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866B1 - 다수의 트렁크 기능을 지원하는 디지털 트렁크회로 - Google Patents

다수의 트렁크 기능을 지원하는 디지털 트렁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866B1
KR100264866B1 KR1019980028129A KR19980028129A KR100264866B1 KR 100264866 B1 KR100264866 B1 KR 100264866B1 KR 1019980028129 A KR1019980028129 A KR 1019980028129A KR 19980028129 A KR19980028129 A KR 19980028129A KR 100264866 B1 KR100264866 B1 KR 100264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relay
framer
signal
line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350A (ko
Inventor
정창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28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4866B1/ko
Priority to GB9916340A priority patent/GB2342804B/en
Priority to US09/352,379 priority patent/US6532240B1/en
Publication of KR20000008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96Trunk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03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06Microprocessor, CP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6Common channel signaling, CCS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9ISD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13Counting, tim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92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99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02Magnetic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05Transistors, semiconductor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2Logic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22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8Inter-exchange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보드내에 다수의 트렁크회로의 기능을 지원하는 디지털 트렁크회로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렁크회로는 프레이머 기능 및 라인인터페이스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는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기능부를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기능부는 레지스터값의 변경에 따라 T1프레이머 또는 E1프레이머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T1프레이머 또는 E1프레이머에 대응하여 연결될 수 있는 라인인터페이스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렁크회로는 또한 사용자에 의해 조작가능하며, 상기 다수의 트렁크회로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트렁크회로를 선택하기 위한 트렁크 선택정보를 출력하는 트렁크선택부와; 상기 다수의 트렁크회로 각각을 구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구동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롬과; 국선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국선라인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트랜스포머와; 상기 국선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국선라인으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트랜스포머와; 상기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기능부의 라인인터페이스단과 상기 수신 트랜스포머의 사이 및 상기 송신 트랜스포머의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릴레이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릴레이 구동 제어신호가 입력됨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단과 상기 수신 트랜스포머 사이의 수신경로 및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단과 상기 송신 트랜스포머 사이의 송신경로를 제공하는 릴레이 스위칭부와; 상기 트렁크선택부로부터 출력된 트렁크 선택정보로부터 구동을 위한 트렁크회로를 판단한 후 이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롬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구동프로그램중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상기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기능부의 프레이머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레지스터값을 생성하여 상기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기능부로 제공하고, 또한 상기 판단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릴레이 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릴레이 스위칭부로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또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트렁크회로를 하나의 보드에 내장시키는 경우에 어느 한 트렁크회로가 선택되더라도 다른 나머지 트렁크회로가 불필요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트렁크회로에 대한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수의 트렁크 기능을 지원하는 디지털 트렁크회로
본 발명은 디지털 트렁크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보드내에 다수의 트렁크 기능을 지원하는 디지털 트렁크회로에 관한 것이다.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트렁크회로는 그 교환시스템의 스위칭회로와 국선의 사이에 접속되어 국선통화루프를 형성하는 회로를 말한다. 이러한 트렁크회로는 크게 공중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에 접속되어 아날로그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아날로그 트렁크회로와, 종합정보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에 접속되어 디지털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디지털 트렁크회로로 구분된다.
통상 1차군 속도의 디지털 트렁크회로는 디지털신호의 전송속도와 D채널 제어방식에 따라 크게 4가지의 트렁크회로로 구별된다. 1.544MHz의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트렁크회로가 T1트렁크회로이고, 2.048MHz의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트렁크회로가 E1트렁크회로이다. 그리고 신호 방식은 채널결합신호(CAS: Channel Associated Signalling)방식과, 공통채널신호(CCS: Common Channel Signalling)방식으로 구분되는데, 이중에서 CCS방식에 따른 신호를 LAP-D(Link Access Procedures on the D-channel)방식에 따라 제어한 것이 PRI(Primary Rate Interface)이다. 따라서 디지털 트렁크회로는 4가지의 트렁크회로, 즉 T1트렁크회로, E1트렁크회로, T1-PRI트렁크회로 및 E1-PRI트렁크회로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이 구분되는 트렁크회로들은 전형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에 따라 각각 하나의 보드로 이루어져 교환시스템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러나 현재 제조업체들이 생산하고 있는 대부분의 트렁크회로들은 어느 한 기능만을 지원하는 형태가 아닌 하나의 보드내에 여러 가지 트렁크회로들을 지원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털 트렁크회로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이 트렁크회로는 2가지의 트렁크회로 기능이 하나의 보드내에서 지원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2가지의 트렁크회로 기능이 하나의 보드내에서 지원되도록 하기 위해서 2개의 프레이머(T1프레이머, E1프레이머)와, 이 프레이머에 각각 연결되는 송수신기로서 4개의 트랜스포머(TX트랜스포머, RX트랜스포머)를 구비시키고 있다. 이때 T1프레이머로는 마이텔(MITEL)사의 MT8976, 달라스(DALLAS)사의 DS2180A, 레벨원(LEVEL ONE)사의 LXP2180A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E1프레이머로는 마이텔사의 MT8979, 달라스사의 DS2181A, 레벨원사의 LXP2181A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이머에 연결되어 신호들의 전송을 담당하는 송수신기로는 달라스사의 DS2186,2187이나 레벨원사의 LXT301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T1트렁크나 E1트렁크중의 어느 하나만을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국가도 있고 T1트렁크나 E1트렁크를 모두 사용하는 국가(예: 대한민국)도 있지만, 대부분의 트렁크회로 제조업체들은 생산성 향상을 위해 각 트렁크에 대응하는 보드를 별도로 제조하는 방법을 채택하는 대신에 하나의 보드를 통해 여러 가지 트렁크회로의 기능이 지원되도록 하는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조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왜냐하면, T1트렁크 보드와 E1트렁크 보드를 각각 제조하기 위해서는 2개의 제조라인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지만, T1트렁크회로와 E1트렁크회로를 하나의 보드내에 제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제조라인만이 구비되면 되기 때문이다. 또한 두 트렁크회로들에는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많은 구성요소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현재의 트렁크회로들은 대부분 하나의 보드내에 여러 가지 기능들을 지원하는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보드가 여러 가지 트렁크회로들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보드내에 각 기능에 따른 프레이머가 구비되어야 하며, 또한 이 프레이머에 대응하는 송수신기들이 구비되어야 한다. 특히 PRI기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프레이머와 송수신기 뿐만 아니라 별도로 HDLC제어부(High level Data Link Control Controller)가 또한 구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트렁크보드가 여러 가지 트렁크회로들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방법을 채택하게 되면, 각 기능에 따른 프레이머, 송수신기 및 HDLC제어부와 같은 많은 구성요소들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어느 한 트렁크회로만을 사용하는 국가의 교환시스템에 여러 가지 트렁크회로를 하나의 보드에 설치하는 경우에 나머지 트렁크회로는 불필요해지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불필요한 트렁크회로를 제거하기 위해 동일한 보드내에서 필요한 트렁크회로를 위한 부품은 실장하고 필요하지 않은 트렁크회로를 위한 부품은 실장하지 않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유지·보수나 관리적인 측면에서 각 트렁크회로를 별도의 보드로 구현하는 경우에 비해 더 많은 손실을 야기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보드내에 구성되어 다수의 트렁크 기능을 지원하는 디지털 트렁크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가지 트렁크회로를 하나의 보드에 내장시키는 경우에 어느 한 트렁크회로가 선택되더라도 다른 나머지 트렁크회로가 불필요해짐을 방지하는 디지털 트렁크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여러 가지 트렁크회로를 하나의 보드에 내장시키는 경우에도 어느 한 트렁크회로에 대한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디지털 트렁크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지스터값의 변경에 따라 T1프레이머 또는 E1프레이머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T1프레이머 또는 E1프레이머에 대응하여 연결될 수 있는 라인인터페이스단을 구비하고 있는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기능부를 이용하여 하나의 보드내에 다수의 트렁크회로의 기능을 지원하는 디지털 트렁크회로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렁크회로는 또한 사용자에 의해 조작가능하며, 상기 다수의 트렁크회로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트렁크회로를 선택하기 위한 트렁크 선택정보를 출력하는 트렁크선택부와; 상기 다수의 트렁크회로 각각을 구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구동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롬과; 국선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국선라인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트랜스포머와; 상기 국선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국선라인으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트랜스포머와; 상기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기능부의 라인인터페이스단과 상기 수신 트랜스포머의 사이 및 상기 송신 트랜스포머의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릴레이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릴레이 구동 제어신호가 입력됨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단과 상기 수신 트랜스포머 사이의 수신경로 및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단과 상기 송신 트랜스포머 사이의 송신경로를 제공하는 릴레이 스위칭부와; 상기 트렁크선택부로부터 출력된 트렁크 선택정보로부터 구동을 위한 트렁크회로를 판단한 후 이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롬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구동프로그램중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상기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기능부의 프레이머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레지스터값을 생성하여 상기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기능부로 제공하고, 또한 상기 판단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릴레이 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릴레이 스위칭부로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또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트렁크회로를 하나의 보드에 내장시키는 경우에 어느 한 트렁크회로가 선택되더라도 다른 나머지 트렁크회로가 불필요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트렁크회로에 대한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적으로 각 디지털 트렁크회로들이 보드별로 형성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털 트렁크회로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렁크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트렁크 선택 슬라이드스위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트렁크 선택 슬라이드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LED 및 LED&릴레이 구동제어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이머+라인인터페이스의 다양한 동작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9a와 도 9b로 이루어지며, 도 9a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이머+라인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b는 릴레이 스위칭부 및 TX/RX 트랜스포머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렁크회로는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Framer & Line Interface) 200을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은 프레이머 기능과 라인 인터페이스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는 것으로, 지멘스(SIEMENS)사에 의해 제조 및 판매되고 있는 형명 PEB2254의 집적회로(IC: Integrated Circuit)인 FALC 54(Framing and Line Interface Component for PCM 30 and PCM 24)가 이용된다. 즉 본 출원의 발명자는 종래에는 프레이머 기능을 제공하는 IC와 라인인터페이스 기능을 지원하는 IC가 별도로 존재하였던 것과는 달리, 현재에는 프레이머 기능과 라인인터페이스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는 IC가 제조되고 있다는 사실에 착안하였다. 그리고 이 IC를 이용하여 보다 간단화된 구성요소들을 가지며, 유지·보수 및 관리가 보다 용이한 디지털 트렁크회로를 구현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출원의 발명자에 의해 발명된 구성요소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각 구성요소들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각각 도 4 내지 도 9b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도 4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상기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Framer & Line Interface) 200로 구현되는 FALC54는 PCM 30모드에서 E1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로 동작하며, PCM 24모드에서 T1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로 동작한다. 이러한 T1/E1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의 동작은 내부의 레지스터값이 변경됨에 따라 조정되는데, 이러한 레지스터값의 변경은 데이터버스 D[0∼15] 및 어드레스버스 A[0∼6]를 통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에 연결된 로컬프로세서 130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렁크회로는 트렁크 선택부 210과,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릴레이 구동제어부 220과, 릴레이 스위칭부 240과, 송신(TX) 트랜스포머 250 및 수신(RX) 트랜스포머 2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트렁크 선택부 210은 외부 사용자에 의해 조작가능하며, 상기 사용자가 다수의 트렁크회로중에서 상황에 맞는 트렁크회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조작되어진 트렁크 선택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트렁크 선택부 210가 제공하는 트렁크 선택정보로는 현재 보드의 신호 전송속도가 T1급 또는 E1급임을 나타내는 정보, D채널 제어방식이 공통채널신호(CCS)방식 또는 채널결합신호(CAS)방식임을 나타내는 정보, 신호 전송속도가 E1급인 경우 제1저항[75오옴(Ω)] 또는 제2저항[120오옴]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있다. 이때 트렁크 선택부 210으로부터 출력되는 트렁크 선택정보는 메인프로세서 100 또는 로컬프로세서 130이 읽어가서 그에 따른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메인프로세서 100 또는 로컬프로세서 130은 트렁크 선택부 210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자신들의 메인 데이터버스 BD[0∼3] 또는 로컬 데이터버스 D[0∼3]를 통해 읽어가서 현재 보드가 어떠한 트렁크회로로 선택되는지를 판단하고 보드가 해당하는 트렁크회로로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은 데이터버스 D[0∼6]을 통해 로컬프로세서 130에 연결되며, 이 로컬프로세서 130의 제어하에 LED 230 및 릴레이 스위칭부 240의 구동을 제어한다. LED 230은 다수의 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의 제어하에 점등 또는 소등되어 현재 국선라인의 상태나 보드의 트렁크 선택상태를 외부에 알려준다. 릴레이 스위칭부 240은 다수의 릴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의 제어하에 스위칭제어되어 T1트렁크회로, E1 75Ω 트렁크회로 또는 E1 120Ω 트렁크회로에 적합한 신호 전송을 위한 연결 동작을 수행한다. 즉 릴레이 스위칭부 240은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과 TX 트랜스포머 250의 사이 및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과 RX 트랜스포머 260의 사이에 접속되어 이들 사이의 송신신호 경로 및 수신신호 경로를 형성한다.
로컬프로세서(Local Processor) 130은 계층(Layer)1, 계층2 및 계층3의 기능을 수행하며, 이 동작을 위해 상기 로컬프로세서 130에는 롬(ROM: Read Only Memory) 140과 램(RAM: Random Access Memory) 150이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에서 있어서 상기 로컬프로세서 130은 트렁크 선택부 210에 의해 현재 보드가 어떠한 트렁크회로의 상태로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보드가 해당하는 트렁크회로로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즉 로컬프로세서 130은 트렁크 선택부 210으로부터 출력된 트렁크 선택정보를 버퍼단 110에 연결되는 데이터버스 D[0∼3]를 통해 수신하여 보드가 현재 어떠한 트렁크회로로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보드가 해당하는 트렁크회로로서 동작하도록 롬 140 및 램 15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중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롬 140에는 다수의 트렁크회로 각각에 대응하는 구동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롬 140에는 T1트렁크회로, 75오옴 E1트렁크회로, 120오옴 E1트렁크회로, TI-PRI트렁크회로, 75오옴 E1-PRI트렁크회로, 120오옴 E1-PRI트렁크회로의 구동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다.
이때 로컬프로세서 130은 IPC부 120을 통해 메인프로세서 1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로컬프로세서 13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은 이 로컬프로세서 130을 대신하여 메인프로세서(Main Processor) 100에 의해서도 제어될 수 있다. 즉 메인프로세서 100은 트렁크 선택부 210으로부터의 트렁크 선택정보를 버퍼단 110에 연결되는 데이터버스 BD[0∼3]를 통해 수신하여 보드가 현재 어떠한 트렁크회로로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보드가 해당하는 트렁크회로로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프로세서 100은 상기 동작 이외에도 교환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버퍼단 100에 연결되어 어드레스(ADDRESS), 데이터(DATA), 제어(CONTROL)신호 및 클럭(CLOCK)을 송수신하며 이 버퍼단 100을 통해 하이웨이(HIGHWAY)가 연결되게 된다. 타임스위치(Time Switch) 160은 B채널(주로 음성데이터)의 스위칭 소자로서 외부와의 통화로 형성에 사용된다.
상기 로컬프로세서 130으로는 모토롤라(Motorola)사에 의해 제조된 형명 MC68302의 프로세서(Integrated Multiprotocol Processor)가 이용될 수 있고, IPC부 120으로는 싸이프레스(Cypress)사에 의해 제조된 형명 CY7C131의 IPC 통신소자(Dual Port Static Random Access Memory)가 이용될 수 있고, 롬 140으로는 형명 27C4001의 롬(EPROM: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이 이용될 수 있고, 램 150으로는 형명 681000의 램(Cache Random Access Memory)이 이용될 수 있고, 타임스위치 160으로는 형명 STL7065의 스위칭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메인프로세서 100은 제외)은 하나의 보드내에 실장되어 다수의 트렁크회로 기능을 지원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렁크회로는 메인프로세서 100 또는 로컬프로세서 130의 제어에 의해 T1트렁크회로, T1-PRI트렁크회로, 75Ω E1트렁크회로, 120Ω E1트렁크회로, 75Ω E1-PRI트렁크회로, 120Ω E1-PRI트렁크회로로서 동작한다. 이와 같이 디지털 트렁크회로가 어느 한 트렁크회로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동작은 2가지의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첫 번째 방법은 메인프로세서 100이 트렁크 선택부 210으로부터 출력된 트렁크 선택정보를 데이터버스 BD[0∼3]를 통해 읽어가서 현재 보드가 어떠한 트렁크회로로서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IPC통신부 120을 통해 로컬프로세서 130과 통신하여 로컬프로세서 130이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초기화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은 로컬프로세서 130이 트렁크 선택부 210으로부터 출력된 트렁크 선택정보를 데이터버스 D[0∼3]를 통해 직접 읽어가서 현재 보드가 어떠한 트렁크회로로서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이 판단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로컬프로세서 130은 프레이머 및 인터페이스 200의 내부 레지스터값을 변경하고, LED&릴레이구동제어부 220을 제어하여 릴레이스위칭부 240이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적합한 신호 전송을 위한 연결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트렁크 선택부 210은 트렁크회로의 선택정보를 하드웨어적으로 고정시키는 3개의 스위치들 SW1∼SW3과, 이 스위치들 SW1∼SW3의 스위칭 상태값을 입력하여 저장하였다가 데이터버스 BD[0∼3] 또는 D[0∼3]을 통해 이 저장된 값을 출력하는 버퍼 U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스위치들 SW1∼SW3은 전원전압단(VCC)에 연결되는 제1입력 접점과 접지단에 연결되는 제2입력 접점을 가지고 있으며 버퍼 U10의 입력단자들(1A1∼1A4,2A1∼2A4)에 연결되는 출력 접점을 가지는 단극 쌍투형(single-pole double-throw type)의 절환용 스위치이다. 제1스위치 SW1의 제1입력 접점은 신호 전송속도가 T1급임을 나타내고, 제2입력 접점은 신호 전송속도가 E1급임을 나타낸다. 제2스위치 SW2의 제1입력 접점은 D채널 제어방식이 CCS임을 나타내고, 제2입력 접점은 D채널 제어방식이 CAS임을 나타낸다. 제3스위치 SW3의 제1입력 접점은 신호 전송속도가 E1인 경우 120오옴임을 나타내며, 제2입력 접점은 75오옴임을 나타낸다.
버퍼 U10은 상기 스위치들 SW1∼SW3의 스위칭 상태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자들(1A1∼1A4,2A1∼2A4)과, 이 입력단자들(1A1∼1A4,2A1∼2A4)에 대응하는 출력단자들(1Y1∼1Y4,2Y1∼2Y4)과, 제어단자들(1G,2G)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입력단자(1A1,2A1)는 제1스위치 SW1의 출력 접점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단자(1A2,2A2)는 제2스위치 SW2의 출력 접점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단자(1A3,2A3)는 제3스위치 SW3의 출력 접점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단자(1A4,2A4)는 접지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버퍼 U10으로는 필립스(Philips)사에 의해 제조 및 판매되고 있는 형명 74HC244의 버퍼(octal buffer/line driver)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 SW1의 출력접점에 연결된 버퍼 U10의 1A1,2A1단자에 "하이(H)"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신호 전송속도는 T1급임을 나타내며, "로우(L)"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신호 전송속도는 E1급임을 나타낸다. 제2스위치 SW2의 출력접점에 연결된 버퍼 U10의 1A2,2A2단자에 "하이(H)"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D채널 제어방식은 CCS임을 나타내며, "로우(L)"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D채널 제어방식은 CAS임을 나타낸다. 제3스위치 SW3의 출력접점에 연결된 버퍼 U10의 1A3,2A3단자에 "하이(H)"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120오옴임을 나타내며, "로우(L)"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75오옴임을 나타낸다.
한편 스위치들 SW1∼SW3의 상태값은 버퍼 U10의 출력단자(1Y1∼1Y4)에 출력된 후 데이터버스 BD[0∼3]를 거쳐 메인프로세서 100에 제공될 수도 있고, 출력단자(2Y1∼2Y4)에 출력된 후 데이터버스 D[0∼3]를 거쳐 로컬프로세서 13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위치의 상태값의 제공경로는 버퍼 U10의 제어단자(1G,2G)에 나타나는 제어신호들에 의해 결정된다. 즉 버퍼 U10의 제1제어단자(1G)에 "로우"레벨의 M_STATUS_ID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버퍼 U10은 입력단자(1A1∼1A4)를 통해 인가된 스위치의 상태값을 출력단자(1Y1∼1Y4)로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단자(1Y1∼1Y4)에 출력되는 스위치의 상태값은 데이터버스 BD[0∼3]를 통해 메인프로세서 100에 제공될 수 있다. 버퍼 U10의 제2제어단자(2G)에 "로우"레벨의 L_STATUS_ID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버퍼 U10은 입력단자(2A1∼2A4)를 통해 인가된 스위치의 상태값을 출력단자(2Y1∼2Y4)로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단자(2Y1∼2Y4)에 출력되는 스위치의 상태값은 데이터버스 D[0∼3]를 통해 메인프로세서 10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트렁크보드가 현재 어떠한 회로로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스위치의 상태값을 읽어다가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트렁크회로가 기능하도록 하는 동작은 메인프로세서 100 또는 로컬프로세서 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메인프로세서 100이 버퍼 U10의 제1제어단자(1G)로 "로우"레벨의 M_STATUS_ID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면, 스위치들 SW1∼SW3의 상태값은 버퍼 U10의 출력단자(1Y1∼1Y4)상에 출력된다. 이때 메인프로세서 100이 데이터버스 BD[0∼3]를 통해 출력단자(1Y1∼1Y4)상에 출력되는 스위치의 상태값을 읽어감으로써 현재 보드가 어떠한 상태의 트렁크회로로서 기능하도록 하드웨어적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로컬프로세서 130이 버퍼 U10의 제2제어단자(2G)로 "로우"레벨의 L_STATUS_ID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면, 스위치들 SW1∼SW3의 상태값은 버퍼 U10의 출력단자(2Y1∼2Y4)상에 출력된다. 이때 로컬프로세서 130이 데이터버스 D[0∼3]를 통해 출력단자(2Y1∼2Y4)상에 출력되는 스위치의 상태값을 읽어감으로써 현재 보드가 어떠한 상태의 트렁크회로로서 기능하도록 하드웨어적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결과에 따라 메인프로세서 100 및 로컬프로세서 130이 로컬프로세서 130에 연결된 메모리(ROM 140, RAM 15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중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현재 보드가 해당하는 트렁크회로로서 기능하게 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버퍼 U10에 저장되어 있는 스위치 SW1∼SW3의 상태값이 출력단자(1Y1∼1Y4)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신호 M_STATUS_ID를 생성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트렁크 선택부 210의 버퍼 U10의 제1제어단자(1G)로 인가될 제어신호 M_STAUS_ID는 디코더 U20의 출력단자(Y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이다. 상기 버퍼 U20으로는 필립스(Philip)사에 의해 제조 및 판매되고 있는 형명 74HC138의 디코더(Inverting 3-to-8 line decoder/ demultiplexer)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디코더 U20는 3개의 입력단자(A,B,C)와 8개의 출력단자(Y0∼Y7)와, 제어신호 입력단자(G1,G2A,G2B)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단자(A,B,C)로 인가되는 신호를 제어신호 입력단자(G1,G2A,G2B)에 인가되는 신호의 레벨에 따라 디코딩하여 이 디코딩결과를 출력단자(Y0∼Y7)로 출력한다. 상기 디코더 U20의 입력단자(A,B,C)로는 버퍼 U21,U22로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신호 BA[1∼15]중에서 BA12,BA13,BA14신호가 인가된다. 이때 버퍼 U21,U22로는 필립스사에 의해 제조 및 판매되고 있는 형명 74HC541의 버퍼(octal buffer/line driver)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버퍼 U21,U22는 메인프로세서 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어드레스신호 SA[8∼1],SA[15∼9]를 각각 입력단자(A1∼A8)로 입력하여 버퍼링한 후 출력단자(Y1∼Y8)로 출력한다. 상기 버퍼 U21의 출력단자(Y1∼Y8)로부터 출력되어 저항 R11∼R18을 통과한 신호가 어드레스신호 BA8∼BA1이고, 버퍼 U22의 출력단자(Y1∼Y8)로부터 출력되어 저항 R21∼R27을 통과한 신호가 어드레스신호 BA15∼BA9이다. 상기 버퍼 U21,U22로부터 출력된 후 저항 R11∼R18,R21∼R27을 통과하여 생성되는 어드레스신호 BA[1∼15]는 IPC 120으로 인가된다. 즉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회로는 메인프로세서 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디코딩한 후 그 디코딩 결과를 트렁크 선택부 210의 버퍼 U20의 스위칭상태값 출력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M_STATUS_ID신호로서 출력하는 디코딩회로로서 기능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버퍼 U10에 저장되어 있는 스위치 SW1∼SW3의 스위칭 상태값이 출력단자(2Y1∼2Y4)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신호 L_STATUS_ID를 생성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트렁크 선택부 210의 버퍼 U10의 제2제어단자(2G)로 인가될 제어신호 L_STAUS_ID는 디코더 U31의 출력단자(Y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이다. 상기 버퍼 U31로는 필립스(Philip)사에 의해 제조 및 판매되고 있는 형명 74HC138의 디코더(Inverting 3-to-8 line decoder/ demultiplexer)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디코더 U31은 3개의 입력단자(A,B,C)와 8개의 출력단자(Y0∼Y7)와, 제어신호 입력단자(G1,G2A,G2B)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단자(A,B,C)로 인가되는 신호를 제어신호 입력단자(G1,G2A,G2B)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디코딩하여 이 디코딩결과를 출력단자(Y0∼Y7)로 출력한다. 상기 디코더 U20의 입력단자(A,B,C)로는 어드레스신호 A16,A17,A18이 각각 인가되고, 제어신호 입력단자(G1,G2A,G2B)로는 각각 어드레스신호 A19와, /P1_CS5000신호와, 버퍼 U30의 출력단자(Y5)에서 출력된 후 저항 R42를 통과한 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버퍼 U30은 상기 버퍼 U31과 마찬가지로 필립스사에 의해 제조 및 판매되고 있는 형명 74HC138의 디코더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 버퍼 U30의 입력단자(A,B,C)로는 각각 어드레스신호 A20,A21,A22신호가 인가되고, 제어신호 입력단자(G1)은 저항 R41을 거쳐 전원전압단(VCC)에 연결되고, 제어신호 입력단자(G2A,G2B)로는 각각 어드레스신호 A23과 /P1_AS신호가 인가된다. 즉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회로는 로컬프로세서 130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디코딩한 후 그 디코딩 결과를 트렁크 선택부 210의 버퍼 U20의 스위칭 상태값 출력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L_STATUS_ID신호로서 출력하는 디코딩회로로서 기능한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 및 LED 23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은 8개의 입력단자(D1∼D8)와, 8개의 출력단자(Q1∼Q8)와, 클럭단자(CLK)와, 클리어단자(CLR)를 구비하고 있는 플립플롭 U4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U40은 필립스사에 의해 제조 및 판매되고 있는 형명 74HC273의 플립플롭(octal D-type flip-flop with reset)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플립플롭 U40의 입력단자(D1∼D7)로는 데이터신호 D0∼D6이 각각 인가되고, 나머지의 한 입력단자(D8)는 접지단에 연결되는데 이 접지단에는 병렬 결합된 다수의 캐패시터 C32∼C39의 일측이 연결된다. 각 캐패시터 C32∼C39의 일측은 전원전압단(VCC)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일측은 접지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 플립플롭 U40의 데이터 출력동작은 클럭단자(CLK)로 인가되는 /P1_LED신호와 클리어단자(CLR)로 인가되는 /P1_RST신호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플립플롭 U40은 입력단자(D1∼D7)로 데이터신호 D0∼D6을 각각 입력한 후 이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클럭단자(CLK)로 인가되는 /P1_LED신호와 클리어단자(CLR)로 인가되는 /P1_RST신호에 따라 출력단자(Q1∼Q7)로 출력한다. 이때 플립플롭 U40의 출력단자(Q1∼Q4)로 출력되는 신호는 LED 230의 구동을 결정하는 신호이고, 출력단자(Q5∼Q7)로 출력되는 신호는 릴레이스위칭부 240의 구동을 결정하는 신호이다. 그리고 상기 /P1_LED신호 및 /P1_RST신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프로세서 130으로부터의 출력을 디코딩하여 출력함에 따라 생성되는 신호이다.
LED 230은 4개의 LED1∼LED4와 저항 R61∼R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LED1의 애노드(anode)단자는 저항 R61을 통해 전원전압단(VCC)에 연결되어 있고, 캐소드(cathode)단자는 플립플롭 U40의 출력단자(Q1)에 연결되어 있다. LED2의 애노드단자는 저항 R62를 통해 전원전압단(VCC)에 연결되어 있고, 캐소드단자는 플립플롭 U40의 출력단자(Q2)에 연결되어 있다. LED3의 애노드단자는 저항 R63을 통해 전원전압단(VCC)에 연결되어 있고, 캐소드단자는 플립플롭 U40의 출력단자(Q3)에 연결되어 있다. LED4의 캐소드단자는 저항 R64를 통해 접지단에 연결되어 있고, 애노드단자는 플립플롭 U40의 출력단자(Q4)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플립플롭 U40의 출력단자(Q1,Q2,Q3)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각 LED1,LED2,LED3은 점등되고,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 각 LED1,LED2, LED3은 소등된다. 이와 달리 플립플롭 U40의 출력단자(Q4)에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 LED4는 점등되고,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 LED4는 소등된다. 이러한 LED들은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을 구성하는 플립플롭 U40의 출력단자(Q1∼Q4)에 나타나는 신호들의 레벨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어 국선라인의 상태나 보드의 상태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립플롭 U40은 LED 2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릴레이 스위칭부 2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또한 출력한다. 릴레이 스위칭부 2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는 출력단자(Q5,Q6,Q7)로 출력된다. 상기 플립플롭 U40은 출력단자(Q5)로 TX_T1_E1B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단자(Q6)로는 75_120B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단자(Q7)로는 RX_T1_E1B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TX_T1_E1B신호는 T1트렁크회로 또는 E1트렁크회로의 송신 경로를 결정하는 신호이다. 상기 75_120B신호는 E1트렁크회로인 경우 75오옴 또는 120오옴을 결정하는 신호이다. 상기 RX_T1_E1B신호는 T1트렁크회로 또는 E1트렁크회로의 수신 경로를 결정하는 신호이다.
상기와 같은 플립플롭 U40의 동작을 요약하면 하기의 <표 1>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하기의 <표 1>을 참조하면, 플립플롭 U40은 입력단자(D1∼D4)로 인가되는 데이터버스상의 신호 D0∼D3에 따라 LED1∼LED4를 각각 구동하고, 입력단자(D5∼D7)로 인가되는 데이터버스상의 신호 D4∼D6에 따라 릴레이 스위칭부 240을 구동한다. D0신호가 "로우"레벨인 경우는 동기(SYNC)가 이루어진 것으로, 이 경우 LED1이 점등된다. D1신호가 "로우"레벨인 경우는 라인손실(Line Loss)의 상태에 있는 것으로, 이 경우 LED2가 점등된다. D2신호가 "로우"레벨인 경우는 알람지시(Alarm Indication)의 상태에 있는 것으로, 이 경우 LED3이 점등된다. D3신호가 "하이"레벨인 경우는 Layer2가 정상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경우 LED4가 점등된다. D4신호가 "하이"레벨인 경우는 TX트랜스포머 250이 T1트렁크용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로우"레벨인 경우는 TX트랜스포머 250이 E1트렁크용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D5신호가 "하이"레벨인 경우는 RX트랜스포머 260이 E1트렁크의 75오옴용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로우"레벨인 경우는 RX트랜스포머 260이 E1트렁크의 120오옴용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D6신호가 "하이"레벨인 경우는 RX트랜스포머 260이 T1트렁크용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로우"레벨인 경우는 RX트랜스포머 260이 E1트렁크용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입력신호 출력신호 레벨 내 용
D0 Q1 L SYNC
D1 Q2 L Line Loss
D2 Q3 L Alarm Indication
D3 Q4 H Layer 2 정상
D4 Q5 H TX트랜스포머의 연결이 T1트렁크용
L TX트랜스포머의 연결이 E1트렁크용
D5 Q6 H RX트랜스포머의 연결이 E1트렁크의 75Ω용
L RX트랜스포머의 연결이 E1트렁크의 120Ω용
D6 Q7 H RX트랜스포머의 연결이 T1트렁크용
L RX트랜스포머의 연결이 E1트렁크용
도 8a 내지 도 8c는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의 동작에 의해 릴레이 스위칭부 240이 스위칭제어됨에 따라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라인인터페이스단이 다양하게 변형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RL1,RL2는 라인인터페이스의 입력(수신)단을 나타내며, XL1,XL2는 라인인터페이스의 출력(송신)단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러한 입력단 및 출력단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 스위칭부 240에 연결된다.
도 8a는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라인인터페이스가 E1트렁크 120오옴용으로 연결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경우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내부 레지스터값은 로컬프로세서 130에 의해 E1트렁크 120오옴용의 레지스터값으로 조정되게 되며,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은 "로우"레벨의 TX_T1_E1B신호와, "로우"레벨의 75_120B신호와, "로우"레벨의 RX_T1_E1B신호를 출력한다.
도 8b는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라인인터페이스가 E1트렁크 75오옴용으로 연결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경우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내부 레지스터값은 로컬프로세서 130에 의해 E1트렁크 75오옴용의 레지스터값으로 조정되게 되며,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은 "로우"레벨의 TX_T1_E1B신호와, "하이"레벨의 75_120B신호와, "로우"레벨의 RX_T1_E1B신호를 출력한다.
도 8c는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라인인터페이스가 T1트렁크용으로 연결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경우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내부 레지스터값은 로컬프로세서 130에 의해 T1트렁크용의 레지스터값으로 조정되게 되며,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은 "하이"레벨의 TX_T1_E1B신호와, "하이"레벨의 RX_T1_E1B신호를 출력한다.
도 9는 도 9a와 도 9b로 이루어지며, 도 9a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b는 도 3에 도시된 릴레이 스위칭부 240 및 TX/RX 트랜스포머 250,260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U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이머 기능과 라인인터페이스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는 것으로, 지멘스사에 의해 제조 및 판매되고 있는 형명 PEB2254의 IC인 FALC 54가 이용된다. 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U50은 PCM 30모드에서는 E1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로 동작하며, PCM 24모드에서는 T1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로 동작한다. 이러한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U50의 PCM 30모드 또는 PCM 24모드의 선택적인 동작은 로컬프로세서 130의 제어하에 내부의 레지스터값이 변경됨에 따라 이루어지게 되며, 이를 위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U50은 어드레스버스 A[0∼6]와, 데이터버스 D[0∼15]를 통해 로컬프로세서 130에 연결된다.
즉, 로컬프로세서 130은 트렁크 선택부 210의 스위칭상태값을 데이터버스 D[0∼3]를 통해 직접 읽어들이거나, 메인프로세서 100이 트렁크 선택부 210의 스위칭상태값을 데이터버스 BD[0∼3]를 통해 읽어들인 후 이 읽어들인 값을 IPC통신부 120을 통해 읽어들여 보드의 현재 트렁크상태를 판단한다. 그 다음에 로컬프로세서 130은 상기 판단결과에 따른 데이터값을 데이터버스 D[0∼15]를 통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U50으로 제공하여 그의 내부 레지스터값을 적절하게 조정되도록 한다. 이때 조정되는 내부 레지스터값은 상기 트렁크 선택부 210의 현재 스위칭상태에 대응하는 값이다.
이에 따라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U50은 PCM 30모드 또는 PCM 24모드로 동작하여 T1프레이머 또는 E1프레이머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때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U50의 라인인터페이스의 기능은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중 어느 한 형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즉,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U50의 라인인터페이스단(RL1,RL2,XL1,XL2)은 T1트렁크용인 경우에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고, E1트렁크 75오옴인 경우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고, E1트렁크 120오옴인 경우에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된다.
도 9b를 참조하면, 릴레이 스위칭부 240은 릴레이들 RL10, RL20, RL30, RL40, RL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들의 동작은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 RX_T1_E1B, TX_T1_E1B, 75_120B에 이루어지게 된다. 각 릴레이들은 1차측의 코일과 2차측의 절환형 스위치들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에 그 동작이 결정된다. 릴레이 RL10 및 RL40은 RX_T1_E1B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T1트렁크 또는 E1트렁크의 수신경로를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릴레이 RL10은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라인인터페이스단에 연결되며, 릴레이 RL40은 RX트랜스포머 260에 연결된다. 릴레이 RL20은 75_120B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릴레이 RL10의 2차측에 저항 R102 또는 R103을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릴레이 RL30은 75_120B신호에 응답하여 릴레이 RL10과 RL40 사이가 직접 연결되도록 하거나, 저항 R99,R100을 통해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릴레이 RL50은 TX_T1_E1B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과 TX트랜스포머 250 사이의 T1트렁크 또는 E1트렁크의 송신경로를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릴레이 RL10은 1차측의 코일과 2차측의 단극 쌍투형(single-pole double- throw type)의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이 릴레이 RL10의 1차측 코일의 일측은 전원전압단(VCC)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NPN형 트랜지스터 Q11의 컬렉터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코일의 양단에는 다이오드 D21이 연결된다. 이때 다이오드 D21의 캐소드단자는 전원전압단(VCC)에 연결되고, 애노드단자는 트랜지스터 Q11의 컬렉터단자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Q11의 이미터단자는 접지단에 연결되며, 베이스단자에는 저항 R97이 연결되어 있고 이 저항 R97을 통해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에 의해 생성된 RX_T1_E1B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릴레이 RL10의 2차측 스위치는 정상적인 경우는 릴레이 RL20의 스위치의 단극에 연결되며, 트랜지스터 Q11이 턴온됨에 따라 1차측 코일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저항 R101에 연결된다. 따라서 "로우"레벨의 RX_T1_E1B신호가 인가되는 경우(RX트랜스포머가 E1용으로 연결되는 경우) 릴레이 RL10의 2차측 스위치는 릴레이 RL20의 2차측 스위치를 통해 저항 R103 또는 R102에 연결되며, "하이"레벨의 RX_T1_E1B신호가 인가되는 경우(RX트랜스포머가 T1용으로 연결되는 경우) 릴레이 RL10의 2차측 스위치는 저항 R101에 연결된다.
릴레이 RL20은 1차측의 코일과 2차측의 단극 쌍투형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이 릴레이 RL20의 1차측 코일의 일측은 전원전압단(VCC)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NPN형 트랜지스터 Q12의 컬렉터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코일의 양단에는 다이오드 D22가 연결된다. 이때 다이오드 D22의 캐소드단자는 전원전압단(VCC)에 연결되고, 애노드단자는 트랜지스터 Q12의 컬렉터단자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Q12의 이미터단자는 접지단에 연결되며, 베이스단자에는 저항 R98이 연결되어 있고 이 저항 R98을 통해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에 의해 생성된 75_120B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릴레이 RL20의 2차측 스위치는 정상적인 경우는 저항 R103에 연결되며, 트랜지스터 Q12가 턴온됨에 따라 1차측 코일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저항 R102에 연결된다. 따라서 "로우"레벨의 75_120B신호가 인가되는 경우(RX트랜스포머가 120오옴 E1용으로 연결되는 경우) 릴레이 RL20의 2차측 스위치는 저항 R103에 연결되며, "하이"레벨의 75_120B신호가 인가되는 경우(RX트랜스포머가 75오옴 E1용으로 연결되는 경우) 릴레이 RL20의 2차측 스위치는 저항 R102에 연결된다.
릴레이 RL30은 1차측의 코일과 2차측의 쌍극 쌍투형(double-pole double-throw type)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이 릴레이 RL30의 1차측 코일의 일측은 전원전압단(VCC)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NPN형 트랜지스터 Q13의 컬렉터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코일의 양단에는 다이오드 D23이 연결된다. 이때 다이오드 D23의 캐소드단자는 전원전압단(VCC)에 연결되고, 애노드단자는 1차측 코일의 일측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Q13의 이미터단자는 접지단에 연결되며, 베이스단자에는 저항 R104가 연결되어 있고 이 저항 R104를 통해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에 의해 생성된 75_120B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릴레이 RL30의 2차측 스위치는 정상적인 경우는 저항 R99,R100에 연결되며, 트랜지스터 Q13이 턴온됨에 따라 1차측 코일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RL1단자,RL2단자에 연결된다. 따라서 "로우"레벨의 75_120B신호가 인가되는 경우(RX트랜스포머가 120오옴 E1용으로 연결되는 경우) 릴레이 RL30의 2차측 스위치는 저항 R99,R100을 통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RL1,RL2단자에 연결되며, "하이"레벨의 75_120B신호가 인가되는 경우(RX트랜스포머가 75오옴 E1용으로 연결되는 경우) 릴레이 RL30의 2차측 스위치는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RL1,RL2단자에 직접 연결된다.
릴레이 RL40은 1차측의 코일과 2차측의 쌍극 쌍투형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이 릴레이 RL40의 1차측 코일의 일측은 전원전압단(VCC)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NPN형 트랜지스터 Q14의 컬렉터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코일의 양단에는 다이오드 D24가 연결된다. 이때 다이오드 D24의 캐소드단자는 전원전압단(VCC)에 연결되고, 애노드단자는 트랜지스터 Q14의 컬렉터단자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Q14의 이미터단자는 접지단에 연결되며, 베이스단자에는 저항 R110이 연결되어 있고 이 저항 R110을 통해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에 의해 생성된 RX_T1_E1B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릴레이 RL40의 2차측 스위치는 정상적인 경우는 릴레이 RL30의 2차측 스위치에 연결되며, 트랜지스터 Q14가 턴온됨에 따라 1차측 코일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RL1단자,RL2단자에 연결된다. 따라서 "로우"레벨의 RX_T1_E1신호가 인가되는 경우(RX트랜스포머가 E1용으로 연결되는 경우) 릴레이 RL40의 2차측 스위치는 저항 R99,R100을 통해 또는 직접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RL1,RL2단자에 연결되며, "하이"레벨의 RX_T1_E1B신호가 인가되는 경우(RX트랜스포머가 E1용으로 연결되는 경우) 릴레이 RL40의 2차측 스위치는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RL1,RL2단자에 직접 연결된다.
릴레이 RL50은 1차측의 코일과 2차측의 쌍극 쌍투형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이 릴레이 RL50의 1차측 코일의 일측은 전원전압단(VCC)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NPN형 트랜지스터 Q15의 컬렉터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코일의 양단에는 다이오드 D25가 연결된다. 이때 다이오드 D25의 캐소드단자는 전원전압단(VCC)에 연결되고, 애노드단자는 트랜지스터 Q15의 컬렉터단자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Q15의 이미터단자는 접지단에 연결되며, 베이스단자에는 저항 R109가 연결되어 있고 이 저항 R109를 통해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에 의해 생성된 TX_T1_E1B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릴레이 RL50의 2차측 스위치는 정상적인 경우는 저항 R105,R107을 통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XL1,XL2단자에 연결되며, 트랜지스터 Q15가 턴온됨에 따라 1차측 코일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저항 R106,R108을 통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XL1단자,XL2단자에 연결된다. 따라서 "로우"레벨의 TX_T1_E1신호가 인가되는 경우(TX트랜스포머가 E1용으로 연결되는 경우) 릴레이 RL50의 2차측 스위치는 저항 R105,R107을 통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XL1,XL2단자에 연결되며, "하이"레벨의 TX_T1_E1B신호가 인가되는 경우(TX트랜스포머가 T1용으로 연결되는 경우) 릴레이 RL50의 2차측 스위치는 저항 R106,R108을 통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XL1,XL2단자에 연결된다.
도 9b에서 트랜스포머 T40은 RX트랜스포머 260이고, 트랜스포머 T41은 TX트랜스포머 250이다. 상기 트랜스포머 T40의 일측은 릴레이 RL40의 2차측 스위치에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트렁크보드의 수신단(P1_RXT,P1_RXR)에 연결된다. 트랜스포머 T41의 일측은 릴레이 R50의 2차측 스위치에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트렁크보드의 송신단(P1_TXT,P1_TXR)에 연결된다. 이때 트렁크보드의 수신단(P1_RXT,P1_RXR) 및 송신단(P1_TXT,P1_TXR)은 국선라인에 연결된다. 상기 트랜스포머 T40의 다른 일측과 트렁크보드의 수신단(P1_RXT,P1_RXR)의 사이 및 트랜스포머 T41의 다른 일측과 트렁크보드의 송신단((P1_TXT,P1_TXR))의 사이에는 과전압보호(overvoltage protection)를 위한 소자들(VR1,VR2)와, 서지보호(surge protection)를 위한 소자들(AR1,AR2,AR3,AR4)이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렁크회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하기에서는 디지털 트렁크회로가 현재 어떠한 트렁크회로로서 설정되어 있는지 트렁크 선택부 210의 스위칭상태값을 읽어들여 판단하는 동작과, 그 판단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트렁크회로가 동작하도록 동작은 로컬프로세서 130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동작은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메인프로세서 100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는 사실에 유의하여야 한다.
(1) 트렁크 선택부 210이 T1트렁크회로로 설정된 경우:
이 경우에 도 4의 스위치 SW1은 전원전압단(VCC)에 연결되어 있고, 스위치 SW2는 접지단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버퍼 U10의 입력단자(1A1,2A1)에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인가되고, 입력단자(2A1,2A2)에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인가된다. 이렇게 인가된 신호는 스위치들 SW1∼SW3의 상태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에 대응하는 상태값이 출력단자(2Y1∼2Y4)에 출력되고 로컬프로세서 130은 이 출력된 값을 로컬 데이터버스 D[0∼3]를 통해 읽어들인 후 RAM 150에 저장한다. 만일 스위치 SW3이 전원전압단(VCC)에 연결되었다면, 로컬프로세서 130은 데이터버스 D[0∼3]를 통해 "1010"의 값을 읽어갈 것이다.
상기 로컬프로세서 130은 데이터버스 D[0∼3]를 통해 읽어들인 값으로부터 현재 보드가 어떠한 트렁크회로로서 고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에 따라 로컬프로세서 130은 ROM 14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중 T1트렁크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내부 레지스터값을 조정하여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이 PCM 24모드로 동작하고 라인인터페이스단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로컬프로세서 130은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로 T1트렁크회로의 송수신 경로 연결을 위한 "하이"레벨의 D4신호와 D6신호를 제공한다. 그러면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은 "하이"레벨의 TX_T1_E1B신호와 RX_T1_E1B신호를 생성한다.
"하이"레벨의 RX_T1_E1B신호가 릴레이 스위칭부 240으로 인가됨에 응답하여 릴레이 스위칭부 240의 트랜지스터 Q12,Q13은 턴오프되고, 트랜지스터 Q11,Q14는 턴온되며 릴레이 RL10,RL40의 1차측 코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RX트랜스포머 T40의 상부 일측은 릴레이 RL40의 상부 2차측 스위치를 통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RL1단자에 연결되고, RX트랜스포머 T40의 하부 일측은 릴레이 RL40의 하부 2차측 스위치를 통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RL2단자에 연결되어 T1트렁크의 수신경로가 형성된다. 이때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RL1단자와 RL2단자의 사이에는 릴레이 RL10의 2차측 스위치, 저항 R101을 통한 경로가 또한 형성된다.
"하이"레벨의 TX_T1_E1B신호가 릴레이 스위칭부 240으로 인가됨에 응답하여 릴레이 스위칭부 240의 트랜지스터 Q15가 턴온되고, 릴레이 RL50의 1차측 코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TX트랜스포머 T41의 상부 일측은 릴레이 RL50의 상부 2차측 스위치, 저항 R106을 통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XL1단자에 연결되고, TX트랜스포머 T41의 하부 일측은 릴레이 RL50의 하부 2차측 스위치, 저항 R108을 통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XL2단자에 연결되어 T1트렁크의 송신경로가 형성된다. 이때 TX트랜스포머 T41의 상부 일측은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XL1M단자에 또한 연결되고, TX트랜스포머 T41의 하부 일측은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XL2M단자에 또한 연결된다.
(2) 트렁크 선택부 210이 75오옴 E1트렁크회로로 설정된 경우:
이 경우에 도 4의 모든 스위치들 SW1∼SW3은 접지단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버퍼 U10의 모든 입력단자(1A1∼1A4, 2A1∼2A4)에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인가된다. 이렇게 인가된 신호는 스위치들 SW1∼SW3의 상태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에 대응하는 상태값 "0"이 출력단자(2Y1∼2Y4)에 출력되고 로컬프로세서 130은 이 출력된 값을 로컬 데이터버스 D[0∼3]를 통해 읽어들인 후 RAM 150에 저장한다.
상기 로컬프로세서 130은 로컬 데이터버스 D[0∼3]를 통해 읽어들인 값으로부터 현재 보드가 어떠한 트렁크회로로서 고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에 따라 로컬프로세서 130은 ROM 14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중 75오옴 E1트렁크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내부 레지스터값을 조정하여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이 PCM 30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고, 라인인터페이스단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로컬프로세서 130은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로 75오옴 E1트렁크회로의 송수신 경로 연결을 위한 "로우"레벨의 D4신호와, "하이"레벨의 D5신호와, "로우"레벨의 D6신호를 제공한다. 그러면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은 "로우"레벨의 TX_T1_E1B신호와, "하이"레벨의 75_120B신호와, "로우"레벨의 RX_T1_E1B신호를 생성한다.
"로우"레벨의 RX_T1_E1B신호와 "하이"레벨의 75_120B신호가 릴레이 스위칭부 240으로 인가됨에 응답하여 릴레이 스위칭부 240의 트랜지스터 Q11,Q14는 턴오프되고, 트랜지스터 Q12,Q13은 턴온되며 릴레이 RL20,RL30의 1차측 코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RX트랜스포머 T40의 상부 일측은 릴레이 RL40의 상부 2차측 스위치, 릴레이 RL30의 상부 2차측 스위치를 통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RL1단자에 연결되고, RX트랜스포머 T40의 하부 일측은 릴레이 RL40의 하부 2차측 스위치, 릴레이 RL30의 하부 2차측 스위치를 통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RL2단자에 연결되어 T1트렁크의 수신경로가 형성된다. 이때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RL1단자와 RL2단자의 사이에는 릴레이 RL10의 2차측 스위치, 릴레이 RL20의 2차측 스위치, 저항 R102를 통한 경로가 또한 형성된다.
"로우"레벨의 TX_T1_E1B신호가 릴레이 스위칭부 240으로 인가됨에 응답하여 릴레이 스위칭부 240의 트랜지스터 Q15가 턴오프된다. 그러므로 TX트랜스포머 T41의 상부 일측은 릴레이 RL50의 상부 2차측 스위치, 저항 R105를 통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XL1단자에 연결되고, TX트랜스포머 T41의 하부 일측은 릴레이 RL50의 하부 2차측 스위치, 저항 R107을 통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XL2단자에 연결되어 T1트렁크의 송신경로가 형성된다. 이때 TX트랜스포머 T41의 상부 일측은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XL1M단자에 또한 연결되고, TX트랜스포머 T41의 하부 일측은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XL2M단자에 또한 연결된다.
(3) 트렁크 선택부 210이 120오옴 E1트렁크회로로 설정된 경우:
이 경우에 도 4의 스위치 SW1,SW2는 접지단에 연결되어 있고, 스위치 SW3은 전원전압단(VCC)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버퍼 U10의 입력단자(1A1,1A2,1A4, 2A1,2A2,2A4)에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인가되고, 입력단자(1A3,2A3)에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인가된다. 이렇게 인가된 신호는 스위치들 SW1∼SW3의 상태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에 대응하는 상태값 "10"이 출력단자(2Y1∼2Y4)에 출력되고 로컬프로세서 130은 이 출력된 값을 로컬 데이터버스 D[0∼3]를 통해 읽어들인 후 RAM 150에 저장한다.
상기 로컬프로세서 130은 로컬 데이터버스 D[0∼3]를 통해 읽어들인 값으로부터 현재 보드가 어떠한 트렁크회로로서 고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에 따라 로컬프로세서 130은 ROM 14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중 120오옴 E1트렁크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내부 레지스터값을 조정하여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이 PCM 30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고, 라인인터페이스단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로컬프로세서 130은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로 120오옴 E1트렁크회로의 송수신 경로 연결을 위한 "로우"레벨의 D4신호와, "로우"레벨의 D5신호와, "로우"레벨의 D6신호를 제공한다. 그러면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은 "로우"레벨의 TX_T1_E1B신호와, "로우"레벨의 75_120B신호와, "로우"레벨의 RX_T1_E1B신호를 생성한다.
"로우"레벨의 RX_T1_E1B신호와 "로우"레벨의 75_120B신호가 릴레이 스위칭부 240으로 인가됨에 응답하여 릴레이 스위칭부 240의 트랜지스터들 Q11∼Q14는 턴오프된다. 그러므로 RX트랜스포머 T40의 상부 일측은 릴레이 RL40의 상부 2차측 스위치, 릴레이 RL30의 상부 2차측 스위치, 저항 R99를 통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RL1단자에 연결되고, RX트랜스포머 T40의 하부 일측은 릴레이 RL40의 하부 2차측 스위치, 릴레이 RL30의 하부 2차측 스위치, 저항 R100을 통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RL2단자에 연결되어 T1트렁크의 수신경로가 형성된다. 이때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RL1단자와 RL2단자의 사이에는 릴레이 RL10의 2차측 스위치, 릴레이 RL20의 2차측 스위치, 저항 R103을 통한 경로가 또한 형성된다.
"로우"레벨의 TX_T1_E1B신호가 릴레이 스위칭부 240으로 인가됨에 응답하여 릴레이 스위칭부 240의 트랜지스터 Q15는 턴오프된다. 그러므로 TX트랜스포머 T41의 상부 일측은 릴레이 RL50의 상부 2차측 스위치, 저항 R105를 통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XL1단자에 연결되고, TX트랜스포머 T41의 하부 일측은 릴레이 RL50의 하부 2차측 스위치, 저항 R107을 통해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XL2단자에 연결되어 T1트렁크의 송신경로가 형성된다. 이때 TX트랜스포머 T41의 상부 일측은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XL1M단자에 또한 연결되고, TX트랜스포머 T41의 하부 일측은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XL2M단자에 또한 연결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렁크회로의 신호 제어방식이 CAS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렁크회로가 T1트렁크회로, 75오옴 E1트렁크회로, 120오옴 E1트렁크회로로 동작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렁크회로는 T1트렁크회로, 75오옴 E1트렁크회로, 120오옴 E1트렁크회로 뿐만 아니라 PRI-T1트렁크회로, 75오옴 PRI-E1트렁크회로, 120오옴 PRI-E1트렁크회로로도 동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렁크회로는 신호 제어방식이 CAS인 경우 뿐만 아니라 CCS인 경우에도 동작한다. 이러한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트렁크 선택부 210의 스위치 SW2는 전원공급단(VCC)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버퍼 U10의 입력단자(1A2,2A2)에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인가되고, 이 입력단자(1A2,2A2)에 대응하는 출력단자(1Y2,2Y2)에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로컬프로세서 130은 상기 출력단자(2Y2)에 출력되는 신호를 로컬 데이터버스 D[0∼3]를 통해 읽어들인 후 현재 보드가 어떠한 트렁크회로로서 고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에 따라 로컬프로세서 130은 ROM 14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중 PRI-T1트렁크회로, 75오옴 PRI-E1트렁크회로 또는 120오옴 PRI-E1트렁크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의 내부 레지스터값을 조정하여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200이 PCM 30모드 또는 PCM 24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고, 라인인터페이스단이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어느 한 구성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로컬프로세서 130은 현재 판단된 보드의 상태에 따른 트렁크회로로서 동작하도록 LED&릴레이 구동제어부 220를 제어하여 릴레이 스위칭부 240이 스위칭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렁크회로가 PRI-T1트렁크회로로서 동작되도록 하는 릴레이 스위칭부 240의 스위칭 동작은 전술한 T1트렁크회로에서의 스위칭 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75오옴 PRI-E1트렁크회로로서 동작되도록 하는 릴레이 스위칭부 240의 스위칭 동작은 전술한 75오옴 E1트렁크회로에서의 스위칭 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75오옴 PRI-E1트렁크회로로서 동작되도록 하는 릴레이 스위칭부 240의 스위칭 동작은 전술한 75오옴 E1트렁크회로에서의 스위칭 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디지털 트렁크회로는 PRI-T1트렁크회로, 75오옴 PRI-E1트렁크회로 또는 120오옴 PRI-E1트렁크회로로서 동작하는 각 경우에 있어서 릴레이 스위칭부 240의 스위칭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이머 기능과 라인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칩을 이용하여 다수의 트렁크 기능이 하나의 보드내에 구성된 디지털 트렁크회로에 의해 지원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여러 가지 트렁크회로를 하나의 보드에 내장시키는 경우에 어느 한 트렁크회로가 선택되더라도 다른 나머지 트렁크회로가 불필요해짐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여러 가지 트렁크회로를 하나의 보드에 내장시키는 경우에도 어느 한 트렁크회로에 대한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하나의 보드내에 다수의 트렁크회로의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현된 디지털 트렁크회로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가능하며, 상기 다수의 트렁크회로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트렁크회로를 선택하기 위한 트렁크 선택정보를 출력하는 트렁크선택부와;
    상기 다수의 트렁크회로 각각을 구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구동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롬과;
    레지스터값의 변경에 따라 T1프레이머 또는 E1프레이머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T1프레이머 또는 E1프레이머에 대응하여 연결될 수 있는 라인인터페이스단을 구비하고 있는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기능부와;
    국선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국선라인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트랜스포머와;
    상기 국선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국선라인으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트랜스포머와;
    상기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기능부의 라인인터페이스단과 상기 수신 트랜스포머의 사이 및 상기 송신 트랜스포머의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릴레이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릴레이 구동 제어신호가 입력됨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단과 상기 수신 트랜스포머 사이의 수신경로 및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단과 상기 송신 트랜스포머 사이의 송신경로를 제공하는 릴레이 스위칭부와;
    상기 트렁크선택부로부터 출력된 트렁크 선택정보로부터 구동을 위한 트렁크회로를 판단한 후 이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롬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구동프로그램중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상기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기능부의 프레이머 동작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레지스터값을 생성하여 상기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기능부로 제공하고, 또한 상기 판단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릴레이 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릴레이 스위칭부로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선택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가능하며 이 조작에 의해 상기 다수의 트렁크회로중에서 어느 한 트렁크회로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칭 상태값을 가지는 스위치들과,
    상기 스위치들에 연결되는 입력단자와 데이터버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출력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단자에 나타나는 상기 스위치들의 스위칭 상태값을 버퍼링하여 상기 출력단자로 출력하는 버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들은 전원전압단에 연결되는 제1입력단자와, 접지단에 연결되는 제2입력단자와, 상기 버퍼의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출력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단극 쌍투형의 스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들은,
    신호 전송속도가 T1급 또는 E1급임을 나타내는 스위칭 상태값을 가지는 제1스위치와,
    D채널 제어방식이 공통채널신호(CCS)방식 또는 공통결합신호(CAS)방식임을 나타내는 스위칭 상태값을 가지는 제2스위치와,
    신호 전송속도가 E1급인 경우 제1저항 또는 제2저항임을 나타내는 스위칭 상태값을 가지는 제3스위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선택부는,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와 상기 릴레이 스위칭부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 상기 릴레이 구동 제어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이를 상기 릴레이 스위칭부로 출력하여 해당하는 릴레이들이 구동되어 스위칭되도록 하는 구동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상기 릴레이 스위칭부의 스위칭상태를 점등 또는 소등 여부로써 표시하여 현재 트렁크회로의 상태를 외부로 알려주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릴레이 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국선라인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더 생성하며,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릴레이 구동 제어신호와 상기 국선라인 상태신호를 입력하여 저장하였다가 상기 릴레이 구동 제어신호를 상기 릴레이 스위칭부로 출력하고, 또한 상기 릴레이 구동 제어신호와 상기 국선라인 상태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드내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회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의 외부에는 상기 프로세서 이외의 다른 프로세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다른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세서를 대신하여 상기 트렁크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트렁크 선택정보를 읽어다가 구동을 위한 트렁크회로를 판단하고, 이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를 제어하여 상기 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다수의 구동프로그램중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레지스터값이 생성되어 상기 프레이머 및 라인인터페이스 기능부로 제공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릴레이 구동 제어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릴레이 스위칭부로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회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와 상기 다른 프로세서와의 프로세서간 통신(IPC)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회로.
KR1019980028129A 1998-07-13 1998-07-13 다수의 트렁크 기능을 지원하는 디지털 트렁크회로 KR100264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129A KR100264866B1 (ko) 1998-07-13 1998-07-13 다수의 트렁크 기능을 지원하는 디지털 트렁크회로
GB9916340A GB2342804B (en) 1998-07-13 1999-07-13 Digital trunk circuit supporting multiple trunk circuits
US09/352,379 US6532240B1 (en) 1998-07-13 1999-07-13 Digital trunk circuit supporting multiple trunk circui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129A KR100264866B1 (ko) 1998-07-13 1998-07-13 다수의 트렁크 기능을 지원하는 디지털 트렁크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350A KR20000008350A (ko) 2000-02-07
KR100264866B1 true KR100264866B1 (ko) 2000-09-01

Family

ID=1954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129A KR100264866B1 (ko) 1998-07-13 1998-07-13 다수의 트렁크 기능을 지원하는 디지털 트렁크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32240B1 (ko)
KR (1) KR100264866B1 (ko)
GB (1) GB23428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1928A (ko) * 1998-12-24 2000-07-15 서평원 트렁크 카드
US7058075B1 (en) * 1999-06-15 2006-06-06 Cisco Technology, Inc. Self-configuring interface for communication protocols
KR100394739B1 (ko) * 1999-12-16 2003-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환기에서 에스티엠-1 정합 시스템
US7031378B1 (en) * 2000-06-23 2006-04-18 Globespan, Inc. Unified DSL transceiver
US6907267B2 (en) * 2001-01-26 2005-06-14 Adtran, Inc. Loop-powered T1 radio
KR100394017B1 (ko) * 2001-07-24 200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JP5292892B2 (ja) * 2008-03-31 2013-09-18 富士通株式会社 回線収容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9929972B2 (en) * 2011-12-16 2018-03-2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sending data via a plurality of data lines on a bus
CN114137868A (zh) * 2021-11-08 2022-03-04 苏州中科安源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数字e1硬件接口级联可配置的实现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28365C2 (de) 1981-07-17 1984-09-06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Schaltungsanordnung für zentralgesteuerte Fernmeldevermittlungsanlagen, insbesondere für Zeitmultiplex-Fernsprechvermittlungsanlagen, mit Informationsaustausch zwischen teilzentralen Einrichtungen über eine zentrale Einrichtung
EP0113884B1 (de) 1982-12-22 1988-07-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Fernmeldeanlage, insbesondere Fernsprechnebenstellenanlage, mit Teilnehmer- und Leitungsübertragungsgruppen und Schnittstellenbaugruppen
DE3425705A1 (de) 1984-07-12 1986-01-16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Phased-array-geraet
US5060227A (en) 1988-02-29 1991-10-22 Motorola, Inc. Digital telephone switch with simultaneous dual PCM format compatibility
KR920003364B1 (ko) 1988-12-24 1992-04-30 한국전기통신공사 이종신호변환방법 및 장치
US5526397A (en) 1992-04-20 1996-06-11 Hughes Electronics Switching transcoder
EP0656694A3 (en) 1993-11-30 1999-12-01 AT&T Corp. Equalizer with line length detection
US5812951A (en) 1994-11-23 1998-09-22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Wireles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US5623491A (en) * 1995-03-21 1997-04-22 Dsc Communications Corporation Device for adapting narrowband voice traffic of a local access network to allow transmission over a broadband asynchronous transfer mode network
US5740241A (en) 1995-05-12 1998-04-14 Carrier Access Corporation T1 channel bank control process and apparatus
US5799019A (en) 1995-06-28 1998-08-25 Hyundai Electronics Ind. Co., Ltd. Circuit for converting frame data
US5892768A (en) 1996-09-12 1999-04-06 Etherwan System, Inc. 10/100-base ethernet to T1/E1 HDSL converter and method of operation
US5910946A (en) * 1997-01-13 1999-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internet network architecture for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350A (ko) 2000-02-07
US6532240B1 (en) 2003-03-11
GB2342804B (en) 2000-11-29
GB9916340D0 (en) 1999-09-15
GB2342804A (en) 2000-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1631A (en) N+K sparing in a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environment
KR100264866B1 (ko) 다수의 트렁크 기능을 지원하는 디지털 트렁크회로
US20080291907A1 (en) Data-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with a Reduced Outage Risk
JPH0630112A (ja) ディジタルチャネル接続確立方法
JPH06268689A (ja) Lan間通信システム
US5825779A (en) PBX networking with quality of service control
US56967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low speed access links to a high speed time multiplexed switch fabric
JPH06350695A (ja) 通信システム及び回線カード
EP1471698A2 (en) Network fabric access device with multiple system side interfaces
EP1014735A2 (en) Common channel signaling with a network of distributed signal transfer points
EP0210798B1 (en) Programmable data-routing multiplexer
JPH0670352A (ja) デジタル・ループ・キャリア・システムにおいて回線を転送する方法および装置
AU628503B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xchanges
US61011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ossconnecting transmission members in the outside distribution plant of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A1242263A (en) Switching system with video switching matrix
US57870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a plurality of terminal equipments to the ISDN
US5612954A (en) Time switch system
JPH05316149A (ja) ディジタル電子構内交換機
US768003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 balancing and protecting data traffic in an optical ring
EP0616482A2 (en) A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a linecard
GB2132446A (en) Telecommunication exchange system
EP0086518A2 (en) A binary switching element and a selector stage, a selector and selector system comprising binary switching elements
JPH02260996A (ja) Isdn端末アダプタ
EP0411742A2 (en) Message switching arrangements
CA2385355A1 (en) Communication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