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9974B1 -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Google Patents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974B1
KR100259974B1 KR1019970013515A KR19970013515A KR100259974B1 KR 100259974 B1 KR100259974 B1 KR 100259974B1 KR 1019970013515 A KR1019970013515 A KR 1019970013515A KR 19970013515 A KR19970013515 A KR 19970013515A KR 100259974 B1 KR100259974 B1 KR 100259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lock signal
auto refresh
internal clock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5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76697A (en
Inventor
신충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3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974B1/en
Publication of KR19980076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66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9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Management or control of the refreshing or charge-regeneration cycles
    • G11C11/40611External triggering or timing of internal or partially internal refresh operations, e.g. auto-refresh or CAS-before-RAS triggered refresh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6Input/output [I/O] data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e.g. reading or writing circuits, I/O drivers or bit-line switches 

Abstract

PURPOSE: A synchronous memory device is provided to reduce the current amount dissipated during auto refresh operation. CONSTITUTION: The device includes a memory cell array(100), the first device(200), the second device(300) and a control circuit(400). The memory cell array(100) stores predetermined information. The first device(200) generates an internal signal synchronized with an outer clock signal which is implied from outside. The second device(300) detects whether a column address strobe signal, a row address strobe signal and the outer signal are in activated at the same time to generates an auto refresh signal which is set active during the auto refresh operation synchronized with the internal clock signal. The first device is inactivated during the auto refresh signal generated at the second signal is activated and is activated during the auto refresh signal generated at the second signal is inactivated to generate the internal clock signal. The control circuit(400) controls the peripheral circuits(500) which operate memory cell array manipulation synchronized by the internal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device.

Description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외부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hat operates in synchronization with an external clock signal.

도 1 및 도 2는 종래 독출 및 기입 동작시의 타이밍도 및 오토 리프레쉬 동작시의 타이밍도를 각각 보여준다. 신호 (clk)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외부 클럭 신호이고, 신호 (pclk)는 외부 클럭 신호(clk)에 동기된 내부 클럭 신호이다. 신호

Figure kpo00001
는 행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row address stobe signal)이고, 신호
Figure kpo00002
는 열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column address stobe signal)이며, 신호(W)는 기입 동작, 독출 동작, 그리고 프리 챠아지 동작시 활성화되는 신호이다.1 and 2 show timing charts of conventional read and write operations and timing charts of auto refresh operations, respectively. The signal clk is an external clock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signal pclk is an internal clock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external clock signal clk. signal
Figure kpo00001
Is a row address strobe signal and the signal
Figure kpo00002
Is a column address strobe signal, and signal W is a signal that is activated during a write operation, a read operation, and a precharge operation.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 특히 동기형 다이나믹 랜던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이하 동기형 디램이라 칭함) 장치는 외부 클럭 신호(clk)에 동기되어 내부 클럭 신호(pclk)를 발생하는 클럭 버퍼 회로를 이용하여 내부 회로들을 외부 클럭 신호(clk)에 동기시키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행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Figure kpo00003
가 활성화된 후 다시 활성화되는 구간 동안에 열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Figure kpo00004
가 활성화됨에 따라 독출 또는 기입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토 리프레쉬 동작은 행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Figure kpo00005
, 열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Figure kpo00006
, 그리고 신호 (W)가 동시에 활성화될 때 오토 리플레쉬 동작을 알리는 신호 (prfh)이 활성화되는 동안 이루어진다.A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 particular a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ynchronous DRAM) device, is a clock buffer circuit that generates an internal clock signal pclk in synchronization with an external clock signal clk. Synchronize the internal circuits to the external clock signal clk. As shown in Figure 1, the row address strobe signal
Figure kpo00003
Address strobe signal during the interval in which is activated and then activated again
Figure kpo00004
As is activated, a read or write operation is performed. And, as shown in Figure 2, the auto refresh operation is a row address strobe signal
Figure kpo00005
Column address strobe signal
Figure kpo00006
And while the signal prfh indicating the auto refresh operation is activated when the signal W is simultaneously activated.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독출 동작, 기입 동작, 그리고 오토 리프레쉬 동작 동안에 내부 클럭 신호(pclk)가 계속해서 토글하게 된다. 독출 및 기입 동작 구간에서는 독출 및 기입 동작을 외부 클럭 신호(clk)에 동기시켜 제어하기 위해서 내부 클럭 신호(pclk)가 계속해서 토글해야만 한다. 하지만, 오토 리프레쉬 동작구간에서는 신호 (prfh)가 활성화된 후에는 외부 클럭 신호(clk)에 동기되어 제어되는 동작이 없기 때문에 이 구간 동안 내부 클럭 신호는 필요치 않게 된다.1 and 2, the internal clock signal pclk continues to toggle during the read operation, the write operation, and the auto refresh operation. In the read and write operation period, the internal clock signal pclk must be continuously toggled in order to control the read and write operation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external clock signal clk. However, in the auto refresh operation section, since no operation is controll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external clock signal clk after the signal prfh is activated, the internal clock signal is not necessary during this period.

이와 같이, 오토 리프레쉬 동작 동안 계속해서 내부 클럭 신호(pclk)가 발생됨에 따라 전류가 소모되며 이러한 전류는 외부 클럭 주파수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오토 리프레쉬 동작시 불필요한 전류가 소모되며 그것의 양은 고주파 시스템에서 더욱 커지게 된다.As such, current is consumed as the internal clock signal pclk is continuously generated during the auto refresh operation, and the current i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external clock frequency. Therefore, unnecessary current is consumed during the auto refresh operation, and the amount thereof becomes larger in the high frequency system.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토 리프레쉬 동작시 소모되는 전류의 양을 줄일 수 있는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during an auto refresh operation.

제1도는 종래 독출 및 기입 동작시의 타이밍도;1 is a timing diagram of a conventional read and write operation;

제2도는 종래 오토 리프레쉬 동작시의 타이밍도;2 is a timing diagram of a conventional auto refresh operation;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a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상세 회로도;4A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FIG. 3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b도는 내부 클럭 신호를 칩 내의 다른 회로들로 공급하기 위한 신호 배선을 보여주는 배선도;4B is a wiring diagram showing signal wiring for supplying an internal clock signal to other circuits in a chip;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출 및 기입 동작시의 타이밍도 및;5 is a timing diagram during read and write oper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리프레쉬 동작시의 타이밍도이다.6 is a timing diagram during auto refresh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0 : 셀 어레이 200 : 클럭 버퍼 회로100: cell array 200: clock buffer circuit

300 : 오토 리프레쉬 신호 발생 회로 400 : 제어 회로300: auto refresh signal generating circuit 400: control circuit

500 : 메모리 셀에 관련된 회로 블럭500: circuit block associated with the memory cell

상술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특징에 의하면,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셀 어레이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외부 클럭 신호에 동기되는 내부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제 1 수단과; 행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열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및 외부 신호가 동시에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내부 클럭 신호에 동기되며 오토 리프레쉬 동작 동안 활성화되는 오토 리프레쉬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수단과; 상기 제 1 수단은 상기 제 2 수단에 의해서 발생된 상기 오토 리프레쉬 신호가 활성화되는 동안 비활성화되고 상기 오토 리프레쉬 신호가 비활성화될 때 활성화되어 상기 내부 클럭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제 1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내부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에 관련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주변 회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emory cell array for stor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First means for generating an internal clock signal synchronized with an external clock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Second means for detecting whether a row address strobe signal, a column address strobe signal, and an external signal are simultaneously activated to generate an auto refresh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internal clock signal and activated during an auto refresh operation; The first means is deactivated while the auto refresh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means is activated and is activated when the auto refresh signal is deactivated to generate the internal clock signal; And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peripheral circuits that perform an operation related to the memory cell array in synchronization with the internal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means.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단은, 상기 내부 클럭 신호와 상기 오토 리프레쉬 신호를 코딩하기 위한 위한 디코딩 수단과; 상기 디코딩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 수단과; 상기 지연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내부 클럭 신호를 구동하기 위한 출력 구동 수단으로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means comprises: decoding means for coding the internal clock signal and the auto refresh signal; Delay means for delaying a signal output from said decoding mean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 signal output from the delay means as an output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internal clock signal.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신호는 적어도 오토 리프레쉬 동작 동안에 활성화된다.In this embodiment, the external signal is activated at least during the auto refresh operation.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수단은, 상기 제 2 수단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며, 직렬로 연결되는 홀수 개의 인버터들로 이루어진 제 1 인버터열과; 상기 인버터열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일 입력 단자 및, 상기 외부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타입력 단자를 갖는 제 1 낸드 게이트와; 상기 제 1 낸드 게이트의 출력을 반전시키기 위한 제 1 인버터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said decoding means comprises: a first inverter string comprising an odd number of inverters connected in series with an output terminal of said second means; A first NAND gate having one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string and a type force terminal to which the external clock signal is applied; And a first inverter for inverting the output of the first NAND gate.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연 수단은,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며, 홀수 개의 인버터들로 이루어진 제 2 인버터열과; 상기 제 2 인버터열의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일 입력 단자와,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타입력 단자 및, 상기 출력 구동 수단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출력 단자를 갖는 제 2 낸드 게이트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delay means includes: a second inverter column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inverter and comprising an odd number of inverters; And a second NAND gate having one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inverter row, a type force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inverter, and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output driving means. do.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클럭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상기 출력 구동 수단은 상기 지연 수단과 상기 접속점 사이에 직렬로 순차로 접속되는 홀수 개의 인버터들을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output driving means for outputting the internal clock signal includes an odd number of inverters sequentially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delay means and the connection point.

이와같은 장치에 의해서, 오토 리프레쉬 동작 동안 클럭 버퍼 회로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게 되었다.Such a device makes it possible to disable the clock buffer circuit during an auto refresh oper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참조도면 도 3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신규한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오토 리프레쉬 동작(auto-refresh operation)이 수행되는 동안 외부 클럭 신호(clk)에 동기되는 내부 클럭 신호(pclk)를 발생시키기 위한 클럭 버퍼 회로(200)가 비활성화(disable)되도록 오터 리프레쉬 신호(prfh)를 이용한 클럭 버퍼 회로(200)를 제공하였다. 이로써, 오토 리프레쉬 동작 동안에 소모되는 전류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Referring to FIG. 3, in the novel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nal clock signal pclk synchronized with an external clock signal clk is generated while an auto refresh operation is performed. The clock buffer circuit 200 using the auto refresh signal prfh is provided so that the clock buffer circuit 200 for the circuit 200 is disabled. 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during the auto refresh opera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셀 어레이(100), 클럭 버퍼 회로(200), 오토 리플레쉬 신호 발생 회로(300), 제어회로(400), 그리고 주변 회로들(500)로 이루어져 있다. 클럭 버퍼 회로(200)는 외부 클럭 신호(clk)에 동기되어 내부 클럭 신호(pclk)를 발생하기 위한 것이다. 오토 리프레쉬 신호 발생 회로(300)는 신호들

Figure kpo00007
,
Figure kpo00008
, 및 (W)를 입력받아 내부 클럭 신호(pclk)에 응답하여 상기 신호들
Figure kpo00009
,
Figure kpo00010
, 및 (W)가 동시에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오토 리프레쉬 동작을 알리는 오토 리프레쉬 신호(prfh)를 발생한다. 그리고, 내부 클럭 신호(pclk)에 동기되는 제어 회로(400)에 의해서 제어되는 메모리 셀 관련 회로 블럭(500)은 메모리 셀 어레이(100)에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거나 그것에 특정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3, a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es a memory cell array 100 for storing information, a clock buffer circuit 200, an auto refresh signal generation circuit 300, a control circuit 400, and a peripheral circuit. Field 500. The clock buffer circuit 200 is for generating the internal clock signal pclk in synchronization with the external clock signal clk. Auto refresh signal generation circuit 300 is a signal
Figure kpo00007
,
Figure kpo00008
, And (W) receive the signals in response to the internal clock signal pclk
Figure kpo00009
,
Figure kpo00010
It detects whether or, and (W) are activated at the same time to generate an auto refresh signal prfh indicating the auto refresh operation. The memory cell related circuit block 500 controlled by the control circuit 400 synchronized with the internal clock signal pclk is for read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cell array 100 or storing specific information therein.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상세 회로도를 보여준다.4A show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FIG. 3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를 참조하면, 오토 리프레쉬 신호 발생 회로(300)는 행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Figure kpo00011
, 열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Figure kpo00012
, 및 외부 신호(W)가 동시에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내부 클럭 신호(pclk)에 동기된, 오토 리프레쉬 동작을 알리는, 오토 리프레쉬 신호(prfh)를 발생하기 위한 것으로서, 검출 회로(detection circuit) (320), 전달 트랜지스터(MN1), 래치 회로(latch circuit) (340), 그리고 지연 회로(delay circuit) (360)로 이루어져 있다.Referring to FIG. 4A, the auto refresh signal generation circuit 300 may include a row address strobe signal.
Figure kpo00011
Column address strobe signal
Figure kpo00012
And a detection circuit for generating an auto refresh signal prfh, which detects whether the external signal W is simultaneously activated and informs the auto refresh operation synchronized with the internal clock signal pclk. 320, a transfer transistor MN1, a latch circuit 340, and a delay circuit 360.

상기 검출 회로(320)는 신호들

Figure kpo00013
,
Figure kpo00014
및 (W)를 입력받아 이러한 신호들
Figure kpo00015
,
Figure kpo00016
및 (W)가 동시에 활성화되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버터들(11)~(15)과 낸드 게이트(G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낸드 게이트(G1)의 입력 단자들은 행 및 열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들
Figure kpo00017
, 및
Figure kpo00018
를 반전시키기 위한 인버터들(I1) 및 (I2)의 출력 단자들과, 신호 (W)를 소정 시간 지연시키기 위해 순차로 직렬로 연결된 2 개의 인버터들(I3) 및 (I4) 중 인버터 (I4)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며, 그것의 출력 단자는 인버터(I5)를 통해 전달 트랜지스터(MN1)의 일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The detection circuit 320 is a signal
Figure kpo00013
,
Figure kpo00014
And (W) receive these signals
Figure kpo00015
,
Figure kpo00016
And to detect whether (W) is activated at the same time, consisting of inverters (11) to (15) and the NAND gate (G1). Input terminals of the NAND gate G1 are row and column address strobe signals.
Figure kpo00017
, And
Figure kpo00018
The output terminals of the inverters I1 and I2 for inverting the inverter and the inverter I4 of the two inverters I3 and I4 sequentially connected in series to delay the signal W for a predetermined time. Is connected to one input terminal of the transfer transistor MN1 through an inverter I5.

상기 전달 트랜지스터(MN1)는 그것의 게이트로 내부 클럭 신호(pclk)가 인가되고 그것의 소오스-드레인 채널, 즉, 전류 통로(currrent path)가 인버터(I5)와 래치 회로(340)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달 트랜지스터(MN1)와 상기 지연 회로(360) 사이에 접속된 래치 회로(340)는 상호 래치된 인버터들(I6) 및 (I7)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지연 회로(360)는 홀수 개의 인버터들(I8)~(I12)이 직렬로 접속된 인버터 체인(invertor chain)에 일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래치 회로(340)에 타 입력 단자가 연결되며 오토 리프레쉬 신호(prfh)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를 갖는 노어 게이트(G2)로 이루어져 있다.The transfer transistor MN1 has its internal clock signal pclk applied to its gate and its source-drain channel, i.e. a current path, is connected between the inverter I5 and the latch circuit 340. have. The latch circuit 340 connected between the transfer transistor MN1 and the delay circuit 360 includes inverters I6 and I7 which are mutually latched. The delay circuit 360 has one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n inverter chain having an odd number of inverters I8 to I12 connected in series, and another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 latch circuit 340. The NOR gate G2 has an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the auto refresh signal prfh.

상기 클럭 버퍼 회로(200)는 외부 클럭 신호(clk)를 입력받아 칩 내의 로직 타이밍(logic timing)을 제어하기 위한 내부 클럭 신호(pclk)를 출력하며, 디코딩 회로(220), 지연 회로(240), 그리고 출력 구동 회로(26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디코딩 회로(220)는 입 입력 단자로 외부 클럭 신호(clk)를 인가받고 타 입력 단자로, 직렬로 접속된, 홀수개의 인버터들(I13)~(I15)이 접속되며, 인버터(I16)를 통해 지연 회로(240)에 출력 단자가 접속된 낸드 게이트(G3)로 이루어져 있다.The clock buffer circuit 200 receives an external clock signal clk and outputs an internal clock signal pclk for controlling logic timing in a chip, and includes a decoding circuit 220 and a delay circuit 240. And an output driving circuit 260. The decoding circuit 220 receives an external clock signal clk through an input input terminal, and connects an odd number of inverters I13 to I15 connected in series to another input terminal, and connects the inverter I16 to the input terminal. The NAND gate G3 has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delay circuit 240.

상기 지연 회로(240)는 일 입력 단자들이 3 개의 인버터들(I17)~(I19)로 이루어진 인버터 체인을 통해, 그리고 직접(directly) 디코딩 회로(220)의 출력단에 접속된 낸드 게이트(G4)로 구성되어 있다. 출력 구동 회로(260)는 낸드 게이트(G4)의 출력 단자와 내부 클럭 신호(pclk)의 출력을 위한 접속점 (N1) 사이에 순차로 직렬로 접속된 인버터들(I20)~(I21)로 이루어져 있다. 내부 클럭 신호(pclk)는 칩 내의 모든 제어 회로들(control circuits)에 사용되므로 출력 부하가 매우 크다. 따라서, 출력 구동 회로(260) 내의 인버터들(I20)~(I21)은 큰 구동 능력(hgh driving capability)을 갖도록 구성된다.The delay circuit 240 is connected to the NAND gate G4 through which an input terminal has one inverter terminal consisting of three inverters I17 to I19 and directly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decoding circuit 220. Consists of. The output driving circuit 260 consists of inverters I20 to I21 sequentially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NAND gate G4 and the connection point N1 for the output of the internal clock signal pclk. . The internal clock signal pclk is used for all control circuits in the chip, so the output load is very large. Accordingly, the inverters I20 to I21 in the output driving circuit 260 are configured to have a high driving capability.

도 4b는 내부 클럭 신호를 칩 내의 다른 회로들로 공급하기 위한 신호 배선도를 보여준다.4B shows a signal wiring diagram for supplying an internal clock signal to other circuits in the chip.

도 4b에 도시된 신호 배선 방법은 내부 클럭 신호의 스큐(skew)를 최소화하는 구조로 통상 H-tree 방식이라 칭한다. 이러한 H-tree 방식에 따라 내부 클럭 신호(pclk)가 전달되는 신호 라인들을 RC 모델링(modeling)하게 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같다. 그리고, H-tree의 끝단에는 각각 내부 클럭 신호(pclk)가 전달되는 목적지(destination), 즉 제어 회로들 및 다른 로직들이 연결된다.The signal wiring method illustrated in FIG. 4B is a structure for minimizing skew of an internal clock signal and is commonly referred to as an H-tree method. RC modeling of signal lines through which the internal clock signal pclk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H-tree method is illustrated in FIG. 4A. The destination of the internal clock signal pclk, that is, the control circuits and other logics, ar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H-tree, respectively.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오토 리플레쉬 동작와 독출 및 기입 동작시의 타이밍도를 보여준다. 도 5 및 도 6의 동작 타이밍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이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이하 설명될 것이다.5 and 6 show timing charts during the auto refresh operation and the read and writ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operation timing diagrams of FIGS. 5 and 6,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도 5를 참조하면, 동기형 디램 장치의 독출 및 기입 동작은 통상적으로 로우 액티브(row active), 독출 및 기입 동작, 로우 프리 챠아지(row precharge), 그리고 다른 로우 액티브와 같이 순차적인 일련의 사이클을 가지며 이루어진다. 독출 및 기입 동작은 외부 클럭 신호(clk)에 동기되어 칩 내부에서 생성되는 클럭 신호, 즉, 내부 클럭 신호(pclk)에 의해서 제어되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매클럭 사이클마다 내부 클럭 신호(pclk)가 발생되어야만 한다.Referring to FIG. 5, read and write operations of a synchronous DRAM device typically include a sequence of cycles such as row active, read and write operations, row precharge, and other row active. Has and is done. Since the read and write operations are controlled by a clock signal generated inside the chip in synchronization with the external clock signal clk, that is, the internal clock signal pclk, as shown in FIG. The signal pclk must be generated.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외부 클럭 신호(clk)가 로우 레벨(low level)에서 하이 레벨(high level)로 천이될 때 신호들(RAS) 및 (CAS)이 로우 레벨로 활성화되고 신호 (W)가 하이 레벨로 활성화됨에 따라 오토 리프레쉬 동작이 수행된다. 이때, 오토 리프레쉬 신호 발생 회로(300)는 이 신호들 (RAS), (CAS), 및 (W)를 입력받아 그것들이 동시에 활성화되었는지를 검출하여 오토 리프레쉬 동작을 알리는 신호 (prfh)를 발생한다. 오토 리프레쉬 신호(prfh)는 일정 폭을 갖는 하이 레벨의 상태로 유지되는 펄스 신호이다. 이와 동시에, 오토 리프레쉬 신호 발생 회로(300)로부터 발생된 하이 레벨의 신호 (prfh)가 클럭 버퍼 회로(200)로 인가된다. 이에따라, 클럭 버퍼 회로(200)는 하이 레벨의 신호 (prfh)에 의해서 비활성화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토 리프레쉬 동작 동안에 내부 클럭 신호(pclk)를 발생하지 못한다. 그리고, 오토 리프레쉬 동작이 완료되면 클럭 버퍼 회로(200)는 외부 클럭 신호(clk)에 동기되어 내부 클럭 신호(pclk)를 다시 발생하게 된다.6, when the external clock signal clk transitions from a low level to a high level, the signals RAS and CAS are activated at a low level and the signal W ) Is activated to a high level and the auto refresh operation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auto refresh signal generation circuit 300 receives the signals RAS, CAS, and W, detects whether they are activated at the same time, and generates a signal prfh indicating the auto refresh operation. The auto refresh signal prfh is a pulse signal maintained at a high level with a certain width. At the same time, the high level signal prfh generated from the auto refresh signal generation circuit 300 is applied to the clock buffer circuit 200. Accordingly, the clock buffer circuit 200 is inactivated by the high level signal prfh, and as shown in FIG. 6, does not generate the internal clock signal pclk during the auto refresh operation. When the auto refresh operation is completed, the clock buffer circuit 200 generates the internal clock signal pclk agai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external clock signal clk.

이와 같이, 오토 리프레쉬 동작 동안에 활성화되는 신호 (prfh)로 클럭 버퍼 회로(300)를 제어함으로써, 오토 리프레쉬 동작 동안에 내부 클럭 신호(pclk)의 토글(toggle)을 방지하도록 클럭 버퍼 회로(200)를 구현하였다. 즉, 오토 리프레쉬사이클에서 신호 (prfh)가 활성화되면 이를 이용하여 클럭 버퍼 회로(200)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내부 클럭 신호(pclk)가 발생되지 않는다.As such, by controlling the clock buffer circuit 300 with the signal prfh activated during the auto refresh operation, the clock buffer circuit 200 is implemented to prevent the toggle of the internal clock signal pclk during the auto refresh operation. It was. That is, when the signal prfh is activated in the auto refresh cycle, the internal clock signal pclk is not generated by deactivating the clock buffer circuit 200 using the signal prfh.

그리고, 오토 리프레쉬 동작이 완료되어 신호 (prfh)가 비활성화되면 다시 클럭 버퍼 회로(200)가 활성화되어 내부 클럭 신호(pclk)를 토글하고 로우 액티브와 같은 명령(command)을 받아들이기 위한 준비를 한다. 오토 리프레쉬 동작 동안에 클럭 버퍼 회로(200)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첫째, 클럭 버퍼 회로(200)에 의해서 소모되는 전류를 없앨 수 있고, 둘째 내부 클럭 신호(pclk)가 토글하지 않기 때문에 내부 클럭 신호(pclk)의 전달을 위한 라인들(lines)의 로딩(loading)에 대한 충방전기의 전류 소모가 방지되며, 셋째 내부 클럭 신호(pclk)에 동기되는 제어 회로들에 의해서 소모되는 전류를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auto refresh operation is completed and the signal prfh is inactivated, the clock buffer circuit 200 is activated again to toggle the internal clock signal pclk and prepare to receive a command such as low active. By deactivating the clock buffer circuit 200 during the auto refresh operation, first, the current consumed by the clock buffer circuit 200 can be eliminated, and second, since the internal clock signal pclk does not toggle, Current consumption of the charger / discharger against loading of lines for transmission is prevented, and current consumed by the control circuits synchronized with the third internal clock signal pclk can be prevented.

상기한 바와같이, 오토 리프레쉬 동작 동안에 클럭 버퍼 회로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그것에 의해서 소모되는 전류를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urrent consumed by it can be prevented by deactivating the clock buffer circuit during the auto refresh operation.

Claims (6)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셀 어레이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외부 클럭 신호에 동기되는 내부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제 1 수단과; 행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열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및 외부 신호가 동시에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내부 클럭 신호에 동기되며 오토 리프레쉬 동작 동안 활성화되는 오토 리프레쉬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수단과; 상기 제 1 수단은 상기 제 2 수단에 의해서 발생된 상기 오토 리프레쉬 신호가 활성화되는 동안 비활성화되고 상기 오토 리프레쉬 신호가 비활성될 때 활성화되어 상기 내부 클럭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제 1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내부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메모리 셀어레이에 관련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주변 회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A memory cell array for stor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First means for generating an internal clock signal synchronized with an external clock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Second means for detecting whether a row address strobe signal, a column address strobe signal, and an external signal are simultaneously activated to generate an auto refresh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internal clock signal and activated during an auto refresh operation; The first means is deactivated while the auto refresh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means is activated and is activated when the auto refresh signal is deactivated to generate the internal clock signal; And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peripheral circuits which perform an operation related to the memory cell array in synchronization with the internal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단은, 상기 내부 클럭 신호와 상기 오토 리프레쉬 신호를 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수단과; 상기 디코딩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수단과; 상기 지연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내부 클럭 신호를 구동하기 위한 출력 구동 수단으로 포함하는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means comprises: decoding means for coding the internal clock signal and the auto refresh signal; Delay means for delaying a signal output from said decoding mean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n output driving means for receiv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delay means and driving the internal clock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신호는 적어도 오토 리프레쉬 동작 동안에 활성화되는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The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signal is activated at least during an auto refresh oper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수단은, 상기 제 2 수단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며, 직렬로 연결되는 홀수 개의 인버터들로 이루어진 제 1 인버터열과; 상기 인버터열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일 입력 단자 및, 상기 외부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타 입력 단자를 갖는 제 1 낸드 게이트와; 상기 제 1 낸드 게이트의 출력을 반전시키기 위한 제 1 인버터를 포함하는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said decoding means comprises: a first inverter string comprising an odd number of inverters connected in series with an output terminal of said second means; A first NAND gate having one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string and another input terminal to which the external clock signal is applied; And a first inverter for inverting the output of the first NAND gate.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수단은,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며, 홀수 개의 인버터들로 이루어진 제 2 인버터열과; 상기 제 2 인버터열의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일 입력 단자와,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타 입력 단자 및, 상기 출력 구동 수단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출력 단자를 갖는 제 2 낸드 게이트를 포함하는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5.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2 or 4, wherein the delay means comprises: a second inverter column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inverter and comprising an odd number of inverters; A second NAND gate having one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inverter string, another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inverter, and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output driving means. A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클럭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상기 출력 구동 수단은 상기 지연 수단의 출력 단자에 직렬로 순차로 접속되는 홀수 개의 인버터들을 포함하는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3. The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said output drive means for outputting said internal clock signal comprises an odd number of inverters sequentially connected in series to an output terminal of said delay means.
KR1019970013515A 1997-04-12 1997-04-12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2599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515A KR100259974B1 (en) 1997-04-12 1997-04-12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515A KR100259974B1 (en) 1997-04-12 1997-04-12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697A KR19980076697A (en) 1998-11-16
KR100259974B1 true KR100259974B1 (en) 2000-06-15

Family

ID=19502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515A KR100259974B1 (en) 1997-04-12 1997-04-12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974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697A (en)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4914B1 (en) Synchronized semiconductor memory
KR100673904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274602B1 (en) Synchronous memory device
US7327613B2 (en) Input circuit for a memory device
KR100252043B1 (en) Column selection control method of memory device
US5550784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synchronous dram whose speed grade is not limited
US9275700B2 (en) Semiconductor device
KR100338084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circuit for controlling data-output timing
KR100230407B1 (en) Clock generating circuit and clock generating method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338967B1 (en) Clock synchronization system
US6292430B1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40110280A (en) Data input device of DDR SDRAM
KR100259974B1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798795B1 (en) Internal address generator and operation method
KR100632611B1 (en) Command decoder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H10125072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442103B1 (en) Synchronous SRAM device with late write function
US7548465B2 (en) Low current consumptio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449638B1 (en) SRAM with storage capacitor cell
KR100541161B1 (en) X address extraction method, x address extractor and memory for high speed operation
KR100422954B1 (en) Pipeline un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5963501A (en) Dynamic clock signal generating circuit for use in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s
KR0158492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213225B1 (en) Write multiplexer
KR20070025715A (en) Internal clock generating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