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167B1 - 전주용 광중간절체함 - Google Patents

전주용 광중간절체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167B1
KR100284167B1 KR1019980050261A KR19980050261A KR100284167B1 KR 100284167 B1 KR100284167 B1 KR 100284167B1 KR 1019980050261 A KR1019980050261 A KR 1019980050261A KR 19980050261 A KR19980050261 A KR 19980050261A KR 100284167 B1 KR100284167 B1 KR 100284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fiber
enclosure
protective suppor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3413A (ko
Inventor
원영준
김희중
강길례
안정균
남도현
김창하
제임스 알. 바이렌더
이정환
박찬술
안보영
이호경
양태수
Original Assignee
권문구
엘지전선주식회사
김진찬
주식회사머큐리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폴디러소
한국쓰리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문구, 엘지전선주식회사, 김진찬, 주식회사머큐리,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폴디러소, 한국쓰리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문구
Priority to KR1019980050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167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02B6/54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using mechanical means, e.g. pulling or push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7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multiconducto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광중간절체함은 커넥터 패널에서 어댑터의 고집적화 및 광코드 경의 소형화를 통해 설치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단독 및 연립주택 밀집지역에서의 기존 단자함 설치 전주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넓은 지역에 분포된 여러 커브지점을 커버하기 위하여 소심다분기가 가능하게 하며, 또한 기존 트레이의 활용을 통해 전체 제조비용을 줄이고, 구성 요소들의 고집적 배열을 통해 절체함을 소형·경량화 하였으며, 루즈 튜브 광케이블 뿐만 아니라 리본 광섬유를 단심으로 분리하는 다심분리형 광코드를 내장하는 광섬유 보호지지판을 이용하여 현장 운용성을 향상시키며, 가입자의 서비스 요구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광커넥터를 사용하여 가입자 변화가 많은 지역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주용 광중간절체함을 제공하는 것으로, 광섬유 보호지지판을 외함 좌,우에 최대 8개씩 적층 가능하고, 광섬유 보호지지판의 위쪽 좌,우에 한 개의 유닛당 12개씩 36개의 커넥터가 결합되도록 커넥터 패널을 배열하며, 외함 중앙에는 분배, 절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외함을 전주에 고정하기 위해 직경이 작은 피그테일 광심선을 사용하여 외함 크기를 소형화하고, 중량을 최소화하였으며, 또한 광섬유 보호지지판은 기계식 접속자 및 융착 접속자 및 다심광섬유 분리를 위한 다심분리형 광코드를 수용하며, 다분기가 가능하여 여러 개의 분배 케이블을 수용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전주용 광중간절체함
본 발명은 휘도케이블의 심선사용율을 증대시키고 급변하는 통신이용가입자의 수용변동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며, 휘더망과 분배망의 분리운용에 의한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광중간절체함(光中間絶替函)이고, 또한 이 광중간절체함을 단독 및 연립주택 밀집지역 등에 설치하기 위해 기존의 전주를 이용하도록 전주에 설치가 가능한 전주용 광중간절체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광케이블 인입구를 루즈 튜브 광케이블 72심, 리본 광케이블 64심을 기본으로 소심의 분배 케이블이 다분기로 분기되는 광중간절체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선로 상에는 다수의 접속지점이 존재하며 현재까지 접속지점에는 주로 광케이블 접속함이 설치·사용되고 있으며, 이 광케이블 접속함은 광케이블의 접속 및 분배 기능을 갖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광케이블 접속함은 향후 광가입자 수요 증가에 의하여 휘도케이블이 대용량화되고, 분배케이블 증가에 의한 다분기가 요구되는 경우 이를 수용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절체기능(絶替機能)이 없어 가입자의 요구에 즉각 대처할 수 없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광케이블 접속함의 단점을 보완하여 분배 및 절체기능을 가지며, 다분기가 가능하고 가입자 변화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광중간절체함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주로 대형 빌딩이나 캠퍼스 내에서 각 층이나, 각 건물로 케이블을 분배하는데 이용되는 분배함들로 중간절체함의 한 형태로 볼 수 있으나, 서비스의 영역이 한정되어 있는 형태이다.
광중간절체함은 주로 페디스틀(pedestal) 형태로 휘도망에 설치되며, 큰 도로 옆이나 대단위 아파트단지의 녹지공간에 위치하며 72심 혹은 96심을 한 모듈로 하여 216심에서 432심까지 대용량의 커넥터 접속이 수용된다. 아파트단지와 같은 지역과는 달리 단독 및 연립주택 밀집지역 등에서 가입자까지의 분배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광중간절체함을 설치하는데는 설치공간의 확보 및 설치작업 등에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광중간절체함은 커넥터 패널에서 어댑터의 고집적화 및 광코드 직경의 소형화를 통해 설치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단독 및 연립주택 밀집지역에서의 기존 단자함 설치 전주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넓은 지역에 분포된 여러 커브지점(OPTICAL NETWORK UNIT)을 커버하기 위하여 소심다분기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기존 트레이(광섬유 보호지지판)의 활용을 통해 전체 제조비용을 줄이고, 구성 요소들의 고집적 배열을 통해 절체함을 소형·경량화 하였으며, 루즈 튜브 광케이블 뿐만 아니라 리본 광섬유를 단심으로 분리하는 다심분리형 광코드를 내장하는 광섬유 보호지지판을 이용하여 현장 운용성을 향상시키며, 가입자의 서비스 요구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광커넥터를 사용하여 가입자 변화가 많은 지역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주용 광중간절체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광섬유 보호지지판을 외함 좌,우에 최대 8개씩 적층 가능하고, 광섬유 보호지지판의 위쪽 좌,우에 한 개의 유닛당 12개씩 36개의 어댑터가 결합되도록 커넥터 패널을 배열하며, 외함 중앙에는 분배, 절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외함을 전주에 고정하기 위해 직경이 작은 피그테일(PIGTAIL) 광심선을 사용하여 외함 크기를 소형화하고, 중량을 최소화하였으며, 또한 광섬유 보호지지판은 기계식 접속자 및 융착 접속자 및 다심(리본)광섬유 분리를 위한 다심분리형 광코드를 수용하며, 다분기가 가능하여 여러 개의 분배 케이블을 수용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함커버가 열린 상태를 예시한 광중간절체함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외함커버가 닫힌 상태를 예시한 광중간절체함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외함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인장선 고정패널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도 6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광케이블 인입구 패널의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광중간절체함의 전주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배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중간절체함 20 : 외함
22, 23, 24, 25, 26 : 고정대 30 : 외함커버
31 : 경첩 32 : 캡
40, 50 : 광섬유 보호지지판 41, 51 : 광섬유 보호지지판 커버
60 : 커넥터 패널 60a : 홀
70 : 광코드 가이드 100 : 고정밴드
110 : 인장선 고정패널 111 : 인장선홀더
120 : 케이블 인입구 패널 121 : 인입구
140 : 외함고정몸체 200 : 전주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함커버가 열린 상태를 예시한 광중간절체함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외함커버가 닫힌 상태를 예시한 광중간절체함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외함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인장선 고정패널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광케이블 인입구 패널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광중간절체함의 전주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배선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전주 부착형 광중간절체함의 전체 조립도 및 각 부품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중간절체함(10)은 외관을 구성하는 외함(20)과,
상기 외함(20)에 경첩(31)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외함(20)에 설치된 잠금수단(21)에 의해 잠금되며, 상부에 캡(32)이 조립된 외함커버(30)와,
상기 외함(20)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광섬유 보호지지판(40)(50) 및 커넥터 패널(60)과 광코드 가이드(70)를 각각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대(22)(23)(24)(24)(25)와,
상기 고정대(25)에 각각 스크루의 고정수단으로 설치되어 가입자의 변동시 절체분배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각각의 광커넥터를 결합/분리시키는 어댑터를 고정하는 커넥터 패널(60)과,
상기 고정대(22)(23)에 각각 설치되어 광섬유 케이블을 접속, 저장, 정리할 수 있는 적층된 형태로 설치되는 광섬유 보호지지판(40)(50)과,
상기 적층 설치된 광섬유 보호지지판(40)(50)을 각각 고정 보호하는 광섬유 보호지지판 커버(41)(51)와,
상기 적층 설치된 광섬유 보호지지판(40)(50)을 진동 등 외부의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밴드(100)와,
상기 외함(20) 내부에 설치되어 인입 및 인출되는 광섬유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하여 광섬유 케이블 내부의 인장선을 인장선홀더(111)를 매개로 고정하는 인장선 고정패널(110)과,
상기 외함(20)의 일면 내부로 설치되어 광섬유 케이블의 인입 및 인출시 이 광섬유 케이블을 고정시켜주고, 또한 외부환경으로부터 수분 등을 차단시켜주는 케이블 인입구 패널(120)과,
상기 광섬유 보호지지판(40)(50)에서 인출되는 광코드의 여장처리 및 커넥터 패널(60)에서 인출된 광코드를 인터커넥션시키는 광코드 가이드(70)와,
상기 외함(20)의 배면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대(26)를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외함(20)을 전주(200)에 고정하는 외함고정몸체(140)로 이루어져 구성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패널(60)에 형성된 3개의 직사각형의 홀(60a) 각각에 어댑터(도시생략)가 설치되는데, 상기 어댑터는 각 홀(60a)에 12개씩 한 유닛을 이루면서 3개의 홀(60a)에 36개의 어댑터가 설치된다. 이는 기존의 어댑터와 같이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방식이 아닌 별도의 고정수단을 갖지 않고 어댑터 12개를 하나의 유닛으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그 커넥터 패널(60)의 크기를 축소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광섬유 보호지지판(40)(50)은 루즈 튜브 72심 광케이블을 사용할 경우에는 각각 12심씩 6개가 적층되고, 64심 리본 광케이블을 사용할 경우에는 각각 8심씩 8개를 적층하게 된다.
즉, 광케이블의 기본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루즈 튜브 및 리본 광케이블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된 광섬유 보호지지판(40)(50) 각각은 광섬유 보호지지판커버(41)(51)로 고정 보호되며, 또한 상기 광섬유 보호지지판(40)(50)은 복수의 고정밴드(100)로 고정되어 진동 등 외부의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를 받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블 인입구 패널(120)에 형성된 복수의 인입구(121)는 루즈 튜브 광케이블 72심과 리본 광케이블 64심을 기본으로 하고, 8심∼36심 분배 광케이블을 수용하여 다분기가 가능하다. 또한 광섬유 보호지지판(40)(50)에는 12심의 광섬유 접속이 기계식 접속자 또는 융착 접속자에 의해 이루어지며, 접속자 고정부(150)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도 1에서 보면 왼쪽에 배치된 광섬유 보호지지판(40)은 인입 광케이블과 광점퍼코드, 오른쪽의 광섬유 보호지지판(50)은 인출 광케이블과 광점퍼코드를 각각 분리 접속을 하여 광케이블의 인입 및 인출의 구분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광중간절체함(1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200)에 부착시켜 광가입자 선로의 변경이나 서비스 요구에 따른 신속한 선로 배정을 위해 휘더케이블과 분배케이블망의 중간 지점 및 분배케이블과 인입케이블의 연결 지점에서 광케이블의 접속, 분배, 절체가 가능하도록 인입케이블과 광점퍼코드의 접속을 위한 광섬유 보호지지판(40)(50)과, 어댑터의 고정을 위한 커넥터 패널(60) 등으로 구성된 광중간절체함(10)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보호지지판(40)(50)이 외함(20)의 좌,우 양쪽에 적층하여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을 분리 수용하고, 또한 커넥터 패널(60)도 외함(20)의 좌,우 양쪽에 배열하여 인입케이블의 커넥터는 양 커넥터 패널(60)의 바깥쪽에서 어댑터에 고정하고, 인출케이블의 커넥터는 양 커넥터 패널(60)의 안쪽에서 어댑터에 고정하여 인터커넥션 방식에 의해 접속하며, 상기 결합된 광코드에 의한 광케이블의 분배 및 절체가 양쪽 패널 중앙에 접속된 광코드에 의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광케이블의 접속, 분배 및 절체가 용이하게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커넥터 패널(60)에 설치된 어댑터의 고집적화 및 광코드 직경의 소형화에 의해 광중간절체함(10)의 외형 크기가 축소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중간절체함은 커넥터 패널에서 어댑터의 고집적화 및 광코드 직경의 소형화로 설치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단독 및 연립주택 밀집지역에서 기존 단자함 설치 전주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넓은 지역에 분포된 여러 커브 지점을 커버하기 위하여 소심다분기가 가능한 특징을 갖게 되고, 또한 기존 트레이의 활용을 통해 전체 제조비용을 줄이게 되며, 광중간절체함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고집적 배열을 통해 광중간절체함이 소형, 경량화를 이루게 되며, 루즈 튜브 광케이블 뿐만 아니라 리본 광케이블을 단심으로 분리하는 다심분리형 광코드를 내장하는 광섬유 보호지지판을 이용하여 현장 운용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가입자의 서비스 요구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광커넥터를 사용함으로써 가입자 변화가 많은 지역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5)

  1. 외관을 구성하는 외함(20)과,
    상기 외함(20)에 경첩(31)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외함(20)에 설치된 잠금수단(21)에 의해 잠금되며, 상부에 캡(32)이 조립된 외함커버(30)와,
    상기 외함(20)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광섬유 보호지지판(40)(50) 및 커넥터 패널(60)과 광코드 가이드(70)를 각각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대(22)(23)(24)(24)(25)와,
    상기 고정대(25)에 각각 설치되어 가입자의 변동시 절체분배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각각의 광커넥터를 결합/분리시키는 어댑터를 고정하는 커넥터 패널(60)과,
    상기 고정대(22)(23)에 각각 설치되어 광섬유 케이블을 접속, 저장, 정리할 수 있는 적층된 형태로 설치되는 광섬유 보호지지판(40)(50)과,
    상기 적층 설치된 광섬유 보호지지판(40)(50)을 각각 고정 보호하는 광섬유 보호지지판 커버(41)(51)와,
    상기 적층 설치된 광섬유 보호지지판(40)(50)을 진동 등 외부의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밴드(100)와,
    상기 외함(20) 내부에 설치되어 인입 및 인출되는 광섬유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하여 광섬유 케이블 내부의 인장선을 인장선홀더(111)를 매개로 고정하는 인장선 고정패널(110)과,
    상기 외함(20)의 일면 내부로 설치되어 광섬유 케이블의 인입 및 인출시 이 광섬유 케이블을 고정시켜주고, 또한 외부환경으로부터 수분 등을 차단시켜주는 케이블 인입구 패널(120)과,
    상기 광섬유 보호지지판(40)(50)에서 인출되는 광코드의 여장처리 및 커넥터 패널(60)에서 인출된 광코드를 인터커넥션시키는 광코드 가이드(70)와,
    상기 외함(20)의 배면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대(26)를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외함(20)을 전주(200)에 고정하는 외함고정몸체(140)로 이루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광중간절체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를 고정하는 커넥터 패널(60)은, 어댑터 고정을 위한 별개의 고정수단을 갖지 않고 하나의 유닛에 12개의 어댑터가 고정되도록 3개의 직사각형 홀(60a)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광중간절체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하나의 유닛이 3개씩 적층되어 36개의 어댑터가 각각의 커넥터 패널(6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광중간절체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커버(30)에 설치되는 캡(32)은 외함커버(30)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광중간절체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보호지지판(40)은 인입 광케이블과 광점퍼코드, 광섬유 보호지지판(50)은 인출 광케이블과 광점퍼코드의 접속을 하여 광케이블의 인입 및 인출의 구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광중간절체함.
KR1019980050261A 1998-11-23 1998-11-23 전주용 광중간절체함 KR100284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261A KR100284167B1 (ko) 1998-11-23 1998-11-23 전주용 광중간절체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261A KR100284167B1 (ko) 1998-11-23 1998-11-23 전주용 광중간절체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413A KR20000033413A (ko) 2000-06-15
KR100284167B1 true KR100284167B1 (ko) 2001-03-02

Family

ID=19559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261A KR100284167B1 (ko) 1998-11-23 1998-11-23 전주용 광중간절체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41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413A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4477B2 (en) Modular optical fiber cassettes
EP2573602B1 (en) Modular system and methods for connecting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to a user network of a building
CN102210112B (zh) 多层分布式光纤架构
US7945138B2 (en) Modular optical fiber cassette
RU2670183C2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добавления разветвителей
US7809234B2 (en) Telecommunications cabinet with connector storage
US7190874B1 (en) Fiber demarcation box with cable management
US8224145B2 (en) Installing splitter module, storage receptacles and pigtails while pigtail connectors left in the storage receptacles
CN108809429B (zh) 用于将无线技术集成到光纤光网络中的方法、系统和设备
US8606067B2 (en) Pedestal terminal with swing frame
US20070031100A1 (en) Optical fiber distribution cabinet
US10495834B2 (en) Optical fiber management
KR100284167B1 (ko) 전주용 광중간절체함
JP2005331692A (ja) 架空用光クロージャ及びテープ心線の配線方法
CN218497219U (zh) 光纤同轴综合面板
JPH08240723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用接続端子函
JP2001221964A (ja) 光ファイバ接続替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