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827B1 - 층별침하량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층별침하량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측정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71827B1 KR100271827B1 KR1019980052006A KR19980052006A KR100271827B1 KR 100271827 B1 KR100271827 B1 KR 100271827B1 KR 1019980052006 A KR1019980052006 A KR 1019980052006A KR 19980052006 A KR19980052006 A KR 19980052006A KR 100271827 B1 KR100271827 B1 KR 1002718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ttlement
- displacement
- measuring
- ground
- displacement measur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01B7/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using change in magnetic propert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02D1/02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by investigating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oi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66—Rock or ground anchors having deformation measu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내의 층별 침하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지반내의 층별 침하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지반내로 인입되고 하단에 지층에 고정되기 위한 헤드 앵커(54)가 취부된 소정길이의 주름관(52)과; 상기 주름관(52)내에 측정하고자 하는 설정된 지층에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각 지층에 고정되기 위한 다수개의 탄성 스파이더(61A∼66A)를 갖는 수개의 침하소자(61∼66)와; 상기 침하소자(61∼66)들에 각각 연결된 수개의 변위측정용 강선(71∼76)과; 상기 각 침하소자(61∼66)의 접어진 스파이더(61A∼66A)를 펼치기 위해 스파이더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스파이더 연결와이어(80)를 갖는 층별침하계(50)를 구비하고, 상기 층별침하계(50)가 인입되는 지반에 위치되어 상기 층별침하계의 각 침하소자에 연결된 변위측정용 강선(71∼76)의 변위량을 전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강선변위측정장치(100)는, 상기 지반에 세워지는 작업대(102)와; 상기 작업대(102)의 상부에 수평 위치하는 측정장비 설치대(104)와; 상기 수개의 변위측정용 강선(71∼76)과 각각 대응되게 연결되어 침하소자(61∼66)의 침하량에 따른 변위측정용 강선의 침하변위를 측정하는 침하량 변위측정센서(111∼116)와; 상기 측정장비 설치대(104)의 중앙에 원주 반향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변위측정용 강선(71∼76)의 변위이동을 지지하는 수개의 와이어 지지롤러(121∼12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반내의 층별 침하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층별 침하의 신뢰성 있는 계측값을 간편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원거리 자동계측이 가능하도록 한 층별침하량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층별침하량 자동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과 터파기공사시 지중에 주요 구조물이 매설될 경우, 특히 지층의 구조가 복잡하여 각 층에서 일어나는 압축량을 에측하기 곤란한 경우 원하는 지점에 침하계를 설치하여 치층의 침하량과 속도를 알아내어 지층별 탄성 및 압밀침하량을 측정하게 된다.
부연하면 침하측정의 적용 및 활용분야는, 기초지반, 성토지반의 침하 또는 융기로 인한 변위측정, 옹벽과 교량의 변위측정, 제방 및 사력댐의 변위측정 그리고 연약지반의 압밀측정이 바로 그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침하측정 방법은 지중으로 굴착공을 천공하고, 이 굴착공에 지층별로 자력장치를 위치시키고, 이 자력장치의 침하량을 수작업에 의해 줄자로 침하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럴 경우 초기치와 계측치와의 상대 침하량을 얻기 위해 사람이 매 측정시마다 수작업으로 계산해야 함으로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자의 측정 오차등으로 계측치를 신뢰하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지층의 침하량 측정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지중 침하의 신뢰성 있는 계측값을 간편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원거리 자동계측이 가능하도록 한 층별침하량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층별침하량 자동 측정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지반내의 층별 침하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지반내로 인입되고 하단에 지층에 고정되기 위한 헤드 앵커(54)가 취부된 소정길이의 주름관(52)과;
상기 주름관(52)내에 측정하고자 하는 설정된 지층에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각 지층에 고정되기 위한 다수개의 탄성 스파이더(61A∼66A)를 갖는 수개의 침하소자(61∼66)와;
상기 침하소자(61∼66)들에 각각 연결된 수개의 변위측정용 강선(71∼76)과;
상기 각 침하소자(61∼66)의 접어진 스파이더(61A∼66A)를 펼치기 위해 스파이더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스파이더 연결와이어(80)를 갖는 층별침하계(50)를 구비하고,
상기 층별침하계(50)가 인입되는 지반에 위치되어 상기 층별침하계의 각 침하소자에 연결된 변위측정용 강선(71∼76)의 변위량을 측정하기 위한 강선변위측정장치(100)는,
상기 지반에 세워지는 작업대(102)와;
상기 작업대(102)의 상부에 수평 위치하는 측정장비 설치대(104)와;
상기 수개의 변위측정용 강선(71∼76)과 각각 대응되게 연결되어 침하소자(61∼66)의 침하량에 따른 변위측정용 강선의 침하변위를 전기적으로 측정하는 침하량 변위측정센서(111∼116)와;
상기 측정장비 설치대(104)의 중앙에 원주 반향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변위측정용 강선(71∼76)의 변위이동을 지지하는 수개의 와이어 지지롤러(121∼12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층별 침하량 측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요부 상세도 및 타이밴드와 스파이더 연결와이어의 조립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강선변위측정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4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층별침하계의 각 단계별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층별침하계 52 : 주름관
54 : 헤드 앵커 61∼66: 침하소자
61A∼66A : 스파이더 71∼76 : 강선
80 : 스파이더 연결와이어 81 : 타이밴드
90 : 케이싱 100 : 강선변위측정장치
102 : 작업대 104 : 측정장비 설치대
111∼116 : 침하량 변위측정센서
121∼126 : 와이어 지지롤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층별침하계(50)와, 층별침하계(50)로부터 측정된 기계적인 침하량을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강선변위측정치(1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층별침하계(50)는, 도 1,2,3에서와 같이 케이싱(90)내로 삽입 보호되어져 도시안된 관입기에 의해 지중으로 매설되고 그 하단에 지층에 고정되기 위한 헤드 앵커(54)가 취부된 소정길이의 주름관(52)이 구비되고, 상기 주름관(52)내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설정된 지층에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각 지층에 고정되기 위한 상하 한쌍으로 다수개의 탄성 스파이더(61A∼66A)를 갖는 도넛츠 형태로 수개의 침하소자(61∼66)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주름관(52)을 사용한 이유는 침하시 발생되는 지층과의 마찰을 높여서 정밀 침하 측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각 침하소자(61∼66)의 갯수 및 간격은 도 1과 같이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지층별 높이에 따라 침하소자의 갯수 및 그들 간격이 설정된다.
상기 각 침하소자(61∼66)의 접어진 스파이더(61A∼66A)를 펼치기 위해 상기 스파이더(61A∼66A)에 공통적으로 하나의 스파이더 연결와이어(80)가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스파이더 연결와이어(80)는 최초에 도 2에서와 같이 각 스파이더(61A∼66A)를 묶고있는 타이밴드(81)의 양단을 연결시키는 기능을 하고, 주름관(52)이 지중에 매설된 후 스파이더 연결와이어(80)를 상방으로 뽑아올리게 되면 스파이더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타이밴드(81)가 풀려지고 스파이더(61A∼66A)의 탄성력에 의해 접어진 스파이더(61A∼66A)가 펼쳐지면서 지층에 고정되는 기능을 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침하소자(61∼66)들에는 개별 지층의 침하에 따른 침하소자(61∼66)의 침하 거동량을 후술할 각각의 변위측정센서(111∼116)에 전달하기 위한 각각의 변위측정용 강선(71∼76)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강선변위측정장치(100)는 상기 층별침하계(50)가 인입되는 지반에 위치되어 상기 층별침하계의 각 침하소자에 연결된 변위측정용 강선(71∼76)의 변위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반에 세워지는 작업대(102)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대(102)의 상부에는 수평적으로 배치되는 측정장비 설치대(104)가 장착되어 있다. (도3참조)
상기 측정장비 설치대(104)에는 상기 수개의 변위측정용 강선(71∼76)과 각각 대응되게 연결되어 침하소자(61∼66)의 침하량에 따른 변위측정용 강선의 침하변위를 측정하는 침하량 변위측정센서(wire displacement tranceducer)(111∼116)가 원주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 침하량 변위측정센서(111∼116)에는 각각의 변위측정용 강선(71∼76)을 감고 있어 선택된 침하소자의 변위량에 따라 회전하는 보빈(111A∼116A)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측정장비 설치대(104)의 중앙에는 주름관(52)내의 침하소자(61∼66)에 삽통되어 각 침하소자(61∼66)의 하강 거동시 이를 안내함과 동시에 중심을 잡아주기 위한 인너로드(82)가 삽입 위치하여 있고, 상기 인너 로드(82)의 둘레인 상기 측정장비 설치대(104)측에는 원주 반향으로 각각의 변위측정용 강선(71∼76)의 변위이동을 지지하는 수개의 와이어 지지롤러(121∼126)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부품은 해안 지역의 뻘 지반에 사용될 경우를 감안해 해수에 의한 부식을 고려하여 내식 처리를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침하량 측정시스템의 이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에서와 같이 스파이더(61A∼66A)가 타이밴드(81)에 묶여져 주름관(52)측에 밀착되도록 한 후 주름관(52)을 도 4에서와 같이 케이싱(90)내로 삽입시켜서 층별침하계(50)를 스틸의 케이싱(90) 내부에 인입시킨 다음 관입기(도시안됨)를 이용하여 지반내로 강제로 매설시킨다.
이후 상기 주름관(52)내에 위치한 각 침하소자(61∼66)들에 인너로드(82)를 삽입시켜서 침하소자(61∼66)의 수직 거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5참조)
다음, 도 6과 같이 상기 케이싱(90)을 다시 관입기(도시안됨)로 뽑아 올려 주름관(52)을 지중에 남겨놓으면 층별침하계(50) 하부의 헤드 앵커(54)가 지중에 매설된 상태로 케이싱(90)과 분리된다.
이후 스파이더(61A∼66A)를 접고있던 타이밴드(81)를 풀기위해 스파이더 연결와이어(80)를 끌어올리게 되면 타이밴드(81)가 풀리고 각 스파이더(61A∼66A)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탄성복원력에 의해 펼쳐지면서 지층에 고정된다.
이어서 일단이 침하소자(61∼66)에 연결된 각 변위측정용 강선(71∼76)의 타단을 이에 대응하는 와이어 지지롤러(121∼126)를 통해 각각의 침하량 변위측정센서(111∼116)의 보빈(111A∼116A)에 긴밀도 있게 연결시키면 침하측정준비가 완료된다.
이렇게 되면 각 지층에서 침하가 일어날 경우 해당하는 침하소자(61∼66)가 선택적으로 침하하고(이때 해당 부위의 주름관은 신장한다), 이는 다시 각 침하소자(61∼66)에 연결된 변위측정용 강선(71∼76)을 매개로 선택된 보빈(111A∼116A)이 회전하고 이를 해당하는 침하량 변위측정센서(111∼116)가 전기적으로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각 침하량 변위측정센서(111∼116)는 변위측정용 강선(71∼76)의 거동변위량을 검출하고 이는 다시 바람직하게는 도시안된 전송장치를 통해 원거리로 전송시키고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를 통해 관측자에게 계측정보가 나타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매번 지층의 침하량을 직접 측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 원거리에서 자동 측정이 가능하므로 시스템 운용의 시간 및 측정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수작업에 의한 측정이 아닌 전기적 측정이므로 측정의 신뢰성이 높다.
이는 액체침하계 방식의 최소 측정단위가 20-30㎜인데 반해 본 발명은 0.5-1㎜로서 정확도가 높다.
또한 침하거동시 변위측정용 강선(71∼76)이 주름관(52)내에서 안전하게 작동하며, 해상 노출시에도 동파 및 바람에 의해 파손이 되지 않으므로 장치의 내구성이 높고 고장의 위험이 적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중의 지층별 침하의 신뢰성 있는 정밀 계측값을 간편하게 얻을 수 있고, 원거리 자동계측이 가능하여 계측의 작업성이 대폭 향상되고, 내구성이 우수하는 등의 이점을 갖는다.
Claims (2)
- 지반내의 층별 침하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지반내로 인입되고 하단에 지층에 고정되기 위한 헤드 앵커(54)가 취부된 소정길이의 주름관(52)과;상기 주름관(52)내에 측정하고자 하는 설정된 지층에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각 지층에 고정되기 위한 다수개의 탄성 스파이더(61A∼66A)를 갖는 수개의 침하소자(61∼66)와;상기 침하소자(61∼66)들에 각각 연결된 수개의 변위측정용 강선(71∼76)과;상기 각 침하소자(61∼66)의 접어진 스파이더(61A∼66A)를 펼치기 위해 스파이더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스파이더 연결와이어(80)를 갖는 층별침하계(50)를 구비하고,상기 층별침하계(50)가 인입되는 지반에 위치되어 상기 층별침하계의 각 침하소자에 연결된 변위측정용 강선(71∼76)의 변위량을 전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강선변위측정장치(100)는,상기 지반에 세워지는 작업대(102)와;상기 작업대(102)의 상부에 수평 위치하는 측정장비 설치대(104)와;상기 수개의 변위측정용 강선(71∼76)과 각각 대응되게 연결되어 침하소자(61∼66)의 침하량에 따른 변위측정용 강선의 침하변위를 측정하는 침하량 변위측정센서(111∼116)와;상기 측정장비 설치대(104)의 중앙에 원주 반향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변위측정용 강선(71∼76)의 변위이동을 지지하는 수개의 와이어 지지롤러(121∼12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별침하량 측정 시스템.
- 상기 층별침하계(50)를 스틸의 케이싱(90) 내부에 인입시켜 관입기를 이용하여 지반내로 강제로 매설시키는 단계와;상기 주름관(52)내에 위치한 각 침하소자(61∼66)들에 인너로드(82)를 삽입시키는 단계와;상기 케이싱(90)을 들어올려 층별침하계 하부의 헤드 앵커(54)와 케이싱(90)을 분리시키는 단계와;상기 스파이더 연결와이어(80)를 끌어올리는 조작을 하여 스파이더를 펼쳐 지층에 고정시키는 단계와;상기 각 변위측정용 강선(71∼76)을 대응하는 와이어 지지롤러(121∼126)를 통해 각각의 침하량 변위측정센서(111∼116)와 연결하여 긴밀도를 조정하는 단계와;상기 침하량 변위측정센서(111∼116)의 출력값을 원거리로 전송하는 전송단계와;상기 침하량 변위 측정센서(111∼116)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청구항 제 1항의 층별침하량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층별침하량을 자동 측정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52006A KR100271827B1 (ko) | 1998-11-30 | 1998-11-30 | 층별침하량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측정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52006A KR100271827B1 (ko) | 1998-11-30 | 1998-11-30 | 층별침하량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측정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6229A KR19990046229A (ko) | 1999-07-05 |
KR100271827B1 true KR100271827B1 (ko) | 2001-01-15 |
Family
ID=40290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52006A KR100271827B1 (ko) | 1998-11-30 | 1998-11-30 | 층별침하량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측정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7182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8692B1 (ko) * | 2001-11-30 | 2004-04-28 | 현대건설주식회사 | 광역지반 표층의 실시간 침하 모니터링 시스템 |
CN104833328A (zh) * | 2015-04-29 | 2015-08-12 | 深圳市北斗云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柔性智能测斜绳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2104B1 (ko) * | 2018-10-30 | 2020-11-23 |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 콘크리트 궤도용 층별 침하계 |
CN111364971B (zh) * | 2020-04-14 | 2023-11-21 |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用于监测隧道开挖地表脱空的装置及安装方法 |
CN112885038A (zh) * | 2020-12-31 | 2021-06-01 | 中铁十七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 地面塌陷预警装置及地面塌陷预警系统 |
-
1998
- 1998-11-30 KR KR1019980052006A patent/KR10027182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8692B1 (ko) * | 2001-11-30 | 2004-04-28 | 현대건설주식회사 | 광역지반 표층의 실시간 침하 모니터링 시스템 |
CN104833328A (zh) * | 2015-04-29 | 2015-08-12 | 深圳市北斗云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柔性智能测斜绳 |
CN104833328B (zh) * | 2015-04-29 | 2020-07-21 | 深圳市北斗云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柔性智能测斜绳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6229A (ko) | 1999-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825304B (zh) | 一种盾构隧道地层稳定与隧道结构长期健康监测系统 | |
KR100670976B1 (ko) | 도르래를 이용한 지반 침하량 측정장치 | |
JP2007086049A (ja) | 地面の変位をモニターするファイバブラッググレーティングにより検知するセグメント化された歪み計 | |
KR100955599B1 (ko) | 지하수위 자동계측 장치 | |
CN114838703B (zh) | 一种分层沉降监测装置及其施工工艺 | |
KR101096730B1 (ko) | 다측점 길이 변형량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 |
KR100271827B1 (ko) | 층별침하량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측정 방법 | |
KR20040108384A (ko) | 다기능 지반침하 계측장치 | |
Dam et al. | The Company | |
CN111637845B (zh) | 一种分布式光纤扭转测量装置、方法 | |
JP3271751B2 (ja) | 沈下計測装置 | |
US3538608A (en) | Ground settlement indicating apparatus | |
JP4105123B2 (ja) | 光ファイバセンサ使用の構造物変位・変状検知システム | |
JP3725513B2 (ja) | 光ファイバケーブル使用の構造物変位・変状検知装置 | |
JP2000046528A (ja) | 光ファイバセンサを用いた歪み計測方法 | |
JP3780460B2 (ja) | 沈下計測方法及び沈下計測計 | |
JPH06221851A (ja) | 管路の勾配測定方法および装置 | |
JPH0344165B2 (ko) | ||
KR200274378Y1 (ko) | 지반의 지중 변형량 측정장치 | |
CN221261769U (zh) | 边坡滑动预警装置 | |
KR100314352B1 (ko) | 지반또는구조물의지중침하및변형량측정장치 | |
JPH0234241Y2 (ko) | ||
CN221685459U (zh) | 一种深部位移的柔性监测装置 | |
JPH0429369Y2 (ko) | ||
CN217878120U (zh) | 水平土压力监测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