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090B1 - 리모콘 수신신호 판별장치 - Google Patents

리모콘 수신신호 판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090B1
KR100264090B1 KR1019990030715A KR19990030715A KR100264090B1 KR 100264090 B1 KR100264090 B1 KR 100264090B1 KR 1019990030715 A KR1019990030715 A KR 1019990030715A KR 19990030715 A KR19990030715 A KR 19990030715A KR 100264090 B1 KR100264090 B1 KR 100264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imer
output
control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3638A (ko
Inventor
권성대
Original Assignee
권성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성대 filed Critical 권성대
Priority to KR1019990030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4090B1/ko
Publication of KR19990083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리모콘 송신장치에서 서로 타이밍이 다르게 키를 조작하여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부에서는 이를 판독하여 제어할 대상 전기 제품의 종류를 판단하고 해당 제품을 제어하도록 한 리모콘 수신신호 판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리모콘 송신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증폭한 후 검파하여 정형파로 출력하는 수신신호 감지부와;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에서 수신신호가 출력되면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 신호를 발생하는 온 타이머와; 상기 온 타이머의 동작 파형에서 오프 시간을 체크하는 오프 타이머와; 상기 온 타이머 및 오프 타이머에서 각각 출력되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결과치로 제어 대상 제품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코딩하여 출력하는 신호 판단부와; 상기 신호 판단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상기 설정한 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출력 제어부로 리모콘 수신신호 판별장치를 구현함으로써, 하나의 리모컨의 동일 장소 내의 복수개의 전기 제품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모콘 수신신호 판별장치{SYSTEM FOR DISCRIMINATING SIGNALS RECEIVED FROM REMOTECONTROL}
본 발명은 리모콘 수신신호 판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리모콘 송신장치에서 서로 타이밍이 다르게 키를 조작하여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부에서는 이를 판독하여 제어할 대상 전기 제품의 종류를 판단하고 해당 제품을 제어하도록한 리모콘 수신신호 판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제품을 원격에서 조정하는 리모콘을 사용하여 전기 제품을 제어하는 경우, 제품 제조시 각 전기 제품에 대응하게 리모콘이 제조된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일 경우 그에 대응하는 리모콘이 제조되며, 각각의 텔레비전마다 리모콘도 그에 대응하는 개수로 제조된다.
즉, 하나의 전기 제품에 대하여 하나의 리모콘이 대응한다.
따라서 리모콘을 사용하는 전기 제품이 다수개일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리모콘도 필수적으로 부가되므로, 리모콘 사용이 불편하며, 분실 우려도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리모콘 사용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리모콘 송신장치에서 서로 타이밍이 다르게 키를 조작하여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부에서는 이를 판독하여 제어할 대상 전기 제품의 종류를 판단하고 해당 제품을 제어하도록 한 리모콘 수신신호 판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모콘 송신부에 구비된 송신키를 누르는 시간 및 반복해서 누르는 회수에 따라 수치화한 데이터가 서로 달라지도록 하고, 수신부에서는 수신신호를 수치화한 후 이를 판독하여 제어할 대상 제품을 설정한다. 그런 후 송신부에서 발생된 수신신호를 분석하여 제어 대상인 제품을 제어하게 된다. 즉, 같은 장소에 다수의 원격 조정이 가능한 전기 제품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리모콘을 이용하여 각각의 제품을 통합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리모콘 송신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증폭한 후 검파하여 정형파로 출력하는 수신신호 감지부와;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에서 수신신호가 출력되면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 신호를 발생하는 온 타이머와; 상기 온 타이머의 동작 파형에서 오프 시간을 체크하는 오프 타이머와; 상기 온 타이머 및 오프 타이머에서 각각 출력되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결과치로 제어 대상 제품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코딩하여 출력하는 신호 판단부와; 상기 신호 판단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상기 설정한 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출력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리모콘 수신신호 판별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신신호 감지부 2 : 온 타이머 3 : 오프 타이머
4 : 신호 판단부 5 : 출력 제어부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면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리모콘 수신신호 판별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 송신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증폭한 후 검파하여 정형파로 출력하는 수신신호 감지부(1)와;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1)에서 수신신호가 출력되면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 신호를 발생하는 온 타이머(2)와; 상기 온 타이머(2)의 동작 파형에서 오프 시간을 체크하는 오프 타이머(3)와; 상기 온 타이머(2) 및 오프 타이머(3)에서 각각 출력되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결과치로 제어 대상 제품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1)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코딩하여 출력하는 신호 판단부(4)와; 상기 신호 판단부(4)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상기 설정한 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출력 제어부(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리모콘 수신신호 판별장치는, 먼저 사용자가 임의의 제품을 제어하기 위해 리모콘 송신부내에 구비된 송신기를 조작하면, 수신신호 감지부(1)내의 감지기에서 리모콘에서 송신된 적외선 신호를 감지하고, 증폭기에서 이를 소정 레벨로 증폭한다. 그리고 검파기에서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검파한 후 정형파 출력기에서 파형을 정형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온 타이머(2) 및 신호 판독부(4)내의 데이터 판독기에 각각 전달한다. 이에 따라 온 타이머(2)는 상기 정형파 출력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셋업시간을 설정한다. 즉, 온 타이머(2)는 상기 정형파 출력기에서 정형파가 출력되면 셋업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리셋되는 타이밍으로 동작을 한다. 그리고 셋업된 상태에서 다시 신호가 입력되면 타이머 출력을 유지하는 동작을 한다. 도2에서 OD1,OD2는 상기 온 타이머(2)의 출력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오프 타이머(3)는 상기 온 타이머(2)의 출력 파형, 즉 OD1, OD2에서 오프되는 시간을 체크하고 그 결과치를 출력하는 동작을 한다. 이렇게 온 타이머(2) 및 오프 타이머(3)에서 각각 출력되는 신호는 신호 판독부(4)에 입력되고, 신호 판독부(4)는 각각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 및 비교하여 그 결과치로 제어할 제품의 설정을 설정하고, 해당 제어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를 도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2에서 ST는 리모콘 송신부에서 출력되는 송신 신호로써, 송신키를 누르는 시작점(A)과 키를 떼는 정지 또는 대기점(B)을 나타낸 것이다. 도2에서 IC는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1)에서 수신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정형파로 출력하는 타이밍을 나타낸 것이다. 도2에서 ID는 종래 리모콘의 송신신호 타이밍으로써, 시작점(A)에서 시작되어 250ms인(T2)이내에 한 문장이 끝나고, 상기 T2후에 리더신호가 나오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따라서 시작점(A)에서 정지점(B)까지의 도중에 데이터로 인해 파형이 단절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데, 본 발명에서는 온 타이머(2)를 이용하여 상기 셋업시간을 300ms로 설정하도록 하여 온, 오프, 신호가 연속적으로 발생토록 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해당 제품을 인식하도록 한다. 즉, 신호 판독부(4)내의 카운터는 상기 온 타이머(2)의 셋업시간을 카운팅하고, 그 결과치를 데이터 판독기 및 데이터 비교기에 입력시킨다. 아울러 타이밍 비교기는 상기 오프 타이머(3)의 출력 신호와 상기 온 타이머(2)의 출력시간을 비교하여 그 결과치를 출력하고, 지연기는 상기 타이밍 비교기의 출력을 일정 시간 지연시켜 출력하게 되며, 결과 선택기는 상기 지연기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데이터 비교기 및 컨트롤 제어기에 각각 입력한다. 상기 컨트롤 제어기는 상기 결과 선택기의 출력 신호에 따라 발진기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고, 동시에 컨트롤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발진기는 상기 컨트롤 제어기의 출력에 따라 발진을 하여 발진 주파수를 생성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는 상기 발진기에서 생성한 발진 주파수를 샘플링 주파수로 사용하여 상기 컨트롤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게 되고, 그 변환한 아날로그 신호를 후단인 출력 제어부(5)에 전달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판독기는 상기 카운터의 출력에 따라 제어할 대상 제품을 설정하고, 상기 정형파 출력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L2)를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치를 제어 데이터로 출력한다. 아울러 데이터 비교기는 상기 데이터 판독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운터와 상기 결과 선택기의 출력 신호를 비교하여 그 결과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디코더는 상기 데이터 비교기의 출력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출력 제어부에 전달한다. 또한, 엔코더는 상기 데이터 판독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엔코딩하여 상기 출력 제어부에 전달한다. 상기 출력 제어부(5)는 내부 데이터 제어기에서 상기 엔코더, 디코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서 각각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할 대상 제품(부하)을 제어하게 된다. 이 경우 출력 제어부(5)와 각각의 전기 제품(리모콘으로 제어되는 제품)는 서로 연결된 상태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리모콘 송신기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전기 제품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발생하는 다수의 리모콘 사용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리모콘만 관리하면 되므로 리모콘 분실 우려도 해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리모콘 신호 수신 장치에 있어서,
    리모콘 송신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증폭한 후 검파하여 정형파로 출력하는 수신신호 감지부(1)와;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1)에서 수신신호가 출력되면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 신호를 발생하는 온 타이머(2)와;
    상기 온 타이머(2)의 동작 파형에서 오프 시간을 체크하는 오프 타이머(3)와;
    상기 온 타이머(2) 및 오프 타이머(3)에서 각각 출력되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결과치로 제어 대상 제품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신호 감지부(1)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코딩하여 출력하는 신호 판단부(4)와;
    상기 신호 판단부(4)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상기 설정한 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출력 제어부(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수신신호 판별장치.
KR1019990030715A 1997-10-04 1999-07-27 리모콘 수신신호 판별장치 KR100264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715A KR100264090B1 (ko) 1997-10-04 1999-07-27 리모콘 수신신호 판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630 1997-10-04
KR1019990030715A KR100264090B1 (ko) 1997-10-04 1999-07-27 리모콘 수신신호 판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630 Division 1997-10-04 1997-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638A KR19990083638A (ko) 1999-11-25
KR100264090B1 true KR100264090B1 (ko) 2000-08-16

Family

ID=2663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715A KR100264090B1 (ko) 1997-10-04 1999-07-27 리모콘 수신신호 판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40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638A (ko)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8034208A1 (en) Communications system for remote control systems
KR100264090B1 (ko) 리모콘 수신신호 판별장치
KR0152481B1 (ko) 가정자동화 시스템에서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장치
KR19990051235A (ko) 범용 리모콘의 커스텀 코드 자동 설정 방법
KR950004418B1 (ko) 원격제어송수신방법
KR100195146B1 (ko) 리모콘 수신장치
KR19990008392U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프링쿨러의 작동장치 및 방법
ZA200807297B (en) Infrared ray data transmitting device having ID
KR20000005313U (ko) 자동 출력 레벨 제어가 가능한 리모콘 시스템
KR0117952Y1 (ko) Code변경이 가능한 원격조정기 수신회로
KR0147530B1 (ko) 리모콘 탐지장치
US73370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gital electronic products
KR100197375B1 (ko) 에이브이 기기의 원격제어용 수신기
KR0176830B1 (ko) 다수의 리모콘 신호 수신방법
KR970009451A (ko) 원격제어장치
JPH0870490A (ja) 赤外線ワイヤレスリモコン信号の受信方法
KR100498720B1 (ko) 리모콘을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KR19990011712A (ko) 가전기기의 리모콘 호출 장치 및 방법
KR940011500B1 (ko) Pc이용 원격제어수단 및 방법
KR100192051B1 (ko) 리모콘신호 디코딩방법
KR200286900Y1 (ko) 리모콘을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KR100334712B1 (ko) 주변잡음에 따른 메세지 수신 표시 방법
KR19990008393U (ko) 전화선을 이용한 보일러의 온도제어장치 및 방법
KR19990016316U (ko) 눌림감지 사운드 경보기능을 갖는 리모트콘트롤러
KR20000033714A (ko) 가전제품의 통합 인터페이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