지부를 하나의 모듈로 형성한 바코드 펜 스캐너의 렌즈모듈에 관한 것이다.
바코드 스캐너는 시각화된 바코드의 인쇄정보를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광학식 독취장치로서 바코드를 독취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수단으로 주로 광학적인 인식방법이 사용된다.
즉 바코드는 그 길이와 무관하게 바코드의 두께의 배열에 의하여 정보를 갖고 있으므로 그 패턴을 인식하기 위한 강력한 수단으로 광선을 바코드에 직접 주사(SCAN)하여 이때 발생되는 반사광의 세기를 광센서가 감지하도록 하므로서 전기적 신호를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도된 전기신호는 디지털화 된 펄스 트레인으로 정형화되어 디코더에 전달됨으로서 바코드 본래의 정보를 추출한다.
이와 같은 바코드의 스캐너는 주사광선을 바코드상에 주사시키는 주사장치와 바코드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집속시키는 집속장치로 구분된다.
전기한 종래 기술의 바코드 스캐너는 광선을 바코드상에 주사시키는 주사장치 즉 발광다이오드(LED)와, 반사광 집속용 집광렌즈등이 별도로 구분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조립시에 초점거리등을 정확히 하여야 되므로 조립이 까다롭고, 고장시 분해 후 재조립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가 있으며, 특히 렌즈와 발광다이오드가 비교적 이격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넓은 집광 면적을 위해 발광다이오드(LED) 및 집광렌즈가 2∼4개의 복수개가 필요하여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사용되는 바코드의 크기가 밀도마다 대체적으로 규격을 달리하여야 되므로 그 규격마다 사용용도가 국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바코드 스캐너에 있어서,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저, 광선을 주사하는 발광다이오드(LED)와 그 반사광을 집광하는 집광렌즈를 하나의 모듈로서 형성하여 그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원가를 절감하고 사용용도를 광범위하게 한 바코드 펜 스캐너의 렌즈모듈을 제공함에 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 모듈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모듈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펜스캐너의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선의 주사 및 집광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광다이오드(LED) 2 : 렌즈
3 : 슬롯 4 : 집광판
5 : 모듈바디 6 : 플렌지
7 : 캡조립용 나사부 8 : 케이스 조립용 나사부
9, 9' : 요홈부 10 : 조립공
11 : 접속단자 12 : 결합링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 렌즈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그 단면 설명도이다.
광선을 발광주사하는 발광다이오드(1)와, 그 반사광을 집광하는 렌즈(2)와, 슬롯(3)으로 빛을 모아 통과시키는 집광판(4)을 일체의 관체로 된 모듈 바디(5)에 조합 구성한 것이다.
모듈바디(5)는 플렌지(6)를 기준으로 선단측에 캡조립용 나사부(7)를 형성하고, 후단측에 케이스 조립용 나사부(8)를 구분 형성한다.
캡 조립용 나사부(7)에는 선단 좌우 양측에 요홈부(9)(9')를 형성하여 그 요홈부(9)(9')의 조립공(10)에 발광다이오드(1)의 접속단자(11)를 삽입 결합하여 그 내측에 조립되는 렌즈(2)와 최근접 설치되게 한다.
그 후측에 설치되는 집광판(4)은 결합링(12)에 의해 조립하되 그 슬롯(2)의 직경을 0.1mm내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렌즈모듈을 펜 스캐너에 결합 사용하는 상태의 분리사시도이다.
펜 스캐너의 케이스(13)에 모듈바디(5)의 케이스 조립용 나사부(8)에 의해 조립하고 그 플렌지(6)의 선단측 캡 조립용 나사부(7)에 캡(14)을 조립하므로서 간단하게 조립 완성되는 것이므로 바코드(15)를 스캐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선의 주사 및 집광설명도이다.
사용자가 바코드(15)를 스캔하기 위하여 스캐너 케이스(13)를 잡고 그 선단부의 캡(14)을 바코드(15)와 초점심도(DOF)(약 10mm)만큼 근접시키고 발광다이오드(1)에 의해 광선을 주사시키면 그 광선이 바코드(15)에 의해 반사되면서 그 반사광 발광다이오드(1)의 이면에 근접 결합된 렌즈(2)를 통과하면 굴절되어 극히 작은 직경의 집광판(4)의 슬롯(3)을 통과한다.
그러므로 검은색 바와 밝은색의 스페이스로 구분된 바코드(15)마다 반사량이 다르게 되어 그 슬롯(3)을 통과한 광선을 전기한 바코드에 의해 그 반사량의 차이에 따라 포토 다이오드에 의해 강약으로 구분 인식되어 그 검출되는 광에 따른 신호가 증폭기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를 통해 디지털화 된 스캐너 신호가 디코더로 출력된다.
여기에서, 발광다이오드(1)와 렌즈(2)가 최근접 설치되어 있고, 집광판(4)의 슬롯(3)을 0.1mm로 극소화시키므로서 하나의 렌즈로서도 빛의 강한 굴절이 이루어지게 하여 넓은 범위의 바코드를 인식케 하므로서 바코의 규격에 제한되지 않고 넓은 용도로 사용할수 있으면서도 부품은 각기 별도 구성하지 않고 하나의 모듈로 형성하므로서 생산 및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증가하여 부품의 절감으로 원가가 절감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코드 스캐너는 발광다이오드로 되는 광주사용 주사장치와 렌즈로 되는 반사광 집속 장치의 하나의 모듈로 형성하므로서 조립시에 일일이 초점거리등을 조정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없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하나의 다이오드 및 렌즈만으로 이루어지므로 부품의 절약으로 원가가 절감되면서도 발광다디오드와 집광렌즈의 최근접 설치 및 집광판의 슬롯의 최소화로 짧은 초점거리가 가능하게 하여 보다 넓은 범위의 바코드 스캔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광선을 발광 주사하는 발광다이오드(1)와, 그 반사광을 집광하는 렌즈(2)와, 슬롯(3)으로 빛을 모아 통과시키는 집광판(4)을, 일체의 관체로 된 모듈바디(5)에 조합 구성하되,
    모듈바디(5)는 플렌지(6)를 기준으로 선단측에 캡 조립용 나사부(7)를 형성하고, 후단측에 케이스 조립용 나사부(8)를 구분 형성하며,
    캡 조립용 나사부(7)의 선단 좌우 양측에 요홈부(9)(9')를 형성하여 그 요홈부(9)(9')의 조립공(10)에 발광 다이오드(1)의 접속단자(11)를 삽입 결합하여 그 내측에 조립되는 렌즈(2)와 최근접 설치하고,
    렌즈(2)의 후측에 설치되는 집광판(4)을 결합링(12)에 의해 조립하되, 집광판(4)의 중앙에는 관통상의 슬롯(2)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펜 스캐너의 렌즈모듈.
KR1019970062381A 1997-11-24 1997-11-24 바코드펜스캐너의렌즈모듈 KR100302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381A KR100302571B1 (ko) 1997-11-24 1997-11-24 바코드펜스캐너의렌즈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381A KR100302571B1 (ko) 1997-11-24 1997-11-24 바코드펜스캐너의렌즈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162A KR980004162A (ko) 1998-03-30
KR100302571B1 true KR100302571B1 (ko) 2001-11-30

Family

ID=37529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381A KR100302571B1 (ko) 1997-11-24 1997-11-24 바코드펜스캐너의렌즈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5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162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0763B1 (en) Integral illumination source/collection lens assembly for data reading system
JP3056590B2 (ja) 焦点深度を拡大した光スキャナ
EP0527267B1 (en) Improved wand readers
EP2315156B1 (en) illumination lens for an optical code reader
US5308964A (en) Variable resolution wand
JPH0447353B2 (ko)
JPH02215171A (ja) 発光素子アレイ光源
EP1017006A3 (en) Optical path design for scanning assembly in compact bar code readers
EP1202405B1 (en) Optical device for emitting/detecting a luminous signal and protective/insulating package for a light beam emission source
US7012241B2 (en) Device and method for linear illumination of an object using LEDs and elliptical mirrors
US6276606B1 (en) Full range bar code scanner
KR100302571B1 (ko) 바코드펜스캐너의렌즈모듈
US7252237B2 (en) Code reader
KR200265277Y1 (ko) 바코드 펜 스케너의 렌즈모듈
JPS6171681A (ja) 受光素子付き発光装置
KR20030042256A (ko) 바코드 펜 스케너의 렌즈모듈
JPS58119081A (ja) スキヤナ
JP3477965B2 (ja) バーコード・リ−ドペン
CN101408927A (zh) 具有漫射构造的光学读取头
JP3180019B2 (ja) 原稿エッジ検出装置
CN2499858Y (zh) 激光聚焦装置
US20030151788A1 (en) Optoelectronic device
JPH06176181A (ja) 光学読取装置
KR930006882Y1 (ko) 휴대용 레이저 스캐너 헤드의 렌즈구조
KR930001470B1 (ko) 휴대용 바코드의 레이저 스캐닝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