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9295B1 - Data input/output buffer - Google Patents

Data input/output buff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9295B1
KR100269295B1 KR1019970014999A KR19970014999A KR100269295B1 KR 100269295 B1 KR100269295 B1 KR 100269295B1 KR 1019970014999 A KR1019970014999 A KR 1019970014999A KR 19970014999 A KR19970014999 A KR 19970014999A KR 100269295 B1 KR100269295 B1 KR 100269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ency
cas latency
signal
buffer
dq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49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77758A (en
Inventor
조성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4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9295B1/en
Publication of KR19980077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77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2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57Data out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4Data in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Landscapes

  • Dram (AREA)

Abstract

PURPOSE: A data input/output mask buffer is provide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y preventing unnecessary current from flowing in a standby mode. CONSTITUTION: A sensing unit(203) senses a level of an external input signal to response to the sensed level. A MOS transistor(205) controls the connection between a power source of the sensing unit(203) and an external power terminal,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An adjusting unit(207) generates the control signal having two logic state in a standby mode, wherein one logic state represents that a CAS latency is "1" and the other logic state indicates that the CAS latency is "over2". The CAS latency of "1" enables a data input/output mask buffer while the CAS latency of "over2" disables the buffer.

Description

데이터 입/출력 마스크(DQM) 버퍼{Data input/output buffer}Data input / output mask (DQM) buffer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탠바이 상태에서 전류의 소모를 감소시키는 데이터 입/출력 마스크(DATA INPUT/OUTPUT MASK, 이하 DQM이라 함) 버퍼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ffer of a data input / output mask (DATA INPUT / OUTPUT MASK, hereinafter referred to as DQM)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in a standby state.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개발되기 시작한 이후 메모리 칩 설계자의 목표는 고집적도와 고속 동작을 하는 반도체 메모리 칩을 설계하는 것이다. 그리고 실제로 집적도 및 동작 속도 측면에서 상당한 발전이 있었다. 현재에는 컴퓨터 컨트롤러 (COMPUTER CONTROLLER)에서 사용하는 클럭(CLOCK)을 CPU 뿐만 아니라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까지 사용 범위를 확대시켜 사용함으로써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외부의 시스템 클락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이전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구분하여 동기식 디램(SYNCHRONOUS DRAM, 이하 SDRAM이라 함)이라고 한다.Since the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the goal of memory chip designers is to design semiconductor memory chips with high integration and high speed operation. Indeed, there have been significant advances in terms of density and speed of operation. Currently, the clock used by the computer controller is extended to not only the CPU but also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perating in synchronization with an external system clock as described above is referred to as a synchronous DR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ynchronous DRAM).

그리고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고속화, 고집적화와 함께 메모리 칩 내의 소모 전력의 감소는 칩의 성능 향상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 특히 DRAM에서는 차동 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를 사용하는 버퍼는 칩의 소비 전력 중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버퍼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는 것은 메모리 칩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in the memory chip along with the high speed and high integration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becomes an important factor in terms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chip. In DRAM, the buffer using the differential amplifier (DIFFERENTIAL AMPLIFIER) takes up a large portion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hip, so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uffer can greatly contribute to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emory chip.

도 1은 종래 기술의 DQM 버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1의 DQMC는 리프레쉬 동작이나 클락 인에이블 신호 CKE가 "로우" 상태일 때에 "하이"로 인에이블되는 DQM 조절 신호이다. 종래 기술의 DQM 버퍼는 상기 DQMC로써 동작의 유무를 조절할 뿐, 칩이 스탠바이 상태로 있을 때 DQM 버퍼의 스탠바이 상태를 알려주는 정보가 없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DQM 버퍼는 액티브 상태와 스탠바이 상태 모두에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종래 기술의 DQM 버퍼는 DQM 버퍼의 동작이 필요없는 스탠바이 상태에서도 DQM 버퍼단을 통하여 불필요한 DC 전류가 흐르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1 is a view showing a DQM buffer of the prior art. Referring to this, the DQMC of FIG. 1 is a DQM control signal enabled to "high" when the refresh operation or the clock enable signal CKE is "low". The prior art DQM buffer on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QMC, and there is no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ndby state of the DQM buffer when the chip is in the standby state. Thus, prior art DQM buffers are intended to operate in both active and standby states. Therefore, the conventional DQM buffer has a problem that unnecessary DC current flows through the DQM buffer stage even in a standby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DQM buffer is not requir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탠바이 상태에서 불필요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소모 전력을 감소시키는 데이터 입/출력 마스크(DQM) 버퍼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input / output mask (DQM) buffer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y preventing unnecessary current flowing in the standby state.

도 1은 종래 기술의 DQM 버퍼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DQM buffer of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QM 버퍼를 나타낸 도면이다.2 illustrates a DQM buff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CAS 레이턴시(LATENCY)가 "1"인 경우의 주요 신호의 타이밍도이다.3 is a timing diagram of a main signal when the CAS latency LATENCY is "1".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데이터 입/출력 마스크 버퍼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스탠바이 상태에서, CAS 레이턴시(LATENCY)가 "1"인 경우에는 인에이블하고 CAS 레이턴시(LATENCY)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디스에이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ata input / output mask buff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abled in the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hen the CAS latency LATENCY is "1" and the CAS latency LATENCY is high. If "2 or mor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abled.

이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각 도면에 대하여 부호와 숫자가 같은 것은 동일한 회로임을 나타낸다.Nex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numerals indicate the same circuit for each drawing.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QM 버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신호 PRAL은 메모리 셀의 뱅크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뱅크가 액티브될 때 "하이"로 인에이블되는 신호로서, 스탠바이 상태에서는 "로우" 레벨을 유지한다. 그리고 CL1은 CAS 레이턴시(LATENCY)가 "1"임을 나타내는 신호로서, CAS 레이턴시(LATENCY)가 "1"인 경우에 "하이" 상태가 된다. 그리고 DQMC는 리프레쉬(REFESH) 동작이나 클락 인에이블 신호 CKE가 "로우" 상태일 때에 "하이"로 인에이블되는 DQM 조절 신호이다. 그리고 VREF는 소정의 기준 전압을 나타낸다. 그리고 DQM은 외부 입력 전압이다.2 illustrates a DQM buff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the signal PRAL is a signal that is enabled "high" when any one of the banks of the memory cells is activated, and maintains a "low" level in the standby state. CL1 i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CAS latency LATENCY is "1" and is in a "high" state when the CAS latency LATENCY is "1". The DQMC is a DQM control signal enabled to be "high" when the refresh (REFESH) operation or the clock enable signal CKE is "low". And VREF represents a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And DQM is the external input voltage.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DQM 버퍼(201)는 스탠바이(STAND-BY) 상태 즉 PRAL이 "로우"인 상태에서, CAS 레이턴시(LATENCY)가 "1"인 경우 즉 CL1이 "하이" 상태인 경우에는 동작한다. 그러나 스탠바이(STAND-BY) 상태 즉 PRAL이 "로우"인 상태에서, CAS 레이턴시(LATENCY)가 "2 이상"인 경우 즉 CL1이 "로우" 상태인 경우에는 동작하지 아니한다.Referring to FIG. 2, the DQM buffer 20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andby state, that is, a state in which PRAL is "low", and the CAS latency LATENCY is "1", that is, CL1. It operates when it is in the "high" state. However, when the STAND-BY state, that is, PRAL is "low", the CAS latency (LATENCY) is "2 or more", that is, when the CL1 is "low" state, it does not operate.

그리고 상기 DQM 버퍼(201)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DQM 버퍼(201)는 감지부(203) 및 모스 트랜지스터(205)를 구비한다. 상기 감지부(203) 외부 입력 신호 DQM의 레벨을 감지하여 응답한다. 그리고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205)는 스탠바이 상태(STAND-BY)에서, CAS 레이턴시(LATENCY)가 "1"인 경우에는 상기 감지부(203)의 전원단(N206)과 외부 전원 단자 VCC를 연결하고, CAS 레이턴시(LATENCY)가 "2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감지부(203)의 전원단(N206)과 외부 전원 단자 VCC를 단락시키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이다.The DQM buffer 201 is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The DQM buffer 201 includes a detector 203 and a MOS transistor 205. The detector 203 detects and responds to the level of the external input signal DQM. In the standby state STAND-BY, when the CAS latency LATENCY is “1”, the MOS transistor 205 connects the power terminal N206 of the sensing unit 203 and the external power terminal VCC. When CAS latency LATENCY is "2 or more", it is a PMOS transistor which short-circuits the power supply terminal N206 of the said detection part 203 and the external power supply terminal VCC.

그리고 상기 DQM 버퍼(201)는 조절부(207)를 더 구비한다. 상기 조절부(207)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CAS 레이턴시(LATENCY)가 "1"인 경우와 CAS 레이턴시(LATENCY)가 "2 이상"인 경우의 논리 상태가 서로 다른 제어 신호(PBPV)를 발생한다. 상기 제어 신호(PBPV)는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205)의 게이트에 인가된다.The DQM buffer 201 further includes an adjusting unit 207. In the standby state, the controller 207 generates a control signal PBPV having a different logic state when the CAS latency LATENCY is “1” and when the CAS latency LATENCY is “2 or more”. The control signal PBPV is applied to the gate of the MOS transistor 205.

그리고 상기 조절부(207)는 스탠바이 상태를 나타내는 스탠바이 신호 PRAL과 CAS 레이턴시(LATENCY)가 "1"임을 나타내는 신호인 CL1의 논리 수단(209)을 구비한다.The adjusting unit 207 includes a logic unit 209 of CL1 which i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standby signal PRAL indicating the standby state and the CAS latency LATENCY are "1".

따라서 스탠바이 상태 즉 상기 신호 PRAL이 "로우" 상태에서, CAS 레이턴시(LATENCY)가 "1"인 경우 즉 상기 신호 CL1이 "하이" 상태가 되면 상기 조절부(207)의 출력 신호인 상기 제어 신호(PBPV)는 "로우" 상태가 된다. 상기 제어 신호(PBPV)가 "로우" 상태가 되면,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205)가 "턴온"되고 상기 감지부(203)는 외부 입력 신호 DQM의 레벨을 감지하여 증폭한다.Therefore, when the standby state, that is, when the signal PRAL is "low", the CAS latency (LATENCY) is "1", that is, when the signal CL1 is "high" state, the control signal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unit 207) PBPV) goes into the "low" state. When the control signal PBPV is in the "low" state, the MOS transistor 205 is "turned on" and the detector 203 senses and amplifies the level of the external input signal DQM.

그러나 스탠바이 상태 즉 상기 신호 PRAL이 "로우" 상태에서, CAS 레이턴시(LATENCY)가 "2 이상"인 경우 즉 상기 신호 CL1이 "로우" 상태가 되면 상기 조절부(207)의 출력 신호인 제어 신호(PBPV)는 "하이" 상태가 된다. 상기 제어 신호(PBPV)가 "하이" 상태가 되면,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205)가 "턴오프"되고 상기 감지부(203)는 동작하지 아니한다. 그리고 또 리프레쉬 동작이나 CKE 신호가 "로우"일 때는 언제나 상기 신호 DQMC가 "하이"로 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부(207)의 출력 신호인 제어 신호(PBPV)는 "하이" 상태가 되고,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205)가 "턴오프"된다.However, when the standby state, i.e., the signal PRAL is "low", and the CAS latency LATENCY is "2 or more", that is, when the signal CL1 is in the "low" state, the control signal that is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unit 207 ( PBPV) is in a "high" state. When the control signal PBPV becomes “high”, the MOS transistor 205 is “turned off” and the sensing unit 203 does not operate. Further, whenever the refresh operation or the CKE signal is "low", the signal DQMC becomes "high". Therefore, the control signal PBPV, which is an output signal of the controller 207, becomes "high", and the MOS transistor 205 is "turned off".

도 3은 CAS 레이턴시(LATENCY)가 "1"인 경우의 주요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스탠바이 상태에서 CAS 레이턴시(LATENCY)가 "1"인 경우와 CAS 레이턴시(LATENCY)가 "2 이상"인 경우를 구별하는 신호인 CL1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3 is a timing diagram of a main signal when the CAS latency LATENCY is "1". Referring to this, the reason why CL1, which is a signal for distinguishing the case where the CAS latency LATENCY is "1" and the case where the CAS latency LATENCY is "2 or more" in the standby state, is described as follows.

도 3에서 신호 CLK는 외부 클락 신호이다. 그리고 신호 CMD는 메모리 칩의 동작을 지시하는 명령이다. 그리고 신호 DQ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이다. 그리고 신호 DQ(R)는 메모리 칩 내부에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이다. 그리고 신호 DQM은 DQM 버퍼를 인에이블시키는 신호이다.In FIG. 3, the signal CLK is an external clock signal. The signal CMD is a command for instructing the operation of the memory chip. The signal DQ is externally input data. The signal DQ (R) is data to be input into the memory chip. The signal DQM is a signal that enables the DQM buffer.

일반적으로 동기식 디램에서 액티브 명령이 입력되고, 한 클락 후에 기입 명령이 입력된다. 그리고 기입 명령이 입력된 후 한 클락 후에 데이터가 입력된다.In general, an active command is input in the synchronous DRAM, and a write command is input after one clock. Data is input one clock after the write command is input.

그리고 기입 DQM 레이턴시(LATENCY)는 2 클락으로 정의되어 있다. 그러므로 CAS 레이턴시(LATENCY)가 "1"인 경우에 있어서, 독출 버스트(BURST) 데이터의 첫번째 데이터를 마스킹(MASKING)하고자 할 경우에는 액티브 명령이 인가되는 시점에서 데이터 마스크 신호(DQM)를 인가하여야 한다.The write DQM latency (LATENCY) is defined as two clocks. Therefore, when CAS LATENCY is "1", when masking the first data of the read burst data, the data mask signal DQM should be applied at the time when the active command is applied. .

그런데, DQM 버퍼에 단순히 액티브 관련 신호와 관련하여 DQM을 인가하여 스탠바이 상태에서 DQM 버퍼의 동작을 차단하고자 하면, 셋-업 타임(SET-UP TIME) 내에 액티브 관련 신호가 DQM 버퍼에 전달하지 못한다.However, if the DQM buffer is simply applied to the DQM buffer to block the operation of the DQM buffer in the standby state, the active related signal may not be transferred to the DQM buffer within the SET-UP TIME.

따라서, 첫 번째 클락의 데이터는 마스킹될 수 없다. 그러므로 DQM 버퍼는 액티브 명령 이전의 스탠바이 상태에서도 인에이블되어야 한다. 그러나, CAS 레이턴시(LATENCY)가 "2 이상"인 경우에는 액티브 관련 신호가 DQM 버퍼에 전달되는데 1 클락 이상의 여유 시간이 있다. 그러므로 CAS 레이턴시(LATENCY)가 "2 이상"인 경우에는, 액티브 관련 신호만 이용하여도 액티브 모드에서 DQM 버퍼는 인에이블될 수 있다.Therefore, the data of the first clock cannot be masked. Therefore, the DQM buffer must be enabled even in the standby state prior to the active command. However, if CAS LATENCY is " 2 or more ", there is more than 1 clock time for active related signals to be delivered to the DQM buffer. Therefore, when the CAS LATENCY is "2 or more", the DQM buffer may be enabled in the active mode even by using only active-related signal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CAS 레이턴시(LATENCY)가 "1"인 경우와 CAS 레이턴시(LATENCY)가 "2 이상"인 경우를 구별하는 신호인 CL1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 CL1로써, 스탠바이 상태에서 CAS 레이턴시(LATENCY)가 "1"인 경우에 한해서만 DQM 버퍼를 인에이블하도록 하고, CAS 레이턴시(LATENCY)가 "2 이상"인 경우에는 DQM 버퍼의 동작을 디스에이블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CL1 that distinguishes the case where the CAS latency LATENCY is "1" from the case where the CAS latency LATENCY is "2 or more" is used. With the signal CL1, the DQM buffer is enabled only when the CAS latency LATENCY is "1", and the operation of the DQM buffer is disabled when the CAS latency LATENCY is "2 or more". do.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명백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is apparent that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스탠바이 상태에서 불필요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소모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current flowing in the standby stat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Claims (2)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In a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외부 입력 신호의 레벨을 감지하여 응답하는 감지부;A detector for sensing and responding to a level of an external input signal;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감지부의 전원단과 외부 전원 단자의 연결을 제어하는 모스 트랜지스터; 및A MOS transistor for controlling a connection between a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sensing unit and an external power supply terminal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nd 스탠바이 상태에서, CAS 레이턴시(LATENCY)가 "1"인 경우와 상기 CAS 레이턴시(LATENCY)가 "2 이상"인 경우의 논리 상태가 서로 다른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조절부를 구비하여,In the standby state,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generate the control signal having a different logic state when the CAS latency LATENCY is "1" and when the CAS latency LATENCY is "2 or more". 상기 스탠바이 상태에서 상기 CAS 레이턴시(LATENCY)가 "1"인 경우에는 인에이블되고, 상기 CAS 레이턴시(LATENCY)가 "2 이상"인 경우는 디스에이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출력 마스크 버퍼.And enable when the CAS latency LATENCY is "1" in the standby state, and disable when the CAS latency LATENCY is "2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스탠바이 상태를 나타내는 스탠바이 신호와 상기 CAS 레이턴시(LATENCY)가 "1"임을 나타내는 신호인 CL1의 논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출력 마스크 버퍼.And a logic means of CL1 which i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standby state and the CAS latency LATENCY are " 1 ".
KR1019970014999A 1997-04-22 1997-04-22 Data input/output buffer KR1002692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999A KR100269295B1 (en) 1997-04-22 1997-04-22 Data input/output buff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999A KR100269295B1 (en) 1997-04-22 1997-04-22 Data input/output buff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758A KR19980077758A (en) 1998-11-16
KR100269295B1 true KR100269295B1 (en) 2000-10-16

Family

ID=1950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4999A KR100269295B1 (en) 1997-04-22 1997-04-22 Data input/output buff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929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770B1 (en) * 2000-12-30 2003-10-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Data out put circu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770B1 (en) * 2000-12-30 2003-10-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Data out put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758A (en)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7732B1 (en) Synchronous type semiconductor memory system with less power consumption
US8164965B2 (en) Memory device and method having low-power, high write latency mode and high-power, low write latency mode and/or independently selectable write latency
US7177208B2 (en) Circuit and method for operating a delay-lock loop in a power saving manner
KR100238928B1 (en) Semiconductor device
US7974140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mode register and a plurality of voltage generators
JP3951202B2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20060098514A1 (en) Circuit for controlling differential amplifiers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KR100269295B1 (en) Data input/output buffer
KR100527552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587690B1 (en) Address buffer circuit and method controlling address buffer
US7834675B2 (en) Clock control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ing the same
US7023755B2 (en) Low power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a memory device
JPH11297072A (en) Semiconductor memory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KR20010087643A (en) Data input buffer circuit
KR0154662B1 (en) A clock enable buffer of the synchronous dram
KR20000034910A (en) Semiconductor device
JPH04123391A (en) Output buffer circuit for gate array
KR980011409A (en) Internal Supply Voltage Generator for Synchronous DRAM
KR19990027861A (en) DRAM power-down mode control unit
JPH09198866A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KR19990048155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perates with Low Supply Voltage
KR19990003650U (en) Semiconductor Devices with Differential Input Buff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