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783B1 - 고가용성시스템의구성방법 - Google Patents

고가용성시스템의구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783B1
KR100300783B1 KR1019980042529A KR19980042529A KR100300783B1 KR 100300783 B1 KR100300783 B1 KR 100300783B1 KR 1019980042529 A KR1019980042529 A KR 1019980042529A KR 19980042529 A KR19980042529 A KR 19980042529A KR 100300783 B1 KR100300783 B1 KR 100300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information
configuration
task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2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5440A (ko
Inventor
용 원 박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42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0783B1/ko
Publication of KR20000025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5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15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at system level
    • G06F11/142Reconfiguring to eliminate the error
    • G06F11/1425Reconfiguring to eliminate the error by reconfiguration of node members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가용성 시스템 구성정보 작성을 위한 구성디자인 응용프로그램을 탑재한 고가용성 시스템의 구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스크와 노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각 태스크에 특정 노드를 대응시키는 단계와; 상기 태스크의 각각에 대하여 각 노드와의 연결관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태스크에 대응되는 노드의 타입과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프로세서로 구성된 고가용성 시스템의 구성 방법에 있어서, 태스크 또는 노드의 정보를 개별적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한 화면에서 개별적으로 태스크와 노드의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타입대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고, 시스템의 구성정보의 수정과 삭제가 용이하다.
[색인어]
고가용성 시스템, 구성, 태스크, 노드

Description

고가용성 시스템의 구성 방법{configuration method of high availability system}
본 발명은 고가용성(HA : High Availability)시스템의 구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성디자인 응용 프로그램을 탑재한 고가용성 시스템에서 구성 디자이너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시스템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가용성 시스템은 공장 자동화 환경, 데이타 전송 네트워크 또는 방송통신 네트워크의 운용을 제어 또는 관리하고, 거대한 금융업무처리나 관공서의 민원안내 서비스 등에 사용되는 고 신뢰성이 요구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고가용성 시스템은, 시스템에 실제 제어 명령을 하는 액티브 프로세서(Active Processor)와, 액티브 프로세서의 운용을 체크하고 만일 액티브 프로세서에 오류가 발생하면 액티브 시스템의 운용을 대신해서 처리하는 스탠바이 프로세서(Standby Processor)를 채용함으로써 한 프로세서의 장애시에도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은 핫 스탠바이 리던던트 프로세싱(Hot Standby redundant processing)이라 불리 우며, 데이터의 완벽한 신뢰성과 안정성을 보장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데이터의 완벽한 신뢰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구성을 유연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가용성 시스템에서는 상기 목적을 위해 시스템 구성 응용프로그램이 사용되고 있는 바, 도1a 내지 도1f는 종래 기술에 적용되는 고가용성 시스템의 응용프로그램의 일례인 세이프워커2.0(SafeWorker 2.0)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도 2는 종래기술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시스템을 구성하여 구성파일을 작성하는 단계를 예시한 플로우챠트로서, 도1a 내지 도1f를 참조하여 종래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한 시스템 구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의 응용프로그램을 구동(단계:ST301)하면 도 1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창(11)이 나타나게 된다.
상기 초기창(11)에서, 종래의 응용프로그램은 이미 정해진 5가지의 시스템 구성타입을 보여주고 있고, 그 중 사용자는 자신이 구성하기를 원하는 타입의 블록을 선택하여 시스템을 구성 해야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한편, 도면에서 A는 액티브 프로세서를, S는 스탠바이 프로세서를 의미한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초기창(11)에 보이는 5타입의 블럭 중, 2대의 프로세서에서 2대 모두 액티브 프로세서로 구성되는 2액티브(2 Active)타입을 선택하고자 한다면, 이에 대응하는 첫번째 블럭(11a)위로 커서를 움직인 후 마우스를 클릭하게 되면(단계:ST303), 그림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블럭에 맞는 다이알로그창(13),즉 선택한 타입의 정보 입력창(13)이 나타나게 된다. 이 창(13)은 두 프로세서에 관련된 시스템의 네트웍에 관한 정보를 입력(단계:ST305)하는 입력창이다.
상기 입력된 정보를 저장한 후,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티브1,2 프로세서에 대한 파일 시스템(File System)정보를 입력하여야 하는데(단계:ST307) 파일시스템정보는 특정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일에 관한 정보이다.
상기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입력창(15)에 액티브2 프로세서의 장애시 상대프로세서인 액티브1 프로세서가 액티브2 프로세서를 대신해 일을 수행하기 위한 파일정보를 입력하고, 반대로 액티브 1프로세서의 장애시 상대프로세서인 액티브2 프로세서가 액티브1 프로세서를 대신해 일을 수행하기 위한 파일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입력창(17)에 입력한다. 즉, 이 구성타입은 두 프로세서가 모두 액티브로 작동하며 독자적인 일을 수행하면서, 서로 상대 프로세서의 동작 상태도 감시하여 상대 프로세서가 다운되면 대신 일을 수행하는 타입이다.
상기와 같이 시스템정보 구축이 끝나면 액티브1 프로세서와 액티브2 프로세서에 대해, 만일 상대방 시스템이 에러가 발생할 경우 상대방 시스템을 대신해서 수행해야할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각각의 입력창(19)(20)에 등록(단계:ST309)한다.(도 1e, 도 1f).
위 정보를 모두 입력하여 저장하면, 구성파일(Configuration file)이 만들어지고(단계:ST305), 이로써 시스템 구성이 완료(단계:ST315)된다.
한편, 만일 시스템의 구성정보를 수정하거나 삭제하고 싶을 경우(단계:ST313)에 이러한 종래의 프로그램에서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프로세서의 개별적인 수정과 삭제가 불가능하며, 다시 처음의 초기창으로 돌아가 구성정보를 재입력해야 한다.
한편 시스템 구성파일은, 상대방 프로세서에 대한 접속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구성파일을 전송하는 RPC방식을 사용하여 상대방 프로세서의 어플리케이션인 데몬에게 전달되고, 이때 상기 구성파일은 각 프로세서의 HA 코어모듈(Core Module)이 공유하면서 시스템의 가용성을 높이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 타입이 5가지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이미 정해진 5가지 타입 외에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타입이 없다. 따라서, 다양한 환경에 부응하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없게되고, 사용자는 초기 창에서 보이는 규정된 타입 중에서만 선택하여 시스템을 구성해야만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특별히 시스템을 구성하는 노드나 태스크의 개념을 따로 두지 않고 각 노드와 태스크에 해당하는 정보인 프로세서간 네트웍정보, 허빗 정보, 파일시스템, 어플리케이션등에 관한 정보를 초기창으로부터 순차 적으로 들어가면서 각 입력창에 정보를 입력하는 형식을 하고 있으므로, 시스템 구성에 있어서, 각 프로세서간 관련정보를 쉽게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시스템 운용 중 어느 한 프로세서를 삭제할 필요가 생겼을 때에도 개별 프로세서에 대한 삭제기능이 제공되지 않고, 특정 프로세서의 구성정보를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개별적인 정보의 수정과 삭제가 불가능하다.
즉, 종래의 응용프로그램에서는 시스템 구성을 삭제 해야 하는 경우에는 개별적인 프로세서의 삭제기능이 없으므로 초기창(11)으로 돌아가 새로이 시스템 구성타입을 선택해서 모든 정보를 다시 재입력해야 하고,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변경하고자 하는 프로세서의 정보와 그 변경된 정보에 관련된 연속적인 정보들을 초기창에서 순차적으로 찾아 들어가 정보를 재입력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프로세서간 파일 전송방식에 있어서, RPC 방식은 상대프로세서와의 접속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파일을 전송하기 때문에 파일 전송에 대한 신뢰성이 약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 구성을 사이트 환경에 맞게 다양화 할 수 있고, 시스템 구성시 각 프로세서 구성정보의 작성 및 변경이 용이한 고가용성 시스템 및 그 시스템 구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f는 종래 응용프로그램에서의 시스템 구성파일 작성단계에 따른 구성정보 입력창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시스템 구성과 시스템 구성파일 작성 단계를 예시한 플로우 챠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디자이너 응용프로그램를 구성하는 전체모듈을 보여주며 또한, 구성디자이너 응용프로그램과 상대방 시스템과의 파일전송 경로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고가용성 시스템의 구성단계를 예시한 플로우 챠트.
도 5a 내지 도 5g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시스템 구성의 각 단계에 따른 구성 정보 입력창을 나열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 : 종래응용프로그램의 초기창.
201 : 구성디자이너 315a : 그룹
315b : 노드 315c : 태스크
21 : 디자인 캔버스 27 : 그룹다이알로그 창
31 : 노드다이알로그창 33 : 태스크다이알로그창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스크와 노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각 태스크에 특정 노드를 대응시키는 단계와, 상기 태스크의 각각에 대하여 각 노드와의 연결관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태스크에 대응되는 노드의 타입과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시스텝으로 구성된 고가용 시스템의 구성 방법에 있어서, 태스크 또는 노드의 정보를 개별적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화면상에서 각각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바로 태스크와 노드의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구성파일 작성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고가용성 시스템에 있어서 구성디자이너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모듈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 구성 응용프로그램은 즉, 메인 모듈인 동시에 전체모듈을 제어하는 구성디자이너는, 시스템 타입을 설정하는 그룹(315a)과 각 프로세서간 네트웍정보와 허빗정보로 구성되는 노드(315b), 각 프로세서의 어플리케이션, 네트웍, 파일시스템에 관한 정보로 구성되는 태스크(315c)와 같은 시스템 구성을 디자인하는 디자인 캔버스(DesignCanvas)(301)와; 시스템의 구성정보를 담고 있는 구성데이타(307)와; 도구상자를 구성하는 모듈인 제1버튼패널(303)과;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담고 있는 또 하나의 모듈인 제2버튼패널과(305);그리고 그룹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창인 그룹 다이알로그(309)와; 노드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창인 노드다이알로그(311)와; 태스크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창인 태스크다이알로그(31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성디자너의 구성파일(317)로 디스크(321a)에 저장되며, 저장된 구성파일(317)은 상대프로세서의 데몬(211)에게 전달되어 다시 상대 프로세서(319)의 디스크(321b)에 저장됨으로서, 구성정보파일이 프로세서간에 공유된다.
도 4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성디자이너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한 실시예로, 시스템을 구성하고 구성파일을 작성하는 전체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로서, 도 5의 예시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시스템 구성을 디자인하기 위해 시스템 구성디자이너 응용프로그램을 구동(단계:ST400)하면,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자인캔버스(21)가 나타나고, 디자인 캔버스에서(21) 툴(tool)버튼을 선택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구 상자(23)를 불러들인 후 이 도구상자(23)를 이용하여,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의 타입을 설정하는 그룹이미지(25a)와 그룹의 노드이미지(25b)와 태스크이미지(25c)를 구성한다.(단계:ST402)
다음으로 그룹정보를 작성하는 단계(단계:ST404)에 있어서, 그룹이미지(25a)를 선택하여,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룹 다이알로그창(27)이 나타나면, 그룹 이름(27a), 그룹의 타입(27b), 구성하려는 시스템 타입과 각 프로세서를 감시하는 허빗수(27c)등으로 구성된 그룹정보를 설정한다.
상기의 그룹정보를 작성하는 단계(단계:ST404)에서, 시스템타입(25b)은 투액티브(AA), 쓰리액티브(AAA), 원액티브원스탠바이(AS), 앤투원(N to One), 엔에이(NA)타입으로 이루어 지고, 이들 중 엔투원(N to One)은 하나의 스텐바이 시스템과 원하는 만큼의 액티브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이고, 엔에이(NA)는 원하는 만큼의 시스템을 액티브로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다양하고 가변적인 시스템 타입(25b)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시스템 구성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에서 그룹을 구성하고, 태스크에 대한 노드의 레벨을 설정한 후, 도구상자에서 드로우 라인버튼(23a)을 이용해,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스크에 대한 노드의 레벨에 따라, 노드이미지(25b)와 태스크이미지(25c)를 드로우 라인(29a)으로 연결하는 단계(단계:ST406)를 거친다. 예를 들면, 특정 태스크를 가장 먼저 수행할 노드는 레드 라인으로, 두 번째로 수행 할 노드는 옐로우 라인으로 세 번째로 수행 할 노드는 그린 라인으로 연결하면 된다.
상기의 설정에서, 상기 옐로우 라인을 갖는 노드는 레드 라인의 레벨을 갖는 노드에 에러가 발생할 때까지 항시 대기하고 있는 상태가 되고, 만일 레드라인의 노드에 이상이 발생했다면 옐로우 라인의 노드가 레드라인 노드의 일을 이어받아 계속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 태스크에 대한 노드의 레벨을 설정(단계:ST406)한 후 각 태스크와 노드에 각각의 정보를 입력한다.
한편, 노드의 정보작성(단계;ST 408)에 있어서, 노드이미지를 선택하게 되면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노드의 정보 입력창(31)이 나타나게 되고, 상기 입력창에 노드의 이름(31a), 호스트의 이름(31b), 아이피 어드레스(IP address)(31c), 노드의 타입(31d)과 허빗정보(31e)를 각각 설정해 준다.
상기에서 노드의 타입은 종래 기술에서는 없었던 개념으로서, 노드의 타입은 AWS(Active with Standby), AIG(Active InGroup), SO(Standby Only), AORS(Active or Standby), SORA(Standby or Active)의 다섯 타입으로 설정될 수 있다.
각 타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AWS타입은 예를 들어, A-S모드에서 액티브 프로세서인 A가 AWS로 지정되어 있고, 스탠바이 프로세서를 B라 한다면, 위 시스템에서 운용중 A가 다운되었을 경우, B는 운용하던 태스크를 대신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A가 다시 살아났을 경우 A는 빼았겼던 태스크를 다시 찾아와 구동시키는 노드의 타입을 말한다.
AIG타입은 액티브들로만 구성된 그룹에서 액티브로 동작하는 노드의 타입을 말하고, SO타입은 스탠바이로만 동작하는 노드의 타입을 말한다.
AORS타입은 예를 들어 A-S모드에서 A는 액티브 프로세서이고 B는 스탠바이프로세서일 경우, 만일 A시스템이 다운되었을 경우 B는 A의 태스크를 대신 수행하면서 액티브 프로세서가 되고 A는 스탠바이로 바뀌는 노드의 타입을 말하며, SORA타입은 예를들어 A-S모드에서 A프로세서는 스탠바이로 B프로세서는 액티브일 경우, 만일 B가 다운되었을 경우, A는 B의 타스크를 대신 수행하면서 액티브로 바뀐다.
시스템 구성시, 상기와 같은 노드의 타입을 설정해 줌으로써,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시스템의 단순한 액티브-스탠바이 구성에 비해, 노드의 타입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프로세서가 시스템 운용 환경에 따라 액티브 또는 스탠바이 상태가 될 수 있어서 보다 유연한 프로세서 운용과, 서비스의 고신뢰성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태스크의 정보 작성(단계;ST410)에 있어서,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스크 이미지(25c)를 선택하여 태스크의 정보입력창(33)이 나타나면 태스크의 이름(33a), 네트워크(33b), 파일시스템(33c), 어플리케이션(33d) 그리고 태스크에 장애가 발생했을 시 경고해 주는 프로그램을 입력해 주는 얼럿스크립트(AlertScript) (33e)와 레벨에 따라 값을 정의하는 오토기브업(Autogiveup)(33f)을 설정해 주고, 네트워크, 파일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순서인 런오더(Runorder)(33g)를 설정해 준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구성파일을 작성(단계:ST412)한 후 다시 프로세서의 개별적인 구성정보를 수정하거나 삭제하고자 할 경우(단계:ST414)즉, 그룹의 정보를 수정/삭제(단계:ST414a)또는 태스크의 정보를 수정/삭제(단계:ST414b)그리고 노드의 정보를 수정/삭제(단계:ST414c)하고자 할 경우 그룹,노드,태스크의 연속적인 관련정보를 한 화면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변경하고자 하는 정보와 관련한 정보들의 연속적인 수정/삭제시 한 화면에서 이 구성정보들을 담고 있는 각 이미지를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구성정보를 변경해주면 된다.
또한, 상기에서 개별적인 프로세서를 삭제하고자 할 경우 화면에서 그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입력장치의 딜리트(delete)버튼을 누르면 된다.
상기와 같이 시스템 구성이 모두 끝난 후, 구성 디자이너 응용프로그램은 상기의 단계를 거치면서 얻어진 입력 정보들을 구성파일로 디스크(321a)에 저장 한다.
그리고, 상기 구성파일 작성이 완료된 후 다시, 구성파일을 불러내 시스템의 구성정보를 보고자할 경우, 디스크에 저장된 구성파일을 VI편집기로 열어서 구성 정보를 볼 수 있다.
구성 파일 작성이 완전히 완료된 후, 구성파일을 상대방 프로세서에 전송하며 이때, 저장한 파일을 다른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먼저 구성디자이너 특성파일(Config designer·properties file)을 VI 편집기에서 오픈하여, 호스트네임 환경변수에 전송할 시스템의 이름을 차례로 등록한 후 저장한다.
상기의 과정이 끝난 후, 구성디자이너의 보내기 메뉴(send menu)에서 텍스트 풀다운 메뉴(Text pull down menu)를 선택하여 각 시스템으로, 상대방 프로세서에 접속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파일을 보내는 방식인 RMI방식을 사용하여 구성파일을 전송하게 된다. 이때, 파일 전송시 만약 어느 한 프로세서가 다운되어 있으면 그 시스템을 제외하고 전송한다.
한편 이러한 RMI방식은 종래 기술에서 상대방 프로세서와의 접속여부를 확인하지 않는 RCP 전송방식보다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신뢰성이 높은 방식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하지만,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타입대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고, 시스템의 구성정보의 수정과 삭제가 용이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구성디자이너는 그래픽 환경을 제공하여, 시스템 타입을 선택하는 그룹과 그룹내의 노드와 태스크를 이미지화해서 표시 장치를 통해 화면상에 배열함으로써, 한 눈에 시스템 구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문제가 되었던 시스템 구성과 시스템 구성파일의 수정, 삭제가 어려웠던 부분을 개선함으로써, 고가용성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정보작성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

Claims (3)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스크와 노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각 태스크에 특정 노드를 대응시키는 단계와, 상기 태스크의 각각에 대하여 각 노드와의 연결관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태스크에 대응되는 노드의 타입과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프로세서로 구성된 개선된 고가용시스템의 시스템의 구성 방법에 있어서,
    태스크 또는 노드의 정보를 개별적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한 화면에서 개별적으로 태스크와 노드의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용시스템의 시스템의 구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태스크에 대한 노드의 레벨을 다단계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용성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시스템 구성시,노드의 타입은 AWS타입, AIG타입, SO타입, AORS타입, SORA타입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용성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방법.
KR1019980042529A 1998-10-12 1998-10-12 고가용성시스템의구성방법 KR100300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529A KR100300783B1 (ko) 1998-10-12 1998-10-12 고가용성시스템의구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529A KR100300783B1 (ko) 1998-10-12 1998-10-12 고가용성시스템의구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5440A KR20000025440A (ko) 2000-05-06
KR100300783B1 true KR100300783B1 (ko) 2001-10-27

Family

ID=19553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2529A KR100300783B1 (ko) 1998-10-12 1998-10-12 고가용성시스템의구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07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565B1 (ko) * 2001-12-28 2007-08-30 엘지엔시스(주) 고가용성 시스템 및 그의 태스크 분할 인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5440A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2295B2 (en) Apparatus for aiding construction of storage area network system and method therefor
EP1461903B1 (en) Technique of determining connectivity solutions for network elements
US714638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d performing application backups and restores in diverse environments
JP4504762B2 (ja) ストレージネットワークの移行方法、管理装置、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ストレージ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6108714A (en) Application program grouping method and apparatus
US7203770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supporting 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
US20040215764A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rendering a visualization of aggregations of network devices
JPH07121427A (ja) ハイパーテキスト装置
US20080117068A1 (en) Intelligent Network Alarm Status Monitoring
JPH04271454A (ja) 疎結合計算機システム
JPH07118713B2 (ja) リンク接続網の構成を検証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A2061378C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ulti-point matrix switch
US20140359461A1 (en)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Unified Network Management
US5870727A (en) Rule-based system for the provision of complex navigational logic
US200300659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age management
US200201120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age on demand service
US20040104928A1 (en) Uni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0300783B1 (ko) 고가용성시스템의구성방법
JP4476108B2 (ja) ストレージ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ストレージの情報取得方法
US7305418B2 (en) Selecting and showing copy pairs in a storage subsystem copy services graphical user interface
US6182056B1 (en) Method of modeling complex navigational logic in a client/server environment
US7350000B2 (en) User interface for representing logical path information and displaying available adapters in a storage subsystem
JP2022089629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キャッシュ更新制御方法
US7251248B2 (en) Connection device
Singh et al. I/o Configuration Using Z/os Hcd and Hc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