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7154B1 - 도광판, 그 도광판을 이용한 면광원 및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도광판, 그 도광판을 이용한 면광원 및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154B1
KR100277154B1 KR1019980046347A KR19980046347A KR100277154B1 KR 100277154 B1 KR100277154 B1 KR 100277154B1 KR 1019980046347 A KR1019980046347 A KR 1019980046347A KR 19980046347 A KR19980046347 A KR 19980046347A KR 100277154 B1 KR100277154 B1 KR 100277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plate
light guide
external light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6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537A (ko
Inventor
요우이찌로 고또
미찌아끼 사또
마사히로 히구찌
다까나리 구사후까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19990037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8Light guide, e.g. tap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8Illuminating devices for ambien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외광 수광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주광원에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도광판, 그 도광판을 이용한 면광원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금형을 이용한 수지 성형에 의해 도광판(1)이 제작됨과 동시에 외광 수광부(1a)가 형성된다. 외광 수광부(1a)의 외광 수광면은 흑 화살표로 나타낸 경사 상측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그 방향으로부터의 외광을 가장 좋게 받아들일 수 있으며, 또한 바로 위나 바로 옆으로부터의 외광까지도 효율적으로 입사한다. 광 입사면(1c)으로부터 입사한 광원으로부터의 광 및 외광은 광 반사면(1d)이나 도광판(1)의 2개의 측면(1b)에서 반사하여, 광 출사면(1e)으로부터 균일한 지향성을 갖는 합성광으로서 출사된다.

Description

도광판, 그 도광판을 이용한 면광원 및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은 도광판, 그 도광판을 이용한 면광원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 표시 장치의 배면광용, 조명 광고 및 교통 표지 등에 이용하는 면광원, 그 면광원이 구비하는 도광판 및 뷰 파인더 등의 배면광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의 배면광용 면광원으로서, 투광성 평판을 도광판으로 한 사이드라이트 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면광원에서는 투명한 평행 평판이나 단면 쐐기형 평판으로 이루어진 도광판의 측단면의 한쪽으로부터, 형광등 등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입사시켜서 투광성 평판 내부의 전 반사를 이용하여 광을 도광판의 전역에 골고루 전파시키고, 그 전파한 광의 일부를 도광판 이면의 광 산란 반사판에서 임계각 미만의 확산 반사광으로 이루어지며 도광판 표면으로부터 확산광을 방출한다(실개소 55-162201).
또한, 태양광이나 실내광 등의 외광을 보조 광원으로 하기 위해 도광판의 측단면에 외광 수광부를 설치한 배면광용 면광원도 알려져 있으며, 그 외광 수광부의 형상은 단면 원호형으로 되어 하나의 원통형 렌즈를 구성하고 있다(특개평 5-11249).
도 1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9)과 도광판(1)을 구비하고 있으며, 액정 표시 장치를 예를 들면 전자 스틸 카메라의 뷰 파인더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광판(1)의 좌측에 카메라 본체가 오게 되며, 촬영자는 광 출사면(1e)의 출사광에 의해 액정 패널(9)의 우측으로부터 피사체를 본다.
또한,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도광판(1)의 상부 일단에는 보조광으로서 외광을 수광하기 위해서, 단면 원호형 원통 렌즈로 이루어진 외광 수광부(1a)가 설치되어 있으며, 원통형 렌즈의 외광 수광면(도 1 중 파선 A-A'를 지면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형성되는 면)은 지면 상 방향(도 1에 「면의 방향」으로서 나타난 방향)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바로 위로부터의 외광을 가장 좋게 수광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도광판으로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전자 스틸 카메라가 좌측으로 부착되어 좌측 또는 상측으로부터 오는 외광이 적은데도 불구하고 바로 위 방향으로부터의 외광을 가장 좋게 수광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그 결과, 외광을 수광하는 효율이 매우 나쁘고 소비 전력의 저감을 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외광 수광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주광원에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는 것과, 또한 주광원을 불필요로 하는 것이 가능한 도광판, 그 도광판을 이용한 면광원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따른 본 발명의 도광판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지로 일체 성형된 도광판에서 상기 도광판의 상부 일단에 외광을 수광하는 외광 수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광 수광부의 외광 수광면은 경사 상측으로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따른 본 발명의 면광원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외광 수광부 및 광 출사면 이외의 면에 부착된 광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따른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광 출사면에 근접하여 부착된 액정 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면광원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면광원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광판
1a : 외광 수광부
1b : 측면
1c : 광 입사면
1d : 광 반사면
1e : 광 출사면
2 : 면광원
3 : 광원
5 : 반사판
6 : 확산판
7 : 렌즈 시트
8 : 액정 표시 장치
9 : 액정 패널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모식도이다.
1은 도광판이며, 금형을 이용한 수지 성형에 의해 도광판(1)이 제작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외광 수광부(1a)가 도광판(1)의 상부 일단에 형성된다.
1a는 외광 수광부이며, 태양광이나 실내광 등의 외광을 보조광으로서 받아들인다. 이 외광 수광부(1a)는 단면 원호형의 원통형 렌즈이며, 그 외광 수광면(도 2 중 파선 A-A'를 한쪽 측면(1b)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형성되는 면)은 흑 화살표 방향(도 2에 「경사 상측」으로서 나타낸 방향)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경사 상측으로부터의 외광을 가장 좋게 수광할 수 있으며 바로 위나 바로 옆으로부터의 외광까지도 효율적으로 입사한다. 단지, 외광 수광부(1a)는 외광 수광면이 경사 상측을 향하고 있으면 원호형의 원통형 렌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삼각 기둥 등이라도 좋다.
1c는 광 입사면이며,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광 입사면(1c)에 대략 평행하게 근접 배치된 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입사한다. 또한, 2개의 측면(1b)의 한쪽에 광원을 배치하여 광 입사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1d는 광 반사면이며, 수지 성형 후에 광이 누설하는 것을 막고 반사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도트 인쇄를 행하고나서 알루미늄 등의 반사판이 부착된다(도시하지 않음).
1e는 광 출사면이며, 외광 수광부(1a) 및 광 입사면(1c)으로부터 입사한 광이 광 반사면(1d)이나 도광판(1)의 2개의 측면에서 반사해서 입사광의 대부분이 최종적으로 광 출사면(1e)으로부터 균일한 지향성을 갖는 합성광으로서 출사된다. 또한, 이 측면(1b)에는 광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백색 테이프 등의 누설 방지 부재가 부착된다.
도광판(1)의 재료로서는 투광성 재료 중에서 선택되며 통상은 아크릴 또는 폴리 카르보네이트의 수지가 이용된다. 도광판의 형상은 평행 평판이나 단면 쐐기형 평판이며 그 두께는 통상 1 ∼ 10㎜ 정도의 것이 이용된다.
또한, 그 외의 투광성 재료로서는 폴리 메터 아크릴산 메틸, 폴리 아크릴산 메틸 등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메터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단독 혹은 공중합체,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 브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 에스테르, 폴리 카보네이트, 폴리 스틸렌, 폴리 메틸 펜텐 등 열가소성 수지 혹은 자외선 또는 전자선으로 가교한 다관능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 불포화 폴리 에스테르 등 투명한 수지, 투명한 유리 등, 투명한 세라믹스 등이 이용된다.
이어서,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광판(1)의 외광 수광부(1a)에는 실외에서는 태양광이 또한 실내에서는 형광 등 등의 외광이 입사한다. 이 외광 수광부(1a)의 외광 수광면은 경사 상측으로 향함으로써, 종래의 도광판의 외광 수광부(도 1 참조)에 비교해서, 경사 상 방향을 중심으로하여 입사하는 외광이 외광 수광부(1a)에 효율적으로 받아들여진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뷰 파인더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원을 점등시킬 필요가 없을 정도로 충분한 조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소비 전력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광원을 점등시킨 경우에는 광 입사면(1c)으로부터 입사한 광원으로부터의 광 및 외광이 광 반사면(1d)이나 도광판(1)의 2개의 측면(1b)에서 반사하여 광 출사면(1e)으로부터 균일한 지향성을 갖는 합성광으로서 출사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면광원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2)는 면광원이며,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1), 형광등 등의 광원(3) 및 각 종 제어 회로(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 제어 회로에는 예를 들면 도광판(1)의 광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총량을 검지하여 출사 광량이 최적이 되도록 광원(3)에 전력을 조정하여 공급하는 회로도 포함된다.
광원(3)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리플렉터(4)로 반사되어 도광판(1)의 광 입사면(1c)으로부터 또한 자연광 등의 외광은 도광판(1)의 외광 수광부(1a)로부터 도광판(1)의 내부로 입사되고, 광 반사면(1d)의 하부에 부착된 반사판(5)이나 측단면(1b)에서 반사되어 집속을 반복하고, 도광판(1)의 광 출사면(1e)으로부터 확산판(6)에 출사된다. 또한, 확산판(6)에 입사한 광은 확산판(6) 및 렌즈 시트(7)에 의해서 원하는 각도 범위 내에 균일 등방적으로 확산되어 렌즈 시트(7)로부터 출사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면광원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8은 액정 표시 장치이며, 액정 패널(9) 및 본 발명에 따른 면광원(2)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면광원(2)으로부터 균일 등방적으로 확산되어 출사한 광은 액정 패널(9)로 유도된다. 단지, 면광원(2)으로부터 광원(3)을 제거하여 도광판(1)으로부터의 외광만을 이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에 의하면, 이 외광 수광부의 외광 수광면의 방향이 「경사 상측」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경사 상측으로부터의 외광을 가장 좋게 수광할 수 있으며, 또한 바로 위나 바로 옆으로부터의 외광까지도 입사하므로 태양광이나 실내광 등의 외광을 주된 광으로서 효율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면광원 및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하면 상기 도광판을 사용함으로써 외광 수광 효율이 향상하므로, 일정한 출사 광량을 얻는 경우에는 광원에 공급하는 전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 뿐만 아니라 용도에 따라서 광원을 불필요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3)

  1. 수지로 일체 성형된 도광판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상부 일단에 외광을 수광하는 외광 수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광 수광부의 외광 수광면은 경사 상측으로 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2. 제1항에 기재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외광 수광부 및 광 출사면 이외의 면에 부착된 광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3. 제1항에 기재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광 출사면에 근접하여 부착된 액정 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9980046347A 1997-10-31 1998-10-30 도광판, 그 도광판을 이용한 면광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0277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00444A JPH11133237A (ja) 1997-10-31 1997-10-31 導光板、その導光板を用いた面光源及び液晶表示装置
JP97-300444 1997-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537A KR19990037537A (ko) 1999-05-25
KR100277154B1 true KR100277154B1 (ko) 2001-01-15

Family

ID=1788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6347A KR100277154B1 (ko) 1997-10-31 1998-10-30 도광판, 그 도광판을 이용한 면광원 및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11133237A (ko)
KR (1) KR100277154B1 (ko)
CN (1) CN1145836C (ko)
TW (1) TW4322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3907A (ja) * 2000-10-25 2002-05-10 Seiko Epson Corp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装置
KR100883098B1 (ko) * 2002-04-26 200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CN100395620C (zh) * 2004-12-30 2008-06-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导光板及使用该导光板的背光模组
JP5784769B2 (ja) 2014-02-12 2015-09-24 ミネベア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CN104391350B (zh) * 2014-11-26 2018-01-1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导光板及背光模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7297U (ko) * 1986-09-10 1988-03-30
JP3033980B2 (ja) * 1989-05-31 2000-04-17 松下電工株式会社 室内用照明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5836C (zh) 2004-04-14
TW432251B (en) 2001-05-01
CN1216370A (zh) 1999-05-12
JPH11133237A (ja) 1999-05-21
KR19990037537A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8626B1 (ko) 도광판, 그 도광판을 이용한 면광원 및 표시 장치
JP3379043B2 (ja) 面状照明装置
JP2003262734A (ja) 導光板
JP2003084140A (ja) 面状光源ユニット
KR100253635B1 (ko) 도광체,도광체의제조방법및면광원
JP3316441B2 (ja) 導光板、その導光板を用いた面光源、液晶表示装置及び導光板の製造方法
KR100425657B1 (ko) 면광원 장치
JP3512133B2 (ja) 導光板及び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
KR100277154B1 (ko) 도광판, 그 도광판을 이용한 면광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0383033B1 (ko)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장치
JPH07151924A (ja) 面光源装置
KR20010046581A (ko)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장치
KR100277155B1 (ko) 도광판, 그 도광판을 이용한 면광원 및 액정 표시 장치
JP3396805B2 (ja) 透過型面状照明装置
KR100308632B1 (ko) 도광판,그도광판을이용한면광원및액정표시장치
JP3515336B2 (ja) 導光板、その導光板を用いた面光源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308631B1 (ko) 도광판,그도광판을이용한면광원및표시장치
JPH11162223A (ja) 導光板、その導光板を用いた面光源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0227772A (ja)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看板
JP3202908B2 (ja) 照明装置
JP2002109937A (ja) 面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01028202A (ja) フロントライト光源
JP2000206338A (ja) 導光板、その導光板を用いた面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KR100895579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JPH11174447A (ja) 導光板、その導光板を用いた面光源及び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