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3062B1 - Steering force variable of the power steering wheel - Google Patents
Steering force variable of the power steering whe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93062B1 KR100293062B1 KR1019970080385A KR19970080385A KR100293062B1 KR 100293062 B1 KR100293062 B1 KR 100293062B1 KR 1019970080385 A KR1019970080385 A KR 1019970080385A KR 19970080385 A KR19970080385 A KR 19970080385A KR 100293062 B1 KR100293062 B1 KR 1002930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hydraulic
- pressure
- reservoir tank
- hydraulic pum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0720 hydraulic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5—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specially adapted means for varying pressurised fluid supply based on need, e.g. on-demand, variable assi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9—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means for actuating valves
- B62D5/091—Hydraulic steer-by-wire systems, e.g. the valve being actuated by an 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조타력이 차량의 속도뿐만 아니라 차량의 중량에 따라 가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과 도로면과의 마찰력에 따라 조타력이 조절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운전자가 항상 최적의 상태로 차량을 조향시킬 수 있도록 한 파워 스티어링 휠의 조타력 가변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teering apparatus of a vehicle, and the steering force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is configured to be variable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vehicle as well as the speed of the vehicle, so that the steering forc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road surface. Accordingly, the main objective is to provide a steering force variable device of a power steering wheel that enables the driver to always steer the vehicle in an optimal state.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11)와; 차량의 높이를 감지하는 차고센서(12)와; 유압펌프(40)와 기어박스(60)의 유압 경로 상에 설치되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40)로부터 압송되는 유압의 일부를 리저버 탱크(30)로 리턴시켜 상기 기어박스(60)에 인가되는 유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50); 그리고, 상기 차속센서(11)와 상기 차고센서(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밸브(50)가 제어되도록 압력조절밸브(5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제어유니트(2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ehicle speed sensor 11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vehicle; A garage sensor 12 for sensing a height of the vehicle; Is installed on the hydraulic path of the hydraulic pump 40 and the gear box 60,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control signal to return a portion of the hydraulic pressure pumped from the hydraulic pump 40 to the reservoir tank 30 to the gear box ( A pressure regulating valve 50 for adjusting the hydraulic pressure applied to the 60; An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20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pressure control valve 50 so that the pressure control valve 50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input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11 and the garage sensor 12; Characterized in having a.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속도뿐만 아니라 차량의 중량에 따라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조타력이 가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항상 최적의 상태로 차량을 조향시킬 수 있도록 한 파워 스티어링 휠의 조타력 가변장치(Steering Power Control Device for Steering Wheel of Car)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teering apparatus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by configuring the steering force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to be vari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vehicle as well as the speed of the vehicle, so that the driver can always steer the vehicle in an optimal state. Steering Power Control Device for Steering Wheel of Car.
차량에 이용되는 파워 스티어링은 가벼운 핸들 조작력으로 차량을 선회시킬 수 있도록 장치로서, 엔진에 의하여 구동되는 유압펌프의 유압을 동력원으로 한 배력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타력은 도로면과 타이어의 마찰력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며, 이러한 마찰력을 차량의 속도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즉, 차량이 저속으로 주행하는 동안에는 차량과 도로면과의 마찰력이 크게 되며,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동안에는 차량과 도로면과의 마찰력이 작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조타력 증배기인 기어박스(5)와 유압펌프(4) 사이에 유압라인을 연결하고, 이 유압라인에 통하여 인가되는 작동압을 제어할 수 있도록 유압제어밸브(3)를 설치하며, 차속센서(1)로부터 감지되는 차속도에 따라 전자제어유니트(2)가 상기 유압제어밸브(3)의 개도율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차속센서로(1)부터 감지되는 차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전자제어유니트(2)에서 상기 유압제어밸브(3)의 개도율을 증가시키면, 바이패스되는 작동유가 증가되고 상기 유압라인을 통하여 기어박스(5)에 인가되는 작동압이 감소됨으로써, 조타력이 증가되며, 이에 따라, 핸들의 무게를 무겁게 제어되어 핸들이 갑자기 돌아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power steering used for the vehicle is a device for turning the vehicle with a light steering wheel operating force, and is a hydraulic power source using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hydraulic pump driven by the engine. In general, the steering force of the vehicle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road surface and the tire, and this frictional force is closely related to the speed of the vehicle. That is,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road surface becomes large while the vehicle travels at low speed, and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road surface becomes small while the vehicle travels at high speed. Therefore, most power steering devices, as shown in Figure 1, connecting the hydraulic line between the
그러나, 차량과 도로면과의 마찰력은 차량의 속도뿐만 아니라, 차량의 중량에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므로, 차량의 속도만을 기준으로 핸들의 무게를 제어할 경우 운전자에게 항상 최적의 조타성능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차량의 저속 주행시, 적재물의 유무에 따라 차량과 도로면 사이의 마찰력은 큰 차이를 갖게 되므로, 차속도에 따라 최적의 조타성능을 갖게 하는 핸들의 무게를 일률적으로 결정하기 어려우며, 특히, 무거운 적재물을 갖는 차량은 고속 주행시에도 도로면에 대하여 큰 마찰력을 갖게 되는데, 이때, 핸들을 무겁게 제어하게 되면 운전자가 차량을 제대로 조향시키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road surface is closely related to the weight of the vehicle as well as the speed of the vehicle, it is difficult to always provide the optimal steering performance to the driver when controlling the weight of the steering wheel based only on the speed of the vehicle. There is a problem. That is, when driving at low speed of the vehicle,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road surface has a larg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load, so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determine the weight of the steering wheel that has the optimal steer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The vehicle having a load has a large friction force against the road surface even at high speeds. At this time, if the steering wheel is heavily controlled, it is difficult for the driver to steer the vehicle properl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조타력이 차량의 속도뿐만 아니라 차량의 중량에 따라 가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과 도로면과의 마찰력에 따라 조타력이 조절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운전자가 항상 최적의 상태로 차량을 조향시킬 수 있도록 한 파워 스티어링 휠의 조타력 가변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onfiguring the steering force of the power steering device to vary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vehicle as well as the speed of the vehicle, the steering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fric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road surface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steering force varying device of the power steering wheel which allows the steering to be adjusted and thus allows the driver to always steer the vehicle in an optimal state.
도 1은 종래 파워 스티어링 휠의 조타력 가변장치의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teering force variable device of a conventional power steering whee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 휠의 조타력 가변장치의 구성도,2 is a configuration of the steering force variable device of the power steering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중 압력조절밸브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ressure control valve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차속센서, 12:차고센서, 20:전자제어유니트, 30:리저버 탱크, 40:유압펌프, 50:압력조절밸브, 51:하우징, 52:차단부재, 53:스프링, 54:영구자석, 55:전자석, 60:기어박스.11: vehicle speed sensor, 12: height sensor, 20: electronic control unit, 30: reservoir tank, 40: hydraulic pump, 50: pressure regulating valve, 51: housing, 52: blocking member, 53: spring, 54: permanent magnet, 55: electromagnet, 60: gear box.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와; 차량의 높이를 감지하는 차고센서와; 유압펌프와 기어박스의 유압 경로 상에 설치되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압송되는 유압의 일부를 리저버 탱크로 리턴시켜 상기 기어 박스에 인가되는 유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 그리고, 상기 차속센서와 상기 차고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밸브가 제어되도록 압력조절밸브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제어유니트;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speed sensor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vehicl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garage sensor for sensing a height of the vehicle; A pressure regulating valve installed on a hydraulic path of the hydraulic pump and the gear box and adjusting a hydraulic pressure applied to the gear box by returning a part of the hydraulic pressure pumped from the hydraulic pump to a reservoir tank according to an input control signal;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a pressure regulating valve so that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and the garage sensor. Characterized in having a.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 휠의 조타력 가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eering force variable device of the power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 휠의 조타력 가변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중 압력조절밸브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속센서(11), 차고센서(12), 전자제어유니트(20), 리저버 탱크(30), 유압펌프(40), 압력조절밸브(50) 및 기어박스(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ure 2 is a configuration of the steering force variable device of the power steering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ressure control valve of Figure 2, as shown, The
상기 차속센서(11)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며, 상기 차고센서(12)는 차량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이다.The
상기 리저버 탱크(30) 내에는 작동유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펌프(40)는 상기 리저버 탱크(30)에 연결되는데, 엔진의 구동에 따라 작동되며 상기 리저버 탱크(30) 내의 작동유를 압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어박스(60)는 스티어링 휠의 선회에 따라 차 바퀴를 조향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유압펌프(40)의 출력단에 유압관으로 연결되며, 인가되는 유압에 비례하는 힘으로 조타력을 배가하여 상기 차 바퀴를 조양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 기어박스(60)에서 배출되는 작동유는 상기 리저버 탱크(30)로 리턴되도록 구성된다.Hydraulic oil is stored in the
상기 유압펌프(40)와 상기 기어박스(60)를 연결되는 유압관에는 압력조절밸브(50)가 설치되며, 이 압력조절밸브(50)의 일측은 상기 리저버 탱크(30)에 연결되는데, 이 압력조절밸브(50)는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40)로부터 인가되는 작동유중 일정량을 상기 리저버 탱크(30)로 리턴시킴으로써 상기 기어박스(60)에 인가되는 유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
상기 압력조절밸브(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1), 차단부재(52), 영구자석(54) 및 전자석(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51)은 입력측이 상기 유압펌프(40)에 연결되고, 두 개의 출력측이 상기 리저버 탱크(30) 및 기어박스(60)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51) 내에 설치되는 차단부재(52)는, 상기 리저버 탱크(30)에 연결된 출력측과 입력측 사이에서 스프링(53)에 의하여 탄설되는데, 상기 유압펌프(40)로부터 입력되는 유압이 임계치 이상되면 상기 스프링(53)을 압축시키며 상기 리저버 탱크(30)와 연결된 출력측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그리고, 상기 영구자석(54)은 상기 차단부재(5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로드에 연결되는데, 이 영구자석(54)이 주변의 자력에 의하여 승하강됨에 따라 상기 차단부재(52)가 승하강됨으로써, 상기 차단부재(52)에 의한 리저버 탱크(30)에 연결된 출력측 개방정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자석(55)은 상기 영구자석(54)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자제어유니트(20)로부터 입력되는 정역 전류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54)을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n, the
상기 전자제어유니트(20)는 상기 차속센서(11) 및 차고센서(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밸브(50)로 제어신호를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압력조절밸브(50)를 통하여 리저버 탱크(30)로 리턴되는 작동유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전자제어유니트(20)에서는, 차량이 저속으로 주행할수록 그리고 차고가 낮을수록 상기 전자석(55)으로 큰 정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리저버 탱크(30)로 리턴되는 작동유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기어박스(60)에 인가되는 유압이 크도록 하며,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수록 그리고 차고가 높을수록 상기 전자석(55)으로 큰 역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리저버 탱크(30)로 리턴되는 작동유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기어박스(60)에 인가되는 유압이 작아지도록 한다.The electronic control unit 20 inputs a control signal to the
상기 차고센서(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차량의 높이 변화로부터 차량의 중량변화로 판단하여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즉, 차고가 높은 경우에는 차량의 중량이 가벼운 것으로, 차고가 낮은 경우에는 차량의 중량이 무거운 것으로 판단하여 이용된다.The signal input from 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상태에서 차고가 높은 경우에는 차량과 도로면과의 마찰력이 매우 작은 상태이다. 이때, 상기 전자제어유니트(20)에서는 상기 차속센서(11) 및 차고센서(12)로부터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전자석(55)으로 큰 역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영구자석(54)을 최대한 하강시켜서 상기 리저버 탱크(30)로 연결된 출력측을 거의 개방시켜 상기 리저버 탱크(30)로 리턴되는 작동유의 양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기 압력조절밸브(50)를 통하여 상기 기어박스(60)로 인가되는 유압이 작아지게 됨으로써, 상기 기어박스(60)에 의한 조타력이 증가되며, 이에 따라, 핸들이 무겁게 되어 차량의 바퀴가 갑자기 돌아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garage is high while the vehicle is traveling at a high speed,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road surface is very small. At this time, the
그리고, 차량이 저속으로 주행하는 상태에서 차고가 낮은 경우에는 차량과 도로면과의 마찰력이 매우 큰 상태이다. 이때, 상기 전자제어유니트(20)에서는 상기 차속센서(11) 및 차고센서(12)로부터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전자석(55)으로 큰 정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영구자석(54)을 최대한 상승시켜서 상기 리저버 탱크(30)로 연결된 출력측을 거의 폐쇄시켜서, 상기 리저버 탱크(30)로 리턴되는 작동유의 양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상기 압력조절밸브(50)를 통하여 상기 기어박스(60)로 인가되는 유압이 크게 됨으로써, 상기 기어박스(60)에 의한 조타력이 감소되며, 이에 따라, 핸들이 가볍게 되어 운전자가 차량의 바퀴를 용이하게 조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garage is low while the vehicle is traveling at a low speed,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road surface is very large. In this case, the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따른 파워 스티어링 휠의 조타력 가변장치에 의하여, 차량과 도로면의 실제 마찰력과 밀접한 관련된 차량의 속도 및 중량에 따라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조타력이 가변됨으로써, 차량과 도로면과의 실제 마찰력에 따라 조타력이 조절되게 되며, 이에 따라 운전자가 항상 최적의 상태로 차량을 조향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s can be seen by the above embodiment, the steering force of the power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speed and weight of the vehicle closely related to the actual friction force of the vehicle and the road surface by the steering force variable device of the power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varying, the steering forc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ctual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road surface, whereby the driver can always steer the vehicle in an optimal stat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 휠의 조타력 가변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steering force variable device of the power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apply the same.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80385A KR100293062B1 (en) | 1997-12-31 | 1997-12-31 | Steering force variable of the power steering whe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80385A KR100293062B1 (en) | 1997-12-31 | 1997-12-31 | Steering force variable of the power steering whee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60164A KR19990060164A (en) | 1999-07-26 |
KR100293062B1 true KR100293062B1 (en) | 2001-06-15 |
Family
ID=37526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80385A Expired - Fee Related KR100293062B1 (en) | 1997-12-31 | 1997-12-31 | Steering force variable of the power steering whe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9306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2197B1 (en) * | 2002-03-04 | 2004-10-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 device and the method of electro hydraulic power steering control in an electric automobile |
CN108462222A (en) * | 2018-02-06 | 2018-08-28 | 东莞市霸哥减震技术有限公司 | Zero-power-consumption standby device and standby management method for automobile hydraulic adjusting syste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31873A (en) * | 1985-11-30 | 1987-06-15 | Hino Motors Ltd | Power steering used in vehicle |
-
1997
- 1997-12-31 KR KR1019970080385A patent/KR10029306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31873A (en) * | 1985-11-30 | 1987-06-15 | Hino Motors Ltd | Power steering used in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60164A (en) | 1999-07-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929020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pressure control valve | |
US5447029A (en) | Hydrostatic transmission control system | |
KR100293062B1 (en) | Steering force variable of the power steering wheel | |
US4840263A (en) |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4WD torque distribution clutch providing stabilized pressure characteristics | |
KR100456058B1 (en) | Hydraulic four wheel drive vehicle | |
US5299421A (en) | Device for controlling variable capacity motor of hydraulic drive vehicle | |
JP3951325B2 (en) | Hydraulic control valve | |
KR100280307B1 (en) | Vehicle speed sensitive steering gear | |
KR100193224B1 (en) | Friction force control device of vehicle speed sensitive power steering | |
RU2058242C1 (en) | Electrohydraulic device for semiautomatic adjustment of tension of self-propelled machine track | |
KR920006150A (en) | Car Active Suspension | |
KR100329059B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damping character of shock absorber at vehicle | |
JPS582100B2 (en) | Steering force control device for power steering device | |
KR0120209Y1 (en) | Vehicle Active Suspension | |
KR19980017126A (en) | Automotive Power Steering Pressure Hose System | |
KR100259537B1 (en) | Power steering device | |
JPS58180379A (en) | Power steering unit | |
KR0166181B1 (en) | Pressure control valve of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 |
KR100244113B1 (en) | Power steering with pressure regulating structure | |
KR100268086B1 (en) | Speed sensitive power steering system | |
KR200187359Y1 (en) | Power cylinder of automotive power steering | |
JPH0375385B2 (en) | ||
JPH024864Y2 (en) | ||
KR100259527B1 (en) | Power steering of the car | |
KR970074487A (en) | Control method of power stee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103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22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