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312B1 - 만능 리모콘 및 그것의 제어 주파수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만능 리모콘 및 그것의 제어 주파수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312B1
KR100263312B1 KR1019980023087A KR19980023087A KR100263312B1 KR 100263312 B1 KR100263312 B1 KR 100263312B1 KR 1019980023087 A KR1019980023087 A KR 1019980023087A KR 19980023087 A KR19980023087 A KR 19980023087A KR 100263312 B1 KR100263312 B1 KR 100263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ntrol
control frequency
code
device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6167A (ko
Inventor
오충기
Original Assignee
오충기
대영코퍼레이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충기, 대영코퍼레이션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충기
Priority to KR1019980023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312B1/ko
Publication of KR19990046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3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2Universal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만능 리모콘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기기 세트와 만능 리모콘 간의 제어 주파수의 설정을 해당 전자기기 세트 메이커의 ID 코드 입력으로 실행되도록 한 것으로, 매트릭스 구조의 키 패드와, 해당 제어 주파수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발진부 및 적외선 송신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의 내부 메모리에 전자기기 세트를 생산하는 각 메이커의 ID 코드와 메이커에서 생산되는 전자기기 세트의 주파수 코드가 그룹핑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전자기기 세트 제작 메이커의 ID 코드 입력을 통해 제어 주파수의 설정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어 사용에 편리성 및 신뢰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만능 리모콘 및 그것의 제어 주파수 설정방법
본 발명은 만능 리모콘(multi-purpose remote controll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기기 세트와 만능 리모콘 간의 제어 주파수의 설정을 해당 전자기기 세트 메이커의 ID 코드 입력으로 실행되도록 한 만능 리모콘의 제어 주파수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모콘은 텔레비젼이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 오디오, 에어콘, 유선방송 컨버터, 위성방송 컨버터, 선풍기 및 기타의 전자기기 세트를 원격지에서 제어 주파수의 무선 송신을 통해 각각의 전자기기 세트가 지니고 있는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 세트를 원격 제어하는 리모콘은 전자기기 세트를 생산하는 메이커와 전자기기 세트별로 타 기기의 오동작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각각의 전자기기 세트에는 대응하는 리모콘이 각각 구비되어진다.
따라서, 다수개의 전자기기 세트를 구비하여 사용하게 되는 경우 각각의 전자기기 세트를 원격 제어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전자기기 세트에 대응하는 리모콘을 통해 원하는 기능을 조작하여야 하므로 기능을 선택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복잡한 문제점이 파생되었다.
특히 사용자의 취급 부주의로 임의의 리모콘을 분실한 경우 해당하는 전자기기 세트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전자기기 세트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원하는 채널의 선국이나 전자기기 세트에 구비되어 있는 기타의 기능을 선택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이에 따라 다수개의 전자기기 세트를 하나의 리모콘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각각의 세트 제작 메이커와 제작 메이커에서 생산하는 각각의 전자기기 세트에 대하여 제어 주파수 코드가 설정되어 있는 만능 리모콘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만능 리모콘과 임의의 세트 제작 메이커에서 생산한 임의의 전자기기 세트 간에 제어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탐색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즉, 임의의 세트 제작 메이커에서 생산한 임의의 전자기기 세트와 만능 리모콘 간의 제어 주파수를 탐색하여 설정하기 위하여 만능 리모콘에 설정되어 있는 제어 주파수 코드를 처음부터 끝까지 추출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기기 세트와 매칭되는 것이 검출될 때까지 반복적인 동작을 반복해야 한다.
만약, 만약 만능 리모콘에 대략 300개 정도의 제어 주파수 코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 임의의 세트 제작 메이커에서 생산한 임의의 전자기기 세트의 제어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300번 이상의 주파수 탐색 동작을 거쳐야 사용자는 전자기기 세트에 적합한 원격 제어 주파수 코드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국내 삼성전자에서 생산한 20인치 텔레비젼 세트와 만능 리모콘 간의 제어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만능 리모콘에 설정되어 무수한 제어 주파수 코드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텔레비젼 세트와 매칭될 때까지 반복적인 동작을 실행하여야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만능 리모콘은 임의의 전자기기 세트와 제어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제어 주파수 코드 탐색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행하여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반복적인 동작으로 인하여 엄청난 인내심이 요구되며, 확률적으로 낮은 성공률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만능 리모콘의 기능을 충분하게 숙지하지 못한 노약자나 어린이의 경우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정상적으로 선택하지 못하여 만능 리모콘의 사용에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만능 리모콘의 제어수단에 전자기기 세트를 생산하는 각 메이커에 대한 ID 코드를 설정하고, 메이커에서 생산하는 전자기기 세트 각각에 대한 제어 주파수 코드를 메이커의 ID 코드와 그룹핑하여 설정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임의의 전자기기 세트 메이커에서 생산한 임의의 전자기기 세트에 대한 제어 주파수를 설정하고 할 때 ID 코드와 해당 전자기기 세트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서 그룹핑된 제어 주파수 내에서의 탐색으로 만능 리코콘과 해당 전자기기 세트간의 제어 주파수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능 리모콘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만능 리모콘의 제어 주파수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모콘에 있어서, 매트릭스 구조의 키 패드와, 해당 제어 주파수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발진부 및 적외선 송신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의 내부 메모리에 전자기기 세트를 생산하는 각 메이커의 ID 코드와 메이커에서 생산되는 전자기기 세트의 주파수 코드가 그룹핑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조의 만능 리모콘은 키패드로부터 검출되는 키 입력이 임의의 전자기기 세트 제어 주파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제어 주파수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가 아니면 제어 주파수가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전자기기 세트의 원격 제어를 위한 요구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제어 주파수를 출력하고, 제어 주파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로 판단되면 제어 주파수 설정 모드로 진입한 다음 제어 주파수를 설정하고자 하는 전자기기 세트 종류를 선택하는 신호를 검출하며, 임의의 전자기기 세트 종류에 대한 선택 신호가 검출되면 해당 전자기기 세트 제작 메이커에 대한 ID 코드의 입력을 검출한다.
세트 제작 메이커의 ID 코드 입력이 검출되면 제어수단에 그룹핑된 전자기기 세트 제작 메이커의 해당 전자기기 세트 제어 주파수를 판독한 다음 임의의 키 선택에 따라 판독된 제어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해당 전자기기 세트의 반응에 따라 설정키의 입력이 검출되면 최종 출력된 제어 주파수 코드를 제어 주파수로 설정하며, 제어 주파수 설정모드로 진입한 이후 일정시간 동안 해당 전자기기 세트 종류를 선택하는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거나 제어 주파수 설정이 요구되는 전자기기 세트 종류의 선택 신호가 검출된 후 일정시간 해당 전자기기 세트의 제작 메이커에 대한 ID 코드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설정 모드를 종료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리모콘은, X축과 Y축이 교차되는 매트릭스로 이루어지며, 교차되는 임의의 접점이 선택될시 전압강하에 의한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키 패드(10)와, 전반적인 프로그램이 설정되며, 상기 키 패드(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하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측에 소정의 클럭신호를 인가하여 안정된 동작을 유지시키는 발진부(30)와, 전해 콘덴서인 제1콘덴서(C1)와 세라믹 콘덴서인 제2콘덴서(C2)로 이루어져 배터리의 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백업 전원을 유지하고, 전원공급원인 배터리(BA)의 전압 및 전류를 안정되게 처리하여 각각의 부하에 공급하는 전원부(50)와, 상기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소정 대역의 주파수를 발생시켜 송출하는 주파수 송신부(40)와, 상기 키 패드(10)의 임의의 버튼 선택과 상기 제어부(20)의 주파수 발생시 점등되어 동작상태를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지시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키 패드(10)에는 텐 키(0-9)와, 전원 선택키, 채널 업/다운키, 음량 업/다운키, 설정키, 소리줄임키, 이전 채널 복귀키, 전체 전자기기의 전원 제어를 위한 메크로 키, 각종 전자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키 및 소정의 기능키가 구비된다.
상기에서 제어부(20)는 내부의 메모리 수단에 전자기기 세트를 생산하는 각 메이커의 ID 코드가 설정되며, 메이커에서 생산되는 각 전자기기 세트를 제어하는 주파수 코드가 전자기기 세트의 종류별로 메이커 ID와 그룹핑되어 저장된다.
상기에서 적외선 송신부(40)는 상기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를 조정하는 저항(R2)과, 상기 저항(R2)을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TR)와, 상기 트랜지스터(TR)의 콜렉터 단자에 연결되어 트랜지스터(TR)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발광하는 LED1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만능 리모콘에서 임의의 전자기기 세트 제어 주파수 설정에 대한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 수납수단인 전원부(50)의 동작 전원이 각각의 부하에 공급되고 발진부(30)의 클럭이 제어부(20)에 공급되고 있는 전원 온의 상태에서 제어부(20)는 키 패드(10)로 부터 키 신호의 입력을 대기한다(스텝101).
이때, 키 패드(10)를 구성하고 있는 매트릭스의 임의의 접점으로 키 선택신호를 검출되면 제어부(20)는 입력되는 키 선택신호가 임의의 전자기기 세트의 제어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한 주파수 설정요구 신호인지를 판단한다(스텝102).
상기에서 검출되는 키 선택신호가 세트의 제어 주파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가 아니면 제어부(20)는 제어 주파수가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전자기기 세트의 기능을 선택하고자 하는 신호로 판단하여(스텝103) 주파수 송신부(40)를 통해 선택된 기능에 해당하는 제어 주파수를 송신한다(스텝104).
상기 스텝102에서 검출되는 키 선택신호가 세트의 제어 주파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이면 제어부(20)는 설정된 운용 알고리즘에 따라 제어 주파수 설정모드로 진입한 다음(스텝105) 키 패드(10)로 부터 제어 주파수 설정이 요구되는 전자기기 세트가 선택되는지를 검출한다(스텝106).
상기에서 제어 주파수 요구가 설정되는 전자기기 세트가 검출되면 세트 제작 메이커에 대한 ID 코드의 입력을 대기하며(스텝107), 세트 제작 메이커에 대한 ID 코드의 입력이 검출되면 제어부(20)는 내부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세트 메이커의 제어 주파수 그룹을 판독한 다음(스텝109) 키 입력에 따라 판독된 그룹별 제어 주파수를 주파수 송신부(40)를 통해 순차적으로 송출한다(스텝110).
상기와 같이 판독된 그룹별 제어 주파수의 송출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전자기기 세트의 반응이 사용자에게 검출되어(스텝111), 키 패드부(10)로 부터 설정 키 신호의 입력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스텝112).
상기에서 설정 키 신호의 입력이 검출되면 만능 리모콘의 제어부(20)는 현재 최종적으로 송출된 제어 주파수 코드를 해당 전자기기 세트의 제어 주파수 코드로 선택하여 설정한다(스텝113).
상기 스텝105에서 제어 주파수 설정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어 주파수 설정을 요구하는 세트의 선택신호가 검출되지 않거나, 상기 스텝 108에서 일정시간 이내에 전자기기 세트 제작 메이커의 ID 코드 입력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또는 전자기기 세트의 반응이 사용자의 육안으로 검출된 이후 일정시간 이내에 설정키 신호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제어부(20)는 현재의 모드를 종료한 다음 대기 모드로 진입한다.
일 예를 들어 만능 리모콘의 제어부(20) 내부 메모리수단에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전자기기 세트 제작 메이커의 ID 코드와 메이커에서 생산되는 각 전자기기 세트별 제어 주파수 코드가 설정되어 있다면 가정한 상태에서 제어 주파수의 설정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 1.
세트 메이커 메이커 ID TV VCR CATV/SAT
해태전자 2130 321 **** ****
삼성전자 2131 01031,01121,02421,12031,12111 01442,02002,03402,00232,01422 01113,01323,01413,02233,03103
엘지전자 2211 01331,02231,03031,10331 00402,01342,02142 00333,00433,01443,02023
대우전자 2142 10221,10321,11131,12231 00242,01012,02312,02332,02442 00213,00223
히타치 2133 00431,01321,02231,03311,04021 02302,02322 01312,04231
소니 2122 01231,01431,11301 00202,01442,03232,03302 01423,02003,02043,02103
샤프 2240 04011,04341,11101,12441,01431 04102,01142,04243,01342 02302,02304,02315,02343
사용자가 만능 리모콘을 이용하여 삼성전자에서 생산한 VCR 세트의 임의의 기종에 대하여 제어 주파수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VCR 세트의 원래 리모콘 또는 세트에 구비되어 있는 전원 버튼을 통해 시스템의 전원을 온 상태로 형성한다.
이후, 일예를 들어 만능 리모콘의 전원 버튼과 뮤트(mute) 버튼을 구동하게 되면 일정 시간 대략 2초 후 지시수단인 LED가 점등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어 주파수를 설정하고자 하는 전자기기 세트 예를 들어 VCR 버튼을 구동하게 되면 버튼의 구동에 따라 VCR 버튼이 점등되어 지며 제어수단은 해당 전자기기 세트, 예를들어 VCR의 생산 메이커의 ID 코드 입력을 대기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의 표 1과 같이 설정되어 있는 테이블 목록을 참조하여 삼성전자에 대한 메이커 ID 코드 "2131"를 입력하여 되면 제어수단은 삼성전자의 VCR 그룹에 설정되어 있는 제어 주파수 코드를 "1442" ,"2002", "3402", "232", "1422"을 판독한 다음 지시수단인 LED를 1회 점멸한다.
상기에서 제어수단은 메모리수단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비정상적인 메이커의 ID가 입력되면 지시수단을 2회 이상 점멸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한다.
상기와 제어 주파수를 설정하고자 하는 전자기기 세트, 예를들어 VCR의 메이커 ID 입력으로 해당 그룹의 제어 주파수 코드가 판독된 상태에서 제어수단은 전원키의 입력이 검출될 때마다 상기 판독된 제어 주파수 코드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통해 제어 주파수 코드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상태에서 해당 전자기기 세트의 반응이 사용자의 육안에 검출되면 사용자는 설정키의 입력을 통해 최종 출력된 제어 주파수 코드를 설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만능 리모콘의 메모리 수단에 전자기기 세트 제작 메이커의 ID 코드와 메이커에서 생산하는 전자기기 세트의 제어 주파수 코드를 그룹핑으로 설정하므로, 전자기기 세트 제작 메이커의 ID 코드 입력을 통해 제어 주파수의 설정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어 사용에 편리성 및 신뢰성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상태가 지시되도록 하여 사용에 신미감을 제공한다.

Claims (2)

  1. 리모콘에 있어서, 매트릭스 구조의 키 패드와, 해당 제어 주파수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발진부 및 적외선 송신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의 내부 메모리에 전자기기 세트를 생산하는 각 메이커의 ID 코드와 메이커에서 생산되는 전자기기 세트의 주파수 코드가 그룹핑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리모콘.
  2. 키패드로부터 검출되는 키 입력이 임의의 전자기기 세트 제어 주파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제어 주파수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가 아니면 제어 주파수가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전자기기 세트의 원격 제어를 위한 요구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제어 주파수를 출력하고, 제어 주파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로 판단되면 제어 주파수 설정 모드로 진입한 다음 제어 주파수를 설정하고자 하는 전자기기 세트 종류를 선택하는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과;
    임의의 전자기기 세트 종류에 대한 선택 신호가 검출되면 해당 전자기기 세트 제작 메이커에 대한 ID 코드의 입력을 검출하는 과정과;
    세트 제작 메이커의 ID 코드 입력이 검출되면 제어수단에 그룹핑된 전자기기 세트 제작 메이커의 해당 전자기기 세트 제어 주파수를 판독한 다음 임의의 키 선택에 따라 판독된 제어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과정과;
    해당 전자기기 세트의 반응에 따라 설정키의 입력이 검출되면 최종 출력된 제어 주파수 코드를 제어 주파수로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과정에서 제어 주파수 설정모드로 진입한 이후 일정시간 동안 해당 전자기기 세트 종류를 선택하는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거나 제어 주파수 설정이 요구되는 전자기기 세트 종류의 선택 신호가 검출된 후 일정시간 해당 전자기기 세트의 제작 메이커에 대한 ID 코드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설정 모드를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리모콘의 제어 주파수 설정방법.
KR1019980023087A 1998-06-19 1998-06-19 만능 리모콘 및 그것의 제어 주파수 설정방법 KR100263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087A KR100263312B1 (ko) 1998-06-19 1998-06-19 만능 리모콘 및 그것의 제어 주파수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087A KR100263312B1 (ko) 1998-06-19 1998-06-19 만능 리모콘 및 그것의 제어 주파수 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167A KR19990046167A (ko) 1999-07-05
KR100263312B1 true KR100263312B1 (ko) 2000-08-01

Family

ID=19540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087A KR100263312B1 (ko) 1998-06-19 1998-06-19 만능 리모콘 및 그것의 제어 주파수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3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118B1 (ko) * 2001-10-12 2008-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파를 이용한 송/수신장치
KR100441605B1 (ko) * 2001-10-17 2004-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원격제어가능한 전자기기, 전자기기의원격제어시스템 및 전자기기의 원격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167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2852B2 (en) Remote control device with appliance power awareness
US7274303B2 (en) Power strip with control and monitoring functionality
US5481256A (en) Direct entry remote control with channel scan
US200401695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ppliance power awareness to select a remote control command set
KR100450251B1 (ko) 만능 리모콘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KR100263312B1 (ko) 만능 리모콘 및 그것의 제어 주파수 설정방법
KR100218895B1 (ko) 다기능 리모콘의 전자기기 제어방법
US20020130802A1 (en) Combination high frequency circuit/infrared transmission circuit
KR20010033243A (ko) 원격 제어 장치 코드 탐색 방법 및 장치
KR19990051235A (ko) 범용 리모콘의 커스텀 코드 자동 설정 방법
KR200264802Y1 (ko) 만능 리모콘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제어주파수 코드 데이터 다운로드 장치
KR200270871Y1 (ko) 만능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주파수 코드 데이터다운로드 장치
KR100301554B1 (ko) 통합리모트컨트롤러의리모콘키데이터세팅방법
KR970005234Y1 (ko) 오디오기기의 원격제어장치
KR100205816B1 (ko) 키패드 입력수단을 갖는 리모콘 송/수신 시스템과 패드입력 처리방법
JP2563553Y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送信機
JPH07177585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1352493A (ja) 選局装置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KR20030093920A (ko) 리모콘의 제어 주파수 검색 설정장치 및 방법
KR100584415B1 (ko) 원격조정코드수용장치및방법
KR0133883Y1 (ko) 멀티미디어 텔레비젼
KR100564793B1 (ko)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방법
KR20000051733A (ko) 제조회사 선택기능을 갖는 리모콘
JPH0521583U (ja)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KR19990009262U (ko)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리모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