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9405B1 - A sound output effective appratus and this control method of music box to support a real voice chorus - Google Patents

A sound output effective appratus and this control method of music box to support a real voice chor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9405B1
KR100269405B1 KR1019970064978A KR19970064978A KR100269405B1 KR 100269405 B1 KR100269405 B1 KR 100269405B1 KR 1019970064978 A KR1019970064978 A KR 1019970064978A KR 19970064978 A KR19970064978 A KR 19970064978A KR 100269405 B1 KR100269405 B1 KR 100269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utput
speaker
effect
cho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49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46839A (en
Inventor
정영완
Original Assignee
정영완
주식회사아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완, 주식회사아싸 filed Critical 정영완
Priority to KR1019970064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9405B1/en
Publication of KR19990046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8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4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3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using optical disks, e.g. CD, CD-ROM, to store accompaniment information in digital for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10H1/06Circuits for establishing the harmonic content of tones, or other 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tone colour
    • G10H1/08Circuits for establishing the harmonic content of tones, or other 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tone colour by combining tones
    • G10H1/10Circuits for establishing the harmonic content of tones, or other 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tone colour by combining tones for obtaining chorus, celeste or ensemble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Abstract

PURPOSE: A controlling method for an output of a sound from a Karaoke system is provided to vary sound effect through installing plural speakers in a space and successively switching music data from a sound source by a multiplexer. CONSTITUTION: A selected music is outputted according to an established pitch and tempo while deciding selection of an output effect function. In case of selection of a sound rotating mode, an effect sound is outputted for add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to the sound such as surrounding effect. In case of selection of a sound crossing mode, the effect sound is outputted for supplying crossing effect of sound to the user. In case of establishing location of a user, a volume of each sound is adjusted. In case of selecting an output select mode, the music is outputted through a corresponding speaker.

Description

육성 코러스지원 노래방시스템의 음출력 효과장치 및 그 제어방법Sound output effect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nurturing chorus supported karaoke system

본 발명은 육성 코러스지원 노래방시스템의 음출력 효과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래방의 측면 공간에 다수개의 스피커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 채널로 입력되는 음악을 스위칭 동작하고 전자볼륨을 통해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음의 출력 효과를 다향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육성코러스 지원 노래방시템의 음출력 효과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output effect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foster chorus support karaoke system, in particular, having a plurality of speakers in the side space of the karaoke, switching the music input to each channel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electronic volu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output effect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a vocal chorus system for supporting chorus, which can diversify the sound output effect by controlling it individually.

일반적으로 육성 코러스가 제공되고 있는 노래방 시스템은 크게 기존의 연주음악을 출력하는 음악연주부와 이 음악연주부에서 출력되는 연주음에 대응되어 저장된 육성 코러스를 지원하는 코러스연주부로 구분된다. 여기서 이 코러스연주부는 씨디나 별도의 하드 디스크등의 기억장치를 사용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육성으로 녹음하여 재생하는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많은 용량의 육성 코러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압축 방법인 MPEG Audio Layer2를 사용하여 기록하고 있다.Generally, a karaoke system in which a fostering chorus is provided is largely divided into a music player that outputs existing performance music and a chorus player that supports a fostered chorus that is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performance sound output from the music player. Here, the chorus player uses a system to digitally record and play back using a storage device such as a CD or a separate hard disk, and in particular, to process a large amount of growing chorus data, MPEG Audio Layer 2 Is recorded.

즉, 이와같은 일반적인 육성 코러스지원 노래방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음악연주에 해당하는 번호를 선곡하거나 음정,빠르기등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키가 포함된 키 입력부(50)와, 이 키 입력부(50)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노래방 시스템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메인시스템 제어부(52)과, 이 메인시스템 제어부(52)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된 음악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악연주부(54)와, 상기 메인시스템 제어부(52)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압축 저장된 육성코러스 신호를 원신호로 복조하여 출력하는 코러스연주부(56)와, 이 코러스연주부(56) 및 음악연주부(54)로부터 출력되는 육성 코러스신호 및 음악 연주 신호를 혼합하는 믹서부(58)와, 이 믹서부(58)를 통해 혼합된 음악연주 및 육성 코러스를 스테레오로 외부로 출력하는 제 1 및 제 2스피커(60,61)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general fostering chorus support karaoke system as shown in FIG. 1 includes a key input unit 50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for select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a music performance or setting a pitch, a speed, and the like. Main system controller 52 for controlling the overall function of the karaoke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50, and music player for outputting the stored music data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system controller 52 And a chorus playing section 56 for demodulating and outputting the fostered chorus signal compressed and stor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system controller 52 into an original signal, and the chorus playing section 56 and the music playing. Mixer unit 58 for mixing the fostering chorus signal and the music performance signal output from the unit 54 and the music playing and fostering choruses mixed through the mixer unit 58 in stereo. It consists of the 1st and 2nd speakers 60 and 61 which output negatively.

한편,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욱성 코러스를 지원하는 노래방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karaoke system supporting the Ukseong chorus composed of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키 입력부(50)의 다수 키를 조합하여 순서적으로 번호를 입력하거나 음정 및 빠르기 모드키를 설정하게 되면 이에 따른 신호는 메인시스템 제어부(52)으로 입력된다. 그러면 이 메인시스템 제어부(52)은 그 제어 신호로서 음악연주부(54)에 저장된 해당 음악연주를 출력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 음악연주부(54)에 저정된 음악 연주는 믹서부(58)를 경유해 스피커(58)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음악 연주가 육성 코러스를 지원하는 곡일 경우에는 상기 메인시스템 제어부(52)은 그 제어 신호로써 코러스 연주부(56)에 압축 저장된 육성 코러스에 해당하는 신호를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 믹서부(58)로 출력한다.First, when a user inputs a number or sets a pitch and speed mode key by combining a plurality of keys of the key input unit 50,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input to the main system controller 52. The main system controller 52 then outputs the corresponding music performance stored in the music player 54 as the control signal. Therefore, the music performance stored in this music player 54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58 via the mixer 58. In this case, when the music performance set by the user is a song supporting the fostering chorus, the main system controller 52 controls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ostering chorus stored and compressed in the chorus player 56 as the control signal at a predetermined time. 58).

따라서, 이 믹서부(58)에서는 음악연주 및 육성코러스를 설정된 신호에 따라 혼합처리 후 제 1스피커(60) 및 제 2스피커(61)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악연주 뿐만 아니라 육성 코러스를 지원받아 노래를 부를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mixer unit 58 outputs the music performance and the growth chorus through the first speaker 60 and the second speaker 61 after the mixing process according to the set signal, so that the user is supported not only the music performance but also the growth chorus. Allow them to sing.

한편, 이와같은 노래방 시스템에는 청음자가 출력되는 연주음이나 스피커를 통해 입력되는 음을 더욱더 생동감있게 하기 위해 키 입력부(50)에는 다수의 기능 버튼이 설치되는데 그 일예로서는 상기 제 1스피커(61) 및 제 2스피커(62)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특정한 에코(Echo)와 잔향(Reverbration)을 주기 위한 기능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such a karaoke system,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are installed in the key input unit 50 so as to make the sound input through the speaker or the sound output by the listener more vivid. For example, the first speaker 61 and There is a function for giving a specific echo and reverberation to the audio signal output to the second speaker 62.

그러나 음악의 종류에 따라 클래식인 경우 콘서트 홀에와 있는 효과를, 록 음악인 경우 라이브 공연장에 와있는 효과를, 그리고 댄스 뮤직인 경우에는 디스코 텍에 와있는 것 같은 효과를 주기위해서 종래의 코러스 지원 노래방 시스템에서는 출력되는 연주음이나 코러스 음을 편곡에 의해 각 연주 악기음의 패턴이나 에코등이 미리 설정된 상태에서 출력되도록 하고 있어 현장감을 줄수 있지만 정작 노래방기기가 설치된 공간에 따른 현장감을 살리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즉, 일정공간의 노래방내에 설치되는 스피커는 보통 전면에 2개 정도가 설치되는데 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연주음은 단지 스테레오음이나 잔향효과등으로는 노래방 공간의 극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Depending on the type of music, however, the classical chorus-supported karaoke would have the effect of being in a concert hall for classical music, the effect of being in a live venue for rock music, and the effect of being in a discotheque for dance music. In the system, the playing sound or chorus sound is output by arranging the pattern or echo of each playing instrument sound by arranging it. . In other words, the speaker installed in a karaoke of a certain space is usually installed in the front of about two, the sound output through this speaker was difficult to expect the dramatic effect of the karaoke space only by stereo sound or reverberation effect, etc. .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노래방 시스템이 설치되는 일정 공간내에는 다수개의 스피커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자체 내장된 음원에서 각각 채널별로 편곡되어 출력되는 음악 데이터를 멀티플렉서에 의해 순차적으로 스위칭동작시키고 전자볼륨에 의해 개별제어를 함으로서 음악출력 효과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한 육성 코러스지원 노래방시스템의 음출력 효과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music data i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a karaoke system is installed with a plurality of speaker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rranged by each channel in the sound source built-in each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und output effect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fostering chorus-supporting karaoke system that can express various music output effects by sequentially switching operation by a multiplexer and individually controlling by electronic volume.

그리고 이와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노래 선곡번호, 빠르기 및 음정에 해당하는 전반적인 노래방 시스템의 제어를 담당하는 메인시스템 제어부과, 이 메인시스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된 음악연주를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음악연주부와, 상기 메인시스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압축 저장된 씨디내의 육성 코러스를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코러스연주부와, 이 코러스연주부 및 음악연주부로부터 출력되는 코러스음과 음악연주에 해당하는 음악 데이터를 각 채널로 분리 및 스위칭 작용으로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와, 이 멀티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각 채널의 음악 신호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각 스피커로 출력하는 전자볼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in system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overall karaoke system corresponding to a song selection number, speed, and pitch inputted through a key input unit, and music stor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main system controller. A music player for signal processing and outputting a performance, a chorus player for signal processing and outputting a growing chorus in a compressed and stored C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main system controller, and a chorus output from the chorus player and music player It consists of a multiplexer that sequentially outputs music data corresponding to sound and music to each channel by separating and switching, and an electronic volume that individually controls music signals of each channel output from the multiplexer and outputs them to each speaker. It features.

도 1은 일반적인 육성 코러스를 지원하는 노래방 시스템의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of a karaoke system supporting a general foster choru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시스템의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of a karao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 노래방 공간에서의 음회전 효과 및 청음자 위치에 따른 연주음 출력상태를 보여주는 도면.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ound output effect according to the sound rotation effect and the position of the listener in the karaoke room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노래방 공간에서의 음교차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 sonic cross effect in the karaoke space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시스템의 일 실시예로 음출력 효과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sound output effec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karao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키 입력부 2 : 메인시스템 제어부1: Key Input 2: Main System Control

3 : 음악연주부 4 : 코러스연주부3: music player 4: chorus player

5 : 멀티플렉서 6 : 전자볼륨5: multiplexer 6: electron volume

7 : 믹서부 8 : 제 1스피커7: mixer section 8: first speaker

9 : 제 2스피커 10 : 제 3스피커9: 2nd Speaker 10: 3rd Speaker

11 : 제 4스피커11: fourth speaker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육성코러스를 지원하는 노래방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의 다수 키를 통해 노래 선곡번호 및 음 출력효과 모드를 설정하는 키 입력부(1)와, 이 키 입력부(1)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전반적인 노래방 시스템의 제어를 담당하는 메인시스템 제어부(2)과, 이 메인시스템 제어부(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된 음악연주 데이터를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음악연주부(3)와, 상기 메인시스템 제어부(2)의 제어신호에 따라 압축 저장된 씨디내의 육성코러스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출력하는 코러스연주부(4)와, 이 코러스연주부(4) 및 음악연주부(3)로부터 출력되는 음악연주 및 코러스음에 해당하는 음악 데이터를 상기 메인시스템제어부(2)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 채널로 분리 및 스위칭 작용으로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5)와, 이 멀티플렉서(5)로부터 출력되는 각 채널의 음악 신호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효과음 상태로 음악연주를 출력하는 전자볼륨(6)으로 이루어진다.The karaoke system supporting the fostering chor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key input unit 1 for setting a song selection number and a sound output effect mode through a plurality of specific keys as shown in FIG. 2, and the key input unit 1. The main system control unit 2 which controls the overall karaoke system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the music playing unit 3 which processes and outputs the stored music performance data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ain system control unit 2. And a chorus playing portion 4 for processing and outputting the growing chorus data in the compressed and stored C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ain system controller 2, the chorus playing portion 4 and the music playing portion 3; Multiplexed to sequentially output the music data corresponding to the music performance and chorus sound output from the channel by separating and switching to each channe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ain system control unit (2) It comprises a unit 5, a multiplexer 5, the electronic volume (6) by controlling the music signals of the respective channels individually for outputting the music played by the sound effect output from the state.

그리고 상기 전자볼륨(6)의 후단에는 4개의 스피커단(SP)가 연결되는데 여기서 제 1스피커(8)와 제 2스피커(9)는 노래방 공간의 전면 양측에 설치되고, 또한 제 3스피커(10) 및 제 4스피커(11)는 노래방 공간의 후면 양측에 설치되어 전면의 스피커(8,9)와 대향되도록 설치된다.Four speaker stages (SP) ar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electronic volume (6), where the first speaker (8) and the second speaker (9)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karaoke space, and also the third speaker (10). ) And the fourth speaker 11 are installed at both rear sides of the karaoke space to face the front speakers (8, 9).

한편,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키 입력부(1)를 통해 곡 번호의 선곡 및 그에 따른 음정을 설정하게 되면 이 신호는 메인시스템 제어부(2)로 입력된다. 그러면 이 메인시스템 제어부(2)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제어신호는 음악연주부(3) 및 코러스 연주부(4)로 입력됨으로서 설정된 음정에 맞게 음악 연주가 시작되고 이 음악 연주중 해당 시간에 육성의 코러스도 연주된다. 즉, 상기 메인시스템 제어부(2)의 제어신호에 따라 음악연주부(3) 및 코러스연주부(4)는 저장된 해당 연주 음악 데이터 및 코러스 데이터를 출력하게 되고 그 신호는 멀티플렉서(5)를 통해 다중의 채널로 분리되어 전자볼륨(6)으로 입력된다. 그러므로 이 전자볼륨(6)은 각 채널로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일정한 레벨로 볼륨조정하고 그에 따른 오디가 신호가 각 스피커단(SP)로 입력됨으로서 결국 제 1스피커(8), 제 2스피커(9), 제 3스피커(10) 및 제 4스피커(11)로는 일정레벨의 가청주파수대의 음악연주와 코러스음이 출력된다.First, when the user sets the music selection of the song number and its pitch through the key input unit 1, this signal is input to the main system control unit 2. Then, the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outputted from the main system control unit 2 is input to the music player 3 and the chorus player 4 so that music playing starts according to the set pitch, and the chorus that is raised at the corresponding time during the music play. Is also played. That is, the music player 3 and the chorus player 4 output the stored performance music data and chorus data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ain system controller 2 and the signals are multiplexed through the multiplexer 5. It is separated into the channel of and is input to the electron volume 6. Therefore, the electronic volume 6 adjusts the audio signal input to each channel to a constant level, and accordingly the audio is input to each speaker stage SP, so that the first speaker 8 and the second speaker 9 ), The third speaker 10 and the fourth speaker 11 outputs the music performance and chorus sound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of a predetermined level.

한편, 노래방 공간내에 위치한 사용자가 음의 청음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해 키 입력부(1)를 통해 출력음 효과모드를 설정하게 되면 그 해당 모드의 설정에따라 각 스피커단(SP)로 출력되는 음악연주가 연속적으로 청음자의 주위를 회전하는 효과를 주는 회전효과 모드를 설정하면 그에따른 신호는 메인시스템제어부(2)로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메인시스템제어부(2)의 제어신호에 따라 멀티플렉서(5)로 입력되는 음악연주 데이터 및 코러스 연주 데이터는 다중 채널로 분리됨과 동시에 각 채널의 스위칭 동작에 따른 오디오 신호가 전자볼륨(6)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이 전자볼륨(6)에서는 각 채널로부터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각 스피커 (8,9,10,11)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located in the karaoke space to set the output sound effect mode through the key input unit (1) to increase the sound listening effect of the music is output to each speaker stage (SP) in accordance with the setting of the corresponding mode is continuous By setting the rotation effect mode to give the effect of rotating around the listener to the resulting signal is input to the main system control unit (2). Then, the music performance data and the chorus performance data input to the multiplexer 5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ain system controller 2 are separated into multiple channels, and the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of each channel is transferred to the electronic volume 6. Is entered. Therefore, in the electronic volume 6, the audio signals sequentially input from the respective channels are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spective speakers 8, 9, 10, and 11.

이때, 상기 각 스피커(8,9,10,11)를 통해 출력되는 음악연주음 및 코러스 연주음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같이 노래방 공간의 각 측면에 부착된 공간을 회전하게 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노래방의 적정위치에서 출력되는 연주음을 청취하고 노래를 부르게 되면 제 1스피커(8)에서 출력되는 음은 서서히 공간적으로 청취감이 멀어지게되고 그 멀어지는 음은 공간적으로 청취감이 제 2스피커(9)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제 2스피커(9)로 이동된 소정의 음은 재차 공간적으로 멀어지면서 제 4스피커(11)로 공간 이동을 하게되고 이 제 4스피커(11)로 이동된 오디오 음은 또한 제 3스피커(10)의 위치로 이동하여 서서히 사용자의 청취 공간이 제 1스피커(8)로 이동한다. 즉, 이와같이 노래방 내부공간에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각 스피커(8,9,10,11)로부터 출력되는 음이 계속적으로 청음자를 중심으로 제 1스피커(8)에서 제 2스피커(9)로, 제 2스피커(9)에서 제 4스피커(11)로 ,제 4스피커(11)에서 제 3스피커(10)로 다시 제 3스피커(10)에서 제 1스피커(8)로 공간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청음자는 흡사 스피커가 청음자를 중심으로 빠르게 회전하면서 연주음 및 코러스음을 출력하는 것으로 인식함으로 음의 공간적 입체감을 느낄수 있다.At this time, the music playing sound and the chorus playing sound output through each of the speakers 8, 9, 10, and 11 rotate the space attached to each side of the karaoke space as shown in FIG. For example, when a user listens to a performance sound output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a karaoke room and sings a song, the sound output from the first speaker 8 gradually loses a sense of listening spatially, and the far away sound has a spatial sense of listening. Move to the second speaker (9). Then, the predetermined sound moved to the second speaker 9 is spatially separated again and moves to the fourth speaker 11, and the audio sound moved to the fourth speaker 11 also receives the third speaker ( 10, the user's listening space gradually moves to the first speaker 8. That is, the sound output from each of the speakers 8, 9, 10, and 11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karaoke interior space continuously from the first speaker 8 to the second speaker 9 centered on the listener. Hearing as it spatially rotates from the second speaker 9 to the fourth speaker 11, the fourth speaker 11 to the third speaker 10 and back from the third speaker 10 to the first speaker 8 The speaker can perceive the spatial three-dimensionality of the sound by recognizing that the speaker rotates around the listener and outputs the playing sound and the chorus sound.

한편, 상기 사용자가 키 입력부(1)를 통해 교차효과 모드를 설정하면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여러 형태로 음의 공간적 이동이 발생한다. 여기서 도 4a에 도시된 것은 사용자의 키 선택에 의해 좌우음 교차모드가 설정될 때의 음의 공간 이동을 보여주고 있다. 즉, 청음자가 노래방의 적정공간(P)에 위치할 때 제 1스피커(8)에서 출력되는 음은 시간적인 차이를 두고 청음자를 중심으로 제 2스피커(9)로 이동되고 또한 제 3스피커(10)에서 출력되는 연주음악은 시간적인 차이를 두고 청음자를 중심으로 제 4스피커(11)로 이동되다. 그러므로 청음자는 연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좌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느낌을 받아 공간적인 입체감을 인식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연주음이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이동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ts the cross effect mode through the key input unit 1, as shown in FIG. 4, negative spatial movement occurs in various forms. 4A illustrates a negative spatial shift when the left and right sound crossover mode is set by the user's key selection. That is, when the listener is located in the appropriate space (P) of the karaoke, the sound output from the first speaker 8 is moved to the second speaker (9) around the listener with a time difference and the third speaker (10). Play music output from the) is moved to the fourth speaker 11 around the listener with a time difference. Therefore, the listener perceives the spatial stereoscopic feeling by feeling that the speaker outputting the performance sound moves from left to right. The sound may be selected to be moved from left to right or right to left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것은 사용자의 키 선택에 의해 앞뒤음 교차모드가 설정될 때의 음의 공간 이동을 보여주고 있다. 즉, 청음자가 노래방의 적정공간(P)에 위치할 때 제 1스피커(8)에서 출력되는 음은 시간적인 차이를 두고 청음자를 중심으로 제 3스피커(10)로 이동되고 또한 제 2스피커(9)에서 출력되는 연주음악은 시간적인 차이를 두고 청음자를 중심으로 제 4스피커(11)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청음자는 연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전면측에서 후면측으로 이동하는 느낌을 받아 공간적인 입체감을 인식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연주음이 전면측에서 후면측으로 또는 후면측에서 전면측로 이동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4B shows a negative spatial movement when the front and rear crossover mode is set by the user's key selection. That is, when the listener is located in the appropriate space (P) of the karaoke, the sound output from the first speaker 8 is moved to the third speaker 10 around the listener with a time difference and the second speaker 9 Playing music output from the) is moved to the fourth speaker 11 around the listener with a time difference. Therefore, the listener perceives the spatial stereoscopic feeling by feeling that the speaker outputting the performance sound moves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Here, according to the user's key input, the sound may be selected to be mov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r from the rear side to the front side.

또한, 도 4c에 도시된 것은 사용자의 키 선택에 의해 대각선음 교차모드가 설정될 때의 음의 공간 이동을 보여주고 있다. 즉, 청음자가 노래방의 적정공간(P)에 위치할 때 제 1스피커(8)에서 출력되는 음은 시간적인 차이를 두고 청음자를 중심으로 제 4스피커(11)로 이동되고 또한 제 2스피커(9)에서 출력되는 연주음악은 시간적인 차이를 두고 청음자를 중심으로 제 3스피커(10)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청음자는 연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전면측에서 대각방향으로 이동하는 느낌을 받아 공간적인 입체감을 인식한다.In addition, shown in FIG. 4C shows a negative spatial movement when the diagonal tone crossing mode is set by the user's key selection. That is, when the listener is located in the appropriate space P of karaoke, the sound output from the first speaker 8 is moved to the fourth speaker 11 around the listener with a time difference, and the second speaker 9 Playing music output from the) is moved to the third speaker 10 around the listener with a time difference. Therefore, the listener perceives the spatial stereoscopic feeling by feeling that the speaker which outputs the performance sound moves diagonally from the front side.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이 코러스음을 지원하는 노래방 시스템이 갖추어진 일정한 노래방 공간을 9개의 패턴으로 분할하고 청음자의 위치에 해당하는 번호를 입력함으로서 청음자가 느끼는 음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데 예를들어 청음자가 노래방 공간상에 패턴번호 1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으면 키 입력부(1)를 통해 패턴번호1을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제 1스피커(8)에서 출력되는 음악연주의 음레벨은 제 4스피커(11)에서 출력되는 음 레벨보다 상재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또한 제 3스피커(10) 및 제 2스피커(9)에서 출력되는 음의 레벨은 제 1스피커(8)에서 출력되는 음의 볼륨보다는 크고 제 4스피커(11)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볼륨보다는 낮은 값으로 설정된다. 즉, 이와같이 9개의 패턴에 따른 청음자의 위치를 선택함에 따라 노래방에 각 위치에 설치된 스피커의 음 볼륨은 적정하게 조절된다. 한편, 청음자가 상기 모드를 설정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청음자가 패턴번호 5에 위치가 것으로 설정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b by dividing a certain karaoke space equipped with a karaoke system supporting chorus sound into nine patterns and by inputt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istener can adjust the volume of the sound felt by the listener. For example, when the listener i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number 1 on the karaoke space, the pattern number 1 is select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1. Then, the sound level of the music performance output from the first speaker 8 is lower than the sound level output from the fourth speaker 11. In addition, the level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third speaker 10 and the second speaker 9 is greater than the volum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first speaker 8 and lower than the audio volume output from the fourth speaker 11. Is set. That is, by selecting the position of the listener according to the nine patterns in this way, the sound volume of the speaker installed at each position in the karaoke is adjusted appropriately. On the other hand, if the listener does not set the mode, the listener is automatically set to the position in pattern number 5.

또한, 보통 각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연주음악은 각각 독립적으로 출력되지만 청음자의 선택모드에 따라 전면에 설치된 제 1스피커(8)와 제 2스피커(9)에서만 연주음이 출력되도록 할수 있으며 또한 제 3스피커(10)와 제 4스피커(11)에서만 연주음이 출력되도록 할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performance music output through each speaker is outpu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performance sound can be output only from the first speaker 8 and the second speaker 9 installed at the front according to the selection mode of the listener. Performance sound can be output only from the speaker 10 and the fourth speaker 11.

한편, 이와같이 청음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효과를 갖는 연주음을 출력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look at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outputting the performance sound having a variety of effects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of the listener as follows.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노래방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초기상태(S1)는 노래선곡 입력단계(S2)로 진행한다. 그러면 이 노래선곡 입력단계(S2)에서는 연주음을 출력하고자 해당번호,빠르기 및 음정을 설정하고 연주음 출력단계(S3)로 진행한다. 이에 이 연주음 출력단계(S3)에서는 입력된 정보에 따라 해당 연주곡을 설정된 음정 및 빠르기로 출력하고 출력음 효과모드 설정 판단단계(S4)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이 출력음 효과모드 설정 판단단계(S4)에서 판단한 결과 출력되는 연주음에 효과를 첨가하기 위한 모드가 설정됨으로 판단되면 연주음 회전모드 판단단계(S5)로 진행한다. 이때 이 연주음 회전모드 판단단계(S5)에서 판단한 결과 연주음 회전효과 모드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정회전모드 판단단계(S6)로 진행한다. 따라서 이 정회전모드 판단단계(S6)에서 판단한 결과 연주음의 정회전 방향모드가 설정됨으로 판단되면 정회전 효과음 출력단계(S7)로 진행하여 노래방 공간에 설치된 스피커가 시계방향으로 공간적으로 이동하여 연주음을 출력하며 본 루프를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 정회전모드 판단단계(S6)에서 판단한 결과 연주음의 정회전 방향모드가 설정되지 않음으로 판단되면 역회전 효과음 출력단계(S8)로 진행하여 노래방 공간에 설치된 스피커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공간적으로 이동하여 연주음을 출력하며 본 루프를 종료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initial state S1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karaoke system to perform a normal operation proceeds to the song selection step S2. Then, in this song selection input step (S2) to set the corresponding number, speed and pitch to output the performance sound, and proceeds to the performance sound output step (S3). Accordingly, in the performance sound output step S3, the corresponding performance music is output at the set pitch and speed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and the output sound effect mode setting determination step S4 is performed. Therefore, when it is determined in the output sound effect mode setting determining step S4 that the mode for adding an effect to the output sound is set, the process proceeds to the sound revolving mode determining step S5.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laying sound rotation effect mode is set as the result determined in the playing sound rotation mode determination step (S5), the flow proceeds to the forward rotation mode determination step (S6). Therefore, when it is determined in the forward rotation mode determination step (S6) that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mode of the performance sound is set, the flow proceeds to the forward rotation effect sound output step (S7) and the speaker installed in the karaoke space is spatially mov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o play. This loop ends with a sound output. If it is determined in the forward rotation mode determination step (S6) that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mode of the performance sound is not set, the process proceeds to the reverse rotation effect sound output step (S8) and the speaker installed in the karaoke space is spatially counterclockwise. Move to output your performance and end this loop.

한편, 상기 연주음 회전모드 판단단계(S5)에서 판단한 결과 연주음 회전효과 모드가 설정되지 않음으로 판단되면 연주음 교차모드 판단단계(S9)로 진행한다. 그러면 이 연주음 교차모드 판단단계(S9)에서 판단한 결과 연주음의 교차효과를 위한 모드가 설정됨으로 판단되면 전후교차모드 판단단계(S10)로 진행한다. 따라서 이 전후교차모드 판단단계(S10)에서 판단한 결과 노래방의 공간 전면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연주음이 후면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연주음과의 교차모드로 판단되면 전후교차 연주음 출력단계(S11)로 진행하여 전후가 교차된 효과를 가진 연주음을 출력하고본 루프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laying sound rotation effect mode is not set as determined in the playing sound rotation mode determination step (S5) proceeds to the playing sound cross-mode determination step (S9). The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for the cross effect of the performance sound is set as determined in the performance sound cross-mode determination step (S9), the process proceeds to the front and rear cross-mode determination step (S10). Therefore, as a result of judging in the front and rear cross mode determination step (S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laying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in front of the space of the karaoke is in a cross mode with the playing sound output from the rear speaker, then the step back and forth crossing sound output step (S11) Proceed, output the performance sound with the crossed effect before and after, and end this loop.

그리고 상기 전후교차모드 판단단계(S10)에서 판단한 결과 전후 교차모드가 설정되지 않음으로 판단되면 좌우교차모드 판단단계(S12)로 진행한다. 따라서 이 좌우교차모드 판단단계(S12)에서 판단한 결과 전면의 청음자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설치된 스피거에서 출력되는 연주음이 교차되는 모드가 설정됨으로 판단되면 좌우교차 연주음 출력단계(S13)로 진행하여 청음자를 중심으로 좌우가 교차되는 연주음을 출력하고 본 루프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 좌우교차모드 판단단계(S12)에서 판단한 결과 좌우 교차음 모드가 설정되지 않음으로 판단되면 대각 교차음 출력단계(S14)로 진행하여 청음자를 중심으로 대각방향으로 연주음이 교차되도록 출력하고 본 루프를 종료한다.When it is determined in the cross-back mode determination step (S10)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cross-back mode is not set, the flow proceeds to the cross-right mode determination step (S12). Therefore, when it is judged in this left and right cross mode determination step (S12) that the mode in which the playing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is set centered on the front listener, the process proceeds to the left and right cross play sound output step (S13). End the loop by outputting the sound with the left and right crossings around the ruler.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in the left and right cross mode determination step (S12) that the left and right cross sound mode is not set, the process proceeds to the diagonal cross sound output step (S14), and outputs the sound to cross in the diagonal direction centering on the listener. End the loop.

한편, 상기 연주음 교차모드 판단단계(S9)에서 판단한 결과 연주음 교차 모드가 설정되지 않음으로 판단되면 청음위치 설정 판단단계(S15)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이 청음위치 설정 판단단계(S15)에서 판단한 결과 청음위치에 따른 모드가 설정됨으로 판단되면 청음위치 선택단계(S16)로 진행한다. 따라서 이 청음위치 선택단계(S16)에서는 청음자에 의해 적정위치가 설정되고 최적레벨 조정 연주음 출력단계(S17)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이 최적레벨 조정연주음 출력단계(S17)에서는 청음자의 위치에 적절하게 각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연주음의 레벨이 조정되어 출력되고 본 루프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laying sound cross mode is not set as determined in the playing sound cross mode determining step (S9), the process proceeds to the listening position setting determining step (S15). Therefore, when it is determined in the listening position setting determining step (S15) that the mode according to the listening position is set, the procedure goes to the listening position selecting step (S16). Therefore, in this listening position selection step S16, the proper position is set by the listener, an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optimum level adjustment performance sound output step S17. Therefore, in this optimum level adjustment performance sound output step S17, the level of the performance sound output from each speaker is adjusted and output appropriately at the position of the listener, and this loop ends.

그리고 상기 청음위치 설정 판단단계(S15)에서 판단한 결과 청음위치에 따른 모드가 설정되지 않음으로 판단되면 출력선택모드 판단단계(S18)로 진행한다. 그러면 이 출력선택모드 판단단계(S18)에서 판단한 결과 출력 스피커의 선택모드로 판단되면 출력스피커 설정단계(S19)로 진행한다. 따라서 이 출력스피커 설정단계(S19)에서는 출력하고자 할 스피커를 설정하고 연주음출력단계(S20)으로 진행하여 설정된 해당 스피커에서만 연주음을 출력하고 본 루프를 종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선택모드 판단단계(S18)에서 판단한 결과 출력 스피커의 선택모드가 설정되지 않음으로 판단되면 출력음 효과모드 설정 판단단계(S4)로 진행하여 본 루프를 반족적으로 수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the listening position setting determination step (S15) that the mode according to the listening position is not set, the process proceeds to the output selection mode determination step (S18). Then, if it is determined in the output selection mode determination step (S18)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put speaker selection mode, the process proceeds to the output speaker setting step (S19). Therefore, in this output speaker setting step (S19) to set the speaker to be output and proceeds to the performance sound output step (S20) to output the performance sound only in the set speaker and the end of this loop. If it is determined in the output selection mode determination step (S18) that the selection mode of the output speaker is not set, the process proceeds to the output sound effect mode setting determination step (S4) and satisfactorily performs this loop.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 공간을 갖는 노래방내에 청음자를 중심으로 전후좌우에 각각 스피커를 설치하고 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연주음을 연주음 회전모드, 연주음 교차모드, 청움위치 설정모드 및 출력선택모드를 청음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하도록 하여 청음자가 연주음의 출력공간인 노래방내를 더욱더 공간적인 입체감을 느끼도록 하여 노래방 시스템의 기능 향상을 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the speakers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centers of the listener in a karaoke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and the playing sou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the sound playing mode rotation mode, playing sound cross mode, playing position setting mod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karaoke system by setting the output selection mode according to the choice of the listener so that the listener can feel a more spatial three-dimensional feeling in the karaoke, which is the output space of the performance sound.

Claims (3)

저장된 음악연주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출력하는 음악연주부(3)와,압축 저장된 씨디내의 육성 코러스데이터를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코러스연주부(4)를 구비한 코러스 지원 노래방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chorus-supporting karaoke system having a music playing unit (3) for signal processing the stored music performance data and outputting, and a chorus playing unit (4) for signal processing and outputting the growing chorus data in the compressed stored CD, 상기 특정의 다수 키를 통해 노래 선곡 및 효과음 모드를 설정하는 키 입력부(1)와, 이 키 입력부(1)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전반적인 노래방 시스템의 제어를 담당하는 메인시스템 제어부(2)과, 이 메인시스템 제어부(2)의 제어신호에 따라 음악연주부(3) 및 코러스연주부(4)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각 채널로 분리 및 스위칭 작용으로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5)와, 이 멀티플렉서(5)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각 채널의 음악 신호를 일정레벨로 조정하는 전자볼륨(6)과, 이 전자볼륨(6)으로부터 출력되는 효과음 상태의 음악연주 및 코러스를 외부로 출력하는 다수의 스피커(SP)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성 코러스지원 노래방 시스템의 음출력 효과장치.A key input unit 1 for setting a song selection and effect sound mode through the specific multiple keys, a main system controller 2 for controlling the overall karaoke system according to a signal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 A multiplexer (5) for sequentially outputting audio data output from the music player (3) and the chorus player (4) to each channe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main system controller (2) in a separating and switching operation; The electronic volume 6 which adjusts the music signal of each channel sequentially output from this multiplexer 5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the large number which outputs the music performance and chorus of the effect sound state output from this electronic volume 6 to the outside. The sound output effect device of fostering chorus support karaok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aker (SP) is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단(SP)은 노래방 공간의 전면 양측에 각각 설치된 제 1스피커(8)와 제 2스피커(9)와, 이 제 1스피커(8)와 제 2스피커(9)에 각각 대향되는 위치인 노래방 후면 양측에 설치되는 제 3스피커(10)와 제 4스피커(1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성 코러스지원 노래방시스템의 음출력 효과장치.2. The speaker stage (SP)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eaker stage (SP) has a first speaker (8) and a second speaker (9)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karaoke space, and the first speaker (8) and the second speaker (9). Sound output effect device of the fostering chorus support karaok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third speaker and the fourth speaker (11) which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karaoke back opposite positions respectively. 노래방 시스템에서 입력된 정보에 따라 해당 연주곡을 설정된 음정 및 빠르기로 출력하며 출력효과음 기능이 선택되는지는 판단하는 출력효과음 설정 판단과정(P1)과, 연주음의 출력중에 음회전 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청음자를 중심으로 연주음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입체감을 주는 효과음을 출력하는 음회전 효과음 출력과정(P2)와, 연주음의 출력중에 음교차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청음자를 중심으로 연주음이 전후,좌우 및 대각 교차되는 입체감을 주은 효과음을 출력하는 음교차 효과음 출력과정(P3)와, 연주음의 출력중에 청음위치 모드가 설정되어 청음자의 위치가 설정됨에 따라 각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연주음의 볼륨을 조정하는 청음자 위치 연주음 출력과정(P4)과, 연주음의 출력중에 출력 선택 모드가 설정되어 임의의 스피커를 설정함에 따라 해당 스피커에서만 연주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연주음 선택출력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성 코러스지원 노래방시스템의 음출력 제어방법.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karaoke system, the corresponding music is output at the set pitch and speed, and the output effect sound setting judgment process (P1)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output sound effect function is selected, and the sound is rotated as the sound rotation mode is set during the output of the performance sound. The sound effect sound output process (P2) outputs a sound effect gi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in which the sound is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round the ruler, and as the sound crossing mode is set while the sound is being output, The sound cross effect sound output process (P3) that outputs sound effects gi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that intersects left and right, and the sound position mode is set during the sound output, and the volume of the sound played by each speaker is set as the position of the listener is set. Listener position to be adjusted The output selection mode is set during the performance sound output process (P4) and the output of the performance sound to set an arbitrary speaker. The sound output control method of the nurturing chorus support karaok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sound selection output process so that the performance sound is output only from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KR1019970064978A 1997-12-01 1997-12-01 A sound output effective appratus and this control method of music box to support a real voice chorus KR1002694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978A KR100269405B1 (en) 1997-12-01 1997-12-01 A sound output effective appratus and this control method of music box to support a real voice chor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978A KR100269405B1 (en) 1997-12-01 1997-12-01 A sound output effective appratus and this control method of music box to support a real voice chor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839A KR19990046839A (en) 1999-07-05
KR100269405B1 true KR100269405B1 (en) 2000-10-16

Family

ID=19526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4978A KR100269405B1 (en) 1997-12-01 1997-12-01 A sound output effective appratus and this control method of music box to support a real voice chor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94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9894A (en) * 1998-07-24 2000-02-08 Yamaha Corp Karaoke sing-along machine
KR100621717B1 (en) * 2004-08-13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chorus level in karaoke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484A (en) * 1988-09-28 1990-04-14 엠. 피 런치 Noise elimination device and method for noise reduction of pulse signal used in neutron flux factor system
KR970017576A (en) * 1995-09-04 1997-04-30 우에시마 세이스케 An instrument that produces chorus sounds that accompanies live vo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484A (en) * 1988-09-28 1990-04-14 엠. 피 런치 Noise elimination device and method for noise reduction of pulse signal used in neutron flux factor system
KR970017576A (en) * 1995-09-04 1997-04-30 우에시마 세이스케 An instrument that produces chorus sounds that accompanies live vo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839A (en)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1134B1 (en) Multi-dimensional processor and multi-dimensional audio processor system
JP3952523B2 (en) Karaoke equipment
US5773744A (en) Karaoke apparatus switching vocal part and harmony part in duet play
Harrison Sound, space, sculpture: some thoughts on the ‘what’,‘how’and ‘why’of sound diffusion
US8724820B2 (en) Method of reproducing audio signals and playback apparatus therefor
US7672467B2 (en) Digital mixer capable of monitoring surround signals
Oliveros Acoustic and virtual space as a dynamic element of music
JPH05323983A (en) Orchestral accompaniment device
KR100269405B1 (en) A sound output effective appratus and this control method of music box to support a real voice chorus
EP0624050B1 (en) Audio apparatus
JP2000140437A (en) Communication game system
Morrill Loudspeakers and performers: some problems and proposals
JP3316139B2 (en) Karaoke equipment
JP2506570Y2 (en) Digital audio signal processor
JP2000148165A (en) Karaoke device
WO2022230170A1 (en) Acoustic device, acoustic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2051418A2 (en) System for providig performance sounds
WO2001063593A1 (en) A mode for band imitation, of a symphonic orchestra in particular, and the equipment for imitation utilising this mode
JP2001045600A (en) Audio reproduction system and balance adjustment device
JP3924909B2 (en) Electronic performance device
JPH1195770A (en) Karaoke machine and karaoke reproducing method
JPH03268599A (en) Acoustic device
GB2265286A (en) Audio mixing circuit
Watts Sound recording today
JP2005010362A (en) Musical sound control device of electronic musical sound gener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