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0557B1 - 물건수납운반용포대 - Google Patents

물건수납운반용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0557B1
KR100290557B1 KR1019980031858A KR19980031858A KR100290557B1 KR 100290557 B1 KR100290557 B1 KR 100290557B1 KR 1019980031858 A KR1019980031858 A KR 1019980031858A KR 19980031858 A KR19980031858 A KR 19980031858A KR 100290557 B1 KR100290557 B1 KR 100290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bag
opening
inlet
se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3158A (ko
Inventor
안광호
Original Assignee
안순근
흥원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순근, 흥원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순근
Priority to KR1019980031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0557B1/ko
Publication of KR20000013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8Strings or strip-like closures, i.e. draw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을 넣는 입구의 봉함 작업이 손쉬우며, 입구의 봉함 상태에서 포대의 균형이 잘 이루어지고 손쉽게 포대를 운반할 수 있는 물건 수납 운반용 포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물건수납 운반용 포대는 물건 삽입을 위하여 일측의 입구는 개방되고 타측은 재봉된 원통형의 포대에 있어서,
상기 개방된 입구의 천의 단부를 접어 끈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재봉한 끈 삽입부와;
상기 끈 삽입부의 서로 대향되는 2 지점을 외부에 대하여 개방시킨 개구부와;
상기 양측 개구부를 통하여 양단이 밖으로 길게 인출가능하도록 상기 끈 삽입부에 끼워져 있는 고리 형상의 조임끈으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물건 수납 운반용 포대
본 발명은 농산물이나 각종 물건들을 담아 운반하는 포대, 특히 개방된 입구의 봉함 및 손잡이용 조임끈을 구비하는 물건 수납 운반용 포대에 관한 것이다.
각종 물건을 담아 보관하거나 운반하기 위하여 포대(부대 또는 마대라고도 함)가 사용되고 있다.
볏섬 등의 알곡을 수용하기 위한 전통적인 포대로는 볏짚을 엮어 만든 가마니 등이 있으나, 최근에는 합성수지재로된 스트립상 섬유를 가로 세로로 엮어 직조한 형태의 포대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원형직기로부터 원통형으로 직조된 포대의 일단의 개방부는 재봉질을 하여 봉하고, 타측은 물건의 수납을 위하여 개방된 상태로 놓아 둔다.
개방부를 통하여 물건을 포대 내부에 수용시킨 상태에서는 물건이 쏟아지거나 흐트러지는 방지하기 위하여 개방부를 봉함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 개방부를 별도의 끈으로 묶거나 또는 끈 조임식 반바지등의 원리를 이용하여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포대(20)의 개방부(21, 입구)의 단부를 접어 재봉질하므로써 끈(22)이 통과할 수 있는 끈 삽입부(23)를 형성하고 끈 삽입부(23)의 일단을 외부에 대해 개구(24)시킨 후 그 개구부(24)를 통하여 끈(22)을 삽입하여 타측으로 빼내서 노출시켜 놓은 것이 있다.
이와 같은 끈 조임식의 경우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물건을 포대(20)에 삽입 후에 끈(22)의 노출단부를 잡아당겨 조이면 포대(20)의 입구(21)가 주름이 생기면서 뒤쪽으로 밀려 오므라들어 입구가 봉해지게 되며, 길게 노출된 끈은 봉입부가 풀어지지 않도록 잡아묶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묶음 끈 조임 방식에 의하면 내용물이 좁아진 입구 때문에 외부로 쏟아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는 있으나 주름잡혀 봉함된 입구(21)가 포대(20)의 일측으로 쏠려 있어 중심 유지가 곤란하고 마찰력이 커서 일측으로 주름을 모는 작업에 힘이 많이 들게 되며, 또한 포대를 운반시에는 포대를 들고 다니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내용물을 넣는 입구의 봉함 작업이 손쉬우며, 입구의 봉함 상태에서 포대의 균형이 잘 이루어지고 손쉽게 포대를 운반할 수 있는 물건 수납 운반용 포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물건 수납 운반용 포대는 물건 삽입을 위하여 일측의 입구는 개방되고 타측은 재봉된 원통형의 포대에 있어서,
상기 개방된 입구의 천의 단부를 접어 끈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재봉한 끈 삽입부와;
상기 끈 삽입부의 서로 대향되는 2 지점을 외부에 대하여 개방시킨 개구부와;
상기 양측 개구부를 통하여 양단이 밖으로 길게 인출가능하도록 상기 끈 삽입부에 끼워져 있는 고리 형상의 조임끈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의 기재에 의하면 상기 고리형상의 조임끈의 중간 부분은 상기 끈 삽입부에 재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청구항 3의 기재에 의하면 상기 끈 삽입부에는 2개의 고리 형상의 조임끈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개구부를 통하여 밖으로 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의 기재에 의하면 상기 2개의 고리형상의 조임끈은 각각의 개구부를 통하여 밖으로 인출된 단부가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물건 수납 운반용 포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 포대의 평면에서의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물건을 수납한 후의 포대의 입구를 봉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 조임끈의 변형된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 조임끈의 변형된 실시예이다.
도 6과 도 7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대 2 : 재봉부
3 : 입구(개방부) 4 : 공간부
5 : 재봉부 6 : 끈 삽입부
7 : 개구부 8 : 조임끈
9 : 재봉부 81,82 : 조임끈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로 나타내는 물건 수납 운반용 포대는 섬유 또는 합성수지재의 원통형으로 직조되고 일단은 실로써 재봉한 재봉부(2)가 형성되고, 타측은 물건을 집어넣도록 개방된 개방부(3, 입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방된 입구(3)의 천의 단부는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접어 공간부(4)가 형성되도록 수평으로 재봉(5)하므로써 끈 삽입부(6)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끈 삽입부(6)는 서로 대향되는 2개소의 지점을 외부에 개방시킨 개구부(7a)(7b)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개구부(7a)(7b)를 통하여 조임끈이 삽입되어 끈 삽입부(6)의 공간부(4)를 한바퀴 돌아 고리 형상을 이루게 되며, 조임끈(8)이 맞닿는 경계 부위는 끈 삽입부(6)의 중간 부분에 위치시킨 후 포대의 중간 부위의 양측을 재봉(9)으로 박아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리형상의 조임끈(8)의 양단(8a)(8b)은 상기 양측 개구부(7a)(7b)를 통해 밖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입구(3)를 통하여 물건을 포대(1)내로 삽입한 후 입구(3)를 닫기 위해서 조임끈(8)의 양단(8a)(8b)을 잡고 개구부(7a)(7b)의 양쪽으로부터 끈 삽입부(6)를 중심쪽으로 밀어내면 끈 삽입부(6)가 주름이 잡히면서 오므라들게 되며, 이에따라 조임끈(8)의 외부 노출 길이가 길어져 도 3과 같이 되므로써 조임끈(8)을 손잡이로 삼아 포대(1)의 운반이 손쉬워지게 되며, 오므라든 입구(3) 부분이 포대(1)의 중앙에 위치하여 무게 중심이 잘 유지되고 노출된 조임끈(8)의 양단(8a)(8b)을 서로 묶어줄 수도 있으며, 끈의 중간이 재봉되어 있어 포대(1)의 입구가 양측으로부터 오므라들게되기 때문에 끈과의 마찰이 크더라도 오므라들도록 밀어넣는 작업이 손쉽게 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로서 도 1 실시예가 1개의 조임끈(8)이 사용된데 반하여 2개의 조임끈(81)(82)이 사용되었으며, 각 조임끈(81)(82)의 일단(81a)(82a)이 각 개구부(7a)(7b)를 통해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조임끈(81)(82)을 사용시에는 포대의 끈 삽입부(6) 중간 부위를 재봉질하여 끈을 고정시키지 아니하여도 무방하며, 그의 사용례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5는 도 4 실시예에 있어서 밖으로 노출된 조임끈(81)(82)의 단부가 이어지지 않고 끊어져 있는 상태, 즉 一자형 줄을 끼워 양단이 나란하도록 각 개구부(7a)(7b)로부터 인출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노출된 끈을 운반 손잡이로 사용시에는 폐고리를 형성하도록 묶어주면 되며, 입구(3)를 단단히 조여붙인 후 서로 얽히도록 묶어주게 되면 묶음의 견고성이 보장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양측으로 돌출이 가능한 조임끈이 포대 끈 삽입부에 삽입되어 있어 내용물을 포대에 넣은 후 조임끈의 양단을 잡고 끈 삽입부를 중심측으로 몰아 밀어넣으면 오므라들면서 입구가 봉함되어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양측으로 길게 돌출된 조임끈의 양단이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되어 포대의 운반에 매우 편리하며, 주름이 중앙에 모아지게 되므로써 포대의 무게 중심이 유지되고 입구를 봉함하는 작업에 힘이 덜 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물건 삽입을 위하여 개봉된 입구의 천의 단부를 접어서 끈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재봉한 끈 삽입부와, 상기 끈 삽입부의 대향측 2지점을 외부에 대하여 개방시킨 개구부와, 상기 끈 삽입부로 삽입되며 고리형상의 양단이 2지점의 개구부를 통하여 밖으로 인출되어 있는 조임끈으로 구성되는 원통형의 포대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의 조임끈의 중간부분은 상기 끈 삽입부에 재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수납 운반용 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끈 삽입부에는 2개의 고리형상의 조임끈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조임끈 양단은 서로 대향되는 개구부를 통하여 각각의 일단이 밖으로 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수납 운반용 포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고리형상의 조임끈 양단은 개구부를 통해 밖으로 인출된 채 단부가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수납 운반용 포대.
KR1019980031858A 1998-08-05 1998-08-05 물건수납운반용포대 KR100290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858A KR100290557B1 (ko) 1998-08-05 1998-08-05 물건수납운반용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858A KR100290557B1 (ko) 1998-08-05 1998-08-05 물건수납운반용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158A KR20000013158A (ko) 2000-03-06
KR100290557B1 true KR100290557B1 (ko) 2001-11-22

Family

ID=19546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858A KR100290557B1 (ko) 1998-08-05 1998-08-05 물건수납운반용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05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60Y1 (ko) * 2012-04-02 2012-08-03 이인묵 소금 포장용 포대
KR20220141039A (ko) 2021-04-12 2022-10-19 (주)대원실업사 행낭마대 결속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60Y1 (ko) * 2012-04-02 2012-08-03 이인묵 소금 포장용 포대
KR20220141039A (ko) 2021-04-12 2022-10-19 (주)대원실업사 행낭마대 결속장치
KR20230169027A (ko) 2021-04-12 2023-12-15 (주)대원실업사 행낭마대 결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158A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8464B1 (en) Laundry retention device
KR930003318B1 (ko) 포대
US3547341A (en) Draw string bag
US3997943A (en) Bag closure clip
US6287002B1 (en) Draw cord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 top of a fabric carrier
US3599690A (en) Carrying bag
US11160342B2 (en) Foldable bag
KR100290557B1 (ko) 물건수납운반용포대
KR101419790B1 (ko) 벨크로 타입 마대
US2808091A (en) Bag
KR20000018055A (ko) 과일봉투
US20050201642A1 (en) Flexible reach-through cord holder
KR900007541Y1 (ko) 자루 봉합구
CN218663174U (zh) 一种抽拉易系式袋子
KR900009947Y1 (ko) 곡물용 포대
KR101504645B1 (ko) 마대가 부착된 포장박스
GB2287693A (en) Closure for a flexible bag
WO2024080098A1 (ja) 寝袋収納用バッグ及び寝袋セット
JP3600777B2 (ja) ループ状紐の結束構造
KR820000999Y1 (ko) 등산, 낚시 겸용 배낭
KR200369757Y1 (ko) 합성수지재 멜빵끈 일체형 봉지
GB2273919A (en) Bag closure
KR20170032619A (ko) 내피와 그를 사용한 포대
CN2072516U (zh) 织入扎口带子的包装编织袋
KR890006948Y1 (ko) 보안서류 배달용 행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