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752B1 - 그룹별 음성 등록 및 인식이 가능한 휴대용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그룹별 음성 등록 및 인식이 가능한 휴대용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752B1
KR100260752B1 KR1019980018609A KR19980018609A KR100260752B1 KR 100260752 B1 KR100260752 B1 KR 100260752B1 KR 1019980018609 A KR1019980018609 A KR 1019980018609A KR 19980018609 A KR19980018609 A KR 19980018609A KR 100260752 B1 KR100260752 B1 KR 100260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group
registration
voice recogni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5915A (ko
Inventor
김덕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8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752B1/ko
Publication of KR19990085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7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그룹별 음성 등록 및 인식이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 및 그 제어에 관한 기술이다.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그룹별 음성 등록 및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메모리상에 그룹분류표를 구비하며, 상기 그룹분류표에는 특성데이터를 저장하여 소정의 음성을 등록하기 위한 단위등록영역을 다수 개 가지는 음성등록부분과 미리 설정된 다수의 그룹 분류 정보 및 각 그룹 분류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음성등록부분에서 해당 그룹의 시작 주소를 저장한다.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는 음성 등록 혹은 인식모드에서 임의의 입력 음성에 대한 사용자의 그룹 선택이 감지되면 상기 그룹분류표에서 상기 선택된 그룹의 시작 주소를 읽어 음성인식부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음성인식부로 하여금 상기 선택된 그룹을 대상으로 등록 혹은 인식 처리를 실행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그룹별 음성 등록 및 인식이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음성인식기능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룹별로 음성 등록 및 인식이 가능하도록 한 휴대용 전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성인식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에서는 사용자가 키를 입력하지 않고 말만하면 해당 전화번호부 찾기나 다이얼링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는 메모리에 미리 해당 음성을 등록해두어야 한다. 상기 등록이란 그 음성의 특성(feature)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음성에 대한 인식 과정에 따르면, 메모리에서 등록 음성들의 특성데이터를 읽어 입력 음성으로부터 추출한 특성데이터와 비교해보아서 유사한 것이 찾아지면 인식에 성공한 것으로 간주한다. 그런데 이러한 비교를 할 때 항상 등록 음성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순차적인 비교 작업이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등록 음성의 개수가 많아지면 그만큼 특성데이터의 개수도 많아지므로 검색 시간이 길고 전력 소비도 많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잘못 인식할 확률이 높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인식에 소요되는 시간 및 전력 소모를 줄이고 인식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도록 그룹별 음성 등록 및 인식이 가능하게 한 휴대용 전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음성을 패킷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부호화기와, 상기 패킷데이터로부터 상기 음성에 대한 특성데이터를 추출하는 음성인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특성데이터를 저장하여 소정의 음성을 등록하기 위한 단위등록영역을 다수 개 가지는 음성등록부분과, 미리 설정된 다수의 그룹 분류 정보 및 각 그룹 분류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음성등록부분에서 해당 그룹의 시작 주소를 저장하는 그룹분류표로 이루어진 메모리와; 음성 등록 혹은 인식 모드에서 임의의 입력 음성에 대한 사용자의 그룹 선택을 감지하면 상기 메모리의 그룹분류표에서 상기 선택된 그룹의 시작 주소를 읽어 상기 음성인식부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음성인식부로 하여금 바로 상기 선택된 그룹을 대상으로 등록 혹은 인식 처리를 실행하게 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음성인식기능을 갖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의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인식기능을 갖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음성 등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음성 인식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음성인식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음성 자체를 입력하고, 그 입력된 음성신호로부터 주파수 특성과 같은 여러 가지 특징(feature)을 추출하는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음성인식기능을 갖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RF(radio frequency)부와 DTMF(dual tone multu frequency)부 등 본 발명의 요지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마이크 30을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analog to digital: 이하 A/D라 함.)변환부 20을 거쳐 디지털 형태의 펄스코드변조(Pulse Code Modulation: 이하 PCM이라 함.)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PCM신호는 음성부호화기 45에 전달되고, 상기 음성부호화기(vocoder) 45는 상기 PCM신호를 압축하여 패킷(packet)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음성부호화기 45로는 예를 들어 CDMA방식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인 경우 8K QCELP, GSM방식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인 경우 RELP-LTP(Residually Excitated Linear Prediction - Long-Term Prediction)방식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성부호화기 45에서 출력되는 패킷데이터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50으로 전달된다. 제1메모리 60은 비휘발성메모리[예: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이이피롬(EEPROM)]로서,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초기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2메모리 80은 램(RAM)으로서,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동작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음성인식부 85는 임의의 음성에 대한 특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특성데이터는 초당 20바이트(byte)로 이루어지며, 주파수 특성, 신호의 크기, 크기 변화의 함수 등이다. 상기 음성인식부 85는 하드웨어적 혹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부 85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것이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부가되지 않고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가 이미 구비하고 있던 상기 제1메모리 6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50는 공지의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다음과 같은 음성인식제어 동작을 한다. 우선, 음성부호화기 45에서 출력되는 패킷데이터를 상기 음성인식부 85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부 85에서 출력되는 특성데이터(에 관한 인덱스 정보) 및 그 차이값에 따른 인식의 결과로서 소정의 동작(예: 다이얼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50는 사용자의 음성이 상기 음성부호화기 45에서 패킷데이터화 한 후 제1메모리 60의 특정 영역에 저장되면 그 영역의 어드레스를 상기 음성부호화기 45로부터 전달받아 기억해둔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상기 음성의 인식 완료를 알릴 때 제1메모리 60의 상기 어드레스로부터 해당 패킷데이터를 읽어내어 사용한다. 이렇게 읽혀진 음성데이터를 이해 및 설명의 편의상, 이하 재생(playback)음성데이터라 한다. 상기 음성부호화기 45는 상기 재생데이터를 PCM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아날로그(digital to analog: 이하 D/A라 함.)변환부 75로 전달한다. 상기 D/A변환부 75로 입력된 PCM신호는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된 다음, 스피커 80을 통해 증폭되어 가청음으로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재생음성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음성 인식 완료를 알리는 안내메시지를 별도로 만들어 저장해놓을 수도 있다. 핸즈프리킷 연결부 500은 공지의 핸즈프리킷과 단말기의 연결 및 그때 핸즈프리킷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된 음성을 상기 A/D변환부 20을 통해 디지털화하여 음성부호화기 45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키입력부 55는 각종 모드의 설정, 다이알링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를 가진다. 비퍼 90은 음성 인식의 성공 혹은 실패 여부를 알리기 위한 것이고, 플립 상태 감지부 95는 플립의 열린 혹은 닫힌 상태에 따라 음성인식모드의 설정 혹은 해제를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메모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A)는 그룹분류표로서, 미리 설정한 다수의 그룹 분류 정보[제1그룹∼제N그룹]와, 해당 그룹에 속하는 임의의 특성데이터들이 저장될(된) 일련의 단위등록영역들 중 첫 번째 단위등록영역의 시작 주소[본 실시 예에서는 간접 주소인 인덱스(index) 정보]를 저장한다.
(B)는 특성데이터를 저장하여 소정의 음성을 등록하기 위한 단위등록영역을 다수 개 가지는 음성등록부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각 단위등록영역에 두 개의 특성데이터(F1, F2), 재생음성데이터(VP) 및 전화번호(Tel)를 저장한다.
도시한 바에 따르면, 제1그룹에 속하는 인덱스들은 X+1개로 Index_1(0)∼Index_1(X)이 그것이다. 상기 제1그룹에 속하는 단위등록영역들 중 첫 번째 단위등록영역의 인덱스는 Index_1(0)인 바, 그룹분류표의 제1그룹에 대응되는 시작 주소 영역에는 상기 Index_1(0)이 저장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인식기능을 갖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음성 등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사용자가 자신이 전화를 자주 거는 사람의 이름을 음성으로 등록한다고 가정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어떤 이름을 말하기에 앞서 대기상태인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특정 키를 입력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 50은 1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음성인식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110단계에서 소정 키의 입력을 검사하거나 기타 다른 상태 변화를 검사함으로써 사용자가 등록을 원하는지, 즉 등록모드의 설정을 원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등록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120단계에서 제1메모리 60의 해당 영역으로부터 이름 요구 안내메시지(예: "이름을 입력해주십시오.")를 읽어 음성부호화기 45에 전달한다. 이렇게 되면 D/A변환부 75와 스피커 80을 통해 상기 이름 요구 안내메시지가 출력된다. 이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마이크 30으로 이름을 입력하게 되면 이 이름에 해당하는 음성은 A/D변환부 20을 거쳐 PCM신호의 형태로 음성부호화기 45에 전달되고, 상기 음성부호화기 45는 상기 PCM신호를 부호화하여 패킷데이터를 발생한다. 이에 마이크로프로세서 50은 130단계에서 상기 음성부호화기 45로부터 패킷데이터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입력되는 패킷데이터가 있으면, 140단계에서 이를 음성인식부 85로 전달하고 그 처리를 요구한다. 그리고 150단계에서 상기 음성인식부 85로부터 해당 음성에 대한 특성데이터의 검출 완료를 알리는 정보가 수신되는지 검사하여 수신이 확인되면, 15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그룹 선택 데이터를 입력한다. 이때 만일 사용자가 제1군을 선택했다고 가정하면, 160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50은 제1메모리 60의 그룹분류표를 액세스하여 제1그룹에 대응되는 인덱스 시작 주소를 읽는다. 이후 170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50은 상기 인덱스 시작 주소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그룹에 포함된 인덱스들 중 특성데이터를 저장할 빈(empty)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는 상기 제1그룹에 미리 할당된 특성데이터 총 저장 영역 중 현재까지 할당된 어드레스를 계산해보면 알 수 있다. 이때 저장할 영역이 있다고 판단되면 도 3b의 180단계로 진행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180단계에서 제1메모리 60의 해당 영역으로부터 이름 요구 안내메시지(예: "이름을 입력해주십시오.")를 다시 한번 읽어 음성부호화기 45에 전달한다. 이렇게 되면 D/A변환부 75와 스피커 80을 통해 상기 이름 요구 안내메시지가 출력된다. 이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마이크 30으로 이름을 다시 입력하게 되면 이 이름에 해당하는 음성은 A/D변환부 20을 거쳐 PCM신호의 형태로 음성부호화기 45에 전달되고, 상기 음성부호화기 45는 상기 PCM신호를 부호화하여 패킷데이터를 발생한다. 이에 마이크로프로세서 50은 190단계에서 상기 음성부호화기 45로부터 패킷데이터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입력되는 패킷데이터가 있으면, 200단계에서 이를 음성인식부 85로 전달하고, 처음 전달받은 데이터와의 비교를 요구한다. 이후 210단계에서 음성인식부 85로부터 비교 결과가 수신되는지 체크한다. 상기 비교결과가 비슷한 것으로 확인되면 230단계로 진행하여 그 비슷한 두 특성데이터(F1, F2)를 전술한 170단계에서 찾아낸 비어 있는 영역에 저장하도록 상기 음성인식부 85에 요구한다. 이상으로써 임의의 한 이름(예: 홍길동)을 특정한 그룹(제1그룹)에 등록한 것이다.
240단계에서는 상기 이름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저장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화번호의 입력을 위해 숫자 키를 사용하는 것으로 했으나, 음성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이름 등록 과정과 마찬가지의 등록 과정을 거쳐 숫자 키 데이터들이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전화번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250단계에서 전술한 130단계에서 음성부호화기로부터 입력한 패킷데이터를 상기 등록한 이름에 대한 재생음성데이터로서 저장한다.
260단계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50은 제1메모리 60의 해당 영역으로부터 등록완료 안내메시지(예: "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를 읽어 음성부호화기 45에 전달한다. 이렇게 되면 D/A변환부 75와 스피커 80을 통해 상기 등록완료 안내메시지가 출력된다. 상기 등록완료 안내메시지의 출력 후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는 다시 대기상태로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음성 인식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사용자가 전화를 걸기 위해 예를 들어 어떤 이름을 말한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어떤 이름을 말하기에 앞서 대기상태인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특정 키를 입력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 50은 4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음성인식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420단계에서 소정 키의 입력을 체크하거나 기타 다른 상태 변화를 체크함으로써 사용자가 등록 혹은 인식중 어느 것을 원하는지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인식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430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여 음성부호화기 45에서 출력하는 패킷데이터가 입력되는지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입력되는 패킷데이터가 있으면, 440단계에서 이를 음성인식부 85로 전달한다. 이후 450단계에서 상기 음성인식부 85에 의한 입력 음성 특성데이터 추출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입력 음성 특성데이터 추출이 완료되었으면 460단계에서 특정 그룹이 디폴트(default)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만일 특정 그룹이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530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선택 안내를 제어한다. 상기 안내는 사용자로 하여금 탐색을 원하는 그룹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표시부를 통해 가시적인 문자메시지의 형태로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메시지의 형태로 출력한다. 이후 54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그룹 선택 정보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그룹 선택 정보 입력은 키 스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능(키) 음성 인식이 가능한 경우에는 음성으로도 가능하다. 그룹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550단계에서 그룹분류표로부터 상기 선택된 그룹의 시작주소를 읽는다. 반면에, 상기 460단계에서 특정 그룹이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47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그룹분류표로부터 그 특정 그룹의 시작주소를 읽는다.
상기와 같이 특정 혹은 선택된 시작주소를 읽은 다음에는, 480단계에서 음성인식부 85에 상기 시작주소를 전달하고 해당 그룹 내에서의 탐색을 요구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음성인식부 85에서는 상기 시작주소를 이용하여 메모리(음성등록부분)상에서 해당 그룹의 시작 위치를 직접 찾아 갈 수 있으며, 그 그룹에 포함된 일련의 단위등록영역들에 저장된 특성데이터들을 대상으로 입력 음성으로부터 추출한 특성데이터와 유사한 것이 있는지 찾아내기 위한 비교를 한다.
490단계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50은 음성인식부 85로부터 유사한 특성데이터에 관한 인덱스 정보와 차이값이 입력되는지 체크한다. 상기 유사한 특성데이터란 이미 등록되어 있는 특성데이터들 중 현재 입력 음성의 특성데이터와 유사한 특성데이터를 의미한다. 상기 차이값은 그 두 특성데이터의 차이에 해당하는 값이다. 만일 유사한 특성데이터에 관한 인덱스 정보와 차이값이 입력되면 500단계에서 상기 차이값이 미리 정한 임계치 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임계치보다 작으면 해당 인식이 올바른 것(성공)으로 판단하고 510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인덱스 정보를 가지는 단위등록영역에서 재생음성데이터를 읽어 송출하고, 520단계에서 상기 단위등록영역에서 전화번호를 읽어 DTMF발생부(도시하지 않음.)에 전달해 다이얼링 되도록 한다.
반면에 상기 차이값이 상기 임계치보다 크면 해당 인식이 옳지 않은 것(실패)으로 간주하고 530단계로 진행하여 미등록 음성임을 알리는 음성안내메시지를 제1메모리 60으로부터 읽어 음성부호화기 45로 전달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음성부호화기 45는 상기 제1메모리 60으로부터 읽어낸 메시지를 처리하여 D/A변환부 75로 전달하게 되고, 상기 메시지는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되어 스피커 80을 통해 가청 상태로 출력된다.
상기 490단계에서 특성데이터 인덱스 및 차이값의 쌍은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신뢰도 측면을 고려한 것이고 최종적인 선택은 그들 중 차이값이 가장 작은 것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어떤 음성을 특정 그룹으로 분류하여 등록해놓음으로써 음성 인식을 특정 그룹 단위로 실시할 수 있어서 검색 시간 및 전력 소비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친구들의 이름을 하나의 그룹에 등록하고 사업상 지인들의 이름을 다른 하나의 그룹에 등록하며 친척들의 이름을 또 다른 그룹에 등록하여 음성 인식 전화번호부를 구현한다고 가정하면, 설혹 어떤 이름이 상기 세 그룹에 모두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그들 중에서 인식을 위한 탐색 대상이 되는 그룹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잘못 인식할 확률을 낮추는 장점도 있다.

Claims (8)

  1. 소정의 음성을 패킷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부호화기와, 상기 패킷데이터로부터 상기 음성에 대한 특성데이터를 추출하는 음성인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특성데이터를 저장하여 소정의 음성을 등록하기 위한 단위등록영역을 다수 개 가지는 음성등록부분과, 미리 설정된 다수의 그룹 분류 정보 및 각 그룹 분류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음성등록부분에서 해당 그룹의 시작 주소를 저장하는 그룹분류표로 이루어진 메모리와,
    음성 등록 혹은 인식 모드에서 임의의 입력 음성에 대한 사용자의 그룹 선택을 감지하면 상기 메모리의 그룹분류표에서 상기 선택된 그룹의 시작 주소를 읽어 상기 음성인식부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음성인식부로 하여금 바로 상기 선택된 그룹을 대상으로 등록 혹은 인식 처리를 실행하게 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등록부분의 각 단위등록영역은 간접 주소로서 소정의 인덱스 정보를 가지며,
    상기 그룹분류표의 각 그룹 분류 정보는 해당 그룹에 등록되는 음성들이 각각 저장될 단위등록영역들 중 첫 번째 단위등록영역이 갖는 인덱스 정보와 짝을 이루어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등록영역이 등록된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영역들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4. 제1항 혹은 제2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등록영역이 등록된 음성에 대응되는 패킷 형태의 재생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등록영역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특성데이터가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6. 음성등록부분 및 그룹분류표를 갖는 메모리와 음성인식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의 음성인식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기상태에서 음성인식모드로 전환하는 제1과정과,
    상기 음성인식모드로의 전환후 등록 작업의 선택을 감지하는 제2과정과,
    등록 작업 선택 감지후 소정의 입력 음성을 부호화한 패킷데이터가 입력되면 이를 상기 음성인식부로 전달하고, 이후 상기 음성인식부로부터 상기 패킷데이터로부터 추출한 특성데이터를 수신하는 제3과정과,
    상기 특성데이터 수신후 그룹 선택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그룹분류표에서 해당 그룹 시작주소를 읽는 제4과정과,
    상기 그룹 시작주소에 의거 상기 음성등록부분에서 해당 그룹에 직접 액세스하고, 그 그룹중 빈 영역을 찾아 상기 상기 입력 음성으로부터 추출한 특성데이터를 저장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별 음성 등록 방법.
  7. 음성등록부분 및 그룹분류표를 갖는 메모리와 음성인식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에서 음성인식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기상태에서 음성인식모드로 전환하는 제1과정과,
    상기 음성인식모드로의 전환후 인식 작업의 선택을 감지하는 제2과정과,
    인식 작업 선택 감지후 소정의 입력 음성을 부호화한 패킷데이터가 입력되면 이를 음성인식부로 전달하고, 이후 상기 음성인식부로부터 상기 패킷데이터로부터 추출한 특성데이터를 수신하는 제3과정과,
    상기 특성데이터 수신후 그룹 선택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그룹분류표에서 해당 그룹 시작주소를 읽어 상기 음성인식부에 전달하여 상기 음성인식부로 하여금 상기 그룹 시작주소에 의거 해당 그룹에 직접 액세스해서 그 그룹에 등록된 음성들의 특성데이터 중 상기 입력 음성으로부터 추출한 특성데이터와 유사한 것이 있는지 체크하게 하는 제4과정과,
    상기 음성인식부로부터 유사한 특성데이터의 존재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인식 성공으로 판단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별 음성 인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에서 인식 성공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해당 등록 음성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읽어 다이알링을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18609A 1998-05-22 1998-05-22 그룹별 음성 등록 및 인식이 가능한 휴대용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260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609A KR100260752B1 (ko) 1998-05-22 1998-05-22 그룹별 음성 등록 및 인식이 가능한 휴대용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609A KR100260752B1 (ko) 1998-05-22 1998-05-22 그룹별 음성 등록 및 인식이 가능한 휴대용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915A KR19990085915A (ko) 1999-12-15
KR100260752B1 true KR100260752B1 (ko) 2000-07-01

Family

ID=19537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609A KR100260752B1 (ko) 1998-05-22 1998-05-22 그룹별 음성 등록 및 인식이 가능한 휴대용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075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915A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2873B1 (ko) 음성인식처리용 메모리를 가지는 휴대용 전화기
KR100277105B1 (ko) 음성 인식 데이터 결정 장치 및 방법
US7143043B1 (en) Constrained keyboard disambiguation using voice recognition
EP2383963B1 (en) Processing of telephone numbers in audio streams
KR100241901B1 (ko) 핸드셋과 핸즈프리킷 공용 음성인식기의 등록 엔트리 관리방법
US114773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telephone numbers in a portable terminal
US67887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return service
US20050154587A1 (en) Voice enabled phone book interface for speaker dependent name recognition and phone number categorization
US20020131563A1 (en) Telephone numb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KR100247009B1 (ko) 기능모드의음성인식이가능한디지털휴대용전화기및그인식방법
KR100260752B1 (ko) 그룹별 음성 등록 및 인식이 가능한 휴대용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40015353A1 (en) Voice recognition key input wireless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KR100264852B1 (ko) 디지털휴대용전화기의음성인식장치및방법
CN111274828A (zh) 基于留言的语言翻译方法、系统、计算机程序和手持终端
KR100291002B1 (ko) 음성인식디지털휴대용전화기에서통화종료및재다이얼링방법
KR20000018942A (ko) 음성인식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폰북 검색 방법
KR100251714B1 (ko) 음성인식기능을갖는디지털휴대용전화기의등록음성재생및다이얼링방법
KR20000003371A (ko) 휴대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 시 전화번호 표시장치 및 방법
KR19990011026A (ko) 음성인식기능을 갖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음성 등록 및 삭제 방법
KR20060063420A (ko) 휴대단말기에서의 음성인식방법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JP2000261537A (ja) ダイヤルメモリ検索装置
KR19990060315A (ko) 전화번호 음성 입력에 의한 음성다이얼링 방법
KR100277066B1 (ko) 음성인식기능을가지는통신단말기에서기능음성제어방법
KR20030030691A (ko) 음성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통신 단말기 및 음성 다이얼링방법
JP2002290536A (ja) 携帯端末での電話番号登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