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189B1 - 휴대용무선기기안테나및그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무선기기안테나및그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189B1
KR100296189B1 KR1019980058549A KR19980058549A KR100296189B1 KR 100296189 B1 KR100296189 B1 KR 100296189B1 KR 1019980058549 A KR1019980058549 A KR 1019980058549A KR 19980058549 A KR19980058549 A KR 19980058549A KR 100296189 B1 KR100296189 B1 KR 100296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graph
present
rod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8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2384A (ko
Inventor
장응순
Original Assignee
장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19980058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6189B1/ko
Application filed by 장응순 filed Critical 장응순
Priority to AU40625/99A priority patent/AU764363B2/en
Priority to NZ511600A priority patent/NZ511600A/en
Priority to BR9917099-0A priority patent/BR9917099A/pt
Priority to CN99814868A priority patent/CN1331850A/zh
Priority to US09/868,204 priority patent/US6515637B1/en
Priority to IL14391799A priority patent/IL143917A0/xx
Priority to PCT/KR1999/000248 priority patent/WO2000039882A1/en
Priority to EP99924037A priority patent/EP1145369A1/en
Priority to IDW00200101344A priority patent/ID29859A/id
Priority to JP2000591690A priority patent/JP2003505899A/ja
Priority to ARP990104731A priority patent/AR023664A1/es
Publication of KR20000042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2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1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62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 broadside radiating helical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with folded element or elements,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operating wavelength
    • H01Q9/27Spiral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휴대용 무선기기에서 헬리컬(Helical) 안테나의 스프링 구조를 개선하여 송신 및 수신하는 고주파의 밴드 폭을 넓히고, 안테나 조립공정을 개선한다.
헬리킬 안테나 및 로드 안테나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무선기가 안테나에서 헬리컬 안테나의 스프링을, 소정 직경의 와이어를 압연한 소정 폭의 판상와이어를 권선하여 형성하고, 그 판상의 와이어를 권선한 스프링의 하단부에 메탈로드의 상단부를 삽입 및 납땜하여 상호간에 고정하고, 상호간에 고정된 스프링 및 메탈 로드에, 중앙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파이프를 인서트 사출하며, 그 파이프의 보빈을 삽입하여 조립한 후 메탈 로드의 하부에 "+" 컷팅부를 삽입하고 상기 중앙부의 공간부에 로드 안테나를 삽입하여 조립한다.
[색인어]
무선기기, 안테나, 헬리컬, 판상와이어

Description

휴대용 무선기기 안테나 및 그의 제조방법{Portable wireless machinery antenna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기기에 설치되어 소정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휴대용 무선기기 안테나와 그 안테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무선기기에서 헬리컬(Helical) 안테나의 구조를 개선하여 송신 및 수신하는 고주파 신호의 밴드 폭(Band Width)을 향상시키고, 안테나 조립공정을 개선한 휴대용 무선기기 안테나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기기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안테나를 사용하고 있다. 즉, 무선 기기들은 변조부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안테나에 인가하여 공중으로 송신하고, 또한 공중을 통해 전송되는 소정의 고주파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있다.
이러한 안테나의 송신 특성 및 수신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송신 및 수신할 주파수에 따라 안테나의 임피던스와 송수신기의 임피던스와 송수신기의 임피던스를 상호간에 매칭시키고, 불필요한 방사를 방지하여 손실이 적도록 해야 된다.
그리고 휴대용 무선기기에 사용되는 안테나는 구조적으로 헬리컬 안테나 및 로드 안테나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서 로드 안테나를 수납할 경우에 헬리컬 안테나가 동작하고, 로드 안테나를 신장시킬 경우에는 로드 안테나 및 헬리컬 안테나가 병렬 결합되는 것으로 안테나의 동작은 대부분 로드 안테나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안테나에서 헬리컬 안테나는 와이어를 권선한 스프링을 내장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선기기에 설치되는 안테나를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부호 10은 무선기기의 본체이고, 부호 20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소정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안테나부이다.
상기 안테나부(20)는, 안테나를 신장 및/또는 수납시킬 경우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21)와, 절연부(22)와, 상기 무선기기의 본체(10)에 결합되어 안테나를 수납시킬 경우에 동작되는 스프링(25)이 구비된 헬리컬 안테나(23)와, 안테나를 신장시킬 경우에 상기 안테나(23)와 병렬 결합되어 로드 안테나 역할을 하는 Ni-Ti 와이어(24)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안테나에서 헬리컬 안테나(23)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컬 안테나(23)는 내부에,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 단면의 와이어를 권선한 스프링(25)과, 상기 스프링(25)과 결합되는 메탈 로드(26)가 구비되어, 스프링(25)의 하단부가 메탈 로드(26)에 1턴(Turn) 정도 감겨 오물림 작업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안테나는 소정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를 송신할 경우에 발생되는 반사손실이 약 7.5dB로 안테나에서 커버할 수 있는 밴드의 폭이 좁으므로 안테나에 사람의 손이 닿거나, 전화 통화시 주파수의 이동이 일어날 경우에 통화품질이 영향을 받게 되고, 안테나의 임피던스가 약 23.0Ω으로 셋(Set)의 기준 스펙인 50Ω에 미치지 못하여 임피던스가 미스매칭되기 쉬우며, 발생되는 정재파비가 약 2.3으로 기준치인 1보다 커서 전력 반사가 약 15.5% 높으르모 안테나에서의 전력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헬리컬 안테나에 내장되는 스프링의 구조를 개선하여 반사손실이 낮고, 안테나에서 커버할 수 있는 밴드 폭이 넓어 사람의 손이 안테나에 닿거나 또는 전화통화시 주파수의 이동이 일어나더라도 통화품질에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는 휴대용 무선기기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무선기기에 설치되는 안테나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안테나에서 헬리컬 안테나를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블 분해하여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확대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스프링의 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안테나의 조립 공정을 보인 도면이며,
도 7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안테나 및 종래의 안테나를 무선기기의 본체에 장착하지 않고, 안테나 자체에서 헬리컬 안테나의 특성을 측정한 제 1 측정 결과의 그래프를 보인 것으로
도 7 내지 도 9는 반사손실을 측정한 특성 그래프, 임피던스를 측정한 스미스 선도 그래프 및 정재파비를 측정한 특성 그래프이며,
도 10은 900MHz 고주파의 방사패턴을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11 내지 도 15는 무선기기 본체에 본 발명 및 종래의 안테나를 설치하고 로드 안테나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그 본체를 손으로 잡지 않고 바닥에서 약 30cm 높이에 수직으로 위치시킨 후 측정한 제 2 측정 결과의 그래프를 보인 것으로
도 11 내지 도 13은 반사손실을 측정한 특성 그래프, 임피던스를 측정한 스미스 선도 그래프 정재파비를 측정한 특성 그래프이며,
도 14 및 도 15는 836MHz 및 881MHz 고주파의 방사 패턴을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16 내지 도 20은 무선기기 본체에 본 발명 및 종래의 안테나를 설치하고, 로드 안테나를 인출한 상태에서 그 본체를 손으로 잡지 않고 바닥에서 약 30cm 높이에 수직으로 위치시킨 후 측정한 제 3 측정 결과의 그래프를 보인 것으로
도 16 내지 도 18은 반사손실을 측정한 특성 그래프, 임피던스를 측정한 스미스 선도 그래프 및 정재파비를 측정한 특성 그래프이며,
도 19 및 도 20은 836MHz 및 881MHz 고주파의 방사 패턴을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21 내지 도 25는 제 4 측정 결과를 보인 그래프로서
도 21 내지 도 3은 무선기기의 본체에 안테나를 장착하고, 로드 안테나를 삽입한 후 무선기기의 본체를 인체의 오른쪽 귀에 대고 반사손실을 측정한 특성 그래프, 임피던스를 측정한 스미스 선도 그래프 및 정재파비를 측정한 특성 그래프이고,
도 24 및 도 25는 무선기기의 본체에 안테나를 장착하고, 로드 안테나를 삽입한 후 무선기기의 본체를 인체의 머리 부분과 동일하게 형성한 측정용 마네킹의 오른쪽 귀에 대고 836MHz 및 881MHz 고주파의 방사 패턴을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26 내지 도 30은 제 5 측정 결과를 보인 그래프로서
도 26 내지 도 28은 무선기기의 본체에 안테나를 장착하고, 로드 안테나를 인출한 후 무선기기의 본체를 인체의 오른쪽 귀에 대고 반사손실을 측정한 특성 그래프, 임피던스를 측정한 스미스 선도 그래프 및 정재파비를 측정한 특성 그래프이고,
도 29 및 도 30은 무선기기의 본체에 안테나를 장착하고, 로드 안테나를 인출한 후 무선기기의 본체를 인체의 머리 부분과 동일하게 형성한 측정용 마네킹의 오른쪽 귀에 대고 836MHz 및 881MHz 고주파의 방사 패턴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톱 31:보빈
32:파이프 33:스프링
34:메탈 로드 35:"+"컷팅
36:Ni-Ti 와이어 37:스토퍼
38:무선기기의 본체
이허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 휴대용 무선기기 안테나에 따르면, 와이어를 권선한 스프링이 구비되는 헬리컬 안테나 및 소정 길이의 와이어가 구비되는 로드 안테나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로드 안테나가 수납될 경우에 헬리컬 안테나가 동작되고 로드 안테나가 인출될 경우에 그 로드 안테나와 상기 헬리컬 안테나가 동작되고 로드 안테나가 인출될 경우에 그 로드 안테나와 상기 헬리컬 안테나가 병렬 연결되어 동작되는 휴대용 무선기기 안테나에서 헬리컬 안테나의 스프링은, 소정 직경의 와이어를 압연하여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상의 와이어로 형성하고, 그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상의 와이어를 권선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용 무선기기 안테나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소정 직경의 와이어를 압연하여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상의 와이어를 형성하고 그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상의 와이어를 소정의 간격 및 회수만큼 권선하여 스프링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 상기 제 1 단계에서 형성한 스프링의 하단부에 메탈 로드의 상단부를 삽입 및 납땜하여 상호간에 고정하는 제 2 단계 ;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호간에 고정된 스프링 및 메탈 로드에, 중앙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파이프를 인서트 사출하고 그 파이프의 보빈을 삽입하여 조립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메탈 로드의 하부에 "+" 컷팅부를 삽입하고 상기 중앙부의 공간부에 로드 안테나를 삽입하여 조립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휴대용 무선기기 안테나 및 그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도 3 내지 도 30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안테나를 분해하여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손잡이 및 절연부로 이루어지는 톱(30)이 위치되고, 이 톱(30)의 하부에 보빈(31)이 위치되며, 그 아래에 인서트 사출로 된 파이프(32)가 위치되고, 그 아래에 φ0.7의 직경을 가지는 와이어를 압연하여 소정의 폭을 가지는 와이어를 권선하여 형성한 스프링(33)이 메탈 로드(34)에 고정되어 위치되며, 상기 메탈 로드(34)의 아래에 "+"컷팅(35)가 위치되고, Ni-Ti 와이어(36)를 통하여 스토퍼(37)가 위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확대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8)에 로드 안테나 부분과 헬리컬 안테나 부분이 고정되는데, 톱(30), Ni-Ti와이어(36)및 스토퍼(37)로 로드 안테나 부분이 형성되고, 파이프(32)의 내부에 내장되는 보빈(31), 스프링(33), 메탈로드(34) 및 "+"컷팅(35)로 헬리컬 안테나 부분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에서 헬리컬 안테나의 메탈 로드(34)에 고정되는 스프링(33)의 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프링(33)은 예를 들면, φ0.7의 직경을 가지는 와이어를 압연하여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하고, 그 소정의 폭을 가지는 와이어를 소정의 회수 권선하여 스프링(33)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조립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A)와 같이 압연하여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상의 와이어를 소정의 간격 및 회수만큼 권선하여 형성한 스프링(33)의 하단부를 약 1회 정도 메탈 로드(34)의 상단부에 감고, (B)와 같이 스프링(33) 및 메탈 로드(34)를 상호간에 고정한다.
다음에는 상기 상호간에 고정한 스프링(33) 및 메탈 로드(34)에 (C)와 같이 파이프(32)를 인서트 사출하고, (D)와 같이 상기 파이프(32)의 상부부터 내부에 보빈(31)을 삽입하여 헬리컬 안테나 부분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헬리컬 안테나의 하부에서 (E)와 같이 "+"컷팅(35)을 삽입 고정한 후 (F)와 같이 헬러컬 안테나의 중앙 공간부에 로드 안테나의 톱(30) 및 Ni-Ti와이어(36)의 하단부에 스토퍼(37)를 고정하여 안테나부(20)의 제조를 완성한다.
도 7내지 도 10은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안테나 및 종래의 안테나를 무선기기의 본체(10)에 장착하지 않고, 안테나 자체에서 헬리컬 안테나의 특성을 측정한 제 1 측정 결과의 그래프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도 7은 반사손실을 측정한 특성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반사손실의 특성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반사손실의 특성 그래프이며, 도 8은 임피던스를 측정한 스미드 선도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스미스 선도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스미스 선도 그래프이며, 도 9는 정재파비를 측정한 특성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정재파비 특성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정재파비 특성 그래프이며, 도 10은 900MHz 고주파의 방사패턴을 측정한 그래프로서 3m거리에서 네트웨크상 전송비율을 측정한 것으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상기 도 7 내지 도 9의 그래프에서 포인트(▽)의 위치(1)는 900MHz의 고주파 신호에 대하여 측정한 값을 보인 것이다.
상기 제 1 측정 결과 도 7에서와 같이 900MHz의 고주파 신호에 대하여 본 발명의 안테나는 종래의 안테나에 비하여 반사손실이 낮고,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안테나가 종래의 안테나보다 임피던스가 안테나의 기준 스펙인 50Ω에 근접하며, 도 9에서와 같이 정재파비가 낮아 종래의 안테나보다 넓은 대역폭을 가지게 됨은 물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0MHz의 고주파 신호를 전체 방향으로 보다 높은 세기로 방사하였다.
도 11 내지 도 15는 무선기기 본체(10)에 본 발명 및 종래의 안테나를 설치하고, 로드 안테나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그 본체(10)를 손으로 잡지 않고 바닥에서 약 30cm 높이에 수직으로 위치시킨 후 측정한 제 2 측정 결과의 그래프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도 11은 반사손실을 측정한 특성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반사손실의 특성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반사손실의 특성 그래프이며, 도 12는 임피던스를 측정한 스미스 선도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스미스 선도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스미스 선도 그래프이며, 도 13은 정재파비를 측정한 특성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정재파비 특성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정재파비 특성 그래프이다.
상기 도 11 내지 도 13에서 포인트(△ 및/또는 ▽)의 위치(1~4)는 각기 824MHz, 849MHz, 869MHz 및 894MHz 고주파의 측정 값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14는 836MHz 고주파의 방사 패턴을 측정한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방사패턴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방사패턴 그래프이다.
여기서, 최대 방사 값이 종래의 안테나는 방위각 48.00도에서 -39.46dB로 측정되었고, 본 발명의 안테나는 방위각 50.00도에서 -39.4dB로 측정되었다.
도 15는 881MHz 고주파의 방사 패턴을 측정한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방사패턴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방사패턴 그래프이다.
여기서, 최대 방사 값이 본 발명의 안테나는 종래의 안테나에 비하여 방위각 30.00도에서 약간 높은 -41.76dB로 측정되었다.
상기 제 2 측정 결과에서도 824MHz, 849MHz, 869MHz 및 894MHz의 고주파 신호에 대하여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안테나는 종래의 안테나에 비하여 반사손실이 낮고, 도 1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안테나가 종래의 안테나보다 임피던스가 안테나의 기준 스펙인 50Ω에 근접하며, 도 13에서와 같이 정재파비가 낮아 종래의 안테나보다 넓은 대역폭을 가지게 됨은 물론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836MHz 및 881MHz의 고주파 신호를 전체 방향에 대하여 본 발명의 안테나가 종래의 안테나보다 높은 세기로 방사하였다.
도 16 내지 도 20은 무선기기 본체(10)에 본 발명 및 종래의 안테나를 설치하고, 로드 안테나를 인출한 상태에서 그 본체(10)를 손으로 잡지 않고 바닥에서 약 30cm 높이에 수직으로 위치시킨 후 측정한 제 3 측정 결과의 그래프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도 16은 반사손실을 측정한 특성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반사손실의 특성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반사손실의 특성 그래프이며, 도 17은 임피던스를 측정한 스미스 선도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스미스 선도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스미스 선도 그래프이며, 도 18은 정재파비를 측정한 특성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정재파비 특성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정재파비 특성 그래프이다.
상기 도 16 내지 도 18에서 포인트(△ 및/또는 ▽)의 위치(14)는 각기 824MHz, 849MHz, 869MHz 및 894MHz 고주파의 측정 값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19는 836MHz 고주파의 방사 패턴을 측정한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방사패턴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방사패턴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19는 836MHz 고주파의 방사 패턴을 측정한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방사패턴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방사패턴 그래프이다.
여기서, 최대 방사 값이 종래의 안테나는 방위각 45.00도에서 -39.17dB로 측정되었고, 본 발명의 안테나는 방위각 42.00도에서 -38.87dB로 측정되었다.
도 20은 881MHz 고주파의 방사 패턴을 측정한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방사패턴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방사패턴 그래프이다.
여기서, 최대 방사 값이 종래의 안테나는 방위각 24.14도에서 -41.01dB로 측정되었고, 본 발명의 안테나는 방위각 22.00도에서 -41.03dB로 측정되었다.
상기 제 3 측정 결과에서도 824MHz, 849MHz, 869MHz 및 894MHz의 고주파 신호에 대하여 도 1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안테나는 종래의 안테나에 비하여 반사손실이 낮고, 도 1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안테나가 종래의 안테나보다 임피던스가 안테나의 기준 스펙인 50Ω에 근접하며, 도 18에서와 같이 정재파비가 낮아 종래의 안테나보다 넓은 대역폭을 가지게 됨은 물론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836MHz 및 881MHz의 고주파 신호를 전체 방향에 대하여 본 발명의 안테나가 종래의 안테나보다 높은 세기로 방사하였다.
도 21내지 도 25는 제 4 측정 결과를 보인 그래프로서 도 21 내지 도 23은 무선기기의 본체(10)안에 안테나를 장착하고, 로드 안테나를 삽입한 후 무선기기의 본체(10)를 인체의 오른쪽 귀에 대고 측정한 것이고, 도 24 및 도 25는 무선기기의 본체(10)에 안테나를 장착하고, 로드 안테나를 삽입한 후 무선기기의 본체(10)를 인체의 머리 부분과 동일학 형성한 측정용 마네킹의 오른쪽 귀에 대고 측정한 것이다.
여기서, 도 21은 반사손실을 측정한 특성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반사손실의 특성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반사손실의 특성 그래프이며, 도 22는 임피던스를 측정한 스미스 선도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스미스 선도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스미스 선도 그래프이며, 도 23은 정재파비를 측정한 특성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정재파비 특성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정재파비 특성 그래프이다.
상기 도 21 내지 도 23에서 포인트(△ 및/또는 ▽)의 위치(1~4)는 각기 824Mhz, 849MHz, 869MHz 및 894MHz 고주파의 측정 값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24는 836MHz 고주파의 방사 패턴을 측정한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방사패턴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방사패턴 그래프이다.
여기서, 최대 방사 값이 종래의 안테나는 방위각 45.06도에서 -49.35dB로 측정되었고, 본 발명의 안테나는 방위각 47.00도에서 -49.22dB로 측정되었다.
도 25는 881MHz 고주파의 방사 패턴을 측정한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방사패턴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방사패턴 그래프이다.
여기서, 최대 방사 값이 종래의 안테나는 방위각 68.00도에서 -46.61dB로 측정되었고, 본 발명의 안테나는 방위각 67도에서 -46.49dB로 측정되었다.
상기 제 4 측정 결과에서도 824MHz, 849MHz, 869MHz 및 894MHz의 고주파 신호에 대하여 도 2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안테나는 종래의 안테나에 비하여 반사손실이 낮고, 도 2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안테나가 종래의 안테나보다 임피던스가 안테나의 기준 스펙인 50Ω에 근접하며, 도 3에서와 같이 정재파비가 낮아 종래의 안테나보다 넓은 대역폭을 가지게 됨은 물론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836MHz 및 881MHz의 고주파 신호를 전체 방향에 대하여 본 발명의 안테나가 종래의 안테나보다 보다 높은 세기로 방사하였다.
도 26내지 도 30은 제 5 측정 결과를 보인 그래프로서 도 26 내지 도 28은 무선기기의 본체(10)에 안테나를 장착하고, 로드 안테나를 인출한 후 무선기기의 본체(10)를 인체의 오른쪽 귀에 대고 측정한 것이고, 도 29 및 도 30은 무선기기의 본체(10)에 안테나를 장착하고, 로드 안테나를 인출한 후 무선기기의 본체(10)를 인체의 머리 부분과 동일하게 형성한 특정용 마네킹의 오른쪽 귀에 대고 측정한 것이다.
여기서, 도 26은 반사손실을 측정한 특성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반사손실의 특성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반사손실의 특성 그래프이며, 도 27은 임피던스를 측정한 스미스 선도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스미스 선도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스미스 선도 그래프이며, 도 28은 정재파비를 측정한 특성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정재파비 특성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정재파비 특성 그래프이다.
상기 도 21 내지 도 23에서 포인트(△ 및/또는 ▽)의 위치(1~4)는 각기 824MHz, 849MHz, 869MHz 및 894MHz 고주파의 측정 값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29는 836MHz 고주파의 방사 패턴을 측정한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방사패턴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방사패턴 그래프이다.
여기서, 최대 방사 값이 종래의 안테나는 60.00도에서 -47.18dB로 측정되었고, 본 발명의 안테나는 방위각이 61.00도에서 -47.12dB로 측정되었다.
도 30은 881MHz 고주파의 방사 패턴을 측정한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안테나의 방사패턴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안테나의 방사패턴 그래프이다.
여기서, 최대 방사 값이 종래의 안테나는 방위각 79도에서 -44.24dB로 측정되었고, 본 발명의 안테나는 77.00도에서 -44.23dB로 측정되었다.
상기 제 5 측정 결과에서도 824MHz, 849MHz, 869MHz 및 894MHz의 고주파 신호에 대하여 도 2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안테나는 종래의 안테나에 비하여 반사손실이 낮고, 도 2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안테나가 종래의 안테나보다 임피던스가 안테나의 기준 스펙인 50Ω에 근접하며, 도 28에서와 같이 정재파비가 낮아 종래의 안테나보다 넓은 대역폭을 가지게 됨은 물론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836MHz 및 881MHz의 고주파 신호를 전체 방향에 대하여 본 발명의 안테나가 종래의 안테나보다 보다 높은 세기로 방사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헬리컬 안테나의 스프링을 압연하여 소정의 폭을 가지는 와이어로 권선하여 헬리컬 안테나의 반사손실을 줄임은 물론 안테나가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고주파의 밴드 폭을 넓힘으로써 무선기기 및 안테나 등에 사람의 손이 닿거나 또는 전화통화를 하는 도중에 주파수의 변동이 있어도 통화품질에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고, 통화 품질이 향상되며, 또한 안테나를 간단히 조립하여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와이어를 권선한 스프링이 구비되는 헬리컬 안테나 및 소정 길이의 와이어가 구비되는 로드 안테나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로드 안테나가 수납될 경우에 헬리컬 안테나가 동작되고 로드 안테나가 인출될 경우에 그 로드 안테나와 상기 헬리컬 안테나가 병렬 연결되어 동작되는 휴대용 무선기기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헬리컬 안테나의 스프링은, 소정 직경의 와이어를 압연하여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상의 와이어로 형성하고, 그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상의 와이어를 권선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기기 안테나.
  2. 소정 직경의 와이어를 압연하여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상의 와이어를 형성하고 그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상의 와이어를 소정의 간격 및 회수만큼 권선하는 헬리컬 안테나의 스프링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판상의 와이어로 형성한 스프링의 하단부에 메탈 로드의 상단부를 삽입 및 납땜하여 상호간에 고정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호간에 고정된 스프링 및 메탈 로드에, 중앙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파이프를 인서트 사출하고 그 파이프의 보빈을 삽입하여 조립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메탈 로드의 하부에 "+"컷팅부를 삽입하고 상기 중앙부의 공간부에 로드 안테나를 삽입하여 조립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기기 안테나의 제조방법.
KR1019980058549A 1998-12-24 1998-12-24 휴대용무선기기안테나및그의제조방법 KR100296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549A KR100296189B1 (ko) 1998-12-24 1998-12-24 휴대용무선기기안테나및그의제조방법
EP99924037A EP1145369A1 (en) 1998-12-24 1999-05-17 Antenna for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BR9917099-0A BR9917099A (pt) 1998-12-24 1999-05-17 Antena para sistema de comunicação móvel emétodo de fabricação de uma antena para sistemade comunicação móvel
CN99814868A CN1331850A (zh) 1998-12-24 1999-05-17 移动通信系统的天线及其制造方法
US09/868,204 US6515637B1 (en) 1998-12-24 1999-05-17 Antenna for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L14391799A IL143917A0 (en) 1998-12-24 1999-05-17 Antenna for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U40625/99A AU764363B2 (en) 1998-12-24 1999-05-17 Antenna for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NZ511600A NZ511600A (en) 1998-12-24 1999-05-17 Antenna for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DW00200101344A ID29859A (id) 1998-12-24 1999-05-17 Antena untuk sistem komunikasi bergerak tanpa kabel dan metoda pembuatannya
JP2000591690A JP2003505899A (ja) 1998-12-24 1999-05-17 移動通信システムに用いるアンテナおよびその製造方法
PCT/KR1999/000248 WO2000039882A1 (en) 1998-12-24 1999-05-17 Antenna for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RP990104731A AR023664A1 (es) 1998-12-24 1999-09-20 Una antena para ser utilizada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 inalambrico portatil y un metodo para su fabricac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549A KR100296189B1 (ko) 1998-12-24 1998-12-24 휴대용무선기기안테나및그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2384A KR20000042384A (ko) 2000-07-15
KR100296189B1 true KR100296189B1 (ko) 2001-10-26

Family

ID=1956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8549A KR100296189B1 (ko) 1998-12-24 1998-12-24 휴대용무선기기안테나및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515637B1 (ko)
EP (1) EP1145369A1 (ko)
JP (1) JP2003505899A (ko)
KR (1) KR100296189B1 (ko)
CN (1) CN1331850A (ko)
AR (1) AR023664A1 (ko)
AU (1) AU764363B2 (ko)
BR (1) BR9917099A (ko)
ID (1) ID29859A (ko)
IL (1) IL143917A0 (ko)
NZ (1) NZ511600A (ko)
WO (1) WO20000398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358A (ko) * 1999-12-20 2000-08-05 장응순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IL154482A0 (en) * 2000-09-25 2003-09-17 Eung Soon Chang Dual band antenna
KR100464778B1 (ko) * 2001-07-16 2005-01-05 유병훈 안테나
US7080787B2 (en) * 2003-07-03 2006-07-25 Symbol Technologies, Inc. Insert molded antenna
CN113510444A (zh) * 2021-05-18 2021-10-19 福建永动力弹簧科技有限公司 一种绞龙弹簧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2438A (en) * 1982-03-29 1984-04-10 Motorola, Inc. Helical antenna structure capable of resonating at two different frequencies
JPH03110901A (ja) * 1989-09-26 1991-05-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ンテナ装置
DE69528340T2 (de) * 1994-06-28 2003-07-31 Sony Corp Antenne und tragbares funkgerät
US5650789A (en) 1995-10-10 1997-07-22 Galtronics Ltd. Retractable antenna system
US6147660A (en) * 1997-06-03 2000-11-14 Galtronics Ltd. Molded anten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062599A (en) 2000-07-31
BR9917099A (pt) 2001-11-20
JP2003505899A (ja) 2003-02-12
KR20000042384A (ko) 2000-07-15
US6515637B1 (en) 2003-02-04
WO2000039882A1 (en) 2000-07-06
CN1331850A (zh) 2002-01-16
ID29859A (id) 2001-10-18
NZ511600A (en) 2003-11-28
AU764363B2 (en) 2003-08-14
IL143917A0 (en) 2002-04-21
EP1145369A1 (en) 2001-10-17
AR023664A1 (es) 2002-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1074B1 (ko)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용 연장 가능 안테나 시스템
KR20010043889A (ko) 무선 통신 디바이스용 고효율 다중대역 안테나
US5300940A (en) Broadband antenna
EP2571099A1 (en) Cobra antenna
RU99117592A (ru) Двухполосная антенна
US20120127047A1 (en) Internal FM Antenna
KR100701493B1 (ko) 기다란 형태의 개인용 통신 장치
US7158819B1 (en) Antenna apparatus with inner antenna and grounded outer helix antenna
KR100296189B1 (ko) 휴대용무선기기안테나및그의제조방법
KR20070102597A (ko) 소형 광대역 나선 안테나
KR100357972B1 (ko) 휴대용무선기기안테나
KR100271468B1 (ko) 휴대용 무선기기 안테나
AU1412301A (en)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6867747B2 (en) Helical antenna system
JPH08102617A (ja) アンテナ装置
JP2001196839A (ja) マイクロ波アンテナ
RU216829U1 (ru) Малогабаритная широкополосная антенна диапазона дмв
KR0177030B1 (ko) 무선기기용 안테나
KR10034657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장치
MXPA01005927A (en) Antenna for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the same
JP3043110B2 (ja) 無線電話器
KR100303418B1 (ko) 듀얼밴드안테나
KR100222797B1 (ko) 광대역 센터 로딩 안테나의 구조
JP2000077921A (ja) 携帯無線機用のアンテナ
KR20100007118U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장용 듀얼 폴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