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0775B1 - 칼라컴퓨터 모니터의 아이콘 동기 선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칼라컴퓨터 모니터의 아이콘 동기 선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0775B1
KR100280775B1 KR1019970006699A KR19970006699A KR100280775B1 KR 100280775 B1 KR100280775 B1 KR 100280775B1 KR 1019970006699 A KR1019970006699 A KR 1019970006699A KR 19970006699 A KR19970006699 A KR 19970006699A KR 100280775 B1 KR100280775 B1 KR 100280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ywheel
screen
icon
processing device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9577A (ko
Inventor
쿠에이-피 쳉
Original Assignee
에드워드후앙
맥테크 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드워드후앙, 맥테크 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드워드후앙
Priority to KR1019970006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0775B1/ko
Publication of KR19980069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0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077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플라이휠로 조정되는 컬러 컴퓨터 모니터에서 아이콘을 동기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는 바, 조정되어질 모니터 표시 파라미터 및 실행되어질 기능을 나타내는 상기 아이콘은 화면 커서가 따르게 될 원형 경로를 한정하는 폐쇄원으로 배치되어 화면 커서의 이동이 실질적으로 플라이휠 컨트롤의 회전 운동과 동기되게된다. 따라서, 모니터를 조정하는데 있어서 보다 나은 사용자 친숙 환경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칼라컴퓨터 모니터의 아이콘 동기 선택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플라이휠로 조정되는 컬러 컴퓨터 모니터의 아이콘들을 동기로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원형 아이콘 메뉴상에서 커서의 움직임을 실질적으로 플라이휠의 회전에 동기시키기 위한 모니터 화면상의 아이콘 메뉴의 원형 배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이휠 컨트롤을 사용하여 컴퓨터 모니터의 모든 모니터 조정 손잡이를 대신하는 것으로는 본 출원의 출원인에 의해 1996년 5월 18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NO. 08/680,546호에 공지되어 있는데, 이 출원에서 플라이휠 컨트롤은 모니터의 모든 조정 손잡이를 대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온-스크린 표시 집적 회로(OSD IC)는 모니터를 조정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는 모니터 표시 파라미터의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비트 발생기가 사용자와 모니터간의 인터페이스로 제공되어 소정의 조정을 실행하기 위한 소정의 아이콘으로 화면 커서를 움직이게 한다. 이는 모니터의 조정을 간단하게 하고 또한 적은 수의 손잡이를 사용하기 때문에 더 나은 모니터의 심미감을 제공한다.
이런 플라이휠로 조정된 모니터의 단점은 아이콘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소정의 아이콘에 커서를 위치시키기 위해서 직선 방식으로 커서를 움직여야 하나, 상기 플라이휠은 회전 방식으로 움직이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들이 서로 맞지 않게 된다. 이는 모니터를 조정하는데 있어서 특정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플라이휠의 회전과 화면 커서의 직선 이동 사이의 맞지 않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플라이휠로 조정되는 컬러 컴퓨터 모니터에서 아이콘을 동기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정되어질 모니터 표시 파라미터와 실행되어질 기능을 나타내는 상기 아이콘은 화면 커서가 뒤따르게 될 원형 경로를 한정하는 폐쇄원으로 배열되어 상기 하면 커서의 움직임은 실질적으로 플라이휠 컨트롤의 회전 이동과 동기하여 일어난다. 따라서, 모니터를 조정하는데 있어서 사용자 친화 환경이 제공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아이콘의 원형 배치의 실시예를 모니터 화면상에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선택 모드의 절차를 도시한 플로 챠트이다.
제4도는 모니터를 조정하는 절차를 도시한 플로 챠트이다.
제5도는 모니터상에 기능을 실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플로 챠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회로의 블록도를 도시한 제1도를 참조하면, 상기 회로는 화상 입력부(10), 중앙 처리 장치(CPU)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기본인 제어 장치(20),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30), 메모리(40), 화상 증폭 회로(50), 온-스크린 표시 집적 회로(OSD IC)(60), 수평 수직 편향 회로(70) 및 음극선관(CRT)(80)을 구비한다.
컴퓨터를 작동시에, 컴퓨터 내부에 설치된 VGA 카드(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컴퓨터 인터페이스는 화상 입력부(10)를 거쳐서 CPU(20)에 전송되는 R, G, B(적색, 녹색, 청색) 컬러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H-SYNC)와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발생시킨다. 이후 이들 신호는 CPU(20)에 의해 검출되고 상기 화상 증폭 회로(50)에 전송된다. 현재 구입 가능한 대부분의 컬러 모니터가 다중 동기 컬러 모니터이기 때문에,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적용하여 화상 모드, 해상도 및 화상 표시 크기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파라미터를 메모리(40)내에 보존하고 이 파라미터들을 쉽게 수정하며 OSD IC(60)에 의해 제공된 아이콘으로 상기 파라미터들의 조정을 CRT(80)상에 표시한다. 상기 CPU(20)는 VGA 카드가 어떤 모드에 존재하는지를 검출하여, 이렇게 검출된 화상 모드는 상기 메모리(40)에 저장된 화상 모드와 비교되며, 상기 CPU는 플라이휠 컨트롤로부터 플라이휠 컨트롤의 회전 방향과 속도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비교 결과와 이렇게 수신된 제어 신호는 조정을 수행하고 상기 OSD IC(60)와 상기 수평 수직 편향 회로(70)를 제어하는데 사용되어져 CRT(80)상에서 조정을 하게 된다.
제2도는 모니터 화면상에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어질 원으로 배치된 각종 모니터 표시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다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사용자 선택 메뉴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아이콘은 대체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지는데, 한 그룹은 모니터의 조정을 위한 것으로 상부의 반원에 배치된 콘트라스트, 휘도, 그리고 화면 수평 크기, 화면 수평 위치, 화면 수직 크기, 화면 수직 위치, 핀쿠션형 도형, 사다리꼴형 도형등 기하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다른 그룹은 기능실행을 위한 것으로, 하부의 반원에 배치된 소자(消磁), 기하학적인 크기 및 위치 복원, 고급 함수 조정, 색체 관리, 언어, 사용자 모드, 온-스크린 표시(OSD) 매니저 및 엑사이트(Exit)를 포함한다. 모든 아이콘은 화면 커서가 플라이휠의 조정하에서 이동 가능한 원형 경로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커서가 멈춘 지점에 있는 아이콘은 사용자가 조정 또는 실행하기 위해 선택한 것이다. 상기 원형 배치는 사용자가 플라이휠을 회전에 동기되게 커서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시계방향으로 플라이휠을 회전시킬 때, 커서는 원형 경로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움직이고, 사용자가 반시계방향으로 플라이휠을 회전시킬 때, 커서는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인다. 또한, 아이콘의 원형 배치는 사용자가 원형 경로를 따라 순환 방식으로 커서를 움직이게 해서 아이콘을 보다 쉽고 편하게 선택하게 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것은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라 조정 또는 실행될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선택 모드의 플로 챠트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모니터 화면을 조정하려고 하거나 또는 어떤 기능을 실행하려고 할 때, 사용자가 플라이휠 컨트롤을 누르게 되면 그것에 의해서 CPU(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30)를 통해 신호를 받는다. 일단 신호를 받은 CPU(20)는 위에서 언급되었던 아이콘들로 구성된 아이콘 메뉴를 OSD IC(60)에 전송하고 상기 아이콘 메뉴를 CRT(80)상에 표시하여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 영상을 사용자가 화면상으로 볼 수도 있게 한다. 사용자가 이제 소정의 방향으로 플라이휠 컨트롤을 돌릴 수 있고, 이에 응하여 CPU(20)는 OSD IC(60)를 통해 화면 커서의 위치를 수정하고 사용자가 현 상황을 알 수 있도록 커서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아이콘의 설명 텍스트를 수정하는 것을 포함해서 화면 영상을 변화시키고 수정한다.
요약하면, 이러한 작동의 절차는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A :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30)의 플라이휠 컨트롤을 누른다;
단계 B : CPU(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30)에 의해 신호를 받아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모드를 입력한다;
단계 C : CPU(20)는 OSD IC(60)를 통해 아이콘 메뉴를 CRT(80)상에 표시한다;
단계 D : 사용자는 플라이휠을 회전시켜 소정의 아이콘을 아이콘 메뉴에서 선택한다;
단계 E : CPU(20)는 화면 영상을 플라이휠 컨트롤의 회전에 따라 OSD IC(60)를 통해 수정한다;
단계 F : 선택된 항목의 조정 작동을 행하거나 또는 선택된 기능을 실행한다.
제4도는 상기 단계 F에서 만들어진 선택된 모니터 표시 파라미터의 조정 작동의 플로 챠트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커서를 플라이휠 컨트롤을 이용하여 소정의 아이콘으로 움직이고 플라이휠 컨트롤을 눌려서 CPU(20)에 신호를 보냄에 따라, 상기 CPU(20)는 실행 모드를 입력하고 화면 영상을 OSD IC(60)를 통해 수정하는데, 이는 사용자가 현재 상태가 실행 모드중이라는 알리는 커서 색의 변화와 선택된 아이콘의 파라미터와 관련된 스케일 바의 표시를 포함한다. 이제 사용자가 소정의 방향으로 플라이휠을 돌려서 스케일바 상에 보여지는 항목의 수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도 있다. CPU(20)는 신호를 플라이휠 컨트롤로부터 받고 스케일바를 플라이휠 컨트롤에서 나온 신호에 따라 수정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파라미터가 수평 크기, 수평 위치, 수직 크기 또는 수직 위치와 같은 기하와 관련된 파라미터중 하나라면, 이후 CPU(20)는 플라이휠 컨트롤의 회전 신호를 받은 후에, 수평 수직 편향 회로(70)에 신호를 보내서 CRT(80)에 소정의 조정을 한다. 만약 선택된 항목이 기하와 관련된 것이 아니라면, 이후 CPU(20)는 화상 증폭 회로(50)에 신호를 보내어 CRT(80)의 표시를 상기 신호에 따라 조정한다.
요약하면, 상기 절차는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G : 사용자는 아이콘 메뉴 중 선택된 아이콘에서 플라이휠 컨트롤을 누른다;
단계 H : CPU(20)는 플라이휠 컨트롤의 작동에 의한 신호를 받아서 실행 모드를 입력한다;
단계 I : CPU(20)는 신호를 OSD IC(60)에 보내서 화면을 수정한다;
단계 J : 사용자가 시계방향으로 플라이휠 컨트롤을 돌리는지 검사하고 만약 플라이휠 컨트롤이 시계방향이면, 처리 과정은 단계 K로 가고, 그렇지 않다면 처리과정은 단계 O로 간다;
단계 K : CPU(20)는 메뉴의 화면 영상을 수정하고 신호를 OSD IC(60)에 보내서 스케일 바를 수정하여 스테일 바의 조정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단계 L : 선택된 항목이 기하학적인 크기 및 위치와 관련된 것인지를 검사하고 만약 그렇다면, 처리 과정은 단계 M으로 가고, 그렇지 않다면, 처리 과정은 단계 N으로 간다;
단계 M : CPU(20)는 선택된 조정량을 증가하는 신호를 수평 수직 편향 회로(70)에 전송하여 그에 따라서 CRT(80)가 선택된 항목의 증가 조정을 보여주고 이후 처리 과정은 주루틴으로 돌아간다;
단계 N : CPU(20)는 선택된 조정량을 증가하는 신호를 화상 증폭 회로(50)에 전송하여 그에 따라서 화면 영상이 증가 조정을 보여주고 이후 처리 과정은 주루틴으로 돌아간다;
단계 O : 사용자가 플라이휠 컨트롤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는지를 검사하고 만약 그렇다면, 처리 과정은 단계 R로 가고, 그렇지 않다면, 처리 과정은 단계 P로 간다;
단계 P : 사용자가 플라이휠 컨트롤을 다시 누르는지를 검사하고 만약 그렇다면, 처리 단계는 단계 Q로 가고, 그렇지 않다면, 처리 단계는 주루틴으로 돌아간다;
단계 Q : 선택 모드를 다시 시작하고 이후 처리 과정은 주루틴으로 돌아간다;
단계 R : CPU(20)는 메뉴의 화면 영상을 수정하고 신호를 OSD IC(60)에 보내어 스케일 바를 수정하여 스케일 바의 조정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단계 S : 선택된 항목이 기하학적인 크기 및 위치에 관련된 것인지를 검사하고 만약 그렇다면, 처리 과정은 단계 T로 가고, 그렇지 않다면, 처리 과정은 단계 U로 간다;
단계 T : CPU(20)는 선택된 조정량을 감소시키는 신호를 수평 수직 편향 회로(70)에 전송하여 그에 따라 CRT(80)가 선택된 항목의 감소 조정을 보여주고 이후 처리 과정은 주 루틴으로 돌아간다.
단계 U : CPU(20)가 선택된 조정량을 감소시키는 신호를 화상 증폭 회로(50)에 전송하여 그에 따라 화면 영상이 감소 조정을 보여주고 이후 처리 과정은 주 루틴으로 돌아간다.
제5도는 선택된 아이콘에 의해 지시된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에 관한 예시적 플로 챠트를 도시하고, 이는 사용자가 제2도에 도시된 메뉴의 하반부상에 놓여진 아이콘들 중 하나를 선택할 때의 단계들을 도시한다. 사용자가 플라이휠 컨트롤을 이용하여 커서를 소정의 아이콘으로 옮기고 플라이휠 컨트롤을 누르면, CPU(20)는 신호를 받아서 실행 모드를 입력하고 아이콘에 의해 지시된 기능을 실행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과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V : 사용자가 아이콘 메뉴의 선택된 아이콘에서 플라이휠 컨트롤을 누른다;
단계 W : CPU(20)는 플라이휠 컨트롤의 작동에 의한 신호를 받아서 실행 모드를 입력한다; 그리고
단계 X : CPU(20)는 선택된 아이콘에 의해 지시된 기능을 실행하고 그에 따라 작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 및 방법은 단일 플라이휠 컨트롤을 사용함으로서 복수의 상이한 손잡이가 사용되어 상이한 조정을 행하도록 하는 종래의 설계를 대신할 뿐만 아니라, 화면상에 아이콘을 더욱 사용자 친화적인 원형배치를 마련하기도 한다. 이는 사용자가 플라이휠과 동시에 화면 커서를 움직일 수 있게 하여 플라이휠 컨트롤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화면 커서는 시계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고, 플라이휠 컨트롤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화면 커서는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이는 모니터를 조정하기 위해 더욱 사용하기 쉬운 환경을 제공한다.
비록 바람직한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서만 제한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상기 특정 실시예를 변화시키고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Claims (6)

  1. 화상 입력부, 처리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 메모리, 화상 증폭 회로, 온-스크린 표시 집적 회로, 수평 및 수직 편향회로 및 음극선관을 구비하고, 상기 처리장치는, 컴퓨터 작동시, 상기 컴퓨터 내부에 비치된 컴퓨터 인터페이스로부터 발생된 R, G와 B 컬러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를 상기 화상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받아 검출한 후, 상기 R, G 및 B 컬러 신호를 상기 화상 증폭 회로로, 상기 수평 동기 신호 및 수직 동기 신호를 상기 수평 수직 편향 회로로 각각 전송시켜 상기 온 스크린 표시 집적 회로에 의해 제공되어지고 조정되어질 표시 파라미터와 수행되어질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원형 경로에 따라 상기 음극 선관에 나타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표시모드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로부터 플라이 휠 컨트롤의 회전 방향 및 속도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검출하여서,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표시모드와 상기 메모리내에 저장된 표시 모드를 비교하고, 이 비교결과와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온-스크린 표시 집적 회로 및 수평 수직 편향 회로로 제공하여 상기 플라이 휠 콘트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커서를 동기하여 상기 표시 파라미터를 조정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컴퓨터 모니터의 아이콘 동기 선택 장치.
  2. 플라이 휠로 조정되는 칼라 컴퓨터 모니터에서 상기 플라이 휠과 동기하여 아이콘을 선택한 후 아이콘 메뉴로서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어 있는 모니터 표시 파라미터를 상기 플라이 휠로 조정하는 칼라 컴퓨터 모니터의 아이콘 동기 선택 방법에 있어서, 조정되어질 모니터 표시 파라미터 및 수행되어질 기능을 나타내는 다수의 아이콘을 원형 경로에 따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플라이 휠 컨트롤의 회전 방향이 시계방향이면 화면 커서를 상기 원형 경로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동기시켜 움직이고, 상기 플라이 휠 컨트롤의 회전방향이 반시계 방향이면 상기 화면 커서를 상기 원형 경로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동기시켜 움직임으로써, 상기 아이콘 중 선택된 하나에 상기 화면 커서가 멈추도록하여 상기 아이콘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컴퓨터 모니터의 아이콘 동기 선택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a) 플라이휠 컨트롤을 누르는 단계와; b) 처리 장치에 신호를 보내어 상기 플라이휠 컨트롤의 작동과 함께 선택 모드를 입력하는 단계와; c) 상기 처리 장치가 온-스크린 표시 집적 회로에 아이콘 메뉴를 전송하여 상기 아이콘 메뉴를 상기 모니터의 음극선관을 통해 모니터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와; d) 상기 플라이휠 컨트롤을 회전시켜서 화면 커서를 아이콘에 의해 한정된 원형 경로를 따라 상기 아이콘 중 선택된 하나로 움직이도록 하는 단계; e) 상기 처리 장치가 온-스크린 표시 집적 회로를 상기 플라이휠 컨트롤의 회전으로 수정하는 단계; f) 상기 선택된 아이콘과 관련된 조정 작동 또는 기능 실행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컴퓨터 모니터상의 아이콘들을 동기로 선택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파라미터 조정 아이콘 및 기능 실행 아이콘을 구비하여 파라미터 조정 또는 기능 실행을 수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컴퓨터 모니터의 아이콘 동기 선택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파라미터 조정 아이콘들에 의거 행해진 파라미터 조정은 g) 소정의 조정 작동과 관련된 아이콘 중 선택된 하나에서 플라이휠 컨트롤을 누르는 단계와; h) 처리 장치에 신호를 보내 상기 플라이휠 컨트롤의 작동과 함께 실행 모드를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와; i) 상기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온-스크린 표시 집적 회로에 신호를 전송하고 모니터 화면을 수정하도록 하는 단계와; j) 상기 플라이휠이 제1방향으로 회전되는지를 검사하고 만약 상기 플라이휠이 제1방향으로 회전된다면 단계 k)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단계 o)를 실행하는 단계와; k) 상기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화면을 수정하고 플라이휠의 제1방향과 관련된 스케일 바의 변화를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와; l) 선택된 항목이 화면상의 기하 영상과 관련된 것인지를 검사하고 그렇다면 단계 m을 실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단계 n)을 실행하는 단계와; m) 상기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선택된 아이콘의 변화를 수평 수직 편향 회로에 전송하여 그에 따라서 화면 영상을 변화시키도록 하는 단계와; n) 상기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선택된 아이콘의 변화를 화상 증폭 회로에 전송하여 그에 따라서 화면 영상을 변화시키도록 하는 단계와; o) 상기 플라이휠이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전되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플라이휠이 제2방향으로 회전된다면 단계 r)을 실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단계 p를 실행하는 단계와; p) 상기 플라이휠 컨트롤이 다시 눌려지는지를 검사하고 만약 그렇다면 단계 q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주 루틴으로 다시 돌아가는 단계와; q) 상기 선택 모드를 다시 시작하는 단계와; r) 상기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화면을 수정하고 상기 플라이휠의 제2방향과 관련된 스케일 바의 변화를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와; s) 상기 선택된 항목이 화면의 기하 영상과 관련되는지를 검사하고 만약 그렇다면, 단계 t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단계 u)를 실행하는 단계와; t) 상기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선택된 아이콘의 변화를 수평 수직 편향 회로에 전송하고 그에 따라서 화면 영상을 변화시키도록 하는 단계와; u) 상기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선택된 아이콘의 변화를 화상 증폭 회로에 전송하고 그에 따라서 화면 영상을 변화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컴퓨터 모니터상의 아이콘들을 동기로 선택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기능 실행 아이콘들에 의거 행해진 기능 실행이 v) 상기 아이콘중 선택된 하나에서 플라이휠 컨트롤을 누르는 단계와; w) 상기 처리 장치에 신호를 보내어 상기 플라이휠 컨트롤의 작동과 함께 실행 모드를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와; x) 상기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선택된 아이콘에 의해 지시된 기능의 실행을 행하고 그에 따라서 모니터상에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컴퓨터 모니터상의 아이콘들을 동기로 선택하는 방법.
KR1019970006699A 1997-02-28 1997-02-28 칼라컴퓨터 모니터의 아이콘 동기 선택장치 및 방법 KR100280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699A KR100280775B1 (ko) 1997-02-28 1997-02-28 칼라컴퓨터 모니터의 아이콘 동기 선택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699A KR100280775B1 (ko) 1997-02-28 1997-02-28 칼라컴퓨터 모니터의 아이콘 동기 선택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577A KR19980069577A (ko) 1998-10-26
KR100280775B1 true KR100280775B1 (ko) 2001-02-01

Family

ID=65984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699A KR100280775B1 (ko) 1997-02-28 1997-02-28 칼라컴퓨터 모니터의 아이콘 동기 선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07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507A (ko) * 2002-04-09 2003-10-17 학교법인 경희대학교 초음파 혼의 편심 이동에 의한 자동 마사지 물리치료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507A (ko) * 2002-04-09 2003-10-17 학교법인 경희대학교 초음파 혼의 편심 이동에 의한 자동 마사지 물리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577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663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ously selecting icons in flywheel controlled color computer monitor
US20080252604A1 (en) OSD controll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548326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plified video monitor control
EP0840504B1 (en) Customized menu system for hierarchical menu and television system with the same
JP3068855B2 (ja) ディスプレイ機能の遠隔制御
US54486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plified control of a video monitor
US20050012862A1 (en) Video display appliance having function of varying screen ratio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9980042366A (ko)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텔레비젼 디스플레이 제어를 조정하는장치와 방법
US6856332B2 (en) Picture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display appliance
US6169535B1 (en) Monitor adjustment control
US20080239149A1 (en) OSD system having colorful and dynamic OSD menu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7609328B2 (en) State-setting changing apparatus for television receiver
KR20040071945A (ko) 부화면 조정이 가능한 영상표시기기 및 그 방법
AU1007299A (en) Level adjus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n-screen display menu in image display device
EP1777950A2 (en) Display apparatus
KR100280775B1 (ko) 칼라컴퓨터 모니터의 아이콘 동기 선택장치 및 방법
JP2571725B2 (ja) Crtディスプレイ装置
JP3294967B2 (ja) 画面表示制御装置
JP2004271802A (ja) 表示処理装置および固定画素型表示システム
KR100369822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63502A (ko) 액정 표시 장치
JP2957967B2 (ja) コンピュータ用カラーモニタのフライホイールコントロール式同期選択調整装置と方法
JP4395940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02041026A (ja) 映像表示方法および映像表示装置
KR10070098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