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6725B1 - 교환시스템에서 고속으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시스템에서 고속으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6725B1
KR100276725B1 KR1019980060728A KR19980060728A KR100276725B1 KR 100276725 B1 KR100276725 B1 KR 100276725B1 KR 1019980060728 A KR1019980060728 A KR 1019980060728A KR 19980060728 A KR19980060728 A KR 19980060728A KR 100276725 B1 KR100276725 B1 KR 100276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ing device
data
registered
n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0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4237A (ko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60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6725B1/ko
Publication of KR20000044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4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7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10Metering calls from calling party, i.e. A-party charged for the communication
    • H04M15/26Metering calls from calling party, i.e. A-party charged for the communication with a meter or performing charging or billing at the exchange controlled by an oper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 H04M3/248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for metering arrangements or prepayment telephon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서 고속으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과금 장치의 서버를 내장하는 교환기와 랜으로 연결되는 클라이언트인 다수의 과금 장치와 상기 교환기의 유지보수장치를 적어도 구비하는 교환시스템에서 상기 유지보수장치로부터 새로운 과금 장치가 등록되면, 상기 과금 장치의 접속이 감지하여 새로운 과금 장치에 대한 연결을 설정한 후 새로운 과금 데이터가 발생되면, 상기 등록된 과금 장치수만큼 과금 데이터를 복사하여 각 과금 장치로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서 고속으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며, 과금 데이터의 보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교환시스템에서 고속으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기와 과금 장치간 고속으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교환시스템은 여러 가지 외부 입출력 장치와 연동된다. 과금 장치(SMDR machine)는 대표적인 외부 입출력 장치로서, 호처리에 대한 결과로 발생하는 과금 정보를 수신하는 외부 장치이다.
종래 교환기(100)와 과금 장치(110)간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RS232C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종래 교환기(100)와 과금 장치(110)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통신 프로토콜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내용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데이터 프레임 구조와 데이터 플로우 제어 방법과 스풀링양, 에러 제어 방법등이다.
이러한 종래 교환기(100)와 과금 장치(120)간은 RS232C케이블을 사용하므로 연결 거리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교환기(100)와 과금 장치(120)간은 물리적인 링크가 이중화되어 있지 않으며, 고속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시스템에서 고속으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환기와 과금 장치의 연결 거리를 확장하여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교환시스템에서 과금 장치를 이중화하여 과금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교환시스템에 등록된 과금 장치에서만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과금 장치의 서버를 내장하는 교환기와 랜으로 연결되는 클라이언트인 다수의 과금 장치와 상기 교환기의 유지보수장치를 적어도 구비하는 교환시스템에서 상기 유지보수장치로부터 새로운 과금 장치가 등록되면, 상기 과금 장치의 접속이 감지하여 새로운 과금 장치에 대한 연결을 설정한 후 새로운 과금 데이터가 발생되면, 상기 등록된 과금 장치수만큼 과금 데이터를 복사하여 각 과금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교환기와 과금 장치간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교환기와 과금 장치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와 과금 장치간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와 과금 장치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와 과금 장치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시스템에서 고속으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교환기(200)는 다수의 과금 장치(210∼230)와 랜을 통해 접속될 때 이에 대한 처리와 과금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이 내장한다. 상기 프로그램 모듈은 교환기(200)에서 과금 장치의 서버(server) 프로세스로서 동작하고, 랜을 통해 접속된 다수의 과금 장치(210∼230)를 클라이언트로 간주한다. 과금 장치(210∼230)는 자신의 컴퓨터에 등록된 아이피 어드레스(IP address)를 연결된 교환기(200)에 먼저 등록한 후 접속을 시도해야 한다. 이때, 유지보수장치(201)는 교환기(200)의 클라이언트인 과금 장치(210∼230)의 IP 어드레스 등록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와 과금 장치간의 송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 구조로서, 프레임의 크기는 최대 512바이트의 가변 길이이며, 512바이트이내에 보낼 수 있는 만큼의 메시지를 보낸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와 과금 장치간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절차를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교환기(200)는 과금 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 제1과금 데이터(DATA_1)를 과금 장치(210∼230)로 전송한 후 응답이 있으면(ACK), 제2과금 데이터(DATA_2)를 과금 장치(210∼230)로 전송한다. 이때, 교환기(200)는 설정된 시간내(time out)에 과금 장치(210∼230)로부터 응답이 없으면(NAK), 다시 제1과금 데이터를 과금 장치(210∼230)로 전송한다. 또한, 교환기(200)는 과금 장치(210∼230)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정해진 횟수만큼 상기 과금 데이터를 과금 장치(210∼230)로 재전송하고 계속 응답이 없는 경우 연결을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시스템에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환시스템에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601)단계에서 교환기(200)는 유지보수장치(201)를 통해 새로운 과금 장치를 등록한다. 이때, 등록되는 정보는 과금 장치의 아이피 어드레스이며, 이는 등록되지 않은 아이피 어드레스로부터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603)단계에서 교환기(200)는 상기 등록된 과금 장치와의 접속을 기다리며, 제(605)단계에서 교환기(200)는 과금 장치와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과금 장치와 접속되면, 제(607)단계에서 교환기(200)는 상기 접속된 과금 장치가 등록된 과금 장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접속된 과금 장치가 등록된 과금 장치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609)단계에서 교환기(200)는 상기 등록된 과금 장치와 새로운 연결을 설정한다. 제(611)단계에서 교환기(200)는 과금 데이터의 발생 여부를 체크하여 제(613)단계에서 새로운 과금 데이터가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새로운 과금 데이터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615)단계에서 교환기(200)는 상기 등록된 과금 장치의 개수만큼 상기 과금 데이터를 복사하여 저장한다. 제(617)단계에서 교환기(200)는 저장되어 있는 과금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저장된 과금 데이터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619)단계에서 교환기(200)는 랜을 통해 연결된 과금 장치로 상기 과금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교환기(200)는 상기 등록된 과금 장치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과금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상기 등록된 과금 장치가 연결되면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서 랜을 통해 과금 장치를 연결하여 고속으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서 등록된 과금 장치에게로만 과금 데이터를 전송하므로써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서 다수의 과금 장치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과금 장치가 다운되더라도 다른 과금 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백업받을 수 있다.

Claims (5)

  1. 과금 장치의 서버를 내장하는 교환기와 랜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과금 장치와 상기 교환기의 유지보수장치를 적어도 구비하는 교환시스템에서 고속으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장치로부터 새로운 과금 장치가 등록되면, 상기 과금 장치의 접속이 감지하여 새로운 과금 장치에 대한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교환기에서 새로운 과금 데이터가 발생되면, 상기 등록된 과금 장치수만큼 과금 데이터를 복사하고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발생된 과금 데이터를 각 과금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교환시스템에서 고속으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2. 과금 장치의 서버를 내장하는 교환기와 랜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과금 장치와 상기 교환기의 유지보수장치를 적어도 구비하는 교환시스템에서 고속으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장치로부터 새로운 과금 장치가 등록되면, 상기 등록된 과금 장치의 접속을 기다리는 과정과,
    소정 과금 장치와 새로운 접속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과금 장치와 새로운 접속이 있으면, 상기 새롭게 접속된 과금 장치가 상기 등록된 과금 장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된 과금 장치가 상기 등록된 과금 장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과금 장치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교환기에서 새로운 과금 데이터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새로운 과금 데이터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등록된 과금 장치수만큼 과금 데이터를 복사하는 과정과,
    저장된 과금 데이터가 있으면, 상기 연결된 과금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교환시스템에서 고속으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가 과금 장치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저장된 과금 데이터를 상기 등록된 과금 장치가 연결되면 다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스템에서 고속으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데이터를 전송한 과금 장치로부터 설정된 시간내에 응답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금 장치로부터 설정된 시간내에 응답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과금 데이터를 상기 과금 장치로 재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스템에서 고속으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과정을 정해진 횟수만큼 수행한 후,
    상기 과금 장치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상기 과금 장치와의 연결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교환시스템에서 고속으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KR1019980060728A 1998-12-30 1998-12-30 교환시스템에서 고속으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KR100276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728A KR100276725B1 (ko) 1998-12-30 1998-12-30 교환시스템에서 고속으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728A KR100276725B1 (ko) 1998-12-30 1998-12-30 교환시스템에서 고속으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237A KR20000044237A (ko) 2000-07-15
KR100276725B1 true KR100276725B1 (ko) 2001-01-15

Family

ID=1956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0728A KR100276725B1 (ko) 1998-12-30 1998-12-30 교환시스템에서 고속으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67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237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5068C (en) Multi-processor environments
US5598535A (en) System for selectively and cumulatively grouping packets from different sessions upon the absence of exception condition and sending the packets after preselected time conditions
US4507782A (en) Method and apparatus of packet switching
US6717943B1 (e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and processing data packets
US70207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the hardware implementation of TCP/IP
US2002018438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 message in a communication network
GB2198018A (en) Simultaneous data communication
KR19980086584A (ko) 시스템간 고급 모드 전송 방법 및 메카니즘
EP1089189B1 (en) Method of communication between a peripheral device and a client in a computer network
KR19990030284A (ko)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US4551834A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over an open communication network
US6671061B1 (en) Fax broadcast from a single copy of data
JPH02228854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US5748893A (en) Network interface apparatus
KR100276725B1 (ko) 교환시스템에서 고속으로 과금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EP1225741B1 (en) High speed interconnection for embedded systems within a computer network
US6169610B1 (en)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KR20000040467A (ko) 네트워크의 데이터통신 제어방법
US6532496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0524058B1 (ko) 사무 기기의 에러 발생시 처리 방법
JP3191899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通信履歴記憶方法
KR100193857B1 (ko) 외부 한글처리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조회장치 및 방법
JPH04129346A (ja) アドレス重複検出機能を備えた通信システム
JPS63246055A (ja) パケツト送受信装置
JPH07104957A (ja) プリンタ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