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9678B1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9678B1
KR100269678B1 KR1019970053038A KR19970053038A KR100269678B1 KR 100269678 B1 KR100269678 B1 KR 100269678B1 KR 1019970053038 A KR1019970053038 A KR 1019970053038A KR 19970053038 A KR19970053038 A KR 19970053038A KR 100269678 B1 KR100269678 B1 KR 100269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refractive index
display device
retard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2886A (ko
Inventor
시게아끼 미즈시마
모또히로 야마하라
Original Assignee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찌다 가쯔히꼬
Publication of KR19980032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2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with refractive index ellipsoid inclined relative to the LC-layer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40Materials having a particular birefringence, retard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액정 표시 장치는 1쌍의 투광성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봉입함으로써 구성되는 액정 표시 소자와, 상기 액정 표시 소자의 양측에 배치되는 1쌍의 편광자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 표시 소자에 봉입된 상기 액정층에 있어서의 액정 재료의 굴절율 이방성(Δn)과 액정층의 두께(d)와의 곱(Δn·d)의 값이 300㎚보다 크고 550㎚보다 작은 범위내임과 동시에, 굴절율 타원체의 3개의 주굴절율(na, nb, nc)이 na=nc>nb와 같은 관계를 갖고, 또 na 및 nc 방향의 한쪽이 위상차판의 표면에 평행하고, 그 평행을 이루는 na 또는 nc의 방향을 축으로 하여 상기 nb를 위상차판 표면의 법선 방향으로 평행한 상태에서 경사진 상태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의 굴절율 타원체가 경사진 위상차판을 상기 액정 표시 소자와 1쌍의 상기 편광자와의 사이에 적어도 1매를 끼우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액정 표시 소자에 생기는 시각에 대응하는 위상차를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고품위의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 표시 소자에 위상차판을 결합시킴으로써 표시 화면의 시각 의존성이 개선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네마틱 액정 표시 소자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는 시계나 전탁 등 수치 세그먼트형 액정 표시 장치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워드 프로세서, 컴퓨터 및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기초로 하는 디스플레이로서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는 투광성 기판을 갖고 있고, 이 기판상에 화소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극선 등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액티브 매트릭스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액정층에 전압을 인가하는 화소 전극을 선택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으로서 박막 트랜지스터(TFT : Thin Film Transister) 등의 능동 소자가 상기의 기판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컬러 표시를 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는 기판상에 적색, 녹색, 청색 등의 컬러 필터층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액정 표시 소자는, 대향하는 표면에 투명 전극층 및 배향막이 각각 형성된 1쌍의 투광성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봉입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액정 표시 소자의 양측에 1쌍의 편광자(편광판)가 배치되고, 이들 액정 표시 소자와 편광자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네마틱 액정 표시 소자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트위스티드 네마틱형의 액정이 자주 이용된다. 상기 배향막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이 되도록 러빙되어 있다. 상기 투광성 기판 사이에 봉입되어 있는 액정 분자는 이 러빙 방향에 따라서 배향한다. 그리고, 한쪽 기판에서 액정층을 통하여 다른쪽 기판을 향하여 나선상으로 비틀어 간다.
이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방식으로서는, 이용되는 네마틱 액정의 트위스트각에 따라 다음 2개의 액정 표시 방식이 알려져 있다.
(a) 네마틱 액정 분자를 90°비틀림 배향시킨 액티브 구동형 트위스티드 네마틱(Twisted Nematic, 이하 TN이라 한다) 액정 표시 방식.
(b) 네마틱 액정 분자의 트위스트각을 90°이상으로 하여 비틀림 배향시킨 멀티플렉스 구동형 슈퍼 트위스티드 네마틱(Super Twisted nematic, 이하 STN이라 한다) 액정 표시 방식.
후자인 (b) STN 표시 방식은 특유의 착색 현상과 같은 문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흑백 표시를 행하기 위해서는 광학적 보상판을 배치하는 방식이 유력한 것으로 고려되고 있다. 상기 STN 방식에서는 광학적 보상판에 따라서, 또한 이하 2종류의 방식으로 대별된다.
(b-1) 표시용 액정셀과 역방향의 트위스트각으로 비틀림 배향시킨 액정 셀을 이용한 2층형의 더블 슈퍼 트위스티드 네마틱(Double Super Twisted Nematic) 액정 표시 방식.
(b-2) 필름 부가형 액정 표시 방식
이들 2방식을 비교하면, 경량성, 저비용의 관점에서 상기 필름 부가형 액정 표시 방식이 유력하다.
한편, 전자인 (a) 액티브 구동형 TN 액정 표시 방식에 대해서는, 편광자의 편광 방향을 서로 수직으로 하든지, 또는 서로 평행으로 하든지에 따라 2개의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TN 방식에서는 동작 모드에 따라 다음 2종류 방식으로 대별된다.
(a-1) 1쌍의 편광자의 편광 방향을 상호 평행하게 배치하여, 액정층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오프 상태)로 흑색 표시를 하는 노멀리 블랙 방식.
(a-2) 편광 방향을 상호 직교하도록 배치하여, 오프 상태로 백색을 표시하는 노멀리 화이트 방식.
이들 2방식을 비교하면, 표시 콘트라스트, 색 재현성, 표시의 시각 의존성의 관점에서 후자인 노멀리 화이트 방식이 유력하다.
그런데, 상기 TN 액정 표시 방식에 있어서는 보는 사람의 보는 방향이나 각도에 따라서 표시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변화하여, 시각 의존성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것은 액정 분자에 굴절율 이방성(Δn)이 존재하고 있고, 또한 액정 분자가 상하 기판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TN 액정 표시 소자(31)에 중간조 표시의 전압을 인가한 경우의, 이 TN 액정 표시 소자(31)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분자(32)가 약간 세워져 있는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상기 액정 표시 소자(31)에 있어서, 기판(33, 34) 표면의 법선 방향을 통과하는 직선 편광(35) 및 법선 방향에 대하여 기울기를 갖고 통과하는 직선 편광(36, 37)은 액정 분자(32)와 교차하는 각도가 각각 다르게 되어 있다. 액정 분자(32)에는 굴절율 이방성(Δn)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각 방향의 직선 편광(35, 36, 37)이 액정 분자(32)를 통과하면 정상광과 이상광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들 정상광과 이상광의 위상차에 따라 액정 표시 소자(31)를 투과하는 광이 타원 편광으로 변환되게 되고, 이것이 시각 의존성의 발생 원인이 된다.
또한, 실제의 액정층 내부에서는 기판(33)과 기판(34)의 중간부 부근과 기판(33) 또는 기판(34) 근방에서는 액정 분자(32)의 틸트각이 다르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액정 분자(32)는 법선 방향을 축으로 하여 90°비틀려 있는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이, 액정층을 통과하는 직선 편광(35, 36, 37)은 입사하는 방향이나 각도에 의해 여러가지 복굴절 효과를 받아, 복잡한 시각 의존성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의 시각 의존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화면 법선 방향에서 화면의 하측 방향에 있는 정시각 방향으로 시각을 기울여 가면, 어떤 각도 이상에서 표시 화상이 착색하는 현상(이하, 「착색 현상」이라 한다)이나 흑백이 반전하는 현상(이하, 「반전 현상」이라 한다)이 발생한다. 또한, 화면의 상측 방향인 반시각 방향으로 시각을 기울여 가면, 급격하게 콘트라스트가 저하한다.
또한,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화면이 커짐에 따라서 시야각이 좁아지는 문제도 있다. 예를 들면, 큰 액정 표시 화면을 가까운 거리의 정면 방향에서 보면, 시각 의존성의 영향 때문에 화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표시된 색이 다른 경우가 있다. 이것은 화면 전체를 보는 전망각이 커져서, 액정 표시 화면을 더욱 경사진 방향에서 보는 경우도 마찬가지가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기 시각 의존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광학 이방성을 갖는 광학 소자로서의 위상차판(위상차 필름)을 액정 표시 소자와 한쪽 편광자 사이에 삽입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개소 55-000600호 공보, 특개소 56-097318호 공보 등 참조).
이 방법은 굴절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 분자를 통과함으로써, 직선 편광에서 타원 편광으로 변환된 광을 굴절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층의 한쪽측 또는 양측에 끼운 위상차판을 통과시킴으로써, 시각에 따라 생기는 정상광과 이상광과의 위상차 변화를 보상하여 직선 편광된 광으로 재변환하여, 시각 의존성의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방법에서는 위상차판 뿐만 아니라 액정층, 즉 액정 표시 소자의 특성에 대해서도 설정을 행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시각 의존성을 더욱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굴절율 타원체의 하나의 주굴절율 방향이 상기 위상차판 표면의 법선 방향에 대해 평행한 위상차판을 이용함과 동시에, 위상차판의 △n(nx-ny)과 셀 두께(d)와의 곱의 값이 200nm 내지 500nm의 범위에 있는 액정 표시 소자를 이용하고, 이 액정 표시 소자와 편광자와의 사이에 상기 위상차판을 끼우는 액정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개평5-313159호 공보).
이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위상차판 및 액정 표시 소자의 특성을 설정할 뿐만 아니라, 액정 표시 소자를 형성하는 배향막의 러빙 방향, 위상차판의 지상축(遲相軸) 방향 및,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이 각각 평행하게 되도록 설정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이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시각 의존성을 더 개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굴절율 타원체의 주굴절율 방향이 위상차판 표면의 법선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위상차판을 이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도 제안되어 있다(USP5,506, 706호 공보). 이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다음 두 종류의 위상차판을 이용하고 있다.
하나는, 굴절율 타원체의 3개의 주굴절율중, 최소의 주굴절율 방향이 위상차판의 표면에 대해 평행하고, 또 나머지 2개의 주굴절율의 한쪽 방향이 위상차판의 표면에 대해서 θ의 각도로 경사지고, 다른쪽 방향은 위상차판 표면의 법선 방향에 대해 마찬가지로 θ의 각도로 경사져 있으며, 이 θ의 값이 20°≤θ≤70°를 만족하고 있는 위상차판이다.
또 하나는, 위상차판의 표면 내에 굴절율 이방성이 없이 위상차판의 표면 법선 방향에서의 주굴절율 nb와 위상차판의 표면에 평행한 주굴절율(na, nc)이 na=nc>nb의 관계를 만족하는, 즉 부(-)의 일축성을 갖고 있는 것이고, 또한 상기의 위상차판 표면과 평행을 이루는 주굴절율(na, nc)의 한쪽을 축으로 하여 주굴절율 nb를, 위상차판 표면의 법선 방향으로 평행한 상태로부터 경사진 상태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굴절율 타원체가 경사진 위상차판이다.
상기 2종류의 위상차판중, 전자는 일축성인 것과 이축성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후자는 위상차판을 1매만 이용할 뿐만 아니라, 그 위상차판을 2매 조합시켜 각각의 위상차판 표면의 법선 방향에서의 주굴절율 nb의 상기 경사 방향이 서로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정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상차판을 액정 표시 소자와 편광 소자 사이에 적어도 1매 이상 끼움으로써 구성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시각 의존성을 어느 정도까지 개선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의 특개평5-313159호 공보에 나타낸, 위상차판의 △n(nx-ny)과 셀 두께(d)와의 곱의 값이 200nm 내지 500nm의 범위로 설정된 액정 표시 소자와 편광자 사이에, 굴절율 타원체의 하나의 주굴절율 방향이 표면의 법선 방향에 대해서 평행한 위상차판을 끼우는 방법에서는, 어느 특정한 방향에 대해 표시 화면의 시각 의존성을 개선할 수 있지만, 전방위에 대해서 개선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는 문제가 생기고 있다.
또한, 상기의 USP5,506,706호 공보에서 나타낸 위상차판을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위상차판에 대해서, 굴절율 타원체가 경사지도록 조건의 설정이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액정 표시 소자에 대해서는, 실시예로서 액정 재료의 굴절율 이방성(△n)이 0.08, 액정층의 두께가 4.5μm인 액정 표시 소자, 즉 액정층의 리타데이션(△n·d)의 값이 360nm인 경우의 액정 표시 소자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어떤 액정 표시 소자와 편광자 사이에 그 위상차판을 끼우면 좋을 것인지와 같은 문제에 관해서는, 이 이상 언급되어 있지 않다.
위상차판을 액정 표시 소자와 편광자 사이에 끼움으로써 시각 의존성을 개선하는 방법에서는, 위상차판 뿐만 아니라 액정 표시 소자의 특성에 대해서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의 경우, 위상차 변화의 보상을 가장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해 상기의 위상차판과, △n·d의 값이 어떤 범위에 있는 액정 표시 소자를 조합시키면 좋은지에 대해서는 분명하지는 않다. 그 때문에, 상기 위상차판을 이용해 액정 표시 장치의 시각 의존성을 개선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 불충분한 상태에 있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표시 화상의 시각에 의존하여 생기는 콘트라스트 변화, 반전 현상, 착색 현상을 해소하여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상기 위상차판을 끼운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대향하는 표면에 투명 전극층 및 배향막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투광성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봉입함으로써 구성되는 액정 표시 소자와, 상기 액정 표시 소자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편광자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 표시 소자에 봉입된 상기 액정층에 있어서의 액정 재료의 굴절율 이방성(△n)과 액정층의 두께(d)와의 곱(△n·d)의 값이 300nm보다 크고 500nm보다 작은 범위임과 동시에. 굴절율 타원체의 3개의 주굴절율(na, nb, nc)이 na=nc>nb라는 관계를 갖고, 또 주굴절율(na 및 nc)의 한쪽이 위상차판의 표면에 평행하며, 그 평행을 이루는 주굴절율의 방향을 축으로 하여, 주굴절율 nb를 위상차판의 표면의 법선 방향으로 평행한 상태로부터 경사진 상태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의 굴절율 타원체가 경사진 위상차판을 상기 액정 표시 소자와 상기 편광자 사이에 적어도 1매 끼우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직선 편광이 복굴절성을 갖는 액정층을 통과하여 정상광과 이상광이 발생하고, 이들 위상차에 수반하여 타원 편광으로 변환되는 경우, 주굴절율(na, nb, nc)이 na=nc>nb라는 관계에 있고, 주굴절율 nb를 포함하는 굴절율 타원체의 단축(短軸)을 위상차판 표면의 법선 방향에 대해 경사진 위상차판을 액정층과 편광자 사이에 끼우면, 시각에 따라 생기는 정상광과 이상광과의 위상차 변화가 위상차판에 의해 보상된다.
그러나, 액정층 리타데이션(△n·d)의 값이 300nm 이하 또는 550nm 이상일 경우, 시각 방향에 따라서는 반전 현상이나 콘트라스트비의 저하가 발생한다. 그래서, 액정층의 리타데이션(△n·d)을 300nm보다 크고 550nm보다 작은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액정 표시 소자에 생기는 시각에 대응하는 위상차를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 화상에 있어서 시각에 의존하여 생기는 콘트라스트 변화, 좌우 방향의 반전 현상, 착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구성에 의해 액정 표시 소자의 위상차 변화를 보다 확실하게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위상차판과 액정 표시 소자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는, 흑백 표시에서의 콘트라스트비가 보는 사람의 시각 방향에 따라 영향받지 않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화상의 품질이 현격하게 향상되고, 반전 현상이나 반시각 방향의 콘트라스트비의 저하, 착색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정 표시 소자의 위상차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서는 상기 굴절율 타원체의 3개의 주굴절율(na, nb, nc) 중, 주굴절율 nb가 위상차판 표면의 법선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상태이고, 또 적어도 다른 주굴절율(na, nc)중 어느 것이 위상차판 표면에 평행한 상태에서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는 위상차판을, 상기 액정 표시 소자와 상기 편광자 사이에 적어도 1매를 끼워 두면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위상차판의 주굴절율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도 1a에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액정 표시 소자에 있어서의 배향막의 러빙 방향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액정 표시 장치의 시각 의존성의 측정계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상측 방향(반시각 방향)의 투과율-액정 인가 전압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b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우측 방향의 투과율-액정 인가 전압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c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좌측 방향의 투과율-액정 인가 전압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6a는 비교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상측 방향(반시각 방향)의 투과율-액정 인가 전압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6b는 비교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우측 방향의 투과율-액정 인가 전압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6c는 비교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좌측 방향의 투과율-액정 인가 전압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TN 액정 표시 소자에 있어서의 액정 분자의 비틀림 배향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정 표시 장치
2, 3 : 글래스 기판
2a, 3a : 글래스 기판의 러빙 방향
4 : 액정 표시 소자
5a, 5b : 위상차판
6, 7 : 편광판(편광자)
6a, 7a : 편광판의 흡수축
8, 9 : 투명 전극층(ITO)
10, 11 : 배향막
13 : 액정층
na, nb, nc : 위상차판의 주굴절율
nb1, nb2 : 위상차판의 주굴절율 nb의 경사 방향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이하에 나타내는 기재에 의해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에 의해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1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1)는 한 쌍의 글래스 기판(투광성 기판 : 2, 3) 사이에 네마틱 액정 등으로 이루어지는 액정층을 봉입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소자(4)와, 그 액정 표시 소자(4)의 한쪽 측에 배치되는 위상차판(5a) 및 다른 쪽 측에 배치되는 위상차판(5b)과, 그 액정 표시 소자(4) 및 그 위상차판(5a, 5b)을 끼우는 한 쌍의 편광판(편광 소자 ; 6, 7)을 갖고 있다. 단, 위상차판(5a, 5b)은 적어도 한쪽이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액정 표시 소자(4)를 구성하는 글래스 기판(2)측의 러빙 방향(2a)과 글래스 기판(3)측의 러빙 방향(3a)은, 끼우는 액정층의 액정 분자가 약 90°비틀림 배향되도록 서로 직교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편광판(6)의 흡수축(6a)과 편광판(7)의 흡수축(7a)도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액정 표시 소자(4)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으면, 액정 표시 장치(1)는 광을 투과하여 백색 표시를 행하는, 소위 노멀리 화이트 표시 방식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상차판(5a 또는 5b)은 상술한 바와 같이 편광판(6)과 편광판(7) 사이에서, 어느 하나에 근접하여 적어도 1매 끼우고 있으면 위상 보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편광판(6) 또는 편광판(7)과 액정 표시 소자(4) 사이에 위상차판(5a) 및 위상차판(5b)이 2매 이상 끼워져 있어도 상관 없다. 더하여, 액정 표시 소자(4)와 편광판(6, 7)의 각각의 사이에 위상차판(5a) 또는 위상차판(5b)이 각 2매 이상의 복수매 끼우고 있어도 상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5a)은,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절율 타원체의 3개의 주굴절율(na, nb, nc)이 na=nc>nb인 관계, 즉 굴절율 이방성이 부(-)로 되는 관계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판은, 상기 3개의 주굴절율(na, nb, nc)중, 주굴절율 nb가 위상차판 표면의 법선 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이고, 또 적어도 다른 주굴절율(na, nc)의 어느 것이 위상차판 표면에 평행한 상태에서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주굴절율 nb의 경사는, 구체적으로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굴절율(na 또는 nc)을 축으로 하여 굴절율 타원체가 회전하는 것과 같은 상태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주굴절율 nb의 경사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위상차판(5a)의 표면을 x-y 평면으로 하는 직교 좌표계(xyz)를 정의하면, 주굴절율 nb의 방향이 위상차판(5a) 표면의 법선 방향인 z축에 대해서 x-z 평면 내에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각도 θ로 경사져 있다. 마찬가지로, 주굴절율(nc)의 방향도 표면에 평행한 x축 방향에 대해서 x-z 평면 내에서 화살표 B로 나타나는 방향으로 각도 θ로 경사져 있다.
상기 주굴절율 nb의 경사는, 위상차판(5a)의 표면에 투영하면 x축상에서의 화살표 nb1방향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위상차판(5a)의 경우에 대해서도 주굴절율 nb의 경사 방향은 화살표 nb2(도 1a에 도시함) 방향으로 된다.
따라서, 위상차판(5a)에서는, 화살표 (A, B)가 가리키는 방향을 상기 y축의 부의 방향에서 보아, y축[주굴절율(na)]을 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면, 위상차판(5a)의 표면에 평행한 주굴절율(na) 방향(y축으로 표시함)을 축으로 하여, 주굴절율 nb는 법선 방향 z축에 평행한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각도 θ 회전함과 동시에, 주굴절율(nc)은 위상차판(5a)의 표면에 평행으로 y축에 대해 수직인 x축 방향에 평행한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각도 θ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위상차판(5a)은, 주굴절율(na, nb, nc)이 만드는 굴절율 타원체가 경사진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굴절율 타원체의 경사는, 주굴절율 na의 방향을 축으로 할 뿐만 아니라 주굴절율 nc가 x축에 평행한 상태로 한 후에, 주굴절율 nc의 방향을 축으로 한 상태의 경사이어도 된다.
또한, 주굴절율 na의 방향을 축으로 했을 경우, 주굴절율 nb 및 nc는 시계 방향 뿐만 아니라 반시계 방향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경사져도 된다. 주굴절율 nc의 방향을 축으로 했을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주굴절율(na 및 nb)은 시계 방향 뿐만 아니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경사져도 된다. 결과적으로, 위상차판(5a) 전체로서의 굴절율 타원체가 위상차판(5a)의 표면(x-y 평면)의 x축 또는 y축에 평행한 주굴절율 방향의 하나를 축으로 하여, 어떤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면 된다.
또, 상기의 주굴절율 nb가 경사져 있는 각도(θ), 즉 상기의 굴절율 타원체의 경사 각도(θ)가 15°≤θ≤75°의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굴절율 타원체의 경사 방향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위상차판(5a)이 나타내는 효과가 보증된다. 한편, 위상차판(5b)에 대해서는 위상차판(5a)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위상차판(5a, 5b)은, 투명한 지지체[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에 디스코딕 액정을 도포하고, 디스코딕 액정을 경사 배향이나 하이브리드 배향시켜 가교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위상차판(5a, 5b)의 지지체로서는, 일반적으로 편광판으로 자주 이용되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가 높은 신뢰성을 얻고 있기 때문에 적당하다. 그 이외에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칠렌텔레프탈레이트(PET) 등의 내환경성이나 내약품성에 우수한 무색 투명한 유기 고분자 필름이 적합하다.
본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1)에서는, 상기의 구성을 갖는 위상차판(5a, 5b)은,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광판(6)과 액정 표시 소자(4)의 사이, 또는/및 편광판(7)과 액정 표시 소자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이로써, 위상차판(5a, 5b)은 시각에 따라 생기는 정상광과 이상광의 위상차 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
즉, 액정 표시 장치(1)는, 액정 표시 소자(4)와 편광판(6, 7) 사이에 적어도 1매가 상기 구성을 갖는 위상차판(5a) 또는 위상차판(5b)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여기서, 액정 표시 장치(1)에서는, 위상차판(5a, 5b)과, 액정 표시 소자(4)에서의 액정층의 리타데이션(△n·d)과의 조합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상기 위상차판(5a, 5b)과 조합시킴으로써 가장 효과적으로 위상차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액정층의 리타데이션(△n·d)은 후술하는 실시예를 기초하여 300nm보다 크고 550nm보다 작은 범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굴절율 타원체의 3개의 주굴절율(na, nb, nc) 중, 주굴절율 nb가 경사진 위상차판(5a, 5b)과, 액정층의 리타데이션(△n·d)이 300nm보다 크고 550nm보다 작은 범위의 액정 표시 소자(4)를 조합시켜 액정 표시 장치(1)를 구성함으로써, 시각에 따라 생기는 정상광과 이상광의 위상차 변위를 보상하여 표시 화면의 품질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위상차판(5a, 5b)에 있어서는,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위상차판(5a, 5b)의 표면에 투영한 주굴절율 nb의 경사 방향(nb1, nb2)이 편광판(6, 7)의 흡수축(6a, 7a)과 평행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액정 표시 소자(4)의 상기 러빙 방향(2a, 3a)과 평행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주굴절율 nb의 경사 방향(nb1, nb2), 러빙 방향(2a, 3a) 및 편광판(6, 7)의 흡수축(6a, 7a)을 설정하면, 시각 의존에 수반하는 각종 현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상차판(5a)에 있어서, 그 위상차판(5a)의 주굴절율 nb의 상기 경사방향(nb1)은 편광판(6)의 흡수축(6a)과 평행하고, 또 위상차판(5a)에 인접한 글래스 기판(2)측의 러빙 방향(2a)과 반대 방향이고 동시에, 위상차판(5b)에 있어서도 그 위상차판(5b)의 주굴절율 nb의 상기 경사 방향(nb2)이 편광판(7)의 흡수축(7a)과 평행하며, 또 위상차판(5b)에 근접한 글래스 기판(3)측의 러빙 방향(3a)과 같은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주굴절율 nb의 경사 방향(nb1, nb2), 러빙 방향(2a, 3a) 및 편광판(6, 7)의 흡수축(6a, 7a)을 설정하면, 시각의 의존에 수반하는 각종 현상을 가장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부가하여, 액정 표시 소자(4)를 중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위상차판(5a, 5b)과 상기 편광판(6, 7)을 표리가 각각 동일한 것을 동일한 조건으로 하여 상기 액정 표시 소자(4)에 대해 접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1)의 제조 공정을 간편화하여 저비용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소자(4)의 양측에 위상차판(5a) 및 위상차판(5b)를 배치하고, 또 한 쌍의 편광판(6, 7)에 의해 이루어져 있는 구성을 취한다. 상기 구성에서는, 위상차판(5a, 5b)의 양쪽이 끼워져 있을 필요는 없고, 상술한 바와 같이 위상차판(5a) 또는 위상차판(5b)의 1매만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위상차판(5a, 5b)이 각각 2매 이상 끼워져 있어도 된다.
액정 표시 소자(4)는, 한 쌍의 글래스 기판(2, 3)의 표면에 대해서, ITO(인듐 주석 산화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전극층(8, 9), 또 그 위에 폴리이미드, 폴리비닐알콜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향막(10, 11)을 형성하고, 이 한 쌍의 글래스 기판(2, 3) 사이에 수지로 이루어지는 밀봉재(12)로 네마틱 액정 등으로 이루어지는 액정층(13)을 봉입함으로써 구성된다.
배향막(10, 11)의 각 표면은 봉입된 액정 분자가 약 90°의 비틀림 배향되도록, 미리 러빙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배향막(10)의 러빙 방향이 도 1a의 러빙 방향(2a)이고, 배향막(11)의 러빙 방향이 도 1a의 러빙 방향(3a)이다
상기 액정 표시 소자(4)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러빙 방향(2a)과 러빙 방향(3a)이 서로 직교하고 있다. 또한, 러빙 방향(2a)은 화면의 우측 방향에서 반시각 방향으로 45°의 기울기를 갖고 있음과 동시에, 러빙 방향(3a)은 화면의 우측 방향에서 정시각 방향으로 45°의 기울기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이상과 같이 위상차판(6, 7)의 굴절율 타원체에 있어서 굴절율 이방성이 부(-)이고, 또 주굴절율 nb가 경사져 있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액정 표시 소자(4)에 생기는 시각에 대응하는 위상차를 해소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주굴절율 nb의 경사 방향(nb1, nb2), 러빙 방향(2a, 3a) 및 편광판(6, 7)의 흡수축(6a, 7a)을 설정하면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위상차를 해소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1)에서는 흑백 표시에 있어서의 콘트라스트비가 더욱 향상되고,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품위가 현격하게 향상된다. 즉, 액정 표시 소자(4)에서의 반시각 방향의 콘트라스트비의 저하, 좌우 방향의 반전 현상, 착색 현상이 더욱 개선되어, 고품위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액정 표시 장치(1)의 구체적 실시예와 그 시각 의존성을 측정한 결과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액정 표시 장치(1)의 시각 의존성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액정 표시 장치(1)의 시각 의존성의 측정계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1)를 구성하는 액정 표시 소자(4)의 편광판(6)과의 접촉면(26)을 직교 좌표계(XYZ)의 기준면(X-Y)으로 설정한다. 또, 본 도면에서는, 위상차판(5a, 5b)에 대해서는 생략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접촉면(26)의 법선 방향(27)에 대해서 각도(ψ) 방향(28)에서, 좌표점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있는 위치에, 일정한 입체 수광각으로 수광하는 수광 소자(71)를 배치한다. 그리고, 편광판(7)측에서 파장 550nm의 단색광을 액정 표시 장치(1)로 입사한다. 또, 수광 소자(71)의 출력은 증폭기(72)에서 소정의 레벨로 증폭되어, 파형 메모리나 레코더 등의 기록 수단(73)에 의해 기록된다. 또한, 측정 방향은 상측 방향(반시각 방향), 우측 방향, 좌측 방향의 3방향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1)에 있어서, 액정 표시 소자(4)로서 네마틱 액정 재료의 리타데이션(△n·d)의 값을 각각 320nm, 420nm, 520nm로 설정한 액정층을 이용했다.
또한, 위상차판(5a, 5b)으로서, 투명한 지지체[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에 디스코딕 액정을 도포하고, 디스코딕 액정을 하이브리드 배향시켜 가교한 것이고,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상차판 전체로서 주굴절율(nc)과 주굴절율(na)의 차 및 위상차판(5a, 5b)의 두께(df)의 곱 (nc-na)×df를 의미하는 제1 리타데이션값이 0nm이고, 주굴절율(nc)과 주굴절율(nb)와의 차 및 위상차판(5a, 5b)의 두께(df)의 곱 (nc-nb)×df를 의미하는 제2 리타데이션값이 0nm이며, 또한 주굴절율 nb의 방향이 위상차판(5a 또는 5b)의 표면의 법선 방향에 대해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약 20°가 되도록 기울어 있고, 마찬가지로 주굴절율 nc의 방향이 표면에 대해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약 20°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위상차판을 이용했다.
이 위상차판(5a, 5b)은 그 위상차판(5a, 5b)에서의 굴절율 타원체의 경사 각도 θ가 θ=20°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1)를,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측정계에 설치하여, 수광 소자(71)가 일정한 각도(ψ)로 고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액정 표시 소자(4)로의 인가 전압에 대한 수광 소자(71)의 출력 레벨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액정 표시 장치(1)의 투과율-액정 인가 전압 특성으로서 도 5a, 도 5b 및 도 5c에 도시한다.
도 5a는 수광 소자(71)의 각도(ψ)를 50°로 설정했을 때, 도 3에서의 상측 방향으로부터의 측정을 행한 결과이다. 마찬가지로, 도 5b는 도 3에서의 우측 방향으로부터의 측정을 행한 결과이고, 도 5c는 도 3에서의 좌측 방향으로부터의 측정을 행한 결과이다.
또한, 도 5a, 도 5b 및 도 5c중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곡선(L1, L4, L7)은 액정층(13)의 리타데이션(△n·d)을 320nm로 설정했을 경우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실선으로 나타내는 곡선(L2, L5, L8)은 리타데이션(△n·d)을 420nm로 설정한 경우이고, 파선으로 나타내는 곡선(L3, L6, L9)는 리타데이션(△n·d)을 520nm로 설정했을 경우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이에 대해서, 실시예에 대한 비교예로서, 액정층(13)의 리타데이션(△n·d)의 값을 각각 300nm, 550nm로 설정한 이외에는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액정 표시 소자(4) 및 위상차판(5a, 5b)을 이용해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했다.
상기의 액정 표시 장치를 도 4에 도시한 측정계에 설치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광 소자(71)가 일정한 각도 φ로 고정된 경우의 액정 표시 소자(4)에의 인가 전압에 대한 수광 소자(71)의 출력 레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투과율-액정 인가 전압 특성으로서 도 6a, 도 6b 및 도 6c에 도시하였다.
도 6a는 수광 소자(71)의 각도를 φ=50°로 설정했을 때, 도 3에서의 상측 방향에서의 측정을 행한 결과이다. 마찬가지로, 도 6b는 도 3에 있어서의 우측 방향에서의 측정을 행한 결과이고, 도 6c는 도 3에 있어서의 좌측 방향에서의 측정을 행한 결과이다.
또한, 도 6a, 도 6b 및 도 6c 중에 실선으로 도시한 곡선 L10, L12, L14는 액정층(13)의 리타데이션(Δn·d)을 300㎚로 설정한 경우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파선으로 도시한 곡선 L11, L13, L15는 액정층(13)의 리타데이션(Δn·d)을 550㎚로 설정한 경우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각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측 방향(반시각 방향)의 투과율-액정 인가 전압 특성을 비교한 경우, 도 5a에서는 L1, L2, L3 모두 인가 전압을 상승시켜 가면 투과율이 충분히 낮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대하여 도 6a에서, L11은 도 5a의 L1, L2, L3과 비교하여 전압을 인가하여도 투과율이 충분히 낮아지지 않는다. 또한, L10은 전압을 인가해 가면 투과율이 한번 저하한 후 다시 상승하는 반전 현상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상기 각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우측 방향의 투과율-액정 인가 전압 특성을 비교한 경우, 도 5b에서는 L4, L5, L6 모두 인가 전압을 상승시켜 가면 투과율이 거의 0에 가까워 질 때까지 저하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 6b에서도 L12는 전압을 인가해 가면, 도 5b와 마찬가지로 투과율이 거의 0에 가까워 질 때까지 저하하지만, L13에 대해서는 상기의 반전 현상이 확인되었다.
상기의 각 액정 표시 소자에 대하여, 좌측 방향의 경우에도 우측 방향과 마찬가지로, 도 5c의 L7, L8, L9 및 도 6c의 L14는 전압을 인가해 가면, 모든 투과율은 거의 0이될 때까지 저하하지만, 도 6c의 L15는 반전 현상이 확인되었다.
또한, 액정층(13)의 리타데이션(Δn·d)의 값을 300㎚, 320㎚, 420㎚, 520㎚, 550㎚로 설정한 액정 표시 소자(4)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1)에 대하여 각각 백색광을 기초로 육안 확인을 행하였다.
상기 액정층(13)의 리타데이션(Δn·d)의 값을 320㎚, 420㎚, 520㎚로 설정한 것에 대해서는 시각을 눕힌 경우에도 색차는 확인되지 않고 양호한 화질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런데, 상기 액정층(13)의 리타데이션(Δn·d)의 값을 300㎚로 설정한 것에 대해서는 시각을 눕힌 경우에, 전압을 온으로 하면 적색의 착색이, 또한 상기 액정층(13)의 리타데이션(Δn·d)의 값을 550㎚로 설정한 것에 대해서는 시각을 눕힌 경우에 전압을 오프로 하면, 황색으로부터 주황색의 착색이 확인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a, 도 5b 및 도 5c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액정층(13)의 리타데이션(Δn·d)의 값을 320㎚, 420㎚, 520㎚로 한 경우에는, 전압을 인가해 가면 투과율은 충분히 저하하여 반전 현상도 볼 수 없다. 그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1)의 시야각이 확대되고, 착색 현상도 없고, 표시 품위가 현격하게 향상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도 5a에서 액정층(13)의 리타데이션(Δn·d)의 값이 420㎚ 이하로 되면, 특히 투과율의 저하가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그것에 대하여, 도 6a, 도 6b 및 도 6c에 도시한 비교예에서는 액정층(13)의 리타데이션(Δn·d)의 값을 300㎚ 이하, 또는 550㎚ 이상으로 한 경우는 시각 의존성이 충분하게 개선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위상차판(5a, 5b)으로서, 투명한 지지체에 디스코틱 액정을 경사 배향시킨 액정 표시 장치(1)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측정을 행한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상기 위상차판(5a, 5b)의 굴절율 타원체의 경사 각도 θ는 15°≤θ≤75°의 범위내이면, 위상차판(5a, 5b)에 있어서의 디스코틱 액정의 배향 상태와 관계없이, 상기 액정 표시 장치(1)의 투과율-액정 인가 전압 특성은 기본적으로 변화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액정 표시 장치의 시각 의존성을 개선하여, 그 품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액정 표시 소자와 편광자와의 사이에 위상차판을 적어도 1매 끼운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굴절율 타원체의 3개의 주굴절율 na, nb, nc가 na=nc>nb와 같은 관계를 갖는 위상차판에서 주굴절율(na 및 nc)의 한쪽이 위상차판의 표면에 평행하고, 그 평행을 이루는 주굴절율의 방향을 축으로 하여, 주굴절율 nb를 위상차판 표면의 법선 방향으로 평행한 상태에서 경사진 상태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의 굴절율 타원체가 경사진 위상차판을 이용한 경우에 액정층의 리타데이션(Δn·d)의 값은 300㎚보다 크고 550㎚보다 작은 범위내이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20㎚ 내지 520㎚의 범위내이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20㎚ 내지 420㎚ 범위내이면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액정 표시 소자에 있어서의 액정층의 리타데이션 Δn·d의 값을 320㎚ 내지 520㎚의 범위로 설정하면, 액정 표시 소자에 생기는 시각에 대응하는 위상차를 더욱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콘트라스트 변화, 좌우 방향의 반전 현상, 색차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항에서 행해진 구체적인 실시 태양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구체예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 청구 사항과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3)

  1. 대향하는 표면에 투명 전극층 및 배향막이 각각 형성된 1쌍의 투광성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봉입함으로써 구성되는 액정 표시 소자와,
    상기 액정 표시 소자의 양측에 배치되는 1쌍의 편광자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 표시 소자에 봉입된 상기 액정층에서 액정 재료의 굴절율 이방성(Δn)과 액정층의 두께(d)와의 곱(Δn·d)의 값이 300㎚보다 크고 550㎚보다 작은 범위임과 동시에,
    굴절율 타원체의 3개의 주굴절율(na, nb, nc)이 na=nc>nb라는 관계를 갖고, 주굴절율 na 및 nc 중 하나가 위상차판의 표면에 평행하고, 그 평행을 이루는 주굴절율의 방향을 축으로 하여 주굴절율 nb를 위상차판 표면의 법선 방향으로 평행한 상태에서 경사진 상태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굴절율 타원체가 경사진 위상차판을 구비하고,
    상기 투광성 기판에 근접하여 있는 상기 위상차판의 표면에 투영된 상기 주굴절율 nb의 경사 방향과 상기 투광성 기판의 러빙 방향을 평행하게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편광자에 근접한 상기 위상차판의 표면에 투영된 상기 주굴절율 nb의 경사 방향과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이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위상차판을 상기 액정 표시 소자와 상기 1쌍의 편광자 각각의 사이에 적어도 1매씩 배치한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Δn·d의 값이 320㎚ 내지 520㎚의 범위인 액정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Δn·d의 값이 320㎚ 내지 420㎚의 범위인 액정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기판 중 하나에 근접하여 있는 상기 위상차판의 주굴절율 nb의 상기 경사 방향과 상기 투광성 기판의 러빙 방향이 역방향이 되도록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투광성 기판 중 다른 하나에 근접하여 있는 상기 위상차판의 주굴절율 nb의 상기 경사 방향과 상기 투광성 기판의 러빙 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설정한 액정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율 타원체의 경사각이 15°이상 75°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판이 상기 액정 표시 소자와 상기 1쌍의 편광자 사이에 각각 1매씩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판은 상기 주굴절율 nc와 주굴절율 na의 차인 (nc-na)와, 상기 위상차판의 두께 df와의 곱인 제1 리타데이션값이 0㎚임과 동시에, 상기 주굴절율 nc와 주굴절율 nb의 차인 (nc-nb)와, 상기 위상차판의 두께 df와의 곱인 제2 리타데이션값이 100㎚인 액정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판이 상기 액정 표시 소자와 상기 1쌍의 편광자 사이에 각각 2매씩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투광성 기판의 대향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배향막의 러빙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투광성 기판의 대향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배향막의 러빙 방향 중 하나는 액정 표시 소자에 있어서의 화면의 우측 방향에서 반시각 방향으로 45°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져 있으며, 다른 하나는 상기 화면의 우측 방향에서 정시각 방향으로 45°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진 액정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서로 직교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에 이용되는 액정 재료가 네마틱 액정인 액정 표시 장치.
  13. 대향하는 표면에 투명 전극층 및 배향막이 각각 형성된 1쌍의 투광성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봉입함으로써 구성되는 액정 표시 소자와,
    상기 액정 표시 소자의 양측에 배치되는 1쌍의 편광자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 표시 소자에 봉입된 상기 액정층에서 액정 재료의 굴절율 이방성(Δn)과 액정층의 두께(d)와의 곱(Δn·d)의 값이 300㎚보다 크고 550㎚보다 작은 범위임과 동시에,
    굴절율 타원체의 3개의 주굴절율(na, nb, nc)이 na=nc>nb의 관계를 갖고, 상기 3개의 주굴절율 중 주굴절율 nb가 위상차판 표면의 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이고, 다른 주굴절율 na, nc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위상차판 표면에 평행한 상태에서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는 위상차판을, 상기 액정 표시 소자와 상기 편광자 사이에 적어도 1매씩 배치한 액정 표시 장치.
KR1019970053038A 1996-10-17 1997-10-16 액정 표시 장치 KR100269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74880A JPH10123503A (ja) 1996-10-17 1996-10-17 液晶表示装置
JP96-274880 1996-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886A KR19980032886A (ko) 1998-07-25
KR100269678B1 true KR100269678B1 (ko) 2000-10-16

Family

ID=17547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038A KR100269678B1 (ko) 1996-10-17 1997-10-16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44431A (ko)
JP (1) JPH10123503A (ko)
KR (1) KR1002696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8706A (ja) * 1995-09-01 1997-03-11 Ricoh Co Ltd 液晶表示素子
TW515925B (en) * 1996-12-25 2003-01-01 Sharp Kk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399795B2 (ja) * 1997-08-28 2003-04-21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6606143B1 (en) 1998-03-13 2003-08-12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phase element
FR2777361B1 (fr) * 1998-04-14 2003-06-20 Sextant Avionique Amelioration de l'angle de vue d'un ecran lcd par decroisement
US6989879B1 (en) * 1998-08-31 2006-01-24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rystal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0098385A (ja) * 1998-09-25 2000-04-07 Alps Electric Co Ltd 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3596756B2 (ja) * 1999-08-06 2004-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632497B2 (ja) * 2000-08-22 2011-02-16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US6771334B2 (en) * 2000-09-27 2004-08-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240119B (en) * 2003-08-06 2005-09-21 Optimax Tech Corp Polarizer for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liquid crystal display
KR100483352B1 (ko) 2004-07-27 2005-04-14 (주)파버나인 박판 편광판과 위상차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5094500B2 (ja) * 2008-03-28 2012-12-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8159624B2 (en) 2010-05-13 2012-04-17 Seiko Epson Corporation Projector
KR102442852B1 (ko) * 2018-09-04 2022-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투과도 가변 디바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3159A (ja) * 1992-05-12 1993-11-26 Fujitsu Ltd 液晶表示装置
JPH0675116A (ja) * 1992-06-26 1994-03-18 Sharp Corp 位相差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8527B (en) * 1978-06-08 1982-11-24 American Liquid Xtal Chem Liquid crystal displays
JPS5697318A (en) * 1980-01-07 1981-08-06 Hitachi Ltd Liquid-crystal display element
FR2595157B1 (fr) * 1986-02-28 1988-04-29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ellule a double couche de cristal liquide, utilisant l'effet de birefringence controlee electriquement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milieu uniaxe d'anisotropie optique negative utilisable dans cette cellule
DE68923929T2 (de) * 1988-11-04 1996-03-07 Fuji Photo Film Co Ltd Flüssigkristall-Anzeige.
US5303075A (en) * 1990-04-09 1994-04-12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phase difference plate having particular .DELTA.Δnxd at 45° angle to surface
JP3044681B2 (ja) * 1994-06-08 2000-05-2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5638200A (en) * 1995-02-03 1997-06-10 Ois Optical Imaging Systems, Inc. Liquid crystal display with tilted retardation fil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3159A (ja) * 1992-05-12 1993-11-26 Fujitsu Ltd 液晶表示装置
JPH0675116A (ja) * 1992-06-26 1994-03-18 Sharp Corp 位相差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44431A (en) 2000-11-07
JPH10123503A (ja) 1998-05-15
KR19980032886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75116A (ja) 位相差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0269678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32751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306177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277144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29069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30422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290267B1 (ko) 액정표시장치
JP3599176B2 (ja) 液晶表示装置
JP3452743B2 (ja) 液晶表示装置
JP3556653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3770400B2 (ja) 液晶表示装置
JP3555895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3555894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3452744B2 (ja) 液晶表示装置
JP3776432B2 (ja) 液晶表示装置
JP3044200B2 (ja) 液晶表示装置
JP3770401B2 (ja) 液晶表示装置
JP3776433B2 (ja) 液晶表示装置
JP3452478B2 (ja) 液晶表示装置
JPH11258591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