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842B1 - Display device having 1394 cd-rom and application program control key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having 1394 cd-rom and application program control ke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842B1
KR100299842B1 KR1019980013871A KR19980013871A KR100299842B1 KR 100299842 B1 KR100299842 B1 KR 100299842B1 KR 1019980013871 A KR1019980013871 A KR 1019980013871A KR 19980013871 A KR19980013871 A KR 19980013871A KR 100299842 B1 KR100299842 B1 KR 100299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om
display device
usb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8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80543A (en
Inventor
강민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3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842B1/en
Publication of KR19990080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5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842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PURPOSE: A display device having a 1394 CD-ROM and an application program control key is provided to directly mount a 1394 CD-ROM to a display device of a computer system, use a power supply provided to a 1394 repeater according to a self-power method, and provide one or more control keys capable of inputting commands to a determined part of the display device. CONSTITUTION: An output terminal of a self-power supply(100) is connected to a display device(200) by a power supply connection unit(300). The display device(200) is composed of a 1394 repeater board(210), a 1394 CD-ROM(230), a USB hub board(220) and a key button unit(240). The 1394 repeater board(210) classifies data and power supply. The 1394 CD-ROM(230) is operated by receiving driving power of the 1394 repeater board(210). The USB hub board(220) is operated by receiving driving power of the 1394 repeater board(210). In addition, the USB hub board(220) classifies data and power supply according to a USB. The key button unit(240) is equipped with one or more functional keys capable of operating the 1394 CD-ROM(230) through the USB hub board(220) or inputting commands. The USB hub board(220) is composed of the second regulator(221), a USB hub(222) and a USB port(223). The second regulator(221) receives output power of the self-power supply(100). The USB hub(222) is operated by output power of the first regulator(211). In addition, the USB hub(222) relays data according to the USB. The USB port(223) is composed of one or more USB cable connection units.

Description

1394 씨디롬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with 1394 CD-ROM and application control keys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of a computer system.

보다 상세하게는 1394 씨디롬(이하‘CD-ROM’이라 한다)과 고속 직렬통신을 위해 구비된 셀프파워 방식의 1394 리피터 보드 및 USB 허브 보드를 포함하고 1394 리피터 보드와 USB 허브 보드에 공급되는 전원을 1394 CD-ROM에도 공급하도록 하며, 1394 CD-ROM이나 그 외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는 키버튼부를 포함함으로써 1394 CD-ROM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직접 장착되게 하고, 역시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정 부분에 구비된 키버튼부의 기능키를 한번에 조작함으로써 USB 허브 보드를 통해 1394 CD-ROM이나 그 외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으므로 1394 CD-ROM과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함에 있어서 그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1394 CD-ROM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it includes a 1394 CD-ROM (hereinafter referred to as 'CD-ROM') and a self-powered 1394 repeater board and a USB hub board provided for high speed serial communication. It is also supplied to the 1394 CD-ROM, and includes a key button section for inputting a command to execute a 1394 CD-ROM or other Windows application so that the 1394 CD-ROM is directly mounted to the display device, and als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The 1394 CD-ROM and other Windows applications can be run through the USB hub board by operating the function buttons provided at the same time.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1394 CD-ROM and Windows applications can be improved. A display device having a 1394 CD-ROM and an application program control key.

최근 멀티미디어 컴퓨터,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등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컴퓨터 환경과 컴퓨터를 중심으로한 통신환경이 대두됨에 따라 등장하게된 고속의 직렬통신을 위한 규약으로 IEEE1394와 USB(Universal serial bus)가 있다.Recently, as a new type of computer environment such as a multimedia computer and a home network, and a communication environment centered on a computer, a protocol for high speed serial communication has emerged, IEEE1394 and USB (Universal serial bus). .

이러한 USB와 IEEE1394는 핫플러깅(Hot plugging) 또는 핫 플러그-앤드-플레이(Hot plug-and-play) 개념의 새로운 통신 프로토콜로서 USB는 각종 모뎀, 프린터, 조이스틱, 마우스, 키보드, 스캐너 등과 같은 데이터 전송속도가 12[Mbps]이하의 중저속인 기기에 적용되며, IEEE1394는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광디스크 재생기 등과 같이 데이터 전송속도가 100-400[Mbps]정도인 고속의 기기에 적용된다.These USB and IEEE1394 are a new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concept of hot plugging or hot plug-and-play. USB is a data transmission method such as modem, printer, joystick, mouse, keyboard, scanner, etc. It is applied to medium and low speed devices of 12 [Mbps] or less, and IEEE1394 is applied to high speed devices such as digital cameras, video cassette tape recorders, optical disc players, etc., whose data transfer rate is about 100-400 [Mbps].

또한 USB나 IEEE1394에 의한 직렬통신을 위해서는 직접적인 전기적 신호의 흐름으로 인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외에도 전원을 분류하는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 기능을 하는 전용 칩이나 전용 칩을 내장하는 보드가 필요하며, USB에서는‘USB 허브’칩을 내장한 보드(이하‘USB 허브 보드’라 한다)가 그리고 IEEE1394에서는‘물리적 계층’(PHY Layer, 이하‘1394 물리적 계층’이라 한다) 칩을 내장한 보드(이하‘1394 리피터 보드’라 한다)에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for serial communication by USB or IEEE1394, a dedicated chip or a board containing a dedicated chip, which functions as an interface function such as classifying power in addition to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due to direct electric signal flow, requires a USB hub. A board containing a chi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SB hub board") and an IEEE1394 board called a "physical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1394 physical layer) chi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1394 repeater board) Will perform this function.

한편, 이러한 USB 허브 보드와 1394 리피터 보드를 동작시켜 주기 위한 전원공급의 방식에는 각각의 규격에 따른 신호 및 전원 전송용 케이블(이하 각각‘USB 케이블’,‘1394 케이블’이라 한다)을 통해 다운 스트림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버스파워 방식과 별도의 독립적인 전원공급 장치를 이용하는 셀프파워 방식이 있다.Meanwhile, the power supply method for operating the USB hub board and the 1394 repeater board includes a signal and power transmission cab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SB cable' and a '1394 cable') according to each standard. In other words, there is a bus power method for supplying driving power and a self-power method using an independent power supply device.

CD-ROM은 기록된 영상 및 음성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독출하여 소정의 출력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기록장치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컴퓨터 본체에 구비되게 된다.A CD-ROM is widely used as a recording device that optically reads out multimedia data such as recorded video and audio and delivers the same to a user by using a predetermined output means, and is generally provided in a computer main body.

하지만 그 설치를 올바로 하기 위해서는 제작자에 의해 제공되는 설치 프로그램을 구동시켜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점퍼를 조정하는 등과 같은 적지 않은 컴퓨터 지식을 가져야 한다는 사용상의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there was a difficulty in using the installation program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in order to properly install the installation, and in some cases, have a small amount of computer knowledge such as adjusting jumpers.

이의 해결을 위해 컴퓨터 본체에 장착함과 동시에 하드웨어적으로나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치가 완료되어 사용자가 바로 사용 가능하도록 해주는 핫 플러깅 개념의 CD-ROM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그 한 예로서 1394에 의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1394 CD-ROM이 있다.To solve this problem, we developed a hot-plugging CD-ROM that can be installed on a computer and installed in hardware or software, and can be used immediately by a user. There is a 1394 CD-ROM to carry.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1394 CD-ROM도 컴퓨터 본체에 내장되어 있었으므로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을 설치하는 공간이 좁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와는 별도의 위치에 컴퓨터 본체를 위치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 1394 CD-ROM을 장착 또는 탈착하거나 재생(Play)이나 정지(Stop)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1394 CD-ROM 본체에 구비된 기능키 버튼을 동작시키기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1394 CD-ROM as described above was also built into the computer main body, when the user installs the computer system in a narrow space, the computer main body should be placed in a separate location from the display device. In this case, the 1394 CD-ROM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operate a function key button provided in a 1394 CD-ROM main body such as mounting or detaching or playing or stopping.

한편, 컴퓨터의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1394 CD-ROM을 동작시킬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먼저 수행시켜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는데, 이는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메일을 전송하고자하는 경우와 같이 컴퓨터의 다른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1394 CD-ROM can be operated by the application program of the computer, but in this case, it is cumbersome to execute the necessary application program first, which is the case of sending an e-mail using the Internet. The same problem occurred when trying to execute other applica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1394 CD-ROM을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직접 장착시키고 필요한 전원은 셀프파워 방식에 의해 1394 리피터 보드에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도록 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정 부분에 1394 CD-ROM이나 그 외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원터치 방식으로 입력하는 기능키를 하나 이상 구비하게 하여 1394 CD-ROM 및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함에 있어서 그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1394 CD-ROM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unt the 1394 CD-ROM directly to the display device of the computer system and to use the power supplied to the 1394 repeater board by the self-power method, and the 1394 CD-ROM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1394 CD-ROMs and application programs that can enhance the convenience of using 1394 CD-ROMs and Windows applications by providing one or more function keys for one-touch input of commands to execute Windows applications. A display device having a control key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1394 씨디롬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having a 1394 CD-ROM and an application program control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1394 씨디롬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블록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having a 1394 CD-ROM and an application program control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1394 씨디롬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도이다.3 is an external view of a display device having a 1394 CD-ROM and an application control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셀프파워 공급장치 200 : 디스플레이 장치100: self-power supply device 200: display device

300 : 전원 연결수단 110 : 어댑터300: power connection means 110: adapter

210 : 1394 리피터 보드 220 : USB 허브 보드210: 1394 Repeater Board 220: USB Hub Board

230 : 1394 CD-ROM 240 : 키버튼부230: 1394 CD-ROM 240: Key Button

211 : 제 1 레귤레이터 212 : 1394 물리적 계층211: first regulator 212: 1394 physical layer

213 : 1394 포트 221 : 제 2 레귤레이터213: 1394 port 221: second regulator

222 : USB 허브 223 : USB 포트222: USB hub 223: USB port

S/WP, S/W1-S/W3 : 과전류 보호용 스위치S / WP, S / W1-S / W3: Overcurrent Protection Switch

D1-D4 :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D1-D4: Reverse Current Prevention Diod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1394 CD-ROM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징은 소정의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셀프파워 공급장치와, 셀프파워 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구동되며 IEEE1394에 따라 데이터 및 전원을 분류하는 1394 리피터 보드와, 1394 리피터 보드의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고 1394 리피터 보드와 데이터를 주고받음으로써 동작되는 1394 씨디롬과, 1394 리피터 보드의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USB에 따라 데이터 및 전원을 분류하는 USB 허브 보드와, 1394 리피터 보드의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고 USB 허브 보드를 통해 1394 씨디롬을 동작시키거나 윈도우용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는 기능키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키버튼부로 구성된 것에 있다.A display device having a 1394 CD-ROM and an application program control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elf-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DC power, and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self-power supply device. 1394 repeater board that classifies data and power according to IEEE1394, 1394 repeater board driven by power supply, 1394 CD-ROM operated by exchanging data with 1394 repeater board, and 1394 repeater board A USB hub board that operates and classifies data and power according to USB, and a function to input a command to operate a 1394 CD-ROM or to run an application for Windows through a USB hub board, which is powered by a drive power of a 1394 repeater board. It consists of a key button part provided with one or more key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1394 CD-ROM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display device having a 1394 CD-ROM and an application program control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도 1은 본 발명의 1394 CD-ROM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블록 구성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having a 1394 CD-ROM and an application program control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1394 CD-ROM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교류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셀프파워 공급장치(100)의 출력단자가 전원 연결수단(30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접속된다.As shown, a display device having a 1394 CD-ROM and an application program control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utput terminal of a self-power supply device 100 driven by an external AC power supply by a power connection means 300. 200).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셀프파워 공급장치(100)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구동되며 IEEE1394에 따라 데이터 및 전원을 분류하는 1394 리피터 보드(210)와, 1394 리피터 보드(210)의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고 1394 리피터 보드(210)와 데이터를 주고받음으로써 동작되는 1394 CD-ROM(230)과, 1394 리피터 보드(210)의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USB에 따라 데이터 및 전원을 분류하는 USB 허브 보드(220)와, 1394 리피터 보드(210)의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고 USB 허브 보드(220)를 통해 1394 CD-ROM(230)을 동작시키거나 윈도우용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는 기능키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키버튼부(240)로 구성된다.The display apparatus 200 is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self-power supply device 100 and is driven by receiving a driving power of a 1394 repeater board 210 and a 1394 repeater board 210 that classify data and power according to IEEE1394. And a 1394 CD-ROM 230 operated by exchanging data with the 1394 repeater board 210 and a USB hub board driven by a driving power supplied from the 1394 repeater board 210 and classifying data and power according to USB. And a command for driving the 1394 CD-ROM 230 or executing a Windows application through the USB hub board 220. It is composed of a key button unit 240 having one or more keys.

1394 리피터 보드(210)는 다시 셀프파워 공급장치(100)의 출력전원을 과전류 보호용 소자(S/WP)를 통해 인가 받아 제 1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1 레귤레이터(211)와, 제 1 레귤레이터(211)의 출력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IEEE1394에 따른 데이터를 중계하는 1394 물리적 계층(212)과, 제 1 레귤레이터(211)의 입력전원을 1394 디바이스로 인가해 주거나 1394 디바이스와 1394 물리적 계층(212)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1394 케이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진 1394 포트(213)로 구성된다.The 1394 repeater board 210 receives the output power of the self-power supply device 100 again through the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S / WP, converts the first DC voltage, and outputs the first regulator 211. The 1394 physical layer 212 which is driven by the output power of the regulator 211 and relays data according to IEEE1394 and the input power of the first regulator 211 is applied to the 1394 device, or the 1394 device and the 1394 physical layer 212 It consists of a 1394 port 213 consisting of one or more 1394 cable connecting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여기서, 제 1 레귤레이터(211)의 입력전원이며 1394 디바이스에 인가되는 전원은 역전류 방지용 소자(D1)(D2)(D3)(D4)를 통해 각각의 1394 포트(213)로 인가된다.Here, power input to the 1394 device, which is the input power of the first regulator 211, is applied to each of the 1394 ports 213 through the reverse current prevention elements D1, D2, D3, and D4.

그리고 USB 허브 보드(220)는 셀프파워 공급장치(100)의 출력전원을 인가 받아 제 2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2 레귤레이터(221)와, 제 1 레귤레이터(211)의 출력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USB에 따른 데이터를 중계하는 USB 허브(222)와, 제 2 레귤레이터(221)의 출력전원을 USB 디바이스로 인가해 주거나 USB 디바이스와 USB 허브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USB 케이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진 USB 포트(223)로 구성된다.The USB hub board 220 is driven by the output power of the first regulator 211 and the second regulator 221 that receives the output power of the self-power supply device 100 and converts it into a second DC voltage. One or more USB cables to connect the USB hub 222 and the second regulator 221 output power to the USB device or to exchange data between the USB device and the USB hub. It consists of a USB port 223 composed of means.

여기서, 제 2 레귤레이터(221)의 출력전원은 과전류 보호용 소자(S/W1)(S/W2)(S/W3)를 통해 각각의 USB 포트(223)로 인가된다.Here, the output power of the second regulator 221 is applied to each USB port 223 through the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S / W1) (S / W2) (S / W3).

이와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1394 CD-ROM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1394 CD-ROM and the application program control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mponent is as follows.

먼저 어댑터(110)등의 전원변환 장치가 이용되는 셀프파워 공급장치(100)는 외부 교류전원을 입력으로 받고 최하 20[V]의 출력전압을 갖는 직류전원으로 변환시켜 전원 연결수단(300)을 통해 1394 리피터 보드(210)에 구비되는 제 1 레귤레이터(211)에 공급한다.First, the self-power supply device 100 using a power conversion device such as an adapter 110 receives an external AC power as an input and converts the power connection means 300 into a DC power having an output voltage of at least 20 [V]. It supplies to the first regulator 211 provided in the 1394 repeater board 210 through.

여기서, 1394 리피터 보드(210) 및 USB 허브 보드(220)의 내부 소비전원과 각 보드가 1394 및 USB 디바이스로 공급하는 전원을 허용하는 한 전원 연결수단(300)은 잭 연결장치 등으로 구성해도 충분하다.Here, as long a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1394 repeater board 210 and the USB hub board 220 and the power supplied by each board to the 1394 and USB devices, the power connection means 300 may be configured as a jack connection device or the like. Do.

또한 전원 연결수단(300)과 제 1 레귤레이터(211) 사이에는 허용 범위를 넘어서는 전류에 대해 턴오프(Turn off) 되는 스위치(S/WP)등과 같은 전류 보호용 소자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current protection device is provided between the power supply connection unit 300 and the first regulator 211 such as a switch S / WP which is turned off for a current exceeding an allowable range.

제 1 레귤레이터(211)는 셀프파워 공급장치(100)의 출력인 최소 20[V]의 전원을 인가 받아 구동되며 1394 물리적 계층(212)과 USB 허브 보드(220)의 USB 허브(222)가 구동되는 소정 직류전압인 3.3[V]로 변환하여 인가해준다.The first regulator 211 is driven by receiving a power of at least 20 [V], which is an output of the self-power supply 100, and is driven by the 1394 physical layer 212 and the USB hub 222 of the USB hub board 220. Convert it to 3.3 [V] which is a predetermined DC voltage.

제 1 레귤레이터(211)의 출력전원에 의해 구동된 1394 물리적 계층(212)은 1394 포트(213) 및 1394 CD-ROM(230)과 IEEE1394에 따른 데이터를 중계하며, USB 허브(222)는 USB 포트(223) 및 키버튼부(240)와 USB에 따른 데이터를 중계한다.The 1394 physical layer 212 driven by the output power of the first regulator 211 relays 1394 ports 213 and 1394 CD-ROM 230 and data according to IEEE1394, and the USB hub 222 is a USB port. 223 and the key button unit 240 and the data according to the USB.

여기서, 1394 포트(213)는 1394 리피터 보드(210)의 외부에 접속되는 1394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1394 리피터 보드(210)측의 하나 이상의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및 전원의 통로이다.Here, the 1394 port 213 is a path of data and power including one or more connection means on the side of the 1394 repeater board 210 to which a 1394 devic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1394 repeater board 210 is connected.

즉, 1394 포트(213)는 제 1 레귤레이터(211)의 입력전원을 1394 디바이스로 인가해 주거나 1394 디바이스와 1394 물리적 계층(212)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1394 케이블 연결수단이다.That is, the 1394 port 213 is one or more 1394 cable connecting means for applying the input power of the first regulator 211 to the 1394 device or to exchange data between the 1394 device and the 1394 physical layer 212.

이때 제 1 레귤레이터(211)의 입력전원은 역전류 방지용 소자를 통하여 1394 포트(213)에 인가되게 되는데, 역전류 방지용 소자는 각각의 1394 포트(213)에 캐소드가 접속되는 다이오드로 구성함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input power of the first regulator 211 is applied to the 1394 port 213 through the reverse current prevention element, the reverse current prevention element may be composed of a diode connected to the cathode of each 1394 port 213. Do.

제 2 레귤레이터(221)는 셀프파워 공급장치(100)의 출력인 최소 20[V]의 전원을 인가 받아 구동되어 5[V]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second regulator 221 is driven by receiving a power of at least 20 [V], which is an output of the self-power supply device 100, and converts it into a DC voltage of 5 [V].

USB 포트(223)는 USB 허브 보드(220)의 외부에 접속되는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USB 허브 보드(220)측의 하나 이상의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및 전원의 통로이다.The USB port 223 is a path of data and power including one or more connection means on the side of the USB hub board 220 to which a USB devic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USB hub board 220 is connected.

즉, USB 포트(223)는 5[V]를 유지하는 제 2 레귤레이터(221)의 출력전원을 USB 디바이스로 인가해 주거나 USB 디바이스와 USB 허브(222)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USB 케이블 연결수단이다.That is, the USB port 223 may apply the output power of the second regulator 221 maintaining 5 [V] to the USB device, or at least one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USB device and the USB hub 222. USB cable connection means.

이때 제 2 레귤레이터(221)의 출력전원은 허용 범위를 넘어서는 전류에 대해 턴오프 되는 스위치(S/W1)(S/W2)(S/W3)등과 같은 과전류 보호용 소자를 통하여 USB 포트에 인가된다.At this time, the output power of the second regulator 221 is applied to the USB port through an overcurrent protection element such as a switch (S / W1) (S / W2) (S / W3) is turned off for the current exceeding the allowable range.

도 2는 본 발명의 1394 CD-ROM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블록 구성도로서 도 1과 셀프파워 공급장치(100)의 구성요소만이 다를 뿐이며, 그 외의 구성요소들은 동일하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having a 1394 CD-ROM and an application program control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components of FIG. 1 and the self-power supply device 100 are different. The components are identical.

따라서,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실시예 특유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장치로서의 셀프파워 공급장치(100)는 독립된 외부 교류전원을 이용하는 어댑터(도 1의 110)가 아닌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SMPS)(120)의 한 출력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FIG. 1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components unique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a power supply apparatus for supplying the display apparatus 200, the self-power supply apparatus 100 supplies independent external AC power. It is also possible to use one output of the 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120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rather than the adapter (110 of FIG. 1) used.

이와 같이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120)를 셀프파워 공급장치(100)로서 구성하게 되면, 어댑터(도 1의 110)등을 이용할 경우에 비해 전원 연결수단(도 1의 300) 및 별도의 전원 케이블이 필요 없게 된다.As such, when the switching mode power supply device 120 is configured as the self-power supply device 100, the power connection means (300 in FIG. 1) and a separate power cable are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an adapter (110 of FIG. 1). You do not need this.

도 3은 본 발명의 1394 CD-ROM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 소정 부분에 1394 CD-ROM(230)과 하나 이상의 제어키로 구성된 키버튼부(240)가 장착되어 있다.3 is an external view of a display device having a 1394 CD-ROM and an application program control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a 1394 CD-ROM 230 and one or more control keys are provid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200. The configured key button unit 240 is mounted.

여기서, 키버튼부(240)는 1394 CD-ROM(230)을 동작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재생(Play)’,‘정지(Stop)’,‘다음 트랙(Next)’,‘이전 트랙(Previous)’등과 같은 제어키(241a) 및 이들의 동작상태를 표시해주는 표시장치(241b)로 구성된 제 1 키버튼부(241)와, 그 외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인터넷(Internet)’,‘전자메일(E-mail)’등과 같은 제어키(242a) 및 이들의 동작상태를 표시해주는 표시장치(242b)로 구성된 제 2 키버튼부(242)등으로 다시 구성할 수도 있다.Here, the key button unit 240 is a 'Play', 'Stop', 'Next track', 'Previous'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operating the 1394 CD-ROM 230 A first key button portion 241 comprising a control key 241a such as a second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device 241b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thereof, and a function of executing a window application. The second key button unit 242 may be composed of a control key 242a such as '', 'E-mail' and the like and a display device 242b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thereof.

이러한 외관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1394 CD-ROM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제어키(242a) 중‘전자메일’버튼이 조작되어 실행되는 과정을 예로 들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an 'e-mail' button is operated by a control key 242a for executing a window application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having a 1394 CD-ROM and an application program control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ppearance as an example.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1 and 2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장착된‘전자메일’버튼(242a)을 누르면 이 신호는 USB 허브(222)로 전해지게 되며, USB 허브(222)에서 USB에 따른 직렬 데이터로 변환된 후 USB 포트(223)의 업스트림(Upstream) 포트를 통해 미도시된 컴퓨터 본체로 전송된다.First, when the user presses the 'e-mail' button 242a mount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device,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B hub 222, which is converted into serial data according to USB at the USB hub 222, and then the USB An upstream port of port 223 is transmitted to a computer body, not shown.

컴퓨터 본체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입력되는 데이터를 USB에 따른 내부적인 처리과정을 거친 후 해당 윈도우용 응용 프로그램에 전달하여 응용 프로그램으로 하여금 이를 인식하여(Invoke) 전자메일에 관한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한다.The main body of the computer passes the above-described data through the internal processing according to the USB, and then passes the data to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for Windows so that the application can recognize it and execute the program for the e-mail. do.

또한 컴퓨터 본체는‘전자메일’버튼(242a)이 눌려진 것을 인식했다는 소정의 인식 신호(Acknowledge signal)를 출력하는데, 이 인식 신호는 다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computer main body outputs a predetermined acknowledgment signal indicating that the 'e-mail' button 242a has been pressed, and the acknowledgmen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apparatus 200 again.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된 인식 신호는 해당되는 표시장치(242b)를 동작시켜 현재 컴퓨터 본체가 전자메일에 관한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음을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다.The recognition signal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200 operates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242b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computer main body is currently executing an application program related to an e-mail.

이와 같은 과정은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또다른 제어키(242a)인 인터넷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This process is the same as when the Internet button, which is another control key 242a for executing a Windows application, is operated.

여기서, 상술한 표시장치는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함이 가능한데, 그 외에도 사용자 등이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소자이면 충분하며 필요한 구동전원은 제 1 레귤레이터(211)의 구동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Here, the above-described display device may be configured as a light emitting diode (LED). In addition, any device that can be easily visually recognized by the user or the like is sufficient, and the required driving power is provided from the driving power of the first regulator 211. Can be supplied.

‘재생(Play)’,‘정지(Stop)’,‘다음 트랙(Next)’,‘이전 트랙(Previous)’등과 같은 제어키(241a)에 의해 1394 CD-ROM(230)이 동작되는 과정도 컴퓨터 본체가 제어키(241a)의 조작을 받아들이고 해당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인식 신호를 출력하여 키버튼부(240)에 구비된 표시장치(241b)를 구동시키는 것은 상술한 윈도우용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해 해당 제어키(242a)를 조작하는 경우와 같다.The process of operating the 1394 CD-ROM 230 by the control keys 241a such as 'Play', 'Stop', 'Next Track', 'Previous', etc. The computer main body accept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key 241a and execute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and then outputs a recognition signal to drive the display device 241b provided in the key button unit 240. As in the case of manipulating the control key 242a to execute.

단지, 1394 CD-ROM(230)을 동작시키기 위해 컴퓨터 본체로부터 전송되는 실제적인 데이터들은 컴퓨터 본체에서 1394의 규격에 맞도록 변환된 후 1394 포트(213)를 통해 1394 물리적 계층(212)으로 인가되고, 다시 1394 포트(213)와 1394 케이블을 통하여 1394 CD-ROM(230)으로 입력되어 1394 CD-ROM(230)으로 하여금‘재생’이나‘정지’등과 같은 동작을 구현하도록 하는 점이 다를 뿐이다.Only the actual data transmitted from the computer body to operate the 1394 CD-ROM 230 is converted to the 1394 standard in the computer body and then applied to the 1394 physical layer 212 through the 1394 port 213.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 1394 CD-ROM 230 is inputted to the 1394 CD-ROM 230 through the 1394 port 213 and the 1394 cable so that the 1394 CD-ROM 230 can perform operations such as 'play' or 'stop'.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1394 CD-ROM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1394 CD-ROM을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직접 장착시키고 필요한 전원은 셀프파워 방식에 의해 1394 리피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도록 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정 부분에 1394 CD-ROM이나 그 외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는 제어키를 하나 이상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1394 CD-ROM을 조작하기가 편리해짐과 동시에 1394 CD-ROM이나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을 원터치 방식으로 실행시킬 수 있게 되어 그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1394 CD-ROM and the application program control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1394 CD-ROM is directly mounted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computer system, and the necessary power is supplied to the 1394 repeater by the self-power method.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1394 CD-ROM by using one or more control keys for inputting a command to execute a 1394 CD-ROM or other Windows application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execute 1394 CD-ROM or Windows application by one touch method, which increases the convenience.

Claims (8)

소정의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셀프하워 공급장치:Self-hour supply unit to supply a predetermined DC power supply: 상기 셀프파워 공급장치의 출력전원을 인가 받아 제 1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1 레귤레이터, 상기 제 1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IEEE1394에 따른 데이터를 중계하는 1394 물리적 계층, 및 상기 제 1 레귤레이터의 입력전원을 1394 디바이스로 인가해 주거나, 1394 디바이스와 1394 물리적 계층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1394 케이블 연결수단으로 구성된 1394 리피터 보드,A first regulator that receives the output power of the self-power supply and converts the first DC voltage to output the first DC voltage; a 1394 physical layer driven by the output power of the first regulator to relay data according to IEEE1394; and the first 1394 repeater board, which consists of one or more 1394 cable connections for applying regulator input power to a 1394 device or for exchanging data between a 1394 device and a 1394 physical layer, 상기 1394 리피터 보드의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고 394 리피터 보드와 데이터를 주고받음으로써 동작되는 1394 씨디롬;A 1394 CD-ROM driven by being supplied with driving power of the 1394 repeater board and operated by exchanging data with the 394 repeater board; 상기 1394 리피터 보드의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유에스비에 따라 데이터 및 전원을 분류하는 유에스비 허브 보드; 및A UBS hub board driven by receiving driving power of the 1394 repeater board and classifying data and power according to UBS; And 상기 1394 리피터 보드의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고 유에스비 허브 보드를 통해 1394 씨디롬을 동작시키거나 윈도우용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는 기능키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키버튼부로 구성된 1394 씨디롬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A 1394 CD-ROM and an application program including a key button unit which is driven by the driving power of the 1394 repeater board and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function keys for inputting a command to operate a 1394 CD-ROM or a Windows application through a USB hub board. In a display device having a control key, 상기 유에스비 허브 보드는;The USB hub board is; 상기 셀프파워 공급장치의 출력전원을 인가받아 제2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2 레귤레이터;A second regulator receiving the output power of the self power supply device and converting the second power into a second DC voltage; 상기 제 1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유에스비에 따른 데이터를 중계하는 유에스비 허브; 및A USB hub driven by the output power of the first regulator to relay data according to the USB; And 상기 제2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원을 유에스비 디바이스로 인가해 주거나, 유에스비 디바이스와 유에스비 허브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유에스비 케이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진 유에스비 포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1394 씨디롬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1394 CD-ROM and an application program comprising at least one USB port configured to apply the output power of the second regulator to the USB device or to exchange data between the USB device and the USB hub. Display device having a control ke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파워 공급장치는;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lf power supply unit; 입력되는 외부 교류전원을 소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어댑터이며,It is an adapter that converts the input external AC power into a predetermined DC power and outputs it. 상기 어댑터의 출력 단자로부터 전원 연결수단을 통해 1394 리피터 보드로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94 씨디롬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1394 CD-ROM and an application program control key, the power being supplied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adapter to a 1394 repeater board through a power connection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파워 공급장치는;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lf power supply unit;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1394 씨디롬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having a 1394 CD-ROM and an application control key,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ing mode power supply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파워 공급장치의 출력전원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utput power of the self-power supply device; 과전류 보호용 소자를 통해 1394 리피터 보드에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1394 씨디롬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device having a 1394 CD-ROM and an application control key, which is supplied to a 1394 repeater board through an overcurrent protection ele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394 디바이스에 인가되는 전원은;Th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1394 device; 역전류 방지용 소자를 통해 각각의 1394 포트로 인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1394 씨디롬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device having a 1394 CD-ROM and an application control key, which are applied to respective 1394 ports through a reverse current prevention ele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원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utput power of the second regulator; 과전류 보호용 소자를 통해 각각의 유에스비 포트로 인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1394 씨디롬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device having a 1394 CD-ROM and an application control key, which is applied to each USB port through an overcurrent protection elemen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역전류 방지용 소자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everse current prevention device; 상기 각각의 1394 포트에 캐소드가 접속되는 다이오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1394 씨디롬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1394 CD-ROM and an application control key, wherein the cathode is a diode connected to each of the 1394 por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부는;According to claim 1, The key button unit; 각 제어키마다 조작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1394 씨디롬과 응용 프로그램 제어키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device having a 1394 CD-ROM and an application program control key,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whether or not an operation is performed for each control key.
KR1019980013871A 1998-04-17 1998-04-17 Display device having 1394 cd-rom and application program control key KR1002998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871A KR100299842B1 (en) 1998-04-17 1998-04-17 Display device having 1394 cd-rom and application program control k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871A KR100299842B1 (en) 1998-04-17 1998-04-17 Display device having 1394 cd-rom and application program control ke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543A KR19990080543A (en) 1999-11-15
KR100299842B1 true KR100299842B1 (en) 2001-11-22

Family

ID=37528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871A KR100299842B1 (en) 1998-04-17 1998-04-17 Display device having 1394 cd-rom and application program control ke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9842B1 (e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EC Technical Journal, V.50 N.3,(1997. 3.) 페이지 103-10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543A (en)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5876B2 (en) USB controlling apparatus for data transfer between computers and method for the same
JP3861614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interface terminal
EP0961423B1 (en) Noncontact information transmitter
US20040088449A1 (en) USB unit control method and a USB unit controller
JP2000214964A (en) Data storage device, peripheral device,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 power
EP2063624A1 (en) Advanced telecommunications architecture system power management control method and device
US20050030680A1 (en) Electric outlet for stanby power interruption and power saving, control method thereof, and power saving system
KR19990059547A (en) Device bay device with key input device for device control
KR100299842B1 (en) Display device having 1394 cd-rom and application program control key
TW200830161A (en) Multi-media KVM switch
KR100299841B1 (en) Display device having 1394 cd rom and 1394 repeater board of self power method
KR19990031728A (en) USB image display device to display the connection status of peripheral devices
KR100277666B1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board for serial communication
KR100274426B1 (en) Device bay controller
JP2000298538A (en) Interface device
KR0155288B1 (en) Emergency stopping control device of robot controller
KR100277665B1 (en) Device Bay Controller with Isquare Square Line
KR100296637B1 (en) Display device having integrated board for serial communication
KR19990069469A (en) Device Bay with Remote Controller
KR200351120Y1 (en) Device bay system
KR100479508B1 (en) Apparatus of Controlling to Communicate with Other Boards using One Communication Port
KR20000001494U (en) Device with bus connection / blocking key
KR100281384B1 (en) How to automatically drive a monitor in a USB monitor
KR19990035810U (en) Computer device with wireless mouse
JP2000158747A (en)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