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7355B1 - 점퍼용6도체브이련애자장치 - Google Patents

점퍼용6도체브이련애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7355B1
KR100297355B1 KR1019980044442A KR19980044442A KR100297355B1 KR 100297355 B1 KR100297355 B1 KR 100297355B1 KR 1019980044442 A KR1019980044442 A KR 1019980044442A KR 19980044442 A KR19980044442 A KR 19980044442A KR 100297355 B1 KR100297355 B1 KR 100297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jumper
jumper wire
plat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6776A (ko
Inventor
이형권
손홍관
조연규
정연호
변영일
강형호
금의연
김정부
이동일
Original Assignee
윤문수
한국전기연구원
유금종
주식회사 건화상사
권제기
세명전기공업 (주)
황기연
일진전기공업 주식회사
이종훈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문수, 한국전기연구원, 유금종, 주식회사 건화상사, 권제기, 세명전기공업 (주), 황기연, 일진전기공업 주식회사, 이종훈,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윤문수
Priority to KR1019980044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7355B1/ko
Publication of KR20000026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6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3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퍼용 6도체 V련 애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점퍼용 6도체 V련 애자장치는, 횡진억제용 중량물(10)이 적층수납되는 중량물 지지대(20); 상기 중량물 지지대(20)의 좌우양측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3개씩 구비되어, 철탑장주 양측의 전력선을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의 중앙부를 고정지지하는 점퍼선 고정 클램프(30); 상기 중량물 지지대(20)와 2개의 V자형 애자련(40)을 상호 연결시키는 요크(50); 및 상기 V자형 애자련(40)을 섬락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아킹링(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종래의 I자형 애자련에 비해 횡진특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게 되어 점퍼선과 철탑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 전기적인 섬락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점퍼선에 기계적 피로현상이 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점퍼선을 고정지지하여 점퍼선의 중앙부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철탑이 커지지 않도록 하며, 전선의 자중에 의해 점퍼선 연결부에서 받게되는 인장하중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은 물론, 중량 조정이 자유로운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점퍼용 6도체 브이련 애자장치
본 발명은 점퍼용 6도체 V련 애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 중량물을 필요한 개수만큼 적층수납한 상태로, 점퍼선의 중간부위에서 6도체 점퍼선을 지지하되 애자련을 V자형으로 연결함으로써, 점퍼선 연결부의 인장하중을 줄이고, 바람에 의한 횡진동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점퍼용 6도체 V련 애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력의 대부분은 도시와 교외 등 거의 모든 지역에 걸쳐 포설되어 있는 배전선로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배전선로의 종류에는 땅속에 직접 전력선을 매설하는 지중선로와, 콘크리트 장주 및 절연애자를 이용하여 지상에서 소정 높이 위의 공중에 전력선을 지지설치하는 가공선로 두가지가 있으나, 이중에서 지중선로는 부가적인 보조장치들이 필요치 않아서 설치가 간단하다는 장점은 있지만, 별도의 절연 매개물 없이 땅속에 매설되어 대지와 직접 접촉되므로, 매설되는 전력선 자체적으로 써어지 전압 및 상용주파수 전압에 대한 절연이 가능하도록 제조해야 하기 때문에 고가의 비용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현재는 가공선로가 배전선로의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앞으로도 가공선로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가공선로의 구성은, 실제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력을 수송하기 위한 전력선과, 낙뢰로 인해 전력선에 유기되는 뇌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한 가공지선 그리고 불평형 요인으로 인한 발생전류를 유인하는 중성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공선로를 지지하기 위한 장주는 상기 전력선의 지지방식에 따라, 크게 지지형 장주와 내장형 장주 두가지로 나뉘어 질 수 있는데, 상기 두가지의 장주 중에서 내장형 장주는, 하나의 연속적인 전선으로 되어 있는 상기 가공선로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절단해낸 후, 상기 가공선로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위에 이격위치시키기 위한 철탑 장주의 양측에서, 절연성 애자에 구비된 내장 클램프를 통해 상기 가공선로의 각 절단부를 각각 고정지지하는 한편, 상기 고정지지된 가공선로를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철탑 장주 양측에 고정된 가공선로에 각각 연결되는 점퍼선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전력선이 4도체 방식이냐 6도체 방식이냐에 따라 상기 점퍼선도 4개 또는 6개의 도선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외국의 경우 일부 나라에서 6도체 방식의 송전선로 및 6도체 송전선로용 점퍼 V련 장치가 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현재까지는 6도체 방식의 송전선로가 운전된 바가 없고 현재 일부 건설중에 있다.
이때, 철탑 장주의 양측을 가로지르게 되는 상기 점퍼선의 길이가 너무 긴 경우에는 점퍼선 자체의 자중으로 인해 점퍼선 연결부에 많은 하중이 가해지게 되어, 무리한 인장하중으로 인해 점퍼선이 손상을 받거나 심할 경우 끊어질 수도 있으므로, 별도의 점퍼선 지지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점퍼선을 상기 철탑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점퍼선 지지장치 설치 후 상기 점퍼선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바람이 불 경우, 상기 점퍼선 지지장치가 같은 방향으로 진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바람에 의한 횡진동에 의해 상기 점퍼선이 상기 철탑 장주와 가까워지면 전기적인 섬락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상기 점퍼선과, 점퍼장치 주변의 충전부나, 철탑 장주 자체 등과의 사이에 구비하여할 필요한 최소안전거리가 커지게 되므로, 가능한한 진동량을 적게하는 것이 경제적이고, 이에 따라 상기 점퍼선 지지장치에 횡진억제용 중량물을 부가하여 진동량을 줄이고 횡진특성을 개선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점퍼선을 지지하고 횡진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I련 애자장치를 사용하는 한편, 점퍼선의 횡진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중량물 자체에 점퍼선을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4도체 방식에서 6도체 방식으로의 변화에 의해 점퍼선의 수가 많아질 경우 중량을 가변적으로 증가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점퍼선의 수에 따라 횡진억제용 중량물의 무게를 가변시키면서 점퍼선 연결부의 인장하중을 감소시키고, 바람에 의한 횡진동을 보다 더 억제시킬 수 있는 점퍼용 6도체 V련 애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점퍼용 6도체 V련 애자장치의 정면도이고,
제2도는 측면도이고,
제3a도는 제1도의 중량물 지지대의 정면도이고,
제3b도는 제3a도의 측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중량물 지지대내에 적층지지되는 중량물의 평면도, 측면도 및 일부 절개 정면도이고,
제5a도는 제1도의 요크의 정면도이고,
제5b도 제6a도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횡진억제용 중량물 11 : 손잡이용 홈
12 : 돌출턱 20 : 중량물 지지대
21 : 받침판 22 : 측면판
23 : 상판 24 : 가대
25 : 클램프 결합용 보울트 구멍 30 : 점퍼선 고정 클램프
40 : V자형 애자련 50 : 요크
50a : 상부판 50b : 하부판
51 : 중량물 지지대용 보울트 구멍 52 : V자형 애자련용 보울트 구멍
53 : 아킹링용 보울트 구멍 60 : 아킹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점퍼용 6도체 V련 애자장치는, 다수개의 단위 중량물이 적층지지되는 중량물 지지수단; 상기 중량물 지지수단의 외측에 구비되어, 철탑의 양측에 연결된 전력선을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점퍼선을 고정지지하는 점퍼선 고정수단; 상기 철탑에 일단이 고정지지되되, 상기 중량물 지지수단에 고정지지되는 점퍼선 진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바람직하게는 상호 V자형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한쌍의 애자련; 상기 V자형 애자련의 타측과, 상기 중량물 지지수단 상부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매개수단; 및 상기 연결매개수단에 함께 연결되어 상기 V자형 애자련의 섬락을 방지하는 섬락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점퍼용 6도체 V련 애자장치는, 상기 중량물 지지수단을 철판에 의한 조립식으로 제조함으로써 조립이 간편하고, 필요한 중량에 따라 상기 단위 중량물의 적층개수를 조절할 수 있고, 한쌍의 애자련이 V자형으로 형성연결되어 있어서 횡진억제 특성이 강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점퍼용 6도체 V련 애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퍼용 6도체 V련 애자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측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점퍼용 6도체 V련 애자장치는, 횡진억제용 중량물(10)이 적층수납되는 중량물 지지대(20); 상기 중량물 지지대(20)의 좌우양측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3개씩 구비되어, 철탑장주 양측의 전력선을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의 중앙부를 고정지지하는 점퍼선 고정 클램프(30); 상기 중량물 지지대(20)와 2개의 V자형 애자련(40)을 상호 연결시키는 요크(50); 및 상기 V자형 애자련(40)을 섬락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아킹링(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중량물 지지대(20)의 정면도이고, 도 3b는 측면도로서, 상기 중량물 지지대(20)는, 상기 횡진억제용 중량물(10)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판(21), 상기 받침판(21)의 좌우측 내벽에 각각 착탈자유롭도록 보울트 결합되는 측면판(22); 및 상기 좌우 측면판(22)의 상부 내벽에 역시 착탈자유롭도록 보울트 결합되어, 상기 횡진억제용 중량물(10)의 상면부를 고정시키는 상판(2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b는 상기 중량물 지지대(20)의 측면도로서, 상기 좌우 측면판(22)의 외측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점퍼선 고정 클램프(30)를 결합하기 위한 보울트 구멍(25)이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는 상기 측면판(22)으로부터 소정 거리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별도의 가대(24)를 구비한 후, 이 가대(24)에 역시 2개의 보울트 구명(25)을 형성하여 상기 점퍼선 고정 클램프(30)가 전부 6개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4는 상기 중량물 지지대(20)내에 적층지지되는 단위 횡진억제용 중량물(10)의 평면도와, 측면도 및 일부 절개 정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횡진억제용 중량물(10)의 양측면부에는 조립 작업시 운반이 용이하도록 손잡이 홈(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정면부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중량물 지지대(20)에 적층된 후 요동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돌출턱(12)이 형성되어 있고, 작업 편리성을 감안하여 그 무게는 30kgf로 하였다.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요크(50)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측면도로서, 상기 요크(50)는 상부판(50a) 및 하부판(50b)이 상호 직교하도록 용접연결된 구조이며, 상기 상부판(50a)에는 상기 중량물 지지대(20) 부착연결용 보울트 구멍(51)과, 상기 V자형 애자련(40) 부착연결용 보울트 구멍(52) 및 상기 아킹링(60) 부착연결용 보울트 구멍(53)이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판(50b)은 상기 보울트 구멍(51)을 통해 상기 상부판(50a)에 연결된 상기 중량물 지지대(20)가 바람 등 외부 요인에 의해 점퍼선 방향으로 종진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종진동 억제용이다.
상기 아킹링(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형상의 2부분으로 나누어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보울트 구멍(53)을 통해 상기 요크(50)의 양 측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보울트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점퍼용 6도체 V련 애자장치를 조립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중량물 지지대(20)의 상기 받침판(21)을 지면에 놓은 상태에서 좌우 양쪽 내벽에 접하도록 측면판(22)을 세운 후 보울트 및 너트를 사용하여 고정결합시키고, 상기 각각의 측면판(22)의 외측에 상기 가대(24)를 역시 보울트 및 너트를 사용하여 고정결합시킨 다음, 상기 측면판(22)의 상하부 및 상기 가대(24)에 형성된 상기 보울트 구멍(25)을 통해 상기 점퍼선 고정 클램프(30)를 각각 고정결합시킨다.
이어서, 상기 받침판(21)과 상기 측면판(2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횡진억제용 중량물(10)을 필요한 중량에 해당되는 개수만큼 맨 아래로부터 하나씩 쌓아간다. 상기 횡진억제용 중량물(10)에는 상기 손잡이 홈(11)이 형성되어 있어서 운반작업이 편리하도록 되어 있으며, 필요한 개수만큼 상기 횡진억제용 중량물(10)을 적층하게 되면 상기 상판(23)을 덮고 보울트 및 너트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돌출턱(12)이 상기 두 측면판(22)간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단 다수개 적층된 후에는 바람 등의 외부 요인이 있더라도 상기 두 측면판(22)의 대향방향에 대해 좌우측 수직방향으로 이탈되는 일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횡진억제용 중량물(10)을 적층지지시킨 상기 중량물 지지대(20)를, 상기 요크(50)의 상기 상부판(50a) 하측에 형성된 보울트 구멍(51)을 통해 상호 연결하는 한편, 상기 상부판(50a)의 중앙부 양측에 형성된 보울트 구멍(52)을 통해 일단이 철탑 장주에 고정결합된 상기 V자형 애자련(40)의 타단을 각각 연결한 후, 마지막으로 상기 상부판(50a)의 상부 보울트 구멍(53)에 상기 아킹링(60)을 연결하면 조립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점퍼용 6도체 V련 애자장치는, 송전선로 내장철탑의 양측 애자장치에 연결된 전력선을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점퍼선의 중앙부를 지지하되 상기 한쌍의 애자련(40)이 상호 V자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I자형 애자련에 비해 횡진특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점퍼선과 철탑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 전기적인 섬락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점퍼선에 기계적 피로현상이 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퍼용 6도체 V련 애자장치는, 점퍼선을 고정지지하여 점퍼선의 중앙부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철탑이 커지지 않도록 하며, 전선의 자중에 의해 점퍼선 연결부에서 받게되는 인장하중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은 물론, 상기 횡진억제용 중량물(10)의 적층 개수의 조절을 통해 중량 조정이 자유로운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다수개로 적층되는 단위 중량물(10)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판(21)과, 상기 받침판(21)의 상호 대향하는 두 측벽 내측에 착탈자유롭도록 결합되는 측면판(22)과, 상기 측면판(22)의 상부 내측에 착탈자유롭도록 결합되는 상판(23)으로 구성된 중량물 지지대(20);
    상기 중량물 지지대(20)의 상기 측면판(21) 외면상에 구비되어, 철탑 양측의 전력선을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의 중앙부를 고정지지하는 점퍼선 고정클램프(30);
    상기 중량물 지지대(20)와 그 중량물 지지대(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철탑에 일단이 고정지지된 한쌍의 V자형 애자련(40)을 상호 연결시키는 요크(50); 및
    상기 요크(50)와 결합되어 상기 애자련(40)을 섬락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아킹링(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퍼용 6도체 V련 애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중량물(10)은 운반이 용이하도록 양측면에 손잡이용 홈(1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 양 끝단부는 중앙부에 비해 폭이 더 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용 6도체 V련 애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22)의 외측면 중앙부에는 상기 점퍼선 고정클램프(30)를 상기 측면판(2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시켜 결합하기 위한 가대(24)가 구비되고,
    상기 점퍼선 고정클램프(30)는 상기 측면판(22)의 상부, 하부 및 상기 가대(24)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용 6도체 V련 애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50)는,
    상기 한쌍의 애자련(40), 상기 아킹링(60) 및 상기 중량물 지지대(20)를 각각 보울트 결합하기 위한 보울트 구멍이 형성된 상부판(50a); 및
    상기 상부판(50a)의 하부에 상호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중량물 지지대(20)가 상기 점퍼선 방향으로 종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판(50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용 6도체 V련 애자장치.
KR1019980044442A 1998-10-20 1998-10-20 점퍼용6도체브이련애자장치 KR100297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442A KR100297355B1 (ko) 1998-10-20 1998-10-20 점퍼용6도체브이련애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442A KR100297355B1 (ko) 1998-10-20 1998-10-20 점퍼용6도체브이련애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776A KR20000026776A (ko) 2000-05-15
KR100297355B1 true KR100297355B1 (ko) 2001-10-26

Family

ID=19555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442A KR100297355B1 (ko) 1998-10-20 1998-10-20 점퍼용6도체브이련애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73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525B1 (ko) * 2006-08-04 2007-02-06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송전탑 점퍼선 간격 유지 장치 및 사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776A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514B1 (ko)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KR102185333B1 (ko) 힌지부재를 이용한 함체용 고정구조
US3649740A (en) Pole-top structure for electric distribution lines
KR100297355B1 (ko) 점퍼용6도체브이련애자장치
KR100228417B1 (ko) 가공송전선로용 점퍼장치
KR100677925B1 (ko) 전력선 이탈방지용 라인포스트애자 고정구조
EP4020727A1 (en) Switchgear assembly and damping device for an electric switchgear
CN100353627C (zh) 空中电力线的顶端支杆
US5078347A (en) Energized conductor supports
KR101024898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US6177630B1 (en) Equipment installation concrete pad having integrated equipotential grounding plane and method for installing equipment using same
KR100315499B1 (ko) 내장 애자장치용 균형요크
KR100277535B1 (ko) 내장 애자장치용 쉴드링
KR100315498B1 (ko) 내장애자장치용 6도체 지지요크
KR100213675B1 (ko) 가공배전장주용 전선지지체
KR19990049132A (ko) 점퍼 스페이서
KR200207464Y1 (ko) 특고압 수직 장주용 완금 장치
CN212277841U (zh) 临时用电电缆托架及临时围墙
EP0120228A2 (en) Power receiving equipment
JP2679948B2 (ja) 碍子装置用の電界緩和金具
JP2022024344A (ja) 路上機器の倒壊防止構造
CA1079536A (en) Transmission line structure
KR100815112B1 (ko) 송전가공 선로용 점퍼선 연결 고정장치
WO2023175631A1 (en) Lattice structured telecom tower
RU2267843C1 (ru) Модульная электроустановка и ее приемный узе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