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209B1 - 가정용 산소발생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가정용 산소발생 공기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209B1
KR100275209B1 KR1019990006364A KR19990006364A KR100275209B1 KR 100275209 B1 KR100275209 B1 KR 100275209B1 KR 1019990006364 A KR1019990006364 A KR 1019990006364A KR 19990006364 A KR19990006364 A KR 19990006364A KR 100275209 B1 KR100275209 B1 KR 100275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xygen
valve
pressure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3669A (ko
Inventor
허지석
Original Assignee
허지석
주식회사옥시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지석, 주식회사옥시큐어 filed Critical 허지석
Priority to KR1019990006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209B1/ko
Publication of KR20000053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2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72Special valve constructions adapted to filters or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6Alumino-sili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공기를 정화시켜 청정공기와 순산소(純酸素)를 만들고 혼합하여 실내를 정화시키는 산소발생 기능의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완전히 정화된 고순도의 산소를 청정지역 수준 이상으로 만들어 공급시키는 수단이다. 공기정화장치(1∼4)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가 압축된다. 한쪽의 가압밸브(13a)에 의하여 한쪽의 베드(14a)를 통과하면서 질소가 제거된 순산소로 만들어진다. 다른 쪽의 베드(14b)에서는 평형밸브(24)를 통과하는 일부 순산소의 역류에 따라 흡착된 질소가 탈락되며 세정밸브(15b)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2개의 베드(14a,14b)를 작동시키는 시스템은 릴레이식이다. 순산소는 팬의 흡입력으로 혼합밸브(8)에서 정화된 공기와 일정하게 혼합되고, 팬에 의하여 실내에 강제 대류된다. 순도 83±2%, 농도 23∼25%의 산소가 산소량 측정센서에 의하여 실내에 적정량 공급된다.

Description

가정용 산소발생 공기정화기{Household Oxygen Generated Air Cleaner}
본 발명은 오염공기를 정화시켜 청정공기와 순산소(純酸素)를 만들고 혼합하여 가정 등의 실내에 산소를 공급하면서 공기를 정화시키는 산소발생 기능의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산소발생 기능을 갖는 공기정화기는 실용신안공개 제94-2829호에 개시되고 있다. 이 고안은 캐비닛, 상판, 하판, 전면그릴로 이루어진 본체 내에 하우징을 설치하여 2개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2개의 공간부중 전방에 형성된 공간부에는 공기정화수단을 설치함과 함께 후방에 형성된 공간부에는 산소발생수단을 설치하여 공기정화수단에 의해 공기가 정화되어 배출될 때 산소발생수단에 의해 산소가 함께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공기정화수단은 일반적인 에어필터를 말하는 것이고, 산소발생수단은 공기압축기와 흡착탑을 말하는 것이다.
흡착탑에 사용되는 흡착제의 예로는 특허공고 제97-894호에 개시되고 있다. 이것은 과탄산소다(2Na2CO3·3H2O2)를 산소발생원으로 하는 산소발생제에 있어서 결합제로 Ca-CmC를 사용하는 정제형 산소발생제이다.
그리고, 공기를 진공펌프 및 압축기를 이용하여 가압하고 감압하는 일을 반복해서 행하는 과정에 CO, CO2를 배출시키고 O2는 흡착탑에서 흡착시키는 방법의 제어시스템은 특허공고 제95-7315호와 실용신안공개 제93-8806호에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산소발생 기능을 가진 공기정화기는 오염된 대기 중의 일반 공기(CO20.050% 이상)를 그대로 압축하여 산소를 추출한 후에 부분적으로 정화시키거나 과탄산소다 등을 산소발생원으로 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오염된 공기를 제대로 정화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청정지역에 준하는 정도의 고순도 산소를 공급하지 못하였다.
실내환기를 위한 최적의 공기는 각종 가스나 냄새, 미세 먼지 등을 포함하지 않는 산소를 포함하여야 하고, 청정지역에 준하는 7LPM 순도 약 83%, 산소함유량 21% 이상 확보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산소발생 공기정화기에 의해서는 위와 같은 조건을 충족하는 공기를 얻기 어려웠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기 중의 공기를 오염되지 않은 상태로 완전히 정화시킨 청정공기로 환원시키고, 그 공기 중의 질소를 제거하여 산소를 얻는 방식을 취하며, 청정공기와 취출된 산소의 혼합이 청정지역의 산소량이 되도록 자동적으로 조절시켜 실내의 산소량에 따라 산소공급 및 공기정화시킬 수 있는 가정용의 산소발생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베드 단면도.
도 3은 그 분해사시도.
도 4는 혼합밸브 설치부의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에어필터, 2:전기집진기, 3:활성탄, 4:음이온발생기, 6:동파이프, 7:공기압축기, 8:혼합밸브, 12:항균필터, 13a,13b:가압밸브, 14a,14b:베드, 15a,15b:세정밸브, 23a,23b,25:오리피스, 24:평형밸브, 26a,26b:체크밸브, 28:압력센서, 29:저장탱크, 31:산소량 측정센서, 32:팬, C:콘트롤러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에어필터, 전기집진기, 활성탄, 음이온발생기를 포함하는 일련의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하고, 이 공기정화장치를 통과한 공기를 압축하는 공기압축기와, 이 공기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를 개방에 따라 밀어내며 유로를 서로 반대로 개폐시키는 한 쌍의 가압밸브와, 이 가압밸브의 어느 한쪽의 가압에 따라 각각 보내진 공기 중의 질소를 내장된 제오라이트에 흡착시켜 순산소를 얻어내는 한 쌍의 베드와, 상기 2개의 베드 출구쪽에서 상기 어느 한쪽의 가압밸브가 개방된 직후에 개방되어 순산소의 일부가 작동하지 않는 다른 쪽의 베드 내로 역류하여 흡착된 질소가 탈락되도록 하는 평형밸브 및 오리피스와, 상기 가압밸브와 베드 간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유로 중에 각각 설치되며 동일한 유로 상의 가압밸브와 반대로 개폐되어 상기 베드에서 탈락된 질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한 쌍의 세정밸브와, 실내의 산소량을 감지하는 산소량 측정센서와, 이 산소량 감지센서의 감지량에 따라 상기 가압밸브와 세정밸브와 평형밸브 및 공기압축기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베드에서 배출되는 일부의 순산소를 일정 압력으로 배출시키는 압력센서와, 이 압력센서에서 보내지는 순산소를 상기 공기정화장치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와 혼합시키는 혼합밸브, 그리고 이 혼합밸브에 흡입력을 가하면서 실내에 혼합공기를 공급하는 팬을 구비하는 시스템으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공기정화장치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가 공기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된다. 가압밸브에 의하여 한쪽의 베드를 통과하면서 질소가 제거된 순산소로 만들어진다. 다른 쪽의 베드에서는 평형밸브를 통과하는 일부 순산소의 역류에 따라 흡착된 질소가 탈락되며 세정밸브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산소의 생성과 질소의 세척 시스템은 콘트롤러에 의하여 릴레이식으로 작동된다. 일부 순산소는 압력센서에서 주어진 압력과 팬의 흡입력에 따라 상기 공기정화장치에서 보내오는 정화된 공기와 혼합밸브에서 일정하게 혼합된다. 혼합공기는 팬에 의하여 실내에 강제 대류된다. 순도 83±2%, 농도 약 21%의 산소가 산소량 측정센서에 의하여 실내에 적정량 공급된다. 산소농도는 용도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는 것으로, 산소량 측정센서의 설정값을 조정하면 된다. 그 값은 약 21∼27%의 범위가 적합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산소발생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2와 도 3은 하나의 베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혼합밸브 설치부를 나타낸 것이다.
공기정화장치는 공기가 연속해서 통과할 수 있는 밀폐된 공간(통로) 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공기정화장치는 에어필터(1)와 전기집진기(2), 활성탄(3) 그리고 음이온발생기(4)가 순차적으로 설치된 것이다. 에어필터(1)는 유입되는 외부공기 중의 비교적 입자가 큰 먼지 등을 필터부재(망필터)를 통하여 기본적으로 제거한다. 전기집진기(2)는 2단 하전식으로서, 에어필터(1)를 통과한 미세한 먼지는 정전장(Electro-static Field)을 통과할 때 고압(+전압)에 의해 이온화되고, 마이너스 전압을 가진 전극 사이를 통과할 때 집진이 되도록 한 것이다. 활성탄(3)은 전기집진기(2)를 거쳐 여과된 공기 중의 보다 미세한 가스입자, 즉 냄새성분과 발암물질 등을 포함하는 각종 유해가스와 그 중의 화학성분을 흡착시켜 제거한다. 음이온발생기(4)는 전류를 통과시켜 음이온을 생성시킨다. 이러한 음이온 성분은 상기한 활성탄(3)을 통과한 공기 중에 합성된다.
공기정화장치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는 구멍(5)이 무수히 뚫린 동파이프(6) 내로 들어왔다가 일부는 공기압축기(7)로 보내지고, 나머지는 혼합밸브(8)를 통하여 혼합된 후 팬(32)에 의하여 실내로 공급된다. 동파이프(6) 끝에는 스로틀(11)을 갖는 혼합밸브(8)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앞에는 공기압축기(7)의 입구와 연결된다.
공기압축기(7)의 출구에는 항균필터(12)가 연결되어 있어서 공기압축기(7)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 중의 세균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항균필터(12)의 출구는 분기되며 각 분기된 단부에 가압밸브(13a,13b)가 연결된다. 가압밸브(13a,13b)는 일종의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전류가 공급되면 포트가 개방되면서 내부의 피스톤이 항균필터(12) 쪽에서 들어오는 압축공기를 순간적으로 강하게 밀어내고, 전류공급이 차단되면 피스톤이 복귀하면서 포트가 폐쇄된다.
2개의 가압밸브(13a,13b)는 각각 베드(14a,14b)에 연결된다. 그리고 각 가압밸브(13a,13b)와 베드(14a,14b) 간의 유로 중에는 같은 유로 중의 가압밸브와 반대로 개폐되는 세정밸브(15a,15b)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세정밸브(15a,15b)의 출구는 외부로 개방되어 있어서 베드(14a,14b)로부터 역류되는 질소성분을 외부로 배출한다.
베드(14a,14b)는 2개가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으로서, 그 입구가 각 가압밸브(13a,13b)의 출구와 각 세정밸브(15a,15b)의 입구로 연결되는 2개의 유로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베드(14a,14b)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16) 내에 분말상 제오라이트(G)를 채우고, 그 양쪽에서 공기가 유동하도록 마감처리한 것이다. 즉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16)의 중간에 제오라이트(G)가 채워지고, 이 제오라이트(G)의 왼쪽에는 실리콘링(17a)과 필터캡(18a), 오링(19a), 그리고 입구캡(20a)이 차례대로 끼워져 마감된다. 입구캡(20a)에는 유로와 연결시키기 위한 니플(21a)이 고정된다. 또한 제오라이트(G)의 오른쪽에는 실리콘링(17b)과 필터캡(18b), 압축스프링(22), 오링(19b), 그리고 출구캡(20b)이 차례대로 끼워져 마감된다. 출구캡(20b)에도 출구측의 유로와 연결시키기 위한 니플(21b)이 고정된다. 제오라이트(G)는 4㎏/㎠의 압력을 받으면 질소를 흡착시킨다.
상기에서 실리콘링(17a,17b)은 필터캡(18a,18b)과 원통(16) 사이로 제오라이트(G)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면서 완충작용을 한다. 필터캡(18a,18b)은 다수개의 구멍이 뚫려 있으며, 그 일면에 부직포가 부착된 것으로 제오라이트(G)의 분출을 방지한다. 압축스프링(22)은 가압밸브(13a,13b)의 작동에 따라 공기압이 작용할 때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오라이트(G)에 의하여 오른쪽으로 밀리면서 수축되어 공기압에 따른 충격을 흡수한다. 압축스프링(22)은 가압밸브(13a,13b)의 작동이 중지되면 다시 복귀하고, 그 복귀력과 베드(14a,14b)의 출구쪽에서 가해지는 순산소의 역류되는 압력에 따라 제오라이트(G)도 왼쪽으로 밀려난다.
베드(14a,14b)의 출구에는 2개의 오리피스(23a,23b)와 그 가운데에 있는 평형밸브(24), 또 다른 오리피스(25), 그리고 2개의 체크밸브(26a,26b)와 그 중간의 배출티(T)(27)가 3열을 이루며 병렬로 연결된다.
2개의 오리피스(23a,23b)는 베드(14a,14b) 중의 어느 한쪽에서 나오는 순산소의 일부(약 1/2)만이 다른 쪽의 베드로 역류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고, 이러한 실행을 하도록 유로를 개방하는 것이 평형밸브(24)이다. 평형밸브(24)는 베드(14a,14b) 내의 제오라이트(G)에 흡착된 질소를 세척(탈락)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것으로, 가압밸브(13a,13b)와 세정밸브(15a,15b)의 1회 작동시간이 10초일 때 약 2∼3초 동안만 개방된다. 이 시간은 달리 설정될 수 있다. 그 작동시간은 콘트롤러(C)에 의하여 제어된다.
콘트롤러(C)는 산소량 측정센서(31)의 입력에 따라 가압밸브(13a,13b)와 세정밸브(15a,15b), 평형밸브(24), 그리고 공기압축기(7)에 출력한다. 산소량 측정센서(31)는 실내의 산소량을 측정하는 센서로서, 실내 공기 중의 산소량이 일정 산소량(약 21%) 이하가 되면 접속된다. 콘트롤러(C)는 이러한 산소량 측정센서(31)의 신호를 검지하고 이전의 기억된 출력데이터와 연산하여 설정값에 따라 가압밸브(13a,13b)와 세정밸브(15a,15b), 평형밸브(24), 그리고 공기압축기(7)에 출력한다.
콘트롤러(C)의 출력이 가해질 때 한쪽의 가압밸브(13a)와 다른 쪽의 세정밸브(15b)는 동시에 개폐되며, 다른 쪽의 가압밸브(13b)와 한쪽의 세정밸브(15a)는 상기 가압밸브(13a) 및 세정밸브(15b)와 반대로 동시에 개폐된다. 그리고 이들 가압밸브(13a,13b)와 세정밸브(15a,15b)가 개폐되는 초기에 평형밸브(24)도 콘트롤러(C)의 출력에 의하여 개폐된다.
상기 2개의 오리피스(23a,23b)와 평형밸브(24) 옆의 제2열에 설치된 오리피스(25)는 일종의 체크밸브 겸 과부하방지밸브로서, 압력센서(28)와 혼합밸브(8) 사이의 압력이 0.7∼0.8㎏/㎠를 초과할 때 세척이 진행되고 있는 베드(14a,14b)쪽으로 그 초과하는 양 만큼 역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병렬회로의 마지막 열에 설치된 체크밸브(26a,26b)는 베드(14a,14b)쪽에서 보내오는 일부의 순산소를 저장탱크(29)로 계속해서 보내도록 하는 동시에 저장탱크(29)의 순산소가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출티(27)는 그 2개의 체크밸브(26a,26b) 중간에 설치되어 있으며 저장탱크(29)와 연결되어 있다. 순산소를 저장하는 저장탱크(29)는 압력센서(28)와 연결되어 있다.
압력센서(28)는 0.7∼0.8㎏/㎠의 압력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압력센서(28)는 혼합밸브(8)와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혼합밸브(8)의 입구쪽에는 항상 0.7∼0.8㎏/㎠의 압력이 작용하게 되지만 혼합밸브(8)의 출구가 차단되는 경우에는 일시적으로나마 그 유로의 압력이 올라갈 수 있는데 이때에는 오리피스(25)가 작동한다.
혼합밸브(8)는 동파이프(6)를 통해 공급되는 정화된 공기의 유속에 따라 자동으로 열리고 닫힌다. 정화된 공기의 유속이 작용할 때 동파이프(6) 내의 스로틀(11)이 열리며 이에 따라 그 하부의 로드(30)가 회전하면서 스로틀(11)과 로드(30) 사이의 구멍이 개방되어 압력센서(28)쪽에서 가해지는 순산소가 동파이프(8)로 빠져나간다. 스로틀(11)의 회전에 따라 동파이프(6)의 좌측에서 혼합이 이루어지며, 이것에는 벤츄리관의 원리가 적용된다. 즉 동파이프(6) 내에서 정화된 공기가 가지는 속도에너지는 혼합밸브(8) 내의 압력을 낮춰서 같은 속도에너지를 얻도록 하므로서 결국 정화된 공기에 의하여 순산소가 빨려올라가면서 혼합된다.
동파이프(6)의 좌측단에는 팬(32)이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혼합된 공기는 팬(32)의 흡입력에 의하여 속도에너지를 가지며, 이러한 흡입에 의하여 실내에 공급된다. 팬(32)을 비롯한 일련의 공기정화장치들은 상기한 콘트롤러(C)와 연계되는 콘트롤러 ―실질적으로 통합된― 에 의하여 제어된다. 그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에 언급된 구성들에 의하여 대기 중의 공기로부터 혼합공기를 얻어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전체적인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기 중의 공기는 에어필터(1)와 전기집진기(2), 활성탄(3)을 거치면서 미세 먼지와 화학성분까지 모두 여과되고, 음이온발생기(4)에서 발생되는 음이온(61.27in3당 60%)과 혼합된다. 이렇게 정화된 공기는 동파이프(6) 내로 들어온다. 정화된 공기는 공기압축기(7)로 들어가 압축되고 항균필터(12)를 거치면서 압축된 공기 중의 세균까지 여과된다.
산소량 측정센서(31)는 실내의 산소량이 약 21% 이하로 떨어질 때 접속하며 이 신호에 따라 콘트롤러(C)가 출력한다. 이러한 콘트롤러(C)의 출력에 따라 한쪽의 가압밸브(13a)는 열리고 다른 쪽의 가압밸브(13b)는 닫힌다. 동시에 한쪽의 세정밸브(15a)는 닫히고 다른 쪽의 세정밸브(15b)는 열리며, 이와 동시에 평형밸브(24)도 열린다. 한쪽의 가압밸브(13a)는 열림과 동시에 항균필터(12) 쪽에서 들어오는 공기를 베드(14a)쪽으로 강하게 밀어내는 동작을 한다. 상기 가압밸브(13a)와 세정밸브(15a)가 약 10초 동작할 때 평형밸브(24)는 약 2∼3초간 열렸다가 닫힌다.
따라서 한쪽의 베드(14a)에서는 제오라이트(G)가 유입되는 공기 중의 질소성분을 흡착시켜서 순산소만을 배출시킨다. 이때 압축스프링(22)은 가압밸브(13a)에 의하여 가해지는 공기압에 의하여 수축되고 제오라이트(G)는 배출방향으로 밀려났다가 평형밸브(24)가 닫히면 복귀한다. 한쪽의 베드(14a)에서 배출되는 순산소는 체크밸브(26a)를 거쳐서 배출티(27)를 통해 저장탱크(29)로 보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한쪽 가압밸브(13a)의 동작초기에는 약 2∼3초간은 평형밸브(24)가 열려 있으므로 그 일부의 순산소가 오리피스(23a)와 평형밸브(24) 및 오리피스(23b)를 거쳐 다른 쪽의 베드(14b)로 역류한다. 이 역류에 의하여 다른 쪽 베드(14b) 내의 제오라이트(G)에 붙어 있던 질소가 떨어져 나간다. 이렇게 다른 쪽 베드(14b)에서 탈락된 질소는 세정밸브(15b)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가압밸브(13a,13b)에서 체크밸브(26a,26b)에 이르는 시스템은 병렬로 이루어져 있어서 릴레이 동작을 한다. 즉, 다른 쪽 가압밸브(13b)가 열리면서 작동할 때에는 한쪽의 가압밸브(13a)와 다른 쪽 세정밸브(15b)는 닫히고 한쪽의 세정밸브(15a)는 열린다. 또 평형밸브(24)는 2∼3초간 열렸다가 닫힌다. 이러한 동작에 의하여 위에서 설명한 한쪽 가압밸브(13a) 작동시의 작용과 반대로 작용한다.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저장탱크(29)에 저장된 순산소는 압력센서(28)의 압력조절에 따라 혼합밸브(8)로 보내지는데, 압력센서(28)는 약 0.7∼0.8㎏/㎠로 조정된다. 혼합밸브(8)는 팬(32)의 작동에 따라 동파이프(6)로 유입되는 정화공기의 속도에너지에 의하여 스로틀(11)이 열리게 된다. 스로틀(11)의 개폐량은 정화공기의 유입속도에 따라 다르고, 순산소와의 혼합비율은 일정하다. 그 혼합비율은 산소농도가 약 21%이다. 이 농도는 산소량 측정센서(31)의 설정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팬(32)이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혼합밸브(8)가 닫히게 되는데, 이때 압력센서(28)와 혼합밸브(8) 사이에 주어지는 순산소는 0.7∼0.8㎏/㎠를 초과하게 된다. 그 초과하는 압력은 오리피스(25)를 통하여 베드(14a,14b)쪽으로 역류한다. 한편, 팬(32)으로 들어온 혼합공기는 실내로 배출되어 순환된다. 그 배출되는 산소는 7LPM 순도 83±2%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대기 중의 오염공기를 완전에 가깝게 정화시켜 청정지역의 공기와 유사하게 만들어 준다. 이것은 유해가스, 악취, 발암물질, 미세먼지, 세균 등을 여과시켜 주어 사용자의 호흡기 장애를 예방한다. 그리고 쾌적한 환경 하에서의 청정공기 또는 이보다 약간 상회하는 산소량을 고순도로 실내에 공급하게 된다. 비교적 소규모의 간단한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가정, 병원 등에서 산소공급 및 공기정화를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에어필터, 전기집진기, 활성탄, 음이온발생기를 포함하는 일련의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하고, 이 공기정화장치를 통과한 공기를 압축하는 공기압축기와, 이 공기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를 개방에 따라 밀어내며 유로를 서로 반대로 개폐시키는 한 쌍의 가압밸브와, 이 가압밸브의 어느 한쪽의 가압에 따라 각각 보내진 공기 중의 질소를 내장된 제오라이트에 흡착시켜 순산소를 얻어내는 한 쌍의 베드와, 상기 2개의 베드 출구쪽에서 상기 어느 한쪽의 가압밸브가 개방된 직후에 개방되어 순산소의 일부가 작동하지 않는 다른 쪽의 베드 내로 역류하여 흡착된 질소가 탈락되도록 하는 평형밸브 및 오리피스(23a,23b)와, 상기 가압밸브와 베드 간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유로 중에 각각 설치되며 동일한 유로 상의 가압밸브와 반대로 개폐되어 상기 베드에서 탈락된 질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한 쌍의 세정밸브와, 실내의 산소량을 감지하는 산소량 측정센서와, 이 산소량 감지센서의 감지량에 따라 상기 가압밸브와 세정밸브와 평형밸브 및 공기압축기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베드에서 배출되는 일부의 순산소를 일정 압력으로 배출시키는 압력센서와, 이 압력센서에서 보내지는 순산소를 상기 공기정화장치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와 혼합시키는 혼합밸브, 그리고 이 혼합밸브에 흡입력을 가하면서 실내에 혼합공기를 공급하는 팬을 구비하는 가정용 산소발생 공기정화기.
KR1019990006364A 1999-02-25 1999-02-25 가정용 산소발생 공기정화기 KR100275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364A KR100275209B1 (ko) 1999-02-25 1999-02-25 가정용 산소발생 공기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364A KR100275209B1 (ko) 1999-02-25 1999-02-25 가정용 산소발생 공기정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669A KR20000053669A (ko) 2000-09-05
KR100275209B1 true KR100275209B1 (ko) 2000-12-15

Family

ID=19575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364A KR100275209B1 (ko) 1999-02-25 1999-02-25 가정용 산소발생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52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700B1 (ko) * 2002-06-18 2005-02-21 신바람이노텍(주) 인체 및 실내 겸용 산소배출장치
KR102482277B1 (ko) 2021-10-26 2023-01-03 주식회사 유엔아이더블유 산소 발생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665B1 (ko) * 2001-04-11 2007-04-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공기조화기의 산소부화공기 공급 장치
KR100503283B1 (ko) * 2002-12-13 2005-07-26 주식회사 케이피씨 산소발생 기능이 부가된 공기정화기
CN116440606B (zh) * 2023-03-16 2024-02-27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二医学中心 一种用于呼吸机的过滤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700B1 (ko) * 2002-06-18 2005-02-21 신바람이노텍(주) 인체 및 실내 겸용 산소배출장치
KR102482277B1 (ko) 2021-10-26 2023-01-03 주식회사 유엔아이더블유 산소 발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669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1452B2 (ja) 気体濃縮方法およびその装置
EP0991460A1 (en) Pressure swing adsorp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90057608A (ko) 실내 공기 리사이클 장치
CN108151198A (zh) 一体化pm2.5空气净化装置
KR100275209B1 (ko) 가정용 산소발생 공기정화기
KR20030009720A (ko) 산소발생 겸용 공기정화기
KR200203610Y1 (ko) 가정용 산소발생 공기정화기
KR102280782B1 (ko) 다중 모드의 선택적 운전이 가능한 실내용 산소 발생 장치
CN109028329A (zh) 一种家居用空气净化装置
KR100503283B1 (ko) 산소발생 기능이 부가된 공기정화기
KR100495973B1 (ko) 자동차용 산소발생장치
KR100719954B1 (ko)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 시스템
KR100271526B1 (ko) 의료용 에어탱크 충전용 산소발생장치
CN207936361U (zh) 一体化pm2.5空气净化装置
KR200307385Y1 (ko) 산소발생 기능이 부가된 공기정화기
CN203507709U (zh) 立式高效室内空气净化机
KR20030067797A (ko) 산소발생장치
KR200213544Y1 (ko) 의료용 에어탱크 충전용 산소발생장치
CN210832337U (zh) 一种新风系统
CN208871752U (zh) 具有自清扫功能的制氧机
KR100277200B1 (ko) 산소발생기용 산소혼합장치
KR20040021835A (ko) 산소발생 기능이 부가된 공기청정기
KR200201973Y1 (ko) 산소발생기용 산소혼합장치
KR200342601Y1 (ko) 산소발생장치
KR200219405Y1 (ko) 압축스윙흡착 및 진공스윙흡착 방식을 조합한 산소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