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9087B1 - 반도체 소자의 박막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박막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087B1
KR100259087B1 KR1019970067893A KR19970067893A KR100259087B1 KR 100259087 B1 KR100259087 B1 KR 100259087B1 KR 1019970067893 A KR1019970067893 A KR 1019970067893A KR 19970067893 A KR19970067893 A KR 19970067893A KR 100259087 B1 KR100259087 B1 KR 100259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wafer
forming
gas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7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9056A (ko
Inventor
양정식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67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087B1/ko
Publication of KR19990049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9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6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 H01L21/02271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VD장치를 이용한 박막 형성시에 파티클에 의한 오염을 막아 막질이 우수한 박막을 형성하는데 적당하도록한 반도체 소자의 박막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웨이퍼가 장치내로 로딩되면 1차로 가스 주입량을 세트 포인트보다 적게 주입하여 박막 씨드(Seed)를 형성하고 주입되는 가스량을 점차 늘려 2차로 가스를 장치내로 주입하여 웨이퍼상에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박막 형성 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CVD장치를 이용한 박막 형성시에 파티클에 의한 오염을 막아 막질이 우수한 박막을 형성하는데 적당하도록한 반도체 소자의 박막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 기술의 반도체 소자의 박막 형성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CVD 장치를 이용한 박막 형성시의 공정 흐름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의 CVD장치를 이용한 박막 형성시의 가스 주입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종래 기술의 화학 기상 증착(CVD) 장치를 이용한 박막 형성 공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먼저, 웨이퍼를 장치내로 로딩하는 웨이퍼 로딩 단계(101S)와, 웨이퍼의 로딩 동작이 완료되면 장치 내부의 공정 조건(온도,압력 등의)을 조정하기 위한 펌프를 이용한 펌핑 단계(102S) 그리고 펌핑 동작이 완료되면 장치 내부의 공정 수행 온도가 적정한지를 판단하여 조정하는 온도 안정화 단계(103S)와,주입되는 가스의 이상 누설을 점검하는 가스 누설 점검 단계(104S)와, 실제 가스를 장치내로 주입하여 웨이퍼상에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105S) 그리고 퍼지 단계(106S),Backfill 단계(107S)를 거쳐 박막을 형성하고 웨이퍼를 장치 외부로 끄집어 내는 웨이퍼 언로딩 단계(108S)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의 박막 형성 단계(105S)에서는 주입되는 가스량을 도 2에서와 같이 세트 포인트에 맞게 주입시키고자 하는 양만큼 바로 밸브를 열어 가스를 주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박막 형성 공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로딩된 웨이퍼에 박막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바로 밸브를 열어 가스를 세팅된 량만큼 주입하기 때문에 박막이 형성되기 전에 가스 자체 반응(Gas Homogeneous Reaction) 및 가스 오버슈팅(Gas Overshooting)에 의하여 파티클을 유발한다.
이는 박막을 오염시켜 박막 특성을 저하시킨다. 특히 박막 흐림 현상을 유발시켜 막질에 치명적인 결함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박막 형성 공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CVD장치를 이용한 박막 형성시에 파티클에 의한 오염을 막아 막질이 우수한 박막을 형성하는데 적당하도록한 반도체 소자의 박막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CVD 장치를 이용한 박막 형성시의 공정 흐름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CVD장치를 이용한 박막 형성시의 가스 주입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VD장치를 이용한 박막 형성시의 공정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VD 장치를 이용한 박막 형성시의 가스 주입량을 나타낸 그래프
CVD장치를 이용한 박막 형성시에 파티클에 의한 오염을 막아 막질이 우수한 박막을 형성하는데 적당하도록한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박막 형성 방법은 웨이퍼가 장치내로 로딩되면 1차로 가스 주입량을 세트 포인트보다 적게 주입하여 박막 씨드(Seed)를 형성하고 주입되는 가스량을 점차 늘려 2차로 가스를 장치내로 주입하여 웨이퍼상에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박막 형성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VD장치를 이용한 박막 형성시의 공정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VD 장치를 이용한 박막 형성시의 가스 주입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 기상 증착(CVD) 장치를 이용한 박막 형성 공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먼저, 웨이퍼를 장치내로 로딩하는 웨이퍼 로딩 단계(301S)와, 웨이퍼의 로딩 동작이 완료되면 장치 내부의 공정 조건(온도,압력 등의)을 조정하기 위한 펌프를 이용한 펌핑 단계(302S) 그리고 펌핑 동작이 완료되면 장치 내부의 공정 수행 온도가 적정한지를 판단하여 조정하는 온도 안정화 단계(303S)와,주입되는 가스의 이상 누설을 점검하는 가스 누설 점검 단계(304S)와, 1차로 가스 주입량을 세트 포인트의 30%정도만을 주입하여 박막 씨드(Seed)를 형성하는 박막 씨드 형성 단계(305S)와, 2차로 가스를 장치내로 주입하여 웨이퍼상에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306S) 그리고 퍼지 단계(307S),Backfill 단계(308S)를 거쳐 박막을 형성하고 웨이퍼를 장치 외부로 끄집어 내는 웨이퍼 언로딩 단계(309S)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와 같은 본발명의 박막 형성 단계는 도 4에서와 같이, 주입되는 가스량을 1,2차로 나누어 조정하는 것으로 먼저, 1차로 세트 포인트의 30% 정도만 가스를 주입하여 박막 씨드를 형성한후,제 2 차로 주입되는 가스량을 세트 포인트에 맞게 주입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박막 형성 방법은 주입되는 가스량을 1,2차로 나누어 1차로 세트 포인트의 30% 정도만 가스를 주입하여 박막 씨드를 형성한후,제 2 차로 주입되는 가스량을 세트 포인트에 맞게 주입시켜 박막을 형성하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로딩된 웨이퍼에 박막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1차로 박막 씨드를 형성한후에 세트 포인트의 가스를 주입하므로 가스 자체 반응(Gas Homogeneous Reaction) 및 가스 오버슈팅(Gas Overshooting)에 의하여 파티클을 유발하지 않는다.
이는 박막의 오염막아 박막 특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웨이퍼가 장치내로 로딩되면 1차로 가스 주입량을 세트 포인트보다 적게 주입하여 박막 씨드(Seed)를 형성하고 주입되는 가스량을 점차 늘려 2차로 가스를 장치내로 주입하여 웨이퍼상에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박막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박막 씨드를 형성하기 위한 1차 가스 주입량은 세트 포인트의 30%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박막 형성 방법.
KR1019970067893A 1997-12-11 1997-12-11 반도체 소자의 박막 형성 방법 KR100259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893A KR100259087B1 (ko) 1997-12-11 1997-12-11 반도체 소자의 박막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893A KR100259087B1 (ko) 1997-12-11 1997-12-11 반도체 소자의 박막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056A KR19990049056A (ko) 1999-07-05
KR100259087B1 true KR100259087B1 (ko) 2000-06-15

Family

ID=19527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7893A KR100259087B1 (ko) 1997-12-11 1997-12-11 반도체 소자의 박막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0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056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311731A1 (en) 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of polysilicon on a wafer
US5631199A (en) Furnace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of forming a gate oxide film by utilizing the same
KR100259087B1 (ko) 반도체 소자의 박막 형성 방법
US201002274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near-atmospheric pressure inside a process chamber
US20060143913A1 (en) Very low moisture o-ring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3258847B2 (ja)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JP2004516678A (ja) 半導体基板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H07142311A (ja) シランカップリング剤を用いた基板処理方法及び基板処理装置
US7820230B2 (en) Plasma doping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0156320B1 (ko) 반도체 저압 화학기상증착 방법
JPS5812342B2 (ja) 連続ドライエッチング方法
KR101236696B1 (ko) 기판처리장치
US20050287822A1 (en) Method of forming polysilicon layer in semiconductor device
KR0166855B1 (ko) 웨이퍼의 보호막 도포장비
US7084074B1 (en) CVD gas injector and method therefor
US628463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with stagnated process gas
JP3197969B2 (ja) 半導体基板の処理方法
US6333277B1 (en) Method for reducing non-homogenous density during forming process of borophosphosilicate glass layer
KR20040013393A (ko) 반도체 설비의 냉각 가스 공급 장치
KR950010200B1 (ko) 수평식 저압 화학기상침적장치(lp-cvd)
KR20040009248A (ko) 반도체소자 제조용 확산설비
JP2832847B2 (ja) 減圧気相成長法
KR20000007970A (ko) 반도체 웨이퍼의 제조 방법
KR0156640B1 (ko) 반도체 상압화학 기상증착 장치
KR100525117B1 (ko) 질화막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