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406B1 - 리모콘제어신호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리모콘제어신호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406B1
KR100302406B1 KR1019980034372A KR19980034372A KR100302406B1 KR 100302406 B1 KR100302406 B1 KR 100302406B1 KR 1019980034372 A KR1019980034372 A KR 1019980034372A KR 19980034372 A KR19980034372 A KR 19980034372A KR 100302406 B1 KR100302406 B1 KR 100302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udio
control
control signal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788A (ko
Inventor
김형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34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406B1/ko
Priority to GB9824880A priority patent/GB2340987A/en
Publication of KR20000014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4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3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remotely controll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222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clock-related aspects, e.g. phase or frequency adjustment or bit synchron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콘 제어신호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비디오 /오디오 소스가 유/무선으로 전송되는 시스템에서 오디오 소스를 피 제어신호로 이용함으로서 리모콘 제어를 위한 독립된 부가적 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고 거리 및 공간 장애가 없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디오/오디오 소스 발생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종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스위치 온 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명령을 제어코드신호로 발생시키는 제어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제어신호를 오디오신호의 한 채널에 실어 무선 변조한 후 RF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신부를 갖는 영상/오디오/제어신호 송신장치와; 이 영상/오디오/제어신호 송신장치에서 송신된 RF신호를 수신 복조한 후 신호처리하는 무선수신수단과, 상기 무선수신수단에서 분리된 오디오 신호중 한 채널을 피제어 명령정보로 인출하는 디코딩부과, 그 디코딩부로부터 제어명령을 제공받는 피제어기를 갖는 영상/오디오/제어신호 수신장치로 구성되어 비디오/오디오 소스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시스템과 함께 피제어기를 거리/공간적 제약없이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어 이러한 시스템의 다양한 이용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모콘 제어신호 송수신장치{An equipmen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of the remote}
본 발명은 리모콘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성입력부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한 채널에 리모콘 제어신호를 실어 무선 송신부에서 변조시킨 뒤 송출하면 브이시알 세트측의 영상/음성/제어신호 수신수단에서 이를 수신하여 신호처리한 후 제어신호를 브이시알 제어부에 인가함으로써 별도의 리모콘 제어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복잡한 회로없이도 간편하게 리모콘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티브이 수상기, 브이시알, 오디오기기, 냉장고, 선풍기, 에어컨,.. 등의 각종 가전 및 전자제품에는 이들 본체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적외선 발,수광소자를 이용한 리모콘 시스템이 이미 범용화되어져 있고, 이러한 리모콘 시스템은 제어정보를 송출하는 리모콘 송신기와 기기측에 설치되어져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기로 이뤄져 있다.
이러한 리모콘 송신기의 송수신 시스템은 그 일례를 도 1과 같이 나타내었다.
리모콘 송신기 본체(1)의 전면판에는 표시판(2)과 각종 버튼키부(3)가 구비되어 있으며, 세트(4)측에는 본체(1)의 신호 송출 엘이디에 응답수신하는 수신 엘이디(5)가 구비되어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의 회로 블록도는 이것을 도 2와 같이 나타내었다.
리모콘 송신회로(6)는 리모콘 송신전용의 송신제어 아이시(IC;8)와, 상기 송신제어 아이시(IC;8)의 입력측에 연결된 키입력부(7)와, 송신용 적외선다이오드(9) 등으로 이뤄져 있고, 리모콘 수신회로(10)는 수광다이오드(11)와, 신호증폭기(12), 검파회로(13), 파형정형회로(14)로 이뤄져 있고 이것의 출력이 시스템의 본체측 마이크로 컴퓨터로 제공된다.
이러한 종래의 리모콘 시스템에서 리모콘 수신회로(10)가 탑재되어져 있는 본체의 무선 원격제어조작은 리모콘 송신기의 송신회로(6)를 통하여 송출된 제어정보를 리모콘 수신회로(10)에서 수신받아 본체의 각종 제어조작을 행하고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리모콘 수신회로(10)를 갖고 있는 세트 본체는 리모콘 송신회로(6)의 키부(7)에서 특정키가 눌려지면 발생되는 제어정보가 리모콘 수신회로(10)를 통하여 본체에 전달됨으로써 본체가 소정 제어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제어정보는 본체의 성격(티브이수상기, 브이시알 시스템, 에어콘, 전자 레인지,..등)에 따라 제각기 다르고, 사용되는 리모콘 시스템 그 자체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이뤄져 있다.
이러한 리모콘 송,수신장치는 리모콘 신호 송출시 적외선 방식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공간적인 제약을 많이 받았다. 즉, 리모콘 송신부와 수신부가 같은 공간영역에 있는 경우에만 리모콘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였으며 예를 들어 인체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리모콘 신호가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로 국내 특허공개공보 96-28647호가 공지된 바있다. 이 공지기술은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Signalling)신호를 이용한 무선주파수 리모콘에 관한 것으로서 DTMF신호를 이용하여 FM 주파수를 변조한 후 전송하고 이를 다시 변조하여 동작함으로써 송달거리도 길고 장애물이나 다른 광선의 영향에도 정상 동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위의 공지기술은 16개의 선택된 채널을 입력받아 DTMF 신호를 부호화하고 상기 DTMF의 부호화된 신호를 FM신호로 변조하여 5체배기를 통해 5체배한 후 다시 3체배기를 통해 3체배하여 안테나를 통해 90MHz로 출력하기위한 송신수단과, 상기 송신수단으로부터 90MHz의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받아 저역주파수로 변환한 후 전자파로 복조하고 상기 복조된 전자파를 DTMF 신호로 복조한 후 복조된 DTMF신호를 복조기를 통해 복조하여 두 개의 8비트 버퍼로 구성된 출력버퍼를 통해 표시부로 출력하여 선택된 채널을 점등하기 위한 수신수단으로 이뤄져 있다.
다른 또하나의 공지된 리모콘용 FM변조기술로는 국내 특허공개공보 93-24478호를 들 수 있다.
즉, 이 공지기술은 종래의 티브이 수상기 테스트시 모델(NTSC/PAL/SECAM)변경이 일어날 때 매번 손잡이를 사용하여 세팅(Setting)을 바꾸어야 하고, 내부주파수의 진폭을 사용자가 임의로 바꿀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능을 리모콘화하여 생산라인에서 사용되는 전계측기 및 제너레이터의 주파수조절, 제어편차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먼거리에서도 라인작업시 일어나는 모델(NTSC/PAL/SECAM)변화에 대해서 세팅값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공지기술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에 나타난 바와같다.
즉, 버퍼(20)를 통한 외부입력(EXT)을 신호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강조하여 송출하는 프리앰퍼시스(21)와, 내부발진 출력부(22),(23)의 서로 다른 발진출력을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SW1)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함과 아울러 리모콘수신회로(27)를 포함하는 씨피유제어부(25)와, 상기 프리엠퍼시스(21) 및 선택스위치(SW1)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씨피유제어부(25)의 제어신호에 따라 멀티플렉싱하는 멀티플렉서(24)와, 상기 멀티플렉서(24)의 출력을 입력받고 상기 씨피유제어부(25)의 발진출력에 따라 제어편차를 조정하는 제어편차조정부(26)와, 상기 제어편차조정부(26)의 출력을 입력받아 리모트논리신호에 따라 합성 및 분리하는 PLL주파수합성/분리부(28)와, 상기 PLL주파수합성/분리부(28)의 출력 및 제어편차조정부(26)의 제어편차신호에 따라 주파수변조를 하는 주파수변조부(29)와, 상기 주파수변조부(29)의 출력 및 자동이득제어(AGC)에 의해 트랙킹하여 로우패스필터(31)를 거쳐 SIF를 출력하는 트랙킹회로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의 두 공지기술은 본 발명과는 FM변조를 이용한다는 것만 같을 뿐, 리모콘 데이터를 음성신호의 한 채널을 이용하여 FM변조한 뒤 송수신한다는 기술내용은 서로 상이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종래의 리모콘 제어신호 송,수신장치는 리모콘 신호 송출시 적외선 방식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공간적인 제약을 많이 받았다. 즉, 리모콘 송신부와 수신부가 같은 공간영역에 있는 경우에만 리모콘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였다. 또한, 공지된 리모콘용 FM변조회로의 경우에는 회로가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성입력부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한 채널에 리모콘 제어신호를 실어 무선 송신부에서 변조시킨 뒤 송출하면 브이시알 세트측의 영상/음성/제어신호 수신수단에서 이를 수신하여 신호처리한 후 제어신호를 브이시알 제어부에 인가함으로써 별도의 리모콘 제어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복잡한 회로없이도 간편하게 리모콘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공간적인 제약도 극복할 수 있도록 한 리모콘 제어신호 송수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모콘과 브이시알 세트측의 리모콘 수신부를 나타낸 참조도,
도 2는 종래 리모콘 송수신 시스템의 회로 블록도,
도 3은 종래의 리모콘용 FM변조회로를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리모콘 제어신호 송수신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인 비디오촬영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6은 파형정형의 예를 나타낸 참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영상/음성/제어신호 수신장치 42: 영상/음성/제어신호 송신장치
43: 무선수신수단 44: 키입력부
45: 제어신호 발생부 46: 비디오/오디오 소스 발생부
48: 무선송신부 49: 무선수신부
50: 오디오 IF부 51: 6.0MHz BPF
52: 6.5MHz BPF 53: 파형정형부
54: 디코딩부 55: 피제어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비디오/오디오 소스 발생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종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스위치 온 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명령을 제어코드신호로 발생시키는 제어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제어신호를 오디오신호의 한 채널에 실은 뒤 상기 비디오/오디오 소스 발생부로부터 입력된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와 함께 변조한 후 RF신호로 송출하는 무선송신부를 갖는 영상/오디오/제어신호 송신장치와; 이 영상/오디오/제어신호 송신장치에서 송신된 RF신호를 수신 복조한 후 신호처리하는 무선수신수단과, 상기 무선수신수단에서 분리된 오디오 신호중 한 채널을 피제어 명령정보로 인출하는 디코딩부과, 디코딩부로부터 제어명령을 제공받는 피제어기를 갖는 영상/오디오/제어신호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수신수단은 RF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 후 비디오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분리하는 무선수신부와, 상기 무선수신부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인가받아 신호처리하여 제어신호를 분리하는 오디오 IF부와, 상기 오디오 IF부로부터 분리된 제어신호를 6.0MHz필터로 검출하는 6.0MHz BPF와, 상기 오디오 IF부로부터 분리된 오디오신호를 6.5MHz필터로 검출하는 6.5MHz BPF와, 상기 6.0MHz BPF로부터 검출된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왜곡된 파형을 복원하는 파형정형부로 이뤄져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리모콘 제어신호 송수신장치를 나타내는 시스템 블록도이다.
즉, 본 시스템은 CCD카메라 및 마이크 등과 같이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를 발생시키는 비디오/오디오 소스 발생부(47)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종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키입력부(44)와, 상기 키입력부(44)로부터 스위치 온 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명령을 제어코드신호로 발생시키는 제어신호 발생부(45)와,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45)로부터 발생된 제어신호를 오디오신호의 한 채널에 실어 무선 변조한 후 RF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신부(48)를 갖는 영상/오디오/제어신호 송신장치(42)가 한 부분을 이룬다.
또한, 상기 영상/오디오/제어신호 송신장치(42)에서 송신된 RF신호를 수신 복조한 후 신호처리하는 무선수신수단(43)과, 이 무선수신수단(43)에서 분리된 오디오 신호중 한 채널을 피제어 명령정보로 인출하는 디코딩부(54)과, 상기 디코딩부(54)로부터 제어명령을 제공받는 피제어기(55)를 갖는 영상/오디오/제어신호 수신장치(41)가 다른 한 부분을 이룬다.
이때, 상기 무선수신수단(43)은 RF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 후 비디오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분리하는 무선수신부(49)와, 상기 무선수신부(49)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인가받아 신호처리하여 제어신호를 분리하는 오디오 IF부(50)와, 상기 오디오 IF부(50)로부터 분리된 제어신호를 6.0MHz필터로 검출하는 6.0MHz BPF(51)와, 상기 오디오 IF부(50)로부터 분리된 오디오신호를 6.5MHz필터로 검출하는 6.5MHz BPF(52)와, 상기 6.0MHz BPF(51)로부터 검출된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왜곡된 파형을 복원하는 파형정형부(53)로 구성된다.
위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원래 캠코더 대용으로 야외에서 촬영한 것을 원격지에 있는 브이시알의 데크를 통해 녹화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고 또 이밖에도 원격지에서 브이시알을 제어하여 영상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나, 보안을 위한 카메라를 유선이 아닌 무선으로 제어하고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등에 응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음성/제어신호 송신장치(42)는 장치적으로는 비디오 촬영을 위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는데 특히 이러한 비디오촬영장치(60)는 캠코더 대용으로 사용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야외촬영할 때 사용자가 휴대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비디오촬영장치(60)는 대별하여 본체부(61)와 손잡이부(62)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본체부(61)의 전측에는 영상촬영을 위한 렌즈(63)가 고정되어 있으며 그 바로 밑에는 마이크 등으로 된 음성입력부(47)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62)의 상부에는 촬영스위치(44′)가 구비되어있어 사용자가 상기 촬영스위치(44′)를 누르면 스위칭 온 되어 비디오 촬영 및 오디오 녹음이 시작된다. 즉, 여기서 촬영스위치(44′)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서 키입력부(44)의 한 기능키에 해당된다.
즉, 사용자가 촬영스위치부(44′)를 누르게 되면 영상촬영 렌즈(63)를 통해 영상이미지가 촬영되고, 촬영된 영상이미지는 음성입력부(47)로 입력된 오디오신호와 함께 디지탈신호로 신호처리된 후 무선송신부(48)에 인가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촬영스위치부(44′)로부터 스위칭 온 신호를 인가받은 제어신호 발생부(45)는 소정의 제어명령을 제어코드로 발생시켜 상기 무선송신부(48)의 오디오채널(R,L)중 한 채널(L)에 입력시킨다.
또한, 상기 무선송신부(48)에 입력된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및 제어신호는 RF신호로 변조된 후 안테나를 통해 무선수신부(49)로 송출된다.
한편, 상기 무선송신부(48)로부터 송출된 RF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면, 수신된 RF신호를 무선수신부(49)에서 일단 복조시킨 후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로 분리시킨다.
또한, 한 채널(R)에 제어신호를 실고있는 오디오신호는 오디오 IF부(50)에서 일차적으로 신호처리되는데 이때, 오디오신호(R)는 6.5MHz BPF(Band Pass Filter)를 통해 검출되고, 제어신호(L)는 6.0MHz BPF를 통해 검출된다.
이때, 검출된 제어신호는 오디오 채널에 실려 수신되고 복조된 것을 필터로검출한 것이기 때문에 검출신호 자체에 노이즈로 인한 왜곡이 많고, 이 때문에 브이시알 등 피제어기의 디코딩부(54)에서 이 제어신호를 직접 인가받는다면 노이즈로 인한 왜곡이 많아 제어정보를 제대로 인식하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피제어기의 디코딩부(54)가 인식할 수 있도록 왜곡된 파형을 정형화하여 디지탈신호로 변환시켜줄 필요가 있다.
즉, 상기 6.0MHz BPF(51)를 통과한 왜곡된 파형의 제어신호(L)는 파형정형부(53)에서 정형화된 구형파로 복원된 후 디코딩부(54)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파형정형부(53)로부터 제어신호(L)를 인가받은 디코딩부(54)는 해당 제어명령으로 인식한 후 브이시알 데크 등의 피제어기(55)를 제어하여 녹화모드를 실행시키게 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제어신호 송수신장치는 음성입력부(47)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한 채널에 리모콘 제어신호를 실어 영상/음성/제어신호 송신장치(42)로 변조시킨 뒤 송출하면 피제어기인 브이시알 시스템의 영상/음성/제어신호 수신장치(43)에서 이를 수신하여 신호처리한 후 제어신호를 피제어기의 디코딩부(54)에 인가함으로써 별도의 리모콘 제어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복잡한 회로없이도 간편하게 리모콘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공간적인 제약도 극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비디오/오디오 소스 발생부(46)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종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키입력부(44)와, 상기 키입력부(44)로부터 스위치 온 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명령을 제어코드신호로 발생시키는 제어신호 발생부(45)와,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45)로부터 발생된 제어신호를 오디오신호의 한 채널에 실은 뒤 상기 비디오/오디오 소스 발생부(46)로부터 입력된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와 함께 변조한 후 RF신호로 송출하는 무선송신부(48)를 갖는 영상/오디오/제어신호 송신장치(42)와;
    상기 영상/오디오/제어신호 송신장치(42)에서 송신된 RF신호를 수신 복조한 후 신호처리하는 무선수신수단(43)과, 상기 무선수신수단(43)에서 분리된 오디오 신호중 한 채널을 피제어 명령정보로 인출하는 디코딩부(54)과, 그 디코딩부(54)로부터 제어명령을 제공받는 피제어기(55)를 갖는 영상/오디오/제어신호 수신장치(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제어신호 송수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수신수단(43)은 RF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 후 비디오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분리하는 무선수신부(49)와, 상기 무선수신부(49)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인가받아 신호처리하여 제어신호를 분리하는 오디오 IF부(50)와, 상기 오디오 IF부(50)로부터 분리된 제어신호를 6.0MHz필터로 검출하는 6.0MHz BPF(51)와, 상기 오디오 IF부(51)로부터 분리된 오디오신호를 6.5MHz필터로 검출하는 6.5MHz BPF(52)와, 상기 6.0MHz BPF(52)로부터 검출된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왜곡된 파형을 복원하는 파형정형부(5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제어신호 송수신장치.
KR1019980034372A 1998-08-25 1998-08-25 리모콘제어신호송수신장치 KR100302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372A KR100302406B1 (ko) 1998-08-25 1998-08-25 리모콘제어신호송수신장치
GB9824880A GB2340987A (en) 1998-08-25 1998-11-12 Radio link between camera and recor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372A KR100302406B1 (ko) 1998-08-25 1998-08-25 리모콘제어신호송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788A KR20000014788A (ko) 2000-03-15
KR100302406B1 true KR100302406B1 (ko) 2001-09-29

Family

ID=19548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372A KR100302406B1 (ko) 1998-08-25 1998-08-25 리모콘제어신호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02406B1 (ko)
GB (1) GB23409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29880D0 (en) 2000-12-07 2001-01-24 Sony Uk Ltd Video and audio information processing
KR20170002478U (ko) 2015-12-31 2017-07-10 조현준 오토바이의 배기열 활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5860A (ko) * 1991-01-28 1992-08-27 강진구 비디오카메라용 원격제어기
KR970011539U (ko) * 1995-08-22 1997-03-29 모니터를 구비한 리모콘을 이용한 원격제어 캠코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0743A (en) * 1980-01-16 1983-08-23 Canon Kabushiki Kaisha Video camera and recorder
GB2257557B (en) * 1991-07-08 1994-11-16 Amstrad Plc Video recorder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5860A (ko) * 1991-01-28 1992-08-27 강진구 비디오카메라용 원격제어기
KR970011539U (ko) * 1995-08-22 1997-03-29 모니터를 구비한 리모콘을 이용한 원격제어 캠코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40987A (en) 2000-03-01
KR20000014788A (ko) 2000-03-15
GB9824880D0 (en) 1999-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5720A (en) Remote control
JP3666513B2 (ja) 受信装置、信号復調方法、アンテナ装置、受信システム、およびアンテナ方向調整方法
KR100730839B1 (ko) 표시장치, 신호 송수신 장치및 무선 전송장치
US200900167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airing a remote control with a device
KR100286812B1 (ko) 컴퓨터와 텔레비젼 무선 송수신장치
KR100302406B1 (ko) 리모콘제어신호송수신장치
KR100576527B1 (ko) 정보 전송 시스템 및 정보 전송 방법
KR100590797B1 (ko) 전력선을 이용한 감시 카메라 데이터 전송 장치
KR20050076928A (ko) Tv를 이용하여 av 기기를 조작하는 장치 및 방법
JPH0467202B2 (ko)
KR940006718Y1 (ko) Vtr의 오디오 더빙 시스템
JP3806699B2 (ja) ワイヤレスマイクシステム、レシーバー、ワイヤレスマイク
KR19980038725A (ko) 도어폰 티브이 수상기 시스템
KR100302408B1 (ko) 무선카메라시스템의양방향제어장치
KR20000027981A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리모콘 송신기
KR100431894B1 (ko) 다중 통신 시스템
KR100197810B1 (ko) 오디오 신호의 멀티 수신장치
KR20000040643A (ko) 텔레비젼의 리모콘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
JPH054674U (ja) 信号伝送装置
RU41939U1 (ru) Серви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й передачи звукового сопровождения
KR970001226Y1 (ko) 무선 폐쇄회로 감시 시스템의 수신장치
KR100302407B1 (ko) 시시디카메라와브이시알을이용한근거리화상전송및제어시스템
KR100192879B1 (ko) 온/오프 타이머 기능이 내장된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
KR100190899B1 (ko) 시청위치에 따른 osd데이터 자동변형출력기능을 갖춘텔레비전수상기
KR100336615B1 (ko) 원격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