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287B1 - 통화품질 유지를 위한 전력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품질 유지를 위한 전력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287B1
KR100278287B1 KR1019980050758A KR19980050758A KR100278287B1 KR 100278287 B1 KR100278287 B1 KR 100278287B1 KR 1019980050758 A KR1019980050758 A KR 1019980050758A KR 19980050758 A KR19980050758 A KR 19980050758A KR 100278287 B1 KR100278287 B1 KR 100278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signal
noise ratio
control comman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3755A (ko
Inventor
민경원
이숭복
박원진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50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8287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2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08Closed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기지국의 전력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조정된 신호대잡음비와 평가된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과, 그의 전력제어명령(PCB) 발생주기당 변화량에 의해 계산된 파라메터값에 따라 전송될 PCB를 결정하여 순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단말기로 전송하므로써, 높은 통화품질을 얻기 위한 전력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전력제어 장치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의 측정 신호대잡음비와, 수신신호를 변조하여 역방향링크의 프레임에러율을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발생된 신호대잡음비의 문턱값의 오차 및 그 미분치를 계산하는 제 1 단계; 오차값과 그 미분치에 따라 전력제어명령 파라메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발생된 전력제어명령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단말기가 전력제어명령에 따라 출력전력을 조정하고, 전력제어 장치로 신호를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의 전력제어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통화품질 유지를 위한 전력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전력제어명령(PCB : Power Control Bit) 발생시에, 조정된 신호대잡음비(SNR)와 평가된 신호대잡음비(SNR)의 차이와, 그의 주기당 변화량에 의해 단말기로 전송될 PCB를 결정하여, 원하는 프레임에러율(FER : Frame Error Rate)을 정확하게 유지시켜 높은 통화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전력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의 전력제어 방법은 역방향 링크에서 평가된 FER을 입력으로 문턱값 컴퓨터(Threshold Computer)에서 조정된 신호대잡음비 문턱값( (Eb/ N0)threshold )과 역방향 링크에서 평가된 측정 신호대잡음비( (Eb/ No)estimate )를 비교하여 그 차이값을 입력으로 하는 뱅-뱅(Bang-Bang) 제어시스템에 의해 PCB를 결정하였다. 이렇게 결정된 PCB에 의해 단말기는 ±1 dB씩 전력을 조정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단순히 (Eb/ N0)threshold (Eb/ No)estimate 의 차이값만을 이용하여 PCB를 결정하였기 때문에, 이에 의해 조정된 단말기의 SNR은 기지국에서 기준으로 정해준 SNR을 추종해 나감에 있어서 떨림현상을 일으키게 되어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조정된 신호대잡음비( (Eb/ N0)threshold )와 평가된 신호대잡음비( (Eb/ No)estimate )의 오차값과, 그의 전력제어명령(PCB) 발생주기당 변화량에 의해 계산된 파라메터값에 따라 전송될 PCB를 결정하여 순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단말기로 전송하므로써, 단말기에서 PCB에 근거하여 ±k dB씩 전력을 조정함에 따라 떨림현상을 극복하고 원하는 프레임에러율(FER)을 정확하게 유지시켜 높은 통화품질을 얻기 위한 전력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제어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역방향 전력제어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수신기 12 : 복조기
13 : 프레임에러율 추정기 14 : 신호대잡음비 문턱값 발생기
15 : 신호대잡음비 추정기 16 : 가산기
17 : 전력제어명령 파라메터 결정기 18 : 전력제어명령 발생기
19 : 버퍼 20 : 송신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통신시스템의 전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역방향링크를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의 신호대잡음비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대잡음비 측정수단; 상기 단말기로부터 역방향링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수신신호를 변조하여 역방향링크의 프레임에러율을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신호대잡음비의 문턱값을 발생하기 위한 신호대잡음비 문턱값 발생수단; 상기 신호대잡음비 측정수단 및 상기 신호대잡음비 문턱값 발생수단으로부터 각각 전달된 측정 신호대잡음비와 신호대잡음비 문턱값의 오차를 계산하기 위한 오차계산수단; 상기 오차계산수단에서 계산된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의 미분치를 근사화시키기 위해,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오차계산수단에서 계산된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근사화된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의 미분치로부터 전력제어명령 파라메터를 결정하기 위한 전력제어명령 파라메터 결정수단; 및 상기 전력제어명령 파라메터 결정수단에서 결정된 전력제어명령 파라메터에 따라 단말기로 전송될 전력제어명령을 발생하기 위한 전력제어명령 발생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법은, 전력제어 장치에 적용되는 전력제어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 장치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의 측정 신호대잡음비와, 상기 수신신호를 변조하여 역방향링크의 프레임에러율을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발생된 신호대잡음비의 문턱값의 오차 및 그 미분치를 계산하는 제 1 단계; 상기 오차값과 그 근사화된 미분치에 따라 전력제어명령 파라메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발생된 전력제어명령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력제어명령에 따라 출력전력을 조정하고, 상기 전력제어 장치로 신호를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기지국의 전력제어 장치에, 상기 전력제어 장치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의 측정 신호대잡음비와, 상기 수신신호를 변조하여 역방향링크의 프레임에러율을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발생된 신호대잡음비의 문턱값의 오차 및 그 미분치를 계산하는 제1 기능; 상기 오차값과 그 근사화된 미분치에 따라 전력제어명령 파라메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발생된 전력제어명령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기능;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력제어명령에 따라 출력전력을 조정하고, 상기 전력제어 장치로 신호를 전송하는 제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제어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기지국 주체의 전력제어 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제어 장치는, 통신시스템, 특히 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주체의 전력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CDMA 시스템의 전력제어에서 역방향 채널을 통하여 평가된 SNR, (Eb/ No)estimate 가 기지국에서 조정된 SNR, (Eb/ No)threshold 를 추종해 나가는데 있어서 수반되는 떨림 현상을 극복하므로써, 원하는 FER을 정확하게 유지하여 높은 통화품질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제어 장치는, 기지국의 PCB 발생 단계에서 SNR의 차이, 즉 (Eb/ No)threshold - (Eb/ No)estimate 와 그의 PCB 발생주기당 변화량에 의해 PCB 결정 파라메터(S)를 설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단말기로 전송될 PCB를 결정하여 순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단말기로 전송하면, 단말기에서 순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전송받은 PCB에 의해 ±k dB씩 전력을 증감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전력제어 장치는, 단말기로부터 역방향링크를 통해 수신기(11)에 수신된 수신신호의 신호대잡음비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대잡음비 추정기(15)와, 단말기로부터 역방향링크를 통해 수신기(11)에 수신된 수신신호를 변조하여 역방향링크의 프레임에러율을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신호대잡음비의 문턱값을 발생하기 위한 복조기(12), 프레임에러율 추정기(13), 신호대잡음비 문턱값 발생기(14)와, 신호대잡음비 추정기(15) 및 신호대잡음비 문턱값 발생기(14)로부터 각각 전달된 측정 신호대잡음비( (Eb/ No)estimate ) 및 신호대잡음비 문턱값( (Eb/ No)threshold )의 오차를 계산하기 위한 가산기(16)와, 가산기(16)에서 계산된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의 미분치를 근사화시키기 위해,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을 저장하기 위한 버퍼(19)와, 가산기(16)에서 계산된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 e )과 버퍼(19)에 저장된 근사화된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의 미분치( e′ )에 따라 전력제어명령 파라메터를 결정하기 위한 전력제어명령 파라메터 결정기(17)와, 전력제어명령 파라메터 결정기(17)에서 결정된 전력제어명령 파라메터에 따라 단말기로 전송될 전력제어명령을 발생하기 위한 전력제어명령 발생기(18)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주체의 전력제어 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신호대잡음비 추정기(15)는 수신기(11)를 통해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역방향 링크의 신호대잡음비( (Eb/ No)estimate )를 평가한다.
신호대잡음비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역방향 링크를 통해 단말기로부터 수신기(11)에 수신된 신호를 복조기(12)에서 복조하고, 프레임에러율 추정기(13)에서 역방향 링크의 FER을 평가한 후에, 신호대잡음비 문턱값 발생기(14)에서 평가결과에 따라 신호대잡음비의 문턱값( (Eb/ No)threshold )을 조정한다.
가산기(16)는 기지국의 수신기(11)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채널로부터 신호대잡음비 문턱값 발생기(14)로부터 전달된 신호대잡음비의 문턱값( (Eb/ No)threshold )과 신호대잡음비 추정기(15)로부터 전달되는 평가된 신호대잡음비( (Eb/ No)estimate )의 차이값( (Eb/ No)threshold - (Eb/ No)estimate )을 가산하여 가산된 값(즉,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을 근사화시키기 위해 버퍼(19)에 저장한다.
전력제어명령(PCB) 파라메터 결정기(17)는 가산기(16)에서 계산된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 (Eb/ No)threshold - (Eb/ No)estimate )과 버퍼(19)에 저장된 근사화된 가산값(즉, 신호대잡음비의 PCB 발생주기당 변화량)에 의해 PCB 결정 파라메터(S)를 생성한다.
전력제어명령(PCB) 발생기(18)는 전력제어명령(PCB) 파라메터 결정기(17)에서 결정된 PCB 파라메터에 근거하여 단말기로 전송될 PCB를 결정하고, 결정된 PCB를 순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후에, 단말기는 순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전송받은 PCB에 근거하여 ±k dB씩(예를들면, 현행 이동통신시스템에서 K는 -73dB임) 전력을 조정하게 된다(도 2 참조).
이제, 전력제어명령(PCB)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전력제어명령 파라메터 결정기(17)는 전력제어명령(PCB)을 결정하기 위한 파라메터(S)를 결정한다. 이러한 PCB 결정 파라메터(S)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1)과 같다.
S = c e +de′
(수학식 1)을 참조하면, e (Eb/ No)threshold - (Eb/ No)estimate 이고, c , d 는 설계자가 결정할 수 있는 임의의 상수값이다. 또한, e′ 로서 근사화시키며, 이를 위해 버퍼(19)를 두어 e 를 저장한다. 여기서, Δ e i 번째의 e 와 버퍼(19)에 저장되어있던 전단계( i-1 번째)의 e 의 차이로서 정의할 수 있으며, Δ t 는 기지국에서의 PCB 갱신 주기인 1.25ms로 설정한다.
이후, PCB 결정 파라메터( S )가 결정되면, 기지국은 그에 근거하여 PCB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PCB 결정 파라메터( S )를 (수학식 2)와 같이 정의한다.
이렇게 결정된 PCB는 순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송신기(20)를 경유하여 단말기로 전송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역방향 전력제어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역방향 전력제어 과정은 당해 분야에서 이미 주지된 기술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한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단말기가 전송받은 PCB에 근거하여 ±k dB 만큼의 전력증감을 결정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방향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한 단말기의 출력전력 조정부(33)는 PCB에 근거하여 ±k dB만큼 전력을 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증감 전력값은, PCB가 0이면 +k dB이고, 1이면 -k dB로 설정한다. 여기서, 상수 k는 설계자가 임의로 결정할 수 있는 상수값이다. 이렇게 PCB에 근거한 전력 증감 결정은 출력전력 조정부(33)에서 수행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먼저 역방향 링크를 통해 단말기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301),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역방향 링크의 FER을 평가한 후에 신호대잡음비 문턱값 발생기(14)에서 평가결과에 따라 신호대잡음비의 문턱값( (Eb/ No)threshold )을 조정하고(302), 수신신호의 신호대잡음비( (Eb/ No)estimate )를 평가한다(303).
이후, 가산기(16)에서 신호대잡음비의 문턱값( (Eb/ No)threshold )에서 평가된 신호대잡음비( (Eb/ No)estimate )를 감산하여 그 차이값( e )( (Eb/ No)threshold - (Eb/ No)estimate )을 구하고(304), 이러한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 e )의 미분치( e ′)를 Δ e 로서 근사화시켜 산출한다(305). 여기서,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 e )의 미분치( e ′)는, i 번째의 e 와 버퍼(19)에 저장되어있던 전단계( i-1 번째)의 e 의 차이( Δ e )를 기지국에서의 PCB 갱신 주기(1.25ms)( Δ t )로 나누어 연산한다.
다음으로, PCB 파라메터 결정기(17)가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 e )과 근사화된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오차값( e )의 미분치( e ′)를 참조하여 상기의 (수학식 1)과 같은 방식으로 PCB 결정 파라메터(S)를 구한다(306). 이때, PCB 결정 파라메터(S)가 결정되면, 기지국은 이에 근거하여 PCB를 결정하기 위해 PCB 결정 파라메터(S)가 0보다 큰지를 검사한다(307).
검사결과, PCB 결정 파라메터(S)가 0보다 크면 PCB를 0으로 설정하고(308), 그렇지 않으면 1로 설정한다(309).
이후에, 결정된 PCB를 순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단말기로 전송하면(310), 단말기는 PCB에 근거하여 ±k dB만큼 전력을 조정한 후에(311), 역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한다(312).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디지털 셀룰러, 개인휴대통신시스템(PCS) 뿐만아니라, 3세대 이동통신시스템으로 각광받고 있는 IMT-2000 시스템 등과 같이 모든 CDMA 이동통신시스템의 전력제어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전력제어명령(PCB)에 근거하여 ±k dB씩 전력을 조정함에 따라, 열에 의한 노이즈, 다른 CDMA 사용자에 인한 간섭, 백그라운드 노이즈 등의 여러 형태의 노이즈를 극복하며, 기지국에서 조정된 신호대잡음비(SNR)를 떨림 현상없이 정확히 추적할 수 있어 원하는 프레임에러율(FER)을 유지시켜 높은 통화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통신시스템의 전력제어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역방향링크를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의 신호대잡음비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대잡음비 측정수단;
    상기 단말기로부터 역방향링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수신신호를 변조하여 역방향링크의 프레임에러율을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신호대잡음비의 문턱값을 발생하기 위한 신호대잡음비 문턱값 발생수단;
    상기 신호대잡음비 측정수단 및 상기 신호대잡음비 문턱값 발생수단으로부터 각각 전달된 측정 신호대잡음비와 신호대잡음비 문턱값의 오차를 계산하기 위한 오차계산수단;
    상기 오차계산수단에서 계산된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의 미분치를 근사화시키기 위해,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오차계산수단에서 계산된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근사화된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의 미분치로부터 전력제어명령 파라메터를 결정하기 위한 전력제어명령 파라메터 결정수단; 및
    상기 전력제어명령 파라메터 결정수단에서 결정된 전력제어명령 파라메터에 따라 단말기로 전송될 전력제어명령을 발생하기 위한 전력제어명령 발생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력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명령 파라메터 결정수단의 전력제어명령 파라메터(S)는,
    상기 오차계산수단에서 계산된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근사화된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으로부터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제어 장치.
    S = c e +de′
    (단, e (Eb/ No)threshold - (Eb/ No)estimate , e′ (여기서, Δ e i 번째의 e 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던 전단계( i-1 번째)의 e 의 차이, Δ t 는 기지국에서의 PCB 갱신 주기인 1.25ms), c , d 는 임의의 상수값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명령(PCB)은,
    영("0") 또는 일("1")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되, 순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면, 상기 단말기에서 소정값(±K dB, 여기서 K=-73dB임) 씩 전력이 증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제어 장치.
  4. 전력제어 장치에 적용되는 전력제어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 장치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의 측정 신호대잡음비와, 상기 수신신호를 변조하여 역방향링크의 프레임에러율을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발생된 신호대잡음비의 문턱값의 오차 및 그 미분치를 계산하는 제 1 단계;
    상기 오차값과 그 근사된 미분치에 따라 전력제어명령 파라메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발생된 전력제어명령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력제어명령에 따라 출력전력을 조정하고, 상기 전력제어 장치로 신호를 전송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력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역방향 링크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역방향 링크의 프레임에러율(FER)을 평가한 후에, 평가결과에 따라 신호대잡음비의 문턱값( (Eb/ No)threshold )을 조정하는 제 4 단계;
    상기 수신신호의 신호대잡음비( (Eb/ No)estimate )를 측정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조정된 신호대잡음비의 문턱값( (Eb/ No)threshold )과 상기 측정 신호대잡음비( (Eb/ No)estimate )로부터 신호대잡음비의 오차 및 그 미분치를 근사화시키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력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의 상기 신호대잡음비의 미분치는,
    제1 소정( i ) 번째의 신호대잡음비의 오차( e )와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던 제2 소정( i-1 ) 번째의 신호대잡음비의 오차( e )의 차이( Δ e )를 기지국에서의 PCB 갱신 주기(1.25ms)( Δ t )로 나누어 연산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4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 e )과 근사화된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의 미분치( e ′)를 참조하여 전력제어명령(PCB) 결정 파라메터(S)를 구하는 제 7 단계;
    상기 전력제어명령(PCB)를 결정하기 위해, 전력제어명령(PCB) 결정 파라메터(S)가 0보다 큰지를 검사하는 제 8 단계;
    상기 제 8 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전력제어명령(PCB) 결정 파라메터가 0보다 크면 상기 전력제어명령(PCB)을 0으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1로 설정하는 제 9 단계; 및
    상기 전력제어명령(PCB)을 순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력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명령 결정 파라메터(S)는,
    상기 신호대잡음비의 오차값과 그 근사치로부터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S = c e +de′
    (단, e (Eb/ No)threshold - (Eb/ No)estimate , e′ , 및 c , d 는 임의의 상수값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출력전력 조정 과정은,
    상기 전력제어명령(PCB)이 영("0")이면 +k dB씩 전력이 증가되고, 일("1")이면 -k dB씩 전력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10.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력제어 장치에,
    상기 전력제어 장치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의 측정 신호대잡음비와, 상기 수신신호를 변조하여 역방향링크의 프레임에러율을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발생된 신호대잡음비의 문턱값의 오차 및 그 미분치를 계산하는 제1 기능;
    상기 오차값과 그 근사화된 미분치에 따라 전력제어명령 파라메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발생된 전력제어명령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기능;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력제어명령에 따라 출력전력을 조정하고, 상기 전력제어 장치로 신호를 전송하는 제3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80050758A 1998-11-25 1998-11-25 통화품질 유지를 위한 전력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0278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758A KR100278287B1 (ko) 1998-11-25 1998-11-25 통화품질 유지를 위한 전력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758A KR100278287B1 (ko) 1998-11-25 1998-11-25 통화품질 유지를 위한 전력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755A KR20000033755A (ko) 2000-06-15
KR100278287B1 true KR100278287B1 (ko) 2001-01-15

Family

ID=19559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758A KR100278287B1 (ko) 1998-11-25 1998-11-25 통화품질 유지를 위한 전력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82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444B1 (ko) * 1999-12-20 2006-09-18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시스템의 전력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376581B1 (ko) * 2000-11-21 2003-03-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력 제어 방법
KR100389464B1 (ko) * 2000-11-22 2003-06-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다중 캐리어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순방향 전력제어방법
KR100937307B1 (ko) * 2003-06-16 2010-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순방향 링크 전력제어 결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755A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4038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전력제어수행방법및장치
KR100705855B1 (ko) 폐쇄루프 전력 제어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대잡음 임계치를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TW480846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ransmission quality
US72335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EP11515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potentially transmission gated or energy capped communication system
KR100378970B1 (ko)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US7174182B2 (en) Transmitting electric power control method in the CDMA system
KR101273082B1 (ko)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한 피드백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N101171776B (zh) 发送功率控制方法以及装置
KR20010108362A (ko) 시간 분할 듀플렉스 통신 시스템에서 가중 개루프 전력 제어
KR950035125A (ko)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535658B2 (ja) 無線通信装置の適合性試験をする方法
KR20000056180A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주파수간핸드오프를 위한 전력제어장치 및 방법
US7027830B2 (en) Radio base station, mobile station, radio receiving apparatus, SIR estimation method, transmission power controlling method and program
EP1045530B1 (en) Improved channel adaptive fast power control in CDMA
US6963553B1 (en) Method of adjusting a signal quality target to be reached in power control procedures in a CDM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rresponding transceiver
KR100278287B1 (ko) 통화품질 유지를 위한 전력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4656793B2 (ja) 通信システムの送信電力制御方法
JP2001160776A (ja) 送信電力制御周期の設定方法、送信電力制御周期設定装置および送信電力制御周期設定システム
US7477658B2 (en) Radio resource control
KR20080078305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력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25444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전력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6625465B1 (en) Backward closed loop power control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01009486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JP2002124917A (ja) チャネル支援出力制御技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