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6483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 기지국의 추가및 삭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 기지국의 추가및 삭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6483B1
KR100276483B1 KR1019980050928A KR19980050928A KR100276483B1 KR 100276483 B1 KR100276483 B1 KR 100276483B1 KR 1019980050928 A KR1019980050928 A KR 1019980050928A KR 19980050928 A KR19980050928 A KR 19980050928A KR 100276483 B1 KR100276483 B1 KR 100276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pilot signal
signal strength
active
activ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3874A (ko
Inventor
박승종
김동우
이진우
Original Assignee
김대기
주식회사신세기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기, 주식회사신세기통신 filed Critical 김대기
Priority to KR1019980050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6483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 기지국의 추가 및 삭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핸드오프에서는 T_ADD보다는 크지만 활성집합에 존재하는 파일롯의 신호세기 보다는 매우 작은 파일롯이 활성집합에 추가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새롭게 활성집합에 추가된 파일롯은 이동국의 통화품질에는 거의 영향을 미지지 않으나 소프트 핸드오프일 경우 이동국은 활성집합에 존재하는 모든 기지국의 신호를 합하여 복조하기 때문에 신호세기의 차이가 큰 파일롯들은 핸드오프 이득을 주지 못하기 때문에 불 필요한 핸드오프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동국이 핸드오프를 요청할 때 사용하는 핸드오프 정적모수이외에 동적모수를 추가하여 불 필요한 핸드오프를 제거하고자 동적 핸드오프 모수를 사용하여 이동국의 활성집합에 존재하는 파일롯 중에서 최대 신호세기의 파일롯과 새롭게 활성집합에 추가하려는 파일롯을 상대적으로 비교한 후 파일롯의 활성집합으로의 추가 및 삭제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같은 핸드오프의 감소로 시스템의 유선(기지국 채널카드)나 무선자원(무선채널)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 기지국의 추가 및 삭제 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적 핸드오프 모수를 사용하여 제 1활성 기지국의 신호가 충분히 클 경우에는 불 필요한 기지국의 할성 집합 추가를 금지하고, 이미 활성 집합에 존재하는 활성 기지국에서 제 1활성 기지국보다 충분히 작은 활성 기지국을 삭제함으로서 소프트 핸드오프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 기지국의 추가 및 삭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환경에 있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국이 제 1셀(C1)에서 제 2셀(C2)로 이동하는 경우 제 1셀(C1)의 고주파수(Radio Frequency : RF) 통신 링크를 제 2셀(C2)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때의 동작을 핸드오프라 한다. 특히 CDMA시스템에서는 제 1셀(C1)과 제 2셀(C2)의 통신링크를 동시에 연결하는 것을 소프트 핸드오프라 한다.
여기서 이 소프트 핸드오프 과정에서 이동국은 동시에 여러개의 기지국 파일롯 채널을 활성집합(active set)을 사용하여 관리한다. 또한 이동국이 활성집합에 없는 기지국과 통신 링크를 연결하기 위하여 시스템에 소프트 핸드오프 요청을 한다. 이때 이동국의 활성 집합에 신호세기가 핸드오프 모수보다 낮은 파일롯이 있을 경우, 해당 기지국과 통신 링크를 제거하기 위하여 시스템에 해당 파일롯의 삭제를 요청한다.
이와같은 활성 집합으로부터 파일롯 추가나 정적 핸드오프 모수를 사용하여 결정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정적 모수는 T_ADD와 T_DROP으로 표시한다.
도 1은 이동국이 A기지국과 통화를 하는 상태에서 B기지국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한 소프트 핸드오프 상황을 나타낸다.
도 2는 이동국이 도 1과 같은 상황으로 진행할 때 발생하는 무선환경을 이동국의 측면에서 시간경과에 따른 파일롯 신호세기의 변화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도 1 및 도 2를 통한 종래의 소프트 핸드오프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국이 도 1에 도시된 ①의 영역에 있을 경우 파일롯 신호의 세기는 도 2에 도시된 ①시점의 무선환경을 갖는다. 그러므로 A기지국으로부터 출력되는 파일롯은 이동국의 활성집합에 존재하며 활성기지국에 해당한다. 이때 이 활성 기지국인 A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는 T_ADD보다크다. 그리고 B기지국은 활성기지국이 아닌 인접기지국이다. 여기서 인접 기지국인 B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는 T_ADD보다 작으므로 결국 ①의 영역에 있는 이동국은 소프트 핸드오프를 요청을 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이동국이 ②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파일롯 신호의 세기는 도 2에 도시된 ②시점의 무선환경을 갖는다. 그러므로 B기지국으로부터 출력되는 파일롯 신호의 세기가 T_ADD 보다 크게 되므로 이동국은 B기지국의 파일롯을 활성 집합에 추가하기 위한 요청을 시스템에 전송한다. 그러면 이 시스템은 파일롯의 추가 명령(handoff direction)을 이동국에 지시하며, 이때 이 지시를 받은 이동국은 명령에 따라 B기지국 파일롯을 활성 집합에 추가하여 B기지국은 활성 기지국이 된다.
다음으로 이동국이 ③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파일롯 신호의 세기는 도 2에 도시된 ③시점의 무선환경을 갖는다. 이때 활성상태인 B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는 T_ADD보다 충분히 커지지만 A기지국 파일롯의 신호세기는 T_DROP보다 작게된다. 이에 이 이동국은 T_DROP보다 작은 파일롯이 특정시간 T동안 작게될 경우, A기지국 파일롯을 활성집합에서 삭제하도록 시스템에 요청한다.
여기서 이동국은 이상과 같은 기지국 삭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 활성기지국 파일롯마다 드롭 타이머(Drop Timer)를 갖고 있으며, 해당 활성 파일롯의 신호세기가 T_DROP보다 작게 될 경우 드롭 타이머를 T_DROP시간 동안 동작시킨다. 이때 이 드롭타이머가 각 T_DROP 시간동안 동작하는 중에 해당활성 파일롯의 신호세기가 T_DROP이하로 계속 유지하면 이동국은 활성 집합 삭제를 요청한다. 따라서 이 이동국의 요청에 따라 시스템은 이동국에게 제 1기지국 파일롯을 활성 집합으로부터 제거하라는 명령을 전송한다.
여기서 이와같은 소프트 핸드오프시의 활성 기지국 추가방법을 도 3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국이 활성 기지국인 A기지국에서 비활성 기지국인 B기지국으로 이동을 하는 초기상태(S10)는 비활성기지국 신호세기 측정단계(S12)로 진행한다. 그러면 이 비활성기지국 신호세기 측정단계(S12)에서는 비활성 기지국인 B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SB)를 측정하고 파일롯 신호세기 판단단계(S14)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이 파일롯 신호세기 판단단계(S14)에서 판단한 경우 측정된 비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SB)가 T_ADD보다 큰 값으로 판단되면 비활성기지국 추가요청단계(S16)로 진행하여 비활성 상태인 B기지국의 파일롯(PB)을 활성집합에 추가 요청하고 본 루프를 종료한다.
그리고 소프트 핸드오프시의 활성 기지국 삭제방법을 도 4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활성 A기지국에서 활성 B지기국으로 이동중인 초기상태(S20)에서 활성기지국 신호세기 측정단계(S22)로 진행한다. 그러면 이 활성기지국 신호세기 측정단계(S22)에서는 제 1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PA)를 측정하고 파일롯 신호세기 판단단계(S24)로 진행한다. 따라서 이 파일롯 신호세기 판단단계(S24)에서 판단한 결과 파일롯의 신호세기(SA)가 T_DROP보다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기지국 활성영역 유지단계(S32)로 진행하여 해당활성 기지국 파일롯에 대한 타이머가 동작중일 경우 드롭 타이머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현 활성영역을 유지한채 초기상태(S20)로 복귀하여 루프를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파일롯 신호세기 판단단계(S24)에서 판단한 결과 파일롯의 신호세기(SA)가 T_DROP보다 작은 값으로 판단되면 드롭타이머 동작단계(S28)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이 드롭타이머 동작단계(S28)에서는 드롭레벨 시간동안 드롭 타이머를 동작시키고 파일롯신호세기 유지 판단단계(S30)로 진행한다. 이에 이 파일롯신호세기 유지 판단단계(S30)에서 판단한 결과 드롭 타이머의 동작시간 동안 파일롯 신호세기가 드롭레벨이하로 유지됨으로 판단되면 활성기지국 삭제요청단계(S32)로 진행하여 A기지국의 피일롯(PA)을 활성집합에서 삭제를 요청하고 본 루프를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 파일롯신호세기 유지 판단단계(S30)에서 판단한 결과 드롭 타이머의 동작시간 동안 파일롯 신호세기가 T_DROP 이하로 유지되지 않음으로 판단되면 파일롯 신호세기 판단단계(S24)로 복귀하여 루프를 반복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이동국은 핸드오프 모수 T_ADD보다 신호세기가 큰 파일롯을 무조건 활성집합에 추가하도록 시스템에 요청하고 또한 핸드오프시 기지국의 파일롯 세기가 드롭레벨보다 작으면 활성집합에서 삭제하도록 요청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핸드오프 과정은 불 필요한 핸드오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T_ADD보다는 크지만 활성집합에 존재하는 파일롯의 신호세기 보다는 매우 작은 파일롯이 활성집합에 추가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새롭게 활성집합에 추가된 파일롯은 이동국의 통화품질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소프트 핸드오프일 경우 이동국은 활성집합에 존재하는 모든 기지국의 신호를 합하여 복조하기 때문에 신호세기의 차이가 큰 파일롯들은 핸드오프 이득을 주지 못하기 때문에 불 필요한 핸드오프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 소프트 핸드오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불 필요한 소프트 핸드오프를 요청하지 않거나 T_ADD보다는 크지만 활성집합에 존재하는 파일롯의 신호세기 보다는 매우 작은 파일롯을 활성집합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 기지국의 추가 및 삭제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이동국이 핸드오프를 요청할 때 사용하는 핸드오프 정적모수이외에 동적모수를 추가하여 불 필요한 핸드오프를 제거하고 동적 핸드오프 모수를 사용하여 이동국의 활성집합에 존재하는 파일롯 중에서 최대 신호세기의 파일롯과 새롭게 활성집합에 추가하려는 파일롯을 상대적으로 비교한 후 파일롯의 활성집합으로의 추가 및 삭제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기지국의 추가 및 삭제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한편, 이와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비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정적 핸드오프 모수 T_ADD와 비교하는 단계(a)와; 이 (a)단계에서 비교한 결과 측정된 비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가 정적핸드오프 모수 T_ADD의 세기보다 클 경우 제 1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단계(b)와; 이 (b)단계에서 측정된 제 1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를 동적 핸드오프 모수 T_DOMINANT와 비교하는 단계(c)와; 이 (c)단계에서 비교한 결과 제 1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가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OMINANT의 세기보다 클 경우 (a)단계에서 측정된 비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SA)와 (b)단계에서 측정된 제 1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SB)의 차이를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ELTA_ADD와 비교하는 단계(d)와; 이 단계(d)에서 비교한 결과 비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SA)와 제 1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SB)의 차이가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ELTA_ADD보다 작을 경우 비활성 기지국의 파일롯을 활성집합에 추가요청하는 단계(e)와; 상기 (c)단계에서 비교한 결과 제 1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가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OMINANT의 세기보다 작을 경우 비활성 기지국의 파일롯을 활성집합에 추가요청하는 단계(f)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정적 핸드오프 모수 T_DROP와 비교하는 단계(g)와; 이 (g)단계에서 비교한 결과 측정된 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가 정적핸드오프 모수 T_DROP의 세기보다 클 경우 제 1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단계(h)와; 이 단계(h)에서 측정한 제 1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가 동적 해드오프 모수 T_DOMINANT와 비교하는 단계(i)와; 이 (i)단계에서 비교한 결과 제 1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가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OMINANT의 세기보다 클 경우 (h)단계에서 측정된 제 1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SB)와 (g)단계에서 측정된 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SA)의 차이를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ELTA_DROP와 비교하는 단계(j)와; 이 단계(j)에서 비교한 결과 제 1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SB)와 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SA)의 차이가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ELTA_DROP보다 클 경우 활성 기지국의 파일롯을 활성집합에 삭제 요청하는 단계(k)와; 상기 (i)단계에서 비교한 결과 제 1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가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OMINANT의 세기보다 작을 경우나, 상기 단계(j)에서 비교한 결과 제 1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SB)와 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SA)의 차이가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ELTA_DROP보다 작을 경우 활성기지국의 파일롯(PA)를 활성 집합으로 유지하는 단계(l)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소프트 핸드오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소프트 핸드오프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 도면.
도 3은 종래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기지국의 추가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도 4는 종래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기지국의 삭제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핸드오프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기지국 추가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 기지국 삭제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핸드오프 과정은 활성집합에 비활성 기지국의 파일롯을 추가하는 과정과 활성집합으로부터 활성기지국의 파일롯을 삭제과정으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이 A기지국과 통화를 하는 상태에서 B기지국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한 소프트 핸드오프 상황을 나타낸다.
즉, 통화상태에서 이동국은 A기지국에서 B기지국으로 이동하면서 활성 집합에 포함될 수 있는 비활성 기지국의 파일롯을 지속적으로 탐색하고 이 탐색결과로 찾아낸 파일롯(PB)의 신호세기(SB)을 측정한다. 이때 활성 기지국은 A기지국이고, 비활성 기지국은 B기지국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동중에 비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가 일정한 시간 경과 후(여기서는 ②시간에 해당됨) 핸드오프 모수 T_ADD보다 크게 된다. 그러면 이동국은 활성기지국의 파일롯 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신호세기가 가장 큰 파일롯을 검색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A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에 해당한다.
이때, 이 측정된 가장 큰 파일롯(PA)의 신호세기가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OMINANT와 비교한 후 이동국에서 A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가 큰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시간에서 활성기지국인 A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와 비활성 기지국 B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의 차이를 구한다.
그리고 이 활성기지국인 A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SA)와 비활성 기지국 B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SB)의 차이값을 T_DELTA_ADD와 비교한다. 여기서 T_DELTA_ADD값은 비활성 기지국이 활성기지국으로 요청받기 위한 A기지국과 B기지국의 신호세기 차값으로 미리 설정된 값이다. 그러므로 ②시간에서 ③시간으로 진행되는 동안에는 이동국은 핸드오프를 요청하지 않다가 ③시간 이후에는 SA-SB에 해당하는 신호차가 T_DELTA_ADD값 보다 작게되면 이동국은 비활성 기지국인 B기지국의 파일롯을 활성집합에 추가하도록 시스템에 요청한다.
한편, 이와같은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기지국의 추가방법을 도 6을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국이 활성 기지국인 A기지국에서 비활성 기지국인 B기지국으로 이동을 하는 초기상태(S100)는 비활성기지국 신호세기 측정단계(S102)로 진행한다. 그러면 이 비활성기지국 신호세기 측정단계(S102)에서는 비활성 기지국인 B기지국의 파일롯(PB)의 신호세기(SB)를 측정하고 파일롯 신호세기 판단단계(S104)로 진행한다. 따라서 이 파일롯 신호세기 판단단계(S104)에서 판단한 경우 측정된 비활성 기지국인 B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SB)가 핸드오프 모수 T_ADD보다 큰 값으로 판단되면 제 1활성기지국 신호세기 측정단계(S106)로 진행한다. 그러면 이 제 1활성기지국 신호세기 측정단계(S106)에서는 신호세기가 가장 큰 활성기지국의 파일롯의 신호세기를 측정하고 활성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 판단단계(S108)로 진행한다. 이에 이 활성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 판단단계(S108)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의 활성 파일롯 신호의 세기(SA)가 기 설정된 동적 핸드오프 모수 T_DOMINANT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핸드오프 시점 판단단계(S110)로 진행한다.
이때, 이 핸드오프 시점 판단단계(S110)에서 판단한 결과 제 1활성 기지국인 A기지국과 비 활성기지국인 B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의 차(SA-SB)가 기 설정된 핸드오프 시점의 신호세기 T_DELTA_ADD보다 작음으로 판단되면 비활성기지국 추가요청단계(S112)로 진행하여 비활성 상태인 B기지국의 파일롯(PB)을 활성 집합에 추가 요청하고 본 루프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 이에 이 활성파일롯 신호세기 판단단계(S108)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의 활성 파일롯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동적 핸드오프 모수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비활성기지국 추가요청단계(S112)로 진행하여 비활성 상태인 B기지국의 파일롯을 활성 집합에 추가 요청한다.
이제 활성집합으로부터 활성기지국의 파일롯을 삭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활성기지국으로 설정된 B기지국과 기존의 활성 기지국인 A기지국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이동국은 통화중에 활성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를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이때 이 활성 기지국인 A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를 T_DROP과 측정하여 이 T_DROP보다 큰 세기를 활성 A기지국이 갖고 있으면 상기 이동국은 제 1활성기지국인 B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를 측정한다.
이때, 이 측정된 가장 큰 파일롯(PB)의 신호세기가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OMINANT와 비교한 후 이동국에서 B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가 큰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시간에서 활성기지국인 B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와 활성 기지국인 A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의 차이를 구한다.
그리고 이 파일롯 신호세기 차(SB-SA)를 T_DELTA_DROP와 비교한다. 여기서 T_DELTA_DROP값은 활성 기지국이 비활성기지국으로 삭제 요청받기 위한 B기지국과 A기지국의 신호세기 차값으로 미리 설정된 값이다. 그러므로 ③시간에서 ④시간으로 진행되는 동안에는 이동국은 핸드오프를 요청하지 않다가 ④시간 이후에는 (SB-SA)에 해당하는 신호차가 T_DELTA_DROP값 보다 크게되면 활성 기지국인 A기지국의 파일롯(PA)을 활성집합에 삭제하도록 시스템에 요청한다.
여기서 이동국은 이상과 같은 기지국 삭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 활성기지국 파일롯마다 드롭 타이머(Drop Timer)를 갖고 있으며, SB-SA에 해당하는 신호차가 T_DELTA_DROP값 보다 크게되면 드롭 타이머를 T_DELTA_DROP시간 동안 동작시킨다. 이때 이 드롭타이머가 각 T_DROP 시간동안 동작하는 중에 해당 B기지국과 A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차가 T_DELTA_DROP값 이상으로 계속 유지하면 결국 이동국은 A기지국을 활성 집합 삭제를 요청한다. 따라서 이 이동국의 요청에 따라 시스템은 이동국에게 A기지국 파일롯을 활성 집합으로부터 제거하라는 명령을 전송한다.
한편, 이와같은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기지국의 삭제 방법을 도 7을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기지국에서 B기지국으로 이동중인 이동국이 두 기지국이 활성집합 상태인 초기상태(S200)에서 활성기지국 신호세기 측정단계(S202)로 진행한다. 그러면 이 활성기지국 신호세기 측정단계(S202)에서는 A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SA)를 측정하고 파일롯 신호세기 판단단계(S204)로 진행한다. 따라서 이 파일롯 신호세기 판단단계(S204)에서 판단한 결과 파일롯의 신호세기가 T_DROP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제 1활성기지국 파일롯 세기 측정단계(S206)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제 1활성기지국 파일롯 세기 측정단계(S206)에서는 신호세기가 가장 큰 활성기지국(본 발명에서는 B기지국에 해당함)의 파일롯의 신호세기를 측정하고 제 1활성파일롯 신호세기 판단단계(S208)로 진행한다. 이에 이 활성파일롯 신호세기 판단단계(S208)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의 제 1활성 파일롯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동적 핸드오프 모수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핸드오프 시점 판단단계(S210)로 진행한다.
이때, 이 핸드오프 시점 판단단계(S210)에서 판단한 결과 제 1활성기지국과 활성 A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의 차가 기 설정된 T_DELTA_DROP값보다 큰 경우로 판단되면 드롭타이머 동작단계(S212)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이 드롭타이머 동작단계(S212)에서는 드롭레벨 시간동안 드롭 타이머를 동작시키고 파일롯 신호세기 유지 판단단계(S214)로 진행한다. 이에 이 파일롯신호세기 유지 판단단계(S214)에서 판단한 결과 드롭 타이머의 동작시간 동안 제 1활성기지국과 활성 A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의 차가 기 설정된 T_DELTA_DROP값 이상으로 유지됨으로 판단되면 활성기지국 삭제요청단계(S216)으로 진행하여 A기지국을 활성집합에서 삭제를 요청하고 본 루프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 활성파일롯 신호세기 판단단계(S208)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의 제 1활성 파일롯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동적 핸드오프 모수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핸드오프 시점 판단단계(S210)에서 판단한 결과 제 1활성기지국과 활성 A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의 차가 기 설정된 T_DELTA_DROP값보다 작은 경우로 판단되면 활성집합 유진단계(S216)으로 진행하여 활성기지국인 A기지국 파일롯을 활성집합으로 유지하고 활성기지국 신호세기 측정단계(S202)로 복귀하여 루프를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파일롯신호세기 유지 판단단계(S214)에서 판단한 결과 드롭 타이머의 동작시간 동안 제 1활성기지국과 활성 A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의 차가 기 설정된 T_DELTA_DROP값 이상으로 유지되지 않음으로 판단되면 활성파일롯 신호세기 판단단계(S208)로 복귀하여 루프를 반복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이동국은 활성 A기지국와 비활성 B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의 차가 핸드오프 모수인 T_DELTA_ADD보다 작을 때 비활성 B기지국의 파일롯을 활성집합에 추가하도록 시스템에 요청하고 또한 핸드오프시 활성상태인 A기지국의 파일롯 세기와 가장 큰 신호세기를 갖는 B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와의 차가 T_DELTA_DROP 보다 크면 활성 A기지국의 파일롯을 활성집합에서 삭제하도록 시스템에 요청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동적 핸드모프 모수를 사용하여 제 1활성 기지국의 신호가 충분히 클 경우에는 불 필요한 기지국의 활성 추가를 금지한다.또한 이미 활성집합에 존재하는 활성 기지국에서 제 1활성 기지국 보다 충분히 작은 활성 기지국은 제거하다. 따라서 이동국의 통화품질은 유지하면서 불 필요한 소프트 핸드오프의 발생량을 감소시킬수 있고 이러한 소프프 핸드오프의 발생량 감소는 유,무선 자원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비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정적 핸드오프 모수 T_ADD와 비교하는 단계(a)와;
    이 (a)단계에서 비교한 결과 측정된 비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가 정적핸드오프 모수 T_ADD의 세기보다 클 경우 제 1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단계(b)와;
    이 (b)단계에서 측정된 제 1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를 동적 핸드오프 모수 T_DOMINANT와 비교하는 단계(c)와;
    이 (c)단계에서 비교한 결과 제 1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가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OMINANT의 세기보다 클 경우 (a)단계에서 측정된 비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SA)와 (b)단계에서 측정된 제 1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SB)의 차이를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ELTA_ADD와 비교하는 단계(d)와;
    이 단계(d)에서 비교한 결과 비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SA)와 제 1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SB)의 차이가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ELTA_ADD보다 작을 경우 비활성 기지국의 파일롯을 활성집합에 추가요청하는 단계(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 기지국의 추가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c)단계에서 비교한 결과 제 1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가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OMINANT의 세기보다 작을 경우 비활성 기지국의 파일롯을 활성집합에 추가요청하는 단계(f)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 기지국의 추가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ELTA_ADD는 비활성기지국의 파일롯을 추가하기 위해 기 설정된 제 1활성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와 비활성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의 차이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 기지국의 추가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는 현재 활성 집합에 존재하는 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를 비교하여 신호세기가 가장 큰 파일롯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 기지국의 추가방법.
  5. 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정적 핸드오프 모수 T_DROP와 비교하는 단계(g)와;
    이 (g)단계에서 비교한 결과 측정된 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가 정적핸드오프 모수 T_DROP의 세기보다 클 경우 제 1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단계(h)와;
    이 단계(h)에서 측정한 제 1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를 동적 해드오프 모수 T_DOMINANT와 비교하는 단계(i)와;
    이 (i)단계에서 비교한 결과 제 1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가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OMINANT의 세기보다 클 경우 (h)단계에서 측정된 제 1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SB)와 (g)단계에서 측정된 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SA)의 차이를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ELTA_DROP와 비교하는 단계(j)와;
    이 단계(j)에서 비교한 결과 제 1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SB)와 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SA)의 차이가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ELTA_DROP보다 클 경우 활성 기지국의 파일롯을 활성집합에 삭제 요청하는 단계(k)와;
    상기 (i)단계에서 비교한 결과 제 1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가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OMINANT의 세기보다 작을 경우나, 상기 단계(j)에서 비교한 결과 제 1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SB)와 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SA)의 차이가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ELTA_DROP보다 작을 경우 활성기지국의 파일롯(PA)를 활성 집합으로 유지하는 단계(l)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 기지국의 삭제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k)단계는 제 1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SB)와 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SA)의 차이가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ELTA_DROP보다 클 경우 설정된 T_DELTA_DROP 시간 동안 드롭 타이머를 동작하는 단계(kl)와;
    이 (k1)단계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 드롭 타이머의 동작후에 제 1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SB)와 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SA)의 차이가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ELTA_DROP보다 큰 값을 유지하고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k2)와;
    이 단계(k2)에서 제 1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SB)와 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세기(SA)의 차이값을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ELTA_DROP을 비교하여 그 차이값의 유지상태에 따라 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삭제요청을 제어하는 단계(k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 기지국의 삭제방법.
  7. 제 5항 및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핸드오프모수 T_DELTA_DROP은 활성기지국의 파일롯을 삭제하기 위해 기 설정된 제 1활성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와 활성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의 차이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 기지국의 삭제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활성 기지국 파일롯 신호는 현재 활성 집합에 존재하는 활성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세기를 비교하여 신호세기가 가장 큰 파일롯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 기지국의 삭제방법.
KR1019980050928A 1998-11-26 1998-11-2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 기지국의 추가및 삭제 방법 KR100276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928A KR100276483B1 (ko) 1998-11-26 1998-11-2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 기지국의 추가및 삭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928A KR100276483B1 (ko) 1998-11-26 1998-11-2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 기지국의 추가및 삭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874A KR20000033874A (ko) 2000-06-15
KR100276483B1 true KR100276483B1 (ko) 2000-12-15

Family

ID=19559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928A KR100276483B1 (ko) 1998-11-26 1998-11-2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 기지국의 추가및 삭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64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510B1 (ko) * 2001-03-30 2003-08-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억세스 핸드오프시 소프트/소프터 핸드오프로의 채널할당을 위한 호 처리 방법
KR20040008277A (ko) * 2002-07-18 2004-01-31 정용주 씨디엠에이 시스템에 있어서의 소프트 핸드오프 방법
KR100749821B1 (ko) 2006-09-21 2007-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액티브 셋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다단계 호수락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874A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9446A (en) Cellular radio with microcellular/macrocellular handoff
KR100350476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핸드오프 수행장치 및 방법
CN1130931C (zh) 码分多址蜂窝系统中小区内频率间硬切换的方法
US69997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ation of a cellular network
KR100244193B1 (ko) 더미 파일럿을 이용한 하드 핸드오프 방법
KR100433899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결정장치 및 방법
KR20100052456A (ko)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 및 방법
KR20010022094A (ko) 원격 스테이션과 통신하도록 기지국을 선택하는 방법 및장치
JP2000350248A (ja) Cdma移動体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ソフトハンドオーバ方法および対応する装置
CA2143539A1 (en) Method for determining handover candidate in a multicellular environment
KR19990080484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 오프 방법
Marichamy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handoff detection schemes
Lal et al. Coverage analysis of handoff algorithm with adaptive hysteresis margin
Zonoozi et al. Optimum hysteresis level, signal averaging time and handover delay
CA2075984A1 (en) Quality check for a mobile cellular radio system
GB2284321A (en) Method for determining handoff candidate
KR10027648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오프시 활성 기지국의 추가및 삭제 방법
KR19990083109A (ko) 시디엠에이 셀룰러 시스템과 다른 유형의 셀룰러 시스템의 조합된 이동 통신망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Rege et al. Analysis of fade margins for soft and hard handoffs
KR100433898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결정장치 및 방법
Asawa et al. A framework for optimal scheduling of handoffs in wireless networks
WO2002037733A2 (en)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related to cell allocation management in a mobile radio network
KR10054839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방법
Wang et al. Adaptive handoff method using mobile location information
KR100270331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국의 핸드오프 요구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