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735B1 - 무선통신시스템의옥외기지국환경관리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의옥외기지국환경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735B1
KR100285735B1 KR1019980009589A KR19980009589A KR100285735B1 KR 100285735 B1 KR100285735 B1 KR 100285735B1 KR 1019980009589 A KR1019980009589 A KR 1019980009589A KR 19980009589 A KR19980009589 A KR 19980009589A KR 100285735 B1 KR100285735 B1 KR 100285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ain control
control module
modul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9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5399A (ko
Inventor
박병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9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735B1/ko
Publication of KR19990075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7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옥외 기지국 환경 관리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환경 관리 장치는, 기지국 상위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를 통하여 기지국 상위 시스템과 연결되고, 환경 관리 장치의 운용을 제어하는 호스트 장치와 연결되며, 자체 검사 절차를 통해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기지국의 경보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경보를 호스트 장치에 보고하는 주 제어 모듈, 주 제어 모듈의 명령에 의해서 기지국 장치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여 주 제어 모듈로 보고하며, 기지국의 발생 경보를 출력하는 입/출력 모듈 및 주 제어 모듈의 명령에 의해서 기지국의 회선 상태를 진단하여, 발생된 경보를 호스트 장치에 항상 정상적으로 보고할 수 있도록 하는 회선 절체 모듈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주 제어 모듈은 기지국 장치 내부와 외부의 현재 온도, 기지국 장치 내부의 현재 습도, 그리고 정류기, 회선 절체 모듈 및 입/출력 모듈과의 통신 상태; 화재 경보 상태, 도어 개/폐 상태, 습기 검출, 에어콘 동작 상태, 열 교환기 동작 상태 및 직류 및 교류 전원 상태에 대한 경보를 발생하여 호스트 장치로 보고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옥외 기지국 환경 관리 장치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Radio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옥외(Outdoor) 기지국 환경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에서 상위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별도의 관리 장치 없이 무인으로 동작이 가능한 기지국 환경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95에 의하면 통상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은,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Mobile Station: MS)과, 일정 영역내의 이동 단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 운용되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은 상기 이동 단말과 기지국 외에, 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와,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를 운영 관리하는 기지국 관리 시스템(Base Station Manager System: BSM), 상기 기지국을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ublish Switching Telephone Network: PSTN)로 연결하는 이동 교환기 시스템(Mobile Switching Center: MSC) 및 상기 교환기 시스템과 연결되어 이동 단말의 서비스 상태를 관리하는 위치 등록 시스템(Home Location Register: HLR)등을 포함한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은 기지국 상위 시스템인 기지국 제어기 및 기지국 관리 시스템과 연결된다.
기지국 프로세서(30)는 게이트웨이 통신 인터페이스 네트워크(Gateway Communication Interface Network: GCIN)(20)와 국부 통신 인터페이스 네트워크(Local Communication Interface Network: LCIN)(22) 및 기지국 통신 인터페이스 네트워크(BTS Communication Interface Network: BCIN)(24) 등을 통해 기지국 관리 시스템(10)과 연결된다.
기지국이 양호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자체적인 검사 절차(self-test procedure)를 통해 자신의 상태를 진단한 뒤, 검사 결과를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해야 한다. 도 1 에 나타낸 무선 경보 수집 장치(Radio Alarm Collecting Assembly: RACA)(32)는 기지국의 자체적인 검사 결과 발생된 경보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기지국 관리 시스템(10)은 검사 결과를 통해 기지국(30)에서 발생된 장애를 인지하여, 시스템의 운용자가 해당 장애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는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다.
도 2 는 미국 특허 제 5,095,500 호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 기술에 의한 기지국 진단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면 다수의 기지국(101)(106)(111)과 연결된 운용 유지보수 및 제어 장치(Operation Maintenance and Control Unit: OMCU)(116)는 일정 영역 내에서 운용중인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0)의 위치를 알아낸다. 그리고 운용 유지보수 및 제어 장치(116)와 연결된 다수의 기지국(101)(106)(111)과 이동 단말(100) 사이에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와 품질을 모니터한다. 운용자는 CRT(Cathode-Ray Tube)(118)와 네트워크 단말 장치(119)를 사용하여 모니터링된 기지국의 상태 메시지를 보고 최적의 통신 상태가 되도록 각종 파라미터를 조정한다.
도 3 은 미국 특허 제 5,297,193 호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 기술에 의한 기지국 진단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시스템에서는 공동 네트워크(Public network)(202)를 구성하고 있는 서비스 제어기(Service Control Point: SCP)(214)(215)는 어느 한 기지국으로부터 유지보수 메시지를 전달받아 서비스 관리 시스템(Service Management System: SMS)(216)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서비스 관리 시스템(216)은 유지보수 메시지를 받아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고 저장하여, 운용자가 기지국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비스 관리 시스템(216)은 가입자 관리 서버(Subscriber management server: STA)(217), 사용자 액세스 서버(user access server: SAU)(218) 및 기지국 관리 및 통계 서버(Station management server - Statistic server :SGB-SDS)(21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러 운용 장치(Operation Unit)(207)로 상태 정보를 보고하고 운용자의 명령을 수신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기지국 진단 시스템은 상위 시스템에서 제공하지 않는 환경 요소에 대한 별도의 관리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기지국 단위의 무인 환경 관리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기지국 단위의 무인화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기지국의 상위 시스템에서 제공하지 않는 기지국의 각종 환경 요소를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별도의 환경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하기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기지국 진단 시스템의 구성도.
도 3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기지국 진단 시스템의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옥외 기지국 환경 관리 장치의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옥외 기지국 환경 관리 장치의 실장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지국 관리 시스템 20 : GCIN
22 : LCIN 24 : BCIN
30 : 기지국 프로세서 32 : 무선 경보 수집 장치(RACA)
40 : 주 제어 모듈(MCM) 42 : 회선 절체 모듈(LBM)
44 : 입/출력 모듈(IOM) 46 : 전원 모듈
50 : 호스트 장치 52 : 모뎀
60 : 단말 장치 100 : 이동 단말
101,106,111 : 기지국 102,107,112 : 모니터
103,108,113 : 위치 등록기 105,110,115 : 셀
116 : 운용 유지 보수 및 제어 장치 117 : 계측 도구
118,122 : CRT 119,121 : 네트워크 단말 장치
120 : 디스트 201 : 분배 네트워크
202 : 네트워크 204,207 : 관리 장치
210,211 : 주 제어기(CO) 212,213 : 서비스 교환기(SSP)
214,215 : 서비스 제어기(SCP) 216 : 서비스 관리 시스템(SMS)
217 : 가입자 관리 서버(STA) 218 : 사용자 액세스 서버(SAU)
219 : 기지국 관리 및 통계 서버(SGB-SDS)
300,310 : 기본 랙 320 : 전원 랙
330,340,350,360 : 증설 랙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기지국 상위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를 통하여 기지국 상위 시스템과 연결되고, 환경 관리 장치의 운용을 제어하는 호스트 장치와 연결되며, 자체 검사 절차를 통해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기지국의 경보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경보를 호스트 장치에 보고하는 주 제어 모듈;
상기 주 제어 모듈의 명령에 의해서 기지국 장치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여 주 제어 모듈로 보고하며, 기지국의 발생 경보를 출력하는 입/출력 모듈; 및
상기 주 제어 모듈의 명령에 의해서 기지국의 회선 상태를 진단하여, 발생된 경보를 호스트 장치에 항상 정상적으로 보고할 수 있도록 하는 회선 절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 모듈은 공중 네트워크를 통해서 기지국 상위 시스템과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 제어 모듈은, 상기 입/출력 모듈을 통해 기지국에서 수집된 각종 상태 정보를 설정된 경보 발령 기준 데이터와 자체적으로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 제어 모듈과 호스트 장치 간의 통신은 RS-422에 의한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HDLC) 통신을 기본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 제어 모듈은, 모뎀을 통하여 호스트 장치로부터 회선 진단 명령이 내려진 경우, 상기 회선 절체 모듈을 통하여 회선을 진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 제어 모듈은, 회선 진단 결과 이상이 발생한 경우 다이얼-업 모뎀을 통해 호스트 장치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 제어 모듈은, 초기 상태에서, 상주하는 모니터 프로그램만으로 구동되며, 상기 모니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호스트 장치로부터 환경 관리 장치의 운용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메모리 상에 상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 제어 모듈은, 응용 프로그램의 수정 및 변경이 필요한 경우 호스트 장치로부터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 제어 모듈은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회선의 이상시 다이얼-업 모뎀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화 번호와, 경보 발령 기준 데이터를 다운로드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되는 경보 발령 기준 데이터는, 온도 한계치, 습도 한계치, 교류 입력 전압 한계치, 정류기 출력 전압 한계치 및 현재 시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호스트 장치는, 주 제어 모듈로 루프-백 진단 및 기지국의 정류기 원격 셧-다운 또는 회복을 명령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 제어 장치는 재구동할때 상기 호스트 장치로, 기지국 장치 내부와 외부의 현재 온도, 기지국 장치 내부의 현재 습도, 그리고 정류기, 회선 절체 모듈 및 입/출력 모듈과의 통신 상태, 화재 경보 상태, 도어 개/폐 상태, 습기 검출, 에어콘 동작 상태, 열 교환기 동작 상태 및 직류 및 교류 전원 상태를 보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 제어 장치는 경보 발령 기준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경보가 발생하는 경우 호스트 장치로 자동 보고하며, 최근 발생 경보 정보를 보관하고 있다가 호스트 장치의 요구에 의하여 전체 경보 정보를 보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입/출력 모듈과 상기 주 제어 모듈 간의 통신은 RS-485 에 의한 비동기 통신을 기본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입/출력 모듈은, 주 제어 모듈의 폴링 방식에 의해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입/출력 모듈이 상기 주 제어 모듈로 보고하는 데이터는, 기지국 장치 내부와 외부의 현재 온도, 기지국 장치 내부의 현재 습도, 화재 경보 상태, 도어 개/폐 상태, 습기 검출, 에어콘 동작 상태, 열 교환기 동작 상태, 교류 입력 전압, 정류기의 직류 출력 전압 및 경보 케이블의 탈장 상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입/출력 모듈은 주 제어 모듈에서 발생된 경보 내용을 디지털 출력 상태 TTL:O.C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선 절체 모듈과 상기 주 제어 모듈 간의 통신은 RS-485 에 의한 비동기 통신을 기본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선 절체 모듈은, 주 제어 모듈에 의한 폴링 방식에 의해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선 절체 모듈은 모듈의 온-라인 상태와 루프-백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선 절체 모듈은 주 제어 모듈의 명령에 의해서 기지국과 기지국 상위 시스템 간의 회선을 루프-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 제어 모듈은 기지국에 공급되는 교류 상용 전원과 정류기 출력 전압을 감시하고 전원에 대한 교류 입력 전압을 감시하여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제어하는 전원 모듈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원 모듈과 주 제어 모듈 간의 통신은 RS-422 에 의한 비동기 통신을 기본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원 모듈에서 수집되는 상태 정보는, 정류기 장애 상태, 직류 과전류, 배터리 장애, 교류 입력 장애, 직류 상한치, 배터리 하한치 및 직류 하한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원 모듈은 주 제어 모듈의 명령에 의해서 정류기를 셧-다운 또는 회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 제어 모듈은, 환경 관리 장치의 운용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 제어 모듈과 단말 장치 간의 통신은 RS-232C 에 의한 비동기 통신을 기본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 제어 모듈은, 단말 장치로부터 환경 관리 장치의 운용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메모리 상에 상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 제어 모듈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회선의 이상시 다이얼-업 모뎀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화 번호와; 경보 발령 기준 데이터를 다운로드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보 발령 기준 데이터는, 온도 한계치, 습도 한계치, 교류 입력 전압 한계치, 정류기 출력 전압 한계치 및 현재 시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말 장치는, 주 제어 모듈로 루프-백 진단 및 기지국의 정류기 원격 셧-다운 또는 회복을 명령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 제어 모듈과 단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주 제어 장치는 재구동할때 상기 단말 장치로, 기지국 장치 내부와 외부의 현재 온도, 기지국 장치 내부의 현재 습도, 그리고 정류기와 회선 절체 모듈 및 입/출력 모듈과의 통신 상태, 화재 경보 상태, 도어 개/폐 상태, 습기 검출, 에어콘 동작 상태, 열 교환기 동작 상태 및 직류 및 교류 전원 상태를 보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 제어 모듈과 단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주 제어 모듈은 경보 발령 기준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경보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 장치로 자동 보고하며, 최근 발생 경보 정보를 보관하고 있다가 단말 장치의 요구에 의하여 전체 경보 정보를 보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로부터 기지국의 상태 정보를 제공받으며 호스트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 환경 관리 장치는, 기지국 장치 내부와 외부의 현재 온도, 기지국 장치 내부의 현재 습도, 정류기와 회선 절체 모듈 및 입/출력 모듈과의 통신 상태, 화재 경보 상태, 도어 개/폐 상태, 습기 검출, 에어콘 동작 상태, 열 교환기 동작 상태 및 직류 및 교류 전원 상태에 대한 경보를 발생하여 상기 호스트 장치로 보고한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환경 관리 장치는 경보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호스트 장치로 경보 정보를 보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환경 관리 장치는 발생된 경보를 저장해 두었다가 호스트 장치의 요구가 있을 경우 경보 정보를 보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기지국의 상태 정보를 제공받으며 호스트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 환경 관리 장치는, 상기 호스트 장치의 명령에 의해서 기지국 정류기의 셧-다운 및 회복을 명령한다.
본 발명은 교환기, 기지국 제어기 및 기지국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지 않는 기지국의 환경 요소를 관리할 수 있으며 무인화 운전이 가능한, 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의 옥외 기지국의 환경 관리 장치를 구성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옥외 기지국 환경 관리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를 통하여 기지국 상위 시스템과 연계되어 현장의 기지국 장치 데이터 및 관리국의 명령을 수행하는 주 제어 모듈(Main Control Module: MCM)(40), 기지국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여 주 제어 모듈(40)로 전송하고 주 제어 모듈(40)에서 발생된 경보 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 모듈(Input/Output Module: IOM)(44) 및 기지국 상위 시스템 또는 현장의 기지국에서 회선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회선 절체 모듈(Loop-Back Module: LBM)(42)로 구성된다.
환경 관리 장치는 기지국 단위 지역의 무인화 운전을 위한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일종의 지역 장치(Local Module)로서, 교환기 시스템이나 기지국 제어기 및 기지국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지 않는 기지국의 환경 요소 관리를 위한 별도의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환경 관리 장치는 운용 센터의 환경 관리 호스트 장치(50)와 정해진 프로토콜에 의거하여 통신하며, 호스트 장치(50)의 요구에 따라 환경 요소 별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고, 자체적인 상태 데이터의 주기적 측정 및 사전 설정 기준 데이터와의 비교 기능으로 이상 상황을 판단하여 이벤트 트리거 방식으로 호스트에 기지국의 이상을 통보한다. 또한 호스트 제어 명령 프로토콜에 따라 해당 제어 대상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환경 관리 장치에 고속의 프로세서(Central Processor Unit: CPU)를 탑재하여 기지국 장치와의 고속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공중 망을 통해 기지국 상위 시스템과 접속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옥외 기지국 환경 관리 장치의 실장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제어 모듈(40)과 입/출력 모듈(44)을 포함하는 기본 랙(Rack)(300), 회선 절체 모듈(42)과 입/출력 모듈(44)을 포함하는 기본 랙(310), 기타 기지국의 증설에 따라 필요한 부 모듈(Sub-Module)의 설치가 가능한 증설 랙(330)(340)(350)(360), 및 전원 모듈과 입/출력 모듈(44)을 포함하는 전원 랙(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각 랙은 외부에서 다양한 입력 파라미터를 제공받아 무선 경보 수집 장치(RACA)로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주 제어 모듈(MCM)(40)은 각 랙의 센서부에서 입력되는 각종 데이터 및 경보(Alarm) 정보를 자체 입/출력 부(I/O Point) 및 입/출력 모듈(I/O Module)(44)을 통하여 수집하고, 고속 프로세서간 통신 노드 장치(High speed 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Node board Assembly: HINA)를 통해 호스트 장치(50)에 이를 보고한다. 이를 위해서 주 제어 모듈(40)은 기지국 환경 관리 프로그램을 운용하는 고속의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의 운용 프로그램은 호스트 장치(50)에 의해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주 제어 모듈(40)은 호스트 장치(50)의 요구에 의해 제어 출력을 할 수 있다. 주 제어 모듈(40)은 호스트 장치(50)와 연결되는 E1 링크(Link)에 대한 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루프-백(Loop-Back) 명령을 회선 절체 모듈(LBM)(42)로 하달한다. 회선 절체 명령은 모뎀(52)과 접속하여 수신된 명령에 의해 수행된다. 시험 결과 E1 링크의 장애시, 발생된 주요 경보 내용은 다이얼-업 모뎀(Dial-up MODEM)(52)을 통하여 호스트 장치(50)에 보고된다.
원격지에서 시스템의 가동 중단을 위해서 정류기(Rectifier) 원격 셧-다운(Shut Down)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정류기에 하달한다. 또한 원격지에서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등의 단말 장치(60)를 사용하여 주 제어 모듈(40)에 접속한 다음, 주 제어 모듈(40)의 운용 프로그램을 수정할 수 있다. 주 제어 모듈(40)은 기지국 시스템의 전원부인 정류기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아 정전후 전원이 재공급될 때마다 항시 우선적으로 동작하여, 시스템에 전원 공급 여부를 설정된 경보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결정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50)는 주 제어 모듈(40)에 환경 관리 장치의 운용을 위한 프로그램 다운로드, 명령 하달, 주 제어 모듈(40)에서 수집된 데이터의 보고 및 관리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주 제어 모듈(40)과 호스트 장치(50) 간의 통신은 RS-422 에 의한 1.2288Mbps/19.2Kbps 의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High-level Data Link Control: HDLC) 통신을 기본으로 한다. 주 제어 모듈(40)은 초기 상태에서 호스트 장치(50)와의 통신을 위한 모니터 프로그램만 존재한다.
환경 관리 장치 운용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모니터 프로그램을 통해 호스트 장치(50)로부터 다운로드된다. 다운로드된 응용 프로그램은 주 제어 모듈(40)에서 에러 체크되며, 에러 체크 결과 정상일 경우 해당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환경 관리 장치를 운용한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다운로드된 시간과 함께 주 제어 모듈내의 EEPROM(Electrical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상에 상주하며 호스트 장치(50)에 의해 언제라도 수정/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응용 프로그램이 동작 중이라 하더라도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되면 기존 응용 프로그램은 무시되며, 새로 다운로드된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주 제어 모듈(40)이 재구동(Restart)되어 정상 운용되어야 한다. 이는 응용 프로그램의 수정 및 변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호스트 장치(5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는 4가지가 있다. 다운로드 데이터(Download Data)와, 명령어 데이터(Command Data), 보고 데이터(Report Data) 및 경보 데이터(Alarm Data)가 그것이다.
다운로드 데이터는 호스트 장치(50)에 의해 다운로드 되는 환경 관리 장치의 운용 데이터를 말한다. 다운로드 데이터는 EEPROM 상에 상주되어야 한다. 다운로드 데이터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이진 파일(Binary File)로 구성된 응용 프로그램 파일
(2) 다이얼-업 모뎀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화 번호(Telephone Number)
(3) 온도 한계치 (장치내부 상한, 하한)
(4) 습도 한계치 (상한, 하한)
(5) 교류 입력 전압 한계치 (상한, 하한)
(6) 정류기 출력 전압 한계치 (상한, 하한)
(7) 현재 시간 (실시간 클럭)
(8) 기타 통신 프로토콜
명령어 데이터는 호스트 장치(50)로부터 발생되는 명령어이다. 명령어 데이터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E1 링크의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루프-백 시험 명령어(Loop_Back Test Command)
(2) 정류기 셧-다운 또는 회복(Recover) 명령어
보고 데이터는 호스트 장치(50)의 요구시 및 주 제어 모듈(40)의 재구동시 보고되어야 하는 데이터이다. 보고 데이터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온도 (모든 랙의 내부 상부, 하부 및 기본 랙의 외부)
(2) 습도 (모든 랙의 내부)
(3) 통신 상태 (정류기, 회선 절체 모듈, 입/출력 모듈)
(4) 화재 경보 상태 (모든 랙의 정상, 경보)
(5) 도어 상태 (모든 랙의 전면/후면 개/폐)
(6) 습기 검출 (모든 랙의 정상, 경보)
(7) 에어콘 동작 상태 (증설 랙 및 전원 랙)
(8) 열 교환기(Heat Exchanger) 동작 상태 (증설 랙 및 전원 랙)
(9) 직류 전원 상태 (기본 랙)
(10) 교류 전원 상태 (기본 랙)
경보 데이터는 호스트 장치(50)에서 다운로드된 정보 기준 데이터에 의해 발생된 경보이다. 주 제어 모듈(40)은 최근 발생된 최대 256개의 경보 데이터를 발생 년/월/일/시/분/초의 정보와 함께 보관한다. 발생된 경보는 기본적으로 E1 링크를 통해서 자동 보고되나 E1 링크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다이얼-업 모뎀(52)을 통해 자동 보고된다. 주 제어 모듈(40)은 호스트 장치(50)의 요구에 의해 저장된 전체 경보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주 제어 모듈(40)은 입/출력 모듈(44)과의 통신을 통해 기지국에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 및 경보 정보를 수집한다. 주 제어 모듈(40)과 입/출력 모듈(44) 간의 통신은 RS-485 에 의한 19200bps의 비동기(Asynchronous) 통신을 기본으로 하며, 주 제어 모듈(40)에 의한 폴링(Polling) 방식에 의해 정보를 공유한다.
입/출력 모듈(44)은 주 제어 모듈(40)의 지시에 의해 정류기 셧-다운/회복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주 제어 모듈(40)에 다음과 같은 정보를 수집하여 보고한다.
(1) 온도 (내부 상부, 하부, 외부)
(2) 습도
(3) 화재 경보 상태 (정상, 경보)
(4) 도어 상태 (전면/후면 개/폐)
(5) 습기 검출 (정상, 경보)
(6) 에어콘 동작 상태
(7) 열 교환기 동작 상태
(8) 직류 전원 상태
(9) 교류 전원 상태
(10) 경보 케이블 탈장상태 : 온도, 습도, 화재, 침수, 침입
입/출력 모듈(44)은, 주 제어 모듈(40)에서 정보 기준 데이터와의 비교에 의해 경보 발생시, 경보 내용을 디지털 출력 상태(TTL:O.C)로 출력한다.
주 제어 모듈(40)은 회선 절체 모듈(42)과의 통신을 통해 E1 링크에 대한 시험을 수행한다. 주 제어 모듈(40)과 회선 절체 모듈(42) 간의 통신은 RS-485에 의한 19200bps의 비동기 통신을 기본으로 하며, 주 제어 모듈(40)에 의한 폴링 방식에 의하여 정보를 공유한다. 회선 절체 모듈(42)은 RS-485에 의해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제어한다. 수집되는 정보로는 모듈 온-라인 상태, 루프-백 상태 데이터가 있다. 또한 호스트 장치(50)의 지시에 의해 해당 E1 라인을 루프-백 시킨다.
주 제어 모듈(40)은 전원 모듈(46)과의 통신을 통해 기지국의 전원을 감시한다. 주 제어 모듈(40)과 전원 모듈(46) 간의 통신은 RS-422에 의한 9600bps의 비동기 통신을 기본으로 한다. 전원 모듈(46)은 전원 랙에 공급되는 교류 상용 전원과 정류기 출력 전압을 감시하고 최대 2대의 전원 랙에 대한 교류 입력 전압(단상 220V AC)을 감시한다.
전원 랙의 입력 신호는 4 ~ 20mA 아날로그 입력이며, 해상도는 12비트로 한다. 최대 2대에 대한 전원 랙의 정류기 출력 전압(0 ~ 30V AC 아날로그 입력)을 감시한다.
전원 모듈(46)에서 수집되는 정보로는 정류기 장애(Fail), 직류 과전류(DC Over Current), 배터리 장애(Battery Fail), 교류 입력 장애, 교류 상한, 배터리 하한, 직류 하한 등이 있다. 주 제어 모듈(40)은 호스트 장치(50)에서 다운로드된 설정치에 의해,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정류기를 셧-다운 또는 회복시킬 수 있다.
주 제어 모듈(40)은 호스트 장치(50)가 아닌 일반 단말 장치(Terminal)(60)에 의해서도 유지보수될 수 있다. 주 제어 모듈(40)과 단말 장치(60) 간의 통신은 RS-232C 에 의한 19200bps의 비동기 통신을 기본으로 한다. 상기 단말 장치(60)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제공되는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운용자는 노트북 등의 일반 개인 컴퓨터를 사용하여 주 제어 모듈(40)에 접속하고, 환경 관리 장치의 조회, 설정 및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환경 관리 장치와 접속되는 개인 컴퓨터는 기지국의 운용을 위한 시험 프로그램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지국 상위 시스템에서 제공하지 않는 환경 요소 관리를 위한 별도의 장치를 제공하여 기지국 단위 지역의 무인화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정해진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운용 센터의 환경 관리 호스트 장치(50)와 접속하여 본 발명의 환경 관리 장치에 다운로드된 프로그램을 언제든지 수정할 수 있으므로, 기지국의 유형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다.
셋째, 특정한 응용 프로그램을 운용하는 일반 컴퓨터 단말 장치(60)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환경 관리 장치에 접속함으로써, 별도의 호스트 장치(50) 없이도 환경 관리 장치의 데이터 조회, 설정 및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한 기지국의 원격 환경 관리가 가능하다.

Claims (9)

  1. 옥외 기지국의 환경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옥외 기지국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입출력보듈;
    상기 입출력모듈로부터 출력된 상기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경보발생시 중계선 링크를 통해 접속된 호스트 장치로 상기 경보정보 및 상기 상태정보를 보고하는 주제어모듈; 및
    상기 중계선 링크에 이상 ㅂ라생시 상기 주제어모듈이 다이얼-업 모뎀 링크를 통해 상기 호스트 장치와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중계선 링크를 진단하고 상기 중계선 링크의 이상 발생시 이를 상기 주제어모듈로 보고하는 회선절체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옥외 기지국 환경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 모듈은, 상기 입/출력 모듈로부터 출력된 상태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와 주기적으로 비교하고 비교결과 이상발생시 경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중계선 링크 또는 상기 모뎀 링크를 통해 상기 호스트 장치로 보고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옥외 기지국 환경관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 모듈은, 모뎀을 통하여 호스트 장치로부터 회선 진단 명령이 내려진 경우, 상기 회선 절체 모듈을 통하여 회선을 진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옥외 기지국 환경 관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 모듈은, 초기 상태에서, 상주하는 모니터 프로그램만으로 구동되며, 상기 모니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호스트 장치로부터 환경 관리 장치의 운용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메모리 상에 상주시키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옥외 기지국 환경 관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데이터는, 내부온도 상한/하한치와 습도 상한/하한치, 교류 입력전압 상한/하한치 및 정류기 출력 전압 상한/하한치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옥외 기지국 환경관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모듈은 상기 호스트 장치의 명령에 의하여 상기 옥외 기지국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의 정류기를 셧-다운 및 복구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옥외 기지국 환경관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옥외 기지국의 내/외부 온도, 내부습도, 상기 주제어모듈과 다른 모듈간의 통신상태, 화재상태, 도어상태, 습기상태, 에어콘 동작상태, 열 교환기 동작상태 및 직류/교류 전원상태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옥외 기지국 환경관리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모듈은 상기 옥외 기지죽으로 공급되는 교류 상용 전원과 정류기 출력 전원 및 상기 전원에 대한 교류 입력전압을 감시하여 전원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전원에 대한 상태정보를 상기 주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옥외 기지국 환경관리장치.
  9.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모듈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호스트 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옥외 기지국 환경관리장치.
KR1019980009589A 1998-03-20 1998-03-20 무선통신시스템의옥외기지국환경관리장치 KR100285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589A KR100285735B1 (ko) 1998-03-20 1998-03-20 무선통신시스템의옥외기지국환경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589A KR100285735B1 (ko) 1998-03-20 1998-03-20 무선통신시스템의옥외기지국환경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399A KR19990075399A (ko) 1999-10-15
KR100285735B1 true KR100285735B1 (ko) 2001-04-02

Family

ID=37514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589A KR100285735B1 (ko) 1998-03-20 1998-03-20 무선통신시스템의옥외기지국환경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7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966A (ko) * 1999-03-22 2000-10-16 김영환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의 마이크로 기지국 이상발생시 전원차단방법
KR100359806B1 (ko) * 1999-12-15 200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실형 공기조화기
KR100346115B1 (ko) * 2000-05-24 2002-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설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알람 처리 장치
KR100905607B1 (ko) * 2003-02-13 2009-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지국 시스템에서 알람 수집 방법
KR101004767B1 (ko) * 2008-11-12 2011-01-04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통신망 회선 상태 품질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8243A (ko) * 1996-03-29 1997-10-13 김주용 무인기지국 자동제어장치를 부가한 무인기지국(rt)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8243A (ko) * 1996-03-29 1997-10-13 김주용 무인기지국 자동제어장치를 부가한 무인기지국(rt)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399A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5946A (en) Alarm/facility management unit
US200301625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of basestations
US6697695B1 (en) Laser device management system
US6363422B1 (en) Multi-capability facilities monitoring and control intranet for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US7975184B2 (en) Diagnostic access system
RU2446610C2 (ru) Потоковая подготовка к работе в amr/ami-служебных сетях
JP4860120B2 (ja) フィールドデバイス交換方法、フィールドデバイス構成方法、プロセス制御デバイス、および 着脱可能格納デバイス
CN109600406B (zh) 环境辐射监测站系统
US20050103874A1 (en) Remote monitoring diagnostics
JP2001507172A (ja) 制御システム用監視システム
KR100434655B1 (ko) 원격검침 시스템
CN102347858A (zh) 电器监测系统以及方法
CN101546180A (zh) 信息收集装置、方法和程序
KR100434656B1 (ko) 유무선 복합 통신을 이용한 통합 원격검침 시스템
CN110362176A (zh) 一种服务器bmc失效时散热控制系统及方法
KR100285735B1 (ko) 무선통신시스템의옥외기지국환경관리장치
KR20020069093A (ko) 무선 기지국과 그 보수 방법
CN114510378A (zh) 空调机组的参数备份方法和备份装置、电子设备
KR101067205B1 (ko)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 전력량계 및 그 관리 방법
JP3643930B2 (ja) ネットワーク化された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系機器の管理運用システムとそのシステムを用いた管理運用方法
KR101556781B1 (ko) 네트웍 장비 예측 장애 및 수명 정보 서비스 시스템
CN114995349A (zh) 一种基于自动化控制系统的远程诊断平台及方法
CN109739206A (zh) 一种基于nb-iot的监控设备、工程机械及监控系统
CN113028584B (zh) 空调单片机的异常处理方法及装置
US20240044534A1 (en) Monitoring and identifying changes to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vac) cond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