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3651B1 - 정전식 디지타이징 태블릿에서의 오프셋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정전식 디지타이징 태블릿에서의 오프셋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3651B1
KR100293651B1 KR1019970003973A KR19970003973A KR100293651B1 KR 100293651 B1 KR100293651 B1 KR 100293651B1 KR 1019970003973 A KR1019970003973 A KR 1019970003973A KR 19970003973 A KR19970003973 A KR 19970003973A KR 100293651 B1 KR100293651 B1 KR 100293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nd
pass filter
filtering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872A (ko
Inventor
저지 에이 테터워크
Original Assignee
푸르셀 데이비드 지.
엘에스아이 로직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르셀 데이비드 지., 엘에스아이 로직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푸르셀 데이비드 지.
Publication of KR970062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2Filtering of noise external to the device and not generated by digitiser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제1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을 터치하는 동안에 제2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을 터치할때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제1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을 터치할때 제1 터치-다운 신호 성분 및 오프셋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1 합성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제1 합성 신호를 제1 합성 신호의 진폭을 나타내는 제1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오프셋 신호 성분을 여과하고 제1 터치-다운 신호 성분을 출력하기 위해 제1 디지탈 값을 필터링하는 단계, 제2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을 터치할때 제2 터치-다운 신호 성분 및 제1 합성 신호를 포함하는 제2 합성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제2 합성 신호를 제2 합성 신호의 진폭을 나타내는 제2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제1 합성 신호를 여과하고 제2 터치-다운 신호 성분을 출력하기 위해 제2 디지탈 값을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전식 디지타이징 태블릿에서의 오프셋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AN OFFSET SIGNAL IN AN ELECTROSTATIC DIGITIZING TABLET}
본 발명은 일잔적으로 디지타이징 태블릿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퓨터와 연관된 정전식 디지타이징 태블릿 또는 태블릿에서 오프셋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리와 같은 부도체 판으로 덮인 저항층을 갖는 정전식 디지타이징 패널은 종래의 기술에서 잘 알려져 있다. 터치 모드에서 동작할때, 저항층의 코너들은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과 같은 물체가 부도체 판을 터치할때 손가락이 저항층과 용량성 결합되어 전류가 저항층의 코너에 흐르게 된다. 디지타이징 태블릿과 연관된 사용자 손가락의 위치는 저항층의 각 코너에 흐르는 전류의 비를 계산함으로써 통상적으로 결정된다.
알려진 정전식 디지타이징 패널이 갖고 있는 문제는 기생 커패시턴스에 대한자화율이다. 특히, 컴퓨터의 시스템 접지 전위로 접지되는 금속 성분이 디지타이징 패널을 둘러싼다. 금속 컴퓨터 성분들은 AC(교류 전류) 오프셋 신호 또는 저항층의 각 코너들을 통과하는 전류 흐름으로 끝나는 디지타이징 패널의 저항층에 용량성 결합될 수 있다. 결과 AC 오프셋 전류 또는 신호는 사용자 손가락에 기인하는 신호 레벨과 비길 수 있거나 심지어는 더 강하다.
정전식 디지타이징 패널의 유휴 상태(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부도체 판을 터치하지 않았을때)에서, 저항층의 코너에서 AC 오프셋 전류 흐름은 둘러싼 금속 컴퓨터 성분에 의해 야기되는 정전 부하에 의해서만 생긴다. AC 오프셋 전류는 사용자 손가락이 부도체층에 터치되지 않을때 디지타이징 패널의 활성 상태에서도 존재한다. 활성 상태에서, AC 오프셋 전류는 디지타이징 패널과 연관된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 좌표를 결정하는데 에러를 야기시킬 수 있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인한 전류 흐름에 불리하게 부가된다.
따라서, 디지타이징 패널에 연관된 사용자 손가락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AC 오프셋 신호는 보상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 손가락에 기인하는 신호로부터 감산되어야만한다. 따라서 요구되는 것은 디지타이징 패널의 저항층과 컴퓨터의 접지된 금속 성분사이에서 결합되는 스트레이 전기 용량의 결과로서 발생되는 오프셋 신호를 보상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취소시키는 정전식 손가락-감지 디지타이저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디지타이징 패널에서 오프셋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터치-다운(touch-down) 성분 및 오프셋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합성 신호를 발생하도록 디지타이징 패널을 물체와 접촉시키는 단계, 합성 신호를 합성 신호의 진폭을 나타내는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디지탈 값에서 오프셋 신호 성분을 제거하여 터치-다운 신호 성분을 신호 라인으로 출력하기 위해 필터링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그곳을 흐르는 오프셋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저항층, 및 물체가 터치-다운 신호 성분 및 오프셋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저항층에 용량성 결합될때 합성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타이징 패널이 제공된다. 디지타이징 패널은 합성 신호를 합성 신호의 진폭을 나타내는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 및 디지탈 값에서 오프셋 신호 성분을 제거하여 터치-다운 신호를 신호 라인상에 출력하기 위해 필터링하기 위한 장치도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을 터치하는 동안에 제2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을 터치하는 경우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제1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을 터치할때 제1 터치-다운 신호 성분 및 오프셋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1 합성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제1 합성 신호를 제1 합성 신호의 진폭을 나타내는 제1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단계, 제1 디지탈 값에서 오프셋 신호 성분을 제거하여 제1 터치-다운 신호 성분을 출력하기 위한 필터링 단계, 제2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을 터치할때 제2 터치-다운 신호를 성분 및 제1 합성 신호를 포함하는 제2 합성 신호의 발생하는 단계, 제2 합성 신호를 제2 합성 신호의 진폭을 나타내는 제2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제2 디지탈 값에서 제1 합성 신호를 제거하여 제2 터치-다운 신호 성분을 출력하기 위한 필터링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식 디지타이징 패널에서 오프셋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새롭고 유용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전식 디지타이징 패널에서 오프셋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정전식 디지타이징 패널에서 오프셋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디지타이징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정전식 디지타이징 패널에서 오프셋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개선된 디지타이징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온도, 및 습도 등으로 인한 오프셋 신호 레벨의 변동과 연관된 문제들을 제거하는 새롭고 유용한 디지타이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1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을 터치하는동안 제2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을 터치하는 경우를 검출하기 위한 새롭고 유용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동시에 디지타이징 패널에서 하나이상의 손가락을 사용할 수 있게한 새롭고 유용한 디지타이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형태, 및 장점은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형태를 도입한 컴퓨터의 기능 블럭도;
도2는 도1의 라인(2-2)에서 본 컴퓨터의 디지타이징 패널의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제어기의 블럭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제어기의 대역-통과 필터에 대한 주파수 응답 곡선을 도시한 도면;
도5는 도3에 도시된 제어기의 대역-통과 필터를 구현하는 의사-코드 리스트;
도6은 도3에 도시된 제어기에서 대역-통과 여과되기전의 코너(corner) 신호도;
도7은 도3에 도시된 제어기에서 대역-통과 여과된후의 코너 신호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컴퓨터 14 : 디지타이징 태블릿
16 : 제어기 18 : CPU
20a-20d : 코너 와이어 24 : 유리층
26 : LCD 스크린 28 : ITO층
30 : 폴리에스테르 스폴 실드 32 : 공기틈
36a-36d : I/V 증폭기 37a-37d : 신호 정류기
38a-38d : A/D 변환기 40a-40d : 대역-통과 필터
42 : X,Y 좌표 계산기
본 발명이 다양한 변경 및 다른 변형예를 허용하지만, 그 특정 실시예는 도면에 예로서 도시되었으며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공개된 특정 형태로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오히려 반대로, 본 발명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에 포함되는 모든 수정, 등가물, 및 다른 변형예를 커버하려는 것이다.
이제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형태에 도입된 노트북(notebook) 또는 이동 컴퓨터와 같은 컴퓨터(10)의 기능 블럭도가 도시된다. 컴퓨터(10)는 베이스(base) 또는 프레임(frame)(12), 프레임(12)에 의해 보호되는 정전식 디지타이징 태블릿 또는 패널(14), 제어기(16), 및 종래의 중앙 처리 장치(CPU)(18)를 포함한다. 디지타이징 태블릿(14)은 코너 와이어(20a-20d)를 통해 제어기(16)에 동작상으로 연결되고, 제어기(16)는 직렬 포트와 같은 직렬 데이터 라인(22)을 통해 CPU(18)에 동작상으로 연결된다.
정전식 디지타이징 패널(14)은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알려진 물질로 이루어진 여러층을 포함한다. 설명될 실시예에 있어서, 유리층(24)은 유리층(24) 아래 위치한 액정 표시 장치(LCD) 스크린(screen)(26)을 보호한다. 유리층(24)의 상부 표면(27)은 핸드-헬드 스타일러스(도시되지 않음)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도시되지않음)과 같은 물체 표면의 기록/터치를 정의한다. 유리층(24)의 하부 표면은 그곳에 인가된 활성 감지 물질로 이루어진 층(28)을 포함한다. 설명될 일실시예에 있어서, 활성 감지 물질은 통상적으로 정전식 디지타이징 패널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투명한 인듐-주석-산소(ITO)의 얇은 코팅이다.
각 코너 와이어(20a-20d)는 이하에 설명될 것과 같이 유리층(24)으로의 접근, 터치 또는 유리층(24)으로부터 철수하는 물체의 결과로서 발생되는 전류 흐름을 전달하기 위해 활성 ITO층(28)의 각 코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폴리에스테르 스폴 실드(Polyester Spall Shield)(30)는 깨진다해도 유리 표면(24)이 부서지는 것을 막기위해 활성 ITO층(28)의 아래쪽에 부착된다. 스폴 실드(30)의 아래 표면은 그곳에 인가된 활성 ITO 실드층(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활성 ITO 실드층은 LCD 스크린(26)으로부터 활성 ITO층(28)으로 결합하는 잡을 줄이는 전기 실드를 형성한다. 공기 틈(32)은 LCD 스크린(26)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스폴 실드(30)의 하부 표면을 분리한다.
컴퓨터(10)는 두 모드, 즉 터치 모드(touch mode) 및 펜 모드(pen mode)중 하나에서 동작한다. 펜 모드에서 컴퓨터는 관례대로 핸드-헬드 펜 또는 스타일러스(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잘 받아들이도록 구성된다. 특히, 전류 흐름은 스타일러스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응답하여 각 코너 와이어(20a-20d)에서 발생된다. 제어기(16)는 종래의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알려진 방식으로 각 코너 와이어(20a-20d)에서의 전류 흐름을 기반으로 하여 디지타이징 패널(14)과 연관된 스타일러스의 직교 좌표 (X, Y) 위치를 결정한다. 이후에 수반되는 것은 터치 모드에서 동작하는 컴퓨터에 관한 설명이다.
터치 모드에서, 활성 ITO층(28)은 제어기(16)로부터 AC 신호와 바이어스된다. 특히, 제어기(16)는 125KHz 바이어스 전압을 코너 와이어(20a-20d)를 통과하는 활성 ITO층(28)의 각 코너에 인가한다.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14)에 접근하지 않으면, 컴퓨터(10)는 정지 상태이고 이상적으로는 코너 와이어(20a-20d)를 통과하는 전류 흐름이 없다. 그러나, AC 오프셋 전류의 최종량은 활성 ITO층(28)과 컴퓨터(10) 근접 활성 ITO층(28)의 금속 성분간의 스트레이(stray) 또는 기생 커패시턴스에 의해 야기되는 부하 효과로 인해 정지 상태에서 코너 와이어(20a-20d)를 통해 흐른다고 인식되어야만 한다.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14)에 접근할때, 물체는 활성 ITO층(28)으로 결합되는 커패시턴스 부하로서 점차 동작한다. 특히, 물체가 ITO층(28)에 가깝게 이동하면, 물체와 활성 ITO층(28)간에 결합되는 정전 용량은 더 커진다. 물체는 활성 ITO층(28)의 각 코너 및 코너 와이어(20a-20d)에 흐르는 전류 흐름을 발생하는 활성 ITO층에 부하로서 동작하는 ITO층(28)에 용량성 결합된다. 동작의 펜 모드에서 제어기(16)는 종래의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알려진 방식으로 각 코너 와이어(20a-20d)에서 전류의 흐름을 기반으로 디지타이징 패널(14)과 연관된 사용자 손가락과 같은 물체의 직교 좌표(X, Y) 위치를 결정한다. 물체는 유리층(24)의 존재로 인해 활성 ITO층(28)에 직접 접속할 수 없다고 인식되어야만 한다. 물체가 활성 ITO층(28)에 닿을 수 있는 클로짓이 유리층(24)에 접속된다. 물체와 활성 ITO층(28)간에 결합되는 정전 용량은 물체가 유리층(24)에 접속할때 가장 크다.
활성 ITO층(28)에 용량성 결합되는 물체로 인해 활성 ITO층(28)의 각 코너를 통하는 전류 흐름의 진폭은 활성 ITO층(28)의 각 코너와, 물체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유리층(24)에서의 물체 위치(34) 사이에서 활성 ITO층(28)의 전도율에 비례한다. 특히, 물체 위치(34)에서 활성 ITO층(28)의 각 코너로 연장된 화살표의 상대적 굵기는 활성 ITO층(28)과 연관된 물체의 위치로 인해 활성 ITO층(28)의 각 코너를 통해 흐르는 전류 흐름의 진폭을 나타낸다.
따라서, 활성 ITO층(28)의 특정 코너와 가까운 물체는 물체 위치(34)와 활성 ITO층(28)의 각 코너 사이를 연장하는 라인의 상대적 두께에 의해 표현된 것과 같이 활성 ITO(28)의 전도율보다 크고, 각 코너를 통과하는 전류 흐름보다 크다. 이와 마찬가지로, 활성 ITO층(28)의 각 코너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물체는 활성 ITO층(28)의 전도율보다 낮고, 각 코너를 통과하는 전류 흐름보다 낮다.
물체의 정전 부하 효과는 온도 조건을 변화시키기 위해 사람마다 다르다는 것이 인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물체 터치가 발생될 경우 검출은은 활성 ITO층(28)의 네 코너에 측정되는 전류 흐름의 진폭만을 유일하게 기반으로 해서는 정확하게 측정될 수 없다. 즉, 각 코너 와이어(20a-20d)에 흐르는 전류의 진폭은 결과 합성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합쳐지는 두 성분을 포함한다.
제1 성분은 금속 컴퓨터 성분의 기생 커패시턴스의 결과로서 발생되는 전류 흐름이다. 제2 성분은 디지타이징 패널(14)에 접촉하는 사용자 손가락의 결과로서 발생되는 전류 흐름이다. 따라서, 하나가 코너 와이어(20a-20d)에서의 전류 흐름의 절대값을 기반으로한 물체의 좌표 위치를 결정했다면, 겨로가 좌표 위치는 디지타이징 패널(14)에 연관된 물체의 실제 좌표 위치로부터 비스듬하게 된다.
도3을 참조하면, 제어기(16)의 간략한 기능 블럭도가 도시된다. 특히, 제어기(16)는 많은 전압대 전류(I/V) 증폭기들(36a-36d), 신호 정류기(37a-37d), 아날로그대 디지탈(A/D) 변환기(38a-38d), 및 대역-통과 필터(40a-40d)를 포함하고, 각각은 각 코너 와이어(20a-20d)와 연관된다. 제어기(16)는 또한 X, Y 좌표 계산기(42)를 포함한다.
각 I/V 증폭기(36a-36d)는 두가지 기능을 포함한다. 제1 기능은 컴퓨터(10)가 동작의 터치 모드일때 활성 ITO 감지층(28)을 자극하기 위하여 관례대로 125KHz AC 신호를 각 코너 와이어(20a-20d)로 제공한다. 제2 기능은 관례대로 각 코너 와이어(20a-20d)에 흐르는 전류의 진폭을 나타내는 전류 레벨들을 포함하는 AC 출력 신호를 라인(44a-44d)으로 발생시키게 되어 있다.
신호 정류기들(37a-37d)은 종래의 방식대로 라인(44a-44d)상의 AC 신호를 DC 출력 신호들을 변환하여 라인(46a-46d)으로 출력한다. 라인(20a-20d)상에서의 전류 흐름에 따라, 라인(46a-46d)상에서 DC 신호들은 금속 컴퓨터 성분의 기생 커패시턴스에 기인하는 제1 진폭 성분, 및 디지타이징 패널(14)를 접촉할때 사용자 손가락에 기인하는 제2 진폭 성분을 각각 포함한다. 따라서, 디지타이징 패널(14)을 터치하는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14)과 관련하여 이동될때, 라인(46a-46d)상의 DC 신호의 레벨들은 활성 ITO층(28)의 각 코너와 디지타이징 패널(14)과 연관된 물체의 순시 위치 사이의 활성 ITO의 전도율의 변화로 인해 변할 것이다. 라인 (44a-44d)상의 AC 출력 신호가 정류기들(37a-37d)에 의해 정류되기전에 125KHz 대역-통과 필터(도시되지 않음)에서 관례대로 정류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만 한다. 125KHz 대역 통과 필터들의 목적은 유용한 125KHz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고 다른 주파수의 원하지 않는 잡음 성분을 제거하게 된다.
A/D 변환기들(38a-38d)은 관례대로 라인(46a-46d)상의 DC 신호를 DC 신호의 레벨들을 나타내는 디지탈(2진) 값으로 변환한다. 특히, A/D 변환기들(38a-38d)은 각 DC 신호를 라인(48a-48d)상의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도록 라인(46a-46d)상의 DC 신호를 주기적으로 샘플한다. 라인(48a-48d)상의 디지탈 값은 이하에 설명될 것과 같은 대역-통과 필터들(40a-40d)에 의해 여관된다.
I/V 증폭기들(36a-36d), 신호 정류기들(37a-37d), 및 A/D 변환기들(38a-38d)은 관례대로 하드웨어에서 구현된다. 더욱이, I/V 증폭기들(36a-36d), 신호 정류기들(37a-37d), 및 A/D 변환기들(38a-38d)은 종래의 기술에서 통상의 기술에 익숙한 자에게 알려진 방식으로 각각 동작하고, 그것에 관한 그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벽한 이해를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다.
대역-통과 필터들(40a-40d)은 두 기능을 수행한다. 제1 기능은 오프셋 신호 레벨과 독립적인 연속 좌표 결정을 위해 어떤 DC 신호 성분도 차단한다. 즉, 대역 통과 필터들(40a-40d)은 좌표 결정이 디지타이징 패널(14)을 접촉할때 사용자 손가락에 기인하는 신호 성분만이 기반될 수 있도록 금속 컴퓨터 성분의 기생 커패시턴스에 기인하는 신호 성분을 여과한다. 대역-통과 필터(40a-40d)의 제2 기능은 디지타이징 패널의 해상도가 증가되도록 높은 주파수 잡음 성분을 여과시킨다.
특히, 디지타이징 패널(14)의 해상도는 디지타이징 패널(14)를 접촉하는 물체의 두 근접 위치 사이를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이다. 디지타이징 패널(14)의 해상도는 본 시스템에서 잡음과 직접 관련된다. 많은 터치-다운으로부터 보고되고, 디지타이징 패널상의 동일한 위치에 놓여지고, 하나의 터치-다운으로부터 다음으로 변환하는 위치를 야기시킨다. 보고된 위치에서 변화량은 시스템 해상도를 결정한다. 이하에 더 설명될 것처럼, 대역-통과 필터는 시스템의 입력 신호에 결합되지만 유용한 신호의 대역폭에는 존재하지 않는 잡음 및 간섭 신호의 감쇄에 의해 시스템 해상도가 개선된다.
대역 통과 필터들(40a-40d)은 약 20Hz보다 적은 상위 및 하위 차단 주파수를 포함하는 2차 디지탈 대역-통과 필터들로서 구현된다. 설명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차단 주파수의 상위 및 하위는 약 3Hz에서 이상적으로 선택된다. 대역-통과 필터들(40a-40d)는 식(1)로 표현된 전달 함수(Z-변환 영역에서)를 포함한다.
Figure pat00001
식(1)은 도4에 도시된 주파수 응답 곡선에 상응한다. 특히, 도4는 대역-통과 필터들(40a-40d)로부터의 출력신호 진폭 대 입력신호대 대역-통과 필터들(40a-40d)가 1.0과 동일한 진폭을 갖는 것으로 가정할 경우의 주파수의 곡선을 도시한다. 즉, 그래프는
Figure pat00002
가 식(1)의 전달 함수의 모듈일 경우에 출력 대 입력 진폭의 비를 나타낸다. 따라서, 그래프는 입력 대 출력 진폭간의 관계만을 나타낼뿐 그들 위상 관계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대역-통과 필터들(40a-40d)의 상위 및 하위 차단 주파수는 사용자-선택가능하고 특정 시스템의 설계에 의존한다. 그밖에, 식(1)에서 설명된 계수값은 3Hz의 대역폭에 상응하고 대역폭이 변화되었으면 다르다. 그러나, 식(1)의 구조는 동일하게 남아있을 것이다.
설명될 실시예에 있어서, 대역통과 필터들(40a-40d)은 펌웨어로 구현된다. 그러나, 식(1)과 같이 동일한 전달 함수를 갖는 대역-통과 필터느 요구되면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만 한다. 식(1)에 도시된 전달 함수는 식(2)에 도시된 순환 공식을 발생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순환 공식으로 끝난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Yn은 대역-통과 필터들(40a-40d)의 n차 출력 값이고, Xn은 대역-통과 필터들(40a-40d)를 위한 n차 입력값이다. 식(2)에 따르면, 현재 필터 출력값(Yn)은 현재 입력값(Xn), 2차 이전 입력값(Xn-2), 이전 출력값(Yn-1), 및 2차 이전 출력값(Yn-2)을 기반으로 결정된다.
도5를 참조하면, 식(2)를 구현하기 위한 전형적인 소프트웨어 루틴이 도시된다. 소프트웨어 루틴(routine)은 대역-통과 필터 출력값(y)을 귀환한다. 파라미터(x)는 A/D 변환기들(38a-38d)로부터의 현재 입력값이다. 필터 출력값의 시퀀스를 얻기위해, 루틴은 시퀀스에서 각 값을 위해 일단 실행되어야만 한다.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두 어레이((x-buff), (y-buff))는 대역-통과 필터입력 및 출력값을 저장하기 위해 라인 30 및 40에서 정의된다. 변수(y)는 루틴의 현재 반복동안에 계산되는 필터 출력값을 저장하기 위해 라인 50에서 정의된다. 현재 필터 출력값(y)는 식(2)로부터 라인 60에서 결정된다. 라인 70 및 80에서 x_buff[0]에 저장된 이전 필터 입력값은 x_buff[1]로 쉬프트되고, 현재 필터 입력값(x)는 x_buff[0]로 쉬프트된다. 라인 90 및 100에서 y_buff[0]에 저장된 이전 필터 출력값은 y_buff[1]로 쉬프트되고, 현재 필터 출력값(y)은 y_buff[0]로 쉬프트된다. 현재 필터 출력값(y)은 라인 110에서 귀환된다.
컴퓨터(10)가 터치 모드에서 동작하고 키보드가 디스플레이 스크린(26)에서 에뮬레이션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대역-통과 필터들(40a-40d)은 컴퓨터(10)가 두 독립 손가락 터치 사이를 검출 또는 그렇지 않으면 구별을 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26)에서 에뮬레이트되는 쉬프트 키를 터치하기를 원한다면, 쉬프트 키를 계속 터치하는 동안에 디스플레이 스크린(26)에서 에뮬레이트되는 제2 키를 터치하고, 컴퓨터는 제1 및 제2 터치의 좌표 위치를 결정한다.
도6은 A/D 변환기들(38a-38d)(도3)중 하나로부터 여과되지않은 2진 출력 데이터 대 시간을 도시한 그래이다. 특히, 도6은 디지타이징 패널(14)에 접촉하는 물체 이전의 시간 t1에서 A/D 변환기들(38a-38d)로부터 여과되지않은 추력 데이터를 도시한다. 사용자의 제1 손가락(도시하지 않음)이 t2에서 디지타이징 패널을 접촉하고 t3에서 디지타이징 패널을 접촉한채로 있는다. 사용자의 제1 손가락이 t4에서 디지타이징 패널로부터 철수하면, t5에는 아무것도 디지타이징 패널에 접촉되어 있지 않다. 사용자의 제1 손가락은 t6에서 디지타이징 패널을 다시 접촉하고, t7에서 디지타이징 패널을 접촉한채로 있는다. 사용자의 제2 손가락(도시하지 않음)은 t8에서 디지타이징 패널을 접촉하고 t9에서 디지타이징 패널을 접촉한채로 있는다. 사용자의 제2 손가락은 t10에서 디지타이징 패널로부터 철수하고 t11에서 사용자의 제1 손가락만이 디지타이징 패널을 접촉한채로 있다. t12-t14에서 사용자의 제1 손갈가이 디지타이징 패널을 접촉한채 남아있는동안 사용자의 제2 손가락이 다시 접촉하고 디지타이징 패널로부터 철수한다.
t1에서 A/D 변환기들(38a-38d)로부터 여과되지않은 출력 데이터는 상기한 것과 같이 활성 ITO층(28)에 용량성 결합된 금속 성분의 결과로서 발생되는 오프셋 신호에만 기인된다. 사용자의 제1 손가락이 t2에 디지타이징 패널을 접촉할때, 사용자의 제1 손가락은 코너 와이어(20a-20d)에 흐르는 전류 흐름을 증가시키는 결과가 되는 활성 ITO층(28)을 용량성 결합한다. 부가적인 전류 흐름은 t3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A/D 변환기들(38a-38d)로부터의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에 대한 높은 디지탈 값이 된다.
디지타이징 패널(14)을 접촉하고 있는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14)과 관련하여 이동하지 않으면, A/D 변환기들(38a-38d)로부터의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는t3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특정 레벨에서 상수로 남아있는다. 그러나,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14)을 접촉한채로 있는동안에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14)과 관련하여 움직인다면, t3에서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가 활성 ITO층(28)의 특정 코너와 관련된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점차 증가 또는 감소할 것이다. t3에서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 레벨에서의 변화는 상기한 것과 같이 활성 ITO층(28)의 전도율의 변화에 기인한다.
t4에서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로부터 철수할때, 물체와 활성 ITO층(28)사이에 결합하는 정전용량의 결과로서 발생되는 부가적인 전류 흐름은 오프셋 신호 성분에만 기인하는 t5에서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 값으로 귀환하는 결과로 끝나는 0으로 감소한다.
사용자의 제1 손가락이 t6에서 디지타이징 패널을 다시 접촉하고 t7에서는 디지타이징 패널을 접촉한채로 남아있는다. 사용자의 제1 손가락이 디지타이징 패널을 접촉한채로 있는동안 사용자의 제2 손가락(도시하지 않음)이 디지타이징 패널을 접촉할때(t8), 부가 전류가 t9에서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 값이 되는 코너 와이어들(20a-20d)에서 흐르게 될 것이다. t9에서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 레벨은 오프셋 신호, 사용자의 제1 손가락 및 사용자의 제2 손가락에 기인하는 신호 성분의 합을 나타낸다.
키보드가 디스플레이 스크린(26)에서 에뮬레이션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제1손가락으로 디지타이징 패널(14)에서 제1 키를 터치하고, 제1 키를 계속 터치하고 있는 동안에 제2 손가락으로 디지타이징 패널에서 제2 키를 독립적으로 터치하고, 컴퓨터(10)는 A/D 변환기들(38a-38d)로부터의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1 및 제2 손가락 터치들의 좌표 위치를 결정할 수 없다. 이것은 t9에서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의 절대값이 세 성분, 즉 별도의 성분으로 다시 분해될 수 없는 각 오프셋 신호 성분, 제1 손가락 성분 및 제2 손가락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도6에 도시된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는 도7에 도시된 것과 같은 라인들(50a-50d)(도3)상으로 여과된 출력 데이터를 결과적으로 내보내는 대역-통과 필터들(40a-40d)에 의해 대역-통과된다. 특히, 도7은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14)에 접촉하기전에 시간 t20에서 대역-통과 필터들(40a-40d)로부터의 여과된 출력 데이터를 도시한다. 사용자의 제1 손가락(도시하지 않음)은 t21에서 디지타이징 패널을 접촉하고 t22에서 디지타이징 패널을 접촉한채로 남아있다. t23에서 사용자의 제1 손가락은 디지타이징 패널로부터 철수하고, t24에서는 어떤 것도 디지타이징 패널을 접촉하지 않는다. 사용자의 제1 손가락은 t25에서 다시 디지타이징 패널을 접촉하고, t26에서 디지타이징 패널을 접촉한채로 남아있다. 사용자의 제2 손가락(도시하지 않음)은 t27에서 디지타이징 패널을 접촉한다. 사용자의 제2 손가락은 t28에서 디지타이징 패널로부터 철수하고 t29에서는 사용자의 제1 손가락이 디지타이징 패널을 접촉한채로 있다. t30및 t31에서 사용자의 제1 손가락이 디지타이징 패널에 접촉한채로 남아있는동안에, 사용자의 제2 손가락은 다시 접촉한후에 디지타이징 패널로부터 철수한다.
상기한 것과 같이, 대역-통과 필터들(40a-40d)은 오프셋 신호 레벨과는 독립적인 연속 좌표를 결정하기 위해 A/D 변환기들(38a-38d)로부터의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의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에 접촉한채로 남아있는동안에 디지타이징 패널과 연관하여 이동되는 물체에 기인하는 신호 성분의 완만한 변화를 포함하는) DC 신호 성분을 여과한다. 따라서, t1에서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의 오프셋 신호가 t20에서 실제적으로 0 출력 레벨이 되는 대역-통과 필터들(40a-40d)에 의해 감쇄된다. 오프셋 신호 성분의 감쇄는 대역-통과 필터들(40a-40d)이 DC 및 신호 성분의 완만한 변화를 차단하기 위해 동작하기 때문이다.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14)를 접촉할때, 대역-통과 필터들(40a-40d)은 t2에서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에서의 변화에 비례하는 여과된 출력 데이터를 t21에서 제공한다. 즉, 대역-통과 필터들(40a-40d)은 t2에서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의 급속한 성분 변화를 통과시킨다. 상기한 것과 같이,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14)에 접촉된 상태로 남아있는동안에 A/D 변환기들(38a-38d)로부터의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가 도시된 것과 같이(도6) t3에서 특정 레벨에서 상수를 유지하거나, 또는 디지타이징 패널(14)과 연관된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점차 증가 또는 감소(예를 들어, 완만한 변화)될 것이다. 따라서, t3에서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의 상수 또는 점차적인 증가 또는 감소는 t22에서 0 출력 데이터가 되는 대역-통과 필더틀(40a-40d)에 의해 여과될 것이다.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로부터 제거될때,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의 레벨이 감소하고, 대역-통과 필터들(40a-40d)가 t4에서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에서의 변화에 비례하는 여과된 출력 데이터를 t23에서 제공한다.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로부터 제거되면, t5에서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는 t24에서 결국 0이 되는 대역-통과 필터들(40a-40d)에 의해 여과되는 오프셋 신호 성분에만 기인한다.
키보드가 디스플레이 스크린(26)에서 에뮬레이트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제1 손가락으로 디지타이징 패널(14)에서 제1 키를 터치하고, 제1 키를 계속 터치하고 있는 동안에 제2 손가락으로 디지타이징 패널에서 제2 키를 독립적으로 터치하고, 컴퓨터(10)는 대역-통과 필터들(40a-40d)로부터 라인(50a-50d)상의 여과된 출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1 및 제2 터치의 좌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제1 손가락으로 디지타이징 패널(14)에서 제1 키를 터치한다면, t25에서 대역-통과 필터로부터의 출력은 t6에서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에서의 변화에 비례하게 될 것이다. 사용자의 제1 손가락이 디지타이징 패널에 접촉된채로 남아있는동안에, 대역-통과 필터들(40a-40d)은 t7에서 DC 및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와 같은 신호 성분의 완만한 변화를 절제하도록 동작하기 때문에 대역-통과 필터들(40a-40d)의 출력은 t26에서 0으로 떨어진다.
사용자가 제1 손가락으로 제1 키를 계속 터치하고 있는 동안에 디지타이징 패널(14)에서 제2 키를 터치할때, 대역-통과 필터들(40a-40d)은 t8에서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에서의 변화에 비례하는 여과된 출력 데이터를 t27에서 제공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제1 손가락으로 제1 키를 계속 터치하고 있는 동안에 제2 키로부터 제2 손가락을 제거할때, 대역-통과 필터들(40a-40d)은 t10에서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에 비례하는 여과된 출력 데이터를 t28에서 제공한다.
사용자의 제1 손가락이 디지타이징 패널에 접촉된채로 남아있으면, 대역 통과 필터들(40a-40d)이 t11에서 DC 및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와 같은 신호 성분의 완만한 변화를 차단하기 위해 동작하기 때문에 대역-통과 필터들(40a-40d)의 출력은 t29에서 0으로 떨어진다. t30및 t31에서 사용자의 제1 손가락이 디지타이징 패널에 접촉한채로 남아있는동안에, 사용자의 제2 손가락은 다시 접촉한후에 디지타이징 패널로부터 철수한다.
A/D 변환기들(38a-38d)로부터 디지탈 출력 데이터를 대역-통과 여과함으로써 X, Y 좌표 계산기(42)는 동시에 디지타이징 패널(14)를 접촉하는 하나이상의 물체의 위치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더욱이, A/D 변환기들(38a-38d)로부터의 디지탈 출력 데이터를 대역-통과 여과함으로써, 오프셋 신호에 기인하는 신호 성분은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반면에 디지타이징 패널에 접촉하는 물체 또는 물체들에 기인하는 신호 성분만을 라인들(50a-50d)을 통해 X, Y 좌표 계산기(42)로 통과시킬 수 있다.
X, Y 좌표 계산기(42)는 종래의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에 익숙한 자에게는 알려진 방식으로 라인(50a-50d)에 존재하는 펄스의 진폭을 기반으로 디지타이징 패널을 접촉하는 하나이상의 좌표 위치를 결정한다. X, Y 좌표 계산기(42)에 의해 계산되는 X, Y 좌표는 종래의 처리를 위해 CPU(18)로 통과된다.
본 발명이 도면 및 상기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그런 설명은 전형적인 실예로서 고려되는 것이지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바람직한 실시예만이 도시 및 설명되었으며 본 발명의 사상내에서의 모든 수정 및 변형은 보호되어야만 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대역-통과 필터들(40a-40d)이 DC 및 신호 성분의 완만한 변화를 여과시키기 위해 고역-통과 필터로 대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고역-통과 필터만으로는 A/D 변환기들(38a-38d)로부터의 여과되지 않은 출력 데이터에 존재하는 고역 주파수 잡은 간섭을 여과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정전식 디지타이징 패널에서 오프셋 신호를 제거할 수 있으며, 온도, 및 습도 등으로 인한 오프셋 신호 레벨의 변동과 연관된 문제들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을 터치하는동안 제2 물체가 디지타이징패널을 터치하는 경우를 검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동시에 디지타이징 패널에서 하나이상의 손가락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4)

  1. 디지타이징 패널에서 오프셋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터치-다운 성분 및 오프셋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합성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물체를 디지타이징 패널에 접촉시키는 단계;
    합성 신호를 합성 신호의 진폭을 나타내는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오프셋 신호를 여과시키고 터치-다운 신호 성분을 신호 라인으로 출력하기 위해 디지탈 값을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지타이징 패널에서의 오프셋 신호 제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단계는,
    오프셋 신호를 여과하고 터치-다운 신호 성분을 출력하기 위해 대역-통과 필터를 통해 디지탈 값을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징 패널에서의 오프셋 신호 제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는 2차 대역-통과 필터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디지타이징 패널에서의 오프셋 신호 제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는 2차 디지탈 대역-통과 필터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징 패널에서의 오프셋 신호 제거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는 약 20Hz보다 작은 주파수로 설정된 상위 차단 주파수 및 하위 차단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징 패널에서의 오프셋 신호 제거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는,
    Figure pat00004
    이 되는 전달 함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징 패널에서 오프셋 신호 제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전류대 전압 증폭기로 합성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및
    합성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전에 증폭된 합성 신호를 정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징 패널에서 오프셋 신호 제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다운 신호 발생 단계는,
    손가락이 디지타이징 패널에 접촉할때 터치 다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징 패널에서 오프셋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9. 오프셋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저항층;
    물체가 상기 저항층에 용량성 결합될때, 터치-다운 신호 성분 및 오프셋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합성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합성 신호를 상기 합성 신호의 진폭을 나타내는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오프셋 신호 성분을 여과시키고 상기 터치-다운 신호 성분을 신호 라인으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디지탈 값을 필터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지타이징 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오프셋 신호 성분을 여과시키고 상기 터치-다운 신호 성분을 신호 라인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징 패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는 2차 대역-통과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징 패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는 2차 디지탈 대역-통과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징 패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는,
    약 20Hz보다 작은 주파수로 설정된 상위 차단 주파수 및 하위 차단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징 패널.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는,
    Figure pat00005
    이 되는 전달 함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징 패널.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 수단에 결합되는 신호 정류기; 및
    상기 신호 정류기에 결합된 전류대 전압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징 패널.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손가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징 패널.
  17. 제1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을 터치하고 있는 동안에 제2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을 터치할때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을 터치할때 제1 터치-다운 신호 성분 및 오프셋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1 합성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1 합성 신호를 상기 제1 합성 신호의 진폭을 나타내는 제1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오프셋 신호 성분을 여과하고 제1 터치-다운 신호 성분을 출력하기 위해 제1 디지탈 값을 필터링하는 단계;
    제2 물체가 디지타이징 패널을 터치할때 제2 터치-다운 신호 성분 및 상기 제1 합성 신호를 포함하는 제2 합성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2 합성 신호를 상기 제2 합성 신호의 진폭을 나타내는 제2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제1 합성 신호를 여과하고 제2 터치-다운 신호 성분을 출력하기 위해 제2 디지탈 값을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지탈 값을 필터링하는 단계는 대역-통과 필터로 제1 디지탈 값을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지탈 값을 필터링하는 단계는 대역-통과 필터로 제2 디지탈 값을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는 2차 대역-통과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는 2차 디지탈 대역-통과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는 약 20Hz보다 작은 주파수로 설정된 상위 차단 주파수 및 하위 차단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는
    Figure pat00006
    이 되는 전달 함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전류대 전압 증폭기로 제1 합성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제1 합성 신호를 제1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전에 증폭된 제1 합성 신호를 정류하는 단계;
    전류대 전압 증폭기로 제2 합성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및
    제2 합성 신호를 제2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전에 증폭된 제2 합성 신호를 정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체는 제1 손가락이고 상기 제2 물체는 제2 손가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03973A 1996-02-09 1997-02-06 정전식 디지타이징 태블릿에서의 오프셋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02936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599,609 1996-02-09
US08/599,609 US5902967A (en) 1996-02-09 1996-02-09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an offset signal in an electrostatic digitizing tab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872A KR970062872A (ko) 1997-09-12
KR100293651B1 true KR100293651B1 (ko) 2001-07-12

Family

ID=24400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973A KR100293651B1 (ko) 1996-02-09 1997-02-06 정전식 디지타이징 태블릿에서의 오프셋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02967A (ko)
EP (1) EP0789318B1 (ko)
JP (1) JP3220654B2 (ko)
KR (1) KR100293651B1 (ko)
DE (1) DE69722278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437B1 (ko) * 2013-02-25 2019-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 값 추출기를 포함하는 터치 감지 장치 및 필터 값 추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9529B1 (en) * 1997-07-11 2001-05-08 Ricoh Company, Ltd. Write point detecting circuit to detect multiple write points
US6081259A (en) * 1997-11-25 2000-06-27 Lsi Log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in an electrostatic digitizer
US20050073507A1 (en) * 2003-10-06 2005-04-07 Richter Paul J. Touch input sensing device
US20060227114A1 (en) * 2005-03-30 2006-10-12 Geaghan Bernard O Touch location determination with error correction for sensor movement
US7567240B2 (en) * 2005-05-31 2009-07-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etection of and compensation for stray capacitance in capacitive touch sensors
GB2445372B (en) * 2007-01-03 2009-06-03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touch screen input detection
US8378981B2 (en) * 2008-05-19 2013-02-19 Atmel Corporation Capacitive sensing with high-frequency noise reduction
JP5055231B2 (ja) * 2008-09-08 2012-10-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タッチパネルのタッチ位置検出方法
TWI376624B (en) * 2008-12-23 2012-11-11 Integrated Digital Tech Inc Force-sensing modules for light sensitive screens
JP5529172B2 (ja) * 2009-03-06 2014-06-25 サー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エリア・ジェスチャによる表面容量
US8477110B2 (en) * 2011-01-04 2013-07-02 Himax Technologies Limited Driving circuit for dri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4124A (en) * 1980-03-26 1982-06-08 Intergraph Corporation Floating coordinate system
US4453551A (en) * 1981-02-25 1984-06-12 John Anderson Apparatus for pattern recognition of ECG signals for detecting fibrillation
JPS5983238A (ja) * 1982-11-04 1984-05-14 Sony Corp 位置検出装置
US4831566A (en) * 1987-03-20 1989-05-16 Summagraph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on of a charge ratio digitizer
US5251123A (en) * 1987-10-19 1993-10-05 I C Operating, Inc. High resolution system for sensing spatial coordinates
US4914624A (en) * 1988-05-06 1990-04-03 Dunthorn David I Virtual button for touch screen
US5402151A (en) * 1989-10-02 1995-03-28 U.S. Philips Corporation Data processing system with a touch screen and a digitizing tablet, both integrated in an input device
JP3109826B2 (ja) * 1990-10-19 2000-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および座標入力方法
US5191175A (en) * 1991-07-29 1993-03-02 Ncr Corporation Self-tuning digitizer control circuit and method
US5359156A (en) * 1992-11-18 1994-10-25 Tritech 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Pte Ltd Integrated circuit for digitizer table with dedicated digital signal processor for improved noise immunity
JP2986047B2 (ja) * 1993-04-29 1999-12-0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ディジタル入力用表示装置並びに入力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5579036A (en) * 1994-04-28 1996-11-26 At&T Global Information Solutions Company Touch screen device and shielding bracket therefor
US5591945A (en) * 1995-04-19 1997-01-07 Elo Touchsystems, Inc. Acoustic touch position sensor using higher order horizontally polarized shear wave propag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437B1 (ko) * 2013-02-25 2019-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 값 추출기를 포함하는 터치 감지 장치 및 필터 값 추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872A (ko) 1997-09-12
US5902967A (en) 1999-05-11
EP0789318B1 (en) 2003-05-28
DE69722278D1 (de) 2003-07-03
JPH1031544A (ja) 1998-02-03
EP0789318A1 (en) 1997-08-13
JP3220654B2 (ja) 2001-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5587B2 (en) Front-end signal compensation
US10037118B2 (en) Wide dynamic range capacitive sensing
AU2016222496B2 (en) Capacitance touch near field-far field switching
AU2007248332B2 (en) Multipoint touch surface controller
US58414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ing an offset signal in an electrostatic digitizing tablet
KR100293651B1 (ko) 정전식 디지타이징 태블릿에서의 오프셋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
JPH0876924A (ja) 低ノイズ・タッチ・スクリーン装置およびユーザ接触場所を決定する方法
US58379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in an electrostatic digitizing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