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2258B1 -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for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2258B1
KR100292258B1 KR1019980020110A KR19980020110A KR100292258B1 KR 100292258 B1 KR100292258 B1 KR 100292258B1 KR 1019980020110 A KR1019980020110 A KR 1019980020110A KR 19980020110 A KR19980020110 A KR 19980020110A KR 100292258 B1 KR100292258 B1 KR 100292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signal
transmission path
transmiss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1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86927A (en
Inventor
성태민
Original Assignee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장병우
Priority to KR1019980020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2258B1/en
Publication of KR19990086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69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258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53Procedure or protocol for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PURPOSE: A signal transmitting device of an elevator is provided, thereby the problems and disorders can be self-diagnosed. CONSTITUTION: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of an elevator serially transmits the signals from an elevator-controlling device(401) with a network transmission controlling device, car controlling device(407) with a network transmission controlling device, and multiple elevator controlling devices(403-406) into each device, wherein the car controlling device(407) and multiple elevator controlling devices(403-406) are composed of a problems and disorders detecting means which detects the problems and disorders in a transmission line; an one chip processor which supervises the program status and prints the problems and disorders detecting signal; and a transmission line separating means which separates the transmission line from itself when the numbers of problems and disorders detected are over.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FOR ELEVATOR}Signal Transmitter of Elevator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각 제어기간에 네트워크 형태의 직렬신호 전송계를 이루고 있는 시스템에서 국지적인 고장에 적절하게 대처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트워크상에서 각 제어기의 국지적인 고장으로 인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거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한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properly coping with a local failure in a system that forms a serial signal transmission system in a network form in each control period of an elevator, and in particular, the function of the entire network due to the local failure of each controller in the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 transmission device of an elevator th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erted or deteriorated.

최근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각 제어장치에 마이크로 컴퓨터가 적용되어 그들의 세분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각 제어장치간에는 고속 또는 대용량의 신호 전송계가 형성되고, 엘리베이터의 제어기능도 적당한 장소의 각 제어장치에 의해 분산처리되기도 한다. 이러한 고속 및 대용량의 실시간 신호처리를 위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에 LAN(LAN: Local Area Network)을 구축하는 사례도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에서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카측을 대상으로 입출력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필수적으로 직렬의 신호전송계가 요구되며,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많은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또한, 이러한 직렬신호 전송계에서 직렬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많은 기술이 제안되었다.In recent years, microcomputers have been applied to each control device of an elevator system to enable their subdivision and miniaturization. In addition, a high-speed or high-capacity signal transmission system is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control devices, and the control function of the elevator may also be distributedly processed by each control device in a suitable place. There is an example of building a local area network (LAN) in an elevator system for such high speed and large capacity real time signal processing.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elevator system in order to control the input and output to the platform or elevator car side, a serial signal transmission system is essentially required, and many stud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o satisfy these requirements. In addition, many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serial communication in such a serial signal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특히 엘리베이터 제어계에 있어서, 그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엘리베이터 신호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트워크상에서 각 제어기의 국지적인 고장으로 인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기능불능이나 저하를 방지하는데 적당하도록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relates to an elevator signal transmission system that directly affects the performance of an elevator control system, and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preventing malfunction or degradation of the entire network due to local failure of each controller in the network.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서 직렬 정보 전송계의 전체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할 입출력 전송 제어장치(102)를 통해 카측 및 층상의 단말장치와 통신하면서 그 통신내용에 따라 엘리베이터 운행을 총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01)와; 후술할 카 입출력 단말장치(105A),(105B)와 네트워크 전송선로(L30B)를 통해 직렬 전송계를 구축하고, 층상 입출력 단말장치(106A),(106B)와 별도의 네트워크 전송로(L30A)를 통해 직렬 전송계를 구축하는 입출력 전송 제어장치(102)와; 원거리에서 관리되는 별도의 장치인 유저 커맨드 단말장치(104)와 네트워크 전송로(L30)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01)와의 직렬 전송계를 형성하는 네트워크 전송 제어장치(103)와; 엘리베이터의 서비스에 관련된 서비스 안내 패널(107A)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카 입출력 단말장치(105A)와; 엘리베이터의 카 내부 또는 상부에서 행선층 표시기(107B)로의 입력을 제어하는 카 입출력 단말장치(105B)와; 안내표시기(108A) 또는 홀부름버튼(108B)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층상 입출력 단말장치(106A)와; 안내표시기(109A) 또는 홀부름버튼(109B)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층상 입출력 단말장치(106B)로 구성되었다.1 is an overall block diagram of a serial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in an eleva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1, to communicate with terminal devices on a car side and a floor through an input / output transmission control device 102 to be described later. And elevator control device 101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vator; A serial transmission system is constructed through car input / output terminal devices 105A and 105B and network transmission line L30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layered input / output terminal devices 106A and 106B and a separate network transmission line L30A are connected. An input / output transmission control device (102) for establishing a serial transmission system through the control unit; A network transmission control device (103) for forming a serial transmission system with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1) through a user command terminal device (104) and a network transmission path (L30), which are separate devices managed at a distance; A car input / output terminal device 105A for controlling the input / output of the service guide panel 107A related to the service of the elevator; A car input / output terminal device 105B for controlling the input to the destination floor indicator 107B in or inside the car of the elevator; A layered input / output terminal device 106A for controlling the input / output of the guide indicator 108A or the hall call button 108B; The layered input / output terminal device 106B for controlling the input / output of the guide indicator 109A or the hall call button 109B.

도 2는 도 1에서 층상 입출력 단말장치의 상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층상의 안내표시기 또는 홀부름버튼의 입출력을 총괄 제어하는 원칩(One Chip) 프로세서(201)와; 상기 원칩 프로세서(201)의 제어를 받아 그 원칩 프로세서(201)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전송로(L3OA)에 접속된 신호전송용 펄스트랜스(T1)측으로 출력하는 송신회로(202)와; 상기 신호전송용 펄스트랜스(T1)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처리하여 상기 원칩 프로세서(201)측으로 출력하는 수신회로(203)와; 상기 원칩 프로세서(201)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수신처리하여 카내 또는 승강장측 표시기에 출력하는 출력회로(204) 및 그 표시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원칩 프로세서(201)측으로 출력하는 입력회로(206),(207)와; 상기 원칩 프로세서(201)의 프로그램 처리동작을 감시하는 와치독 타이머(208)와; 상기 와치독 타이머(208)의 출력정보를 기억하는 기억회로(209)로 구성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엘리베이터 신호전송계의 작용을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layered input / output terminal in FIG. 1, and a one chip processor 201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input and output of a guide indicator or a hall button on the corresponding floor; A transmission circuit 202 which is controlled by the one chip processor 201 and outputs data outputted from the one chip processor 201 to a signal transmission pulse transformer T1 connected to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L3OA; A receiving circuit 203 for receiving data input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pulse transformer T1 and outputting the received data to the one chip processor 201; An output circuit 204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data output from the one-chip processor 201 and outputting it to an in-car or platform-side indicator and an input circuit 206 for processing data output from the indicator and outputting the data to the one-chip processor 201. , 207; A watchdog timer 208 for monitoring a program processing operation of the one-chip processor 201; Referring to Figure 3 attached to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signal transmission system configured as a memory circuit 209 for storing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watchdog timer 208 as follows.

네트워크 전송 제어장치(103)는 원거리에서 관리되는 별도의 장치인 유저 커맨드 단말장치(104)와 네트워크 전송로(L30)를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01)와의 직렬 전송계를 형성하고, 입출력 전송 제어장치(102)는 복수의 승강장에서 엘리베이터 운전에 관계되는 안내표시기(108A),(109A) 등의 입출력 또는 홀부름버튼(108B), (109B)의 입력을 제어하는 층상 입출력 단말장치(106A),(106B)와 네트워크 전송로(L30A)를 통해 직렬 전송계를 구축한다.The network transmission control device 103 forms a serial transmission system with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1 through the user command terminal device 104 and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L30, which are separate devices managed at a long distance, and input / output transmission control device. Reference numeral 102 is a floor input / output terminal device 106A for controlling input / output of guide indicators 108A, 109A, etc. or input of hall buttons 108B, 109B related to elevator operation in a plurality of platforms. 106B) and a network transmission line (L30A) to establish a serial transmission system.

또한, 상기 네트워크 전송 제어장치(103)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 또는 상부에서 카 내부의 서비스 안내 패널(107A), 행선층 표시기(107B) 등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복수개로 존재할 수 있는 카 입출력 단말장치(105A),(105B)와 별도의 네트워크 전송로(L30B)를 통하여 직렬 전송계를 구축한다.In addition, the network transmission control device 103 may be present in a plurality of car input and output terminal device 105A to control the input and output of the service guide panel 107A, destination floor indicator 107B, etc. in the car inside or above the elevator car. ) And 105B and a serial transmission system through a network transmission path L30B.

여기서, 상기 층상 입출력 단말장치(106A),(106B)의 작용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 the operation of the layered input / output terminal devices 106A and 106B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와치독 타이머(208)는 원칩 프로세서(201)의 내부에 있는 중앙처리장치(201A)의 프로그램 처리에 대한 감시기능을 수행한다. 즉, 와치독 타이머(208)는 중앙처리장치(201A)가 정기적으로 자신의 병렬통신용 출력포트(PO22)의 출력단자(Q7)에 변화된 출력펄스(WDTP)를 출력하는지 감시하여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될 때 그에 따른 이상검출신호(S)를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발생된 이상검출신호(S)가 한편으로는 그 중앙처리장치(201A)에 리세트신호로 공급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기억회로(209)에 저장된다.The watchdog timer 208 performs a monitoring function for program processin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1A in the one-chip processor 201. That is, the watchdog timer 208 turns out tha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1A does not monitor and output the changed output pulse WDTP to the output terminal Q7 of its parallel communication output port PO22 on a regular basis. When the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S is generated, the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S generated on the one hand is supplied as a reset sig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1A on the one hand, and the memory circuit 209).

이에 따라 상기 기억회로(209)는 출력단자(Q)를 통해 송신회로(202)에 송신제어신호(TXEN)을 출력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원칩 프로세서(201)에서 네트워크 전송로(L30A)측으로 전송되는 신호가 그 송신회로(202)에서 차단된다.Accordingly, the memory circuit 209 outputs the transmission control signal TXEN to the transmission circuit 202 through the output terminal Q, thereby transmitting from the one chip processor 201 to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L30A. The signal to be cut is cut off at the transmitting circuit 202.

상기 송신회로(202)에서의 신호 차단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ignal blocking operation in the transmission circuit 20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s follows.

상기 신호 차단동작은 트랜지스터(Q1)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와치독 타이머(208)에서 출력되는 이상검출신호(S)가 상기 기억회로(209)에 기억되고, 그 기억회로(209)에서 출력되는 송신제어신호(TXEN)에 의해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된다.The signal block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transistor Q1. That is, the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S output from the watchdog timer 208 is stored in the memory circuit 209 and the transistor Q1 is transmitt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 signal TXEN output from the memory circuit 209. Is off.

여기서, 상기 원칩 프로세서(201)의 직렬 입출력포트(SIO21)에서 출력되는 송신데이터(TXDATA) 및 클럭신호(CLK)에 의하여 트랜지스터 구동회로(301)가 구동되고,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Q2),(Q3)가 계속적으로 구동되더라도 트랜지스터(Q1)가 구동되지 않으면 신호전송용 펄스트랜스(T1)가 구동되지 않으므로 결국, 네트워크 전송로(L30A)에 더 이상의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Here, the transistor driving circuit 301 is driven by the transmission data TXDATA and the clock signal CLK outputted from the serial input / output port SIO21 of the one-chip processor 201, whereby the transistors Q2 and Q3. ) Is continuously driven, but if the transistor Q1 is not driven, the signal transmission pulse transformer T1 is not driven. Consequently, no further signal is output to the network transmission line L30A.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에 있어서는 이상검출 수단인 와치독 타이머는 네트워크 전송로에 대한 고려가 조금도 되어있지 않아 네트워크 전송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그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와치독 타이머가 이상을 검출하기 전까지는 네트워크 전송로에 데이터를 전송할 가능성 즉, 네트워크 전송로를 교란시킬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며, 이상을 검출한 후에 송신회로를 차단하고 중앙처리장치를 리세트시키는 자기복구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왜냐하면, 대개의 고장은 영구적인 것이기 때문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the watchdog timer, which is an error detection means, has little consideration for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and thus,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it is impossible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There was a problem. In addition, until the watchdog timer detects an abnormality, the possibility of transmitting data to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that is, the possibility of disturbing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cannot be completely excluded. After detecting the abnormality, the transmission circuit is blocked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turned off. It has a self-resetting function to reset, bu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rocess is repeated repeatedly. Because most failures are permanent.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네트워크 전송로에 접속되어 있는 임의의 장치가 네트워크 전송로에 대한 이상검출 및 자기고장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이상이나 자기고장이 수회 이상 반복되는 경우에는 해당 장치를 관리 대상에서 영구적으로 분리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ny device connected to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to detect abnormality and magnetic failure for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and when the error or magnetic failure is repeated several times or 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vator signal transmission device that permanently separates a device from a management object.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 직렬 정보 전송계의 전체 블록도.1 is an overall block diagram of an elevator serial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에서 층상 입출력 단말장치의 상세 블록도.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layered input / output terminal in FIG. 1. FIG.

도 3은 도 2에서 송신회로의 상세 회로도.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transmission circuit in FIG.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네트워크 직렬 전송계의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of an elevator network serial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서 네트워크 전송제어장치의 상세 블록도.5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network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in FIG. 4;

도 6은 카 제어장치 또는 승강장 제어장치의 상세 블록도.6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car control device or a platform control device.

도 7은 전송 제어부의 일실시 구현예를 보인 상세 회로도.7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401 :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402 : 네트워크 전송제어장치401: elevator control unit 402: network transmission control unit

403-406 : 승강장 제어장치 407 : 카 제어장치403-406: Platform control device 407: Car control device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직렬 전송계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의 운전을 총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401)와; 한편으로는 듀얼포트 램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401)와 병렬통신을 수행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네트워크 전송로(11L)를 통하여 승강장 제어장치(403-406) 및 카 제어장치(407)와 네트워크 직렬 전송계를 구축하는 네트워크 전송 제어장치(402)와; 복수의 승강장에서 발생되는 홀부름신호 또는 엘리베이터 운전에 관계되는 안내표시기의 입출력을 제어하고, 고장 발생횟수를 카운트하여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때 상기 네트워크 전송로(11L)를 차단시키는 승강장 제어장치(403-406)와; 엘리베이터 카 내부 또는 상부에서 카 내부의 행선층 표시기(407B)의 입력과, 엘리베이터의 서비스와 관련된 안내표시기(407A)의 입출력을 제어하고, 고장 발생횟수를 카운트하여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때 상기 네트워크 전송로(11L)를 차단시키는 카 입출력 제어장치(407)로 구성하였다.4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serial transmission system in an elevator control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as shown therein, an elevator control device 401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elevator car; On the one hand, it performs parallel communication with the elevator control device 401 through the dual port RAM, and on the other hand, the platform control device 403-406 and the car control device 407 through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11L. A network transmission control device 402 for establishing a network serial transmission system; Platform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input and output of the guidance call associated with the hall call signal or elevator operation generated in a plurality of platforms, and blocks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11L) when the number of failures is counted and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s exceeded. 403-406); Control the input of the destination floor indicator 407B in the car or the inside of the elevator and the input / output of the guide indicator 407A related to the service of the elevator and count the number of failures to exceed the preset number of times. The car input / output control device 407 cuts off the transmission path 11L.

도 5는 상기 도 4에서 네트워크 전송제어장치(402)의 일실시 구현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의 중앙처리장치가 처리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내부의 워치독 타이머가 정기적으로 리세트되도록 하여 그 중앙처리장치의 프로그램처리에 대한 감시 기능을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원칩 프로세서(501)와; 신호전송용 펄스트랜스(T51)를 통해서는 상기 네트워크 전송로(11L)와 접속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원칩 프로세서(501)와 접속되어 네트워크 전송로(11L) 또는 원칩 프로세서(501)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여 네트워크 전송로(11L)로의 접속을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502)와; 상기 원칩 프로세서(501)와 접속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401)와 데이터의 병렬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듀얼포트 램(503)과; 네트워크 전송로(11L)에 접속되어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전송용 펄스트랜스(T51)와; 상기 펄스트랜스(T51)의 바이어스에 사용되는 저항(R51,R52) 및 파워 온시 상기 원칩 프로세서(501)를 리세트시키기 위한 리세트 회로(504) 및 버퍼(505)로 구성하였다.FIG. 5 is a detailed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network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402 in FIG. 4. As shown in FIG. 4, an internal watchdog timer is periodically executed by a program processed by an internal CPU. A one-chip processor 501 which is reset so as to perform a monitoring function for program processin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by itself; The signal transmission pulse transformer T51 is connected to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11L and, on the other hand, is connected to the one-chip processor 501 and there is an abnormality of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11L or the one-chip processor 501. A transmission control unit 502 for determining the control and controlling the connection to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11L; A dual port RAM 503 connected to the one chip processor 501 to perform parallel communication of data with the elevator controller 401; A signal transmission pulse transformer T51 connected to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11L and outputting a pulse signal; The resistors R51 and R52 used for biasing the pulse transformer T51 and a reset circuit 504 and a buffer 505 for resetting the one-chip processor 501 at power-on are configured.

도 6은 네트워크 전송제어장치(402)와 네트워크 직렬 전송계를 형성하고 있는 카 제어장치(407) 또는 승강장 제어장치(403-406)의 일실시 구현예를 보인 블록도로서 이는 상기 도 5와 유사한 구성을 갖으며, 단지 듀얼포트 램 대신에 부가적으로 승강장 및 카 상부 또는 내부에 요구되는 입출력회로(603)를 구비한다는 것이 다른 점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ar controller 407 or a platform controller 403-406 forming a network serial transmission system with a network transmission controller 402, similar to FIG. The difference is that it has an input / output circuit 603 required in addition to the boarding point and the car in addition to the dual port RAM.

도 7은 네트워크 전송제어장치(402) 및 카 제어장치(407), 승강장 제어장치(403- 406)의 내부에서 네트워크 전송로(11L)의 이상 유무 및 원칩 프로세서(501),(601)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여 네트워크 전송로(11L)로의 접속을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502,602)의 일실시 구현예를 보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전송로(11L)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여 그에 따른 판정신호를 출력하는 리트리거블 멀티바이브레터(701)와; 상기 리트리거블 멀티바이브레터(701)에서 출력되는 이상검출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704)와; 원칩 프로세서(501)에서의 이상 발생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708)와; 상기 카운터(704) 또는 카운터(708)의 카운트값이 소정치를 초과할 때 전송로차단용 릴레이(RY71)를 오프시키기 위한 낸드게이트(705),(709),앤드게이트(710) 및 트랜지스터(Q71)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7 shows the abnormality of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11L and the abnormality of the one-chip processor 501 and 601 in the network transmission control device 402, the car control device 407, and the platform control devices 403-406. A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502, 602 which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and controls the connection to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11L, as shown therein, the existence of an abnormality of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11L is checked and the result is determined accordingly. A retrievable multivibrator 701 for outputting a signal; A counter 704 for counting the number of abnormal detections output from the retriggerable multivibrator 701; A counter 708 for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of abnormal occurrence in the one-chip processor 501; NAND gates 705, 709, and gates 710 and transistors for turning off the transmission-blocking relay RY71 when the count value of the counter 704 or counter 708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Q71), and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엘리베이터 제어장치(401)가 네트워크 전송제어장치(402)를 통해 승강장 제어장치(403-406)나 카 제어장치(407)와 직렬통신을 수행하여 하나의 제어장치에서 일정 횟수 이상의 고장이 검출되는 경우 해당 제어장치를 네트워크 전송로(11L)에서 분리시키게 되는데, 그들의 구성이 서로 유사하고, 그들과의 통신방법 또한 유사하므로 아래의 작용 설명에서는 카 제어장치(407)와의 직렬통신을 예로한다.When the elevator control device 401 performs serial communication with the platform control device 403-406 or the car control device 407 via the network transmission control device 402 and detects a failure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one control device. The control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11L. Since their configuration is similar to each other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with them is also similar, serial operation with the car control device 407 is taken as an examp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먼저, 각 제어장치에 전원이 투입되면 리세트회로(604)에 의해 원칩 프로세서(601) 및 전송제어부(602) 내부의 카운터(704),(708)는 초기화 된다.First, when power is supplied to each control device, the counters 704 and 708 in the one-chip processor 601 and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602 are initialized by the reset circuit 604.

네트워크 전송로(11L)(11L=11A,11B)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기 위해 신호전송용 펄스트랜스(T61)의 1차코일을 그 전송로(11A,11B)에 접속하고, 2차코일의 일측 탭(A)을 도 7에서와 같이 리트리거블 멀티 바이브레터(701)의 트리거 단자(T+)에 접속하였다.In order to determine the abnormality of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11L (11L = 11A, 11B), the primary coil of the signal transmission pulse transformer T61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paths 11A, 11B, and one side of the secondary coil. The tap A was connected to the trigger terminal T + of the retriable multivibrator 701 as shown in FIG.

이때, 엘리베이터 제어장치(401)측의 네트워크 전송제어장치(402)에서는 카 제어장치(407) 및 승강장 제어장치(403-406)와 직렬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네트워크 전송로(11L)상에 정기적으로 신호를 출력한다.At this time, the network transmission control device 402 on the elevator control device 401 side periodically on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11L to perform serial communication with the car control device 407 and the platform control devices 403-406. Output the signal.

따라서, 상기 멀티 바이브레터(701)는 상기의 경로를 통해 네트워크 전송로(11L)상에 정기적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검출할 수 있게 되는데, 만약, 그 신호를 검출하지 못할 때에는 어떠한 이유로 인하여 네트워크 전송로(11L)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정한다.Accordingly, the multi-vibrator 701 can detect a signal that is regularly transmitted on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11L through the path. If the signal cannot be detected,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is for some reason.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at 11L.

이를 위해, 전원단자(VCC)를 직접 리트리거블 멀티 바이브레터(701)의 입력단자(-T),(CLR)에 접속함과 아울러 저항(R71)을 통해서는 입력단자(RC)에 접속하고, 다시 콘덴서(C71)를 통해서는 입력단자(CX)에 접속하였다.For this purpose, the power supply terminal VCC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s -T and CLR of the retriggerable multivibrator 701 and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RC through the resistor R71. Again, the condenser C71 wa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CX.

따라서, 상기 네트워크 전송로(11A,11B), 신호전송용 펄스트랜스(T61)의 2차코일의 일측 탭(A)을 통해 상기 신호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저항(R71) 및 콘덴서(C71)로 결정되는 시정수에 의해 그 리트리거블 멀티 바이브레터(701)가 반복적으로 트리거되어 그의 출력단자(Q)에서 계속적으로 ″로우″가 출력된다.Accordingly, when the signal is normally supplied through one side tap A of the secondary coil of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s 11A and 11B and the signal transmission pulse transformer T61, the resistor R71 and the capacitor C71 are used. The retriggerable multivibrator 701 is repeatedly triggered by the time constant determined to be " low " at its output terminal Q continuously.

그러나, 네트워크 전송로(11A,11B)로부터 리트리거블 멀티 바이브레터(701)에 신호가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리트리거블 멀티 바이브레터(701)의 출력단자(Q)에서 ″하이″ 펄스가 출력되고, 이는 상기 카운터(704)의 입력단자(A)에 공급되어 그의 카운트값이 하나 증가하게 된다.However, when a signal is not normally supplied from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s 11A and 11B to the retrievable multivibrator 701, a ″ high ″ pulse is output at the output terminal Q of the retrievable multivibrator 701. Is output, which is supplied to the input terminal A of the counter 704 to increase its count value by one.

상기 경로를 통해 8회 이상 이상 검출을 하는 경우 상기 카운터(704)의 출력단자(Qa),(Qb),(Qc)에 모두 ″하이″가 출력되므로 낸드게이트(705)에 ″로우″가 출력되고, 이에 의해 앤드게이트(710)의 출력단자에 ″로우″가 출력되어 트랜지스터(Q71)가 오프된다. 따라서, 전송로차단용 릴레이(RY71)가 오프되어 카 제어장치(407)가 네트워크 전송로(11L)에서 분리된다.When detecting more than eight times through the path, ″ high ″ is output to all of the output terminals Qa, Qb, and Qc of the counter 704, so that ″ low ″ is output to the NAND gate 705. As a result, " low " i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AND gate 710, so that the transistor Q71 is turned off. Therefore, the transmission path blocking relay RY71 is turned off to disconnect the car control device 407 from the network transmission path 11L.

이때, 상기 낸드게이트(705)에서 출력되는 ″로우″ 신호가 인버터(702)를 통해 ″하이″ 신호로 반전되어 3상태버퍼(703)의 제어단자에 공급되고, 이에 의해 상기 리트리거블 멀티 바이브레터(701)의 출력신호가 그 3상태버퍼(703)에 의해 차단되므로 이후의 이상 검출에 의한 카운트 동작이 중단된다.At this time, the ″ low ″ signal output from the NAND gate 705 is inverted to a ″ high ″ signal through the inverter 702 and supplied to the control terminal of the tri-state buffer 703, whereby the retrievable multi-vibration is performed. Since the output signal of the letter 701 is blocked by the three-state buffer 703, the count operation by the subsequent abnormal detection is stopped.

다음은 각 제어장치의 자체 고장에 의한 처리를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processing by each fault of each control device.

최근에 이르러 중앙처리장치의 프로그램 처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워치독 타이머는 거의 상용화 되어 있으며, 원칩 프로세서 내부에 그 회로를 내장하고 있는 것이 많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In recent years, watchdog timers capable of effectively proces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have been commercially available, and many of them have embedded circuits inside one-chip processors.

또한, 원칩 프로세서는 자체적으로 리세트처리를 수행한 것과 동시에 주변 하드웨어를 리세트시키기 위해 리세트신호를 출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one-chip processor performs a reset process on its own and outputs a reset signal to reset the peripheral hardware.

예로써, 도 6에서 원칩 프로세서(601) 내부의 워치독 타이머(601C)가 중앙처리장치(CPU61)의 프로그램처리에 대한 감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처리장치(CPU61)가 처리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워치독 타이머(601C)가 정기적으로 리세트되도록 한다.For example, in FIG. 6,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61 processes the watchdog timer 601C inside the one-chip processor 601 to perform a monitoring function for the program processin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61. The watchdog timer 601C is periodically reset by the program.

여러 가지의 원인에 의해 이러한 처리 오류는 워치독 타이머(601C)의 고장검출로 귀착되고 이에 의해 원칩 프로세서(601)가 리세트된다. 상기 원칩 프로세서(601)가 리세트되면, 이때, 병렬통신용 입출력포트(PIO61),입출력회로(603)를 통해 리세트신호(C.REST),(P.REST)가 출력된다.Due to various reasons, such processing error results in failure detection of the watchdog timer 601C, whereby the one-chip processor 601 is reset. When the one-chip processor 601 is reset, reset signals C.REST and P.REST are output through the parallel communication input / output port PIO61 and the input / output circuit 603.

상기 리세트신호(C.REST),(P.REST)는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3상태 버퍼(707)를 통해 카운터(708)에 공급되어 카운트되고, 이와 같은 경로를 통해 수회(예: 8회) 이상의 고장이 검출되면 낸드게이트(709)에서 ″로우″ 신호가 출력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전송로차단용 릴레이(RY71)가 오프되어 해당 제어장치가 네트워크 전송로(11L)에서 분리된다.The reset signals C.REST and P.REST are supplied to the counter 708 through the tri-state buffer 707 and counted as described above, and are repeated several times (for example, 8). Is detected, the " low " signal is output from the NAND gate 709, whereby the transmission line blocking relay RY71 is turned off, and the control device is disconnected from the network transmission line 11L.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엘리베이터 카의 입출력신호를 제어하는 카 제어장치 및 복수의 승강장에서 승강장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승강장 제어장치는 각각 네트워크 전송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공통의 전송로에 접속되어 각 장치간에는 신호의 직렬전송을 행하는 엘리베이터 신호전송 시스템에서, 카 입출력장치, 승강장 제어장치는 전송로의 이상을 검사하여 이상이 검출되면 자신을 전송로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각 제어장치는 전송로의 이상에 따르는 각종 부작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로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전송로에서 자신을 분리시킴으로써 전송로의 고장 요인이 원천적으로 제거되어 엘리베이터 신호전송 시스템의 네트워크 전송 제어계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궁극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 고장 검출회로를 구비한 각 제어장치가 수회 이상의 고장을 검출하는 경우 전송로로의 접속을 완전히 분리시킴으로써 네트워크 전송 제어장치를 구비한 각 제어장치에 영구적인 고장이 발생되어 네트워크 전송로에 장애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vator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the car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input and output signals of the elevator car and the platform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input and output of the platform in a plurality of platforms, respectively, network transmission control In an elevator signal transmission system that includes a device and is connected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and performs serial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the devices, the car input / output device and the platform control device check the abnormality of the transmission path and,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transmits itself from the transmission path. By separating, each controller has an effect of preventing various side effects due to abnormalities in the transmission path. That is, when data cannot be received from the elevator controller through the transmission path, the failure factor of the transmission path is essentially eliminated by separating itself from the transmission path,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network transmission control system of the elevator signal transmission system. As a result, the reliability of the elevator system is improved. In addition, when each control device having a magnetic failure detection circuit detects a failure of several times or more, the connection to the transmission path is completely disconnected, thereby causing a permanent failure in each control device having the network transmission control devi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a disorder.

Claims (4)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401)와, 엘리베이터 카의 입출력신호를 제어하는 카 제어장치(407) 및 복수의 승강장에서 승강장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승강장 제어장치(403-406)가 각각 네트워크 전송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공통의 전송로에 접속되어 각 장치간에는 신호의 직렬전송을 행하는 엘리베이터 신호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 제어장치(407) 및 승강장 제어장치(403-406)는 상기 전송로의 이상을 검출하여 그에 따른 이상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이상검출수단과; 내부의 프로그램 처리상태를 감시하여 이상이 검출될 때 그에 따른 이상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원칩 프로세서와; 상기 이상검출수단이나 원칩 프로세서로부터 공급되는 이상검출 횟수를 각기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값이 소정치를 상회할 때 전송로로부터 자신을 분리하는 전송로 분리수단을 각기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The elevator controller 40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the car controller 407 for controlling the input / output signals of the elevator car, and the platform controllers 403-406 for controlling the input / output of the platforms in a plurality of platforms are respectively networked. In an elevator signal transmission device having a transmission control device and connected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to perform serial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the devices, the car control device 407 and the platform control device 403 to 40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bnormality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and outputting an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according thereto; A one-chip processor that monitors an internal program processing state and outputs an error detection signal accordingly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The elevator signal comprising a transmission path separating means each counting the number of abnormal detections supplied from 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or the one-chip processor and separating the self from the transmission path when the count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Transmiss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401)는 전송로상에 필요한 최적의 신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송로의 이상 및 자체 고장으로 인하여 전송로에서 접속이 분리되었던 카 제어장치(407) 및 승강장 제어장치(403-406)에 대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The car controller 407 of claim 1, wherein the elevator controller 401 is disconnected from the transmission path due to an abnormality of the transmission path and its own failure in order to maintain the optimum signal required on the transmission path. And the platform control apparatus (403-406) so as not t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카 제어장치(407) 및 승강장 제어장치(403-406)는 전송로상에 최적의 신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상 및 고장 원인이 해소될때까지 전송로로의 접속을 허용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2. The car control apparatus (407) and the platform control apparatus (403-406) according to claim 1, in order to maintain an optimum signal on the transmission path, the connection to the transmission path until the cause of the abnormality and failure is resolved. Elevator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not to allow. 제1항에 있어서, 전송로 분리수단은 전송로(11L)를 통해 정기적으로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 이상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리트리거블 멀티바이브레터(701)와; 상기 리트리거블 멀티바이브레터(701)로부터 출력되는 이상검출신호를 카운트하는 카운터(704)와; 원칩 프로세서(501)로부터 출력되는 이상검출신호를 카운트하는 카운터(708)와; 상기 카운터(704) 또는 카운터(708)의 카운트값이 일정치를 초과할 때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각각의 낸드게이트(705),(709)와; 상기 낸드게이트(705),(709)의 출력신호를 앤드조합하는 앤드게이트(710)와; 상기 앤드게이트(710)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송로차단용 릴레이(RY71)의 구동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Q71)와; 상기 이상검출신호의 카운트값이 일정치를 초과할 때 상기 전송로(11L)로부터 해당 카 제어장치나 승강장 제어장치를 분리하는 전송로차단용 릴레이(RY7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2. The transmission path separating mean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triggerable multivibrator (701) for outputting an abnormal detection signal when a signal is not periodically input through the transmission path (11L); A counter 704 for counting the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retriggerable multivibrator 701; A counter 708 for counting the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one chip processor 501; Respective NAND gates 705 and 709 which output a " low " signal when the counter value of the counter 704 or counter 708 exceeds a certain value; An AND gate 710 for and combining the output signals of the NAND gates 705 and 709; A transistor (Q71) for controlling driving of a transmission-blocking relay (RY71)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signal of the AND gate (710); When the count value of the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an elevator signal transmission comprising a transmission path blocking relay (RY71) for separating the car control device or the platform control device from the transmission path 11L. Device.
KR1019980020110A 1998-05-30 1998-05-30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for elevator KR1002922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110A KR100292258B1 (en) 1998-05-30 1998-05-30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for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110A KR100292258B1 (en) 1998-05-30 1998-05-30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for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927A KR19990086927A (en) 1999-12-15
KR100292258B1 true KR100292258B1 (en) 2001-06-01

Family

ID=3752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110A KR100292258B1 (en) 1998-05-30 1998-05-30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for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225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2303A1 (en) * 2022-09-06 2024-03-14 Inventio Ag Elevator system with data-power nodes for elevator operating termi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927A (en)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54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e dual modular redundancy
KR890014366A (en) Elevator control system
CN105071957A (en) CAN bus fault diagnosis method and system
US11169491B2 (en) Safety switch
US68508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monitoring of a measurement and control device
US9689929B2 (en) Two wire combined power and data network system segment with fault protection device
KR100292258B1 (e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for elevator
US10606703B2 (en) Monitoring circuit
US10379144B2 (en) Arrangement having two redundant modules
US10681191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receiving device
JPS6015380A (en) Remote monitor device for elevator
JPS63159923A (en) Signal input/output device for digital controller
US4896321A (en) Self-monitoring system
CN220455472U (en) Switch detection device and robot
JPS6398242A (en) Series data exchanger
KR20030017769A (en)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Module for Reliable System Considering Safety
JP2002288010A (en) Monitoring device
JPH09292928A (en) Clock signal source monitoring device
JPH05250195A (en) Health check control system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170123197A (en) Power measuring system
JP2680473B2 (en) Watchdog mechanism
JPH03190340A (en) Signal branch device
KR0157862B1 (en) Communication line error protecting circuit of dual system
JPS62171344A (en) Occupation prevention system for modem circuit
JPS61114302A (en) Safety pro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