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991B1 - 정확한 높이 세팅과 진동을 최소화한 농구대 - Google Patents

정확한 높이 세팅과 진동을 최소화한 농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991B1
KR100285991B1 KR1019980055461A KR19980055461A KR100285991B1 KR 100285991 B1 KR100285991 B1 KR 100285991B1 KR 1019980055461 A KR1019980055461 A KR 1019980055461A KR 19980055461 A KR19980055461 A KR 19980055461A KR 100285991 B1 KR100285991 B1 KR 100285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hoop
brace
main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9957A (ko
Inventor
이만복
Original Assignee
이만복
주식회사승경체육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56318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8599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만복, 주식회사승경체육산업 filed Critical 이만복
Priority to KR1019980055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991B1/ko
Publication of KR20000039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9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8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 A63B63/083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for baske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37Basketb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 경기중 농구에서 골을 넣을 수 있게 한 중요 시설물인 네트를 부설한 링을 백 보드에 설치하여 일정 높이로 유지시키는 농구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구대의 메인 포스트와 리어 포스트 사이에 버팀대를 부설하고, 상체 포스트의 구조 변경하여 진동 영향을 저감하고 실내 경기장에서 농구대가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하기에 적당하며 정확한 높이 세팅과 진동을 최소화 한 농구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백 보드의 배면 하부에 Y 자로 지지되는 상체 포스트와, 백 보드 상부 배면에서 상기 상체 포스트의 후방으로 지지되어 역삼각구조로 고정되는 백 프레임과, 그리고 이송용 바퀴를 저부에 갖는 하체 대차인 베이스가 구비되어, 이 베이스 전방으로부터 상체 포스트에 힌지 결합으로 연결되는 메인 포스트와, 그 후방에 힌지 결합으로 연결되는 리어 포스트로 구성된 농구대에 있어서, 메인 포스트와 리어 포스트 사이에 버팀대를 설치하고 상체 포스트는 채널형 포스트의 개구가 서로 맞대어져 부착 고정된 하나의 일체형 구조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정확한 높이 세팅과 진동을 최소화한 농구대
본 발명은 농구 경기에서 골을 넣을 수 있게 한 중요 시설물인 네트를 부설한 링을 백 보드에 설치하여 일정 높이로 유지시키는 농구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구대의 메인 포스트와 리어 포스트 사이에 버팀대를 부설하고, 상체 포스트의 구조를 변경하여 진동 영향을 저감하고 실내 경기장에서 농구대가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하기에 적당하며 정확한 높이 세팅(setting)과 진동을 최소화한 농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구는 길이 방향으로 평행한 엔드라인과 폭 방향으로 평행한 사이드라인으로 구획된 장방형의 운동장에 센터 라인과 서클, 프리드로 라인과 서클을 가지고 상기 양측 엔드라인의 중앙 후방으로 링에 네트를 부설하고, 이 링을 백 보드에 고정하여 지지 대로써 상기 링이 일정 높이에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5명을 한 팀으로 두 팀이 경기를 하며, 한 명의 주심과 두 명의 선심으로 경기를 진행하며, 20분씩 전ㆍ후반으로 40분간 경기 시간을 갖는 아마추어 경기와, 10분씩 4쿼터로 40분간 경기 시간을 갖는 프로 경기가 있다.
한편, 이러한 농구대는 상기에서 전술한데로 링에 네트를 부설하고, 이 링을 백 보드에 고정하여 지지대로써 상기 링이 일정 높이에 유지되도록 구성되는데, 이 지지대는 야외 경기장에서는 붙박이로 할 수도 있지만 경기장을 여러 용도로 활용하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이동 가능하고 보관을 위해 절첩 가능한 지지대로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농구대는 처음 농구장에 세팅할 때 적정한 높이 세팅되어야 하며, 선수의 안전측면에서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짐이 바람직하면서도 진동 영향에 의해 경기에 장애가 되어서는 안 된다.
특히, 선수가 볼을 손에 쥔 상태에서 링에 볼을 직접 꽂아 넣는 덩크슛을 할 때에는 선수가 링을 잡고 몸의 균형을 유지한 후 낙하하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링을 백 보드에 고정한 부분에서부터 선수가 골밑 플레이를 할 때 장애를 받지 않도록 한 그 하부로의 지지대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농구대의 지지대 구조를 도 1에 따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백 보드(10)의 배면 하부에 Y자로 지지되는 상체 포스트(20)와, 백 보드(10) 상부 배면에서 상기 상체 포스트(20)의 후방으로 지지되어 역삼각 구조로 고정되는 백 프레임(21)과, 그리고 이송용 바퀴를 저부에 갖는 하체 대차인 베이스(50)가 구비되어, 이 베이스(50) 전방으로부터 상체 포스트(20)에 연결되는 메인 포스트(30)와, 그 후방에 연결되는 리어 포스트(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선수의 안전을 위하여 상기 상체 포스트(20)와, 메인 포스트(30) 및 베이스(50)에는 충격완화 용도의 프로텍터(A,B,C)를 커버한다.
이러한 종래의 구성에서 간과된 부분이 있는데, 이를 실험 관찰한 결과 상기 메인 포스트(30) 및 리어 포스트(40)를 베이스(50)와 상체 소프트(20)사이에 각각 힌지결합할 때 단순히 홀을 뚫고 볼트나 핀으로 결합함에 따른 제조 공차에 의해 헐거움 결합이 된다는 것에 의하여, 구조적 강성의 저하와 진동을 전체에 고르게 분산시키지 못함에 따른 진동 영향의 문제점을 알았다.
또한 지지대의 연결부재들이 관체로 형성되는데 따른 각 부분의 내부(상체 포스트(20) 내부의 진동 영향이 큼)에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한 공명으로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현상들은 볼이 링에 충격을 주거나 특히 덩크슛을 한 후에 그 진동 영향으로 링이 미세하게 떨리는 현상에 의해 슛에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또한 힌지부의 헐거움은 농구대의 사용에 따라 그 헐거움을 가속화하여 농구대의 진동 흡수의 불균형은 물론 내구성에도 문제가 된다.
한편 경기용 농구대는 백보드 밑면의 높이(국제농구연맹 및 대한농구협회 규정: 3050mm)가 정확히 세팅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농구대들이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은, 모터(도시안됨)에 의해서 높이가 상승되다가 리미트스위치(도시안됨)에 의해 전원이 끊어지면서, 높이가 멈추는 방식이어서 모터의 회전이 반바퀴 혹은 그 이상 전,후진함에 따라, 그 오차에 의한 높이를 잡을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어서 높이를 규정에 비슷하게만 고정시켜 놓고 경기를 함에 따라 정확한 농구대의 높이 세팅을 이루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농구대의 메인 포스트와 리어 포스트 사이에 진동흡수용 버팀대를 부설하여 턴버클 결합구조에 의한 길이가변으로 눙구대의 정확한 높이 세팅을 이루게 하고, 상체 포스트를 구조 변경하여 진동 영향을 저감하고 실내 경기장에서 농구대가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하기에 적당한 진동 영향을 고려한 농구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백 보드의 배면 하부에 Y자로 지지되는 상체 포스트와, 백 보드 상부 배면에서 상기 상체 포스트의 후방으로 지지되어 역삼각 구조로 고정되는 백 프레임과, 그리고 이송용 바퀴를 저부에 갖는 하체 대차인 베이스가 구비되어, 이 베이스 전방으로부터 상체 포스트에 힌지결합으로 연결되는 메인 포스트와, 그 후방에 힌지결합으로 연결되는 리어 포스트로 구성된 농구대에 있어서, 메인 포스트와 리어 포스트 사이에 버팀대를 설치하고 상체 포스트는 채널형 포스트의 개구가 서로 맞대어져 부착 고정된 하나의 일체형 구조물로 형성된다.
제1도는 종래 농구대의 사시도.
제2a도는 본 발명의 정면도.
제2b도는 본 발명의 절첩상태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버팀대를 보인 분리 사시도.
제4a도는 본 발명의 상체 포스트 정면도.
제4b도는 제3a도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백 보드 20A : 상체 포스트
21A : 채널형 포스트 22A : 개구
30 : 메인 포스트 40 : 리어 포스트
50 : 베이스 60 : 버팀대
61 : 볼트 62 : 암나사부
63 : 핸들 70 : 실린더
80 : 인터록 스위치
이하에서 본 발명을 양호한 실시예의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백 보드(10)의 배면 하부에 Y자로 지지되는 상체 포스트(20)와, 백 보드(10)상부 배면에서 상기 상체 포스트(20)의 후방으로 지지되어 역삼각 구조로 고정되는 백 프레임(21)과, 그리고 이송용 바퀴를 저부에 갖는 하체 대차인 베이스(50)가 구비되어, 이 베이스(50) 전방으로부터 상체 포스트(20)에 힌지연결되는 메인 포스트(30)와, 그 후방에 힌지연결되는 리어 포스트(40)로 구성된 농구대에 있어서, 메인 포스트와 리어 포스트 사이에 버팀대(60)를 설치하되, 이 버팀대는 메인 포스트와 리어 포스트에 각각 핀 결합되는 볼트(61)와, 이 볼트(61)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62)를 양단의 내경에 갖고, 상기 버팀대의 중간에 핸들(63)이 부설되고, 상기 메인 포스트(30)에는 실린더(70)의 로드(71)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체 포스트(20A)는 한 쌍의 채널형 포스트(21A)의 개구(22A)가 서로 맞대어 부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버팀대(60)의 메인 포스트(30)로부터의 회전 반경상의 메인 포스트 상부에는 인터록 스위치(80)를 부설하여 접점 온되어야만 실린더가 언로딩되어 상기 농구대의 절첩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농구대의 힌지결합구조 등 여하한의 구조가 견실하더라도 덩크슛 등의 하중을 받을시 진동영향은 클 수밖에 없는데, 이때 주요한 버팀대인 메인 포스트(30)와 리어 포스트(40)간을 적절히 지지해 주는 버팀대(60)에 의해 충격을 지지 흡수하도록 된다. 즉, 이는 핸들(63)을 이용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턴버클의 작용을 하여서 그 간격의 조절이 자유로워 적절한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농구대의 높이 세팅에 있어서 모터에 의해 오차가 날 수 있는 부분의 높이를 일단 리미트스위치에 의해 전원이 끊어진 상태에서도 버팀대(60) 중간부위의 핸들(63)을 수동으로 돌리면서 정확한 높이에 세팅시킬 수 있으므로 국제농구연맹(F.I.B.A) 및 대한농구협회(K.B.A)의 주관 하에 개최되는 국내외의 모든 경기에서 정확한 높이의 골(GOAL)을 향해서 경기를 치를 수 있는, 국제규정에 꼭 맞는 농구대를 제공하여 국가 대표선수들이 외국의 국제시합에서도 좋은 경기를 치를 수 있게 국내에서의 적응력을 높여 줄 수 있다.
한편, 농구시합이 끝나고 이 농구대를 이동 보관할 때 이를 접어두게 되는데, 이때 버팀대(6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절첩작용을 이루게 하면 농구대에 억지부하가 작용되어 버팀대(60)나 각 힌지결합부가 망실되는 사태가 발생되기 때문에 버팀대(60)의 리어 포스트(40)측에 결합된 볼트(61)로부터 자유롭게 해제된 상태에서 이를 절첩하여, 그 상단이 메인 포스트(30) 상부의 인터록 스위치(80)에 결합시켜 줌으로써 접점이 온되어 농구대의 절첩작용이 비로소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체 포스트(20A)는 개구(22A)가 서로 통하게 플랜지가 맞닿은 채널형 포스트(21A)를 맞대기 결합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일반적인 사각프레임인 경우에 비하여 구조적 강도의 증진은 물론 내부 진동에 의해 공명음을 흡수하기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농구대의 메인 포스트와 리어 포스트 사이에 진동흡수용 버팀대를 부설하고 상체 포스트를 구조 변경하여 진동을 최소화하며, 농구대의 정확한 높이 세팅으로 경기력의 향상에 이바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백 보드(10)의 배면 하부에 Y자로 지지되는 상체 포스트(20)와, 백 보드(10) 상부 배면에서 상기 상체 포스트(20)의 후방으로 지지되어 역삼각 구조로 고정되는 백 프레임(21)과, 그리고 이송용 바퀴를 저부에 갖는 하체 대차인 베이스(50)가 구비되어, 이 베이스(50) 전방으로부터 상체 포스트(20)에 힌지연결되는 메인 포스트(30)와, 그 후방에 힌지연결되는 리어 포스트(40)로 구성된 농구대에 있어서, 메인 포스트와 리어 포스트 사이에 버팀대(60)를 설치하되, 이 버팀대는 메인 포스트와 리어 포스트에 각각 핀 결합되는 볼트(61)와, 이 볼트(61)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62)를 양단의 내경에 갖고, 상기 버팀대의 중간에 핸들(63)이 부설되고, 상기 메인 포스트(30)에는 실린더(70)의 로드(71)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절첩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버팀대(60)의 메인 포스트(30)로부터의 회전 반경상의 메인 포스트 상부에는 인터록 스위치(80)를 부설하여 접점 온되어야만 실린더가 언로딩되어 상기 농구대의 절첩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정확한 높이 세팅과 진동을 최소화한 농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체 포스트(20A)는 한 쌍의 채널형 포스트(21A)의 개구(22A)가 서로 맞대어 부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정확한 높이 세팅과 진동을 최소화한 농구대.
KR1019980055461A 1998-12-16 1998-12-16 정확한 높이 세팅과 진동을 최소화한 농구대 KR100285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461A KR100285991B1 (ko) 1998-12-16 1998-12-16 정확한 높이 세팅과 진동을 최소화한 농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461A KR100285991B1 (ko) 1998-12-16 1998-12-16 정확한 높이 세팅과 진동을 최소화한 농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957A KR20000039957A (ko) 2000-07-05
KR100285991B1 true KR100285991B1 (ko) 2001-04-16

Family

ID=19563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461A KR100285991B1 (ko) 1998-12-16 1998-12-16 정확한 높이 세팅과 진동을 최소화한 농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9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504B1 (ko) 2007-02-12 2008-12-08 (주)승경체육산업 전자센서 측정에 의한 자동 제어 농구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898B1 (ko) * 2016-07-05 2016-10-24 동화체육주식회사 농구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504B1 (ko) 2007-02-12 2008-12-08 (주)승경체육산업 전자센서 측정에 의한 자동 제어 농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957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2319A (en) Convertible sports stand construction
KR100751625B1 (ko) 볼 게임용 훈련 장치
US5531438A (en) Batting practice device
US4407507A (en) Portable soccer goal
US5413340A (en) Adjustable goal frame
US6287220B1 (en) Soccer practice return net
US5018746A (en) Field game apparatus and method
US5513843A (en) Convertible practice system for field goal kicking
US6979274B1 (en) Portable, foldable goal assembly
US4116446A (en) Game net support apparatus
KR20120087982A (ko) 구기 종목 경기를 위한 접을 수 있는 골문 장치
US20220362645A1 (en) Ball and hoop game
US20010055993A1 (en) Foldable play-table multi-game assembly
US7429223B2 (en) Gate for a paddle and ball game
US5613676A (en) Sporting net
US4765619A (en) Table tennis apparatus
KR100285991B1 (ko) 정확한 높이 세팅과 진동을 최소화한 농구대
US5139256A (en) Ball game and net therefor
US4160550A (en) Golf putting frame game device
CA2230194C (en) Gameboard, especially tableboard for ball games
US6688994B2 (en) Batting aid
WO2003004103A2 (en) A portable multi-functional ball game apparatus
US5348293A (en) Tethered tennis game
US20210299536A1 (en) Hitting Practice Device
US4971335A (en) Toss ball gam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15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427

Effective date: 2015102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0316

Effective date: 201512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60129

Effective date: 2016061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043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222

Effective date: 201612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17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0000714;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131

Effective date: 201706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300001307;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60707

Effective date: 2016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