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6297B1 - 유동충식 철광석 예비환원로 - Google Patents

유동충식 철광석 예비환원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6297B1
KR100276297B1 KR1019960052541A KR19960052541A KR100276297B1 KR 100276297 B1 KR100276297 B1 KR 100276297B1 KR 1019960052541 A KR1019960052541 A KR 1019960052541A KR 19960052541 A KR19960052541 A KR 19960052541A KR 100276297 B1 KR100276297 B1 KR 100276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uction
ore
iron ore
fluidized be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2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4483A (ko
Inventor
박문덕
박석인
이상대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60052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6297B1/ko
Publication of KR19980034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13/00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 C21B13/0033In fluidised bed furnaces or apparatus containing a dispersion of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13/00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 C21B13/0073Selection or treatment of the reducing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13/00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 C21B13/0086Conditioning, transformation of reduced iron o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13/00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 C21B13/14Multi-stage processes processes carried out in different vessels or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5/00Fluidised-bed furnaces; Other furnaces using or treating finely-divided materials in dispersion
    • F27B15/003Cyclones or chain of cycl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5/00Fluidised-bed furnaces; Other furnaces using or treating finely-divided materials in dispersion
    • F27B15/02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5/09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charging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환원으로 철을 생산하기 위하여 입도 분포가 넓은 분철광석을 예비환원하는 유동층식 철광석 예비환원로에 관한 것으로서, 미립철광석이 비산소모되는 량을 줄이고 철광석의 큰 입자와 작은 입자의 분급이 잘 이루어져 환원이 잘 이루어지게 할뿐만 아니라 장치를 간편하게 줄여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운전을 손쉽게 하여 원가를 낮출 수 있는 유동층식 철광석 예비환원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철광석을 예비환원하는 유동층식 예비환원로에 있어서, 대립철광석이 난류 유동층을 형성하면서 환원되도록 구성되는 원통형 환원부(101); 상기 원통형 환원부(101) 상부에 위치되어 중/미립 철광석이 환원되도록 구성되는 테이퍼(taper)형 환원부(102); 상기 테이퍼형 환원부(102) 상부에 위치되어 테이퍼형 환원부(102)에서 미립철광석이 밖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 유속을 느리게 하도록 구성되는 비산방지 부(103); 비산방지부(103)에서 비산하여 배출되는 미분들을 포집하는 제1및 제2싸이클론(104)(105); 및 상기 제1및 제2싸이클론(104)(105)에서 포집된 미분들을 상기 테이퍼형 환원부(102)를 통해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미립광석 순환관(108a)을 포함하여 원통형 환원부(101)에서는 큰 입자들이 유동환원되고 테이퍼형 환원부(102)에서는 작은 입자들이 유동환원되고, 그리고 비산 방지부(103)내에서는 미립자들이 밖으로 비산되지 않고 일정시간 머물면서 환원되도록 구성되는 유동층식 철광석 예비환원로를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유동층식 철광석 예비환원로
제1도는 종래의 유동층식 예비환원로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부합되는 유동층식 철광석 예비환원로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원통형 환원부 102 : 테이퍼(TAPER)형 환원부
103 : 비산방지부 104 : 제1싸이클론
105 : 제2싸이클론 108a : 미립광석 순환관
109 : 가스 분산판 110 : 가스 공급라인
111 : 대립광석 배출구 112 : 중/미립 광석 배출구
113 : 광석호퍼 114 : 스크류 피더
115a : 광석 공급라인
본 발명은 용융환원으로 철을 생산하기 위하여 입도분포가 넓은 분철광석을 예비환원하는 유동층식 철광석 예비환원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도범위가 넓은 철광석을 하나의 환원로에서 동시에 환원하는 유동층식 철광석 예비환원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철광석을 환원하여 용철을 생산하는 방법으로는 고로를 사용하는 방법과 샤프트로(Shaft furnace)를 사용하여 환원할 철광석을 전기로에서 용해하는 방법 등이 종래부터 채용되고 있다.
상기 고로공정에 의한 용철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열원 및 환원제로써 다량의 코크스(Cokes)를 사용하고, 철광석은 통기성과 환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결광의 형태로 고로에 장입되고 있다. 이 때문에 현재의 고로법은 강 점결탄을 건류하기 위한 코크스로 설비 및 소결광 제조 설비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고로법은 막대한 설비와 함께 에너지 다 소비 공정이며, 코크스 제조원료인 강 점결탄은 세계적으로 부존량이 적고 지역적으로 편재되어 있으므로 철강수요의 증대에 따라 수급상의 문제가 심각하다.
한편, 샤프트로에 의한 철광석의 환원법은 철광석을 펠릿트(Pellet)화하는 전 처리단계가 필요하고 또한 환원제와 열원으로써 천연가스를 사용하는 관계로 천연가스의 공급이 용이한 지역에서만 상업화 운전이 가능한 결점 등이 있어 코크스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탄을 사용하여 분상의 철광석으로부터 용철을 제조하는 용융환원법이 새로운 제철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은 용융환원법에 있어서는 보통 예비환원로에서 예비 환원된 철광석을 용융환원로에 장입하여 용철로 환원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상기 예비환원로에서는 철광석의 용융환원전에 철광석을 고체상태에 환원하는 것으로 장입한 철광석을 용융환원로에서 발생한 고로의 환원성 가스와 접촉시켜 환원해야 한다.
이러한 예비환원 공정은 철광석과 환원성 가스의 접촉상태에 따라 이동충 또는 유동층식으로 분류된다. 입경 5m 이하 정도의 분립상 철광석을 환원하는데는 유동층식 분철광석 환원법이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의 철광석 예비 환원로로는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평성 1-114653 호에 제시된 예비환원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평 1-114653 호에 제시되어 있는 예비환원로는 한 개의 환원로로 이루어진 것으로써, 장치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제시된 예비환원로는 철광석의 유동은 잘 되지만, 큰 입자와 작은 입자와의 분급이 잘 안되고, 미분이 환원되지 않고 밖으로 많이 날아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종래의 예비환원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철광석의 유동을 안정시키면서 환원율의 향상과 균일성을 도모할 수 있는 순환 유동층식 철광석 예비환원로를 개발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4-19090 호로 특허출원한 바 있다.
상기 특허출원 제 94-19090 호에 제시된 순환유동층식 철광석 예비환원로(1)는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호퍼(50)로부터 철광석이 공급되어 대립철광석이 난류 유동층을 형성하면서 환원되는 제1예비환원로(10), 상기 제1예비환원로(10)에 가스공급구가 형성된 제2순환관(14)을 매개로 연통되어 하부로 중/미립 철광석이 공급되어 환원되는 제2예비환원로(20), 상기 제2예비환원로(20)에 제3순환관(41)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중/미립 철광석이 제1예비환원로(10)와 제2예비환원로(20)의 총합환원 가스에 의하여 고속유동층을 형성하도록 순환시키는 제1싸이클론(40), 및 상기 제1싸이클론(40)과 상기 제1예비환원로(10)에 제1순환관(31)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1순환관(31)의 중간부분에는 상기 호퍼의 철광석 공급관이 연결되어 상기 제1예비환원로(10)에 철광석을 공급하는 제2싸이클론(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순환유동층식 철광석 예비환원로에서 입도분포가 넓은 철광석을 유동환원시킬 경우 제1예비환원로(10)에서는 큰 입자들이 유동하고 제2예비환원로에서는 작은 입자들이 유동하는데 제1예비환원로(10)를 거친 미분들이 가스의 유속에 의해 제2순환관(14)을 통과하여 제2예비환원로(20)에서 일정시간 머물면서 환원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4-19090 호의 예비환원로는 제1예비환원로와 제2예비환원로로 되어 있어 장치가 복잡하고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운전조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가스 이용률이 떨어져 원단위가 높은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및 실험을 행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일본 특허 공개공보 평성 1-114653 호 및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94-19090 호에 제시된 예비환원로의 장점을 모두 갖춘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미분철광석이 밖으로 비산소모되는 량을 줄이고 철광석의 큰 입자와 작은 입자의 분급이 잘 이루어져 환원이 잘 이루어지게 할뿐만 아니라 장치를 간편하게 줄여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운전을 손쉽게 하여 원가를 낮출 수 있는 유동층식 철광석 예비환원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철광석을 예비환원하는 예비환원로에 있어서, 대립철광석이 난류 유동층을 형성하면서 환원되도록 구성되는 원통형 환원부; 상기 원통형 환원부 상부에 위치되어 중/미립 철광석이 환원되도록 구성되는 테이퍼(taper)형 환원부; 상기 테이퍼형 환원부 상부에 위치되어 테이퍼형 환원부에서 미립철광석이 밖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 유속을 느리게 하도록 구성되는 비산방지부; 상기 비산방지부에서 비산하여 배출되는 미분들을 포집하는 제1및 제2싸이클론; 및 상기 제1및 제2싸이클론에서 포집된 미분들을 상기 테이퍼형 환원부를 통해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순환관을 포함하여 원통형 환원부에서는 큰 입자들이 유동환원되고 테이퍼형 환원부에서는 작은 입자들이 유동환원되고, 그리고 비산 방지부내에서는 미립자들이 밖으로 비산되지 않고 일정시간 머물면서 환원되도록 구성되는 유동층식 철광석 예비환원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동층식 철광석 예비환원로(100)는,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립철광석이 난류 유동층을 형성하면서 환원되도록 구성되는 원통형 환원부(101), 중/미립 철광석이 환원되도록 구성되는 테이퍼형 환원부(102), 테이퍼형 환원부에서 환원가스와 함께 상승하는 미립철광석이 일정시간 머물면서 환원이 이루어지는 비산방지부(103), 환원가스와 함께 밖으로 배출되는 극미분 철광석을 포집하는 제1싸이클론(104) 및 제2싸이클론(10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통형 환원부(101)의 저부에는 환원가스를 예비환원로 내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가스공급구(110)가 형성되고, 이 가스공급구(110)에는 가스공급원(도시되어있지 않음)으로 부터 환원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110a)이 연결되어 있고, 이 가스공급관(110a)에는 가스공급 조절밸브(110b)를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스공급구(110) 위에는 가스공급구(110)를 통해 공급되는 환원가스를 분산시키기 위한 가스분산판(10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환원부(101)의 측부에는 예비환원된 대립철광석을 배출하기 위한 대립광석 배출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대립광석 배출구(111)에는 제1배출관(111a)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테이퍼형 환원부(102)는 상광하협 형태로 테이퍼진 것으로써, 그 측부에는 예비환원된 중/미립 철광석을 배출하기 위한 중/미립 광석 배출구(112), 광석호퍼(113)로 부터 광석을 공급받기 위한 광석공급구(115) 및 상기 제1싸이클론(104) 및 제2싸이클론(105)에서 포집된 극미분 철광석을 공급받기 위한 미립광석 공급구(10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증/미립 광석 배출구(112)에는 제2배출관(112a)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광석공급구(115)와 광석호퍼(113)는 광석 공급라인(115a)을 통해 광석 소통관계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광석공급라인(115a)내에는 스크류 피더(screw feeder)를 내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비산방지부(103)의 상측부에는 가스배출구(106)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가스배출구(106)는 제1가스배출관(106a)을 통해 제1싸이클론(104)과 가스소통관계로 연결되고, 이 제1싸이클론(104)은 제2가스배출관(107)을 통해 제2싸이클론(105)과 가스소통 관계로 연결되고, 상기 제2싸이클론(105)의 상부에는 배출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3가스 배출관(116)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싸이클론(104) 및 제2싸이클론(105)의 하부는 미립광석 순환관(108a)을 통해 상기 미립광석 긍급구(108)와 미립광석 소통관계로 연통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형 환원부(102)의 경사도(α)는 10-15˚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테이퍼형 환원부(102)의 경사도가 10˚미만으로 너무 적은 경우에는, 미립광석이 테이퍼형 환원부(102)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너무 짧아 충분한 환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반면에 경사각도가 15˚이상으로 너무 큰 경우에는 가스의 유속이 느려 미분광이 혼합되므로 환원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테이퍼형 환원부(102)의 경사도(α)는 13-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통형 환원부의 내경과 높이의 비는 2:1∼3:1로 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원통형 환원부의 내경이 너무 커서 상기 비가 3:1 보다 커지면, 유동이 안되고, 반대로 상기 원통형 환원부의 내경이 너무 작아서 상기 비가 2:1 보다 작으면, 유속이 빨라 비산이 많아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환원부: 테이퍼형 환원부: 비산방지부의 길이비는, 환원효율 및 가스이용율 등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데, 1:10∼15:15∼2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원통형 환원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너무 짧으면 분급이 잘 안돼는 반면 너무 길면 유동이 안돼는 문제가 있고, 상기 테이퍼형 환원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너무 짧거나 길면 분급이 문제가 있으며, 그리고 상기 비산방지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너무 짧으면 미분의 비산이 많고 반대로 너무 길면 가스흐름이 나쁜 문제가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상기 원통힝 환원부 : 테이퍼형 환원부 : 비산방지부의 길이비는 1:10:1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유동층식 예비환원로에서 철광석을 예비환원하는 경우에는 큰입자와 작은 입자의 분급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
큰 입자와 작은 입자들이 혼합되어 있을 경우 큰 입자와 작은 입자는 서로 환원속도가 다른 관계로 철광석의 배출시기가 다르고 환원이 먼저 이루어진 작은 입자들이 많이 혼합되어 있으면 환원가스는 환원에 이용되지 않고 밖으로 배출되어 가스 이용율이 낮아져 비 경제적이다. 그러므로, 제2도에서 원통형 환원부(101)는 가스유속이 빠르고 테이퍼형 환원로(102)는 가스 유속이 느려서 철광석의 큰 입자와 작은 입자간의 분급이 잘 이루어진다. 원통형 환원로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가스유속이 일정하게 빠르고 테이퍼형 환원로는 윗 부분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므로 가스의 유속이 상부로 갈수록 느려진다.
본 발명의 예비환원로는, 종래의 예비환원로에 있어 제1예비환원로와 제2예비환원로로 분리되었던 두개의 예비환원로를 원통형 예비환원로부와 그 상부의 테이퍼형 환원부로 합쳐서 하나로 만들었다. 따라서, 환원효과는 종래의 두개의 환원로효과를 얻으면서 장치를 간단하고 조작이 편리하게 만들었다.
이하, 본 발명의 유동층식 예비환원로를 사용하여 철광석을 예비환원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철광석 장입호퍼(113)에 장입되어 있는 철광석은 광석공급라인(115a)을 통해 테이퍼형 환원부(102)에 장입되고, 장입된 철광석은 가스공급라인(110a), 가스공급구(110) 및 가스분산판(109)을 통해 저부에서 공급되는 환원가스에 의해 유동된다.
이때 작은 입자들은 가스에 의해 상부 테이퍼형 환원부(102)에서 유동되고 큰 입자들은 원통형 환원부(101)에서 난류유동층을 형성하면서 환원이 이루어지고 환원된 대립광석들은 대립 광석 배출구(111) 및 제1배출관(111a)을 통해 배출되고, 중/미립 광석들은 중/미립 광석배출구(112) 및 제2배출관(112a)을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의 예비환원로에서 환원될 수 있는 철광석의 바람직한 입도분포는 1-5㎛ 의 대립 :50-60중량%, 0.1-1mm 중립:20-30중량% 및 0.1m 이하의 미립:10-2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종래의 에비환원로는 철광석이 장입되는 제1예비환원로와 가스 유속에 의해 작은 입자들이 넘어와 환원되는 제2예비환원로로 분리되어 있거나 하나의 환원로로 되어 있다 하더라도 아래위의 직경이 같은 원통형이라서, 큰 입자와 작은 입자간의 분급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작은 입자들은 밖으로 많이 비산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 두 형태 유동충로의 장점을 살려 하부 원통형 환원부에서는 유속이 빨라 큰 입자들이 유동환원되고, 상부 테이퍼형 환원부에서는 유속이 느린 관계로 작은 입자들이 유동환원된다. 이렇게 원통형 환원부와 테이퍼형 환원부가 상하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운전이 간편하다. 또한, 종래의 유동층로에서 제1예비환원로의 작은 입자들을 제2예비환원로로 넘기기 위해 가스 유속을 많이 높었으나, 본 발밍에서는 제1, 제2예비환원로가 상하로 되어 있으므로 큰 입자들이 유동할 정도의 유속만 유지되면 된다. 또, 종래의 1차 원통형 유동층로에서는 큰 입자를 유동하기 위하여 유속을 높히면 작은 입자들이 밖으로 비산되어 많은 량의 철광석 손실이 생졌으나, 본 발명에서는 하부 원통형 환원부에서는 유속이 빠르나 상부 테이퍼형 환원부에서는 유속이 느려 밖으로 비산되는 철광석의 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와 같은 예비환원로를 제작하였다.
A) 본 발명의 예비환원로
·원통형 환원부의 내경 : 17cm ·원통형 환원부의 길이 : 7cm
·테이퍼형 환원부의 하부내 경:17cm ·테이퍼형 환원부의 상부내경:50cm
·테이퍼형 환원부 길이 : 70cm ·비산방지부의 내경 : 50cm
·비산방지부의길이 : 11Ocm
B) 종래의 예비환원로
·제1예비환원로 내경 : 13cm ·제1예비환원로 길이 : 400cm
·제2예비환원로 내경 : 33cm ·제2예비환원로 길이 : 260cm
상기와 같이 제작된 예비환원로를 사용하여 하기와 같은 철광석을 하기와 같은 가스유속 및 환원가스의 조건으로 유동환원시킨 후, 배출하여 환원된 광석의 입도 및 성분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실험에 사용된 철광석
·철광석 : MT.F
·입도분포 : -0.25mm(25%), 0.25-1.0mm(28%), 1.0-5.0mm(50%)
·장입속도 : 55kg/min
2) 가스유속
·원통형 환원부 : 2.22m/s
·테이퍼형 환원부 : 0.59m/s
·비산방지부 : 0.23m/s
3) 환원가스(Volume%)
·조성 CO : 65%, H2: 25%, Ar : 5%, CO2: 5%
·온도 : 900℃
[표 1]
상기 표 1예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예비환원로를 사용한 경우는 장입량 대비비산소모량이 5% 이고, 환원율은 90% 인 반면에, 본 발명의 예비환원로를 사용한 경우에는 비산소모량이 4% 이고, 환원율은 95% 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예비환원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예비환원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비산소모량은 비슷하게 나타났지만 환원율은 5% 정도 상승하였다.
이것은 큰 입자와 작은 입자간의 분급이 잘 이루어진 걸과라고 여겨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치를 간편하게 줄여 제작이 용이하고 운전조작이 쉬울 뿐만 아니라 환원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동층식 철광석 예비환원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철광석을 예비환원하는 유동층식 예비환원로에 있어서, 대립철광석이 난류유동층을 형성하면서 환원되도록 구성되는 원통형 환원부(101); 상기 원통헝 환원부 상부에 위치되어 중/미럽 칠광석이 환원되도록 구성되는 테이퍼형(taper)형 환원부(102); 상기 테이퍼형 환원부 상부에 위치되어 테이퍼형 환원부에서 미립철광석이 밖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유속을 느리게 하도록 구성되는 비산방지부(103); 및 상기 비산방지부에서 비산하여 배출되는 미분들을 포집하는 제1및 제2싸이클론(104)(105)을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환원부(101)의 저부에는 환원가스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가스공급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가스공급구를 통해 공급된 환원가스를 분산시키기 위한 가스분산판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환원부(101)의 측부에는 환원된 대립광석을 배출하기 위한 대립광석 배출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형 환원부(102)의 측부에는 중/미립 철광석을 배출하기 위한 중/미립광석 배출구(112), 광석 호퍼(113)로 부터 광석공급라인(115a)을 통해 광석을 공급받기 위한 광석공급구(115), 및 상기 제1및 제2싸이클론(104)(105)에서 포집된 극미립 철광석을 공급받기 위한 미립광석 긍급구(108)가 형성되고; 상기 비산방지부(103)의 상측부에는 가스배출구(106)가 힝성되어 있고; 상기 비산방지부(103)는 제1가스배출관(106a)을 통해 제1싸이클론(104)과 연통되어 있고, 제1싸이클론(104)과 제2싸이클론(105)은 제2가스배출관(107)을 통해 연통되고, 상기 제1및 제2싸이클론(104),(105)의 하부는 미립광석 순환관(108a)을 통해 상기 미립광석 공급구(108)와 연통되어, 상기 원통형 환원부(101)에서는 큰 입자들이 유동환원되고, 테이퍼형 환원부(102)에서는 중/미립 입자들이 유동환원되고, 그리고 비산방지부(103)에서는 미립자들이 유동환원되도록 구성되는 유동층식 철광석 예비환원로
  2. 제1항에 있어서, 테이퍼형 환원부의 경사도(α)가 10-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식 철광석 예비환원로
  3. 제2항에 있어서, 테이퍼형 환원부의 경사도(α)가 13-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식 철광석 예비환원로
  4. (정정) 제1항에서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통형 환원부 : 테이퍼형 환원부 : 비산방지부의 길이비가 1:10∼15:15∼20 인 것올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식 칠광석 예비환원로
  5. 제1항에서 제3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원통형 환원부 : 테이퍼형 환원부 : 비산방지부의 길이비가 1:10: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식 철광석 예비환원로
  6. (정정) 제1항에서 제3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원통형 환원부의 내경과 높이의 비가 2:1 ∼ 3: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식 철광석 예비환원로
  7. (정정) 제4항에 있어서, 원통형 환원부의 내경과 높이의 비가 2:1 ∼ 3: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식 철광석 예비환원로
  8. (정정) 제5항에 있어서, 원통형 환원부의 내경과 높이의 비가 2:1 ∼ 3: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식 철광석 예비환원로
KR1019960052541A 1996-11-07 1996-11-07 유동충식 철광석 예비환원로 KR100276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541A KR100276297B1 (ko) 1996-11-07 1996-11-07 유동충식 철광석 예비환원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541A KR100276297B1 (ko) 1996-11-07 1996-11-07 유동충식 철광석 예비환원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483A KR19980034483A (ko) 1998-08-05
KR100276297B1 true KR100276297B1 (ko) 2000-12-15

Family

ID=19481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2541A KR100276297B1 (ko) 1996-11-07 1996-11-07 유동충식 철광석 예비환원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62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019B1 (ko) * 2003-12-29 2011-01-17 주식회사 포스코 유동 환원로의 누적물 배출장치
PL3708684T3 (pl) * 2019-03-15 2022-06-20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Sposób redukcji bezpośredniej w złożu fluidalny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483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3636B1 (ko) 용융선철 및 용융강 제조시 분철광석을 환원시키는 환원로
EP0316819B1 (en) Metal-making process and apparatus involving the smelting reduction of metallic oxides
KR100276339B1 (ko) 엑스자형 순환관을 갖는 분철광석의 3단 유동층로식 환원장치
KR100213327B1 (ko) 분철광석의 3단 유동층로식 환원장치
KR100276297B1 (ko) 유동충식 철광석 예비환원로
KR100256341B1 (ko) 분철광석의 2단유동층식 예비환원장치 및 그 방법
JPH0860215A (ja) 流動層炉とそれを用いる溶融還元装置
CN111020225A (zh) 一种锑矿石挥发熔炼和闪速熔炼同一炉膛同时混合冶炼用新型炉及其冶炼方法
KR940001137B1 (ko) 분철광석의 순환 유동층식 예비환원로
JP2620793B2 (ja) 溶融還元用予備還元炉
KR20000038827A (ko) 분철광석의 유동층식 예비환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예비환원방법
KR100262486B1 (ko) 분철광석의유동층식환원장치,용융선철제조장치및분철광석의환원방법
KR100213342B1 (ko) 분철광석의 복합형 유동층 환원장치
KR940008450B1 (ko) 입자분급효율을 높인 유동층 환원방법 및 장치
KR100276343B1 (ko) 고온의 환원철 냉각장치 및 이 냉각장치가 부착된 분철광석의 유동층로식 환원장치
KR940008451B1 (ko) 분철광석의 유동층식 예비환원로
CN215743848U (zh) 窑渣处理用球磨磁选装置
CN217210227U (zh) 一种烧结燃料筛分系统
KR970003133B1 (ko) 유동층식철광석예비환원로
JP2000510535A (ja) 微粉鉄鉱石の予備還元用の二段階二連単一流動床型予備還元装置及びそのための方法
KR100236160B1 (ko) 분철광석의 3단 유동층로식 환원장치
KR100236191B1 (ko) 분철광석의 유동층식 예비환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예비환원방법
JPH01184211A (ja) 鉱石の流動層還元装置
KR920007177Y1 (ko) 순환 유동층식 철광석 예비 환원로
CN105936951B (zh) 处理高磷铁矿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