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360B1 -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 용기 - Google Patents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360B1
KR100275360B1 KR1019930006285A KR930006285A KR100275360B1 KR 100275360 B1 KR100275360 B1 KR 100275360B1 KR 1019930006285 A KR1019930006285 A KR 1019930006285A KR 930006285 A KR930006285 A KR 930006285A KR 100275360 B1 KR100275360 B1 KR 100275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over
base tray
disc
side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6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349A (ko
Inventor
데이비드엘.스텀프
타니야마요시히코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869,815 external-priority patent/US5310054A/en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30022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 G11B33/0405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 G11B33/0411Single disc boxes
    • G11B33/0416Single disc boxes for disc cartridg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 G11B33/0405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 G11B33/0411Single disc boxes
    • G11B33/0422Single disc boxes for discs without cartridge
    • G11B33/0427Single disc boxes for discs without cartridge comprising centre hole locking means

Landscapes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기부 트레이, 커버 및 디스크 트레이를 포함하는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용기에 대하여 설명되어 있다. 기부 트레이는, 내측 저면, 그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측벽,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후방벽을 포함하고 커버에 피봇트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용 디스크 트레이는 개방 윈도우를 가지거나 혹은 바닥을 가지고 기부 트레이내에 안착될 수 있다. 본 용기는 기부 트레이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를 실질적으로 에워싸는 돌출부들을 포함함으로써 디스크 트레이없이도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 용기
제1도는 윈도우를 갖는 디스크 트레이, 소형 카트리지 및 팜플렛(booklet)이 삽입 준비된 개방 상태의 보관용기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디스크 트레이,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및 팜플렛이 삽입 폐쇄된 상태의 보관용기의 상부 절단 사시도.
제3도는 디스크 트레이 및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가 삽입 폐쇄된 상태의 용기의 저부 사시도.
제4도는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가 윈도우를 갖는 디스크 트레이에 삽입 준비가 되어 있는 개방된 상태의 용기의 제1도의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제5도는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및 팜플렛이 삽입되어 폐쇄된 상태의 용기의 제2도의 선5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6도는 바닥(floor)을 갖는 디스크 트레이,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및 팜플렛이 삽입 준비된 개방 상태의 용기의 분해 사시도.
제7도는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가 바닥을 갖는 디스크 트레이에 삽입될 준비가 된 개방 상태의 용기의 제6도의 선7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8도는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와 팜플렛이 바닥을 갖는 디스크 트레이에 삽입된 개방 상태의 용기의 제6도의 선7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9도는 기부 트레이에 장착용 허브를 갖는 보관용기를, 윈도우를 갖는 디스크 트레이,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및 팜플렛이 삽입 준비가된 개방 상태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10도는 장착용 허브의 상부 사시도.
제11도는 바닥을 갖는 디스크 트레이,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및 팜플렛이 삽입 준비가 된 개방 상태의 용기의 분해 사시도.
제12도는 기부 트레이에 림을 갖는 용기를,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및 팜플렛이 삽입 준비가 된 개방 상태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13도는 기부 트레이에 림을 갖는 보관 용기를,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와 팜플렛이 삽입된 폐쇄 상태에서 도시한 상부 절단 사시도.
제14도는 기부 트레이에 림을 갖는 용기를,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가 삽입된 폐쇄 상태에서 도시한 저부 사시도.
제15도는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가 기부 트레이의 림을 삽입 준비가 된 폐쇄 상태의 용기의 제12도의 선15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16도는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와 팜플렛이 삽입 폐쇄 상태의 용기의 제13도의 선16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7도는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와 팜플렛이 삽입된 표준 쥬얼박스(jewel box)의 상부 절단 사시도.
제18도는 단이진 스탠드오프(stepped standoff)를 갖는 바닥을 구비한 디스크 트레이,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및 팜플렛이 삽입 준비가 된 개방 상태의 용기의 분해 사시도.
제19도는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가 단이진 스탠드오프를 갖는 바닥을 구비한 디스크 트레이에 삽입 준비된 개방 상태의 용기의 단면도.
제20도는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가 단이진 스탠드오프를 갖는 바닥을 구비한 디스크 트레이에 삽입 준비가 된 폐쇄 상태의 용기의 단면도.
제21도는 단이진 스탠드 오프를 갖는 바닥을 구비한 디스크 트레이,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및 팜플렛이 삽입 폐쇄된 상태의 용기의 상부 절단 사시도.
제22도는 계단부를 갖는 바닥을 구비한 디스크 트레이,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및 팜플렛이 삽입 준비된 개방 상태의 용기의 분해 사시도.
제23도는 스탠드오프 등부분을 갖는 바닥을 구비한 디스크 트레이,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및 팜플렛이 삽입 준비된 개방 상태의 용기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13 : 카트리지
25 : 디스크 트레이 26 : 팜플렛 (혹은, 카드)
30 : 커버 36 : 탭
39 : 림 40 : 피봇트 돌기
45 : 바닥 48 : 포착 돌기
49 : 요홈 50 : 기부 트레이
82 : 노치 85 : 개구
87 : 릿지 100 : 스탠드오프
101 : 등부분 102 : 계단부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디스크 보관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령 소형 콤팩트 디스크("mini-CD") 카트리지와 같은 정보 저장 매체를 판매를 위하여 포장하거나 혹은 소비자가 보관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2 혹은 3 요소의 투명한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의 설명]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 콤팩트 디스크(12)등의 통상의 보관 용기들은 종종 쥬얼 박스(jewel box)라 불리운다.
그 쥬얼 박스는 대개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장방형으로 제작된다. 그러한 쥬얼박스의 상당수는 3개의 특별한 요소, 즉, 장방형의 기부 트레이(50' ; base tray), 그에 상응한 장방형의 커버(30') 및, (도시안된) 장착용 허브(mounting hub)를 포함한다. 대개, 기부 트레이와 커버는 그들의 기부 모서리에서 피봇트식으로 연결되어 대합조개 형태의 외피(clam shell-like enclosure)를 형성하고, 그 기부 트레이는 장착용 허브가 삽입된다.
쥬얼 박스의 커버는 용기의 전체 높이에 해당하는 내측 벽들을 가질 수 있다. 이들 벽들은 안쪽으로 돌출하는 몇 개의 탭(tab)을 가질 수 있는데, 그 탭들은 선전용 팜플렛, 혹은 다른 확인 자료(26')를 커버를 통해서 보일수 있는 위치에 유지 하는데 이용된다. 이들 물품들은 대개, 탭 아래의 위치에 고정되면 디스크를 덮어 상부면의 표시구(top view display)로서의 역할을 한다.
대개의 종래 쥬얼 박수의 기부 트레이는 모든 치수에 있어서 통상의 콤팩트 디스크보다는 약간 더 크게 형성된다. 한 형태의 쥬얼 박스에 있어서는, 몇 개의 탭이 기부 트레이의 내측벽으로부터 돌출한다. 장착용 허브가 이들 탭의 상부 위치에 삽입되고, 선전용 카드가 탭 아래의 기부 트레이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드의상부에 장착용 허브를 설치함으로써 소비자는 패키지의 상하 양면으로부터 쉽게 쥬얼 박스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다. 기부 트레이의 내측면은 또한 호상의(arced)립을 포함할 수 있는데, 그 립은, 상방으로 돌출하여 커버가 디스크와 접촉하지 않도록 디스크를 에워싼다. 그러나, 립을 그렇게 배치하면, 커버가 가해진 힘 때문에 파손되는 경우에는 그 립들이 디스크를 보호하는 효과가 없게 된다.
전술된 쥬얼 박스용의 통상의 장착용 허브는 대개 중공형으로서 중앙의 원형 요부 및 중앙의 원형 장착부로 형성된다. 그 장착부는 디스크가 용기에 삽입되는 경우 그 디스크를 고정되게 유지한다. 상기 요부는 디스크가 용이하게 용기에 안착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그 용기로부터 디스크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기부 트레이의 측벽에는 대개 작은 절제부(cutout)가 형성되고, 커버의 측벽에는 그에 대응하는 작은 정합돌출부(matching extension)가 형성된다. 상기 절제부와 돌출부가 상호 체결되면 대개는 용기를 정규의 폐쇄 위치에 유지하기에 충분한 간섭이 이루어진다. 커버의 단부는 대개 기부의 단부보다 약간 더 연장하는바,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한손으로는 용기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커버를 비집어 열 수 있다.
표준 컴팩트 디스크용 쥬얼 박스의 다른 한 종래기술 실례는, 단지 2개의 요소, 즉, 커버와 기부 트레이만을 합체한다. 기부 트레이는 그것에 성형된 장착용 허브를 가진다. 기부 트레이의 내부에 선전용 카드를 삽입할 수 없는 것을 보상하기 위하여, 이 기부 트레이의 저면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기부 트레이의 외벽으로부터 저면 아래로 몇 개의 탭이 돌출한다. 이러한 구조는, 기부 트레이의 저면 아래의 용기의 외부에 카드를 삽입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본 실례는, 단지 2개의 요소로 이루어지고, 종래의 표준 3요소 쥬얼 박스 보다는 더 적은 원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비가 덜 비싸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박스를 채용하는 경우 기부 트레이의 외부 배면에 선전용 카드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 자동화 조립 공정에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 소모적이다. 그 증가된 제조비는 기부 트레이의 요부가 형성된 바닥면에 인접한 탭 혹은 돌출 측벽이 자동화 기계내에 걸리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종종 삽입 카드 및 디스크를 삽입하거나 혹은 생산라인을 계속해서 가동되도록 유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기계 수리비가 지출되야 한다.
최근까지도, 표준의 콤팩트 디스크는 오디오용으로 채택된 광디스크 치수뿐이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많은 레코드사들은 소형 콤팩트 디스크 혹은 소형 디스크로서 알려진 표준 콤팩트 디스크보다 소형의 판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 소형 디스크는 장방형의 플라스틱 외피(카트리지)에 영구 삽입되며, 현재의 표준 콤팩트 디스크 용기에는 보관될 수 없다. 그러므로,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를 보관 및 디스플에이할 수 있고, 또한,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현재의 오디오 카세트 및 표준 콤팩트 디스크 진열대에도 사용될 수 있는 용기에 대한 필요성이 나타나게 되었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의 오디오 테이프 카세트 진열대에도 사용할 수 있는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등의 보관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한 목적은, 현재의 표준 콤팩트 디스크 진열대에도 사용될 수 있는 소형 콤팩트 디스크등의 보관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한 목적은, 그 용기의 바닥으로부터 볼 수 있는 포장된 디스크 확인 수단을 포함하는 소형 콤팩트 디스크등의 보관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기부 트레이의 바닥면에 요부가 형성되지 않고, 또한, 용기의 바닥으로부터 볼 수 있는 포장된 디스크 확인 수단을 포함하는 소형 콤팩트 디스크 카트리지등의 보관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보관 용기에 의해 성취된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그 용기는 3개의 주요소, 즉, 기부 트레이, 커버 및 디스크 트레이로 이루어진다.
기부 트레이는 커버에 피봇트식으로 연결되고, 디스크 트레이는 기부 트레이에 삽입된다. 본 보관 용기는, 가로가 통상의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의 가로보다 약간 더 크고, 세로 및 높이가 표준 오디오 테이프 카세트 케이스의 세로 및 높이와 거의 같다. 용기의 세로 및 높이를 표준 오디오 테이프 카세트 케이스와 같게 함으로써 본 용기를 이미 현존하는 오디오 테이프 카세트 진열대에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커버는 용기의 높이를 형성하는 2개의 평행한 측벽을 가진다. 이들 벽 각각으로부터 내측으로 하나 이상의 탭이 돌출한다. 이 탭들은 얇은 선전용 팜플렛이나 혹은 다른 자료를 커버의 내측 상부면에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선전용 자료등은, 제위치에 삽입된 경우 전체의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다. 선전용 자료가 커버내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라벨측을 위로 향하게 하여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를 용기내에 삽입합으로써, 소비자는 그 커버의 상부를 투시함으로써 포장된 소형 디스크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기부 트레이는 적어도 2개의 평행한 벽을 가진다. 이들 벽들은 커버내의 탭에 대응하는 절제부를 가질 수 있으며,이로써, 용기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커버 탭들이 안착할 수 있는 요홈을 제공한다. 기부 트레이의 평행한 측벽들중 적어도 하나에는 커버의 적어도 한 측벽의 내부로부터 돌출하는 작은 돌기와 정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은 요홈이 있다. 그 요홈 및 정합 돌출부가 용기를 폐쇄 상태에 고정한다.
기부 트레이의 평행한 측벽들중 적어도 하나에는 디스크 트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외부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은 돌기와 정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은 요홈이 있다. 그 요홈 및 정합 돌기는 디스크 트레이가 기부 트레이에 삽입되면 그 디스크 트레이를 고정한다.
힌지 부분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내부의 전방 벽이 약간 함몰되어 있으므로 커버의 전방 단부가 그 위로 연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른 손으로 보관용기를 제위치에 고정하면서 한 손가락으로 커버를 비집어 개방할 수 있다.
이 제 1형태의 디스크 트레이는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의 세로 및 가로보다 더 넓은 바닥(floor)과 함께 림이 형성된(rimmed) 중앙 개구를 가진다. 바닥 모서리중 적어도 두 개의 모서리에서 바닥에 부착된 단이진 스탠드오프(stepped stand-off)는 디스크가 편안하고도 확고하게 안착될 수 있게 한다. 림이 형성된 중앙 개구의 적어도 일측부상에는 손가락 삽입용 요부가 있는데, 그 요부는 사용자로 하여금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중앙 개구의 후방 림은 용기가 폐쇄된 상태에서 커버용 안착부로서 작용한다.
디스크 트레이의 측벽들은 기부 트레이내의 절제부와 함께 정렬되고 커버내의 탭에 대응하는 절제부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요부가 형성되고, 그 요부에는 용기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커버 탭들이 안착될 수 있다.
디스크 트레이가 삽입되기 전에 하방으로 향한 선전용 자료등이 기부 트레이에 삽입될 수 있으며, 디스크는 그것의 라벨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향하게 하여 삽입될 수 있다. 용기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소비자는 저면 투시를 통해서 선전용 자료등으로부터 내용물을 쉽게 인식할 수 있고, 또한, 용기의 상부를 투시함으로써 커버 탭 아래에 삽입된 추가의 선전 자료등에 의해, 혹은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의 라벨에 의해 용기의 내용물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그 용기의 내용물들은 후방 벽 때문에 인덱스(index)나 탭을 삽입함으로써 그들을 통해서 인식할 수도 있다.
제2의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트레이는 그 바닥의 적어도 두 개의 모서리에서 그 바닥에 부착된 계단부(step)를 가진다. 중앙 개구의 적어도 한 측벽이 작은 절제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바, 그 절제부는 중앙 개구가 가요성을 가진 수 있게 하므로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가 디스크 트레이에 삽입되면 경우 제위치에 고정 유지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및 선전 자료등이 제1형태에 대해 설명된 것과 매우 유사한 방법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3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트레이는 그 바닥의 모서리중 적어도 두곳에서 그 바닥에 부착되는 단이지지 않은 스탠드오프를 가지고 있다. 역시 본 실시예도 제1형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및 선전 자료등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소형 디스크 카트리지의 표면은 디스크 트레이의 바닥에 안착 한다.
제4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트레이의 중앙 개구는 바닥 대신에 윈도우 개구(window opening)를 가진다. 중앙 개구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는 작은 절제부를 가지는데, 이 절제부가 중앙 개구의 측벽을 가요성있게 하므로 소형 디스크가 편안하고도 확실하게 안착할 수 있다.
이 제 4형태와 함께 사용되는 제1의 형태에 있어서,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는 라벨이 하방을 향하여 디스크 트레이에 삽입될 수 있으며, 팜플렛이나 다른 선전 자료가 탭 아래의 커버내에 삽입될 수 있다. 용기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소비자는 상부를 투시함으로써 용기의 내용물을 쉽게 확인할 있는 저부를 투시함으로써 디스크 라벨상의추가 정보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제2형태에 있어서,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및 선전 자료는 제1형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삽입될 수 있다.
제5형태에 있어서, 중앙 개구에 부착된 바닥을 가지는 디스크 트레이는 그 표면상에 성형되는 계단부 혹은 스탠드오프를 가지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은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를 고정함에 있어 중앙 개구의 적어도 한 측벽내에 있는 절제부를 이용한다.
제6형태에 있어서, 중앙 개구 윈도우를 갖는 디스크 트레이를 구비한 3요소 용기는, 디스크의 중앙 개구에 대응하여, 기부 트레이의 저면과 일체로 형성된 장착용 허브를 구비할 수 있다. 그 허브는,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가 용기내에 고정 유지되도록 보다 확실히 보장하기 위하여 이용 된다. 이 형태의 경우,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및 선전 자료는 제4형태의 제1형태 혹은 제1형태와 같은 방법으로 삽입 적용될 수 있다.
제7형태에 있어서, 중앙 개구의 저면에 부착된 바닥을 가지는 디스크 트레이를 구비한 3요소 용기는,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의 중앙 개구에 대응하게, 디스크 트레이의 저면과 일체로 형성된 장착용 허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 허브는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를 용기내에서 보다 안정화시키는데 사용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및 선전 자료는 제1형태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삽입 적용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용기는 2개의 주요소, 즉, 기부 트레이 및 커버로 이루어진다. 기부 트레이의 저부 내면과 일체로 4개의 돌출 림이 형성된다. 그 돌출 림들이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를 실질적으로 에워싸므로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는 특별한 디스크 트레이를 필요로 하지 않고 편안하고 확실하게 안착한다. 후방의 돌출림은 용기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 커버의 안착부로서 작용한다.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는 라벨이 하방을 향한 상태로 돌출림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팜플렛이나 다른 선전 자료가 커버내에 삽입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상하부의 투시를 통해서 용기의 내용물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첨부도면은 현재 바람직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시적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여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자 한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제18도 내지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보관용기(10)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용기(10)는 3요소, 즉, 기부 트레이(50), 커버(30) 및, 디스크 트레이(25)를 포함한다. 비록, 용기(10)의 치수는 여러 가지 치수의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에 맞춰서 변경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는 광디스크가 장방형 외피내에 삽입되는 통상의 소형 디스크용으로서 구성된다. 용기(10)의 가로는 대략 91㎜이고 세로는 약 109㎜이며, 높이는 약 15㎜이다(제 21도 참조). 가로는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의 가로보다 약간 더 길게되어 있는 반면에, 세로 및 높이는 표준 오디오 테이프 카세트 용기용의 이미 현존하는 진열대에 용기(10)가 이용될 수 있도록 채택된다. 다른 한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10)의 세로, 높이 및 가로는 표준 치수의 콤팩트 디스크 용기용으로 이미 현존하는 진열대에 이용할 수 있도록 용기(10)를 적합화하는 여러 가지 치수를 가진다.
커버(30)는 상부면(32)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2개의 측벽(34)을 포함한다. 각 측벽(34)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측부 탭(36)이 내측으로 돌출한다. 측부 탭(36)은 그 측부 탭(36)이 내측으로 돌출한다. 측부 탭(36)은 그 측부 탭(36)과 상부면(32)사이에 팜플렛이나 카드(36)를 삽입할 수 있을만큼 상부면(32)으로부터 충분한 거리에 위치된다.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기로 양쪽의 측벽의 중앙에는 측부 탭(36)과 상부면(32) 사이에 작은 절제부(33)가 형성된다. 그 절제부(33)는 다른 작용을 함은 물론 성형 공정 효율을 개선한다.
그래픽 측(25; graphic side)이 커버의 상부면 (32)을 향하는 (제 21도 참조) 팜플렛 혹은 카드(32)는 커버(30)의 개방된 전단부(44)에서 커버(30)내에 삽입되어 커버(30)의 후방벽(42)에 안착할 때 가지 탭(36) 아래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커버(30)의 개방된 전단부(44)에 인접한 커버(30)의 내면의 일부로부터 작은 전방 탭(46)이 상방으로 돌출하여, 팜플렛 혹은 카드(26)가 일단 후방벽(42)에 안착하면, 그 팜플렛등을 제위치에 유지한다.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기로는 양쪽의 측벽(34)도 내측으로 돌출하는 포착 돌기(48)를 가진다. 양쪽 커버 측벽(34)의 각각의 후방 단부(31)는 내측으로 연장하는 피봇트 돌기(40)를 가진다.
기부 트레이(50)는 저면(52), 한쌍의 측벽(80), 전방벽(78) 및, 후방벽(71)을 포함한다. 각각의 측벽(80)은 위치가 커버(30)의 탭(36)에 대응하는 노치(82)를 가진다.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기로는 양쪽의 측벽(80)은 측벽 노치(82)의 양쪽에 디스크 트레이 포착 딤플(88; capture dimple)을 가진다. 각 기부 트레이 측후방벽(75)은 피봇트 요홈 혹은 홀(49)을 가지는데, 이 홀은 커버(30)상의 피봇트 돌기(40)와 대응된다. 전방벽(78)의 외부는, 바람직하기로는 중앙에, 약간 함몰된 영역(53)을 가지는바, 그 영역은 용기(10)개방시 손가락 파지부로서 이용될 수 있다.
디스크 트레이(25)는 후방벽(69), 전방 벽(77) 및 림이 형성된 중앙개구(85)를 가지는데, 그 개구는 가로 및 세로 치수가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보다 약간 더 크다. 림이 형성된 중앙개구(85)는 후방 림(37), 2개의 측부 림(38), 전방림(39) 및 바닥(45)을 구비하는데, 그 바닥은 림(37, 38, 39)의 저연부에 부착된다. 바닥(45)의 적어도 2개의 모서리, 바람직하기로는 4개의 모서리 모두에는 바닥(48)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단이진 스탠드오프(100)가 위치된다. 각각의 스탠드오프(100)는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의 각각의 모서리를 실질적으로 에워싸게 되어 있는 등부분(101)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스탠드오프(100)는 또한 계단부(102)를 가질 수 있는데, 그 계단부는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의 모서리들을 바닥(45)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지지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아래로 쉽게 밀어넣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디스크 카트리지의 용기(10)로부터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각각의 스탠드오프(100)의 등부분(101)은 바닥(45)위로 약 1/8 인치 돌출하여, 각각의 스탠드오프(100)의 계단부(102)는 바닥(45)위로 약 1/16인치 연장한다. 그러나, 이들 높이는 변결할 수 있다.
각각의 측부 림(38)은 외부에 노치(13)를 가지는데, 그 노치는 위치가 기부 트레이의 노치(82) 및 커버 탭(36)과 일치한다.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기로는 양쪽의 측부 림(38)은 내부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부(81)를 가지는데, 그 삽입부는 중앙 개구(85)의 모서리를 사이에 중심이 맞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측부 림(38)의 외부는 또한 측벽 노치(83)의 양쪽에 배치된 포착 돌기(86)를 가지는데, 이들 노치는 기부 트레이(50)의 포착 딤플(88)과 일치한다.
디스크 트레이(25)의 후방벽(69) 상부에는 기부트레이(50)의 피봇트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후방 릿지(87; rear ledge)가 성형된다. 후방 릿지(87)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기는 3개의 형태립(35)에 의해 지지된다(제 3도). 후방 벽(69)의 저부 및 후방 림(37)의 상부에는, 용기(10)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의 커버 후방 벽(42)의 안착부로서 작용하는 후방 커버 지지체(41)가 형성된다.
기부 트레이(50) 및 커버(30)는 그 커버상의 피봇트돌기(40)를 기부 트레이(50)내의 피봇트 요부(49)와 정합시킴으로써 부착된다. 기부 트레이의 전방 벽(78)은, 커버의 전방 단부(44)가 그 위로 연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다른 손으로 용기(10)를 지탱하면서 손가락으로 커버(30)를 비집어 열 수 있도록 약간 함몰되어 있다. 기부 트레이 전방 벽(78)의 외부에 있는 약간 함몰된 영역(53)은 손가락 파지로부서 이용될 수 있다. 커버(30)는 후방 벽(71)의 세로를 통해서 수평 방향으로 중심이 맞춰진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디스크 트레이(25)는 디스크 트레이 포착돌기(86)를 기부 트레이의 디스크 트레이 포착 딤플(88)에 삽입함으로써 기부 트레이(50)에 부착된다. 디스크 트레이(25)가 삽입되는 경우, 전방 벽(77)이 트레이의 전방 벽(78)과 맞닿아 안착하며, 각각의 디스크 트레이 측부 림의 외부는 각각의 기부 트레이 측벽(80)의 내부에 맞닿아 안착한다. 디스크 트레이의 후방릿지(87)는 기부 트레이의 후방벽(71)의 상부에 안착한다.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전 자료등(27)이 디스크 트레이(25) 아래에서 하방을 향하여 삽입될 수 있다.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는 디스크 트레이(25)의 중앙 개구(85)내에서 용기(10)에 위치될 수 있으며, 팜플렛 혹은 카드(26)는 커버(30) 아래에 고정 삽입될 수 있다.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는 라벨이 없는 측(19) 혹은 라벨측(17)이 커버(30)를 향하도록 디스크 트레이(25)에 삽입될 수 있다.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의 모서리들은 스탠드오프(100)의 계단부(102)상에 안착된다. 선전 자료등(27)은 접혀서 정보 혹은 그래픽이 표시될 수 있도록 전방 벽(78)의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의 투명한 상부면을 통해서 팜플렛이나 카드(26)를 용이하게 볼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후방 벽(71)은 그 내부에 인덱스나 탭을 위치시킴으로써 정보나 그래픽을 표시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제2형태에 있어서,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45)의 적어도 2개의 모서리, 바람직하게는 4개 모두가 그 상부면에 형성된 계단부(102)를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측부 림(38)은 디스크 트레이(25)가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를 고정함에 있어서 보다 큰 가요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작은 절제부(47)를 갖는다.
제3형태에 있어서는,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45)의 적어도 2개의 모서리가 그 상부면에 형성된 스탠드오프 등부분(101)을 갖는다. 제1형태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스탠드오프 등부분(101)이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의모서리들을 실질적으로 에워싼다. 그러나, 이 형태에 있어서,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의 저면은 디스크 트레이(25)의 바닥에 맞닿아 안착한다.
제4형태에 있어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트레이(24)의 림을 갖춘 중앙개구(85)가 바닥(45)없이 이용될 수 있다. 림(37,38,39)은 가요성으로서 절제된 모서리(43)에서 만나 윈도우형 개구를 형성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는 디스크 트레이(24)의 디스크 트레이 중앙개구(95)내에서 용기내에 위치될 수 있다. 팜플렛이나 카드(26) 혹은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의 라벨측(17)은 커버의 투명한 상부로부터 쉽게 투시될 수 있다. 그러나,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트레이(24) 아래에 선전 자료등(27)이 삽입되지 않은 경우,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의 라벨측(17)은 하방을 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소비자로 하여금 기부 트레이의 투명한 저면(52)을 통해서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의 라벨(17)을 볼 수 있게 한다.
제2도 내지 제5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림(37,38,39)의 저부가 외측으로 굴곡하여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를 포위 고정한다. 용기(10)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커버의 후방 벽(42)은 디스크 트레이의 후방 커버 지지체(41)의 상부에 얹힌다.
제5형태에 있어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트레이(25)는 제1도의 디스크 트레이(24)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이 디스크 트레이(25)는 중앙개구(85)의 저부에 부착된 바닥(45)을 가진다. 후방 림(37), 2개의 지지 림(38), 전방 림(39) 및 손가락 삽입부(81)는 바닥(45)을 지지하는 견고한 저부를 가진다. 또한, 이 디스크 트레이(25)는 절제된 모서리(43) (제 1도) 대신에,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기로는 2개의 측부 절제부(47)를 가지는바, 그 절제부는 손가락 삽입부(81)의 각 측부상의 측부 림(38) 내부 및 후방 림(37)과 전방 림(39)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가 삽입되는 경우, 림(37,38,39)가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를 에워싸므로, 그 디스크가 편안하고 확실하게 안착된다.
제6형태에 있어서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개구(85)를 갖는 디스크 트레이(24)와 커버(30)는 저면(52)에 일체로 형성된 원형의 장착용 허브954)를 가지는 기부 트레이(50)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는 그것의 중앙 홀(15)을 매개로 장착용 허브(54)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용 허브(54)는 돌출된 원형 장착부(56)와 돌출된 돌기(58)를 가진다. 장착용 허브(54)는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가 용기(10)내에 확실히 유지되도록 더욱 더 보장한다.
제7형태에 있어서,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25)을 갖는 디스크 트레이는 그 바닥(45)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원형의 장착용 허브(54)를 가질 수 있다. 또, 그 장착용 허브(54)는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가 용기(10)의 내부에 고정 유지되게 보다 더 보장한다.
다른 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는 2개의 주요소, 즉, 기부 트레이(50)와 커버(3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부 트레이(50), 커버(30) 및 용기 (10)의 치수는 제4실시예(제1도 참조)의 기부 트레이(50, 커버(30) 및 치수와 실질적으로 같다.
기부 트레이(50)는 저면(52)과 일체로 형성된 4개의 가용성 돌출 림(65)을 가진다. 그 돌출 림(65)은 상방으로 돌출하여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를 실질적으로 에워싸므로서 그 카트리지가 편안하고 확실하게 안착하도록 보장한다. 비록 림을 위치시킬 수도 있지만, 현재로서는 각쌍의 마주한 평행 림 사이의 최적의 간격은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의 세로 및 가로보다 0.2㎜작은 것이다.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가 삽입되는 경우, 림은 외측으로 굴곡하여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가 편안하고도 확실하게 안착할 만큼 충분한 간섭력(interference)을 발생시킨다. 기부 트레이의 후방 벽(70)은 내측 후방 벽(73)과 외측 후방 벽(74) 및 상부 후방 벽(72)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부 트레이(50)와 달리, 이 기부 트레이(50)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82)에 디스크 트레이 포착 딤플(88)을 가지지 않는다.
용기(10)가 폐쇄된 상태에 있는 경우,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가 용기(10)내에서 기부 트레이(50)의 돌출 림 (65)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처럼, 팜플렛 혹은 카드(26)는 커버의 투명한 상부(32)를 통해서 쉽게 볼 수 있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의 라벨측(17)은 기부 트레이의 투명한 저면(52)을 통해서 볼 수 있다.
제13도 내지 제16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림(65)이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13)를 실질적으로 에워싸서 그것을 고정시킨다. 용기(10)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커버의 후방 벽(42)은 기부 트레이의 내측 후방 벽(73)에 인접하여 림(65)의 상부에 얹힌다.
본 발명의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용기의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바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추가적인 변형예 및 실시예를 만들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Claims (17)

  1. 장방형의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용기에 있어서, 내측저면, 상기 내측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측벽, 상기 내측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후방벽 부분 및, 상기 내측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전방벽 부분을 포함하는 기부 트레이와,
    내측 상부면 및 상기 내측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평행 측벽 및, 상기 기부 트레이를 힌지식으로 연결하는 힌지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커버와,
    한쌍의 측벽, 전방벽, 후방벽 및 상기 후방 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후방 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 상기 전방 벽 및 상기 후방 벽이 장방형 개구를 형성하는 카트리지 수납용 디스크 트레이와, 상기 디스크 트레이를 상기 기부 트레이에 연결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트레이를 상기 커버에 연결하는 힌지식 연결 수단이, 각각의 상기 기부 트레이 측벽의 외측 후방부상의 요부와, 각각의 상기 커버 측벽의 내측 후방부상에 위치하고, 그 형상 및 위치에 있어서 대응하는 상기 기부 트레이 측벽내의 요부와 대응하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요부에 정합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트레이를 상기 기부 트레이에 연결하는 수단이, 상기 디스크 트레이 측벽의 적어도 한 외측부상에 있는 돌기와, 상기 기부 트레이 측벽의 적어도 한 내측부상에 배치되고, 그 형상 및 위치에 있어서 대응하는 상기 디스크 트레이 측벽내의 돌기에 대응하는 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트레이 측벽의 외측 연부와 상기 디스크 트레이 측벽이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요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측벽은 상기 기부 트레이 측벽 요홈과 상기 디스크 트레이 측벽 요홈에 대응하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상보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상부면으로부터의 상기 커버의 상기 측벽은 상기 저면으로부터의 상기 기부 트레이의 상기 측벽보다 약간 더 길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트레이의 적어도 한 측벽의 내측 부분이 적어도 하나의 함몰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방형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용기.
  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장착용 허브가 상기 기부 트레이의 상기 내측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내측 상부면을 가지는 바닥이 상기 디스크 트레이의 장방형 개구의 상기 측벽, 상기 전방벽 및 상기 후방벽의 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벙형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용기.
  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트레이의 상기 바닥의 상기 상부면과 일체로 디스크 장착용 허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광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트레이의 상기 바닥의 상부면의 적어도 2개의 모서리에는 상기 바닥과 일체로 계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용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트레이의 상기 바닥의 상부면의 적어도 2개의 모서리에는 내측면을 가지는 모서리형 스탠드오프가 상기 상부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용기.
  1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오프의 상기 내측면과 일체로 계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트레이의 상기 전방벽의 외측부상에 함몰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용기.
  14. 장방형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용기에 있어서, 내측 저면, 그 내측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측벽, 상기 내측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후방벽, 상기 내측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전방벽 및, 상기 내측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방으로 돌출하여 카트리지를 실질적으로 에워싸는 4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장방형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용 기부 트레이와,
    내측 상부면 및 그 내측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평행한 측벽과,
    상기 기부 트레이를 상기 커버에 힌지식으로 연결시키는 힌지식 연결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용기.
  1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트레이를 상기 커버에 연결시키는 상기 힌지식 연결 수단이,
    각각의 상기 기부 트레이 측벽의 외측 후방부상의 요부와,
    각각의 상기 커버 측벽의 내측 후방부상에 위치되어 형상 및 위치에 있어서 대응하는 상기 기부 트레이 측벽내의 요부와 대응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요부와 정합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트레이 측벽의 외연부가 적어도 하나의 요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측벽들은 상기 기부 트레이 측벽의 요부에 대응하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상보형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용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커버의 상기 측벽이 상기 내측 저면으로부터의 상기 기부 트레이의 측벽보다 약간 더 길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용기.
KR1019930006285A 1992-04-16 1993-04-15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 용기 KR1002753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869,815 US5310054A (en) 1992-04-16 1992-04-16 Storage container for disk-shaped object
US869,815 1992-04-16
US88959892A 1992-05-26 1992-05-26
US889,598 1992-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349A KR930022349A (ko) 1993-11-23
KR100275360B1 true KR100275360B1 (ko) 2000-12-15

Family

ID=2712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6285A KR100275360B1 (ko) 1992-04-16 1993-04-15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 용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566403B1 (ko)
JP (1) JP3409360B2 (ko)
KR (1) KR100275360B1 (ko)
CN (1) CN1044751C (ko)
AT (1) ATE169765T1 (ko)
AU (1) AU664881B2 (ko)
BR (1) BR9301557A (ko)
CA (1) CA2091979C (ko)
DE (1) DE69320237T2 (ko)
MX (1) MX9302065A (ko)
PH (1) PH305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266B1 (ko) 2023-07-21 2024-02-27 주식회사 러쉬아이엠피 자동차 시트의 장식 부재 부착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03771U1 (ko) * 1993-03-15 1993-07-29 Wie-Werbung Bogumil Wisniewski (Bdg) Marketing-Werbegrafik U. -Fotografie, 90455 Nuernberg, De
GB2306759B (en) * 1993-06-03 1998-01-14 Tdk Corp A case for a disc cartridge
US5553444A (en) * 1994-09-15 1996-09-10 Shape Inc. Storage container for a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king
KR19980702176A (ko) * 1995-12-15 1998-07-15 이데이 노부유키 디스크 카트리지의 수납 케이스
JPH09323779A (ja) * 1996-05-31 1997-12-16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収納ケース
ATA213298A (de) * 1998-12-22 2000-08-15 Sony Dadc Austria Ag Mini-disk hülle
US7610782B2 (en) 2003-02-07 2009-11-03 Viva Onetime Limited Lockable container having an integral and internal locking mechanism and methods of use
US8054194B2 (en) 2003-02-10 2011-11-08 Autronic Plas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a security status of a lockable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6166A (en) * 1984-05-09 1989-12-12 Bankier Jack D Easel case for software having anti-pilferage means
DE3425579A1 (de) * 1984-07-11 1986-01-16 Polygram Gmbh, 2000 Hamburg Aufbewahrungskassette fuer plattenfoermige informationstraeger hoher speicherdichte
GB8432146D0 (en) * 1984-12-20 1985-01-30 Magill W J D Containers for software
EP0188663B1 (de) * 1985-01-07 1991-01-16 POLYGRAM GmbH Tablett zur Aufnahme und Halterung einer steifen kreisförmigen Informationsplatte sowie Kombination eines solchen Tabletts mit einer Aufbewahrungskassette
DE8523194U1 (de) * 1985-08-12 1985-10-1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Cassette für eine Compactdisc aus Kunststoff
US4702369A (en) * 1986-01-31 1987-10-27 Cinram Ltd./Ltee. Storage container for records or the like
DE8906570U1 (ko) * 1989-05-29 1989-11-02 Dunker, Petra Christa Gretel, Geb. Rosema, 4030 Ratingen, De
DE3927380A1 (de) * 1989-08-19 1991-02-21 Philips & Du Pont Optical Aufbewahrungskassette fuer eine ein mittelloch aufweisende platte
DE3932425A1 (de) * 1989-09-28 1991-04-11 Philips & Du Pont Optical Verpackung fuer wenigstens eine mit einem zentralen mittelloch versehene platte
US4993552A (en) * 1990-04-12 1991-02-19 Marc Bugbey Packaging device
JP3513766B2 (ja) * 1991-09-04 2004-03-31 株式会社ソニー・ミュージック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収納ケー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266B1 (ko) 2023-07-21 2024-02-27 주식회사 러쉬아이엠피 자동차 시트의 장식 부재 부착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349A (ko) 1993-11-23
AU3671293A (en) 1993-10-21
MX9302065A (es) 1994-07-29
BR9301557A (pt) 1993-10-19
CA2091979A1 (en) 1993-10-17
CA2091979C (en) 2002-08-13
AU664881B2 (en) 1995-12-07
JPH06191584A (ja) 1994-07-12
EP0566403B1 (en) 1998-08-12
JP3409360B2 (ja) 2003-05-26
CN1044751C (zh) 1999-08-18
EP0566403A2 (en) 1993-10-20
DE69320237T2 (de) 1998-12-24
DE69320237D1 (de) 1998-09-17
PH30524A (en) 1997-06-13
EP0566403A3 (en) 1993-12-22
ATE169765T1 (de) 1998-08-15
CN1094182A (zh) 1994-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5165A (en) Storage container for mini-disk cartridges
US5253751A (en) Packaging for compact discs
US5267647A (en) Storage container for mini-disk cartridges
US4850477A (en) Combination display package and flip file holder for compact discs
US5685439A (en) Display frame/interlocking storage rack component
US5310054A (en) Storage container for disk-shaped object
US5542531A (en) Holder for compact disc having carrier part
US4805769A (en) Compact disc security holder
GB2277922A (en) Storage cases for compact discs
US4330161A (en) Storage unit for tape cassettes
US4760914A (en) Theft-resistant retail container
HU216933B (hu) Tok lemezkazettához
KR100275360B1 (ko) 소형 디스크 카트리지 보관 용기
US5388713A (en) Storage container
US5477961A (en) Storage container for digital media and associated materials
KR20000069115A (ko) 디스크 형태의 정보매체용 하우징
US5383553A (en) Case for receiving at least one data storage disk
EP0568298A1 (en) A container for a compact disc, a minidisc, a cassette or a compact cassette
US6283283B1 (en) Mechanically assembled compact disc package
US20070267305A1 (en) Media container with band header
US4771888A (en) Cassette display and holder
US5344039A (en) Storage container
US6622866B2 (en) Jewel case packaging system for recording media
EP0559273A2 (en) Package for a disc-shaped record carrier having a centre hole
JP4106489B2 (ja) レンタル用カバー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