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035B1 - 12 펄스 정류기의 전류 분담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12 펄스 정류기의 전류 분담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035B1
KR100275035B1 KR1019970065404A KR19970065404A KR100275035B1 KR 100275035 B1 KR100275035 B1 KR 100275035B1 KR 1019970065404 A KR1019970065404 A KR 1019970065404A KR 19970065404 A KR19970065404 A KR 19970065404A KR 100275035 B1 KR100275035 B1 KR 100275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tifier
phase
current
load
out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7148A (ko
Inventor
백병산
민병권
Original Assignee
김형벽
현대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벽, 현대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벽
Priority to KR1019970065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035B1/ko
Publication of KR19990047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7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03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14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S 및 T상의 삼상전원을 정류하여 부하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삼상 싸이리스터 정류기에 있어서, 특히 싸이리스터 6펄스 위상정류기 2대를 이용하여 부하에 전원을 공급할 경우 2개의 삼상 싸이리스터 정류기에 동일한 부하가 분담되도록 한 12펄스 정류기의 전류분담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한 개의 정류기 제어신호를 전력회로에서 발생되는 위상변위 만큼 이동시켜 제어하므로서 제품 및 회로 특성에 따라 정확하게 부하분담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그리고 두 개의 정류기 전류를 검출하여 해당 정류기의 제어량을 변화시킴에 있어서, 초기 설정부하에서만 정확하고 기타의 부하에서는 전류편차가 생기고 부하의 증가에 따라 직류전압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도록 본 발명은 2개의 삼상 싸이리스터 정류기로 부하에 직류전원을 공급할 경우 출력직류전압과 각 정류기 검출전류를 입력받아 각각의 정류기 제어량을 발생시켜 해당 구동부를 통해 싸이리스터의 제어각을 변화시키므로서, 각 정류기의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함과 동시에 부하분담을 동일하게 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12 펄스 정류기의 전류 분담 제어회로
본 발명은 R,S 및 T상의 삼상전원을 정류하여 부하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삼상 싸이리스터 정류기에 있어서, 특히 싸이리스터 6펄스 위상 정류기 2대를 이용하여 부하에 전원을 공급할 경우 2개의 삼상 싸이리스터 정류기에 동일한 부하가 분담될수 있도록 전류가 항상 같은 값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12 펄스 정류기의 전류분담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부하분담 방법으로는 두가지로 분류하는데 첫 번째로, 한 개의 정류기 제어신호를 전력회로에서 발생하는 위상 변위만큼의 위상을 이동시켜 제어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아주 이상적인 경우에 동일한 부하분담이 가능하고 실제로는 각종 상수, 반도체 소자 및 제조특성등으로 정확하게 부하분담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두 번째로는, 두 개의 정류기 전류를 검출하여 해당 정류기의 제어량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이는 첫 번째 방법을 개선한 것으로 초기 설정부하(약 25% 부하)에서만 정확하고 기타의 부하에서는 전류편차가 생기고 부하의 증가에 따라 직류전압이 감소하는 경향이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는 두 개의 정류기 전류를 검출하여 해당 정류기의 제어량을 변화시킴에 있어서, 초기 설정부하에서만 정확하고 기타의 부하에서는 전류편차가 생기고 부하의 증가에 따라 직류전압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도록 본 발명은 두 개의 정류기에 항상 부하분담이 동일한 값으로 정확하게 제어하도록 한 것으로, R,S,T상 3상전원을 3권선 변압기를 이용하여 델타결선과 와이결선에 따라 제 1, 제 2 정류기를 통해 정류된 직류전원을 공급할 경우 부하전류 분담부는 제 1, 제 2정류기의 각 싸이리스터 위상각 제어를 위한 요소로 출력 직류전압과 제 1 정류기 및 제 2정류기의 검출전류를 입력받아 각 정류기 제어량을 발생시켜 해당 구동부를 통해 싸이리스터의 제어각을 변화시키므로서,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함과 동시에 제 1, 제 2정류기의 부하분담을 동일하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12펄스 정류기의 전류 분담 제어회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부하전류 분담 제어부 구성도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 12펄스 정류기의 전류 분담 제어회로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R,S 및 T의 3상 전원을 델타결선과 와이결선(△//△//Y)에 따라 적절한 3상 교류전원으로 공급하는 3권선 변압기(1)와; 상기 3권선 변압기(1)의 델타결선(△//△)에 의해 변환된 3상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제 1정류기(2)와; 상기 3권선 변압기(1)의 델타결선과 와이결선(△//Y)에 의해 변환된 3상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제 2정류기(3)와; 상기 제 1,제 2 정류기(2)(3)의 출력직류 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하고 부하분담을 동일하게 제어하도록 제 1, 제 2정류기 검출전류와 피드백 되는 출력직류 전압(Vfeed)에 따라 해당 구동부(5)(6)를 통해 각 싸이리스터(TH1-TH12)의 제어각을 변화시키는 부하전류 분담제어부(4)와; 상기 부하전류 분담 제어부(4)의 출력 제어량에 따라 제 1 정류기(2)의 제어각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구동시키는 제 1구동부(5)와; 상기 부하전류 분담 제어부(4)의 출력 제어량에 따라 제 2정류기(3)의 제어각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구동시키는 제 2구동부(6)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정류기(2)는 각기 직렬로 접속하여 그 접속점에 3권선 변압기(1)를 통해 R,S 및 T상의 3상 교류전원이 인가되게 접속되는 싸이리스터(TH1,TH4)(TH2,TH5)(TH3,TH6)와, 상기 싸이리스터(TH1,TH2,TH3)의 캐소드 및 싸이리스터(TH4,TH5,TH6)의 애노드에 접속되는 콘덴서(C1) 및 부하로 구성된다.
상기 제 2정류기(3)는 각기 직렬로 접속하여 그 접속점에 3권선 변압기(1)를 통해 R, S 및 T상의 3상 교류전원이 인가되게 접속되는 싸이리스터(TH7,TH10)(TH8,TH11)(TH9,TH12)와, 상기 싸이리스터(TH7,TH8,TH9)의 캐소드 및 싸이리스터(TH10,TH11,TH12)의 애노드에 접속되는 콘덴서(C1) 및 부하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부하전류 분담 제어부(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되는 제 1, 제 2정류기 검출전류를 필터링하는 제 1, 제 2필터부(41)(43)와; 상기 제 1, 제 2필터부(41)(43)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비반전증폭하는 제 1, 제 2증폭부(42)(44)와; 상기 제 1, 제 2증폭부(42)(44)의 비반전 증폭된 신호에 대한 편차신호("B")를 검출하고 증폭출력하는 비교증폭부(45)와; 상기 비교증폭부(45)에서 검출되는 편차신호("B")를 반전증폭하여 출력하는 제 1인버터(46)와; 상기 제 1,제 2필터부(41)(43)에 의해 필터링되는 신호를 합산 및 비반전 증폭시켜 합산전류(ITotal)로 출력하는 합산부(47)과; 상기 합산부(47)의 합산전류(ITotal)와 기준전압(Vref)에 출력 직류전압(Vfeed)을 비교하여 발생되는 제어량을 소자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및 전류 제어부(48)와; 상기 전압 및 전류 제어부(48)의 출력 제어량을 반전증폭하여 출력하는 제 2인버터(49)와; 상기 제 2인버터(49)에서 반전증폭되는 신호를 제 1인버터(46)의 출력신호에 의해 보정하는 보정부(50)와; 상기 보정부(50)의 보정되는 신호에 따라 제 2정류기(3)에 공급되는 3상 교류전원의 위상변위를 이동시키기 위한 소자게이트 신호를 제 2구동부(6)에 출력하는 위상 이동부(51)로 구성된다.
한편, 제 1필터부(41)는 제 1정류기 검출전류에 일측단이 연결되는 저항(R3)과, 저항(R3)의 타측단자에 반전단자(-)가 연결되고 저항(R5)의 타측단자에 비반전단자(+)가 연결되며 입력신호를 필터링 신호시켜 출력하는 연산증폭기(OP1)와,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과 반전단자(-)에 병렬로 연결되는 저항(R4) 및 콘덴서(C4)와, 제 1정류기 검출전류에 일측단이 연결되는 저항(R5)과, 저항(R5)의 타측에 연결되어 접지된 콘덴서(C5) 및 저항(R6)으로 구성된다.
제 1 증폭부(42)는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에 일측단이 연결되는 저항(R7)과, 저항(R7)에 일측단이 연결되어 접지된 콘덴서(C7)와, 반전단자(-)에 타측단이 연결되고 일측 접지된 저항(R8)과, 저항(R7)의 타측단에 비반전단자(+)가 연결되고 반전단자(-)에 일측접지된 저항(R8)이 연결되는 연산증폭기(OP2)와, 연산증폭기(OP2)의 출력단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저항(R8)에 연결되는 저항(R9)으로 구성된다.
제 2필터부(43)는 제 2정류기 전류검출 신호에 일측단이 연결되는 저항(R10)과, 상기 저항(R10)의 타측단자에 반전단자(-)가 연결되고 저항(R12)의 타측단자에 비반전단자(+)가 연결되며 필터링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연산증폭기(OP3)와, 상기 연산증폭기(OP3)의 출력단과 반전단자(-)에 병렬로 연결되는 저항(R11) 및 콘덴서(C2)와, 제 2정류기 전류검출 신호에 타측단이 연결되는 저항(R12)과, 상기 저항(R12)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접지된 콘덴서(C3) 및 저항(R13)으로 구성된다.
제 2 증폭부(44)는 상기 연산증폭기(OP3)의 출력단에 일측단이 연결되는 저항(R16)과, 저항(R16)에 일측단이 연결되어 접지된 콘덴서(C6)와, 일측접지되고 반전단자(-)에 연결되는 저항(R17)과, 저항(R16)의 타측단에 비반전단자(+)가 연결되고 반전단자(-)에 저항(R17)의 타측단자가 연결되어 입력신호를 비반전 증폭시켜 저항(R19)를 통해 출력하는 연산증폭기(OP4)와, 연산증폭기(OP4)의 출력단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저항(R17)의 타측단에 연결되는 저항(R18)으로 구성된다.
비교증폭부(45)는 상기 연산증폭기(OP4)의 출력 저항(R19)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연산증폭기(OP2)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저항(R20)과, 저항(R20)에 일측단이 연결되는 저항(R21)과, 저항(R21)의 타측단에 연결되고 접지된 저항(R22)과, 저항(R20)의 타측단에 일측단이 연결되는 저항(R23)과, 저항(R21)의 타측단이 비반전단자(+)에 연결되고 저항(R23)의 타측단이 반전단자(-)에 연결되어 일정신호(B)를 출력하는 연산증폭기(OP5)와, 연산증폭기(OP5)의 출력단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저항(R23)의 타측단에 연결되는 저항(R24)으로 구성된다.
제 1인버터(46)는 상기 연산증폭기(OP5)의 출력단에 일측단이 연결되는 저항(R25)과, 상기 저항(R25)의 타측단에 반전단자(-)가 연결되고 비반전단자(+)가 접지되어 입력신호를 반전증폭시켜 출력하는 연산증폭기(OP6)와, 연산증폭기(OP6)의 출력단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에 반전단자(-)가 연결되는 저항(R26)과, 상기 저항(R26)의 일측단에 일측단이 연결되는 저항(R27)과, 저항(R27)의 타측단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에 저항(R26)의 타측단이 연결되는 콘덴서(C8)로 구성된다.
합산부(47)는 저항(R14)(R15)으로 부터 일정신호("A")를 비반전단자(+)로 인가받고 반전단자(-)에 접지된 저항(R28)이 연결되며 일정신호(ITotal)를 출력하는 연산증폭기(OP7)와, 상기 연산증폭기(OP7)의 출력단에 타측단이 연결되고 일측단이 반전단자(-)에 연결되는 저항(R29)으로 구성된다.
제 2인버터(49)는 상기 전압 및 전류 제어부(48)의 출력단에 일측단이 연결되는 저항(R30)과, 상기 저항(R30)의 타측단에 반전단자(-)가 연결되고 비반전단자(+)가 접지되는 연산증폭기(OP8)와, 상기 연산증폭기(OP8)의 출력단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저항(R30)의 타측단에 타측단이 연결되는 저항(R31)으로 구성된다.
보정부(50)는 저항(R32)(R33)으로 부터 일정신호("C")가 반전단자(-)가 연결되고 비반전단자(+)가 접지되며 다이오드(D1)(D2)를 통해 출력하는 연산증폭기(OP9)와, 상기 연산증폭기(OP9)의 출력단에 캐소드가 연결되는 다이오드(D1)과, 상기 다이오드(D1)의 캐소드단에 애노드가 연결되고 이의 애노드에 캐소드가 연결되는 다이오드(D2)와, 다이오드(D2)의 애노드에 캐소드가 연결되고 애노드에는 반전단자(-)가 연결되는 제너다이오드(ZD1)와, 제너다이오드(ZD1)의 애노드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다이오드(D2)의 캐소드에 타측단이 연결되는 저항(R34)으로 구성된다.
미 설명 부호 CL1,CL2는 싸이리스터(TH1,TH2,TH3,TH7,TH8,TH9)의 캐소드단에 연결되어 정류되는 전원을 평활하는 쵸크코일이고, R1,R2는 제 1, 제 2정류기의 출력전류 검출용 분로저항(Shunt)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12펄스 정류기의 전류 분담제어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R,S 및 T 3상 교류전원이 3권선 변압기(1)의 델타결선과 와이결선(△//△//Y)에 따라 30°의 위상을 갖도록 6펄스 위상 정류기 2대, 즉 제 1, 제 2정류기(2)(3)에 적절하게 변환되어 인가된다.
이 상태에서 제 1, 제 2정류기(2)(3)의 싸이리스터(TH1-TH12)는 그의 게이트(G)단에 펄스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트리거 되어 상기 인가되는 3상 교류전원을 각기 정류하고, 정류되는 전원은 쵸크코일(CL1,CL2)과 콘덴서(C1)에서 평활되어 직류전원으로 변환되어 부하에 공급된다.
즉, 제 1정류기(3)는 3권선 변압기(1)의 델타결선(△//△)에 따라 3상 교류전원을 인가받은 상태에서 각 싸이리스터(TH1-TH6)의 게이트(G)단에 제 1구동부(5)로 부터 펄스신호를 인가받아 도통상태로 되어 3상 교류전원을 각기 정류하게 된다.
그리고, 제 2정류기(3)는 3권선 변압기(1)의 델타결선과 와이결선(△//Y)에 따라 공급되는 3상 교류전원을 인가받은 상태에서 각 싸이리스터(TH7-TH12)의 게이트(G)단에 제 2구동부(6)로 부터 펄스신호를 인가받아 도통상태로 되어 상기 공급되는 3상 교류전원을 각기 정류하게 된다.
여기서, 3권선 변압기(1)는 제 1, 제 2정류기(2)(3)에 3상 교류전원을 공급하도록 전기적으로 분리(Galvanic Separation)시킨 것이다.
한편, 부하전류 분담제어부(4)는 상기 제 1, 제 2 정류기(2)(3)의 출력전압에 대해 속응성과 선형성을 갖도록 정류기의 출력전류 및 축전지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게 되는데,
이는 제 1, 제 2정류기(2)(3)의 제어를 위한 검출요소로 출력직류전압(Vfeed)과 제 1정류기(2) 및 제 2정류기(3)로 부터 검출되는 전류를 입력받아 상기 제 1정류기(2) 및 제 2정류기(3) 각각에 제어량을 발생시켜 제 1, 제 2구동부(5)(6)를 통해 각 싸이리스터(TH1-TH12)의 제어각을 변화시키므로서,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함과 아울러 제 1, 제 2정류기(2)(3)의 부하분담을 동일하게 제어하게 된다.
도 2는 부하전류 분담 제어부(4)의 회로 구성도로서,
먼저, 제 1필터부(41)는 입력되는 제 1정류기(2)의 검출전류를 적정대역으로 필터링하여 제 1증폭부(42)로 출력하게 되는데, 연산증폭기(OP1)는 저항(R3)을 통해 제 1정류기 검출전류를 반전단자(-)로 입력받고 또 저항(R5)를 통해 콘덴서(C5) 및 저항(R6)에 의해 충방전되는 신호를 비반전 단자(+)로 입력받아 콘덴서(C2) 및 저항(R11)과 함께 적정 대역으로 필터링하여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제 1증폭부(42)는 제 1필터부(41)의 출력을 저항(R7) 및 콘덴서(C7)에서 적분시키고, 이 적분되는 신호는 연산증폭기(OP2)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되어 비반전 증폭되어 비교증폭부(45)에 출력된다.
한편, 제 2필터부(43)는 제 2정류기(3)의 검출전류를 필터링하여 제 2증폭부(44)에 출력하게 되는데, 연산증폭기(OP3)는 제 2정류기(3)의 검출전류를 저항(R10)을 통해 반전단자(-)로 입력받고 또 저항(R12)를 통해 콘덴서(C3) 및 저항(R13)에서 충방전되는 신호를 비반전단자(+)로 입력받아 귀환회로의 저항(R11) 및 콘덴서(C2)에 의해 적정한 대역으로 필터링하여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제 1증폭부(44)는 제 2필터부(43)의 출력을 저항(R16) 및 콘덴서(C6)에서 적분시키고, 이 적분되는 신호는 연산증폭기(OP4)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되어 비반전 증폭되어 저항(R19)을 통해 비교증폭부(45)에 출력된다.
이때, 상기 비교증폭부(45)는 제 1, 제 2정류기(2)(3)의 검출전류가 필터링 및 증폭되어 입력되면 이 전류의 편차를 검출하게 되는데,
비교증폭부(45)의 연산증폭기(OP5)는 상기 제 2증폭부(44)의 출력신호를 저항(R21)(R22)을 통해 비반전단자(+)로 입력받고 또 제 1증폭부(42)의 출력신호를 저항(R3)을 통해 반전단자(-)로 입력받아 이 입력 전위차에 대한 편차신호("B")를 검출하고, 이 검출되는 편차신호("B")를 증폭하여 제 1인버터(46)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 1인버터(46)는 비교증폭부(45)의 편차신호("B")를 반전시켜 출력하게 되는데, 상기 비교증폭부(45)의 출력신호를 저항(R25)을 통해 연산증폭기(OP6)의 반전단자(-)로 입력받아 저항(R26)(R27) 및 콘덴서(C8)과 함께 상기 연산증폭기(OP6)는 입력신호를 반전증폭시켜 저항(R33)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한편, 합산부(47)는 제 1, 제 2 필터부(41)(43)에 의해 필터링되는 제 1,제2정류기 검출전류를 비반전 증폭시켜 합산전류(ITotal)로 출력하게 된다.
즉, 제 1,제 2필터부(41)(43)에 연결되는 저항(R14)(R15)를 통해 일정신호("A")를 연산증폭기(OP7)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받아 소정의 비율로 비반전 증폭시켜 합산전류(ITotal), 즉 제 1정류기(2) 및 제 2정류기(3)의 합산전류(ITotal)를 전압 및 전류 제어부(48)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전압 및 전류 제어부(48)는 합산부(47)의 합산전류(ITotal)와 피드백 되는 출력직류전압(Vfeed)을 입력받아 상기 출력직류전압(Vfeed)을 제어 및 보호를 위한 출력 기준전압(Vref)과 비교하여 발생되는 제어량 및 합산전류(ITotal)를 출력하게 된다.
즉, 제 1, 제 2정류기(2)(3)의 각 싸이리스터(TH1-TH12) 위상을 제어하여 제 1, 제 2정류기(2)(3)의 출력전압이 항상 기준전압(Vref)이 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전압 및 전류 제어부(48)의 출력 제어량은 제 1정류기(2)의 각 싸이리스터(TH1-TH6)를 구동시키기 위한 소자게이트 신호로 제 1구동부(5)에 직접 인가시켜 각 싸이리스터(TH1-TH6)를 트리거 시키게 되고, 상기 출력 제어량은 제 2인버터(49)에 인가된다.
상기 제 2인버터(49)는 상기 출력 제어량을 반전증폭시켜 출력하게 되는데, 제 2인버터(49)의 연산증폭기(OP8)는 저항(R30)을 통해 반전단자(-)로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비율(R31/R30)로 반전증폭시켜 저항(R32)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인버터(49)에 의해 반전 증폭된 신호와 상기 제 1인버터(46)에서 반전증폭된 편차신호("B")는 저항(R32)(R33)에서 일정신호("C")로 보정부(50)에 인가된다.
상기 보정부(50)는 제 2인버터(49)에 의해 반전 증폭된 신호를 제 1인버터(46)에서 반전 증폭되는 신호로 보상시켜 출력하는데, 이는 제 1정류기(2)의 검출전류에 대한 부족전류 만큼을 편차신호로 제 2정류기(3)를 보상하게 된다.
상기 보정부(50)의 연산증폭기(OP9)는 일정신호("C")를 반전단자(-)로 입력받아 소정의 비율로 반전증폭시켜 다이오드(D1,D2)를 통해 출력하며, 이 출력 신호는 위상이동부(51)에 입력된다.
상기 위상이동부(51)는 보정부(50)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 2정류기(3)의 각 싸이리스터(TH7-TH12) 게이트 신호의 위상각을 가변시키도록 제 2구동부(6)에 제 2정류기 소자게이트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즉, 제 1정류기(2)의 검출전류와 제 2정류기(3)의 검출전류의 편차신호 만큼을 상기 전압 및 전류 제어부(48)의 출력 제어량에 보상하고, 이 보상된 출력 제어량에 따라 위상이동부(51)에서 제 2정류기(3)의 각 싸이리스터(TH7-TH12)를 트리거 시켜 3상 교류전원의 위상변위 만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 2구동부(6)는 부하전류 분담 제어부(4)의 위상이동부(51)로 부터 입력되는 소자게이트 신호를 증폭 및 절연시켜 제 2 정류기(3)의 각 싸이리스터(TH7-TH12)를 트리거 시켜 제 2정류기(3)의 제어각을 변화시키게 된다.
한편, 부하전류 분담 제어부(4)의 전압 및 전류 제어부(48)로 부터 출력되는 제어량을 직접 인가받은 제 1구동부(5)는 상기 제어량을 증폭 및 절연시켜 제 1정류기(2)의 각 싸이리스터(TH1-TH6)를 트리거 시켜 제 1 정류기(2)의 제어각을 변화시키게 된다.
즉, 제 1, 제 2정류기(2)(3)로 3상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콘덴서(C1)를 통해 부하에 직류전원을 공급할 경우 상기 각 정류기(2)(3)에 동일한 부하분담이 가능하도록 제 1정류기(2)에는 피드백 되는 출력전압(Vfeed)과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여 얻은 제어량을 소자 게이트 신호로 제 1구동부(5)에 직접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제 2정류기(3)에는 상기 제어량을 제 1정류기 검출전류와 제 2정류기 검출전류에 대한 편차신호로 보상하여 제 2구동부(6)를 통해 제 2정류기(3)를 구동시키므로, 제 1정류기(2)와 부하분담을 동일하게 제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부하전류 분담제어부(4)는 피드백되어 검출되는 제 1, 제 2정류기(2)(3)의 검출전류와 출력직류전압(Vfeed)을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이의 편차신호를 검출하고, 이 검출되는 편차신호를 이용하여 전압 및 전류제어부(48)에서 제 2정류기(3)에 인가되는 출력신호에 보상시켜 제 2정류기(3)의 소자 게이트신호에 대한 제어각을 변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 1,제 2정류기(2)(3)에 의해 3상 교류전원을 정류시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서, 부하전류 분담 제어부(4)는 제 1,제 2정류기 검출전류와 출력직류전압(Vfeed)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각 정류기(2)(3)의 제어량을 발생시켜 해당 구동부(5)(6)를 통해 각 싸이리스터(TH1-TH12)의 제어각을 변화시키므로서, R,S 및 T상의 3상 교류전원이 각 정류기(2)(3)에서 정류되어 콘덴서(C1)를 통해 출력직류 전압을 일정하게 또 부하분담을 동일하게 한다.
본 발명은 R,S 및 T 상의 삼상전원을 2개의 정류기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할 경우 상기 정류기에 동일한 부하가 분담될수 있도록 전류가 항상 같은 값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므로서, 기타의 부하에서의 전류편차를 없애고 부하의 증가에 따라 직류전압이 감소하는 문제가 없도록 한 것이다.

Claims (2)

  1. R,S 및 T의 3상 전원을 델타 및 와이결선(△//△//Y)에 따라 적절한 3상 교류전원으로 공급하는 3권선 변압기(1)와, 상기 3권선 변압기(1)의 델타결선(△//△)에 의해 변환된 3상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제 1정류기(2)와, 상기 3권선 변압기(1)의 델타 및 와이결선(△//Y)에 의해 변환된 3상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제 2정류기(3)와, 상기 제 1,제 2 정류기(2)(3)의 각 싸이리스터(TH1-TH12)를 트리거 시켜 구동시키는 제 1, 제 2구동부(5)(6)로 구성되어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12펄스 정류기의 전류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정류기(2)(3)의 출력 직류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하고 부하분담을 동일하게 제어하도록 상기 제 1, 제 2정류기(2)(3)의 검출전류와 피드백 되는 출력 직류전압(Vfeed)에 따라 해당 구동부(5)(6)를 통하여 각 싸이리스터(TH1-TH12)의 제어각을 변화시키는 부하전류 분담 제어부(4)를 포함하여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펄스 정류기의 전류분담 제어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전류 분담 제어부(4)는, 입력되는 제 1, 제 2정류기 검출전류를 필터링하는 제 1, 제 2필터부(41)(43)와; 상기 제 1, 제 2필터부(41)(43)에서 필터링되는 신호를 비반전증폭시키는 제 1, 제 2증폭부(42)(44)와; 상기 제 1, 제 2증폭부(42)(44)의 비반전 증폭된 신호에 대한 편차신호("B")를 검출하고 증폭출력하는 비교증폭부(45)와; 상기 비교증폭부(45)에서 검출되는 편차신호("B")를 반전증폭하여 출력하는 제 1인버터(46)와; 상기 제 1,제 2필터부(41)(43)에 의해 필터링되는 출력신호를 비반전증폭시켜 합산전류(ITotal)로 출력하는 합산부(47)과; 상기 합산부(47)의 합산전류(ITotal)와 기준전압(Vref)에 출력 직류전압(Vfeed)을 비교하여 발생되는 제어량을 소자 게이트신호로 출력하는 전압 및 전류 제어부(48)와; 상기 전압 및 전류 제어부(48)의 출력 제어량을 반전증폭시키는 제 2인버터(49)와; 상기 제 2인버터(49)의 반전증폭되는 신호를 제 1인버터(46)의 출력신호에 의해 보상시키고 반전증폭하는 보정부(50)와; 상기 보정부(50)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 2정류기(3)에 공급되는 3상 교류전원의 위상변위를 가변시키기 위한 소자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이동부(5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펄스 정류기의 전류분담 제어회로.
KR1019970065404A 1997-12-02 1997-12-02 12 펄스 정류기의 전류 분담 제어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275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404A KR100275035B1 (ko) 1997-12-02 1997-12-02 12 펄스 정류기의 전류 분담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404A KR100275035B1 (ko) 1997-12-02 1997-12-02 12 펄스 정류기의 전류 분담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148A KR19990047148A (ko) 1999-07-05
KR100275035B1 true KR100275035B1 (ko) 2000-12-15

Family

ID=19526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404A Expired - Fee Related KR100275035B1 (ko) 1997-12-02 1997-12-02 12 펄스 정류기의 전류 분담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50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9162B2 (en) 2008-05-15 2013-01-08 Korea Water Technology Inc. Electronic osmotic dehydrator of electrophoresis style with a phase control using three-phase curr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841B1 (ko) * 2001-03-22 2003-06-25 한국전기연구원 위상제어정류기용 점호펄스 발생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9162B2 (en) 2008-05-15 2013-01-08 Korea Water Technology Inc. Electronic osmotic dehydrator of electrophoresis style with a phase control using three-phase curr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148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1600A (en) Delta connected three phase AC-DC converter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s
US6002603A (en) Balanced boost/buck DC to DC converter
EP1229634B1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US7304462B2 (en) Compensated droop method for paralleling of power supplies (C-droop method)
US6094036A (en) Electrical power supply with low-loss inrush current limiter and step-up converter circuit
KR950035037A (ko) 유도부하에 대한 제어회로
JPH0626473B2 (ja) 電流バランス型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US57265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rging of electrical power storage unit
US5291119A (en) Low distortion alternating current output active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using two bi-directional switching regulations
US5045768A (en) Off-line battery charger
RU2020710C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частоты со звеном постоянного тока
US4823227A (en) Three-phase monitor circuitry
KR100275035B1 (ko) 12 펄스 정류기의 전류 분담 제어회로
US5404093A (en) Low distortion alternating current output active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using capacitor coupled bi-directional switching regulator
JP2726356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形充電器
US4408269A (en) Balanced power supply with polarized capacitors
US5434769A (en) Multi-phase adaptable AC-DC converter
RU2049616C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сварочный генератор
JPH0426135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968670B2 (ja) 保護回路付きdc−dcコンバータ
JPH0312030Y2 (ko)
US5523935A (en) AC/DC voltage converter
JP2846679B2 (ja) 電源ユニットの並列冗長運転方式
JPS5688516A (en) Control circuit for voltage droop of multiple-output constant-voltage power source
KR0137732Y1 (ko) 다이리스터 제어 전단 안정화 회로의 전압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9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9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