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238B1 - 디스펜서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펜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238B1
KR100299238B1 KR1019970075475A KR19970075475A KR100299238B1 KR 100299238 B1 KR100299238 B1 KR 100299238B1 KR 1019970075475 A KR1019970075475 A KR 1019970075475A KR 19970075475 A KR19970075475 A KR 19970075475A KR 100299238 B1 KR100299238 B1 KR 100299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water
container
pump
corrugat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5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5527A (ko
Inventor
정재훈
김시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75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238B1/ko
Publication of KR19990055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5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펜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장고(10)에서 전달된 물을 용기(50)로 전달하는 파이프로서 길이와 방향이 가변되는 주름파이프(31)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정역방향으로 동작되는 펌프(20)를 채용하여 상기 주름파이프(31)로부터 상기 저장고(10)로 물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주름파이프(31)의 길이와 방향을 변화시켜 다양한 규격의 용기(50)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또 상기 펌프(20)를 역방향으로 동작시켜 상기 저장고(10)를 제품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상기 주름파이프(31)로부터 상기 저장고(10)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편리한 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펜서 장치
본 발명은 디스펜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규격을 가지는 용기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분해작업을 하지 않고 외부에서 저장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디스펜서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펜서장치는 주로 액상의 물체를 저장하였다가 필요시에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디스펜서 장치가 사용되는 예로서, 냉장고가 있다. 즉, 냉장고에서 냉장고 도어를 열지 않고 냉장고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사용자가 외부에서 공급받아 음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펜서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저장고(1)가 케이스(c)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고(1)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공급하는 펌프(3)가 상기 저장고(1)에 연결설치된다. 상기 저장고(1)에서 상기 펌프(3)로 물이 전달되는 유로 상에는 물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걸려주는 여과기(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상기 저장고(1), 펌프(3) 및 여과기는 제품(예를 들면 냉장고)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펌프(3)에는 외부로 물을 토출하는 배출파이프(5)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출파이프(5)는 케이스(c)를 관통하여 용기위치부(6)로 물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용기위치부(6)는 공급되는 물을 전달받는 용기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위치부 내측의 케이스(c)에는 스위치레버(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레버(7)는 상기 펌프(3)를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디스펜서 장치에서 사용자가 용기(8)에 물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8)를 상기 용기위치부(6)에 위치시키면서 용기(8)로 상기 스위치레버(7)를 케이스(c) 쪽으로 밀어준다.
상기 스위치레버(7)가 케이스(c) 쪽으로 밀려 지면, 상기 펌프(3)가 작동된다. 따라서, 펌프(3)에 의해 상기 저장고(1) 내부에 있던 물이 상기 여과기(2)를 통과하여, 도 2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파이프(5)를 통해 용기(8)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2)에 원하는 만큼의 물이 채워져 사용자가 상기 용기(8)를 용기위치부(6)에서 제거하면 상기 스위치레버(7)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펌프(3)의 구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파이프(5)로의 물공급이 정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펜서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기 배출파이프(4)가 상기 케이스(c) 내에 고정 설치되어 있어, 상기 배출파이프(4)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항상 상기 용기위치부(6)의 일정 부분으로만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위치부(6)에 맞는 용기(8)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규격의 용기(8)를 사용하게 되면, 물이 용기(8) 내로 정확하게 공급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리고, 종래의 디스펜서 장치는 상기 저장고(1)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내부에 있는 저장고(1)를 제품으로부터 분리해 내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 여과기(2)를 통해서는 물이 항상 일정 방향(저장고(1)에서 펌프(3)쪽으로)으로만 흐르기 때문에 상기 여과기(2)에 이물질이 끼게 되면 별도의 제거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의 크기나 종류에 관계없이 물을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는 디스펜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장고를 분리하지 않고도 저장을 위한 물을 저장고로 공급할 수 있는 디스펜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펜서 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펜서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펜서 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펜서 장치에서 정상적인 규격의 용기로 물을 배출하는 것을 보인 작동상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펜서 장치에서 다른 규격의 용기로 물을 배출하는 것을 보인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장고 15 : 여과기
20 : 펌프 30 : 배출파이프
31 : 주름파이프 32 : 보강부
33 : 걸림판 35 : 용기위치부
40 : 스위치레버 50 : 용기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저장물을 저장하는 저장고와, 스위치레버와 스위치부의 조작에 의해 각각 정역방향으로 동작되어 저장고에 저장된 저장물을 상기 저장고로부터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로부터 상기 저장고로 저장물을 공급하는 펌프와, 끝부분에 취급과 수납의 용이를 위해 보강부와 걸림판을 구비하고 외부로 돌출되어 길이와 방향이 가변되며 사용되지 않을 시에는 접힌 상태로 내부에 수납되며 주름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펌프의 구동에 의해 저장물을 저장고의 내외부로 전달하는 저장물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다양한 규격을 가지는 용기에 정확하게 저장물을 공급할 수 있고, 물을 저장하는 저장고를 분리하지 않고 저장고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펜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펜서 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인데,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저장물(이하 '물[水]'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이 저장되는 저장고(10)가 제품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저장고(10)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펌핑하여 전달하는 펌프(20)가 상기 저장고(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펌프(20)는 정역방향으로 동작이 가능하여 상기 저장고(10)에서 외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또 반대로 외부로부터 상기 저장고(10)로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고(10)와 펌프(20)의 사이에는 물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여과기(1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파이프(30)가 상기 펌프(2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출파이프(30)의 끝부분에는 주름파이프(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름파이프(31)는 유연한 재질로 되어 있고 접고 펼 수 있게 되어 길이와 방향 조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주름파이프(31)는 평상시에는 상기 케이스(c)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즉, 상기 주름파이프(31)의 외경은 상기 케이스(c)에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 안착부(37)의 내경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c)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름파이프(31)는 유연한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당겨주면 상기 케이스(c)의 외부로 쉽게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주름파이프(31)의 선단부에는 보강부(3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강부(32)의 외주에는 걸림판(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판(33)은 상기 파이프안착부(37)의 외측에 걸려져 상기 주름파이프(31)가 상기 케이스(c)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주름파이프(31)가 위치되는 상기 파이프안착부(37)의 하부에는 상기 주름파이프(31)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받는 용기(50)가 위치되는 용기위치부(35)가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위치부(35) 내측에는 스위치레버(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레버(40)는 용기(50)에 의해 케이스(c) 쪽으로 눌러지면, 상기 펌프(2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저장고(10)의 물이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용기(50)로 공급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펌프(20)를 역방향(상기 용기(50) 쪽에서 상기 저장고(10)로 물을 전달하는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부(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케이스(c)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에는 정상적인 용기(50)를 사용하여 물을 공급받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용기(50)가 용기위치부(35)에 위치되면서 상기 스위치 레버(40)를 눌러주게 된다. 상기 스위치레버(40)가 눌러지면 상기 펌프(20)가 정방향으로 동작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고(10)의 물이 상기 펌프(20)에 의해 펌핑되어 배출파이프(30)와 접혀져 있는 주름파이프(31)를 거쳐 용기(50)로 전달된다.
그리고, 도 5에는 일반적인 용기(50)가 아닌 것을 사용하여 물을 공급받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용기(50)의 입구부 내측으로 상기 주름파이프(31)의 선단부를 위치시켜 저장고(10)의 물을 공급받게 된다. 즉, 상기 주름파이프(31)를 신장시키고 방향을 상기 용기(50)의 입구부 쪽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에도 상기 용기(50)에 의해 상기 스위치레버(40)가 눌러져 상기 펌프(20)가 정방향으로 동작되면서, 상기 저장고(10)의 물이 상기 배출파이프(30)와 주름파이프(31)를 통해 용기(50)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펌프(20)를 역방향으로 동작시켜 외부의 용기(50)로부터 상기 저장고(10)로 물을 공급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 것은 상기 저장고(10)의 내부에 저장될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경우이다. 즉, 용기(50)에 담겨 있는 물을 상기 저장고(10)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에는 상기 주름파이프(31)를 인출시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50)의 내부로 집어 넣은 상태에서 상기 펌프(20)를 역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부를 동작시킨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펌프(20)가 역방향으로 동작되면서 상기 용기(50)에 있는 물이 상기 저장고(10)로 전달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상기 저장고(10)에 저장될 물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저장고(10)를 제품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상기 펌프(20)를 정역방향으로 동작시키게 되면 물이 상기 여과기(15)를 양방향으로 통과하게 되어 일방향으로만 물이 통과하게 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여과기(15)에 끼게 되는 이물질이 줄어들게 되어 상기 여과기(15)를 자주 청소할 필요가 없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펜서 장치는 물을 용기로 배출하는 파이프로 길이와 방향이 가변되는 주름파이프를 채용하였으므로 다양한 용기로 물을 배출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펌프를 양방향으로 동작되는 것을 채용하여 물을 저장하는 저장고를 분리하지 않고도 저장될 물을 저장고로 전달할 수 있게 되는 편리한 점이 있다.

Claims (1)

  1. 저장물을 저장하는 저장고와, 스위치레버와 스위치부의 조작에 의해 각각 정역방향으로 동작되어 저장고에 저장된 저장물을 상기 저장고로부터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로부터 상기 저장고로 저장물을 공급하는 펌프와, 끝부분에 취급과 수납의 용이를 위해 보강부와 걸림판을 구비하고 외부로 돌출되어 길이와 방향이 가변되며 사용되지 않을 시에는 접힌 상태로 내부에 수납되며 주름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펌프의 구동에 의해 저장물을 저장고의 내외부로 전달하는 저장물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장치.
KR1019970075475A 1997-12-27 1997-12-27 디스펜서장치 KR100299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475A KR100299238B1 (ko) 1997-12-27 1997-12-27 디스펜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475A KR100299238B1 (ko) 1997-12-27 1997-12-27 디스펜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527A KR19990055527A (ko) 1999-07-15
KR100299238B1 true KR100299238B1 (ko) 2001-11-22

Family

ID=37528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5475A KR100299238B1 (ko) 1997-12-27 1997-12-27 디스펜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92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136B1 (ko) 2005-07-29 2012-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음료공급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136B1 (ko) 2005-07-29 2012-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음료공급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527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54665B1 (en) Beverage homogenizing and dispensing apparatus
EP0443262B1 (en) Static mixing assembly
US7611033B2 (en) Foam dispenser, housing and storage holder therefor
US5944226A (en) Add-on valve assembly for dual-component cartridge
DK167514B1 (da) Kemikaliebeholder og tilfoerselsindretning for fastgoerelse af denne
EP0469487A1 (en) Apparatus for dissolving an adjusting agent of a dialytic solution
AU712354B2 (en) Liquid container with resealable outlet
WO2010006455A1 (en) Dispensing assembly comprising a cartridge with bag
KR100299238B1 (ko) 디스펜서장치
US5856173A (en) Apparatus for comminuting organic waste and injecting bio-enzymes into the waste
US6712241B1 (en) Flexible-pouch support and dispenser containing said support
US5117857A (en) Transfer and rinse unit
US2732946A (en) Strainer for pabvt sprayers or the like
KR100288921B1 (ko) 디스펜스장치
US6360917B1 (en) Dual-chamber canister for producing diluted ready-to-use-solutions with anti-confusion protection
US6305393B1 (en) Flushing system with pressurized air
JP2002102589A (ja) 洗濯機等の洗剤投入装置
US5957152A (en) Select valve purge
EP0368391A1 (en) Device for the conveyance of pasty material
CA2233141A1 (en) Liquid dispenser
EP0535662B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e nettoyage d&#39;une glace de véhicule automobile
WO2007110263A1 (de) Saugvorrichtung
JPH08317Y2 (ja) 注出栓用コネクター
KR0122751Y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믹싱부 구조
KR20210032481A (ko) 일체형 혼합기 요소를 구비한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