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2959B1 -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2959B1
KR100262959B1 KR1019980015024A KR19980015024A KR100262959B1 KR 100262959 B1 KR100262959 B1 KR 100262959B1 KR 1019980015024 A KR1019980015024 A KR 1019980015024A KR 19980015024 A KR19980015024 A KR 19980015024A KR 100262959 B1 KR100262959 B1 KR 100262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existing
new
letter
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1218A (ko
Inventor
김성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15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2959B1/ko
Publication of KR19990081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9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에서 자막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를 화면에 자연스럽게 표시하도록 하는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은,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를 지정하는 제1 단계와,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에 기존문자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기존문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새로운 문자가 전자인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새로운 문자가 전자인 경우, 기존문자가 전자인지를 판단하는 제4 단계와, 기존문자가 전자인 경우, 상기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가 기존문자의 선단부와 일치하는 경우, 기존문자를 새로운 문자로 대체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은 화면상에서 새로운 문자와 기존문자가 겹쳐서 화면상에 문자의 일부분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면상에 문자를 자연스럽게 표시하게 된다.

Description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Method for Character Fold Writing Control of Hangul Caption Broadcasting)
본 발명은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에서 자막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를 화면에 자연스럽게 표시하도록 하는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텔레비전(TeleVision ; 이하 "TV"라 함)의 뉴스속보, 일기예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TV이 전파 틈사이에 삽입 전송하여 TV 수상기의 화면상에서 정보를 텍스터의 페이지 또는 화상으로 표시하여 청각장애인의 복지증진 및 교육에 활용하기 위한 부가서비스(즉, 자막방송)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자막방송의 일례로서 영문자막 방송은 FCC규격에 따르며, 문자의 크기는 영문자와 숫자 등의 크기를 다르게 표시해야 하므로, 전자(Full-Width Character) 및 반자(Half-Width Character)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또한, 한글자막방송에서는 한행에 전자(Full-Width Character) 20자, 반자(Half-Width Character) 40자를 표시할수 있으며, 전자 및 반자의 혼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자 및 반자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전자(Full-Width Character)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문자가 차지하는 넓이가 2열의 문자로서, 모든 한글의 표시에 적용된다. 또한, 반자(Half-Width Character)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넓이가 1열인 문자로서, 영문자, 투명글자, 숫자 등에 표시에 적용된다. 이때, 투명글자는 화면상에 투명하게 표시되는 빈자(Space)로서 KSC-5601 코드표 사용자영역의 13행 1열에 위치하며 전송되는 문자코드는 특정값(예를들면, 2D21h)을 가지며 반자로 처리된다. 이로인해, 수신기에서는 전자(Full-Width Character)를 수신하면, 정상적인 크기를 갖는 문자로 화면에 표시하고 반자(Half-Width Character)를 수신하면, 전자의 절반크기를 갖는 문자로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문자 표시에 있어서는 전자와 반자의 문자크기가 서로 다름에 기인하여 화면상의 문자가 겹쳐서 표시될수 있다. 일례로서, 전자위에 반자를 겹쳐 쓰거나, 반자위에 전자를 겹쳐 쓰게되면, 기존에 표시되어 있던 전자문자의 절반은 표시되고 절반은 표시되지 않게된다. 제1도를 참조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가나다"라는 문자가 모두 전자(Full-Width Character)로 표시되어 있을 때 "나"의 뒷부분에 "A"라는 반자(Full-Width Character)를 겹쳐쓰면 "나"의 앞부분만 표시되므로 화면상에는 "가ㄴA다"로 표시된다. 반면에 "나"의 뒷부분에 "라"라는 전자(Full-Width Character)를 겹쳐쓰면 "나"의 앞부분과 "다"의 뒷부분만 표시되므로 화면상에는 "가ㄴ라ㅏ"로 표시되어 사용자의 혼란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도출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막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를 화면에 자연스럽게 표시하도록 하는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표시 제어방법을 제공 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문자의 겹쳐쓰기 예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의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튜너부 20 : 동기신호분리부
30 : 필드검출부 40 : 라인계수부
50 : 클록런검출부 60 : 제어부
70, 90 : 선택스위치 80 : 데이터검출부
100 : 제2자막복호부 110 : 제1 자막복호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은,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를 지정하는 제1 단계와,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에 기존문자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기존문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새로운 문자가 전자인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새로운 문자가 전자인 경우, 기존문자가 전자인지를 판단하는 제4 단계와, 기존문자가 전자인 경우, 상기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가 기존문자의 선단부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5 단계와,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가 기존문자의 선단부와 일치하는 경우, 기존문자를 새로운 문자로 대체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제2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 하기로 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의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를 수신하여 새로운 문자의 표시 위치를 지정한다.(제1 단계) 상기 데이터는 문자코드와 제어코드를 갖는 자막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때, 문자코드는 실제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를 나타내는 코드이고, 제어코드는 실제 화면에 직접 표시되지 않고 자막의 모드, 표시방법, 위치 속성 등을 제어하는 코드이다. 여기에서 위치에 대응하는 특정의 값(예를들면, 1D30h)을 가지게 된다. 또한, 화면에는 자막이 표시되는 10행 40열의 표시영역(Display Area)이 존재하에 되며, 화면상의 표시영역에는 위치지정 제어코드 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가 지정된다.
새로운 문자가 표시될 위치에 기존문자의 존재여부를 판단한다.(제2 단계)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에는 현재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자막 데이터를 저장하는 표시 메모리(Display Memory)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자막 데이터의 존재여부에 따라 기존문자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표시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자막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상기 새로운 문자가 표시될 위치에 기존문자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자막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지정 제어코드값이 현재 표시될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와 동일할 경우 표시될 새로운 문자의 위치에 기존문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자막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지정 제어코드값이 표시될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와 동일할 경우 표시될 새로운 문자의 위치에 기존문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자막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지정 제어코드값이 표시될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와 다를 경우 표시될 새로운 문자의 위치에 기존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기존문자가 존재할 경우, 새로운 문자가 전자인가를 판단한다.(제3 단계) 새로운 문자가 표시될 위치에 기존문자가 존재하는 경우, 새로운 문자가 전자 인지를 상기 수신된 자막 데이터에 포함된 전자 제어코드(예를들면, 1D30h)의 존재 여부에 따라 판단하게 된다. 예를들어, 새로운 문자의 앞부분에 전자 제어코드가 존재하면 현재 표시될 새로운 문자는 전자로 판단되며, 현재 표시될 새로운 문자의 앞부분에 전자 제어코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운 문자는 반자로 판단된다.
상기 새로운 문자가 전자인 경우, 기존문자가 전자인가를 판단한다.(제4 단계) 상기 새로운 문자가 전자인 경우에는 기존문자가 전자인지를 표시메모리에 저장된 자막 데이터를 참조하여 판단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자막 데이터중 기존문자의 앞부분에 전자 제어코드(예를들면, 1D30h)가 존재하면 상기 기존문자는 전자로 판단되며, 기존문자의 앞부분에 전자 제어코드(예를들면, 1D30h)가 존재하면 상기 기존문자는 전자로 판단되며, 기존문자의 앞부분에 전자 제어코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기존문자는 반자로 판단된다.
상기 새로운 문자 및 기존문자가 전자인 경우,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가 기존문자의 선단부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한다.(제5 단계) 기존문자 및 새로운 문자가 전자로 판단된 경우,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와 기존문자의 선단부의 위치가 일치하는 지를 표시메모리의 자막데이터와 수신된 자막 데이트(즉, 제1 단계에서 수신된 자막 데이터)를 참조하여 판단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표시 메모리에 저장된 자막 데이터와 수신된 자막 데이터(즉, 제1단계에서 수신된 자막 데이터)에서 각각의 위치지정 제어코드값을 비교하여 기존문자의 선단부와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가 동일한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전저(Full-Width Character)는 화면상에 2자리를 표시되며 첫번째 자리를 선단부라 하며 두 번째 자리를 후단부라 한다.
상기 새로운 문자 및 기존문자가 전자이고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와 기존문자의 선단부가 일치하는 경우, 기존문자를 새로운 문자로 대체한다.(제6 단계) 상기 새로운 문자 및 기존문자가 전자이고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와 기존문자의 선단부가 일치하는 경우, 화면상에 기존문자에 해당하는 위치에 새로운 문자를 겹쳐 쓰기(Over Write)하여 기존문자를 새로운 문자로 대체한다.
상기 새로운 문자 및 기존문자가 전자이고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가 기존문자의 전단부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가 전자인가를 판단한다.(제7 단계) 상기 새로운 문자 및 기존문자가 전자이고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가 기존문자의 전단부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가 전자인지를 표시메모리에 저정된 자막 데이터를 참조하여 판단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자막 데이터중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의 앞부분에 전자 제어코드(예를들면, 1D30h)가 존재하면 상기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는 전자로 판단되며, 반면에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의 앞부분에 전자 제어코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는 반자로 판단된다.
상기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가 전자인 경우, 기존문자의 선단부 및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의 후단부를 공백으로 대체하고 기존문자의 후단부 및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의 선단부를 새로운 문자로 대체한다.(제8 단계) 상기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가 전자로 판단된 경우에 기존문자의 후단부와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가 전자로 판단된 경우에 기존문자의 후단부와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의 선단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새로운 문자를 겹쳐쓰기(Over Write)하여 새로운 문자로 대체한다. 또한, 기존문자의 선단부 및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의 후단부는 공백으로 대체하게 된다. 이로인해, 화면상에서 문자의 겹쳐쓰기에 의해 문자의 일부분만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가 반자인 경우, 기존문자의 선단부를 공백으로 대체하고 기존문자의 후단부 및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를 새로운 문자로 대체한다.(제9 단계) 상기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가 반자로 판단된 경우에 기존문자의 후단부 및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에 해당하는 위치에 새로운 문자를 겹쳐쓰기(Over Write)하여 새로운 문자로 대체한다. 또한, 기존문자의 선단부를 공백으로 대체한다. 이로인해, 화면상에서 문자의 겹쳐쓰기에 의해 문자의 일부분만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기존문자가 반자인 경우,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가 반자인가를 판단한다.(제10 단계) 상기 새로운 문자가 전자이고 기존문자가 반자로 판단된 경우,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가 반자 또는 전자인지를 표시메모리에 저정된 자막 데이터를 참조하여 판단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의 앞부분에 전자 제어코드가 존재하면 상기 기존문자의 다음문자는 전자로 판단되며, 반면에 기존문자에 뒤이은 다음문자의 앞부분(즉, 기존문자와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사이의 부분)에 전자 제어코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기존문자의 다음문자는 반자로 판단된다.
상기 기존문자가 반자인 경우,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가 반자인가를 판단한다.(제10 단계) 상기 새로운 문자가 전자이고 기존문자가 반자로 판단된 경우,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가 반자 또는 전자인지를 표시메모리에 저장된 자막 데이터를 참조하여 판단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의 앞부분에 전자 제어코드가 존재하면 상기 기존문자의 다음문자는 전자로 판단되며, 반면에 기존문자에 뒤이은 다음문자의 앞부분(즉, 기존문자와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사이의 부분)에 전자 제어코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기존문자의 다음 문자는 반자로 판단된다.
상기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가 반자가 아닌 경우, 기존문자와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의 선단부를 새로운 문자로 대체한후,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의 후단부를 공백으로 대체한다.(제11 단계) 상기 새로운 문자 및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가 전자이고 기존문자가 반자로 판단될 경우, 기존 문자 및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 선단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새로운 문자를 겹쳐쓰기(Over Write)하여 새로운 문자로 대체한다. 또한, 새로운 문자의 뒷부분(즉,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의 후단부)을 공백으로 대체한다. 이때,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는 전자로 판단되며, 전자는 화면상에 2자리를 차지하게 되며 첫 번째 자리를 선단부라 하고 두 번째 자리를 후단부라 한다. 이로인해, 화면상에서 문자의 겹쳐쓰기에 의해 문자의 일부분만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가 반자인 경우, 상기 기존문자와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를 새로운 문자로 대체한다.(제12단계) 상기 새로운 문자는 전자이고 기존문자 및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가 반자로 판단될 경우, 기존문자 및 기존문자에 뒤이은 문자에 해당하는 위치에 새로운 문자를 겹쳐쓰기(Over Write)하여 새로운 문자로 대체된다.
상기 새로운 문자가 반자인 경우, 기존문자가 전자인가를 판단한다.(제13 단계) 상기 새로운 문자가 반자로 판단된 경우에는 기존문자가 전자 또는 반자인지를 표시메로리에 저장된 자막 데이터를 참조하여 판단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자막 데이터중 기존문자의 앞부분에 전자 제어코드(예를들면, 1D30h)가 존재하면 상기 기존문자는 전자로 판단되며, 반면에 기존문자의 앞부분에 전자 제어코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기존문자가 반자로 판단된다.
상기 새로운 문자가 반자이고 기존문자가 전자인 경우, 기존문자의 선단부를 새로운 문자로 대체한후, 기존문자의 후단부를 공백으로 대체한다.(제14 단계) 상기 새로운 문자가 반자이고, 기존문자가 전자로 판단된 경우, 기존문자의 선단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새로운 문자를 겹쳐쓰기(Over Write)하여 새로운 문자로 대체하고 기존문자의 후단부를 공백으로 대체한다.
상기 새로운 문자가 반자이고 기존문자가 반자인 경우, 기존문자를 새로운 문자로 대체한다.(제15 단계) 상기 새로운 문자가 반자이고 기존문자가 반자로 판단된 경우, 기존문자에 해당하는 위치에 새로운 문자를 겹쳐쓰기(Over Write)하여 새로운 문자로 대체한다.
상기 새로운 문자를 표시할 위치에 기존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표시할 위치에 새로운 문자를 기록한다.(제16 단계) 표시메모리에 자막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존문자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화면상의 표시위치에 새로운 문자를 표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새로운 문자와 기존문자를 비교하여 기존문자와 표시할 문자의 크기가 다른경우에 강제로 공백을 추가하여 화면상에서 새로운 문자와 기존의 문자가 겹쳐서 화면상에서 문자의 일부분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인해, 화면상에 글자체가 자연스럽게 표시되어진다.
제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글자막방송 수신기는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추출하는 동기신호 분리부(20)와, 방송신호의 필드를 검출하는 필드검출부(30)와, 수직동기신호를 입력받아 방송신호의 필드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60)와, 짝수필드이 방송신호에 포함된 자막신호를 해석하는 제2 자막복호부(100), 제어신호에 의해 방송신호를 제1 자막복호부(110)와 제2 자막복호부(100)를 선택하여 인가하는 선택스위치(90)를 구비한다. 안테나(120)는 방송국에서 송출된 방송신호를 수신받고 튜너부(10)는 그 방송신호의 채널을 선국하여 CVBS신호로 변환한다. 동기신호분리부(20)는 튜너부(10)에서 출력된 CVBS신호에서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추출한다.
필드검출부(30)는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수신된 방송신호의 영상필드가 짝수필드인지 홀수필드인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60)는 수직동기신호를 입력받아 필드검출부(30)에서 검출된 방송신호의 필드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1 자막복호부(110)는 짝수필드의 방송신호에 포함된 자막신호를 해석하여 자막데이터로 복호하고 제2 자막복호부(100)는 홀수필드이 방송신호에 포함된 자막신호를 해석하여 자막데이터로 복호한다. 이때, 라인계수부(40)는 한라인의 수평동기신호가 끝날때까지 제어부(60)가 선택스위치(90)를 제어하도록 현재 방송신호의 수평동기신호를 계수한다. 즉, 한 라인에 포함된 자막신호가 모두 해석되는 시점을 라인계수부(40)가 검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선택스위치(90)는 제어부(6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짝수 필드의 영상신호가 수신되면 제1 자막복호부(110)에 의해 방송신호의 자막신호가 해석되도록 방송신호의 자막데이터를 제1 자막복호부(110)에 입력하고 홀수필드이 영상신호가 수신되면 제2 자막복호부(100)에 의해 방송신호의 자막데이터가 해석되도록 방송신호의 자막데이터를 제2 자막복호부(100)에 입력한다.
EIA-608 자막방송 잠정표준안에 따르면, 자막데이터는 각 필드의 21번째 라인의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있다. 즉, 제1 자막복호부(110)는 짝수필드의 방송신호의 21번째 라인에 포함된 자막데이터를 해석하고 제2 자막복호부(100)는 홀수필드의 방송신호의 21번째 라인에 포함된 자막데이터를 해석한다.
또, 본 발명의 제어부(60)는 클록런 검출부(50)에 의해 방송신호의 클록런(Clock Run) 신호가 검출되면 현재 수신된 방송신호에 자막신호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하여 데이터 검출부(80)가 방송신호에 포함된 자막신호를 추출하도록 스위칭부(70)를 제어한다.
EIA-608-A, FCC 92-157, 그리고 한국 텔레비젼 자막방송 표준안에 따르면 한글자막은 짝수필드의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전송되고 영문자막은 홀수필드의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즉, 본 발명의 제1 자막복호부(110)는 자막데이터를 한글로 복호하여 출력하고 제2 자막복호부(100)는 자막데이터를 영문으로 복원하여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은, 새로운 문자와 기존문자를 비교하여 기존문자와 새로운 문자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 강제로 공백을 추가하여 화면상에서 새로운 문자와 기존문자가 겹쳐서 화면상에서 문자의 일부분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면상에 문자의 일부분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면상에 문자를 자연스럽게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 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1)

  1.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를 지정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에 기존문자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기존문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새로운 문자가 전자인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새로운 문자가 전자인 경우, 기존문자가 전자인지를 판단하는 제4 단계와,
    상기 기존문자가 전자인 경우, 상기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가 기존문자의 선단부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가 기존문자의 선단부와 일치하는 경우, 기존문자를 새로운 문자로 대체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가 기존문자의 선단부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존문자의 다음문자가 전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기존문자의 다음문자가 전자인 경우, 기존문자의 후단부 및 기존문자의 다음문자의 선단부를 새로운 문자로 대체함과 아울러, 기존문자의 선단부 및 기존 문자의 다음문자의 후단부를 공백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문자의 다음문자가 전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기존문자의 다음문자가 전자가 아닌 경우, 기존문자의 후단부 및 기존 문자의 다음문자를 새로운 문자로 대체함과 아울러 기존문자의 선단부를 공백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기존문자가 전자가 아닌 경우, 상기 기존문자의 다음문자가 반자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기존문자가 반자인 경우, 기존문자 및 기존문자의 다음문자를 새로운 문자로 대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문자의 다음문자가 반자인가를 판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기존문자의 다음문자가 반자가 아닌 경우, 기존문자 및 기존문자의 다음문자 선단부를 새로운 문자로 대체함과 아울러, 기존문자의 다음문자 후단부를 공백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새로운 문자가 전자가 아닌 경우, 기존문자가 전자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기존문자가 전자인 경우, 기존문자의 선단부를 새로운 문자로 대체함과 아울러, 기존문자의 후단부를 공백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문자가 전자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에 있어서,
    기존문자가 전자가 아니 경우, 기존문자를 새로운 문자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새로운 문자를 표시할 위치에 기존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새로운 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문자코드와 제어코드를 갖는 자막 데이터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문자의 표시위치가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지정 제어코드에 의해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문자를 표시할 위치에 기존문자의 존재여부를 표시메모리에 저장된 자막 데이터를 참조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
KR1019980015024A 1998-04-27 1998-04-27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 KR100262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024A KR100262959B1 (ko) 1998-04-27 1998-04-27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024A KR100262959B1 (ko) 1998-04-27 1998-04-27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218A KR19990081218A (ko) 1999-11-15
KR100262959B1 true KR100262959B1 (ko) 2000-08-01

Family

ID=19536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5024A KR100262959B1 (ko) 1998-04-27 1998-04-27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29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94479B (zh) * 2008-05-30 2013-01-02 新奥特(北京)视频技术有限公司 一种超长字幕数据处理的系统
CN101594477B (zh) * 2008-05-30 2013-02-20 新奥特(北京)视频技术有限公司 一种超长字幕渲染的处理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94479B (zh) * 2008-05-30 2013-01-02 新奥特(北京)视频技术有限公司 一种超长字幕数据处理的系统
CN101594477B (zh) * 2008-05-30 2013-02-20 新奥特(北京)视频技术有限公司 一种超长字幕渲染的处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218A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5093B1 (en) Closed-caption broadcas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suitable for syllable characters
US5963265A (en) Closed-caption broadcas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suitable for syllable characters
US6256072B1 (en) Closed-caption broadcas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suitable for syllable characters
KR970078600A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표시의 소프트 스크롤방법
KR100262959B1 (ko)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 겹쳐쓰기 제어방법
KR20010001725A (ko) 자막 그래픽 신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0169230B1 (ko) 듀얼 대사자막 전송기능을 갖는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방법
KR100232954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의 팝온표시방법
KR19980020291A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 표시 위치 이동방법
KR100285759B1 (ko) 한글자막방송수신기의문자표시제어방법
KR100292358B1 (ko) 자막 신호의 제한적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0181894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의 부가정보 전송방법 및 아이콘 표시방법
KR100188277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신호의 부채널 언어판별방법
KR100188276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신호의 부채널 언어판별 표시방법
KR100194213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수신시 제어코드 유효판정방법
KR100188274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표시의 스크롤방법
KR100188272B1 (ko) 세로쓰기의 열/행간격 조정기능을 갖는 시청자 선택형 자막 표시방법
KR20010001729A (ko) 완성형 문자 코드를 조합형 폰트 메모리를 이용하여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KR100233529B1 (ko) Xds의 특정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JP5160879B2 (ja) 放送受信装置
KR100206147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방법 및 수신방법
KR100206146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방법 및 수신방법
KR100206115B1 (ko) 시청자 선택형 부가정보 화면 표시 일시정지 방법
KR10061822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188279B1 (ko) 듀얼 대사자막 전송기능을 갖는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수신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