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067B1 - 넘버.세븐 신호 망에서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넘버.세븐 신호 망에서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067B1
KR100299067B1 KR1019990035257A KR19990035257A KR100299067B1 KR 100299067 B1 KR100299067 B1 KR 100299067B1 KR 1019990035257 A KR1019990035257 A KR 1019990035257A KR 19990035257 A KR19990035257 A KR 19990035257A KR 100299067 B1 KR100299067 B1 KR 100299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 point
adjacent
poin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9051A (ko
Inventor
이승희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35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067B1/ko
Publication of KR20010019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0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6Common channel signaling, CCS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신호점에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을 신규로 정의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으로 가기 위해 경유하는 인접 신호점과의 신호 링크 세트에 대한 가용 여부에 따라 상기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의 접근 상태를 관리하는 No.7 신호 망에서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으로 가기 위해 경유하는 인접 신호점과의 신호 링크 세트가 가용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신호 링크 세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가용 상태인 경우에는 신호 링크 세트가 가용 상태인 인접 신호점으로 상기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의 접근 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시험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시험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은 경우에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신호 메시지를 전달해도 좋다는 전달 허용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응답 메시지가 전달 허용 메시지인 경우에는 상기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의 신호 루트를 가용 상태로 표시하고 신호점은 접근 가능 상태로 표시하는 과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넘버.세븐 신호 망에서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ement access status of signaling point in No.7 signaling}
본 발명은 No.7 신호 망에서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정 신호점에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을 신규로 정의할 때 소정 신호점에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의 접근 상태를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No.7 신호 망에서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No.7 신호 망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데, 이러한 No.7 신호 망에서 소정 신호점에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을 신규로 정의하는경우에 종래에는 인접한 신호점을 통한 신호 메시지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신호 루트를 구성한 후, 소정 신호점과 인접 신호점 사이의 신호 링크 세트의 가용 여부에 따라,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으로 가는 신호 루트의 가용 상태를 결정하여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의 접근 상태를 관리하였다.
즉, 신호점 A에서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 D(또는 E, F)를 신규로 정의하는 경우에 종래에는, 신호점 D(또는 E, F)는 신호점 A에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이므로 직접적인 신호 링크의 연결이 없다. 따라서, 신호점 A에서 인접한 신호점인 B 또는 C를 통한 신호 메시지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신호 링크 세트 AB 또는 AC를 경유하는 신호 루트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일 실시예로, 신호 링크 세트 AB 및 AC가 모두 비가용 상태인 경우에는 신호점 A에서 신호점 D(또는 E, F)로 가는 인접 신호점 B, C로의 신호 링크 세트 AB 및 AC가 모두 비가용 상태이므로 신호점 D(또는 E, F)로의 신호 루트가 비가용 상태가 되어, 결과적으로 신호점 D(또는 E, F)의 상태가 접근 불가능 상태로 관리된다.
다른 실시예로, 신호 링크 세트 AB와 AC 중 어느 하나만이라도 가용 상태인 경우에는 신호점 A에서 신호점 D(또는 E, F)로 가는 인접 신호점 B, C 중 가용 상태인 신호 링크 세트가 있는 것이므로 가용인 신호 링크 세트를 경유하는 신호점 D(또는 E, F)로 가는 신호 루트가 가용이 되어, 신호점 D(또는 E, F)의 상태가 접근 가능 상태로 관리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 신호점 A에 인접한 신호점 B(또는 C)와 신호점 D(또는 E, F) 사이의 신호 링크 세트의 가용 여부는 고려하지 않고, 신호점 A와 인접 신호점 B(또는 C) 사이의 신호 링크 세트의 가용 여부만으로 신호점 A에서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 D(또는 E, F)로의 접근 가능 여부를 결정하므로, 실제로 신호점 A에서 신호점 D(또는 E, F)로의 접근이 불가능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신호점 A에서 신호점 D(또는 E, F)로의 접근이 가능한 상태로 관리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신호점 A와 인접한 신호점 B(또는 C) 사이의 신호 링크 세트는 가용 상태이지만, 신호점 A에 인접한 신호점 B(또는 C)와 신호점 A에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 D(또는 E, F) 사이의 신호 링크 세트가 비가용 상태인 경우에는 신호점 A에서 신호점 D(또는 E, F)로의 접근이 실제로 불가능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신호점 A와 인접한 신호점 B(또는 C) 사이의 신호 링크 세트가 가용 상태라는 이유만으로 신호점 A에서 신호점 D(또는 E, F)로의 접근이 가능한 상태로 관리되고 있다.
따라서, 신호점 A에서는 신호점 D(또는 E, F)로의 접근이 가능한 상태로 관리되고 있으므로 착신 신호점 D(또는 E, F)로 향하는 신호 메시지를 인접 신호점 B(또는 C)로 전송하는 데, 이를 수신한 신호점 B(또는 C)는 착신 신호점 D(또는 E, F)와의 신호 링크 세트가 비가용 상태이므로 수신한 메시지를 폐기하고 해당 신호 메시지의 발신점(A)으로 전달 금지 메시지(transfer prohibited;이하, TFP라 한다)를 전달하여 해당 착신점으로 가는 신호 메시지를 더 이상 전송하지 말 것을 요구한다. 여기서, 신호점 B(또는 C)로부터 TFP를 전달받기 전까지 신호점 A가 신호점 B(또는 C)로 전송한 신호 메시지는 신호점 B(또는 C)에서 폐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No.7 신호 망에서 신호점 A에서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 D(또는 E, F)를 신규로 정의하는 경우에, 종래에는 신호점 A에 인접한 신호점 B(또는 C)를 경유하여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 D(또는 E, F)에 접근 가능하도록 신호 망을 신규로 정의하되, 신규로 정의된 신호점 D(또는 E, F)의 접근 상태를 신호점 A와 인접 신호점 B(또는 C) 사이의 신호 링크 세트의 가용 여부만으로 결정하여 신호 망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소정 신호점에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을 신규로 정의할 때, 소정의 신호점과 인접 신호점 사이의 신호 링크 세트의 가용 여부뿐만 아니라 신호 루트 시험 메시지를 이용하여 소정 신호점에 인접한 신호점과 소정 신호점에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 사이의 신호 링크 세트의 가용 여부도 파악함으로써, 소정 신호점에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의 접근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No.7 신호 망에서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No.7 신호 망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No.7 신호 망에서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 신호점에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을 신규로 정의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으로 가기 위해 경유하는 인접 신호점과의 신호 링크 세트에 대한 가용 여부에 따라 상기 인접하지않은 신호점의 접근 상태를 관리하는 넘버.세븐 신호 망에서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으로 가기 위해 경유하는 인접 신호점과의 신호 링크 세트가 가용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신호 링크 세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가용 상태인 경우에는 신호 링크 세트가 가용 상태인 인접 신호점으로 상기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의 접근 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시험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시험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은 경우에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신호 메시지를 전달해도 좋다는 전달 허용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응답 메시지가 전달 허용 메시지인 경우에는 상기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의 신호 루트를 가용 상태로 표시하고 신호점은 접근 가능 상태로 표시하는 과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신호 링크 세트가 모두 비가용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의 신호 루트를 비가용 상태로 표시하고 신호점은 접근 불가 상태로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의 신호 루트를 비가용 상태로 표시하고 신호점은 접근 불가 상태로 표시한 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 인접 신호점으로 상기 시험용 메시지를 전송시키는 과정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응답 메시지가 신호 메시지를 더 이상 전달하지 말라는 전달 금지 메시지인 경우에는, 상기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의 신호 루트를 비가용 상태로 표시하고 신호점은 접근 불가 상태로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No.7 신호 망에서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No.7 신호 망의 구성은 종래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종래의 No.7 신호 망과 동일한 구성을 이용하여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No.7 신호 망에서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신호점 A가 신호점(D)을 신규로 정의하고자 하는 요구를 수신받은 경우에는 신규로 정의하고자 하는 신호점(D)이 이미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S10, S12). 상기한 과정 S12의 판단결과 신규로 정의하고자 하는 신호점(D)이 이미 존재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한 과정 S10으로 진행하여 새로운 신호점 정의 요구를 기다리고, 신규로 정의하고자 하는 신호점(D)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의하고자 하는 신호점(D)이 신호점 A의 인접 신호점인 지를 판단한다(S14). 상기한 과정 S14의 판단결과 정의하고자 하는 신호점(D)이 신호점 A의 인접 신호점인 경우에는 인접 신호점 정의 및 접근 상태 관리 절차를수행하고(S16), 정의하고자 하는 신호점(D)이 신호점 A의 인접 신호점이 아닌 경우에는 신호 망에 신호점 A에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을 정의한 후(S18), 상기한 과정 S18에서 정의한 신호점(D)으로 가기 위해 경유하는 인접 신호점 B, C의 신호 링크 세트 AB, AC가 가용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20). 상기한 과정 S20에서 정의한 신호점(D)으로 가기 위해 경유하는 인접 신호점 B, C의 신호 링크 세트 AB, AC가 모두 비가용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한 과정 S18에서 정의한 신호점(D)의 신호 루트를 비가용 상태로 표시하고 신호점(D)은 접근 불가 상태로 표시하고(S28), 상기한 과정 S10으로 진행하여 새로운 신호점 정의 요구를 기다린다.
한편, 상기한 과정 S18에서 정의한 신호점(D)으로 가기 위해 경유하는 인접 신호점 B, C의 신호 링크 세트 AB, AC 중에서 가용인 신호 링크 세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과정 S18에서 정의한 신호점(D)의 접근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신호 루트 시험 메시지를 신호 링크 세트가 가용인 인접 신호점으로 전송하고(S22), 기설정된 시간 T1 내에 신호 루트 시험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았는 지를 판단한다(S24). 상기한 과정 S24의 판단결과 기설정된 시간 T1 내에 신호 루트 시험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한 과정 S18에서 정의한 신호점(D)의 신호 루트를 비가용 상태로 표시하고 신호점(D)은 접근 불가 상태로 표시하고(S28), 상기한 과정 S10으로 진행하여 새로운 신호점 정의 요구를 기다린다. 상기한 과정 S24에서 기설정된 시간 T1 내에 신호 루트 시험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지 못하는 경우로는 신호 루트 시험 메시지를 전송받은 인접 신호점에 신규로 정의한 신호점과의 신호 루트가 정의되어 있지 않거나,신호 루트 시험 메시지가 전송 중에 유실되거나 하는 경우 등이다.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 T1 내에 신호 루트 시험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신호 루트 시험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 인접 신호점에 신호 루트 시험 메시지를 전송하여 계속적으로 신규로 정의한 신호점의 접근 상태를 체크한다.
한편, 기설정된 시간 T1 내에 신호 루트 시험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은 경우에는 상기한 과정 S24에서 수신받은 응답 메시지가 신호 메시지를 전달해도 좋다는 전달 허용 메시지(transfer allowed;이하, TFA라 한다)인 지를 판단한다(S26). 상기한 과정 S26의 판단결과 상기한 과정 S24에서 수신받은 응답 메시지가 TFA가 아닌 TFP인 경우에는, 인접 신호점과 신호점(D) 사이의 신호 링크 세트가 비가용 상태이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신호점(D)의 신호 루트를 비가용 상태로 표시하고 신호점(D)은 접근 불가 상태로 표시하고(S28), 상기한 과정 S10으로 진행하여 새로운 신호점 정의 요구를 기다린다. 한편, 상기한 과정 S24에서 수신받은 응답 메시지가 TFA인 경우에는 신호점(D)의 신호 루트를 가용 상태로 표시하고 신호점(D)은 접근 가능 상태로 표시하고(S30), 상기한 과정 S10으로 진행하여 새로운 신호점 정의 요구를 기다린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신호점 A에서 신호점 E를 신규로 정의하는 경우에, 신호점 A에서 신호점 E로 가는 신호 루트는 A→B→E와 A→C→E로 구성되고, 신호점 A는 인접 신호점 B, C와 신호 링크 세트 AB, AC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신호 링크 세트 AB, AC가 모두 가용 상태라고 가정했을 때, 신호점 E의 신호 루트 및신호점 접근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신호점 A에서는 인접 신호점 B, C로 신호 루트 시험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 기설정된 시간 T1 내에 인접 신호점 B로부터 신호 루트 시험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고, 인접 신호점 C로부터 신호 루트 시험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지 못한 경우에는, 인접 신호점 B로부터 수신받은 응답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신호점 E의 신호 루트 및 신호점 접근 상태를 파악한다. 즉, 인접 신호점 B에서 수신받은 응답 메시지가 TFA이면 신호점 E의 신호 루트는 가용 상태로 신호점 E는 접근 가능 상태이지만, 인접 신호점 B에서 수신받은 응답 메시지가 TFP이면 신호점 E의 신호 루트는 비가용 상태로 신호점 E는 접근 불가 상태이다.
본 발명의 No.7 신호 망에서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No.7 신호 망에서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에 따르면, 소정 신호점에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을 신규로 정의할 때, 소정의 신호점과 인접 신호점 사이의 신호 링크 세트의 가용 여부뿐만 아니라 신호 루트 시험 메시지를 이용하여 소정 신호점에 인접한 신호점과 소정 신호점에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 사이의 신호 링크 세트의 가용 여부도 파악함으로써,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의 접근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제공하여 No.7 신호 망의 신뢰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소정 신호점에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을 신규로 정의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으로 가기 위해 경유하는 인접 신호점과의 신호 링크 세트에 대한 가용 여부에 따라 상기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의 접근 상태를 관리하는 넘버.세븐 신호 망에서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으로 가기 위해 경유하는 인접 신호점과의 신호 링크 세트가 가용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신호 링크 세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가용 상태인 경우에는 신호 링크 세트가 가용 상태인 인접 신호점으로 상기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의 접근 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시험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시험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은 경우에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신호 메시지를 전달해도 좋다는 전달 허용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응답 메시지가 전달 허용 메시지인 경우에는 상기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의 신호 루트를 가용 상태로 표시하고 신호점은 접근 가능 상태로 표시하는 과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버.세븐 신호 망에서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신호 링크 세트가 모두 비가용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의 신호 루트를 비가용 상태로 표시하고 신호점은 접근 불가 상태로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버.세븐 신호 망에서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의 신호 루트를 비가용 상태로 표시하고 신호점은 접근 불가 상태로 표시한 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 인접 신호점으로 상기 시험용 메시지를 전송시키는 과정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버.세븐 신호 망에서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응답 메시지가 신호 메시지를 더 이상 전달하지 말라는 전달 금지 메시지인 경우에는 상기 인접하지 않은 신호점의 신호 루트를 비가용 상태로 표시하고 신호점은 접근 불가 상태로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버.세븐 신호 망에서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
KR1019990035257A 1999-08-24 1999-08-24 넘버.세븐 신호 망에서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 KR100299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257A KR100299067B1 (ko) 1999-08-24 1999-08-24 넘버.세븐 신호 망에서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257A KR100299067B1 (ko) 1999-08-24 1999-08-24 넘버.세븐 신호 망에서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051A KR20010019051A (ko) 2001-03-15
KR100299067B1 true KR100299067B1 (ko) 2001-11-01

Family

ID=19608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257A KR100299067B1 (ko) 1999-08-24 1999-08-24 넘버.세븐 신호 망에서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90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051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2669B1 (en) Ethernet communication redundancy method
JPS63303537A (ja) リング状通信網におけるアドレステーブルの形成法
KR970705884A (ko) 통신 시스템에서 취급하는 처리를 토대로한 메시지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cess based message handl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JP3002260B2 (ja) 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サーキュラールーティングを防止する方法
US64213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utomatic load balancing and back-up of a multi-users network
KR20010100209A (ko) 넘버 세븐 신호망에서 엠티피 사용자부의 폭주 상태 처리방법
KR100299067B1 (ko) 넘버.세븐 신호 망에서 신호점의 접근 상태 관리 방법
EP1276262A1 (en) Communication network ring with data splitting in the nodes
US5712846A (en) Order wir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or line-switched ring network system
JP2003188905A (ja) サーバ/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におけるtcp/ip通信の多重化方式および方法
US6567401B1 (en) Separate structure of a datapath layer and a physical layer within an access network loaded with a v5.2 protoc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wo boards respectively having the datapath layer and the physical layer
KR100377687B1 (ko) 이종 넘버 세븐 신호망 간의 상호 연동 방법
KR100478807B1 (ko) 혼합 메시지 전달부 신호점을 포함한 신호망 관리방법
US20080133683A1 (en) Method of processing open asynchronous application service event and open web service gateway implementing the same
CN107508762A (zh) 网络流量传输方法及源设备
KR20010039075A (ko) 넘버.7 신호망에서 스크린 메시지 전송 방지 방법
KR100834628B1 (ko) 넘버.7 신호망에서 신호 메시지 처리 방법
KR100476061B1 (ko) 넘버 세븐 신호망에서 엠티피 신호망 데이터 구성 방법
JP2001111528A (ja) 光コネクション設定方法
KR19980038766A (ko) 교환기에 있어서 프로세서간 통신노드 자동복구방법
KR910005611A (ko) 종합 디지탈 네트워크 시스템의 최적 경로 설정방법
KR100224106B1 (ko) 통신시스템의 전송장비를 원격에서 설치하는 방법
KR20010109668A (ko) 넘버.7 네트워크 시스템의 메시지 스크린 방법
KR20040025437A (ko) 넘버 세븐 신호망에서 신호점간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00042762A (ko) 교환기에서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 메시지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