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2440B1 -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 - Google Patents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2440B1
KR100272440B1 KR1019920023331A KR920023331A KR100272440B1 KR 100272440 B1 KR100272440 B1 KR 100272440B1 KR 1019920023331 A KR1019920023331 A KR 1019920023331A KR 920023331 A KR920023331 A KR 920023331A KR 100272440 B1 KR100272440 B1 KR 100272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eat
infant
vehicle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3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459A (ko
Inventor
토시로오 코야나기
야요이 하시모토
하루유키 타카키
Original Assignee
다카다 쥬이치로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다 쥬이치로,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다 쥬이치로
Publication of KR930019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4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60N2/28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forward f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 B60N2/287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the back-rest being inclin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시이트에 대한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의 고정 및 고정해제를 쉽게 행할 수 있게 한다.
시이트백(3)을 시이트부(2)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20)에는 커버시이트(98)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시이트(98)가 시이트부본체(7)의 제2요감부를 막는 위치에 있을때는, 이 커버시이트(98)는 시이트부본체(7)의 윗면이시트면을 형성한다.
한편, 커버시이트(98)가 제2요감부(14)를 열어놓는위치(도시위치)에 있을때는, 제2요감부(14)내에 위치하는 차량시이트에 부설된 시이트벨트장치의 텅(123)과 버클(124)과의 착탈조작을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1)의 앞쪽상방(화살표 B)에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의 한실시예를 좌측절반을 절단하여 표시하는 정면도.
제2도는 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표시하는 측면도.
제3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이트부본체의 평면도.
제4도는 본 실시예의 시이트부본체의 측면도.
제5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베이스부의 사시도.
제6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이트백의 정면도.
제7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부브래킷을 표시하고, 제7(a)도는 그 평면도, 제7(b)도는 록구멍의 확대도.
제8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부브래킷을 표시하고, 제8(a)도는 그 정면도, 제8(b)도는 평면도.
제9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이트백 회동제어장치의 조작레버를 표시하고, 제9(a)도는 그 측면도, 제9(b)도는 그 정면도.
제10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록핀을 표시하는 도면.
제11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이트백 회동제어장치의 캠판을 표시하고, 제11(a)도는 그 평면도, 제11(b)도는 XIXB-XIXB 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12도는 본 시이트백 회동제어장치에 있어서의 록핀과 캠판과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제13도는 본 커버시이트를 표시하고, 제13(a)도는 그 측면도, 제13(b)도는 그 정면도.
제14도는 본 커버시이트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제15도는 본 실시예의 벨트가이드의 설치위치 및 벨트가이드의 유지스프링의 부착위치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 2 : 시이트부
3 : 시이트백 7 : 시이트본체
14 : 제2요감부 20 : 회동축
98 : 커버시이트 98c : 보강리브
123 : 텅 124 : 버클
본 발명은 유아가 착석하는 시이트부를 보유하는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로서, 차량의 시이트에 부설됨과 아울러 시이트벨트와 텅 및 버클등의 계합장치를 보유하는 시이트벨트장치의 계합장치 상기 시이트부의 내부에서 계합함에 의하여, 상기 시이트위에 고정되는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자동차나 비행기등의 차량에 있어서는, 운전중에 유아의 착석자세를 유지시킴과 아울러, 가감속시의 충격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하기 위하여 종래로부터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는 베이스부재에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부착되고, 유아가 착석하는 시이트부분과 이 시이트부에 착석한 유아의 등을 기대는 시이트백부분이 일체로 성형된 시이트본체 및 유아를 구속하기 위한 유아용시이트벨트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유아용시이트벨트장치는 유아용 시이트벨트와, 이 유아용시이트벨트의 선단에 부착된 가슴에 대는 패드와, 이 가슴에 대는 패드의 선단에 설치된 텅과, 텅이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계합하는 버클을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유아용시이트벨트의 텅이 버클에 계합된 상태에서는, 시이트부분에 착석한 유아는 유아용시이트벨트 및 가슴에 대는 패드에 의하여 구속되도록 된다.
그런데, 이와같은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는 차량의 시이트에 부설되고 그 시이트에 착석하는 승객을 구속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의하여, 차량시이트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즉,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의 베이스부에는 좌우로 관통하는 큰 관통구멍이 형성되어있고, 이 관통내로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의 좌우에서 시이트벨트의 텅 및 버클을 삽입하여, 그 베이스부내에서 이들의 텅과 버클을 계합함에 의하여,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를 차량의 시이트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차량의 종류에 따라서는 예컨대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가 고정되는 차량의 시이트폭, 즉 차량시이트에 있어서의 좌우측벽 혹은 좌우아암레스트 사이의 거리가 작은 차량이 있다.
이와같은 차량의 시이트에 상술한 바와같이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의 좌우에서 시이트벨트의 텅 및 버클을 삽입하여 그 베이스부내에서 이들의 텅과 버클을 계합하도록 하면,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의 좌우측단부와 차량시이트의 좌우측벽 혹은 좌우아암레스트와의 사이의 간극이 작아지므로, 텅 및 버클을 베이스부의 관통구멍으로 삽입하는 것이 극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텅과 버클과의 걸거나 벗김조작이 곤란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차량시이트에 대하여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데 품이 든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시이트에 대한 고정 및 고정해제를 쉽게 행할 수 있는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범위 제1항의 발명은 유아가 착석하는 시이트부를 보유하는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이고, 차량의 시이트에 부설됨과 아울러 시이트벨트와 텅 및 버클등의 계합장치를 보유하는 시이트벨트장치의 계합장치를, 상기한 시이트부의 내부에서 계합함에 의하여, 상기한 시이트위에 고정되는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에 있어서, 상기한 시이트부의 상부의 일부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한 시이트부의 내부를 개방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범위 제2항의 발명은, 상기한 시이트부 상부의 회동가능한 부분에 하중전달부를 설치하여, 상기 회동가능한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한 하중전달부를 개재하여 시이트부의 하부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기 청구범위 제3항의 발명은, 상기한 하중전달부가 상기 회동가능한 부분을 보강하는 보강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이 청구범위 제4항의 발명은, 상기한 시이트부의 하부에 하중전달부를 설치하고, 상기한 시이트부 상부의 회동가능한 부분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하중전달부를 개재하여 상기한 시이트부의 하부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을 한 청구범위 제1항의 발명의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에 있어서는, 시이트부의 상부의 일부를 회동하여, 상기한 시이트부의 내부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차량의 시이트벨트장치의 걸거나 벗김조작을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의 앞쪽상방에서 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차량시이트 폭이 작은 경우에도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를 차량시이트에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 청구범위 제2항의 발명에 있어서는, 시이트부의 회동가능한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이 하중전달부를 개재하여 시이트부의 하부에 전달되도록 된다.
이것에 의하여, 시이트부의 회동가능한 부분에서는 지지되는 하중이 작게 되므로, 그 강도를 그 만큼 크게할 필요는 없게된다.
더욱이 청구범위 제3항의 발명에 의해서는, 시이트부의 회동가능한 부분이 보강리브에 의하여 보강되도록 되므로, 시이트부의 회동가능한 부분은 강도가 큰 것으로 된다.
더욱이 청구범위 제4항의 발명에 있어서는, 시이트부의 회동가능한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이 하중전달부를 개재하여 시이트부의 하부에 전달되도록 되지만, 그 경우 시이트부의 회동가능한 부분은 비교적 경량으로 되고, 차량의 시이트벨트장치의 계합장치의 걸거나 벗김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시이트부의 회동가능한 부분의 개폐조작이 쉽게된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의 한 실시예를 좌측절반을 절단하여 표시하는 정면도, 제2도는 동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표시하는 좌측면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1)는 유아가 착석하는 시이트부(2)와, 이 시이트부(2)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유아의 등이 기대는 시이트백(3)과, 이 시이트백(3)의 회동을 제어하는 시이트백 회동제어장치(4)와, 시이트부(2)에 착석한 유아를 구속하기 위한 유아용 시이트벨트장치(5)와, 이 유아용 시이트벨트장치(5)에 있어서의 어깨벨트(5a)의 상하위치를 조절하는 어깨벨트조절장치(6)등을 구비하고 있다.
시이트부(2)는 시이트부본체(7)와 이 시이트부본체(7)를 지지하는 베이스부(8)로 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하듯이, 시이트부본체(7)는 유아가 직접 착석하는 중앙부(9)와 이 중앙부(9)의 좌우양쪽으로 형성된 좌우측벽(10),(11)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플라스틱 셸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부(9)의 앞부분에는, 후술하는 유아용 시이트벨트장치(5)의 버클(5d) 및 시이트버클 회동제어장치(4)의 조작레버(55)가 각각 수용되는 제1요감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부(9)의 전후방향중앙에는 단면이 V자형의 제2요감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요감부(14)내에, 자동차나 항공기등의 차량의 시이트(122)에 부설되고, 이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1)를 이 차량의 시이트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차량시이트(122)의 승객구속용 시이트벨트장치의 텅(123) 및 버클(124)이 위치하게 된다.
좌우측벽(10),(11)의 후부에는, 시이트백 회동제어장치(4)의 회동부가 수용지지되는 대략 원형상인 회동지지부(18),(19)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회동지지부(18),(19)에는, 그 중심부에 시이트백(3)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20)이 관통하는 회동축 관통구멍(21)이 뚫어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후 하부에 시이트백(3)을 설정된 소정의 회동위치에 록하는 시이트백 회동제어장치(4)의 록핀(56)(상세하게는 후술)이 관통하는 록핀 관통구멍(22)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좌우측벽(10),(11)의 외측에는 제2요감부(14)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쪽으로 개구하는 대략 단면이 V자형의 한쌍의 홈(23),(24),(25),(2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듯이 이들 홈(23),(24),(25),(26)에는,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1)의 좌우폭이 그것이 고정되는 차량의 시이트폭보다 매우 작은 경우에, 차량의 시이트에 부설되어있는 시이트벨트(131)를 안내하는 벨트가이드(120)의 한쌍의 돌출부(120c)(120d)가 그 사용시에 지지되도록 된다.
제5도에 표시하듯이, 베이스부(8)도 마찬가지로 이들은 플라스틱셸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베이스부(8)에는 시이트부 본체부착용 비스가 비틀어 삽입되는 소정수의 부착부(2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도에 표시하듯이 베이스부(8)위로 시이트부본체(7)가 비스(28)를 부착부(27)로 비틀어 삽입하므로서 부착된다.
또, 베이스부(8)의 좌우양측에는 상술한 벨트가이드(120)의 회동축(120b)이 회동가능하게 관통하는 한쌍의 벨트관통구멍(29)(30)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제6도에 표시하듯이, 시이트백(3)은 유아의 등을 직접 지지하는 시이트백부(31)와, 이 시이트백부(31)의 좌우양쪽으로 설치된 좌우측벽(32),(33)으로 구성되고, 마찬가지로 플라스틱셸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시이트백부(31)에는 그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뻗는 한쌍의 평행4변형의 가이드구멍(34),(35)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구멍(34),(35)에는 각각 어깨벨트크릴장치(6)에 있어서의 벨트가이드(101)가 관통되어 있고, 이 벨트가이드(101)는 가이드구멍(34),(35)으로 안내되어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좌우측벽(32),(33)의 시이트백부(31) 근처에는, 각각 시이트백 회동제어장치(4)에 있어서의 상부 브래킷(50)(제7도에 도시)을 부착하기 위한 비스가 내풀려 삽입되는 부착부(38),(39),(40),(41),(42),(43)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좌우측벽(32),(33)의 하단에는, 시이트백 회동제어장치(4)의 회동부가 수용지지되는 대략 원형상인 회동지지부(46),(47)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회동지지부(46),(47)에는 그 중심부에 후술하는 회동축커버(125)(제1도에 도시)의 중심부의 돌출부(125a)가 끼워지는 관통구멍(48),(49)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하듯이, 시이트백 회동제어장치(4)는 시이트백(3)의 좌우측벽(32),(33)에 각각 부착되는 좌우한쌍의 상부브래킷(50)과 시이트부본체(7)의 좌우측벽(10),(11)에 각각 부착되는 좌우한쌍의 하부브래킷(51)과 상부브래킷(50)에 부착된 상부훅핀(52) 및 하부브래킷(51)에 부착된 하부훅핀(53)사이에 가설되는 스프링(54)과, 조작레버(55)와, 록핀(56)과, 록핀(56)을 록위치와 비록위치로 이동제어하는 캠판(57)과, 록핀(56)이 록위치로 되는 방향으로 캠판(57)을 상시 힘을 가하는 스프링(97)과, 조작레버(55) 및 캠판(57)사이를 연결하고 또한 조작레버(55)의 조작력을 스프링(97)의 탄력에 저항하여 캠판(57)에 전달하는 조작력 전달링크(59)로 구성되어 있다.
제7도에 표시하듯이, 상부브래킷(50)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의 구형부(50a)와 하부의 원형부(50b)로 구성되어 있다.
구형부(50a)에는 이 상부브래킷(50)을 시이트백에 부착하기 위하여 비스가 관통하는 비스구멍(60),(61),(62)의 상하방향으로 3개가 뚫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원형부(50b)에는 그 중심으로 회동축(20)이 상대회동가능하게 관통하는 구멍(64)이 뚫어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시이트백(3)을 3개의 리클라이닝 각도로 록하기 위하여, 록핀(56)이 관통하는 3개의 록구멍(65),(66),(67)이 구멍(64)의 중심에서 소정반경의 동일원주상으로 각각 뚫어 설치되어 있다.
또, 시이트백(3)을 접는 위치로 록하기 위하여, 이들의 록구멍(65),(66),(67)과 동일 원주상으로 록핀(56)이 관통하는 록구멍(68)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동 도면 제7(b)도에 표시하듯이, 이들의 록구멍(65),(66),(67),(68)은 단경(f)과 장경(g)으로 된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경우 단경(f)은 록핀(56)이 거의 간극이 없이 관통 또한 접동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 록구멍(65),(66),(67),(68)은 단경(f)이 구멍(64)과 동심원의 원주방향으로 되고, 장경(g)은 이 동심원의 지름방향으로 되도록 배설되어 있다.
더욱이 구형부(50)에는 그 긴쪽방향으로 뻗는 가이드구멍(69)이 뚫어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구멍(69)에 의하여, 벨트가이드(101)를 지지하는 지지장치(102)의 가이드(113)가 상하로 안내된다.
제1도에 표시하듯이 이 상부브래킷(50)은, 비스구멍(60),(61),(62)으로 각각 비스를 관통하여 시이트백(3)의 부착부(38),(39),(40)로 비틀어 박음으로서, 시이트백(3)에 고정된다.
제8(a)도 및 제8(b)도에 표시하듯이, 하부브래킷(51)은 상부에 반원형부(51a)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하부에 시이트부본체(7)에 비스로 고정되는 부착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반원형부(51a)에는 그 중심으로 회동축(20)이 관통되는 원형의 구멍(73)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또, 반원형부(51a)에는 상부 훅핀(52)이 관통함과 아울러, 시이트백(3)의 회동시에 이 상부 훅핀(52)을 회동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구멍(74)이 구멍(73)과 동심원인 원호형상으로 뚫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하부브래킷(51)에는 록핀(56)이 접동가능하게 관통하는 관통구멍(75)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그 경우 관통구멍(75)은 그 중심과 구멍(73)의 중심과의 사이의 길이가 상부브래킷(50)의 록구멍(65),(66),(67)이 설치되어있는 구멍(64)의 중심으로한 동일 원주의 반경과 동일하게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상부브래킷(50)은 비스(미도시)에 의하여 시이트부본체(7)에 고정된다.
제1도에 표시하듯이, 회동축(20)이 시이트부본체(7)에 고정된 하부브래킷(51) 구멍(73)으로 관통되어서 그 하부브래킷(51)에 지지됨과 아울러, 시이트백(3)에 고정된 상부브래킷(50)이 하부브래킷(51)의 외측으로 위치하여, 그 구멍(64)을 회동축(20)으로 관통시킴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 경우, 발지링(77)에 의하여 상부브래킷(50)이 회동축(20)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회동축(20)의 커버(8)가 그 돌출부(78a)를 시이트백(3)의 관통구멍(48)으로 끼워맞추어지고 또한 비스를 회동축(20)의 끝부분으로 비틀어 삽입함에 의하여 회동축(48)을 덮도록 부착된다.
또, 상부브래킷(50)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훅핀(52)이, 하부브래킷(51)의 가이드구멍(74)을 관통하여 하부브래킷(51)의 안쪽으로 연출하여 시이트부본체(7)의 회동지지부(18),(19)내로 위치하도록 된다.
그리고, 상부훅핀(52)과 하부브래킷(51)에 고정된 하부훅핀(53)과의 사이에 스프링(54)이 가설된다.
그리하여, 시이트백(3)이 시이트부본체(7)에 회동축(20)주변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다.
그 경우, 시이트백(3)의 회동위치에 따라 상부브래킷(50)의 록구멍(65),(66),(67),(6 8)의 1개가 하부브래킷(51)의 관통구멍(75)으로 정합하게 된다.
제9도에 표시하듯이, 조작레버(55)의 시이트부본체(7)의 요감부(12)에 배치되어 이 조작레버(55)를 작동하는 조작부(55a)와, 조작력전달링크(59)가 연결되는 연결부(55d)로 구성되어 있다.
제10도에 표시하듯이, 록핀(56)은 둥근막대로 형성되어 있고, 한쪽끝이 직각으로 절곡되어서 캠폴로와부(5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캠폴로와부(56a)는 캠판(57)의 캠구멍(80),(81)(제11도 도시)으로 끼워넣어지고, 캠판(57)의 이동에 의하여 캠구멍(80),(81)으로 가이드 되어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록핀(56)의 다른쪽 끝은 록부(56b)가 형성되어 있고, 이 록부(56b)는 록핀(56)이 캠구멍(80),(81)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이동함에 의하여 상부브래킷(50)의 록구멍(65),(66),(67),(68)의 1개 및 하부브래킷(51)의 관통구멍(75)으로 관통하여, 상부브래킷(50)과 하부브래킷(51)을 록하도록 되어 있다.
그 경우, 록핀(56)의 다른쪽 끝에는 베벨링(A)이 실시되어 있고, 이 베벨(A)에 의하여 록부(56b)가 록구멍(65),(66),(67),(68) 및 관통구멍(75)으로 관통하기 쉽게 되어 있다.
제11도에 표시하듯이, 캠판(57)은 대략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캠판(57)의 도면에 있어서 상단측에는, 록핀(56)이 캠폴로와부(56a)가 끼워넣어지는 八자모양의 한쌍의 캠구멍(80),(8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캠판(57)의 하단측에는, 조작력전달링크(59)의 한끝이 연결되는 구멍(82)과, 캠판(57)을 도면에 있어서 위쪽방향으로 상시 힘을 가하는 스프링(97)(제2도에 도시)의 한끝이 연결되는 구멍(83)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제2도에 표시하듯이, 조작력전달링크(59)는 그 한끝이 조작레버(55)의 연결부(55d)의 구멍(55e)에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다른쪽 끝이 캠판(57)의 구멍(82)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시이트백 회동제어장치(4)에 있어서는, 통상시에는 스프링(97)에 의하여 록핀(56)의 캠폴로와부(56a)가 캠구멍(80),(81)의 최하단위치에 설정되고, 록핀(56)은 최대로 돌출된 상태로 된다.
제12도에 표시하듯이, 록핀(56)의 이 상태에서는, 록부(56b)가 록구멍(65),(66),(67),(68)의 어느 1개 및 관통구멍(75)으로 끼워 넣어지게 되고, 록핀(56)은 록위치로 된다.
이것에 의하여, 시이트백(3)은 소정의 리클라이닝 각도 또는 접는 위치에 세트된다.
또, 조작레버(5)를 앞쪽으로 끌어당김에 의하여, 캠판(57)을 제12도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캠폴로와부(56a)가 캠구멍(80)으로 안내되므로, 록핀(56)은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2점쇄선으로 표시하듯이 캠폴로와부(56a)가 캠구멍(80)의 최상단으로 위치하면, 록부(56b)가 록구멍(65),(66),(67),(68)의 어느1개 및 관통구멍(75)에서 완전히 탈출되고, 록핀(56)은 비 록위치로 된다.
이것에 의하여, 시이트백(3)은 회동이 자유롭게 된다.
유아용 시이트벨트장치(5)는 좌우의 어깨벨트(5a)와, 이들의 어깨벨트(5a)에 연결된 가슴에 대는 패드(5b)와, 이 가슴에 대는 패드(5b)의 하단에 부착된 텅(5c)과, 이 텅(5c)이 계합하는 버클(5d)과, 좌우의 어깨벨트(5a)를 1개로 묶인 웨빙을 시이트백(3)을 등을 통과해서 감겨진 리트랙터(5e)로 구성되어 있다.
이 유아용 시이트벨트장치(5)는 종래의 유아용 시이트벨트장치와 대략 동일하다.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하듯이, 시이트백(3)을 시이트부(2)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20)에는, 커버시이트(98)가 좌우 한쌍의 하부브래킷(51)사이로 위치하여, 제2도에 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와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3도에 표시하듯이, 이 커버시이트(98)는 만곡된 본체(98a)를 보유하고, 이 본체(98a)의 윗면은 유아가 착석하는 시이트면(98b)으로 되어 있다. 또, 본체(98a)의 하면에는 소정수의 보강리브(98c)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보강리브(98c)는 동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4각형상인 제1돌부(98d)와 3각형상의 제2돌부(98e)을 보유하고 있다.
더욱이, 커버시이트(98)의 상단에는 회동축(20)이 유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구멍(98h)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시이트(98)가 제2도에 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에 있을때는, 이 커버시이트(98)는 시이트부본체(7)의 제2요감부를 가로막는 동시에, 시이트부본체(7)의 앞부분의 시이트면(7a) 및 시이트백(3)에 있어서의 시이트백(31)의 시이트백면(31a)과 협동하여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1)의 시이트면 및 시이트백면이 연속하여 형성되도록 된다.
이것에 의하여, 유아를 확실하게 또한 안정하게 착석시킬 수 있다.
그 경우, 제2도에 표시하듯이 제1돌부(98d)의 선단(98f)이 V자형의 제2요감부(14)의 한쪽 경사면에 당접함과 아울러, 제2돌부(98e)의 한쪽경진 끝(98g)이 제2요감부(14)의 다른쪽 경사면에 당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착석한 유아의 체중이 보강리브(98c)를 개재하여 시이트부본체(7)에 확실하게 지지된다.
한편, 커버시이트(98)가 제2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에 있을때는, 이 커버시이트(98)는 시이트부본체(7)의 제2요감부(14)를 펼친다.
이것에 의하여 제14도에 표시하듯이 차량시이트에 대하여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1)의 부착 및 떼어낼때에 제2요감부(14)내에 위치하는 차량시이트에 부설된 시이트벨트장치의 텅(123)과 버클(124)과의 착탈조작을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1)의 앞쪽 상방(화살표 B)에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양측으로 측벽 또는 아암레스트가 있는 차량시이트 등에서, 폭이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1)의 폭보다 조금밖에 크지 않고 차량시이트의 옆에서 차량시이트에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1)를 고정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1)의 착탈의 용이성이 더 한층 효과적으로 나타낸다.
이와같이, 커버시이트(98)는 본 발명의 시이트부의 상부회동이 가능한 부분을 구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보강리브(98c)는 본 발명의 하중전달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보강리브(98c)는 제2요감부(14)를 형성하고 있는 시이트부본체(7)의 하부에 설치해도 좋고, 또 커버시이트(98)는 시이트부본체(7)의 상부전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하듯이, 어깨벨트조절장치(6)는 유아용 시이트벨트의 어깨벨트를 상하위치 조절가능하게 안내하는 벨트가이드(101)와, 이 벨트가이드(101)를 지지하는 지지장치(102)와, 상하방향으로 연설되고 또한 지지장치(102)를 상하동시키는 나사축(103)과, 시이트백(3)의 좌우측벽(32),(33)의 한쪽(도시예에서는 좌측벽 33)으로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조작노브(104)와, 이 조작노브(104)와 나사축(103)을 직각으로 방향을 바꿔서 연결함과 아울러, 조작노브(104)의 회전토오크를 나사축(103)으로 전달하는 토오크링크(105)로 구성되어 있다.
이 벨트가이드(101)는, 벨트가 관통하는 구멍(106)이 상한위치(C)와 하한위치(D) 사이에서 상하동하도록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어깨벨트 조절장치(6)에 있어서는 조작노브(104)를 회동조작하면, 그 히동토오크가 토오크링크(105)를 개재하여 나사축(103)에 전달되고, 나사축(103)이 회동한다.
이 나사축(103)의 한방향의 회동에 의하여, 벨트가이드(101)가 하강함과 아울러, 나사축(103)의 다른 방향의 회동에 의하여, 벨트가이드(101)가 상승한다.
이것에 의하여, 유아용시이트벨트의 어깨벨트의 상하위치가 연속적으로 조절된다.
제15도에 표시하듯이, 시이트부본체(7)의 좌우측벽에는 제2요감부(14)의 다른쪽 경사면의 근처에 한쌍의 벨트가이드(120)를 유지하는 유지스프링(119)이 고설되어 있다.
또, 베이스부(8)에는 제2요감부(14)의 최저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벨트가이드(120)가 회동가능하게 또한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벨트가이드(120)는, 차량의 시이트벨트(13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20a)와, 이 가이드부(120a)의 한쪽끝에 설치되고, 베이스부(8)의 벨트가이드관통구멍(29),(30)(제5도에 도시)으로 회동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관통되어있는 회동축(12b)과, 가이드부(120a)에 입설된 한쌍의 돌출부(120c)(120d)로 구성되어 있다.
이 한쌍의 돌출부가 각각 유지스프링(119)에 의하여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동 도면에 실선으로 표시하듯이 벨트가이드(120)는 보통시에는 베이스부(8)에 최대한 밀어넣어지며, 또한 유지스프링(119)에 유지된 비 사용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차량시이트의 폭이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1)의 폭에 비하여 매우 큰 경우에는, 2점쇄선으로 표시하듯이 벨트가이드(120)를 좌측방향으로 소정량인 인출함과 아울러 회동시켜, 돌출부(120c)(120d)가 각각 홈(23),(24)으로 끼워넣어진 사용위치에 벨트가이드(120)를 설정한다. 벨트가이드(120)의 위치에서는, 차량의 시이트벨트(131)는 거리(i) 만큼 좌측에서 가이드되도록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시이트백(3)이 시이트부(2)에 회동축(20)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1)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이트부(2)와 시이트백(3)이 일체로 성형되어서 베이스부에 리클라이닝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를 시초로, 다른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한 바와같이, 청구범위 제1항의 발명의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에 의하면, 차량의 시이트벨트장치의 계합장치의 걸거나 벗김조작을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의 앞쪽 상방에서 행할 수 있도록 된다.
따라서, 차량시이트폭이 작은 경우에도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를 차량시이트에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고, 차량시이트에 대한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의 고정 또는 고정해제의 조작 용이성이 대폭 향상한다.
또 청구범위 제2항의 발명에 의하면, 시이트부의 회동가능한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의 하중전달부를 개재하여 시이트부의 하부에 전달되므로, 시이트부의 회동가능한 부분을 비교적 작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청구범위 제3항의 발명에 의하면, 시이트부의 회동가능한 부분이 보강리브에 의하여 보강되므로, 시이트부의 회동가능한 부분을 고강도로 할 수 있다.
더욱이 청구범위 제4항의 발명에 의하면, 시이트부의 회동가능한 부분을 보다 더 한층 경량으로 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시이트벨트장치의 계합장치가 걸거나 벗김을 행하기 위한, 시이트부의 회동가능한 부분의 개폐조작이 쉽게된다.

Claims (4)

  1. 유아가 착석하는 시이트부(2)를 보유하는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1)로서, 차량의 시이트에 부설됨과 아울러 시이트벨트와 텅(123) 및 버클(124)등의 계합장치를 보유하는 시이트벨트장치의 계합장치를, 상기한 시이트부의 내부에서 계합함에 의하여 상기한 시이트위에 고정되는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1)에 있어서, 상기한 시이트부(2)의 상부의 일부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한 시이트부의 내부를 개방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시이트부 상부의 회동가능한 부분에 하중전달부를 설치하고, 상기한 회동가능한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한 하중전달부를 개재하여 시이트부의 하부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중전달부는 상기한 회동가능한 부분을 보강하는 보강리브(98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시이트부(2)의 하부에 하중전달부를 설치하고, 상기한 시이트부 상부의 회동가능한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한 하중전달부를 개재하여 시이트부의 하부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
KR1019920023331A 1991-12-05 1992-12-04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 KR100272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209991 1991-12-05
JP91-322099 1991-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459A KR930019459A (ko) 1993-10-18
KR100272440B1 true KR100272440B1 (ko) 2000-11-15

Family

ID=1813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3331A KR100272440B1 (ko) 1991-12-05 1992-12-04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03979A (ko)
KR (1) KR100272440B1 (ko)
CA (1) CA2084322A1 (ko)
DE (1) DE4240904C2 (ko)
FR (1) FR2684612B1 (ko)
GB (1) GB22620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4502A (en) * 1996-10-25 1999-10-12 Evenflo Company, Inc. High-back child restraint system
US6017088A (en) * 1996-12-27 2000-01-25 Evenflo Company, Inc. Convertible infant carrier/restraint system
GB9725494D0 (en) * 1997-12-02 1998-02-04 Britax Excelsior Child safety seat
US6155638A (en) * 1998-07-28 2000-12-05 Fisher-Price, Inc. Child restraint seat having amplified motion harness adjuster
US6343837B1 (en) * 1999-04-19 2002-02-05 Ernestine Gage Childs stadium safety seat
JP4572471B2 (ja) * 2000-02-29 2010-11-04 タカタ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US6439660B1 (en) 2000-11-15 2002-08-27 John Guenther Kinetic child restraint device
CN100509476C (zh) * 2002-10-11 2009-07-08 高田株式会社 儿童座椅
US9173417B2 (en) 2008-10-27 2015-11-03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Coffee and dairy liquid concentrat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3600A (en) * 1969-03-11 1971-02-16 Maurice Converse Infant safety car seat
US3948556A (en) * 1974-06-17 1976-04-06 Strolee Of California Child's car seat
US4033622A (en) * 1976-06-29 1977-07-05 Hedstrom Co. Infant's car seat
US4858997A (en) * 1986-12-31 1989-08-22 Shubin Steven A Child safety car seat
US4770468A (en) * 1986-12-31 1988-09-13 Shubin Steven A Child safety car seat
JPS63235137A (ja) * 1987-03-25 1988-09-30 Takata Kk 幼児用拘束保護シ−ト
US4762364A (en) * 1987-08-04 1988-08-09 Rock-A-Bye Restraint Company, Inc. Child restraint device
GB9005999D0 (en) * 1990-03-16 1990-05-09 Britax Excelsior Child safety seat
DE9011198U1 (ko) * 1990-07-30 1990-12-20 Curt Wuerstl Vermoegensverwaltungs-Gesellschaft Mbh & Co Kg, 8670 Hof, De
US5061012A (en) * 1990-09-04 1991-10-29 Gerry Baby Products Company Child car seat with automatic harness adjus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62033B (en) 1995-09-27
KR930019459A (ko) 1993-10-18
CA2084322A1 (en) 1993-06-06
FR2684612B1 (fr) 1994-11-04
GB9225429D0 (en) 1993-01-27
DE4240904C2 (de) 1998-04-16
DE4240904A1 (ko) 1993-06-09
US5303979A (en) 1994-04-19
FR2684612A1 (fr) 1993-06-11
GB2262033A (en) 1993-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9978B1 (ko) 유아용 구속 보호시이트
KR100288089B1 (ko) 유아용 구속 보호시이트
US7040694B2 (en) Infant car seat and stroller system
US4541654A (en) Safety belt arrangement in motor vehicles
EP0545185B1 (en) Infant seat
KR100272440B1 (ko) 유아용구속보호시이트
WO1999030935A1 (en) Child restraint seat safety belt assembly
US11969107B2 (en) Nursery equipment
KR100249996B1 (ko)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결합장치의 결합위치 조절장치
US11904741B2 (en) Nursery equipment
US6474691B2 (en) Seat belt guide
JPH06115384A (ja)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
EP0195062A1 (en) Child safety seat
JPH06115387A (ja)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
JPH06166352A (ja)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
JPH051579U (ja) 子供用シート
JPH03117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