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7945B1 - Drop in cooking stove - Google Patents

Drop in cooking sto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7945B1
KR100267945B1 KR1019970072792A KR19970072792A KR100267945B1 KR 100267945 B1 KR100267945 B1 KR 100267945B1 KR 1019970072792 A KR1019970072792 A KR 1019970072792A KR 19970072792 A KR19970072792 A KR 19970072792A KR 100267945 B1 KR100267945 B1 KR 100267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gap
auxiliary
burn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27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70214A (en
Inventor
노리히코 마츠유키
요시테루 스기모토
오사무 도고
Original Assignee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강성모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강성모,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이토 스스무
Publication of KR19980070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2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9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Gas Burners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PURPOSE: A drop-in burner is provided to conveniently clean an upper plate, and to prevent increase of temperature on the upper plate and a member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for preventing overheat of a counter top. CONSTITUTION: A burner case is inserted to an opened space on a counter top(7) for arranging a burner. A flange is protruded to outer side from an upper end portion of a circumference wall for being contacted to the opened space of the counter top. Moreover, the opened space is arranged on a floor portion surrounded by the circumference walls. An upper plate(3) having a first gap, a support body supporting material to be cooked, and the frame body connecting the support body are arranged between an outer circumference portion of the burner and the opened space. An auxiliary upper plate(4) is arranged on the upper plate to form a second gap connected to the first gap.

Description

드롭인 곤로Drop in stov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시스템키친등의 카운터 톱의 트인구멍에 조립되는 드롭인 곤로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drop-in furnace which is assembled, for example in the open hole of countertops, such as a system kitchen.

도 19는 시스템키친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그 본체 내부에 수용된 드롭인 곤로를 나타낸다. 또, 도 21은 시스템키친의 길이방향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드롭인 곤로의 부분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드롭인 곤로는, 상면에 버너가 놓이고 정면측에는 조작손잡이(p)와 그릴문(q)이 설치되어 있다. 세개가 기본인 버너(C1∼C3)를 내부에 구비한 곤로케이스(e)가 카운터 톱(a)의 트인구멍 내부에 끼워넣어지고, 그 상부의 플랜지에 의하여 카운터 톱(a)의 트인구멍 주변에 매달린다. 그리고, 버너(C1∼C3)의 상반부만 카운터 톱(a)의 상측에 놓이게 하고, 이들을 제외한 곤로케이스(e)의 트인구멍을 덮어씌우는 상판(b)이 설치되어, 곤로케이스(e)의 플랜지와 같이, 그 외측둘레부(n)에서 카운터 톱(a)의 트인구멍 가장자리에 매달려서 부착된다. 상판(b)에는 버너(C1∼C3)의 각각 불꽃구멍부에 대응하는 돌기편(g)을 구비한 삼발이(d)가 놓여져 있다. 삼발이(d)는 각 돌기편(g)과 그것을 연결지지함과 아울러, 상판(b)위에서 접촉되는 틀체(h)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근래에는 냄비등의 피가열물을 카운터 톱(a)면의 삼발이(d)에 올리고 내리기 쉽게 할 수 있도록, 카운터 톱(a)면과 삼발이(d)의 돌기편(g)과의 낙차를 될 수 있는 한 작게 설정되게 하는 소위 플랫화가 일어나고 있다. 즉, 도 2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운터 톱(a)면과 돌기편(g)의 상변과의 높이 H1에 대하여, 도 2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b)이나 곤로케이스(e)를 깊게 하여 높이를 H2로 함으로서 낙차를 작게 하고 있다. 또,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높이가 낮은 삼발이(d)를 이용하므로써 낙차를 작게 하고 있다.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system kitchen, showing a drop-in furnace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21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the drop-in furnace which shows the longitudinal direction part of the system kitchen in cross section. In these drawings, a burn-in furnace is provided with a burner on an upper surface, and an operation handle p and a grill door q are provided on the front side. The furnace case (e) having three basic burners (C1 to C3) is fitted inside the open hole of the counter top (a), and the periphery of the open hole of the counter top (a) by the upper flange. Hang on Then, only the upper half of the burners C1 to C3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unter top a, and the top plate b covering the open hole of the furnace case e except for these is provided, and the flange of the furnace case e is provided. As shown in the figure, the outer periphery n is suspended from the open hole edge of the counter top a. The upper plate b is provided with trivets d provided with the projection pieces g corresponding to the flame hole portions of the burners C1 to C3, respectively. The trivet (d)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rotrusion pieces (g) and the support body, and the frame (h) to be contacted on the upper plate (b) is integrally formed. Moreover, in recent years, the drop of the counter top (a) surface and the protrusion (g) of the trivet (d) so that the heated objects such as a pot can be easily raised and lowered on the trivet (d) of the countertop (a) surface So-called flattening is taking place to make the setting as small as possible. That is, as shown in FIG. 22 (a), with respect to the height H1 of the counter top (a) surface and the upper side of the projection piece g, as shown in FIG. 22 (b), the upper board b and the furnace case e ) The depth of fall is reduced by making H2 deeper and making the height H2. As shown in Fig. 20, the drop is reduced by using the tricycle d having a low height.

상기 시스템키친에 수용되는 드롭인 곤로에서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통의 곤로에 비교하여 이것을 덮는 상판(b)도 커진다. 또, 도 2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플랫화에 의하여 상판(b)이 깊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판(b)에서는, 상판(b)에 흘러내린 국물등으로 인한 더러워짐을 청소하는 것이 번거로웠었다. 한편,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플랫화에 따라서 도 21의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버너(C1)에서 나오는 불꽃(F)의 복사열에 의하여, 상판(b)의 바닥부(i)나 측벽(v)이 가열되기 쉬워진다. 또, 곤로케이스(e)가 깊게 끼워넣어져서, 상판(b)의 하부측에서도 버너(C1)의 복사열에 의하여 내부공간(j)을 통하여 곤로케이스(e) 내부가 가열된다. 따라서, 이러한 가열에 의하여 카운터 톱(a)이 과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drop-in furnace accommodated in the said system kitchen, as shown in FIG. 19, compared with a normal furnace, the upper board b which covers this is also larg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2B, the upper plate b is deepened by the flattening. Therefore, in such a top board (b), it was troublesome to clean the dirt by the soup etc. which flowed into the top board (b).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of FIG. 21 according to the said flattening, the bottom part i and the side wall of the top board b by the radiant heat of the flame F emitted from the burner C1. (v) becomes easy to heat. Further, the furnace case e is deeply sandwiched, and the inside of the furnace case e is also heated through the internal space j by the radiant heat of the burner C1 at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b.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unter top a is overheated by such heating.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입각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판에 흘러내린 국물등으로 인하여 더러워진 것을 간단하게 청소할 수 있는 한편, 상판 및 이것에 연결된 부재의 온도상승을 억제하여 카운터 톱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드롭인 곤로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can easily clean the soiled dirt due to the soup or the like that flowed down to the top plate, while preventing the countertop from overheating by suppressing the temperature rise of the top plate and the member connected thereto. To provide a drop-in cooke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구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드롭인 곤로는, 「카운터 톱에 형성된 카운터 톱의 트인구멍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매달려서 버너를 구비한 곤로케이스와, 둘레벽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플랜지가 상기 카운터 톱의 트인구멍주변에 맞닿아서 지지되며, 둘레벽으로 둘러싸인 바닥부에는 상기 버너가 놓이는 트인구멍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버너의 외측둘레부와 상기 트인구멍 사이에 제 1 간극이 형성된 상판과, 피가열물을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연결하는 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 내부로 내려가듯이 위치부여된 삼발이와 상기 버너가 놓이는 트인구멍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상판 상측에서 상기 상판과 상하간극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상판에 놓인 보조상판을 구비하여, 상기 보조상판의 외측둘레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는 상기 상하간극을 통하여 상기 제 1 간극으로 연결되어 통하는 제 2 간극이 형성된」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drop-in furnace according to claim 1, which is formed by "hanging in a state fitted in the open hole of the counter top formed in the counter top, protruding outward from the furnace case provided with the burner and the upp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wall, is provided. The formed flange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open hole of the counter top, and the bottom part surrounded by the circumferential wall has a open hole in which the burner is placed, and a first space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rner and the open hole. The upper plate has a gap formed therein, a support body supporting the object to be heated, and a frame connecting the support, and has a trivet and a open hole in which the burner is positioned as if descending into the upper plate. In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and lower gaps are formed and provided with an auxiliary upper plate placed on the upper plate, the outer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In the circumferential gap between the top plate it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gap is connected to a second gap is formed, leading to "through the vertical gap.

상기 해결수단에 의하면, 상판 상측에 보조상판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피가열물에서 흘러내린 국물등은 그 보조상판에 의하여 받쳐진다. 따라서 상판이 국물등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더러워지는 것이 방지되는 한편, 더러워진 보조상판은 상판에서 떼낼 수 있으므로 통째로 간단하게 청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solution, since the auxiliary upper plate is provided above the upper plate, the broth and the like which flows down from the heated object are supported by the auxiliary upper plate. Therefore, the top plate is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soiled by the soup, etc., while the dirty auxiliary top plate can be removed from the top plate, so that the whole plate can be easily cleaned.

보조상판은, 상판 상측에서 상판과 상하간극을 형성하여 설치되었으므로, 그 상하간극에 의한 간극에 의하여 단열되어, 버너의 불꽃에 의한 복사열이 상판측에 이르는 것이 억제된다. 그리고, 보조상판의 외측둘레에 있어서 상판과의 사이에는, 제 2 간극이 형성되어 카운터 톱측으로 연결되어 통하는 통기구멍이 되므로서, 곤로케이스 내부의 공기는 주로 다음의 통기통로, 즉 상판과 버너의 외측둘레부와의 간극인 제 1 간극을 통하고, 상판과 보조상판과의 간극을 거쳐서 제 2 간극으로부터 카운터 톱측으로 흐르는 공기의 통로가 된다. 이 공기의 유통에 의하여 상판이 냉각되고 상기 보조상판에 의한 단열에 부가하여, 한층 더 온도상승이 억제된다. 또, 상기 공기의 유통에 의하여 상판에 연이어 설치된 부재등도 냉각된다. 이러한 점들에 의하여 카운터 톱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auxiliary upper plate was formed by forming an upper gap with the upper plate at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it is insulated by the gap formed by the upper and lower gaps, and the radiant heat due to the flame of the burner is suppressed from reaching the upper plate side. Then,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uxiliary top plate, a second gap is formed between the top plate and becomes a vent hole connected to the countertop side, so that the air inside the furnace case is mainly the following vent passage, that is, the top plate and the burner. Through the first gap, which is a gap with the outer peripheral part, it is a passage of air flowing from the second gap to the counter top sid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auxiliary upper plate. The upper plate is cooled by the circulation of air, and the temperature rise is further suppressed in addition to the heat insulation by the auxiliary upper plate. Moreover, the member etc. which were provided in a row by the upper board by cooling of the said air are also cooled. These points can prevent overheating of the counter top.

청구항 2에 기재된 드롭인 곤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에 한정하여「상기 보조상판의 상기 트인구멍과 상기 버너의 상기 외측둘레부와의 사이가 실질상 닫혀진」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보조상판의 트인구멍과 버너의 외측둘레부와의 사이가 실질상 닫혀지므로,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에 부가하여, 흘러내린 국물이 보조상판의 트인구멍과 버너의 외측둘레부와의 사이를 통하여 상판측으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버너의 불꽃에 의한 복사열에 의한 상판의 영향도 적어진 이상, 곤로케이스 내부의 공기는 제 1 간극으로부터 상판과 보조상판과의 간극을 거치고, 제 2 간극을 거쳐서 카운터 톱측으로 통하는 통기통로가 형성되므로, 상판 및 이것에 연이어 설치된 부재의 온도상승이 억제되어 카운터 톱의 가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상판의 트인구멍과 버너의 외측둘레부와의 사이의 폐색은, 보조상판의 트인구멍부 자체가 버너의 외측둘레부에 끼워맞춰져서 형성되는 경우 이외에, 예를 들면 보조상판의 트인구멍과 버너의 외측둘레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커버링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커버링의 내측둘레를 버너의 외측둘레부에 외측끼움되게 하는 한편, 외측둘레를 보조상판의 트인구멍을 덮어씌우도록 하는 것이다.The drop-in cooking furnace of Claim 2 is limited to what was described in Claim 1, "it is substantially closed between the said open hole of the said auxiliary top plate, and the said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said burner." According to this solution, since the opening between the open hole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and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burner is substantially closed, in addition to the one described in claim 1, the spilled broth and the outer hole of the burner It is prevented to enter the upper plate side through the gap. In addition, as the influence of the upper plate due to the radiant heat caused by the flame of the burner is reduced, the air passage inside the furnace case passe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auxiliary upper plate from the first gap,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gap to the counter top side. Since it is formed, the temperature rise of the upper plate and the member provided in succession thereof is suppressed and the heating of the countertop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occlusion between the open hole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burner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open hole portion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is formed by fit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burner, for example, the open hole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The covering can be used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rner. In other words,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vering is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urner while the outer circumference covers the open hole of the auxiliary top plate.

청구항 3에 기재된 드롭인 곤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에 한정하여, 「상기 보조상판의 상기 트인구멍과 상기 버너의 상기 외측둘레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보조상판의 상측공간에 연결되어 통하는 한편, 상기 제 1 간극에도 연결되어 통하는 제 3 간극이 형성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보조상판의 트인구멍과 버너의 외측둘레부와의 사이에 제 3 간극을 형성하였으므로, 곤로케이스 내부의 공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간극으로부터, 상판과 보조상판의 간극을 거쳐서, 제 2 간극에서 카운터 톱측으로 통하는 통기통로에 부가하여, 제 1 간극에서 이 제 3 간극을 거쳐서 보조상판의 상측공간으로 통하는 통기통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보조상판의 취급이나 복사열에 대한 열차단효과 및 통기에 의한 냉각효과에 부가하여, 버너의 불꽃구멍측으로의 통기가 촉진되어 연소가 양호하게 될 수 있다.The drop-in furnace of Claim 3 is limited to what was described in Claim 1, "It connects to the upper space of the said auxiliary upper plate, and communicates between the said open hole of the said auxiliary upper plate, and the said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burner, And a third gap connected to the first gap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gap. According to this solution, since the third gap is formed between the open hole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rner, the air inside the furnace case is separated from the first gap as described above by the gap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auxiliary upper plate. In addition to the ventilation passage leading from the second gap to the countertop side, a ventilation passage leading from the first gap through the third gap to the upper space of the auxiliary top plate is formed.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heat-blocking effect and the cooling effect of the ventilation on the auxiliary top plate of claim 1, and the radiant heat, the ventilation of the burner to the flame hole side can be promoted and the combustion can be improved.

또한, 이 제 3 간극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조상판의 트인구멍과 버너의 외측둘레부와의 사이에 커버링을 이용하고, 이 커버링의 내측둘레를 버너의 외측둘레부에 외측끼움되게 하는 한편, 외측둘레를 보조상판의 트인구멍을 덮어씌우듯이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커버링에 있어서, 상판의 트인구멍에서 외측둘레 위치에 상기 제 3 간극에 대응한 관통구멍을 뚫어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3 간극에 의하여 상기한 통기가 확보되는 한편, 이 커버링이 상판의 트인구멍과 버너의 외측둘레부와의 사이를 덮어서 흘러내린 국물이 곤로케이스내로 들어가는 것이 가급적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is 3rd gap can be formed with the following structures. For example, a covering is used between the opening of the auxiliary top plate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rner,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vering is externally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rner, while the outer periphery is a perforated opening of the auxiliary top plate. It overwrites. In this covering,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third gap is formed at a position outside the open hole of the upper plate.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while the above-mentioned ventilation is secured by the third gap, the covering which covers the gap between the opening of the top plate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urner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furnace case as much as possible. have.

또한, 다른 커버링으로서, 커버링의 내측둘레를 버너의 외측둘레부에 외측끼움되게 하는 한편, 외측둘레를 보조상판과 상판과의 상하간극에서 개재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3 간극은 커버링의 외측둘레와 보조상판이 트인구멍과의 사이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이 구성의 경우에도 통기가 확보되는 한편, 보조상판과 커버링의 외측둘레와 상판이 들어간 형상으로 되어, 국물이 곤로케이스내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제 3 간극을 통하여 공기는 버너의 불꼿구멍측으로 유도된다. 그리고, 이 커버링에 관하여, 또 커버링의 외측둘레에 보조상판 및 상판의 각각 트인구멍보다도 크게 형성된 큰 지름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보조상판의 트인구멍보다도 크게 형성되고, 또 상판의 트인구멍보다도 작게 형성된 작은 지름부를 형성하여 이 작은 지름부에서 상측으로 연장하는 벽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판의 트인구멍과 커버링 외측둘레의 작은 지름부로 형성된 제 1 간극이 크게 형성되어 통기가 보다 더 양호하게 됨과 아울러, 흘러내린 국물이 만일 보조상판이 트인구멍과 버너의 외측둘레부에 의한 제 3 간극을 통하여 커버링에 낙하하여도, 작은 지름부에 설치된 벽부에 의하여 차단되어 제 1 간극에 흘러내리는 일 없이 벽부로 안내되어 상판으로 확실하게 유도된다.Further, as another coveri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vering can be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urner, while the outer circumference can be interposed in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auxiliary top plate and the top plat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third gap is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ing and the hole in which the auxiliary top plate is opened. Therefore, even in this configuration, the ventilation is ensured, the outer periphery of the auxiliary top and the covering and the top plate ar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furnace case, and the air is blown through the third gap. Guided to the side. With respect to this covering, a larger diameter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ing than the opening of the auxiliary top plate and the top plate, and is formed larger than the opening of the auxiliary top plate and smaller than the opening of the top plate. A diameter portion can be formed to form a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is small diameter portion. By doing so, the first gap formed by the open hole of the upper plate and the small diameter portion of the outer covering of the covering is largely formed, so that the ventilation is better, and the spilled broth is caused by the opening of the auxiliary top plate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urner. Even if it falls to the covering through the third gap, it is blocked by the wall portion provided in the small diameter portion and guided to the wall portion without bleeding into the first gap to be led to the upper plate reliably.

청구항 4에 기재된 드롭인 곤로는, 청구항 1에서 청구항 3에 기재된 것에 한정하여, 「상기 상판에는, 상기 상판의 하측에 배설된 소성실의 배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상판과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 2 간극 중, 상기 배기출구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상기 제 2 간극을 형성하지 않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에서 청구항 3에 기재된 것에 부가하여 다음의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소성실용 배기출구의 상측에 냄비등의 피가열물이 놓여져도, 보조상판과 상판과의 사이에 제 2 간극이 없으므로, 소성실로부터의 배기는 보조상판과 상판과의 간극에 들어가는 것이 저지된다.The drop-in furnace of Claim 4 is limited to what was described in Claim 1 to Claim 3, The exhaust outlet of the baking chamber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said upper board is formed in the said upper board, and between the said auxiliary upper board and the said upper board, So that the second gap is not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xhaust outlet among the formed second gaps. According to this solution, the following actions can be exhibited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in Claims 1 to 3. That is, even if heated objects such as pots are placed above the exhaust outlet for the firing chamber, since there is no second gap between the auxiliary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exhaust from the firing chamber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gap between the auxiliary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

청구항 5에 기재된 드롭인 곤로는, 청구항 1에서 청구항 4에 기재된 것에 한정하여,「상기 삼발이의 틀체는, 그 하변과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틀체의 외측면과 상기 상판의 둘레벽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상기 보조상판의 외측에 배설되어, 상기 상판의 둘레벽과 상기 틀체와의 간극과, 상기 틀체 하변과 상기 상판과의 간극과 상기 제 2 간극과 상기 제 1 간극으로 통기통로가 형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삼발이의 틀체가 그 하변과 상판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삼발이의 틀체 외측면과 상판 둘레벽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보조상판 외측에 배설되었다. 따라서, 삼발이의 틀체는 버너에서의 상판 둘레벽을 향한 복사열을 열차단하여 상판의 과열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판 둘레벽과 상기 틀체와의 간극과 상기 틀체의 하변과 상기 상판의 간극과 상기 제 2 간극과 상기 제 1 간극이 일련으로 되는 통기통로가 형성되므로, 이 통기에 의하여 상판 및 연이어 설치된 부재가 냉각된다. 따라서, 청구항 1에서 청구항 4의 기재에 부가하여 한층 더 카운터 톱의 과열이 방지된다.The drop-in furnace of Claim 5 is limited to the thing of Claim 1 thru | or 4, "The frame of the said trivet forms the clearance gap between the lower side and the said upper plat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aid frame and the sai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peripheral wall of the upper plate and disposed outside the auxiliary upper plate, the gap between the peripheral wall of the upper plate and the frame, the gap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and the upper plate, and the second gap; And a ventilation passage is formed in the first gap. According to this solution, the frame of the trivet has a gap formed between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plate, whil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of the trivet and the upper plate circumferential wall and disposed outside the auxiliary upper plate. Therefore, the frame of the trivet can block the radiant heat toward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upper plate in the burner and can suppress overheating of the upper plate. In addition, a ventilation passage is formed in which a gap between the upper plate circumferential wall and the frame, the lower side of the frame, the gap between the upper plate, the second gap, and the first gap are formed in series. Is cooled. Thus, in addition to the description of claims 1 to 4, overheating of the counter top is further prevented.

청구항 6에 기재된 드롭인 곤로는,「카운터 톱에 형성된 카운터 톱의 트인구멍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매달려서 버너를 구비한 곤로케이스와, 둘레벽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플랜지가 상기 카운터 톱의 트인구멍 주변에 맞닿아서 지지되며, 둘레벽으로 둘러싸인 바닥부에는 상기 버너가 놓이는 트인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트인구멍과 상기 버너의 외측둘레부와의 사이는 실질상 닫혀진 상판과 피가열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연결하는 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 내부로 내려가듯이 위치부여된 삼발이와, 상기 버너가 놓이고 상기 버너의 외측둘레부와의 사이에 제 1 간극이 형성되는 크기의 트인구멍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상판 상측에서 상기 상판과 상하간극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상판에 놓여진 보조상판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상판의 외측둘레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는, 상기 상하간극을 통하여 상기 제 1 간극을 연결하여 통하는 제 2 간극이 형성된」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op-in furnace according to claim 6 includes, "a furnace case with a burner hanging in a state sandwiched in an open hole of a counter top formed on a counter top, and a flange protruding outward from an upper end of a circumferential wall. It is supported by abutment around the hole, and the bottom part surrounded by the circumferential wall has an open hole in which the burner is placed, and between the open hole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urner supports a substantially closed top plate and a member to be heated. It is made of a frame for connecting the support and the support, the open hole of the size that the first gap is formed between the triangular position and the burner is placed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rner is positioned as descending into the upper plate In addition,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and lower gaps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provided with an auxiliary upper plate placed on the upper plate. And, in the gap between the top plate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uxiliary top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rough the upper and lower gaps formed a second gap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first gap ".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상판 상측에 보조상판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피가열물에서 흘러내린 국물등을 이 보조상판에 의하여 받칠 수 있고, 상판이 국물등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더러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 더러워진 보조상판은 상판에서 떼낼 수 있으므로 통째로 간단하게 청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olution, since the auxiliary upper plate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soup or the like which has flowed down from the heated object by the auxiliary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is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soiled by the soup or the like. In addition, the dirty auxiliary top plate can be removed from the top plate and can be cleaned easily.

보조상판은, 상판 상측에서 상판과 상하간극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 상하간극에 의한 간극에 의하여 단열되어, 버너의 불꽃에 의한 복사열이 상판측에 이르는 것이 억제된다. 그리고, 제 1 간극과 제 2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판과 보조상판과의 상하간극을 사이에 두고, 카운터 톱측과 버너의 불꽃구멍부측이 통기되는 통기통로가 형성되어, 이 통기통로의 공기흐름에 의하여 상판이 냉각된다. 따라서, 상판에 연이어 설치된 부재등도 냉각된다. 이러한 점들에 의하여 카운터 톱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auxiliary upper plate forms an upper gap with the upper plate at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it is insulated by the gap formed by the upper and lower gaps, and it is suppressed that radiant heat due to the flame of the burner reaches the upper plate side. And since the 1st clearance gap and the 2nd clearance gap are formed, the ventilation path through which the counter top side and the flame | bulb hole part side of a burner are ventilated i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earance gaps of an upper plate and an auxiliary upper plate, and the air flow of this ventilation path is formed. The upper plate is cooled by. Therefore, the member etc. which were provided in succession to the upper board are cooled. These points can prevent overheating of the counter top.

청구항 7에 기재된 드롭인 곤로는, 청구항 6에 기재된 것에 한정하여,「상기 상판에는, 상기 상판 하측에 배설된 소성실의 배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상판과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 2 간극 중 상기 배기출구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상기 제 2 간극을 형성하지 않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6의 기재에 부가하여 다음의 작용을 나타낸다. 즉, 소성실용 배기출구의 상측에 냄비등의 피가열물이 놓여도, 이 배기출구에 대응하는 보조상판과 상판과의 사이에 제 2 간극이 없으므로, 소성실로부터의 배기는 보조상판과 상판과의 간극에 들어가는 것이 저지된다.The drop-in furnace of Claim 7 is limited to the thing of Claim 6, The exhaust outlet of the baking chamber arrange | positioned below the said upper board is formed in the said upper board, The said 2nd formed between the said upper board and the said upper board So that the second gap is not formed in a portion of the gap corresponding to the exhaust outlet. According to this solution, in addition to the description of claim 6, the following actions are exhibited. That is, even if a heated object such as a pot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ing chamber exhaust outlet, there is no second gap between the auxiliary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corresponding to the exhaust outlet. Entering the gap is prevented.

청구항 8에 기재된 드롭인 곤로에 의하면,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기재된 것에 한정하여,「상기 삼발이의 틀체는, 그 하변과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틀체의 외측면과 상기 상판의 둘레벽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상기 보조상판의 외측에 배설되고, 상기 상판의 둘레벽과 상기 틀체와의 간극과, 상기 틀체의 하변과 상기 상판과의 간극과 상기 제 2 간극과 상기 제 1 간극으로 통기통로가 형성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삼발이의 틀체가 그 하변과 상판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삼발이의 틀체 외측면과 상판의 둘레벽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보조상판의 외측에 배설된다. 따라서, 삼발이의 틀체는 버너로부터 상판의 둘레벽을 향한 복사열을 열차단하여 상판의 과열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판의 둘레벽과 상기 틀체와의 간극과 상기 틀체의 하변과 상기 상판과의 간극과 상기 제 2 간극과 상기 제 1 간극이 일련으로 되는 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통기에 의하여 상판 및 연이어 설치된 부재가 냉각된다. 따라서, 청구항 6 및 청구항 7에 기재된 것에 부가하여, 한층 더 카운터 톱의 과열이 방지된다.According to the drop-in hearth of Claim 8, it is limited to what was described in Claim 6 or Claim 7, The "frame of the said trivet forms a clearance gap between the lower side and the said upper plate, and also the outer surface of the said fram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upper plate and disposed outside the auxiliary upper plate, the gap betwee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upper plate and the frame, the gap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and the upper plate, and the second gap. And a ventilation passage formed in the first gap. According to this solution, the trivet frame forms a gap between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plate, whil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tricycle and the peripheral wall of the upper plate and is disposed outside the auxiliary upper plate. . Therefore, the frame of the trivet can thermally block the radiant heat from the burner toward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upper plate and can suppress overheating of the upper plate. In addition, since a ventilation passage is formed in which a gap betwee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upper plate and the frame, the lower side of the frame and the upper plate, and the second gap and the first gap are formed in series, the upper plate and The subsequently installed members are cooled. Therefore,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in claims 6 and 7, overheating of the counter top is further prevented.

청구항 9에 기재된 드롭인 곤로는,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및 청구항 6에 기재된 것에 한정하여,「상기 상판의 바닥부 및 상기 보조상판의 바닥부에는, 상기 상판 하측에 배설된 소성실의 배기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보조상판의 상기 배기구 주변과 상기 상판의 상기 배기구 주변과의 상하간극은 막히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해결수단에 의하면, 보조상판의 배기구 주변과 상판의 배기구 주변과의 상하간극이 막히도록 하고 있으므로, 소성실용 배기구 상측에 냄비등의 피가열물이 놓여져도, 소성실로부터의 배기는 보조상판과 상판과의 간극에 들어가는 것이 저지된다.The drop-in furnace of Claim 9 is limited to what was described in Claim 1, Claim 2, Claim 3, and Claim 6, "The exhaust port of the baking chamber arrange | positioned in the bottom part of the said upper board and the bottom part of the said auxiliary top board below the said top board. Are respectively formed, and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periphery of the exhaust port of the auxiliary top plate and the periphery of the exhaust port of the top plate is blocked. According to this solution, the upper and lower gaps between the periphery of the exhaust top of the auxiliary top plate and the periphery of the top plate are blocked, so that even if heated objects such as pots are placed above the exhaust port for the firing chamber, exhaust from the firing chamber is prevented from exhausting from the firing chamber. Entering the gap with is inhibited.

도 1은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의 전체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op in the heart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the drop in heart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의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op-in furna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에 조립되는 상판의 부분평면도4 is a partial plan view of the top plate assembled to the drop-in furna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에 조립되는 상판의 전체단면도5 is an overall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plate assembled to the drop-in furna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에 조립되는 보조상판의 부분도Figure 6 is a partial view of the auxiliary top plate assembled in the drop-in furna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에 조립되는 앞측 삼발이의 전체도7 is an overall view of the front trivet assembled to the drop-in cook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에 조립되는 뒷측 삼발이의 전체도8 is an overall view of the rear trivet assembled to the drop-in cook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의 전체단면도9 is an overal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op in heart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도면에서 주로 카운터 톱 정면측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FIG. 10 is a partial sectional view mainly showing the counter top front side in the drawing of FIG.

도 11은 도 9의 도면에서 주로 카운터 톱 배면측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FIG. 11 is a partial sectional view mainly showing the counter top back side in the drawing of FIG.

도 12는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카운터 톱 정면측의 부분확대단면도12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ntertop front side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rop-in furna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카운터 톱 정면측의 부분확대단면도Fig. 13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nter top front side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drop-in furna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카운터 톱 정면측의 부분확대단면도Fig. 1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nter top front side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drop-in furna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카운터 톱 정면측의 부분확대단면도Fig. 1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nter top front side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drop-in furna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카운터 톱 정면측의 부분확대단면도Fig. 16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ont side of a countertop, showing still another modification of the drop-in furna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카운터 톱 정면측의 부분확대단면도17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nter top front side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drop-in furna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의 조립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assembly example of the drop-in furna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종래의 드롭인 곤로가 수용된 시스템키친의 사시도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system kitchen in which a conventional drop-in stove is accommodated.

도 20은 종래의 드롭인 곤로에 이용되는 삼발이의 전체사시도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ivet used in a conventional drop-in cooker

도 21은 종래의 드롭인 곤로의 부분단면도2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drop in hearth.

도 22는 종래의 드롭인 곤로의 워크톱 높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Fig. 2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height of the worktop of the conventional drop-in cooke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곤로본체 2 - 매달림틀체1-body type 2-hanging frame

3 - 상판 4 - 보조상판3-Top 4-Second Top

5 - 삼발이 9 - 필러5-Trivet 9-Filler

61, 62, 63 - 버너 70, 71 - 커버링61, 62, 63-Burner 70, 71-Covering

85 - 그릴부85-gril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에 관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스템키친에 조립된다. 도 2는 그와 같이 시스템키친에 조립된 상태의 드롭인 곤로를 앞면조작부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드롭인 곤로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또, 도 9는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의 앞면조작부에서 반조작측에 이르는 횡단단면도로, 도면을 향하여 좌측이 앞면조작부(10)측이다. 또, 도 10은 도 9에 있어서 앞면조작부측을 나타낸 확대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과 같이 도 9에 있어서 반조작부측을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또한, 도 1에는 시스템키친에 조립될 때에 앞면조작부측에 부착되는 도 3에 나타낸 필라(9)가 생략되어 있다.Hereinafter, the drop-in furna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hole of the drop-in furna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ssembled to the system kitchen as shown in FIG.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drop-in furnace in the state assembled in the system kitchen as seen from the front operation part sid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drop-in furnace of FIG. 9 is a cross sectional view from the front operation part of the drop-in furnace to the semi-operation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eft side is the front operation part 10 side toward the drawing. FIG.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ront control part side in FIG. 9, and FIG.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mi-operation part side in FIG. In addition, in FIG. 1, the pillar 9 shown in FIG. 3 attached to the front operation part side when it is assembled to a system kitchen is abbreviate | omitted.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는, 내부에 세개가 기본인 버너(61, 62, 63)를 구비한 곤로본체(1)가 최하부에 위치부여되어, 그의 상부방향으로 차례대로 매달림틀체(2), 상판(3), 보조상판(4) 및 삼발이(5)가 구비된 구성으로 하고, 상기 버너(61, 62, 63)의 화구를 상향으로 하므로써 카운터 톱(7)의 상면에 놓이도록 하였다. 또한, 곤로본체(1)와 매달림틀체(2)에 의하여 곤로케이스(100)를 구성한다. 또, 곤로본체(1)의 앞면조작부(10)측에는 이들 버너의 점화 및 조리 등을 하기 위한 각각의 손잡이(81∼84)가 설치되어 있고, 그의 중앙부에는 그릴부(85)의 그릴문(85a)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는, 카운터 톱에 뚫어형성된 트인구멍내부에 끼워넣어져서 고정되지만, 그것의 부착상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달림틀체(2)의 상단에 형성된 턱부(22)가 패킹(28)을 개재하여 카운터 톱(7)의 트인구멍 가장자리부에 맞닿게 되어 카운터 톱(7)에 대하여 매달리게 된다. 그 때, 매달림틀체(2)와 곤로본체(1)는 미리 연결되어 있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달림틀체(2)의 하변부(23)와 곤로본체(1)의 상변부(11)가 양쪽을 착탈자유롭게 고정시키는 나사(99a, 99b)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In the drop-in furna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rnace body 1 having three basic burners 61, 62, and 63 is positioned at the lowermost portion, and the suspension frame 2 and the upper plate are sequentially suspended in the upper direction thereof. (3), the auxiliary top plate 4 and the trivet 5 were provided, and the burner 61, 62, 63 was placed upward so as to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 top 7. Further, the furnace case 100 is constituted by the furnace body 1 and the hanging frame 2. Moreover, the front handle part 10 side of the main body 1 is provided with the handles K1-1-4 for ignition, cooking, etc. of these burners, The grill door 85a of the grill part 85 is provided in the center part. ) Is installed. The drop-in furn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an open hole formed in a countertop, but its attachment state is packed with a jaw portion 22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uspension frame 2, as shown in FIG. It contacts with the open-hole edge part of the counter top 7 through 28, and hangs with respect to the counter top 7. As shown in FIG. At that time, the hanging frame 2 and the working body 1 are connected in advance, and as shown in FIG. 9, the lower side 23 of the hanging body 2 and the upper side 11 of the working body 1 are shown. Is connected by screws 99a and 99b for freely fixing both sides.

매달림틀체(2)의 상부에 고정된 상판(3)은, 매달림틀체(2)와 같이 상단에 형성된 턱부(31)가 패킹(28)을 개재하여 카운터 톱(7)의 트인구멍 가장자리에 맞닿게 되어 매달려져 있다. 도 4는 이 상판의 부분평면도로서, 주로 드롭인 곤로를 향하여 좌측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5는 도 4의 상판 단면도로서, (a)는 XX-XX단면을 나타내고, (b)는 YY-YY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3)은 거의 사각형의 냄비형상을 이루고, 그의 바닥부(36)에는 버너(61, 62) 각각에 대응하는 부위에 있어서 원형의 트인구멍을 이루는 구멍부(34, 35)가 뚫어형성됨과 아울러, 그릴부(85)로부터의 배기를 카운터 톱(7) 상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사각형상의 트인구멍, 즉 구멍부(배기구)(36b)가 뚫어형성되어 있다. 구멍부(34, 35) 각각의 내측둘레부는 약간 상측으로 일어나듯이 융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판의 트인구멍을 규정하는 둘레벽(32)은 바닥부(36)를 포위하는 형상으로서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과 상측을 향하여 확대개구하도록 경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트인구멍의 상단에는 상기한 외측둘레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턱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상판(3)이 카운터 톱(7)의 트인구멍 가장자리부에 매달리게 되므로써, 카운터 톱(7)의 상면에 놓이는 버너(61, 62, 63)의 부위, 그릴부(85)의 배기구(36b 및 그의 양측 트인구멍(36a, 36c)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카운터 톱(7)의 트인구멍이 덮여진다. 상판(3)의 둘레벽(32)에 형성된 단부(38)는 후술하는 보조상판(4)의 재치부이고, 또 둘레벽(32)에 형성된 단부(39)는 후술하는 삼발이(5)의 재치부가 된다.The upper plate 3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hanging frame 2 has a jaw portion 31 formed at the upper end like the hanging frame 2 so as to abut against the open hole edge of the counter top 7 via the packing 28. Is hanging. Fig. 4 is a partial plan view of the top plate, mainly showing the left side toward the drop-in furnac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plate of FIG. 4, (a) shows a XX-XX cross section, and (b) shows a YY-YY cross sec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upper plate 3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n shape, and its bottom portion 36 has a hole 34 which forms a circular open hole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urners 61 and 62. In addition, 35 is formed by drilling, and a square open hole, that is, a hole (exhaust) 36b, is formed to discharge exhaust from the grill portion 85 to the upper side of the counter top 7.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each of the holes 34 and 35 is formed in a raised shape as if slightly rising upward. The circumferential wall 32 defining the open hole of the upper plate is integrally formed as a shape surrounding the bottom 36 and is formed in an inclined shape so as to enlarge and open toward the outer side and the upper side.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is formed with a jaw portion 31 protruding in the outer peripheral direction described above. Since the upper plate 3 is suspended from the open hole edge portion of the counter top 7, the portion of the burners 61, 62, 63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 top 7, the exhaust port 36b of the grill portion 85 and its Except for both side opening holes 36a and 36c, the opening hole of the counter top 7 is substantially covered. The end 38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wall 32 of the upper plate 3 has an auxiliary upper plate 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end portion 39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wall 32 serves as a mounting portion of the trivet 5 described later.

또한, 삼발이는 도면예와 같이 재치부에 놓여지는 이외에, 돌기편(51a, 52a)의 외측단을 틀체(51f, 52f)보다 더 돌출시키고, 이 돌출부를 상판(3) 둘레벽(32)의 단부나 턱부(31)에 놓여지게 하므로써, 틀체하변을 바닥부(36)로부터 뜬상태로 매달리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ivet protrudes the outer ends of the projection pieces 51a and 52a more than the frameworks 51f and 52f, in addition to being placed on the mounting portion as shown in the drawing example,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wall 32 of the upper plate 3. The lower end of the frame can be suspended from the bottom 36 by being placed at the end or the jaw 31.

상판(3)의 상면에는 보조상판(4)과 삼발이(5)가 놓여진다. 먼저, 보조상판(4)은 상판(3) 둘레벽(32)의 내부측에 위치부여됨과 아울러, 상판(3)의 상면에 소정 간극을 형성하여 놓여진다. 도 6은 이 보조상판(4)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은, 중앙부에 보조상판(4)의 부분평면도를 나타내고, 그것을 향하여 좌측에 좌측도면, 우측에 X-X단면도이고 하측에 Y-Y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보조상판(4)의 바닥부(42)는 상판(3)과 같이 버너(61, 62, 63)의 대응부위에 구멍부(43, 44)가 형성되어, 각각 내측둘레부는 약간 상측으로 일어나듯이 융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조상판(4)의 외측둘레부는 바닥부(42)를 둘러싸도록 융기하여 형성되고, 그의 내부측에 경사형상의 둘레벽(47)이 형성되는 한편, 외부측에 연직형상의 외측둘레수하벽(48)이 형성되어 있다. 둘레벽(47)은 보조상판(4)이 외측과 상측을 향하여 확대개구하도록 경사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둘레벽(47)과 외측둘레수하벽(48)의 상단부에는 이들을 접속하는 둘레벽 상변부(4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둘레벽 상변부(41)는 보조상판(4)의 외측둘레 전역에 걸쳐서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그 중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곳에 다른 둘레벽 상변부(41)보다도 낮게 형성된 오목부(45, 45)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보조상판(4)은 상판(3)의 바닥부(36)에 대응되어 형성되어 있고, 도 9에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3)위에 놓여지면 상판(3)의 바닥부(36)를 실질적으로 덮어씌운다. 보조상판(4)이 상판(3)의 상면에 놓여진 상태는, 도 9에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상판(4)의 외측둘레수하벽(48)의 하단부만이 상판(3)의 상면에 맞닿아서 보조상판(4)의 바닥부(42)와 상판(3)의 상면과는 소정 간극이 형성되도록 놓여진다. 상판(3)의 둘레벽(32)에는 평탄한 단부(38)가 형성되므로서 보조상판(4)은 위치결정되어 놓여진다. 또한, 외측둘레수하벽(48)의 하단부에는 복수개의 다리(48b)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다리(48b, 48b)사이에 절결부(48a)가 형성되어서 보조상판(4)의 외측둘레에 있어서 상판(3)과의 사이에 상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간극의 형성은 외측둘레수하벽(48)의 하변이 평탄하여도 외측둘레수하벽(48)에 트인구멍을 형성하거나, 혹은 재치부(38)에 부분적으로 볼록부를 형성하여도 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 the auxiliary upper plate 4 and the trivet 5 are placed. First, the auxiliary upper plate 4 is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wall 3 circumferential wall 32 and is formed by forming a predetermined gap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 6 shows this auxiliary top plate 4. The figure shows the partial plan view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in the center, the left side view on the left side, the X-X cross section on the right side, and the Y-Y cross section on the lower side. The bottom portion 42 of the auxiliary top plate 4 is formed with holes 43 and 44 at the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burners 61, 62, and 63, like the top plate 3, and the inner periphery portions rise slightly upwards, respectively. It is formed in a raised shape.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is formed by being raised so as to surround the bottom portion 42, and an inclined circumferential wall 47 is formed on the inner side thereof, while a vertical outer circumferential water lowering wall ( 48) is formed. The circumferential wall 47 is formed in an inclined shape so that the auxiliary top plate 4 enlarges and opens toward the outer side and the upper side. At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circumferential wall 47 and the outer peripheral water fall wall 48, a circumferential wall upper side portion 41 connecting them is integrally formed. The circumferential wall upper edge portion 41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ver the entire outer circumference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and as shown in FIGS. 3 and 6, the circumferential wall upper edge portion 41 is lower than the other circumferential wall upper edge portion 41. Concave portions 45 and 45 are formed. Further, the auxiliary top plate 4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bottom portion 36 of the top plate 3, and as shown in Figs. 9 to 11, when placed on the top plate 3, the bottom portion of the top plate 3 ( Substantially cover 36). In the state where the auxiliary upper plate 4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 as shown in FIGS. 9 to 11, only the low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bottom wall 48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is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bottom portion 42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 are placed so as to form a predetermined gap. A flat end 38 is formed in the peripheral wall 32 of the upper plate 3 so that the auxiliary upper plate 4 is positioned and plac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legs 48b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bsurface wall 48, and cutouts 48a are formed between these legs 48b and 48b, so th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is formed. An upper and lower gap is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3. In the formation of the gap, a hole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bsurface wall 48 may be formed even if the lower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bsurface wall 48 is flat, or a convex portion may be partially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38.

또, 보조상판(4)의 구멍부(43, 44)에는 각각 트인구멍의 내측둘레부를 덮어씌우는 링형상의 커버링(70, 71)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보조상판(4)에 의하여 냄비등으로부터 국물이 상판(3)측으로 흘러도 보조상판(4)에 의하여 받쳐지므로, 상판(3)으로 흘러내리는 것이 저지된다. 보조상판(4)은 상판(3)의 상면에 얹어놓여 있을 뿐이므로, 상판(3)에 비하여 쉽게 떼낼 수 있어서 통째로 간단하게 청소할 수 있다.In addition, ring-shaped coverings 70 and 71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hole portions 43 and 44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to cover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 hole. Even if the broth flows from the pot or the like to the upper plate 3 side by the auxiliary upper plate 4, the auxiliary upper plate 4 is supported by the auxiliary upper plate 4, so that it is prevented from flowing down to the upper plate 3. Since the auxiliary upper plate 4 is only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 the auxiliary upper plate 4 can be easily removed compared to the upper plate 3, and the whole can be easily cleaned.

다음으로, 냄비등의 피가열부재를 받아고정하는 삼발이(5)는, 두개의 삼발이가 상판(3)위에 병렬배치되어 상판(3)의 둘레벽(32) 내부측에 위치부여되고, 상판(3)내부로 내려가듯이 설치되어 있다. 삼발이(5)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너(61, 62)에 대응한 앞측 삼발이(51)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너(63)에 대응한 뒷측 삼발이(52)로 구성된다. 또한, 각각 도면에 있어서 (b)는 평면도이고, 이 평면도를 향하여 하측이 앞면조작부측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a)는 배면(반조작부측)도이고, (c)는 정면(앞면조작부측)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삼발이(51, 52)는 상판(3)에 놓이는 버너(61, 62, 63)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버너(61, 62, 63)를 둘러싸도록 각각 복수개 배열된 돌기편(51a, 52a)과, 이들 돌기편(51a, 52a)을 각각 지지하는 틀체(51f, 52f)로 구성된다. 이 틀체(51f, 52f)에 의하여, 각각의 삼발이외형이 규정된다. 또, 각 삼발이(51, 52)에는 보강적으로 중간틀체(51g, 52g)가 각각 틀체(51f, 52f)에 형성되어 있다.Next, in the trivet 5 for receiving and heating a member to be heated such as a pot, two trivets are placed on the upper plate 3 in parallel to be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32 of the upper plate 3. 3) It is installed as if going down inside. As shown in FIG. 7, the tricycle 5 is comprised of the front tricycle 51 corresponding to the burners 61 and 62, and the rear tricycle 52 corresponding to the burner 63 as shown in FIG. . In addition, in each figure, (b) is a top view, The lower side has shown the front operation part side toward this top view. Correspondingly, (a) is the back (half operation part side) figure, and (c) is the front (front operation part side) figure. These trivets 51 and 52 a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burners 61, 62, and 63 placed on the upper plate 3, and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 pieces 51a and 52a which are arranged to surround the burners 61, 62 and 63, respectively. And frame bodies 51f and 52f supporting these protrusion pieces 51a and 52a, respectively. By the frames 51f and 52f, the external shape of each tricycle is defined. In addition, each of the trivets 51 and 52 is provided with intermediate frames 51g and 52g, respectively, in the frames 51f and 52f.

앞측 삼발이(51)의 틀체(51f)를 구성하는 틀편 중,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면조작부측의 틀편(51f2)에는 하변이 절결된 절결부(51e)를 구비하고, 절결부(51e)와 절결부(51e)의 사이에 상판(3)의 상면에 맞닿는 지지부(51d)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삼발이(51)가 상판(3)(재치부(39))의 상면에 놓이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51e)와 상판(3)의 사이에 간극(51h)이 형성된다. 또한, 도시생략되었지만, 틀체(51f)의 양측 틀편(51f3, 51f4)에도 같은 식으로 절결부(51e) 및 지지부(51d)가 형성되어 있다. 또, 틀체(51f) 중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조작부측의 틀편, 즉 이웃하는 틀체(52f)와 인접하는 인접틀편(51f1)에서는, 틀체중앙부(51k) 부위를 제외하고 상변이 다른 상변부보다도 낮게 형성된 저상변부(51j)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와는 반대로, 뒷측 삼발이(52)에서는, 그의 틀체(52f) 중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면조작부측의 틀편, 즉 이웃하는 틀체(51f)와 인접하는 인접틀편(52f1)에서는, 틀체 중앙부(52k) 부위를 제외하고 상변이 다른 상변부보다도 낮게 형성된 저상변부(52j)가 형성되어 있다. 삼발이(51)의 저상변부(51j)와 삼발이(52)의 저상변부(52j) 각각의 높이는, 상판(3)의 상면에 놓여진 상태에 있어서, 거의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발이(52)의 틀체(52f) 중 반조작부측의 틀편(52f2)에 있어서 하변이 절결된 절결부(52e)가 형성되어, 이들 절결부(52e)와 절결부(52e)의 사이에 상판(3)의 상면에 맞닿는 지지부(52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양측의 틀편(52f3, 52f4)에 절결부와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형성하여도 된다. 따라서, 삼발이(52)가 상판(3)의 재치부(39)에 놓이면,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52e)와 상판(3)의 사이에 간극(52h)이 형성된다. 이들 틀체(51f, 52f)의 상기 간극(51h(D), 52h(L))은, 틀체(51f, 52f)와 상판(3) 둘레벽(32)의 사이간극(E, M)과 아울러, 카운터 톱(7) 상부측과 버너(61, 62, 63)측을 통기하는 통기통로가 된다. 그리고, 앞측 삼발이(51)와 뒷측 삼발이(52)가 인접하여 틀체(51f, 52f)끼리가 서로 겹쳐지기 때문에, 상판(3)의 상면에 있어서 앞측 삼발이(51)측에서 뒷측 삼발이(52)측으로의 통기가 저지되지만, 상기 저상변부(51j, 52j)의 형성에 의하여 냄비가 삼발이(51, 52)에 놓여도, 저상변부(51j, 52j)와 냄비바닥 사이에 간극(J)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 삼발이(51, 52) 사이에서 용이하게 통기가 이루어진다. 또한, 이들 틀체(51f, 52f)끼리가 서로 겹쳐지는 부위는 상기 삼발이의 저상변부(51j, 52j)에 부가하여, 또 삼발이의 틀체(51f, 52f)의 하변부와 상판(3)의 바닥부(36)와의 사이에 간극이 있으므로, 양 삼발이(51, 52) 사이에서 통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면예에서는, 틀체측에 절결부(51e, 52e)를 형성하여 상기 간극(51h(D), 52h(L))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를 대신하여 틀체측에는 절결부를 형성하지 않고 평탄하게 하여, 상판(3)측 재치부(39)에 복수개의 볼록부를 형성하고 이 복록부와 틀체 하변과의 사이에서 동일한 간극을 형성하여도 된다(도시생략). 혹은, 상판(3)의 바닥부(36)를 삼발이(52)의 재치부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도, 틀체(51f, 52f)의 하변에 절결부(51e, 52e)를 형성하거나 틀체(51f, 52f)의 하변을 직선상으로 함과 아울러, 이것을 상기 바닥부(36)에 형성한 복수개의 볼록부로 지지하므로써 상기 통기용 간극을 확보하여도 된다. 또한, 삼발이는 돌기편(51a, 52a)의 외측단을 틀체(51f, 52f)보다 더 돌츨시켜서, 이 돌출부를 상판(3)의 둘레벽(32) 단부나 턱부(31)에 놓이게 하므로써, 틀체 하변을 바닥부(36)에서 떠있는 상태로 매달리게 하여서 상기 간극을 형성하여도 된다.Among the frame pieces constituting the frame 51f of the front tricycle 51, as shown in Fig. 7C, the frame piece 51f2 on the front operation portion side is provided with a cutout portion 51e having a lower side cut out, and a cutout portion ( The support part 51d which abu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 is formed between 51e) and the notch 51e. Therefore, when the trivet 51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 (mounting portion 39), a gap 51h is formed between the notch 51e and the upper plate 3 as shown in FIGS. 9 and 10. Is formed. Although not shown, notches 51e and support portions 51d are formed on both frame pieces 51f3 and 51f4 of the frame 51f in the same manner. As shown in Fig. 7A of the frame 51f, the upper edge of the frame piece on the side of the semi-manipulator, that is, the adjacent frame piece 51f1 adjacent to the adjacent frame body 52f except for the frame center portion 51k portion. The low phase edge part 51j formed below this other top edge part is formed. On the other hand, in the rear tricycle 52, as shown in Fig. 8 (c) of the frame 52f, in the frame piece on the front operation part side, that is, in the adjacent frame piece 52f1 adjacent to the neighboring frame body 51f, Except for the center portion 52k of the frame body, the bottom edge 52j is formed to have a lower edge than the other edges. The height of each of the low top edge part 51j of the trivet 51 and the low top edge part 52j of the trivet 52 is set to almost the same height in the state pu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 Then, as shown in Fig. 8A, the cutout 52e in which the lower side is cut out is formed in the cut piece 52f2 on the side of the half-operation part among the frame 52f of the trivet 52, and these cutouts 52e are formed. ), And the support part 52d which abu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 is formed between the cutout 52e. In addition, in the said example, although the notch part and the support part are not formed in the frame pieces 52f3 and 52f4 of both sides, you may form. Therefore, when the trivet 52 is placed on the mounting portion 39 of the upper plate 3, a gap 52h is formed between the cutout 52e and the upper plate 3 as shown in FIGS. 9 and 11. The gaps 51h (D) and 52h (L) of these frame bodies 51f and 52f, as well as the gaps E and M between the frame bodies 51f and 52f and the upper plate 3 circumferential wall 32, It becomes a ventilation passage through which the upper part of the counter top 7 and the burners 61, 62, 63 are ventilated. In addition, since the front tricycle 51 and the rear tricycle 52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frames 51f and 52f overlap each other, the front tricycle 51 side to the rear tricycle 52 si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 Although aeration of air is prevented, even when the pan is placed on the trivets 51 and 52 by the formation of the bottom upper edge portions 51j and 52j, a gap J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upper edge portions 51j and 52j and the bottom of the pot. It is easily ventilated between both trivets 51 and 52. In addition, the part where these frames 51f, 52f overlap each other is added to the lower top edge part 51j, 52j of the said tricycle, and the lower side part of the frame 51f, 52f of a trivet and the bottom part of the upper board 3 are also included. Since there is a gap between the 36 and the aeration, ventilation between the tricycles 51 and 52 can be easily achieved. In the drawing example, the gaps 51h (D) and 52h (L) are formed by forming the cutouts 51e and 52e on the frame side, but instead of the cutouts, the cutouts 51e and 52e are formed flat without forming the cutouts on the frame side. Thus,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may be formed on the upper plate 3 side placing portion 39, and the same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double convex portion and the lower side of the frame (not shown). Alternatively, the bottom portion 36 of the upper plate 3 may be a mounting portion of the trivet 52. Also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cutouts 51e and 52e are formed on the lower sides of the frames 51f and 52f, or the lower sides of the frames 51f and 52f are in a straight line, and this is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36. The ventilation gap may be secured by supporting the two convex portions. In addition, the trivet projects the outer ends of the projection pieces 51a and 52a more than the frames 51f and 52f so that the protrusions are placed at the end of the circumferential wall 32 or the jaw portion 31 of the upper plate 3. The gap may be formed by hanging the lower side suspended from the bottom portion 36.

또한, 보조상판(4)의 둘레벽상변부(41)에 형성된 오목부(45, 45)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의 상측에서 앞측 삼발이(51)와 후측 삼발이(52)가 위치부여되고, 각각 틀체(51f, 52f) 중 서로 인접하는 삼발이의 인접틀편(51f1, 52f1)이 오목부(45, 45) 위를 걸치듯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삼발이(51, 52)와 보조상판(4)의 접촉을 피할 수 있고, 삼발이(51, 52)는 보조상판(4)을 개재시키지 않고 직접 상판(3)의 상면에 놓일 수 있다. 만약, 삼발이(51, 52)를 보조상판(4)의 상면에 놓으면, 삼발이(51, 52)자체의 가공정밀도상의 오차나 열뒤틀림에 의한 변형등 길이오차에 더하여, 보조상판(4)자체의 외형길이상의 오차나 열뒤틀림이 부가된다. 따라서, 누적오차가 커지게 되므로 그 결과 삼발이(51, 52)는 상판(3)위에서 흔들리기 쉬워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삼발이(51, 52)를 상판(3)위에 직접 놓이게 하였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청소등 손질이 쉽도록 삼발이5(51, 52)를 분할하여도, 직접 삼발이5(51, 52)를 상판(3)에 놓을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 삼발이의 인접부, 즉 틀체(51f, 52f)의 인접편(51f1, 52f1)을 오목부(45, 45)위에서 걸쳐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삼발이를 분할하여 복수개 얹어놓을 경우에 알맞고, 드롭인 곤로의 대형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한편, 삼발이자체의 소형화도 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삼발이의 인접부를 오목부(45, 45)위에 걸쳐지도록 하였으므로, 높이방향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고, 드롭인 곤로의 플랫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예에서는, 보조상판(4)의 둘레벽상변부(41)측에 오목부(45, 45)를 형성하였지만, 이와 반대로 둘레벽상변부(41)는 통상 높이 그대로 하고, 삼발이의 인접편(51f1, 52f1)에 이미 별도로 상기한 바와 같은 절결부(51e, 52e)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높이방향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드롭인 곤로의 플랫화를 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cave portions 45 and 45 formed on the peripheral wall upper edge portion 41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the front tricycle 51 and the rear tricycle 52 are positioned at the upper side thereof, as shown in FIG. The adjacent frame pieces 51f1 and 52f1 of the trivet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frames 51f and 52f are formed so as to span the recesses 45 and 45, respectively. Therefore, contact between the trivets 51 and 52 and the auxiliary upper plate 4 can be avoided, and the trivets 51 and 52 can be directly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 without interposing the auxiliary upper plate 4. If the trivets 51 and 52 ar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top plate 4, the length of the auxiliary top plate 4 itself in addition to the error in the processing accuracy of the trivets 51 and 52 itself or the deformation due to thermal warping, etc. Errors or column distortions beyond the contour path are added. Therefore, the cumulative error becomes large, and as a result, the trivets 51 and 52 are easily shaken on the upper plate 3. However, since the trivets 51 and 52 are placed directly on the upper plate 3 as described above, this problem can be solved. In this manner, even when the trivets 5 (51, 52) are divided so as to be easy to clean, such as cleaning, the trivets 5 (51, 52) can be placed on the upper plate 3 directly. Since the adjacent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trivets, that is, the adjacent pieces 51f1 and 52f1 of the frame 51f and 52f, are stretched over the concave portions 45 and 45, it is suitable for the case where the trivets are divided and placed in plurality. While it is possible to easily cope with the enlargement of the furnace,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trivet itself. In addition, since the adjacent portions of the trivets were allowed to extend over the concave portions 45 and 45, the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can be reduced, and flattening of the drop-in furnace can be achieved. In addition, although the recessed parts 45 and 45 we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wall upper edge part 41 side of the auxiliary upper board 4 in the drawing example, on the contrary, the circumferential wall upper edge part 41 is normally left as it is, and it is adjacent to a trivet. The cutouts 51e and 52e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separately on the pieces 51f1 and 52f1. Also in this case, since the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can be reduced, flattening of the drop-in furnace can be achieved.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여 카운터 톱(7)의 트인구멍에 끼워넣어져서 조립된다. 그리고, 조립할 때에 도 2, 도 3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면조작부(10)측에 있어서, 카운터 톱(7)의 하부와 곤로본체(1)의 상변부(11)와의 사이에서 생긴 간극(H3)(도 9참조)에 필러(9)가 장치된다. 필러(9)는 필러부재로서 간극(H3)에 대응하도록 소정 높이(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깊은 매달림틀체(2)와 얕은 매달림틀레(20)의 깊이의 차(S)가 거의 일치하는 높이)로 형성됨과 아울러, 곤로본체측에 개구하도록 상변(92)과 하변(93)을 구비한다. 필러(9)의 부착은 상변(29)에서 내부로 연장된 설편(92a)이 매달림틀체(2)의 둘레벽(21)에 형성된 창(25)에 끼워넣어져서 통과됨과 아울러, 이 창(25)의 형성으로 둘레벽(21)에 잘라내서 형성된 절곡편(24)에 나사(26)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필러(9)의 하변(93)에서 내부로 연장된 선단(93a)이 곤로본체(1)의 상변부(11)와 매달림본체(2)의 간극에 끼워넣어져서 고정된다. 또, 필러(9)에는 양단부에 통기구멍(91)이 형성되어 곤로본체(1)의 내부측과 통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drop-in furna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is fitted into the open hole of the counter top 7 to be assembled. 2, 3, and 9, when assembling, a gap generated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counter top 7 and the upper edge portion 11 of the furnace body 1 on the front operation portion 10 side. The pillar 9 is attached to (H3) (refer FIG. 9). The pillar 9 has a height at which the difference S between the depth of the deep suspension frame 2 and the shallow suspension frame 20 substantially matches a predetermined height (as shown in FIG. 18) to correspond to the gap H3 as the filler member. And an upper side 92 and a lower side 93 so as to open on the side of the furnace body. The attachment of the filler 9 is inserted into the window 25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wall 21 of the hanging frame 2 through the tongue piece 92a extending inwardly from the upper side 29, and the window 25 ) Is fixed to the bent piece 24 formed by cutting off the circumferential wall 21 by the screw 26. Then, the tip 93a extending inwardly from the lower side 93 of the filler 9 is fitted into the gap between the upper side portion 11 of the working body 1 and the hanging body 2 and fixed. In the filler 9, vent holes 91 are formed at both ends, and the filler 9 is formed so as to vent with the inner side of the furnace body 1.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는, 워크톱 높이, 즉 삼발이 상변부(51b, 52b)의 높이와 상이한 여러가지 시스템키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곤로본체(1)와 매달림틀체(2)를 나사(99a, 99b)에 의하여 착탈자유롭도록 연결고정된다. 따라서, 도 22(a)의 높이 H1의 드롭인 곤로에서 도 22(b)의 높이 H2의 드롭인 곤로로 워크톱 높이를 변경하여 드롭인 곤로를 카운터 톱(7)에 끼워넣을 경우에도 곤로본체(1)나 버너(61, 62, 63)는 그대로 공통구성부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즉,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 우측에 종렬로 나타낸 높이 H1의 드롭인 곤로의 구성부품인 삼발이(50), 상판(30)및 매달림틀체(20)를, 도면 좌측에 종렬로 나타낸 본 실시예와 같이, 높이(H2)의 드롭인 곤로의 삼발이(5), 깊은 상판(3) 및 깊은 매달림틀체(2)로 바꿔놓음으로써, 곤로본체(1)나 버너(61, 62, 63)는 그대로 하고 워크톱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곤로본체(1)와 매달림틀체(20)가 착탈자유롭게 연결고정될 수 있고, 여러종류의 조합에 따른 조립이 가능해 졌고, 예를 들면 상기와는 반대의 경우인 높이 H2의 드롭인 곤로에서 높이 H1의 드롭인 곤로로의 변경에도 쉽게 대응할 수 있다.The drop-in furna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it possible to cope with various system kitchens different from the height of the worktop, that is, the height of the upper edges 51b and 52b, and as described above, the furnace body 1 and the hanging frame 2 ) Is securely connected and detached by screws 99a and 99b. Therefore, when the workpiece height is changed from the drop-in furnace of the height H1 of FIG. 22 (a) to the drop-in furnace of the height H2 of FIG. (1) and the burners 61, 62, and 63 can be used as they are as common components. That is, as shown in FIG. 18, this embodiment showed tricycle 50, the upper plate 30, and the suspension frame 20 which are components of the drop-in furnace of the height H1 shown by the column on the right side of the figure in the column on the left side of the figure. As in the example, the main furnace body 1 and the burners 61, 62, and 63 are replaced with the tricycles 5, the deep top plate 3, and the deep hanging frame 2 of the drop furnace of the height H2. You can change the height of the workstation as it is. And,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1) and the hanging frame (20) can be freely connected and fixed, assembling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combinations is possible, for example, the height of H2 which is the case opposite to the above The change from the drop-in stove to the drop-in stove of height H1 can be easily coped with.

또, 상기한 깊은 상판(3)이나 매달림틀체(2)로 변경하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면조작부(10)측에 있어서 카운터 톱(7)의 하부와 곤로본체(1)의 상변부(11)와의 사이에 간극(H3)이 생겨서, 앞면조작부(10)측에서 보면 볼품이 없어 보일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드롭인 곤로와 같이, 이 간극길이에 대응한 높이의 필러(9)를 부착하므로써, 너무 커지지 않고 또한 드롭인 곤로로서 볼품이 없어지는 일도 없다. 그리고, 여러종류의 워크톱 높이에 대응할 필요에 있어서, 이 간극(H3)이 상기 조합에 의하여 변화하여도, 그것에 대응한 높이길이의 필러(9)를 부착할 수 있고 보기 좋게 여러가지 변경에 대응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changing into the above-mentioned deep upper plate 3 or the suspension frame 2, as shown in FIG. 9, the lower part of the counter top 7 and the upper edge part of the main furnace body 1 in the front operation part 10 side are shown. The gap H3 is formed between (11) and when viewed from the front operation part 10 sid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appearance is not seen. However, by attaching the filler 9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gap length like the bone drop-in stove, it does not become too large and the appearance of the drop-in stove is not lost. In addition, even if this gap H3 changes with the said combination, when the gap | interval H3 needs to respond | correspond to various heights, the filler 9 of the height length corresponding to it can be attached, and it can cope with various changes in a beautiful way. hav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는 여러종류의 워크톱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는 한편, 곤로본체(1) 및 내부 버너(61, 62, 63)등의 주요구성부품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필요한 부품개수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번거로워지지 않음과 아울러 부품관리의 수고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나사(99a, 99b)를 대신하여, 구멍부와 걸어맞춤편에 의한 걸림수단을 매달림틀체(2)와 곤로본체(1)에 형성할 수 있다. 도시생략하였지만, 매달림틀체(2)와 곤로본체(1)의 각각 측벽을 끼워맞춰서 이들 걸림수단에 의하여 고정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여러가지 걸어맞춤방법을 채용하므로써, 매달림 틀체(20)와 곤로본체(1)를 착탈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rop-in furna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pe with the height of various types of worktops, while the main components such as the furnace body 1 and the internal burners 61, 62, and 63 can be used as they are. Since the number can be minimized, assembly is not cumbersome and the labor of parts management is not necessary. In addition, instead of the screws 99a and 99b, the locking means by the hole portion and the engaging piece can be formed in the hanging frame 2 and the working body 1. Although not shown, the side walls of the hanging frame 2 and the main body 1 may be fitted to each other and fixed by these locking means. By employing the various engagement methods in this manner, the hanging frame 20 and the working furnace body 1 can be freely configured.

이하,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에 관하여, 도 10에서 도 17을 이용하여 더 상술한다. 도 10에 있어서, 버너(61)는 버너혼합관(61a)과 본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본체 상단부(61b)에는 본체 내외부를 연결하여 통하는 구멍부(61e)가 둘레방향으로 복수개 뚫어형성되어 있다. 버너(61)의 상부에는 버너캡(53)이 덮어씌워진다. 버너캡(53)은 거의 원반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원주형상의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버너캡(53)의 외측둘레(53a)의 하측에는 즐치형상(櫛齒形狀)의 돌기가 둘레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버너(61)의 상단부(61b)와의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따라 버너(61)의 불꽃구멍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또, 버너캡(53)의 상부에는 내부공극과 연결되어 통하는 통기구멍(55a)이 형성되어 있다. 버너(61) 본체부의 외측둘레부(61c)에는 링형상의 커버링(70)이 외측에서 끼워고정되어, 그것의 외측둘레부가 보조상판(4)의 구멍부(43)를 덮어씌우듯이 놓여져 있다. 이 커버링(70)의 외측끼움에 의하여 상판(3)의 구멍부(34)와 버너의 외측둘레부(61c)와의 간극이 삼발이(51)측에서 보면 가려진다. 또한, 커버링(70)을 이용하지 않고 보조상판(4)의 구멍부(43)를 버너(61)의 외측둘레부(61c)에 거의 근접한 크기로 하여도 된다. 또, 보조상판(4)의 외측둘레수하벽(48)에는 하측에 절결된 절결부(48a)가 형성되어 다리(48b)에 의하여 상판(3)에 놓여지므로, 상판(3)의 재치부(38) 상면과 이 절결부(48a)의 사이에 간극(C)이 형성된다. 즉, 보조상판(4)의 외측둘레에 있어서 상판(3)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상판(3)과 보조상판(4)의 간극 및 상판(3)에 형성된 버너의 트인구멍과 연결되어 통한다. 또한, 이 절결부(48a)는 외측둘레수하벽(48)내측, 앞면조작부(10)측 및 좌우양측에는 형성되어 있지만, 반조작부측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도 11참조). 이것은 그릴부(85)의 배기구(36a) 상측에 냄비를 놓았을 때에 배기가 보조상판(4)과 상판(3)의 사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이다.Hereinafter, the drop in hearth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7. In Fig. 10, the burner 61 has a burner mixing tube 61a and a main body portion integrally formed, and a plurality of holes 61e through which the inner and outer portions of the main body 61b are connected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burner cap 53 is covered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burner 61. The burner cap 53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disk shape, and a cylindrical void is formed therein. At the lower side of the outer periphery 53a of the burner cap 53, a plurality of bladder-shaped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burner 61 is formed along a passage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61b of the burner 61. Is formed with a spark hole (55).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burner cap 53 is provided with the ventilation hole 55a connected to the internal space | gap. A ring-shaped covering 70 is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61c of the burner 61 main body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thereof is placed so as to cover the hole portion 43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By the outside fitting of this covering 70, the clearance gap between the hole part 34 of the upper plate 3, and the outer periphery part 61c of a burner is hidden when viewed from the tricot 51 side. In addition, the hole portion 43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may be set to a size substantially clos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61c of the burner 61 without using the covering 70. In addition, the cutout portion 48a cut out at the lower side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bsurface lower wall 48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and placed on the upper plate 3 by the legs 48b,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of the upper plate 3 ( 38) A gap C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cutout 48a. That is, a gap is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3 i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and is connected to the gap between the upper plate 3 and the auxiliary upper plate 4 and the open hole of the burner formed in the upper plate 3. It works. The cutout portion 48a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periphery lower wall 48, on the front manipulation portion 10 side, an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but is not formed on the semi-manipulation portion side (see Fig. 11). This is because the exhaust is prevented from entering between the auxiliary upper plate 4 and the upper plate 3 when the pan is placed above the exhaust port 36a of the grill portion 85.

따라서, 곤로케이스(100)의 내부공간과 카운터 톱(7)의 상부측 사이에 다음의 통기통로가 형성된다. 즉, 곤로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서, 상판구멍부(34)와 버너의 외측둘레부(61c)와의 간극(A), 보조상판(4)과 상판(3)의 상면과의 간극(B), 보조상판(4)의 절결부(48a)의 간극(C) 및 삼발이(51)에 있어서 틀체(51f)의 하부 간극(51h(D)), 그리고 상판(3)의 둘레벽(32)과 삼발이의 틀체(51f)의 간극(E)을 거쳐서 카운터 톱(7)의 상부측으로 연결되어 통하는 통기통로가 형성된다.Therefore, the following ventilation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pace of the furnace case 100 and the upper side of the counter top 7. That is,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urnace case 100, the gap A between the upper plate hole portion 34 an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61c of the burner, and the gap B between the auxiliary upper plate 4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 ), The gap C of the cutout portion 48a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and the lower gap 51h (D) of the frame 51f in the trivet 51 and the circumferential wall 32 of the upper plate 3. An aeration passage is formed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unter top 7 via the gap E of the frame body 51f of the tricycle.

그리하여, 버너(61)의 연소에 의하여, 상기 통기통로를 통하여 곤로케이스(100)내의 공기가 카운터 톱(7)측으로 배출된다. 이 통기의 흐름에 의하여 상판(3)과 보조상판(4)이 냉각되고, 더 나아가서는 카운터 톱(7)도 냉각된다. 그리고, 불꽃구멍부에서 방사되는 불꽃의 복사열에 의하여, 상판(3) 및 이것에 연이어 설치된 매달림틀체(2)등이 가열되도록 하지만, 보조상판(4)에 의하여 상판(3)측에 대하여 차단되고, 또 삼발이(51, 52)의 틀체(51f, 52f)에 의하여 상판(3)의 둘레벽(32)도 차단되어서, 상기 통기통로의 공기의 유통에 의하여 상판(3)등이 냉각된다. 따라서, 상판(3) 및 매달림틀체(2)의 온도상승이 억제되어 카운터 톱(7)의 과열이 방지되다.Thus, by the combustion of the burner 61, the air in the furnace case 100 is discharged to the counter top 7 side through the ventilation passage. The top plate 3 and the auxiliary top plate 4 are cooled by this flow of air, and furthermore, the counter top 7 is also cooled. The upper plate 3 and the hanging frame body 2, which are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3, are heated by the radiant heat of the flame radiated from the flame hole, but the auxiliary upper plate 4 is blocked on the upper plate 3 side. In addition, the circumferential wall 32 of the upper plate 3 is also blocked by the frames 51f and 52f of the trivets 51 and 52, and the upper plate 3 and the like are cooled by the flow of air in the ventilation passage. Therefore, the temperature rise of the upper plate 3 and the hanging frame 2 is suppressed, and overheating of the counter top 7 is prevented.

도 11에 있어서, 버너(63)의 상부에 버너캡(54)이 덮어씌워져서 불꽃구멍부(56)가 형성되어 있다. 또, 버너혼합관(63a)을 둘러싸는 하우징상부에는, 이를 상측에서 덮어씌우는 커버(63b)가 설치되어 있고, 그의 외측둘레하단(63c)에 커버링(71)이 놓여져 있다. 이 커버링(71)에 의하여 보조상판(4)의 구멍부(44)가 덮어씌워짐과 동시에 상판(3)의 구멍부(35)도 삼발이(52)측에서 보면 가려진다. 또, 버너(63)의 하부측에는, 상판(3) 하측에 배설된 소성실인 그릴부(85)로부터의 배기를 카운터 톱(7)의 상측으로 배출안내하기 위한 덕트(87)가 설치되어, 덕트(87)의 출구(87a)는 상판(3)의 트인구멍(36b)에 면하고, 트인구멍(36b)의 상측은 삼발이(52)가 덮고 있다. 그리고 트인구멍(36a, 36b, 36c)을 덮을 수 있게 망형상의 가드(88)가 상판(3)에 놓여져 있다.In FIG. 11, the burner cap 54 is cover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burner 63, and the flame hole part 56 is formed. Moreover, the cover 63b which covers this from the upper side is provided in the housing upper part which surrounds the burner mixing pipe 63a, and the covering 71 is put in the lower end 63c of the outer periphery. The covering portion 71 covers the hole portion 44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and at the same time, the hole portion 35 of the upper plate 3 is also hidden when viewed from the tricot 52 side. Moreover, the lower side of the burner 63 is provided with the duct 87 for discharge-guiding the exhaust from the grill part 85 which is the baking chamber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upper plate 3 to the upper side of the counter top 7, The outlet 87a of the 87 faces the open hole 36b of the upper plate 3, and the trivet 52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open hole 36b. A mesh-shaped guard 88 is placed on the upper plate 3 so as to cover the openings 36a, 36b, and 36c.

따라서, 곤로케이스(100)의 내부공간과 카운터 톱(7)의 상부측 사이에 다음의 통기통로가 형성된다. 즉, 곤로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서 커버링(71)의 외측둘레부(71a)와 보조상판(4)의 둘레벽(47)과의 간극(G), 가드(88)의 상부공간(H)을 거쳐서 카운터 톱(7)의 상부측으로 연결되어 통하는 통기통로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버너(63)의 연소에 의하여 상기 통기통로를 통하여 곤로케이스(100)내의 공기가 카운터 톱(7)측으로 배출된다. 이 통기의 흐름에 의하여 상판(3), 보조상판(4)이 냉각되고 더 나아가서는 카운터 톱(7)도 냉각된다. 또한, 이 흐름의 일부는 커버링(71)의 외측둘레부(71a)와 보조상판(4)의 둘레벽(47)과의 간극(G)으로부터, 커버링(71)의 상부를 거쳐서 버너(63)에 이차공기가 공급되어서 버너의 연소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불꽃구멍부에서 방사되는 불꽃의 복사열에 의하여, 상판(3) 및 이것에 연이어 설치된 매달림틀체(2)등이 가열되도록 하지만, 보조상판(4), 틀체(52f)에 의하여 상판(3)측에 대하여 차단되어서, 상기 통기통로의 공기유통에 의하여 상판(3)이 냉각된다. 따라서, 상판(3) 및 매달림틀체(2)의 온도상승이 억제되어, 카운터 톱(7)의 과열이 방지된다. 또, 그릴부(85)가 사용될 때, 그 배기가 덕트(87)에서 가드(88)를 거쳐서 상측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만약 덕트(87) 출구(87a)의 상측 삼발이(52)에 냄비등이 놓이게 되어 배기가 배출되기 어렵다 하여도, 다음 경로, 즉 삼발이(52)의 간극(52h(L))에서 삼발이틀체(52f)와 상판둘레벽(32)의 간극(M)을 거쳐서 카운터 톱(7)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된다.Therefore, the following ventilation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pace of the furnace case 100 and the upper side of the counter top 7. That is, the gap G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71a of the covering 71 and the circumferential wall 47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and the upper space H of the guard 88 in the inner space of the furnace case 100. A vent passage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unter top 7 through (). Thus, the air in the furnace case 100 is discharged to the counter top 7 side through the vent passage by combustion of the burner 63. The top plate 3 and the auxiliary top plate 4 are cooled by this flow of air, and the counter top 7 is also cooled. In addition, a part of this flow passes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covering 71 from the clearance gap G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part 71a of the covering 71, and the circumferential wall 47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and burner 63 Secondary air is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to keep the burner in good condition. The upper plate 3 and the suspending frame body 2 provided in succession thereof are heated by the radiant heat of the flame radiated from the flame hole portion, but the upper plate 3 is prevented by the auxiliary upper plate 4 and the frame body 52f. Blocked with respect to the side, the upper plate 3 is cooled by the air flow in the vent passage. Therefore, the temperature rise of the upper plate 3 and the suspension frame 2 is suppressed, and overheating of the counter top 7 is prevented. In addition, when the grill part 85 is used, the exhaust is discharged upward from the duct 87 via the guard 88. However, even if a pot or the like is placed in the upper trivet 52 of the outlet 87a of the duct 87, the exhaust is difficult to be discharged, but the trivet body is formed in the next path, that is, the gap 52h (L) of the trivet 52. It is easily discharged to the counter top 7 side via the gap M between 52f and the upper plate circumferential wall 32.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에서는, 이러한 각 버너(61, 62, 63)가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 이외에, 전부가 한번에 사용되고 또한 삼발이(51, 52)를 덮듯이 냄비가 놓여져도, 상기한 각 통기통로에 의하여 공기의 유통이 이루어진다. 또, 앞측 삼발이(51)와 뒷측 삼발이(52)가 인접하여 틀체(51f, 52f)끼리가 서로 겹쳐지는 틀편(51f1, 52f1)에는 저상변부(51j, 52j)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냄비가 삼발이(51, 52)에 놓여져도 이들 저상변부(51j, 52j)와 냄비바닥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양 삼발이(51, 52)사이에서 용이하게 통기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곤로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서 카운터 톱(7)의 상부로 통기되는 상기한 통기통로와, 그릴부(85)에서 카운터 톱(7)의 반조작부측으로 배기되는 통기통로가 형성되는 한편, 도 9에 나타낸 다음의 통기통로가 형성된다. 즉, 카운터 톱(7)의 앞면조작부측에서 공기가 유입하고 상판둘레벽(32)과 틀체(51f)의 간극(E)을 거쳐서, 간극(51h(D))을 통하여 보조상판(4)의 상면공간(I)을 통하고, 틀체(51f, 52f)끼리가 서로 겹쳐지는 저상변부(51j, 52j)와 냄비바닥의 간극(J)을 통하여, (보조상판(4)의 상면공간(K)을 통하여) 간극(52h(L))을 통한다. 그리고, 상판둘레벽(32)과 틀체(52f)의 간극(M)을 냄비반조작부측의 카운터 톱(7)의 상부로 배출된다.In the drop-in furna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se burners 61, 62, and 63 are used alone, and even if the pots are placed to cover the trivets 51 and 52, the respective ventilation passages described above. This is the distribution of air. In addition, since the lower triangular portions 51j and 52j are formed on the frame pieces 51f1 and 52f1 where the front tricycle 51 and the rear tricycle 52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frames 51f and 52f overlap with each other, the pan is a trivet ( 51 and 52, a gap is formed between these bottom upper edge portions 51j and 52j and the bottom of the pan, so that both trivets 51 and 52 are easily vented. Therefore, the above-mentioned ventilation passage which is ven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unter top 7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urnace case 100, and the ventilation passage which exhausts from the grill part 85 to the half operation part side of the counter top 7 are formed, 9, the following ventilation passage is formed. That is, air flows in from the front operation part side of the counter top 7 and passes through the gap E between the upper plate circumferential wall 32 and the frame 51f, and through the gap 51h (D)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Through the upper surface space I, and through the gap J between the bottom upper side portions 51j and 52j where the frames 51f and 52f overlap each other and the bottom of the pot, the upper surface space K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Through) gap 52h (L). Then, the gap M between the upper plate circumferential wall 32 and the frame 52f is dischar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unter top 7 on the side of the pot half operation portion.

또, 본 드롭인 곤로에서는, 도 3, 도 4 및 도 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3)의 둘레벽 일부에 상판(3)의 내부측(둘레벽으로 둘러싸인 내부측)이 융기된 융기부(37) 및 그 하단이 개구된 루버구멍(37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곤로케이스(100)의 내부공간과 상판(3)의 상부가 연결되어 통하는 루버구멍(37a)이 통기구멍이 된다. 따라서, 곤로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서 가열된 공기가 상판턱부(31)의 내부(하부)에서 머물러 있지 않고 쉽게 외부로 배출되어, 상판(3) 및 매달림틀체(2)의 측벽(21)등의 온도상승이 억제되므로, 이 경우도 카운터 톱(7)의 과열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판(3) 및 이에 연이어 설치된 매달림틀체(2)등의 부재는, 상기한 여러가지 통기통로 및 단열에 의하여, 온도상승이 억제되어 카운터 톱(7)의 과열이 방지된다.Moreover, in this drop-in furnace, as shown to FIG. 3, FIG. 4, FIG. 5, etc., the ridge part in which the inner side (inner side surrounded by the circumference wall) of the upper plate 3 was raised in a part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upper plate 3 is shown. 37 and a louver hole 37a whose lower end is opened are formed. Therefore, as shown in FIG. 16, the louver hole 37a through which the internal space of the furnace case 100 and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late 3 are connected becomes a ventilation hole. Therefore, the heated air in the inner space of the furnace case 100 does not stay inside (bottom) of the upper jaw portion 31 and is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side wall 21 of the upper plate 3 and the hanging frame 2 is closed. Since a rise in temperature, etc., is suppressed, overheating of the counter top 7 is also prevented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members of the upper plate 3 and the suspending frame body 2, which are subsequently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3, are suppressed from rising in temperature by the various ventilation passages and heat insulation described above, and the overheating of the counter top 7 is prevented.

또한, 도 10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발이(51, 52)의 틀체(51f, 52f)는 버너(61, 63)와 상판둘레벽(32)과의 사이에 위치부여됨과 아울러, 버너(61, 63)에서의 복사열이 상판(3) 둘레벽(32)에 직접 복사되지 않도록 그 높이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틀체(51f, 52f)가 열차단부재로서 기능하여 상기한 상판(3)의 과열방지를 하면서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10 and 11, the frames 51f and 52f of the trivets 51 and 52 are positioned between the burners 61 and 63 and the upper plate circumferential wall 32 and the burner ( The height is set so that the radiant heat in 61 and 63 is not directly radiated to the upper wall 3 circumferential wall 32. Therefore, the frames 51f and 52f function as heat shielding members, and the effect can be further enhanced while preventing the upper plate 3 from overheating.

또한, 상기에서는 삼발이(51)가 상판둘레벽(32)에 가장 접근하는 부분까지 횡이동하여도 보조상판(4)의 절결부(48a)의 간극(C)→삼발이 틀체(51f)의 하부간극(51h(D))→상판둘레벽(32)과 삼발이 틀체(51f)의 간극(E)→카운터 톱(7)의 상부측과 연결되는 통기통로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삼발이(51)를 얹어놓는 상판(3)의 단부(39)보다 상측의 둘레벽(32)을 위로 넓어짐상태로 경사지게 함과 아울러, 상기 단부(39)의 외측둘레측 코너부(390)에 삼발이(51) 틀체(51f)의 하변이 맞닿게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틀체(51f)의 하변이 상기 코너부(390)에 맞닿아도, 그 상측 틀편(51f)의 외측면과 이것에 대향한 상판둘레벽(32)의 사이에 간극이 반드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통기로가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삼발이(51)의 돌기편(51a)의 외측단부와 둘레벽(32)의 대향부 중 가장 가까운 부분의 수평거리를 L9로 하고, 틀체(51f)의 외측면과 상기 둘레벽(32)의 대향부 중 가장 가까운 부분의 수평거리를 L8로 하였을 경우 L9〈 L8이 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버구멍용 융기부(37)와 상기 돌기편(51a)의 외측단부가 대향할 때에는, 이들 융기부(37)와 돌기편(51a)의 외측단부와의 수평거리가 상기 L9가 되고, 융기부(37, 37)의 중간에 상기 돌기편(51a)이 대향하고 있는 경우는, 상기 중간부에 있어서 둘레벽(32)과 돌기편(51a)의 외측단부와의 수평거리가 L9가 된다. 또, 뒷측 삼발이(52)와 상판(3)의 관계도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ven when the trivet 51 moves horizontally to the portion closest to the upper circumferential wall 32, the gap C of the cutout portion 48a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 the lower gap of the trivet 51f (51h (D)) → The upper plate circumferential wall 32 and the triangular frame 51f are provided so that a ventilation passag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unter top E of the countertop 7 is secured. To this end, the upper peripheral wall 32 of the upper plate 3 on which the trivet 51 is placed is inclined in a widened stat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corner portion 390 of the end 39 is widened. The lower side of the trivet 51 frame 51f abuts). Therefore, even if the lower side of the frame 51f is in contact with the corner portion 390, a gap is necessarily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piece 51f and the upper plate circumferential wall 32 opposite to the above. Aeration can be secured. In additio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outermost end of the protrusion piece 51a of the trivet 51 and the opposing par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32 is L9, and the outer surface and the circumferential wall 32 of the frame 51f are set to L9. When the horizontal distance of the nearest part among opposing parts is L8, L9 <L8 may be sufficient.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FIG. 4, when the outer end part of the louver hole ridge part 37 and the said projection piece 51a opposes, the outer side of these ridge part 37 and the projection piece 51a. When the horizontal distance with the edge part is said L9, and the said projection piece 51a opposes in the middle of the ridges 37 and 37, the circumferential wall 32 and the projection piece 51a in the said intermediate part L9 is the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outer end of the circuit.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r trivet 52 and the upper plate 3 is also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다음에 나타낸 도 12는, 도 10의 변형예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커버링(7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70a)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70a)은 커버링(70)의 곡절부에 둘레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도 10의 (A), (B), (C), (D), (E)의 통기간극 이외에, 다음과 같은 통기통로, 즉 곤로케이스(100) 내부공간에서 버너의 외측둘레부(61c)와 상판구멍부(34)의 간극(A)을 거쳐서 보조상판(4)과 상판(3)의 간극(B)을 통하여, 관통구멍(70a)에서 불꽃구멍부(55)측에 이르는 통기통로가 형성된다. 상기한 통기통로의 통기 작용에 부가하여, 이 통기에 의하여 버너(61)의 이차공기가 공급된다. 또한, 커버링(70)의 뒷면 또는 보조상판(4)의 뒷면은 상기 이차공기를 불꽃구멍부(55)로 이끄는 가드로서 기능한다.FIG. 12 shown next shows another embodiment by the modification of FIG. 10, and the through hole 70a which penetrates up and down in the covering 70 is forme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70a are formed in the curved portion of the covering 7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period gaps of FIGS. 10A, 10B, 10C, 10D, and 10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urner in the following aeration passage, that is, the inner space of the furnace case 100 Through the gap A between the auxiliary upper plate 4 and the upper plate 3 through the gap A between the portion 61c and the upper plate hole portion 34, the flame hole portion 55 side from the through hole 70a. A vent passage is formed. In addition to the aeration of the aeration passage described above, the secondary air of the burner 61 is supplied by this aeration. 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ing 70 or the rear surface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functions as a guard that leads the secondary air to the flame hole portion 55.

다음에 나타낸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커버링(74)은 버너의 외측둘레부(61c)에 외측끼워짐과 아울러, 상판(3)에서 받아고정되어 구멍부(34)를 막고 있다. 따라서, 다음의 통기통로 즉 간극(E), 간극(D), 절결부(48a), 보조상판(4)과 커버링(74)과의 간극(O)에서 불꽃구멍부(55)에 이르는 통기통로가 형성된다. 이 통기에 의하여, 버너(61)의 이차공기가 공급되는 한편, 보조상판(4) 자체에 의한 상판(3)의 단열에 부가하여 상판(3)의 냉각이 이루어지고, 나아가서는 카운터 톱(7)의 가열이 방지된다. 커버링(74)에 의하여 도 10이나 도 12와 같이, 국물이 곤로케이스(100)내로 들어가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상판(3)의 구멍부(34)를 버너의 외측둘레부(61)에 밀접하게 끼울 수 있는 크기로 한다면, 커버링(74)은 없어도 된다.13 shows another embodiment, the covering 74 is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61c of the burner and is fixed by the upper plate 3 to block the hole 34. Therefore, the following ventilation passage, that is, the ventilation passage leading from the clearance gap E to the flame hole portion 55 in the clearance gap E between the clearance gap 48 and the auxiliary top plate 4 and the covering 74. Is formed. By this ventilation, the secondary air of the burner 61 is supplied, while cooling the upper plate 3 in addition to the heat insulation of the upper plate 3 by the auxiliary upper plate 4 itself, and furthermore, the counter top 7 ) Heating is prevented. The covering 74 prevents the broth from entering the furnace case 100 as shown in FIG. 10 or FIG. 12. In addition, as long as the hole part 34 of the upper board 3 is sized so that the outer periphery part 61 of a burner may be closely fitted, the covering 74 may not be required.

다음에 나타내는 도 14는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커버링(72)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몸통부(72a)에 그 상부가 방사상으로 곡절형성되어 턱형상부(72b)가 일체로 형성되고, 몸통부(72a)가 버너의 외측둘레부(61c)에 외측으로 끼워짐과 아울러, 버너 외측둘레 하부(61d)에서 받아고정되고 있다. 턱형상부(72b)는 보조상판(4)과 상판(3)의 (연직방향)사이에 형성됨과 아울러, 그것의 외측지름은 보조상판(4) 및 상판(3)의 각각 구멍부(43, 34)의 트인구멍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먼저 다음과 같은 통기통로, 즉 곤로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서 버너의 외측둘레부(61c)와 상판구멍부(34)의 간극(A)을 거쳐서, 턱형상부(72b)와 상판(3)의 간극(N)을 통하여 보조상판(4)과 상판(3)의 간극(B)을 통하고, 그리고 보조상판(4)과 턱형상부(72b)의 간극(O)에서 불꽃구멍부(55)측에 이르는 통기통로가 형성된다. 이 통기에 의하여, 버너(61)의 이차공기가 공급되는 한편, 보조상판(4) 자체에 의한 상판(3)의 단열에 부가하여 상판(3)의 냉각이 이루어지고, 더 나아가서는 카운터 톱(7)의 과열이 방지된다. 턱형상부(72b)는 도 10이나 도 12와 같이, 국물등이 상판(3)측에 들어가는 것이 저지되고, 또 보조상판(4)의 구멍부(43)쪽이 커버링(72)의 턱형상부(72b)보다 작으므로, 보조상판(4)의 뒷면이 상기 이차공기를 불꽃구멍부(55)측으로 이끄는 가드가 된다.14 which shows next shows another embodiment. The covering 72 has a cylindrical portion 72a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ts upper portion is radially curved to form a jaw portion 72b integrally, and the body portion 72a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61c of the burner. In addition to being fitted to the outside, it is fix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urner outer circumference 61d. The jaw-shaped portion 72b is formed between the auxiliary upper plate 4 and the upper plate 3 (vertical direction), and its outer diameter is the hole 43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and the upper plate 3, respectively.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open hole of 34). Therefore, first, through the ventilation passage as follows, i.e., through the gap A between the outer periphery 61c of the burner and the top plate hole 34 in the inner space of the furnace case 100, the jaw portion 72b and the top plate are provided. Through the gap N of (3), through the gap B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and the upper plate 3, and in the gap O between the auxiliary upper plate 4 and the jaw portion 72b. A vent passage leading to the portion 55 side is formed. By this ventilation, the secondary air of the burner 61 is supplied, while cooling the upper plate 3 in addition to the heat insulation of the upper plate 3 by the auxiliary upper plate 4 itself, and furthermore, the counter top ( Overheating of 7) is prevented. As shown in Fig. 10 or Fig. 12, the jaw portion 72b is prevented from entering into the upper plate 3 side of the soup, and the hole portion 43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has the jaw shape of the covering 72. Since it is smaller than the portion 72b, the back surface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4 serves as a guard that leads the secondary air to the flame hole portion 55 side.

또, 상기한 통기통로에 부가하여, 간극(A), 간극(N), 간극(B), 절결부(48a), 간극(D), 간극(E)의 통기통로에 의하여 카운터 톱(7)측과의 통기가 보다 잘 될 수 있으므로 카운터 톱(7)의 과열이 더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ventilation passage, the countertop 7 is formed by the ventilation passages of the gap A, the gap N, the gap B, the cutout 48a, the gap D, and the gap E. The overheating of the counter top 7 can be further prevented since the ventilation with the side can be better.

다음의 나타낸 도 15에서는,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14에 있어서의 커버링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면의 (a)는 단면을 나타내고, (b)는 보조상판을 제거하여 상부에서 커버링(73)을 내려다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링(73)의 외형을 거의 삼각형으로 하여 각 둘레(73a, 73b, 73c)를 상측으로 굴곡하여 기립형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커버링(73)의 각 둘레(73a, 73b, 73c)와 상판구멍부(34)의 간극이 주어짐과 아울러 크게 형성할 수 있고, 이 간극의 통기가 촉진되는 한편 상기 각 둘레가 기립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국물등이 이 간극에서 곤로케이스(100)의 내부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이 저지된다. 그리고, 보조상편(4) 구멍부(43)의 크기를 각 둘레(73a∼73c)나 버너(61)의 중심과의 거리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하였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4와 같이 통기통로가 형성되어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카운터 톱(7)의 과열이 방지된다.In FIG. 15 shown next, another embodiment is shown and a modification of the covering in FIG. 14 is shown. (A) of the figure shows a cross section, and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top plate is removed to look down from the covering 73 from the top.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B), the periphery 73a, 73b, 73c was bent upward, and made the standing shape by making the outer shape of the covering 73 substantially triangular. Accordingly, the gap between the respective perimeters 73a, 73b, 73c of the covering 73 and the upper plate hole portion 34 is given and can be formed largely, and the ventilation of the gap is promoted while the respective perimeters are in the standing shape. As a result, the soup and the like are prevented from flowing down to the inside of the furnace case 100 in this gap. And the size of the hole 43 of the auxiliary upper piece 4 was made into the diameter smaller than the distance with respect to each circumference 73a-73c and the center of the burner 61. As shown in FIG. In this embodiment, a ventilation passage is formed as shown in FIG. 14, and overheating of the counter top 7 is prevented as described above.

도 17은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보조상판(400)도 상기한 예와 같이, 외측둘레수하벽(480)이 재치부(38)에 놓여져도 상판(3)과는 상하간극을 형성하여 상판(3) 위에 놓여진다. 그리고, 외측둘레수하벽(480)에는 상기 예와 같이 절결부(480a)가 형성되어 있어서, 보조상판(400)의 외측둘레에 있어서 상판(3)과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드롭인 곤로에서도 상기 간극을 형성하는 수단은 상기 예와 같이 여러가지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이 보조상판(400)에는, 소성실의 덕트(87)의 출구(87a)가 놓이는 배기출구(410)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출구(410)의 트인구멍 가장자리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트인구멍주변 수하벽(41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단은 상판(3)의 단부(38b)에 맞닿아서 구멍부(36b)와 배기출구(411)와의 사이를 막고 있다. 이 드롭인 곤로에서는, 상기 예와 같이 소성실로부터의 배기가 보조상판(400)과 상판(3)과의 사이에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17 shows another embodiment. 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auxiliary upper plate 400 is placed on the upper plate 3 by forming a vertical gap with the upper plate 3 even when the outer peripheral subsurface wall 480 is placed on the mounting unit 38. In addition, the notch 480a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bsurface wall 480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xample, so that the gap between the upper plate 3 and the upper plate 3 is formed. Also, in the drop-in furnace, various means may be employed as the means for forming the gap as in the above example. The auxiliary upper plate 400 is provided with an exhaust outlet 410 on which the outlet 87a of the duct 87 of the firing chamber is placed. The open hole periphery of the exhaust opening 410 is provided with a perforated wall around the open hole 411 over its entire circumference. The lower end abuts against the end portion 38b of the upper plate 3 to block the gap between the hole 36b and the exhaust outlet 411. In this drop-in furnace, exhaust from the firing chamber is prevented from entering between the auxiliary top plate 400 and the top plate 3 as in the above example.

이상, 본 발명의 드롭인 곤로에 관하여 상술하였지만, 각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구성은 임의로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고, 또 본 발명의 주시하는 범위에서의 설계변경등도 물론 자유롭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drop-in hearth of this invention was mentioned above, the structure shown in each embodiment can be used in arbitrary combinations, A design change etc. in the range of attention of this invention are also free of cours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보조상판에 의하여 상판이 국물등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더러워지는 것이 방지되어, 보조상판 자체의 청소도 용이하게 된다. 또, 보조상판은 상판으로의 단열을 꾀하는 한편, 통기통로의 통기에 의하여 상판의 온도상승이 억제되고, 카운터 톱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보조상판과 버너의 외측둘레부와의 사이를 실질상 닫히게 하였으므로,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에 부가하여 국물등이 곤로케이스내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보조상판의 트인구멍과 버너의 외측둘레부와의 사이에 제 3 간극을 형성하였으므로,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에 부가하여, 통기통로가 새롭게 형성되어 버너의 연소도 양호하게 이루어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드롭인 곤로에 소성실 배기출구가 형성되고, 보조상판과 상판과의 사이에 형성된 제 2 간극 중 이 배기출구를 따라서 형성된 부위에는 형성되지 않도록 하였다. 따라서, 청구항 1에서 청구항 3에 기재된 것에 부가하여, 소성실용 배기출구를 막듯이 냄비등을 놓아도, 보조상판과 상판과의 상하간극에 이 연소배기가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삼발이의 틀체가 그 하변과 상판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하는 한편, 삼발이의 틀체 외측면과 상판의 둘레벽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보조상판의 외측에 배설되도록 하였으므로, 청구항 1에서 청구항 4에 기재된 것에 부가하여 한층 더 카운터 톱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 the top plate is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soiled by the soup or the like by the auxiliary top plate, so that the cleaning of the auxiliary top plate itself becomes easy. In addition, while the auxiliary upper plate is insulated to the upper plate, the temperature rise of the upper plate is suppressed by the ventilation of the ventilation passages, and the overheating of the counter top can be prevent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2, since the space between the auxiliary top plate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rner is substantially closed, the broth and the like ar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furnace case in addition to the one of claim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since the third gap is formed between the opening of the auxiliary top plate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rner, in addition to the one described in claim 1, a ventilation passage is newly formed, so that the burner burns well. Is don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4, the firing chamber exhaust outlet is formed in the drop-in furnace, and is not formed in the portion formed along the exhaust outlet in the second gap formed between the auxiliary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Therefore,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in Claims 1 to 3, even if a pot or the like is placed to block the exhaust outlet for the firing chamber, the combustion exhaust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upper and lower gaps between the auxiliary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5, the frame of the trivet forms a gap between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plate, whil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frame outer surface of the trivet and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upper plate and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Since it was made to excrete, in addition to the thing of Claim 1 to Claim 4, overheating of a counter top can be prevented further.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보조상판에 의하여 상판이 국물등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더러워지는 것이 방지되고, 보조상판 자체의 청소도 용이하게 된다. 또, 보조상판은 상판으로의 단열을 꾀하는 한편, 제 1 간극과 제 2 간극을 연결하여 통하는 통기통로의 통기에 의하여 상판의 온도상승이 억제되어, 카운터 톱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드롭인 곤로에 소성실의 배기구가 형성되어, 보조상판과 상판과의 사이에 형성된 제 2 간극 중 이 배기구를 따라서 설치된 부위에는 형성되지 않도록 하였다. 따라서, 소성실의 배기구를 막듯이 냄비등을 놓아도, 보조상판과 상판의 상하간극에 이 연소배기가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삼발이의 틀체가 그 하변과 상판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하는 한편, 삼발이의 틀체 외측면과 상판의 둘레벽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보조상판 외측에 배설되도록 하였으므로,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기재된 것에 부가하여 한층 더 카운터 톱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보조상판의 배기구 주변과 상판의 배기구 주변과의 상하간극이 막히게 하고 있으므로, 소성실용 배기구의 상측에 냄비등의 피가열물이 놓여져도 소성실로부터의 배기는 보조상판과 상판과의 간극에 들어가는 것이 저지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6, the top plate is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soiled by the soup or the like by the auxiliary top plate, and the auxiliary top plate itself can be easily cleaned. In addition, while the auxiliary top plate is insulated from the top plate, the temperature rise of the top plate is suppressed by the aeration of the ventilation passages through which the first gap and the second gap are connected, thereby preventing the countertop from overheat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7, the exhaust port of the firing chamber is formed in the drop-in furnace, so that it is not formed in the site | part provided along this exhaust port among the 2nd clearance gap formed between the auxiliary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Therefore, even if a pot or the like is placed so as to block the exhaust port of the firing chamber, the combustion exhaust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upper and lower gaps between the auxiliary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8, the trivet frame forms a gap between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plate, whil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tricycle and the peripheral wall of the upper plate to be disposed outside the auxiliary upper plate. Since it was made, the overheating of a counter top can be prevented further in addition to what was described in Claim 6 or 7.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9, since the upper and lower gaps between the periphery of the exhaust top of the auxiliary top plate and the periphery of the top of the top plate are blocked, the exhaust from the firing chamber is discharged from the firing chamber even when a heated object such as a pot is placed above the exhaust port for the firing chamber. Entering the gap with the top plate is prevented.

Claims (9)

카운터 톱에 형성된 카운터 톱의 트인구멍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매달려서 버너를 구비한 곤로케이스와, 둘레벽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플랜지가 상기 카운터 톱의 트인구멍 주변에 맞닿아서 지지되며, 둘레벽으로 둘러싸인 바닥부에는 상기 버너가 놓이는 트인구멍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버너의 외측둘레부와 상기 트인구멍과의 사이에 제 1 간극이 형성된 상판과, 피가열물을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연결하는 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 내부에 내려가듯이 위치부여된 삼발이와, 상기 버너가 놓이는 트인구멍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상판 상측에서 상기 상판과 상하간극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상판에 놓여진 보조상판을 구비하여, 상기 보조상판의 외측둘레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는, 상기 상하간극을 통하여 상기 제 1 간극에 연결되어 통하는 제 2 간극이 형성된 드롭인 곤로.The furnace case with a burner hanging in the state of being fitted into the open hole of the counter top formed in the counter top, and a flang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wall are supported by contacting around the open hole of the counter top. The bottom part enclosed by the wall has an open hole in which the burner is placed, and a top plate having a first gap formed betwee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burner and the open hole, a support for supporting a heated object, and the support It consists of a frame connecting the, and having a triangular position positioned as going down inside the upper plate, the open hole for the burner, and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and lower gaps are formed on the upper plate, and placed on the upper plate The auxiliary upper plate is provided, an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 drop-in furnace having a second gap connected to the first gap therethroug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상판의 상기 트인구멍과 상기 버너의 상기 외측둘레부와의 사이가 실질상 닫혀진 드롭인 곤로.The furnace of claim 1, wherein a gap between the open hole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rner is substantially a closed dro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상판의 상기 트인구멍과 상기 버너의 상기 외측둘레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보조상판의 상측공간으로 연결되어 통하는 한편, 상기 제 1 간극에도 연결되어 통하는 제 3 간극이 형성된 드롭인 곤로.The drop of claim 1, wherein a third gap is formed between the open hole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an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burner to be connected to an upper space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an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gap. Hardship.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상기 상판의 하측에 배설된 소성실의 배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상판과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 2 간극 중 상기 배기출구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상기 제 2 간극을 형성하지 않도록 한 드롭인 곤로.The exhaust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n exhaust outlet of the baking chamber disposed below the upper plate is formed in the upper plate, and the exhaust outlet of the second gap formed between the auxiliary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The drop-in furnace which does not form the said 2nd clearance gap in the corresponding site | par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삼발이의 틀체는 그 하변과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틀체의 외측면과 상기 상판의 둘레벽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상기 보조상판의 외측에 배설되며, 상기 상판의 둘레벽과 상기 틀체와의 간극과 상기 틀체의 하변과 상기 상판과의 간극과 성가 제 2 간극과 상기 제 1 간극에 통기통로가 형성된 드롭인 곤로.The fram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rame of the trivet forms a gap between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plate,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and the peripheral wall of the upper plate. Drop-in formed in the outer side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the gap between the peripheral wall of the upper plate and the frame, the gap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and the upper plate, the second gap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first gap and a ventilation passage formed in the first gap Hardship. 카운터 톱에 형성된 카운터 톱의 트인구멍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매달린 버너를 구비한 곤로케이스와, 둘레벽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플랜지가 상기 카운터 톱의 트인 구멍의 둘레벽에 맞닿아서 지지되며, 둘레벽으로 둘러싸인 바닥부에는 상기 버너가 놓이는 트인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트인구멍과 상기 버너의 외측둘레부와의 사이에는 실질상 닫혀진 상판과, 피가열물을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연결하는 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 내부에 내려가듯이 위치부여된 삼발이와, 상기 버너가 놓이고, 상기 버너의 외측둘레부와의 사이에 제 1 간극이 형성된 크기의 트인구멍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상판의 상측에서 상기 상판과 상하간극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상판에 놓여진 보조상판을 구비하여, 상기 보조상판의 외측둘레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는, 상기 상하간극을 통하여 상기 제 1 간극을 연결되어 통하는 제 2 간극이 형성된 드롭인 곤로.A furnace case having a burner suspended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to the open hole of the counter top formed in the counter top, and a flang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wall is supported against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open hole of the counter top. And a bottom hole surrounded by a circumferential wall, having a burn-in hole in which the burner is placed, and between the open hole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urner, a top plate which is substantially close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object to be heated, and the support are connected. It is made of a frame, and the trivet is positioned as if descending to the inside of the upper plate, the burner is placed between the opening and the size of the first gap is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rner,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and lower gaps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and provided with an auxiliary upper plate placed on the upper plate, the outer periphery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The furnace of which is a drop in which the 2nd clearance gap which the said 1st clearance gap connects through the said upper clearance gap is formed between and the said upper plat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상기 상판의 하측에 배설된 소성실의 배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상판과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 2 간극 중 상기 배기출구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상기 제 2 간극을 형성하지 않도록 한 드롭인 곤로.The said upper plate is formed with the exhaust outlet of the baking chamber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said upper board, The said 2nd clearance gap formed between the said auxiliary top plate and the said upper board is a part corresponding to the said exhaust outlet in the said 2nd gap. Drop-in cooker to avoid gaps.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삼발이의 틀체는 그 하변과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틀체의 외측면과 상기 상판의 둘레벽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상기 보조상판의 외측에 배설되고, 상기 상판의 둘레벽과 상기 틀체와의 간극과 상기 틀체의 하변과 상기 상판과의 간극과 상기 제 2 간극과 상기 제 1 간극에서 통기통로가 형성된 드롭인 곤로.The auxiliary frame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the frame of the trivet forms a gap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and the upper plate, and forms a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and the peripheral wall of the upper plate. A drop-in furnace disposed on an outer side of the upper plate, wherein a ventilation passage is formed in the gap betwee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upper plate and the frame, the gap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and the upper plate, and the second gap and the first gap.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바닥부 및 상기 보조상판의 바닥부에는 상기 상판의 하측에 배설된 소성실의 배기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보조상판의 상기 배기구의 둘레벽과 상기 상판의 상기 배기구 주변과의 상하간극은 막혀지도록 한 드롭인 곤로.The exhaust port of the firing chamber disposed below the upper plat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and the bottom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respectively, and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exhaust port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A drop-in cooker in which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periphery of the exhaust port is blocked.
KR1019970072792A 1997-02-03 1997-12-23 Drop in cooking stove KR10026794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2086997A JP3694134B2 (en) 1997-02-03 1997-02-03 Drop-in stove
JP97-20869 1997-02-03
JP20869 1997-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214A KR19980070214A (en) 1998-10-26
KR100267945B1 true KR100267945B1 (en) 2000-10-16

Family

ID=12039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792A KR100267945B1 (en) 1997-02-03 1997-12-23 Drop in cooking stov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694134B2 (en)
KR (1) KR10026794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7472B2 (en) * 2001-09-14 2006-07-19 リンナイ株式会社 Built-in stove
JP5153713B2 (en) * 2009-04-16 2013-02-27 株式会社パロマ Gas stove
JP6867675B2 (en) * 2016-12-26 2021-05-12 株式会社パロマ Lighting equipment and gas cooking system for gas stoves
JP6846032B2 (en) * 2016-12-26 2021-03-24 株式会社パロマ Lighting system and gas cooking system for built-in stove
US11859829B2 (en) * 2021-12-03 2024-01-02 Whirlpool Corporation Cooktop grat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214A (en) 1998-10-26
JP3694134B2 (en) 2005-09-14
JPH10220782A (en) 199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7945B1 (en) Drop in cooking stove
KR100249239B1 (en) Drop in range
KR100286739B1 (en) Drop-in cooking stove
JP3997240B2 (en) Electric heating roaster
JP3445715B2 (en) Drop-in stove
US6691699B1 (en) Cooking plate
KR940006763Y1 (en) Gas range
JP3232015B2 (en) Gas stove
JP3851984B2 (en) Cassette stove
US11713886B2 (en) Cooking grate for a gas burner cooktop
CA2417768C (en) Cooktop grate with flame clearance
JP3776946B2 (en) Gas cooker
JPH10170003A (en) Gas cooker
KR100267947B1 (en) Gas cooking stove
KR100747633B1 (en) Gas oven range
JP3566092B2 (en) Wooden cabinets for cookers
KR200253016Y1 (en) structure for maintain gap between outer panel and inner panel of door in gas oven range
JP2003090544A (en) Built-in cooking-stove
JP2585100B2 (en) Gas cooker
JP6595277B2 (en) Gas stove
KR100571283B1 (en) Gas stove
JPH084916Y2 (en) Ceramic charcoal roaster
JP2018146119A (en) Cassette-type gas cooking stove
JPH0134002Y2 (en)
KR19980064116U (en) Double sided infrared gas bur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