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066B1 -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data by using g.703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data by using g.703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066B1
KR100275066B1 KR1019970047446A KR19970047446A KR100275066B1 KR 100275066 B1 KR100275066 B1 KR 100275066B1 KR 1019970047446 A KR1019970047446 A KR 1019970047446A KR 19970047446 A KR19970047446 A KR 19970047446A KR 100275066 B1 KR100275066 B1 KR 100275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lock
digital
unit
m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4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25721A (en
Inventor
배성진
박상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7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066B1/en
Publication of KR19990025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7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066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digital data processor according to G.703 is provided to extracting data from a G.703 bipolar input signal to a digital signal and vice versa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G.703. CONSTITUTION: A clock generator(12) generates a clock for detecting data from a bipolar signal from an A/D(analog to digital) converter(11). A G.703 decoder(13) detects the bipolar signal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G.073. A transmission FIFO(first-in, first-out)(60) temporarily stores and transmits the data. A clock smoothing filter(24) detects a generation clock from the digital data input. A reception FIFO(50) temporarily stores and transmits the digital data. A G.703 encoder(30) converts the data from the reception FIFO(50) to a bipolar signal and sends it to the A/D converter(11). A stuffing request signal generator(20) resolves disagreement of the clock of the clock generator(12) and a system clock.

Description

쥐.703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처리 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DATA BY USING G.703}Digital dat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rat. 703.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DATA BY USING G.703}

본 발명은 ITU-T 권고안(Recommendation) G.703을 이용하는 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되는 G.703 양극성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역으로 디지털 신호를 G.703 규칙에 의해 양극성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데이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ITU-T Recommendation G.703, in particular extracting data from a received G.703 bipolar signal and converting it into a digital signal and conversely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according to the G.703 rule. A digital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converting a bipolar signal.

통신망은 디지털화로 꾸준히 발달해 왔다. 그러나 디지털 전송은 아날로그 전송에 비해서 채널당 대역폭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장거리 전송에 있어서도 아날로그 전송이 더 경제적이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전송방식이 계속 발전해 온 것은 디지털 전송이 가지는 많은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Communication networks have steadily developed with digitalization. However, digital transmission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takes more bandwidth per channel than analog transmission, and analog transmission is more economical even for long distance transmission. Despite these shortcomings, digital transmission has continued to evolve because it has many advantages.

디지털 전송의 신호는 TTL, 혹은 CMOS가 주종이다. 그러나 신호의 흐름이 RACK과 RACK 사이, 또는 TTL이나 CMOS인 디지털 레벨로 전송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때 TTL이나 CMOS인 디지털 신호를 양극성(Bipolar) 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화 해서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마이크로 웨이브(micro-wave: M/W)장비 등에 이용되는 G.703 64Kb/s, 2.048Mb/s 데이터 전송의 경우도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The digital transmission signal is mainly TTL or CMOS. However, it is sometimes difficult to transmit at the digital level where the signal flow is between RACK and RACK, or TTL or CMOS. At this time, a method of converting a digital signal such as TTL or CMOS into a bipolar signal and converting the analog signal is transmitted. The same method is used for G.703 64Kb / s and 2.048Mb / s data transmission used in microwave (M / W) equipme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되는 G.703 양극성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역으로 디지털 신호를 G.703 규칙에 의해 양극성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데이터 처리장치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data processing apparatus which extracts data from a received G.703 bipolar signal and converts the data into a digital signal and conversely converts the digital signal into a bipolar signal according to the G.703 ru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에서 양극성 신호를 받아 디지털 변환하여 송신하고, 디지털 데이터를 받아 양극성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를 통해 전송하는 쥐. 703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극성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클럭을 재생하는 클럭재생부와, 상기 클럭재생부에서 재생된 클럭을 이용하여 쥐.703규칙에 의해 상기 양극성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하는 쥐.703디코더와, 상기 쥐.703디코더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시스템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시스템으로 보내는 송신 선입선출부와,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재생 클럭을 검출하는 클럭 스므씽 필터와, 상기 시스템의 제어를 받아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한 후 상기 재생 클럭을 이용하여 독출하는 수신 선입선출부와, 상기 수신 선입선출부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상기 재생 클럭을 이용하고, 상기 쥐.703규칙에 의해 양극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로 보내는 쥐. 703 인코더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bipolar signal from the analog / digital conversion unit, digitally converted and transmitted, and receives the digital data converted into a bipolar signal to transmit through the digital / analog converter. A digital dat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703, comprising: a clock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a clock for detecting data from the bipolar signal and a data reproduced from the bipolar signal by a rat.703 rule by using a clock reproduced by the clock reproducing unit. And a sender first-in, first-out unit for temporarily storing the data detected by the mouse.703 decoder and then reading the stored data to the system under the control of the system. A clock smoothing filter for detecting a reproduction clock from digital data, a reception first-in first unit for storing the digital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system, and then reading the data using the reproduction clock; The data is converted into a bipolar signal using the reproduction clock and according to the mouse 703 rule. Sending parts of the rat D / A conversion. 703 encod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처리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dat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구성에 의거한 송신 타이밍도.2 is a transmission timing diagram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FIG. 1;

도 3은 도 1의 구성에 의거한 수신 타이밍도.3 is a reception timing diagram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FIG. 1;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G.703은 여러 곳에서 이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M/W 장비에 적용되는 경우를 일 실시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M/W 장비는 송수신부와, 중간주파수부와, 모뎀부와, 감시스위칭부로 계층 구조를 이루고,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처리장치는 주로 64Kb/s PCM(예: 전화,FAX) 규격의 아날로그 신호 라인(예: DS3 라인)에 연결된 상기 감시스위칭부에 적용된다.Although G.703 is used in various place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n example where it is applied to M / W equipment. Here, the M / W equipment has a hierarchical structure including a transceiver, an intermediate frequency unit, a modem unit, and a monitoring switching unit, and the digital dat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uses 64Kb / s PCM (eg, telephone, FAX) standard. Applied to the supervisory switching section connected to an analog signal line (eg DS3 li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처리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dat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도면 참조번호 11은 아날로그/디지털(analog/digital: 이하 "A/D"라 한다) 변환부로서, 아날로그 신호 라인에 연결되어,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G.703에 의한 양극성을 가지는 디지털 신호(TD+, TD-)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12는 클럭 재생부로서, 상기 A/D 변환부(11)에서 출력되는 상기 디지털 신호(TD+, TD-)로부터 D-PLL(digital phase locked loop)을 통해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클럭(clock)을 재생한다. 13은 G.703 디코더로서, 상기 클럭 재생부(12)로부터 출력된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A/D 변환부(11)에서 출력된 상기 디지털 신호(TD+, TD-)를 G.703 규칙에 의해 복원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G.703 디코더(13)는 상기 디지털 신호(TD+, TD-)의 형태가 "1100"일 경우 "1"로 간주하며, "1010"일 경우 "0"으로 간주하여 정상적인 데이터는 전송한다. 그리고 검출된 데이터가 G.703 규칙에 위배된 경우에는 선로 에러 비트로 간주하며, 이 에러 비트를 카운트하여 임계치 이상일 경우 라인 실패(Line Failure)를 선언하며, 수신된 신호가 모두 "1"일 경우 라인 AIS를 선언하여 제어 인터페이스부(14)로 보낸다. 60은 송신 선입선출(First-In/First-Out)부로서, 송신 재생 클럭에 동기된 송신 데이터를 래치(Latch)시키며 시스템 클럭으로 래치된 데이터를 읽어 전송하게 된다. 상기 송신 선입선출부(60)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5는 송신 S/P(Serial/Parallel)변환부로서, G.703 디코더(13)에서 복원된 직렬 데이터를 받아 병렬로 변환하여 듀얼 포트(DUAL PORT) S-RAM(19)로 보낸다. 16은 송신 라이트 포인터(Writer Pointer)로서, 클럭 재생부(12)로부터 발생한 클럭(CLK)을 받아 상기 송신 S/P 변환부(15)에서 출력된 병렬 데이터를 듀얼 포트 S-RAM(19)에 저장한다. 18은 송신 리드 포인터로서, 다중화부(21)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듀얼 포트 S-RAM(19)에 저장된 병렬 데이터를 병렬로 출력한다. 그리고 17은 송신 P/S(Parallel/Serial) 변환부로서, 상기 듀얼 포트 S-RAM(19)에서 출력된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STD)로 변환하여 출력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 11 is an analog / digit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 D") conversion unit, which is connected to an analog signal line, and receives the received analog signal by polarity by G.703. The branches are converted into digital signals TD + and TD- and output. 12 is a clock reproducing unit, and a clock for detecting data through the digital phase locked loop (D-PLL) from the digital signals TD + and TD- output from the A / D converter 11. Play it. 13 is a G.703 decoder, which uses the clock output from the clock reproducing section 12 to convert the digital signals TD + and TD- output from the A / D converter 11 according to the G.703 rule. Restore and send. In this case, the G.703 decoder 13 regards "1" when the digital signals TD + and TD- are "1100" and "0" when "1010" and transmits normal data. . If the detected data violates the G.703 rule, it is regarded as a line error bit, and counts this error bit to declare a line failure if it is over the threshold, and if the received signals are all "1", AIS is declared and sent to the control interface unit 14. 60 is a transmission first-in / first-out unit that latches transmission data synchronized with the transmission reproduction clock and reads and transmits the latched data with the system clock. The transmission first-in, first-out unit 6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15 is a transmission S / P (Serial / Parallel) conversion unit, which receives the serial data restored by the G.703 decoder 13, converts them in parallel, and sends them to the dual port S-RAM 19. 16 is a write write pointer, which receives the clock CLK generated from the clock reproducing unit 12 and outputs parallel data output from the transmitting S / P converter 15 to the dual port S-RAM 19. Save it. 18 is a transmission lead pointer, which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multiplexer 21 and outputs parallel data stored in the dual port S-RAM 19 in parallel. 17 denotes a transmission P / S (Parallel / Serial) converter which converts parallel data output from the dual port S-RAM 19 into serial data STD and outputs the serial data.

20은 스터핑(STUFFING) 요구신호 생성부로서, 송신 선입선출부(19)에서 송신 라이트 포인터(16)의 클럭과 송신 리드 포인터(18)의 클럭이 불일치가 발생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스터핑한다. 상기 스터핑 요구신호 생성부(20)는 송신 리드 클럭이 송신 라이트 클럭보다 느릴 경우 정 스터핑 요구(Positive Stuffing Request)신호를 생성하고, 반대로 송신 리드 클럭이 송신 라이트 클럭보다 빠르면 부(Negative) 스터핑 요구신호를 생성한다. 그러므로 상기 다중화부(21)는 상기 스터핑 요구신호 생성부의 신호를 받아 송신 리드 포인터(18)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송신 선입선출부(60)로부터 출력되는 동기화된 송신 데이터(STD)를 다음 과정으로 전달한다.20 is a STUFFING request signal generation unit. Since the clock of the transmission write pointer 16 and the clock of the transmission lead pointer 18 are mismatched in the transmission first-in first-out unit 19, stuffing is performed to solve this problem. The stuffing request signal generator 20 generates a positive stuffing request signal when the transmission read clock is slower than the transmission write clock, and conversely, a negative stuffing request signal when the transmission read clock is faster than the transmission write clock. Create Therefore, the multiplexer 21 receives the signal of the stuffing request signal generator to generate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lead pointer 18, and outputs the synchronized transmission data STD output from the first-in, first-out unit 60. Transfer to the next step.

50은 수신 선입선출부로서, 송신 선입선출부(60)와 마찬가지로 시스템에 동기된 수신 데이터(SRD)를 역다중화부(23)로부터 입력받아 래치시키고, 재생 클럭을 통해 래치된 데이터를 읽어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 선입선출부(50)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27은 수신 S/P 변환부로서, 역다중화부(23)로부터 직렬 데이터인 수신 데이터(SRD)를 받아 병렬로 변환하여 듀얼 포트 S-RAM(29)에 보낸다. 그리고 25는 수신 라이트 포인터로서, 상기 역다중화부(23)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병렬 수신 데이터(SRD)를 듀얼 포트 S-RAM(29)에 저장한다. 그리고 26은 수신 리드 포인터로서, 클럭 스므씽 필터(CLOCK Smoothing Filter; 24)로부터 재생 클럭을 받아 듀얼 포트 S-RAM(29)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고, 28은 수신 P/S 변환부로서, 상기 리드된 병렬 데이터를 직렬로 변환하여 출력한다.50 is a reception first-in first-out unit, similarly to the transmission first-in first-out unit 60, receives and latches received data SRD synchronized with the system from the demultiplexer 23, and reads and transmits the latched data through the reproduction clock. . And the first-in, first-out unit 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Reference numeral 27 denotes a reception S / P converter which receives received data SRD, which is serial data, from the demultiplexer 23, converts it in parallel, and sends it to the dual port S-RAM 29. 25 denotes a receive write pointer, which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demultiplexer 23 and stores the parallel received data SRD in the dual port S-RAM 29. 26 denotes a read lead pointer, receives a reproduction clock from a clock smoothing filter 24, reads data stored in the dual port S-RAM 29, and 28 denotes a receive P / S converter. The read parallel data is converted into serial and output.

그리고 여기서 클럭 스므씽 필터(24)는 D-PLL 기법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DS0(DS1)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클럭들을 생성한다. 그리고 여기서 재생된 클럭들은 G.703 인코더(30)로 보내준다. 그러면 상기 G.703 인코더(30)에서는 상기 클럭 스므씽 필터(24)에서 재생 클럭을 받아 상기 수신 선입선출부(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받아 G.703 규칙에 의해 양극성 신호로 인코딩한 후 출력한다. 그러면 D/A 변환부(31)에서는 상기 G.703 인코더(30)에서 이를 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 신호라인에 실어 보낸다. 상기 G.703 인코더(30)에서는 G.703 규칙에 의해 "1"신호는 "1100" 신호로, "0"신호는 "1010"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신호들은 D/A 변환을 위해 양극성 신호(RD+, RD-) 형태로 변환된다. 그리고 코딩 규칙(CODING RULE)은 1-7 bit는 AMI(Alternative Mark Inversion)을 적용하며, 8번째 bit에는 바이얼레이션(violation)을 주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바이얼레이션을 이용하여 G.703 디코더에서 프레임을 검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lock smearing filter 24 is designed using the D-PLL technique and generates clocks for reproducing the DS0 (DS1) signal. The clocks reproduced here are sent to the G.703 encoder 30. Then, the G.703 encoder 30 receives the reproduction clock from the clock smoothing filter 24, receives the data output from the reception first-in-first-out unit 50, encodes the data into a bipolar signal according to the G.703 rule, and then outputs the data. do. Then, the D / A converter 31 receives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G.703 encoder 30, converts it into an analog signal, and sends the same to an analog signal line. In the G.703 encoder 30, a "1" signal is converted into a "1100" signal and a "0" signal is converted into a "1010" signal according to the G.703 rule. The signals are bipolar signals for D / A conversion. Is converted into the (RD +, RD-) form. In the coding rule, 1-7 bits apply AMI (Alternative Mark Inversion), and 8th bit uses a method of giving a vibration. This vibration is used to detect the frame in the G.703 decoder.

그리고 14는 제어 인터페이스로서, 시스템의 제어부(22)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으며, 내부의 모든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22)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14)는 상기 쥐.703 디코더(13), 상기 쥐.703 인코더(30) 및 상기 클럭재생부(12)와, 상기 송신 선입선출부(60)와, 상기 수신 선입선출부(50) 및 클럭 스므씽 필터(24)간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14)는 제어 및 상태 전송방법은 Data Clock(DCLK), Byte Clock(BCLK)과 다중화된 제어신호를 받아 내부에서 역다중화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상태정보는 수신된 DCLK와 BCLK를 이용하여 다중화한 후 제어부(22)로 전송한다. 상기 시스템이 모니터를 구비한 경우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상태정보를 받아 모니터에 표시한다. 그러면 관리자들은 이를 보고 디지털 데이터 처리장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And 14 is a control interface,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2 of the system, collects all the state information therein and transmits to the control unit 22. The control interface 14 includes the mouse .703 decoder 13, the mouse .703 encoder 30, the clock reproducing unit 12, the transmission first-in first-out unit 60, and the reception first-in first-out unit ( 50) and the clock smoothing filter 24. In this case, the control interface 14 receives a control signal by demultiplexing internally by receiving a multiplexed control signal with a data clock (DCLK), a byte clock (BCLK),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Multiplexing is performed using BCLK and then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2. When the system is equipped with a monitor, the controller 22 receives the status information and displays it on the monitor. Administrators can then view this and check the status of the digital data processing unit.

도 2는 도 1의 구성에 의거한 송신 타이밍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SLOT Tx DATA는 한 프레임(Frame)이 8개의 슬롯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TD+와 TD-는 양극성 신호로서, Violation을 통해 상기 프레임을 구분한다. 그리고 TCLK(Transmit Clock)와, STDS(Tx Byte Time Slot)와, STBS(Tx Data Time Slot)는 다중화부(21)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로서, 특히 여기서는 STD(Tx Data) 데이터를 한 프레임을 뒤에 리드하도록 제어한다.FIG. 2 shows a transmission timing diagram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FIG. 1. SLOT Tx DATA in the figure shows the form of data in which one frame is composed of eight slots, and TD + and TD- are bipolar signals, which distinguish the frames through violation. The TCLK (Transmit Clock), the STDS (Tx Byte Time Slot), and the STBS (Tx Data Time Slot) are control signals input from the multiplexer 21. In particular, here, a frame of STD (Tx Data) data Control to lead.

도 3은 도 1의 구성에 의거한 수신 타이밍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SRDS(Rx Data Time Slot)과 SRBS(Rx Byte Time Slot)와 RCLK(Receive Clock)을 역다중화부(23)로부터 받아 수신 선입선출부(50)에서는 SRD(Rx Data)를 처리하여 G.703 인코더(30)로 보내 RD+와 RD-로 이루어진 양극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3 illustrates a reception timing diagram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FIG. 1. Rx Data Time Slot (SRDS), Rx Byte Time Slot (SRBS), and RCLK (Receive Clock) are received from the demultiplexer 23, and the first-in-first-out unit 50 processes SRD (Rx Data). The signal is sent to the 703 encoder 30 to be converted into a bipolar signal composed of RD + and RD- and outpu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기식(SDH: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및 비동기식(PDH: Plesio_chronous Digital Hierarchy)를 포함한 모든 전송장치에서 G.703 규칙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오프-라인 모니터링(Off-line monitoring) 기능을 통해 자체 테스트를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G.703 rule in all transmission devices including synchronous (SDH) and Plesio_chronous Digital Hierarchy (PDH). Off-line monitoring allows self-testing.

Claims (1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에서 양극성 신호를 받아 디지털 변환하여 송신하고, 디지털 데이터를 받아 양극성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를 통해 전송하는 쥐. 703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A mouse that receives a bipolar signal from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and converts it digitally and transmits it. In the digital dat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703, 상기 양극성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클럭을 재생하는 클럭재생부와,A clock reproducing unit reproducing a clock for detecting data from the bipolar signal; 상기 클럭재생부에서 재생된 클럭을 이용하여 쥐.703규칙에 의해 상기 양극성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하는 쥐.703디코더와,A mouse.703 decoder which detects data from the bipolar signal according to a mouse.703 rule using a clock reproduced by the clock reproducing unit; 상기 쥐.703디코더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시스템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시스템으로 보내는 송신 선입선출부와,A first-in, first-out unit that temporarily stores data detected by the mouse 703 decoder and reads the stored data to the system under the control of the system;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재생 클럭을 검출하는 클럭 스므씽 필터와,A clock smoothing filter for detecting a reproduction clock from the digital data input from the system; 상기 시스템의 제어를 받아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한 후 상기 재생 클럭을 이용하여 독출하는 수신 선입선출부와,A reception first-in, first-out unit for storing the digital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system and reading the digital data using the reproduction clock; 상기 수신 선입선출부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상기 재생 클럭을 이용하고, 상기 쥐.703규칙에 의해 양극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로 보내는 쥐. 703 인코더와,A mouse converting the data read out from the reception first-in-first-out part into the bipolar signal using the reproduction clock, and sending the data to the digital / analog converter in accordance with the .703 rule. 703 encoder, 상기 클럭재생부의 클럭과 상기 시스템의 클럭간의 불일치를 해결하는 스터핑을 수행하는 스터핑 요구신호 생성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stuffing request signal generator configured to perform stuffing to solve a mismatch between a clock of the clock regenerator and a clock of the system.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에서 양극성 신호를 받아 디지털 변환하여 송신하고, 디지털 데이터를 받아 양극성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를 통해 전송하는 쥐. 703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A mouse that receives a bipolar signal from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and digitally converts it and transmits it, and receives digital data and converts it into a bipolar signal to transmit it through a digital / analog converter. In the digital dat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703, 상기 양극성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클럭을 재생하는 클럭재생부와,A clock reproducing unit reproducing a clock for detecting data from the bipolar signal; 상기 클럭재생부에서 재생된 클럭을 이용하여 쥐.703규칙에 의해 상기 양극성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하는 쥐.703디코더와,A mouse.703 decoder which detects data from the bipolar signal according to a mouse.703 rule using a clock reproduced by the clock reproducing unit; 상기 쥐.703디코더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시스템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시스템으로 보내는 송신 선입선출부와,A first-in, first-out unit that temporarily stores data detected by the mouse 703 decoder and reads the stored data to the system under the control of the system;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재생 클럭을 검출하는 클럭 스므씽 필터와,A clock smoothing filter for detecting a reproduction clock from the digital data input from the system; 상기 시스템의 제어를 받아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한 후 상기 재생 클럭을 이용하여 독출하는 수신 선입선출부와,A reception first-in, first-out unit for storing the digital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system and reading the digital data using the reproduction clock; 상기 수신 선입선출부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상기 재생 클럭을 이용하고, 상기 쥐.703규칙에 의해 양극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로 보내는 쥐.703 인코더와,A mouse. 703 encoder, which converts the data read out from the reception first-in, first-out part into a bipolar signal according to the mouse .703 rule and sends the data to the digital / analog converter; 상기 쥐.703 디코더, 상기 쥐.703 인코더 및 상기 클럭재생부와, 상기 송신 선입선출부와, 상기 수신 선입선출부 및 클럭 스므씽 필터간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상기 디지털 데이터 처리장치 내부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디지털 데이터 처리장치와 연결되는 시스템 제어부로 상기 수집된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제어 인터페이스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mouse.703 decoder, the mouse.703 encoder and the clock reproducing unit, the first-in first-out unit, the first-in first-out unit and the clock smoothing filter interface to perform a state information in the digital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interface unit configured to transmit the collected state information to a system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digital data processing unit.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선입선출부가,The transmission first-in first-out part according to claim 1 or 3, 저장수단과,Storage means, 상기 쥐.703 디코더에서 직렬 데이터를 받아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송신 직렬/병렬 변환부와,A transmission serial / parallel converter configured to receive serial data from the mouse 703 decoder and convert the serial data into parallel data; 상기 클럭재생부의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병렬 데이터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송신 라이트 포인터와,A transmission write pointer for storing the parallel data in the storage means using a clock of the clock reproducing unit; 상기 시스템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는 송신 리드 포인터와,A transmission lead pointer for reading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under control of the system; 상기 저장수단에서 리드된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시스템으로 보내는 송신 병렬/직렬 변환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transmission parallel / serial conversion unit converting the parallel data read from the storage unit into serial data and sending the same to the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이 듀얼 포트 에스-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said storage means is a dual port S-RA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이 외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5. Device according to claim 4,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means is exter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이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5. A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said storage means is incorporated.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선입선출부가,The first-in, first-out part according to claim 1 or 3, 저장수단과,Storage means, 상기 시스템에서 직렬 데이터를 받아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수신 직렬/병렬 변환부와,A reception serial / parallel converter for receiving serial data from the system and converting the serial data into parallel data; 상기 시스템의 제어를 받아 상기 병렬 데이터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수신 라이트 포인터와,A reception write pointer for storing the parallel data in the storage means under control of the system; 상기 클럭 스므씽 필터의 재생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는 수신 리드 포인터와,A reception read pointer for reading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using a reproduction clock of the clock smoothing filter; 상기 저장수단에서 리드된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로 보내는 수신 병렬/직렬 변환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reception parallel / seria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parallel data read from the storage unit into serial data and sending the parallel data to the digital / analog conversion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이 듀얼 포트 에스-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said storage means is a dual port S-RA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이 외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9. A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said storage means is exter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이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9. A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said storage means is incorporated.
KR1019970047446A 1997-09-13 1997-09-13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data by using g.703 KR1002750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446A KR100275066B1 (en) 1997-09-13 1997-09-13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data by using g.70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446A KR100275066B1 (en) 1997-09-13 1997-09-13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data by using g.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721A KR19990025721A (en) 1999-04-06
KR100275066B1 true KR100275066B1 (en) 2000-12-15

Family

ID=1952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446A KR100275066B1 (en) 1997-09-13 1997-09-13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data by using g.703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506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450A (en) * 1993-06-18 1995-01-17 Fuji Electric Co Ltd Data transmit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450A (en) * 1993-06-18 1995-01-17 Fuji Electric Co Ltd Data transmi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721A (en)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1543A (en) Independent clocking local area network and nodes used for the same
US4928275A (en) Synchronization of asynchronous data signals
US4799217A (en) Three time slot digital subscriber line termination
JP3465227B2 (en) Telephone terminal device
NO984061L (en) Data transfer in an SDH network
KR100251710B1 (en) Jitter and wander reduction device on the networking between atm interface and pdh interface on the ds1 line and e1 line
US20010056512A1 (en) Bus interface for transfer of SONET/SDH data
US20060098674A1 (en) Frame transmitting apparatus and frame receiving apparatus
US61887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s
AU722056B2 (en) Virtual time loop
KR100871218B1 (en) Data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between main device and remote device of bt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3584965B2 (en) Optical line protection method
JPH05507398A (en) Synchronizer for terminal equipment in asynchronous transfer mode digital telecommunications networks
KR100275066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data by using g.703
US7535837B2 (en) Optical packet transmission
KR950007433B1 (en) Virtual container containing mapping device syn/asyn 1.544mbps signal
KR950007500B1 (en) Virtual container containing reverse mapping device of syn/asyn 1.544mbps signal
JPH05260076A (en) Atm/stm interface circuit
KR100201332B1 (en) A local loop back circuit of vc1 in synchronous multiplexer
KR970009757B1 (en) C32 signal processor
JPH04263531A (en) Digital radio transmission system
JPH0563674A (en) Remote loopback test method
KR100252501B1 (en) A switching control apparatus using v4 byte in a synchronous multiplexer
JPH08204695A (en) Clock generator
US7715443B1 (en) Boundary processing between a synchronous network and a plesiochronou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