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3957B1 - English capital letter-small letter conver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English-Korean conversion icon on computer screen - Google Patents

English capital letter-small letter conver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English-Korean conversion icon on computer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3957B1
KR100283957B1 KR1019990000720A KR19990000720A KR100283957B1 KR 100283957 B1 KR100283957 B1 KR 100283957B1 KR 1019990000720 A KR1019990000720 A KR 1019990000720A KR 19990000720 A KR19990000720 A KR 19990000720A KR 100283957 B1 KR100283957 B1 KR 100283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lish
conversion
korean
window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07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82688A (en
Inventor
김병직
이강동
이일권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TW88105287A priority Critical patent/TW586078B/en
Publication of KR19990082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6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957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51Trans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화면상에서의 영한 변환 아이콘을 이용한 영문 대소문자 변환방법 및 그 장치를 개시한다. 이 영문 대소문자 변환방법은 (a) 영한 변환을 실행시키는 영한 변환 창을 포함한 아이콘을 소정의 운영체제내에 상주시키는 단계, (b) 영한 변환 창의 위치 또는 모드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c) 사용자로부터 영한 변환 창의 위치 또는 모드 상태의 변경 사항을 입력받는 단계 및 (d)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에 의해 변경된 모드 상태로부터 영문 대문자 및 영문 소문자를 구분하여 컴퓨터 화면상에서 영한 변환 창의 현재 모드를 변환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English case using English-Korean conversion icon on a computer screen. This English letter case conversion method includes (a) residing an icon including an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for executing English-Korean conversion in a predetermined operating system, (b) monitoring the position or mode status of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and (c) (D) receiv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r mode of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and (d) converting the current mode of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on the computer screen by distinguishing between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from the mode state changed by a key input from the user. Equipped.

Description

컴퓨터 화면상에서의 영한 변환 아이콘을 이용한 영문 대소문자 변환방법 및 그 장치{English capital letter-small letter conver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English-Korean conversion icon on computer screen}English capital letter-small letter conver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English-Korean conversion icon on computer screen}

본 발명은 영문 대소문자 변환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컴퓨터 화면상에서의 영한 변환 아이콘을 이용한 영문 대소문자 변환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conversion proces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glish case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English to English conversion icons on a computer screen.

일반적으로, 종래의 컴퓨터 시스템상에서 사용자는 키보드, 마우스등의 입력수단을 통해 컴퓨터로 키를 입력한다. 이때, 키는 한글 또는 영어의 글자판을 바탕으로 입력되는데, 영한 변환키 또는 윈도우즈 환경하에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한 변환 아이콘을 이용하여 키의 모드가 변환된다. 글자판이 영어로 변환된 상태에서, 또한 사용자가 영문 대소문자를 변환하여 키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캡스 록 키(Caps Lock key)를 누른 후에 키를 입력하거나, 쉬프트 키(Shift key)를 누른 동시에 키를 입력한다.In general, in a conventional computer system, a user inputs a key into a computer through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and a mouse. At this time, the key is input based on the Korean or English letter board, and the mode of the key is converted using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key or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under the Windows environment. If the dial is converted to English and the user wants to input the key by converting the capitalization of the letter, press the Caps Lock key and then press the key or the Shift key. Enter the key.

도 1은 일반적인 영문 대소문자 변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eneral English case conversion method.

먼저, 사용자로부터 키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제102단계). 임의의 키가 입력되면 그 키가 캡스 록 키인가를 판단하고(제104단계), 그렇지 않으면 제102단계로 다시 진행하여 키의 입력 유무를 판단한다. 캡스 록 키가 입력되면, 영문 대소문자 모드를 토글시킨다(제106단계). 즉, 이전 모드 상태가 영문 대문자였으면 영문 소문자로, 아니면 그 역으로 토글시킨다.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a key is input from the user (step 102). If an arbitrary key is inpu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key is a caps lock key (step 104). Otherwis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102 to determine whether a key is input. When the caps lock key is input, the English capitalization mode is toggled (step 106). In other words, if the previous mode was in uppercase letters, it toggles to lowercase letters and vice versa.

제104단계에서 입력된 키가 캡스 록 키가 아니면, 쉬프트 키인가를 판단한다(제108단계). 쉬프트 키가 입력되면, 다시 영문 모드인가를 판단한다(제110단계). 영문이면 영문 대소문자 모드를 토글시킨다(제114단계). 제110단계에서 영문 모드가 아니면 제102단계로 다시 진행한다. 또한, 제108단계에서 입력된 키가 쉬프트 키가 아니면, 해당하는 키에 대한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고(제112단계), 제102단계로 다시 진행한다.If the key input in step 104 is not a cap lock ke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key is a shift key (step 108). When the shift key is inpu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nglish mode is present again (step 110). In English, the English capitalization mode is toggled (step 114). If it is not the English mode in step 11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02 again. If the key input in step 108 is not a shift key, a predetermined process is performed on the corresponding key (step 112),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02 again.

제114단계에서 영문 대소문자 모드가 토글된 후에 다른 키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제116단계). 다른 키가 입력되면 해당하는 키를 수행하고(제118단계), 쉬프트 키가 오프되었는가를 판단한다(제122단계). 즉, 여전히 쉬프트 키가 눌러진 상태인가를 확인하기 위함이고, 쉬프트 키가 오프되지 않았으면 제116단계로 다시 진행하여 다른 키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반면, 쉬프트 키가 오프되었으면, 제114단계에서 토글된 영문 대소문자 모드를 원상 복귀한다(제124단계). 또한, 제116단계에서 다른 키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에도 쉬프트 키가 오프되었는가를 판단한다(제120단계). 쉬프트 키가 오프되었으면, 제102단계 즉, 처음 단계로 다시 진행하고, 쉬프트 키가 오프되지 않았으면 제116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키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In operation 114, it is determined whether another key is input after the English capitalization mode is toggled (operation 116). If another key is input, the corresponding key is performed (step 118),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hift key is turned off (step 122). That is, it is to confirm whether the shift key is still pressed. If the shift key is not turned off, the process returns to step 116 to determine whether another key is input. On the other hand, if the shift key is off, the English case mode toggled in step 114 is restored (step 124). In addition, when the other key is not input in step 116,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hift key is turned off (step 120). If the shift key is off, the process returns to step 102, that is, the first step. If the shift key is not off, the process goes to step 116 to determine whether another key is input.

전술한 바에 의하면, 종래의 영문 대소문자 변환방법은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해 영문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방법이다. 쉬프트 키 또는 캡스 록 키로 영문 대소문자를 변환시켜 사용하다 보면, 현재의 모드 상태가 영문 소문자인지 영문 대문자인지 컴퓨터 화면상에서 식별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캡스 록 키를 재확인해야 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또한, 윈도우즈 환경하에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한 변환창을 사용자가 마우스를 통해 클릭하더라도 영문은 대문자로만 표시가능하므로 다시 키보드를 통해 영문 대소문자를 토글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English case conversion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user converts English case through a keyboard. In case of using the shift key or the caps lock key in the case of the English case, the user may need to reconfirm the caps lock key because the current mode state is not identified on the computer screen. In addition, even if the user clicks the English-English conversion window displayed on the screen under the Windows environment with the mouse, English can only be displayed in uppercase letters, so there is a need to toggle between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through the keyboard.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영한 변환 아이콘에 영문 소문자를 추가하여 컴퓨터 화면상에서의 영문 대소문자 모드를 토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영문 키를 사용하는데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하는, 컴퓨터 화면상에서의 영한 변환 아이콘을 이용한 영문 대소문자 변환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d a lowercase letter to the English-English conversion icon to toggle the English capitalization mode on the computer screen to provide a user-friendly English-English conversion icon on the computer screen by using the English key It is to provide an English capit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도 1은 일반적인 영문 대소문자 변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eneral English case conversion method.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화면상에서의 영한 변환 아이콘을 이용한 영문 대소문자 변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verting English case using English-English conversion icons on a computer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a)~(c)는 본 발명에 의해 적용되는 개선된 영한 변환 아이콘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3 (a)-(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improved English-Korean conversion icon appli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영문 대소문자 변환장치의 구현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nglish case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영문 대소문자 변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English capita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영문 대소문자 변환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nglish case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화면상에서의 영한 변환 아이콘을 이용한 영문 대소문자 변환방법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nglish case conversion method using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icon on the computer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에 의해 영한 변환을 실행시키는 영한 변환 창을 포함한 아이콘을 소정의 운영체제내에 상주시키는 단계, (b) 영한 변환 창의 위치 또는 모드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c) 사용자로부터 영한 변환 창의 위치 또는 모드 상태의 변경 사항을 입력받는 단계 및 (d)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에 의해 변경된 모드 상태로부터 영문 대문자 및 영문 소문자를 구분하여 영한 변환 창의 현재 모드를 변환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a) residing an icon in a predetermined operating system including an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for executing the English-English conversion by a key input from the user, (b) monitoring the position or mode status of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c) from the user Receiv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r mode state of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and (d) converting the current mode of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by distinguishing between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from the mode state changed by a key input from the user.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화면상에서의 영한 변환 아이콘을 이용한 영문 대소문자 변환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nglish case conversion apparatus using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icon on the computer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영한 변환을 실행시키는 영한 변환 창을 포함한 아이콘을 소정의 운영체제내에 상주시키는 영한 변환 창 디스플레이부, 영한 변환 창을 변경시켜야 할 소정의 조건들이 되었는가를 체크하는 영한 변환 창 변경 체크부 및 창 변경 체크부에서 영문 대문자와 영문 소문자간의 변환이 체크되면, 영한 변환 창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현재 영문 모드 상태에 변경된 영문 모드 상태를 오버랩 디스플레이시키는 영문 오버랩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구비한다.An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display unit for residing an icon including an English-English conversion window for executing English-Korean conversion in a predetermined operating system, an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change checker and a window change checker to check whether predetermined conditions to change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have been met If the conversion between the uppercase English letter and the lowercase English letter is checked, the English overlap display control unit for overlapping display the changed English mode status to the current English mode status displayed by the English-English conversion window display unit.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영한 변환을 실행시키는 영한 변환 창을 포함한 아이콘이 소정의 운영체제내에 상주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화면상에서의 영한 변환 아이콘을 이용한 영문 대소문자 변환방법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nglish case conversion method using an English-Korean conversion icon on a computer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n icon including an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for executing English-Korean conversion, resides in a predetermined operating system,

(a) 현재 활성 윈도우에 대한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c) 활성 윈도우가 변경되었으면, 변경된 윈도우의 모드 상태에 상응하여 상기 영한 변환 창을 오버라이트하고, (a)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d) 키 입력에서 영문 대문자와 영문 소문자간의 변환과 관련한 키 입력이 있으면, 현재 영한 변환 창이 영문 모드인가 한글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영문 모드이면, 디스플레이된 현재 영문 모드 상태에 변경된 영문 모드 상태를 오버랩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a) checking whether the current active window has been changed, (b) checking a key input by the user, and (c) if the active window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mode status of the changed window. Overwriting, proceeding to step (a), (d) if there is a key input related to the conversion between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in the key input,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is in English mode or Korean mode, and (e ) If in English mode, overlapping the changed English mode state to the displayed current English mode stat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화면상에서의 영한 변환 아이콘을 이용한 영문 대소문자 변환방법 및 그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nglish case conversion method and the device using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icon on the computer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은 PC의 운영체제인 한글 윈도우즈의 입력 방법 편집기(IME:Input Method Editor)에 관한 것이며, 실례적으로 영한 변환 창을 포함한 영한 변환 아이콘으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입력 방법 편집기(IME)는 키보드 입력시, 현재의 입력 방법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일종의 자동화로서 모든 한글 입력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입력 방법 편집기(IME)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서 영문 대소문자 변환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method editor (IME) of Hangul Windows, which is an operating system of a PC, and is illustratively displayed on a screen by an English-Korean conversion icon including an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The Input Method Editor (IME) is a kind of automation that shows the user the current input method when the keyboard is typed, and controls all Hangul inpu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English capital and lowercase letters as a method for changing the user interface of the input method editor (IM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화면상에서의 영한 변환 아이콘을 이용한 영문 대소문자 변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verting English case using English-English conversion icons on a computer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컴퓨터 부팅시에 영한 변환 창을 포함한 아이콘을 실행시켜 디스플레이한다(제202단계). 다음에,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에 의해 영한 변환을 실행시키는 영한 변환 창을 포함한 아이콘을 소정의 운영체제 예컨대, 현재 널리 사용되는 윈도우즈 운영체제내에 상주시킨다(제204단계). 즉, 사용자가 컴퓨터 화면상에서 다른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다른 작업을 하더라도, 영한 변환 창은 인에이블 상태에 있다.Referring to FIG. 2, first, an icon including a zero-conversion window is executed at computer booting and displayed (step 202). Next, an icon including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for executing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by a key input from the user is resident in a predetermined operating system, for example, a widely used Windows operating system (step 204). That is, even if the user executes another application by executing another application on the computer screen,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is in an enabled state.

다음에, 영한 변환 창의 위치 또는 모드 상태를 모니터링한다(제206단계). 모니터링에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영한 변환 창의 위치 또는 모드 상태의 변경 사항을 입력받는다(제208단계).Next, the position or mode status of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is monitored (step 206). According to the monitoring, the user receives an input of a change in the position or mode state of the zero conversion window (step 208).

다음에,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에 의해 변경된 모드 상태로부터 영문 대문자 및 영문 소문자를 구분하여 영한 변환 창의 현재 모드를 변환시킨다. 구체적으로, 변경된 모드 상태가 영문 대문자인가를 판단한다(제210단계). 영문 대문자이면, 컴퓨터 화면상의 현재 모드를 영문 대문자 모드로 변환시킨다(제214단계). 예컨대, 사용자가 키보드 또는 마우스등의 입력수단을 통해 한글 또는 영문 소문자 모드 상태로 된 영한 변환 창을 변경시키면, 현재 모드를 영문 대문자 모드로 변환시킨다(제214단계). 여기서, 사용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컴퓨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한 변환 창을 클릭하거나, 키보드를 이용하여 Caps Lock 키 또는 Shift 키를 눌러 영한 변환 창을 변환시킨다.Next, the current mode of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is converted by distinguishing the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from the mode changed by the key input from the user. In detail, in operation 2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hanged mode state is in capital letters. If it is an uppercase English letter, the current mode on the computer screen is converted to the uppercase English mode (step 214). For example, when the user changes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in the Korean or English lowercase mode state through an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the current mode is converted to the English uppercase mode (step 214). Here, the user clicks the English-English conversion window displayed on the computer screen using a mouse, or converts the English-English conversion window by pressing the Caps Lock key or the Shift key using the keyboard.

제210단계에서 영문 대문자가 아니라면, 변경된 모드 상태가 영문 소문자인가를 판단한다(제212단계). 컴퓨터 화면상의 현재 모드를 영문 소문자 모드로 변환시킨다(제216단계). 한편, 제212단계에서 영문 소문자가 아니라면, 변경된 모드 상태가 한글인 것으로 판단하여 컴퓨터 화면상의 현재 모드를 한글 모드로 변환시킨다(제218단계).If it is not the uppercase English letter in step 2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hanged mode state is a lowercase letter (step 212). The current mode on the computer screen is converted to the lowercase letter mode (step 216). On the other hand, if it is not the lowercase English letter in step 212,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ged mode state is Korean, and converts the current mode on the computer screen to the Hangul mode (step 218).

제214~218단계 후에, 시스템이 종료되는가를 판단하고(제220단계), 종료되지 않으면 제206단계로 다시 진행하여 전술한 동작을 반복한다.After steps 214 to 21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ystem is to be terminated (step 220). If not, the process returns to step 206 to repeat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도 3 (a)~(c)는 본 발명에 의해 적용되는 개선된 영한 변환 아이콘을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영한 변환 아이콘을 개선한 것이다.3 (a) to (c) are diagrams showing an improved English-Korean conversion icon applied by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n improvement of the currently-used English-Korean conversion icon.

사용자가 예컨대, 마우스 또는 키보드의 영한 변환키를 이용하여 한글 모드를 클릭하면,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의 영한 변환 아이콘에 영문 대문자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사용자가 캡스 록 키를 입력한 후에 영문을 입력하거나, 쉬프트 키를 누른 상태에서 영문을 입력하면,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문 소문자가 디스플레이된다. 이 후에, 마우스 또는 키보드의 영한 변환키를 이용하여 영문 대문자 또는 영문 소문자를 클릭하면, 도 3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모드가 디스플레이된다.When the user clicks on the Hangul mode using, for example,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key of the mouse or the keyboard, an English capital letter is displayed on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icon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if the user inputs English after the caps lock key or inputs the English while pressing the shift key, the lowercase English letter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After that, when the uppercase English letter or the lowercase English letter is clicked using the English-English conversion key of the mouse or the keyboard, the Korean mode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영문 대소문자 변환장치의 구현예를 나타낸 블럭도로서, 키보드(400), 키보드용 동적 연결 내장함수 프로그램(KBD.dll)(402), 운영체제(OS)(404), 한영 변환 창에 대한 입력 방법 편집기(IME) 실행 프로그램(miniime.exe)(406), 이에 대한 동적 연결 내장함수 프로그램 (minihook.dll)(408) , IME 디스플레이를 위한 동적 연결 내장함수 프로그램(IME.dll)(410), IME 디스플레이부(412)로 구성된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nglish case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board 400, the keyboard dynamic connection built-in function program (KBD.dll) 402, the operating system (OS) 404, Input Method Editor (IME) executable program (miniime.exe) 406 for the English-English conversion window, dynamic linking built-in program (minihook.dll) 408, dynamic linking built-in program for IME display (IME. dll) 410 and the IME display unit 412.

도 4를 참조하면, OS(404)는 KBD.dll(402)를 통해 키보드(404)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를 입력한다. 또한, 마우스(미도시)로부터 IME 상태를 변경시키는 키를 입력한다. 점선으로 표시된 miniime.exe(406) 및 mimihook.dll(408) 부분은 활성 윈도우의 변경시에 활성 윈도우의 차일드 윈도우중에서 IME에 대한 상태 윈도우와 디폴트 윈도우를 띄우고, OS(404)에서 디폴트 윈도우로 전송되는 정보를 가로채서 IME를 오버라이트시킨다. 또한, 쉬프트 키 또는 캡스 록 키의 입력시에 OS(404)로부터 키 입력 정보를 받아 영문 대문자와 영문 소문자간의 변환을 확인하고, 오버랩 디스플레이시킨다.Referring to FIG. 4, the OS 404 inputs a key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keyboard 404 through the KBD.dll 402. Also, a key for changing the IME state is input from a mouse (not shown). The miniime.exe 406 and mimihook.dll 408 portions shown in dotted lines bring up a status window and a default window for the IME among the child windows of the active window when the active window changes, and are sent from the OS 404 to the default window. It overwrites the IME by intercepting the information. In addition, upon input of a shift key or a cap lock key, key inpu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OS 404 to confirm a conversion between an uppercase English letter and a lowercase English letter and to display an overlap.

이러한 동작을 위해서, miniime.exe(406)는 미리 OS(404)에 활성 윈도우에 대한 변경 여부 정보를 요구하고, 키보드 또는 마우스에 의한 키 입력 여부 정보를 요구하는 콜백 함수(call-back)들을 가르쳐준다. OS(404)는 minikooh.dll(408)에 해당하는 콜백 함수들을 호출하고, minihook.dll(408)은 해당하는 콜백 함수들을 찾아 miniime.exe(406) 및 OS(404)로 리턴시킨다.For this operation, miniime.exe 406 teaches the OS 404 call-back functions that require change information on the active window in advance and request information on key input by the keyboard or mouse. give. The OS 404 calls the callback functions corresponding to minikooh.dll 408, and minihook.dll 408 finds the corresponding callback functions and returns them to miniime.exe 406 and OS 404.

IME.dll(410)는 OS(404)로부터 정보를 수집한다. 그 정보는 키보드(400)로부터의 입력, 마우스로부터의 입력 및 활성 윈도우의 변경에 대한 정보이다. IME 디스플레이부(412)는 초기에 영한 변환을 실행시키는 영한 변환 창을 포함한 아이콘을 소정의 운영체제내에 상주시킨다. 이후에 IME.dll(410)를 통해 수집된 정보에 따라 영한 변환 창의 위치를 변화시켜 디스플레이하거나, 영문과 한글을 변환시켜 디스플레이한다.IME.dll 410 collects information from the OS 404. The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input from the keyboard 400, input from the mouse, and changes in the active window. The IME display unit 412 resides in an operating system an icon including an English-English conversion window for initially executing English-English conversion. Thereafte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IME.dll 410, the location of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is changed or displayed.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영문 대소문자 변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럭도로서, 키 입력부(500), 영한 변환 창 변경 체크부(502), 영문 오버랩 디스플레이 제어부(504) 및 영한 변환 창 디스플레이부(506)로 구성된다.5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English capita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key input unit 500, an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change checker 502, an English overlap display control unit 504, and English-English conversion. The window display unit 506 is configured.

키 입력부(500)는 도 4에서 키보드(400) 및 KBD.dll(402) 부분에 해당한다. 사용자로부터 키보드 또는 마우스로부터 키 입력을 받는다.The key input unit 500 corresponds to the keyboard 400 and the KBD.dll 402 in FIG. 4. Receives keystrokes from the keyboard or mouse from the user.

영한 변환 창 디스플레이부(506)는 도 4에서 IME.dll(410) 및 IME 디스플레이부(412) 부분에 해당한다. 초기에 영한 변환을 실행시키는 영한 변환 창을 포함한 아이콘을 소정의 운영체제내에 상주시킨다. 이후에 영한 변환 창 변경 체크부(502)에서 체크된 결과에 따라 영한 변환 창의 위치를 변화시켜 디스플레이하거나, 영문과 한글을 변환시켜 디스플레이한다.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display unit 506 corresponds to the IME.dll 410 and the IME display unit 412 in FIG. 4. An icon containing an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for initially executing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resides in a predetermined operating system. Thereafter, the position of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is changed or displayed according to the result checked by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change checker 502, or the English and Korean characters are converted and displayed.

영한 변환 창 변경 체크부(502)는 도 4에서 OS(404)에 해당한다. 영한 변환 창 변경 체크부(502)는 영한 변환 창을 변경시켜야 할 소정의 조건들이 되었는가를 체크한다. 소정의 조건들로서 기본적으로 영한 변환 창의 위치 변화, 모드 상태의 변화 구체적으로, 현재 활성 윈도우에 대한 변경을 체크한다. 또한, 키 입력중에서 영문 대문자와 영문 소문자간의 변환과 관련한 키 입력을 체크한다.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change checker 502 corresponds to the OS 404 in FIG. 4.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change checker 502 checks whether predetermined conditions for changing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have been met. As a predetermined condition,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English-English conversion window and the change of the mode state are basically checked. Also checks keystrokes related to conversion between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영문 오버랩 디스플레이 제어부(504)는 도 4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에 해당한다. 영한 변환 창 변경 체크부(502)에서 영문 대문자와 영문 소문자간의 변환에 관련한 키 입력을 체크하면, 영한 변환 창 디스플레이부(506)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현재 영문 모드 상태에 변경된 영문 모드 상태를 오버랩 디스플레이시킨다.The English overlap display control unit 504 corresponds to a portion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4. When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change checker 502 checks a key input related to the conversion between uppercase and lower-case English letters, the changed English mode state is overlapped with the current English mode state displayed by the English-English conversion window display unit 506. .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영문 대소문자 변환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nglish case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영한 변환을 실행시키는 영한 변환 창을 포함한 아이콘이 소정의 운영체제내에 상주된 상태에서 영문 대소문자 변환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현재 활성 윈도우에 대한 변경 여부 정보를 요구한다(제600단계). 사용자에 의해 키보드 입력 여부 정보를 요구한다(제602단계). 즉, 키보드 입력중에서도 쉬프트 키 또는 캡스 록 키의 입력 여부를 알기 위해서이다. 제600단계 및 제602단계는 도 4의 miniime.exe(406)에서 수행되는 부분으로서, 활성 윈도우에 대한 변경 여부 정보를 요구하는 해당 함수, 키 입력 여부 정보를 요구하는 해당 함수를 호출한다. 다음에, 제어를 OS로 넘긴다(제604단계). OS에서 활성 윈도우 변경이 있는가를 판단하고(제606단계), 활성 윈도우 변경이 없으면 키보드 입력이 있는가를 판단한다(제620단계). 키보드 입력 또한 없으면 다시 제604단계로 진행하여 전술한 동작을 반복수행한다.Referring to FIG. 6, an English case conversion method is shown when an icon including an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for executing English-Korean conversion resides in a predetermined operating system.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to change the current active window is requested (operation 600). The user requests the keyboard input information (step 602). That is, to know whether a shift key or a cap lock key is input even during keyboard input. Steps 600 and 602 are performed by miniime.exe 406 of FIG. 4 and call a corresponding function requesting change information on the active window and a corresponding function requesting key input information. Next, control is passed to the OS (step 604). The OS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active window change (step 606), and if there is no active window change,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keyboard input (step 620). If there is no keyboard inpu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604 again to repeat the above operation.

제606단계에서 활성 윈도우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변경된 윈도의 모드 상태에 상응하여 영한 변환 창을 오버라이트한다. 구체적으로, 제606단계 후에 minihook.dll에서 활성 윈도우 변경 이후의 수행과 관련한 해당 함수를 호출한다(제608단계). OS로부터 현재 활성된 윈도우의 IME 핸들을 받는다(제610단계). 디폴트 윈도우와 상태 윈도우를 찾기 위한 함수를 호출한다(제612단계). OS에서 디폴트 윈도우로 전송되는 정보를 가로채기 위한 함수를 호출한다(제614단계). IME 오버라이트한다(제616단계). 현재 상태 윈도우에 대해 타이머를 세팅한다(제618단계). OS로 리턴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606 that the active window has been changed, the English-English conversion window is overwritten according to the changed mode state of the window. In detail, after step 606, the minihook.dll calls a corresponding function related to the execution after the active window change (step 608). In step 610, the OS receives an IME handle of a currently activated window. A function is called to find a default window and a status window (step 612). In operation 614, a function for intercept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S to the default window is called. Overwrite the IME (step 616). In step 618, a timer is set for the current status window. Return to the OS.

한편, 제620단계에서 키보드로부터 키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마찬가지로 minihook.dll에서 키 입력 이후의 수행과 관련한 해당 함수를 호출한다(제622단계). 영문 대문자와 영문 소문자간의 변환과 관련한 키 입력인가를 다시 판단한다. 즉, 쉬프트 키 또는 캡스 록 키인가를 판단한다(제624단계). 그렇지 않으면, OS로 리턴한다. 쉬프트 키 또는 캡스 록 키이면, 캡스 록 키가 떼어진 상태인가를 다시 판단하고(제626단계), 캡스 록 키가 눌러진 상태이면 OS로 리턴한다.Meanwhil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620 that there is a key input from the keyboard, the minihook.dll calls the corresponding function related to the execution after the key input in step 622. Determine again whether a keystroke is involved in converting between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In other word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hift key or the caps lock key (step 624). Otherwise, return to the OS. If it is the shift key or the caps lock key, it is again determined whether the caps lock key is released (step 626), and if the caps lock key is pressed, the process returns to the OS.

제626단계에서 캡스 록 키가 떼어진 상태이면, 현재 영한 변환 창이 영문 모드인가를 판단한다(제628단계). 여기서, 쉬프트 키는 떼어진 상태, 눌러진 상태에 상관없이 제628단계를 수행한다. 영문 모드이면, IME 상태 정보를 토글시킨다(제630단계).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현재 영문 모드 상태에 변경된 영문 모드 상태가 오버랩 디스플레이된다. 예컨대, 영문 대문자 'A'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었으면, 쉬프트 키 입력 또는 떼어진 상태의 캡스 록 키 입력에 의해 영문 소문자 'a'가 오버랩 디스플레이된다.If the caps lock key is released in step 626,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English-English conversion window is in English mode (step 628). Here, the shift key performs step 628 regardless of the released state or the pressed state. In the English mode, the IME state information is toggled (step 630). Accordingly, the changed English mode state is overlapped with the displayed current English mode state. For example, if the uppercase English letter 'A' is displayed, the lowercase English letter 'a' is overlapped by the shift key input or the caps lock key input in the released stat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화면상에서의 영한 변환 아이콘을 이용한 영문 대소문자 변환방법 및 그 장치는, 영한 변환 아이콘에 영문 소문자를 추가하여 컴퓨터 화면상에서의 영문 대소문자 모드를 토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영문 키를 사용하는데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nglish capit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English-English conversion icon on the computer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lowercase English letter to the English-English conversion icon to toggle the English capitalization mode on the computer screen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convenience in using English keys.

Claims (5)

컴퓨터 화면상에서의 영한 변환 아이콘을 이용한 영문 대소문자 변환방법에 있어서,In the English case conversion method using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icon on the computer screen, (a) 영한 변환을 실행시키는 영한 변환 창을 포함한 아이콘을 소정의 운영체제내에 상주시키는 단계;(a) residing in an operating system an icon containing an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for executing English-Korean conversion; (b) 상기 영한 변환 창의 위치 또는 모드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b) monitoring the position or mode status of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c)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한 변환 창의 위치 또는 모드 상태의 변경 사항을 입력받는 단계; 및(c) receiving a change of a position or a mode state of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from the user; And (d)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키 입력에 의해 변경된 모드 상태로부터 영문 대문자 및 영문 소문자를 구분하여 컴퓨터 화면상에서 상기 영한 변환 창의 현재 모드를 변환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한 변환 아이콘을 이용한 영문 대소문자 변환방법.and (d) converting the current mode of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on a computer screen by distinguishing English uppercase letters and lowercase letters from the mode state changed by the key input from the user. Case conver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c) comprises: 변경된 모드 상태가 상기 영문 대문자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영문 대문자이면 상기 컴퓨터 화면상의 상기 현재 모드를 영문 대문자 모드로 변환시키는 단계;Judging whether the changed mode state is the uppercase alphabetic character, and converting the current mode on the computer screen to the uppercase alphabetic character mode if the uppercase alphabetical character is used; 변경된 모드 상태가 상기 영문 소문자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영문 소문자이면 상기 컴퓨터 화면상의 상기 현재 모드를 영문 소문자 모드로 변환시키는 단계; 및Determining whether the changed mode state is the lowercase alphabetic character, and converting the current mode on the computer screen to the lowercase alphabetic character mode if the lowercase alphabetic character is present; And 변경된 모드 상태가 상기 영문 대문자 및 상기 영문 소문자가 아니면 상기 컴퓨터 화면상의 상기 현재 모드를 한글 모드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한 변환 아이콘을 이용한 영문 대소문자 변환방법.And converting the current mode on the computer screen into a Hangul mode if the changed mode state is not the uppercase English letter and the lowercase English letter. 컴퓨터 화면상에서의 영한 변환 아이콘을 이용한 영문 대소문자 변환장치에 있어서,In the English case converter using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icon on the computer screen, 영한 변환을 실행시키는 영한 변환 창을 포함한 아이콘을 소정의 운영체제내에 상주시키는 영한 변환 창 디스플레이부;An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display unit for residing an icon including an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for executing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in a predetermined operating system; 상기 영한 변환 창을 변경시켜야 할 소정의 조건들이 되었는가를 체크하는 영한 변환 창 변경 체크부; 및An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change checker which checks whether predetermined conditions for changing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have been reached; And 상기 창 변경 체크부에서 영문 대문자와 영문 소문자간의 변환이 체크되면, 상기 영한 변환 창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현재 영문 모드 상태에 변경된 영문 모드 상태를 오버랩 디스플레이시키는 영문 오버랩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한 변환 아이콘을 이용한 영문 대소문자 변환장치.And an English overlap display control unit configured to overlap display of the changed English mode state on the current English mode state displayed by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display unit when the window change checker checks the conversion between the uppercase English letter and the lowercase English letter. English case converter using English-Korean conversion ic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한 변환 창 변경 체크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change check unit, 상기 소정의 조건들로서 적어도 현재 활성 윈도우에 대한 변경 및 영문 대문자와 영문 소문자간의 변환과 관련한 키 입력을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문 대소문자 변환장치.And a key input relating to a change to at least the currently active window and conversion between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of the alphabet as the predetermined conditions. 영한 변환을 실행시키는 영한 변환 창을 포함한 아이콘이 소정의 운영체제내에 상주된 상태에서, 컴퓨터 화면상에서의 영한 변환 아이콘을 이용한 영문 대소문자 변환방법에 있어서,In an English case conversion method using an English-English conversion icon on a computer screen, with an icon including an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for executing English-Korean conversion resides in a predetermined operating system, (a) 현재 활성 윈도우에 대한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a) checking whether the current active window has been changed; (b)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b) confirming key input by the user; (c) 상기 활성 윈도우가 변경되었으면, 변경된 윈도우의 모드 상태에 상응하여 상기 영한 변환 창을 오버라이트하고, 상기 (a)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c) if the active window has been changed, overwriting the zero-conversion window in accordance with the mode state of the changed window, and proceeding to step (a); (d) 상기 키 입력에서 영문 대문자와 영문 소문자간의 변환과 관련한 키 입력이 있으면, 현재 영한 변환 창이 영문 모드인가 한글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d)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English-Korean conversion window is in English mode or Korean mode if there is a key input related to conversion between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in the key input; And (e) 영문 모드이면, 디스플레이된 현재 영문 모드 상태에 변경된 영문 모드 상태를 오버랩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문 대소문자 변환방법.and (e) overlapping the changed English mode state with the displayed current English mode state if the English mode is displayed.
KR1019990000720A 1998-04-06 1999-01-13 English capital letter-small letter conver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English-Korean conversion icon on computer screen KR1002839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88105287A TW586078B (en) 1998-04-06 1999-04-02 Method for converting capital/small letter mode of English using English/Korean converting icon on display of computer, and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120 1998-04-06
KR19980012120 1998-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688A KR19990082688A (en) 1999-11-25
KR100283957B1 true KR100283957B1 (en) 2001-02-15

Family

ID=5478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0720A KR100283957B1 (en) 1998-04-06 1999-01-13 English capital letter-small letter conver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English-Korean conversion icon on computer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395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092B1 (en) * 1999-01-13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English capital letter &small letter on computer screen using cur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688A (en)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4616A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language used for character generation by an operating system
US69075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screen fields, functions and programs using a simple single key stroke
TW200506727A (en) Method for processing multi-functional menu of man-machine-interface device, and its man-machine-interface system
US20030091377A1 (en) Input apparatus and method
KR20000071286A (en) Bidirectional network language support
CN106060618B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system of smart television
US20040230908A1 (en) Accessing a platform independent input method editor from an underlying operating system
US7162685B2 (en) Key-input correcting device
US20110115707A1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character input mode
KR100283957B1 (en) English capital letter-small letter conver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English-Korean conversion icon on computer screen
EP0853271A1 (en) Method of starting function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co-ordinate reading system
KR100322575B1 (en) Computer with function of correcting character mistyping
EP1128251A2 (en) Method of programming a hot key
KR20000049575A (en)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mouse device
JPH11126135A (en) Input device
KR1005320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English capital letter &small letter on computer screen using cursor
JPS62256121A (en) Icon designation system by key-in
KR20080080786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rt cut menu
JP2000112657A (en) Circuit for preventing erroneous operation of pointing device
KR20030004612A (en) Method for locking a touch pad in note-book computer
KR19990073999A (en) How to set shortcuts on your personal computer
JPH09245029A (en) Method for unifying operability between same kind of functional softwares in computer system
KR100619504B1 (en) Method For Automatic-Converting to an Input Mode And System Thereof
KR200260003Y1 (en) Multimedia keyboard structure
JP2001005606A (en) Mouse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