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624B1 - 절수및절전용전기순간온수기 - Google Patents

절수및절전용전기순간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624B1
KR100296624B1 KR1019940010067A KR19940010067A KR100296624B1 KR 100296624 B1 KR100296624 B1 KR 100296624B1 KR 1019940010067 A KR1019940010067 A KR 1019940010067A KR 19940010067 A KR19940010067 A KR 19940010067A KR 100296624 B1 KR100296624 B1 KR 100296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se
terminal
pip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0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316A (ko
Inventor
박연수
Original Assignee
박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수 filed Critical 박연수
Priority to KR1019940010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6624B1/ko
Publication of KR950033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6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8Continuous-flow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10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 F24H1/103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with bare resistance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6Arrangements for water drain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호스에 연결된 샤워헤드를 들거나 당기면 전기순간온수기에 물과 전력이 공급되면서 전열선의 발열로 인해 온수가 나오고, 자동호스에 연결된 샤워헤드를 놓게 되면 물과 전력이 차단되며 전기순간온수기의 모든 기능이 중단되므로 많은 물과 전력의 절약은 물론 사용이 간편한 전기순간온수기를 개발할 목적으로 발명한 것이다. 주요구성은 『오링(15)을 끼운 속뚜껑(14)의 구멍(17)에 장착한 전열선(13)(26)(28) 왼쪽 끝에 연결한 전기도체(18)와 구멍(42)에 장착한 연결캡(20)에 점하는 탄성편(19)을 겉뚜껑(24)에 고정하고, 전열선(28)우측 끝에 연결한 단자(35)와 전열선(13)(26)우측 끝에 연결한 단자(36)에 접속되는 노타리스위치축(46)에 고정된 단자(25)를 겉뚜껑(24)에 고정시킨 탄성편(37)에 전선(41)으로 연결하고, 겉뚜껑(24)의 구멍(47)에 노타리스위치축(46)을 축설한 겉뚜껑(24)과 속뚜껑(14)을 합하여 배수관(2)과 급수관(11)이 있는 물탱크(1)에 결합하고, 오링(6)과 호스(10)가 끼워진 내관(4)을 수직관(3)내부에 장착한 다음 이 내관(4)의 평면(5)에 패킹(7)을 놓고 그 위에서 밸브(8)의 자루(9)를 호스(10)안으로 집어넣은 자동호스(40)의 수직관(3)을 상기 배수관(2)에 결합함을 특정으로 하는 전기순간온수기』로서 샤워헤드(29)들면 온수가 나오고, 샤워헤드(29)를 놓기만 하면 순간온수기의 모든 기능이 중단되므로 사용이 간편하며, 불필요한 물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많은 물과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수 및 절전용 전기순간온수기
본 발명은 자동호스에 연결된 샤워헤드를 들거나 당기면 전기순간온수기에 물과 전력이 공급되면서 전열선의 발열로 인해 온수가 나오고, 자동호스에 연결된 샤워헤드를 놓게 되면 물과 전력이 차단되며 전기순간온수기의 모든 기능이 중단되므로 많은 물과 전력의 절약은 물론 사용이 간편한 전기순간온수기를 개발할 목적으로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호스에 연결된 샤워헤드를 들거나 당기면 전기순간온수기에 물과 전력이 공급되면서 전열선의 발열로 인하여 온수가 나오고, 자동호스에 연결된 샤워헤드를 놓게 되면 물과 전력이 차단되면서 전기순간온수기의 모는 기능이 중단되는 전기순간온수기에 관한 기술이다.
종래의 전기순간온수기는 물이 공급되는 밸브를 연 다음 전력이 공급되는 스위치를 조작하면서 전류가 흐르게 하면 전역선의 발열로 온수가 나오고, 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밸브를 의도적으로 닫아야 하는 불편과 함께, 밸브를 닫지 않게 되면 물이 계속나오면서 많은 물이 낭비되었으며, 스위치도 의도적으로 꺼야 하는 불편과 함께 제 때 끄지 못하면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많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개선키 위하여 아무 조작 없이 샤워헤드를 들면 물이 나오며, 수압의 하강과 함께 물의 흐름에 의하여 전력이 공급되면서 전열선의 발열로 인해 온수가 나오게 하며, 온수를 사용한 다음 아무 조작 없이 샤워헤드를 놓게 되면 물이 멎게 되며, 그 순간 수압의 상승과 함께 물의 흐름이 중단되기 때문에 전력이 차단되면서 전기순간온수기의 모든 기능이 중단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고, 많은 물과 전력이 절약되는 전기순간온수기를 개발할 목적으로 발명한 것인데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a)는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제1도(b)는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
제1도(c)는 본 발명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2도(a)는 본 발명 전체사시도의 AA선 종단면도
제2도(b)는 본 발명 전체사서도의 BB선 횡단면도
제3도(a)는 본 발명의 작용 원리도
제1도(a)(b) 및 제2도(a)(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열 전도가 잘 되지 않는 재질로 만든 물탱크(1)의 바닥에 천공된 구멍의 나사에 배수관(2)과 급수관(11)을 결합한 다음 오링(6)과 호스(10)를 끼운 내관(4)을 수직관(3)의 하단내벽에 밀착되도록 장착하고, 내관(4)의 평면(5) 위에 패킹(7)을 끼운 다음 그 위에서 밸브(8)의 자루(9)를 배수구(33)에 집어넣은 자루(9)가 호스(10) 안에 이르도록 하며, 밸브(7)가 이탈되지 않도록 탄성 링으로 만든 탄성마개(30)를 끼운 자동호스(40)를 만든다.
그 다음 이 자동호스(40)의 수직관(3) 상부의 암나사를 배수관(2)의 숫나사에 결합하고, 호스(10)끝에 샤워헤드(29)를 연결한다.
배수관(2)의 상단에는 온수(溫水)를 유입시키는 유입관(12)이 연장되어 있으며, 유입관(12) 내부에는 유동판(23)과 연질캡(20)을 연결하는 끈(22)이 내장되어 있고, 급수관(11)에는 수돗물을 공급하는 호스(45)나 수도관을 연결한다.
제2도(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링(15)을 끼울 요홈(39)이 있는 상자형 속뚜껑(14) 바닥의 큰 구멍(42)에는 수압에 의해 민감하게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주름잡힌 연질캡(20)을 장착하고 이 연질캡(20)을 고정시킬 관(21)을 연질캡(20)의 속에 결합하여 물이 새거나 연질캡(20)이 해탈되지 않도록 하며, 이 연질캡(20)의 내부 중앙에 연결된 끈(22)을 유동판(23)에 연결하고, 이 유동판(23)을 제2도(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입관(12)에 집어넣는다.
속뚜껑(14)의 바닥에 천공된 6개의 구명(17)에 전력을 공급하면 고온으로 발열되는 전열선(13)(26)(28)의 양단을 각각 장착하여 물이 새거나 전열선(13)(26)(28)이 해탈되지 않게 고정한다.
이와 같이 연질캡(20)과 3개의 전열선(13)(26)(28)이 고정된 속뚜껑(14)의 바닥 위로 돌출된 3개의 전열선(13)(26)(28)의 좌측에 전기 도체(18)를 연결하고, 이 전열선(13)(26)(28)의 우측에는 제1도(b)(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타리스위치축(46)에 손잡이(27)를 끼우고 노타리스위치축(46)에 고정된 단자(25)에는 전선(41)을 통해 전기도체로 된 탄성편(37)에 연결하며, 노타리스위치축(46)은 겉뚜껑(24)의 앞뒤에 천공된 구멍(47)에 장착되어 앞뒤로 드나들며, 좌우로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노타리스위치축(46)의 단자(25)를 뒤로 밀어놓고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단자(25)가 전열선(28)에 연결된 단자(35)에 접속되고, 노타리스위치축(46)을 뒤로 밀어놓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단자(25)가 단자(35)에서 차단되는 전기순간오수기의 회로를 구성한다.
노타리스위치축(46)의 단자(25)를 앞으로 끌어당긴 다음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단자(25)가 두 전열선(26)(13)에 연결된 단자(36)에 접속되며, 노타리스위치축(46)의 단자(25)를 앞으로 끌어당긴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단자(25)가 단자(36)에서 단절되는 전기순간오수기의 회로를 구성한다.
노타리스위치축(46)의 단자(25)를 중앙에 놓고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단자(25)가 동시에 두 단자(35)(36)에 접속되고, 노타리스위치축(46)의 단자(25)를 중앙에 놓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단자(25)가 두 단자(35)(36)에서 동시에 단절되도록 구성한다.
노타리스위치축(46)의 단자(25)를 중앙에 놓았을 때 단자(25)가 두 단자(35)(36)에 접속되거나 단절될 만치 단자(25)의 폭이 넓어야 한다.
노타리스위치축(46)의 단자(25)를 돌려가면서 탄성편(19), 전기도체(18), 전열선(13)(26)(28), 단자(35), 단자(36), 단자(25), 전선(41), 탄성편(37)으로 구성된 전기회로를 노타리스위치축(46)의 단자(25)로 접속하거나 단절시키도록 구성하되 이 전기회로에서 전열선(13)(26)(28) 및 단자(35)(36)는 병렬연결 한다.
속뚜껑(14)의 외벽 요홈(39)에 오링(15)을 끼운 다음 이 속뚜껑(14)이 물탱크(1)의 내벽면에 형성된 제한턱(16)에 접할 때까지 밀어 넣고 고정시켜서 오링(15)에 의해 물이 새지 않게 한다.
그 다음 도체로 된 탄성편(19)(37)의 상단이 겉뚜껑(24) 밖으로 나오게 하고 속뚜껑(14)의 위에 겉뚜껑(24)을 끼워서 고정시킨 다음 볼트(38)를 결합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원리는 제3도(a)에서 보는 바와같이 탄성편(37)(19)에 전원을 연결한 다음 노타리스위치축(46)의 단자(25)를 중앙에 놓고, 손잡이(27)를 시계방향으로 돌려서 두단자(35)(36)에 전력을 공급하면 전열선(13)(26)(28) 3개가 전부 가열되므로 가장 높은 온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물탱크(1)의 높은 수압으로 인해 연질캡(20)이 팽창되면서 탄성편(19)을 밀어 올리고 있기 때문에 전기도체(18)와 탄성편(19)이 단절되어 전류가 흐를 수 없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호스(10)에 연결된 샤워헤드(29)를 위로 들거나 ⇒표 방향으로 당기면 수직상태였던 호스(10)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밸브(8)의 자루(9)가 밀리면서 밸브(8)가 알리며 물이 나오게 된다.
밸브(8)가 열리면서 나온 물이 배수공(33)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그 유속(流速)에 의하여 유동판(23)과 끈(22)이 연질캡(20)을 끌어당기며 동시에 물탱크(1)의 수압이 하강하면서 탄성편(19)을 밀어 올리던 연질캡(20)이 수축되기 때문에 탄성편(19)이 그 탄성에 의해 전기도체(18)에 접속되면서 전열선(13)(26)(28)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순간 전열선(13)(26)(28)의 발열로 인하여 물이 가열되며 가열된 물은 대류현상에 의해 위로 올라가면서 유입관(12) 상부로 모인 온수가 호스(10)를 통해 샤워헤드(29)로 나오게 된다.
샤워헤드(29)로 온수가 나온 물 만치 수돗물이 급수관(11)을 통해 계속 공급되고 이렇게 공급된 수돗물은 전열선(13)(26)(28)에 의해 계속 가열되기 때문에 샤워헤드(29)에서는 온수가 계속 나온다.
이와 같이 탄성편(37)(19)에 전원을 연결하고, 노타리스위치축(46)의 단자(25)가 단자(35)(36)에 연결되면 전력이 공급되면서 전열선(13)(26)(28) 3개가 모두 가열되므로 물이 고온으로 가열된다.
샤워헤드(29)를 놓게 되면 호스(10)가 원상 복귀되며 밸브(8)의 자루(9)도 원상복귀 되기 때문에 밸브(8)가 닫히면 물이 멎는다.
물이 멎게 되면 물탱크(1)에 수압이 높아지면서 연질캡(20)이 팽창되며 탄성편(19)을 밀어 올리기 때문에 탄성편(19)과 전기도체(18)가 분리되면서 전류가 흐를 수 없게 차단된다.
전력이 차단되면 전열선(13)(26)(28)이 가열되지 않기 때문에 물은 가열되지 않은 채 물탱크(1)에 남게 된다.
제일 낮은 온도로 물을 가열하고자 힐 때는 탄성편(37)(19)에 전원을 연결하고, 노타리스위치축(46)의 단자(25)를 맨 뒤로 밀어 놓고 손잡이(27)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단자(25)가 단자(35)에 접속되면서 전력이 전열선(28)에만 공급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 같은 상태에서는 물탱크(1)의 높은 수압으로 인해 연질캡(20)이 팽창되면서 탄성편(19)을 밀어 올리기 때문에 전기도체(18)와 탄성편(19)이 단절되어 전류가 흐를 수 없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호스(10)에 연결된 샤워헤드(29)를 위로 들거나 ⇒표 방향으로 당기면 호스(10)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밸브(8)의 자루(9)가 밀리면서 밸브(8)가 열리며 물이 나오게 된다.
밸브(8)가 열리면서 나온 물이 배수공(33)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물탱크(1)의 수압이 하강하면서 탄성편(19)을 밀어 올리던 연질캡(20)이 수축된다.
그렇기 때문에 탄성편(19)이 그 탄성에 의해 전기도체(18)에 접속되면서 3개의 전열선(13)(26)(28) 중에 전열선(28) 한 개에만 전류가 흐르면서 발열되기 때문에 물이 가장 저온으로 가열된다.
가열된 물은 대류현상에 의해 위로 올라가면서 유입관(12) 상부로 모이는 온수가 호스(10)를 통해 샤워헤드(29)로 나오게 된다.
샤워헤드(29)로 온수가 나온 만치 수돗물어 급수관(11)을 통해 계속 공급되고 이렇게 공급된 물은 전열선(28)에 의해 계속 가열되기 때문에 샤워헤드(29)에서는 저온의 온수가 계속 나온다.
샤워헤드(29)를 놓게 되면 호스(10)가 원상 복귀되며 밸브(8)의 자루(9)도 원상복귀 되기 때문에 밸브(8)가 닫히며 물이 멎는다.
물이 멎게 되면 물탱크(1)에 수압이 높아지면서 연질캡(20)이 팽창되며 탄성편(19)을 밀어 올리기 때문에 탄성편(19)과 전기도체(18)가 분리되면서 전력이 차단된다.
전력이 차던되면 전열선(28)이 가열되지 않기 때문에 물은 가열되지 않은 채 물탱크(1)에 남게 된다.
중간정도의 온도로 물을 가열하고자 할 때는 탄성편(37)(19)에 전원을 연결하고, 노타리스위치축(46)의 단자(25)를 맨 앞으로 끌어당긴 다음 손잡이(27)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단자(25)가 단자(36)에 접속되면서 전력이 두 개의 전열선(13)(26)에 공급될 수 있으므로 수온이 중간정도로 가열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 같은 상태에서는 물탱크(1)의 높은 수압으로 인해 연질캡(20)이 팽창되면서 탄성편(19)을 밀어 올리기 때문에 전기도체(18)와 탄성편(19)이 단절되어 전류가 흐를 수 없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호스(10)에 연결된 샤워헤드(29)를 위로 돌거나 ⇒표 방향으로 당기면 호스(10)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밸브(8)의 자루(9)가 밀리면서 밸브(8)가 열리며 물이 나오게 된다.
밸브(8)가 열리면서 나온 물이 배수공(33)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물탱크(1)의 수압이 하강하면서 탄성편(19)을 밀어 올리던 연질캡(20)이 수축된다.
그렇기 때문에 탄성편(19)이 그 탄성에 의해 전기도체(18)에 접속되면서 3개의 전열선(13)(26)(28) 중에 전열선(13)(26) 두 개에만 전류가 흐르면서 발열되기 때문에 물이 중간정도로 가열된다.
가열된 물은 대류현상에 의해 위로 올라가면서 유입관(12) 상부로 모이는 온수가 호스(10)를 통해 샤워헤드(29)로 나오게 된다.
샤워헤드(29)로 온수가 나온 물 만치 찬물이 급수관(11)을 통해 계속 공급되고 이렇게 공급된 물은 전열선(13)(26)에 의해 계속 가열되므로 샤워헤드(29)에서는 중간정도의 온수가 계속 나온다.
샤워헤드(29)를 놓게 되면 호스(10)가 원상 복귀되며 밸브(8)의 자루(9)도 원상복귀 되기 때문에 밸브(8)가 닫히면 물이 멎는다.
물이 멎게 되면 물탱크(1)에 수압이 높아지면서 연질캡(20)이 팽창되며 탄성편(19)을 밀어 올리기 때문에 탄성편(19)과 전기도체(18)가 분리되면서 전력이 차단된다.
전력이 차단되면 전열선(13)(26)이 가열되지 않기 때문에 물은 가열되지 않은 채 물탱크(1)에 남게 된다.
수온을 조절하는 또 다른 방법은 노타리스위치축(46)의 단자(25)를 단자(35)에 접속시키면 저온, 단자(36)에 접속시키면 중온, 단자(35)(36)에 접속시키면 고온이 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샤워헤드(29)를 조금 들면 물이 조금 나오기 때문에 수온이 높아지고, 샤워헤드(29)를 많이 들면 물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수온은 낮아진다.
따라서 저온, 중온, 고온의 상태로 전력을 공급하면서도 샤워헤드(29)로 많은 물이 나오게 하면 저온이 되고, 적은 물이 나오게하면 고온이 되기 때문에 수온을 조정하는 방법이 다양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다른 조작 없이 자동호스(40)의 호스(10)에 연결된 샤워헤드(29)들면 온수가 나오고, 샤워헤드(29)를 놓기만 하면 순간온수기의 모든 기능이 중단되므로 사용이 간편하며, 불필요한 물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많은 물과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2)

  1. 오링(15)을 끼운 속뚜껑(14)의 구멍(17)에 장착한 전열선(13)(26)(28) 왼쪽 끝에 연결한 전기도체(18)와 구멍(42)에 장착한 연질캡(20)에 접하는 탄성편(19)을 겉뚜껑(24)에 고정하고, 전열선(28)우측 끝에 연결한 단자(35)와 전열선(13)(26)우측 끝에 연결한 단자(36)에 접속되는 노타리스위치축(46)에 고정된 단자(25)를 겉뚜껑(24)에 고정시킨 탄성편(37)에 전선(41)으로 연결하고, 겉뚜껑(24)의 구멍(47)에 노타리스위치축(46)을 축설한 겉뚜껑(24)과 속뚜껑(14)을 합하여 배수관(2)과 급수관(11)이 있는 물탱크(1)에 결합하고, 오링(6)과 호스(10)가 끼워진 내관(4)을 수직관(3)내부에 장착한 다음 이 내관(4)의 평면(5)에 패킹(7)을 놓고 그 위에서 밸브(8)의 자루(9)를 호스(10)안으로 집어넣은 자동호스(40)의 수직관(3)을 상기 배수관(2)에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순간온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배수관(2) 상단이 연장된 유입관(12)의 내부 있는 유동판(23)과 연질캡(20)을 끈(22)으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순간온수기
KR1019940010067A 1994-05-06 1994-05-06 절수및절전용전기순간온수기 KR100296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0067A KR100296624B1 (ko) 1994-05-06 1994-05-06 절수및절전용전기순간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0067A KR100296624B1 (ko) 1994-05-06 1994-05-06 절수및절전용전기순간온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316A KR950033316A (ko) 1995-12-22
KR100296624B1 true KR100296624B1 (ko) 2001-10-24

Family

ID=37528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0067A KR100296624B1 (ko) 1994-05-06 1994-05-06 절수및절전용전기순간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66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316A (ko) 199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172311B (no) Varmtvannsbereder
GB2338056B (en) Fluid circuit arrangement
WO2017079989A1 (zh) 可加热的流体袋
JP2940680B2 (ja) アイロン装置
KR100296624B1 (ko) 절수및절전용전기순간온수기
ES2166586T3 (es) Caldera con dispositivo para extraer agua caliente.
CN107280466B (zh) 一种电热水壶定量排水机构
CN104947403B (zh) 一种安全电熨斗
CN113397382A (zh) 电子式电水壶温控器
KR940009069B1 (ko) 순간온수 가열장치
US4484062A (en) Heater structure
JPS61114029A (ja) 給湯装置
CN215535546U (zh) 一种带有吸水布的热水袋发热体
CN2300846Y (zh) 全自动磁化冷热水器
GB2289118A (en) Mixing battery for sanitary purposes
CN209819893U (zh) 一种恒温器以及智能热水器
CN215334789U (zh) 一种安全型电热水龙头
CN214459041U (zh) 一种自动排出蒸汽的电烫斗
CN211039799U (zh) 靠水流来控制电路通断的结构
CN200991346Y (zh) 一种自动防爆的电暖袋
CN216007147U (zh) 一种新型水龙头保护器
KR970002919B1 (ko) 보일러의 삼방밸브(3-way valve) 구조
KR960003116Y1 (ko) 전기순간 탕비기
CN2162617Y (zh) 自动电热水器
KR200157447Y1 (ko) 온수공급가능한 급수호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