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8075B1 -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8075B1
KR100258075B1 KR1019970067118A KR19970067118A KR100258075B1 KR 100258075 B1 KR100258075 B1 KR 100258075B1 KR 1019970067118 A KR1019970067118 A KR 1019970067118A KR 19970067118 A KR19970067118 A KR 19970067118A KR 100258075 B1 KR100258075 B1 KR 100258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lay
connection
subscriber
sub
at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7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8444A (ko
Inventor
오문균
한미숙
주성순
Original Assignee
이계철
대한민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대한민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대한민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대한민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67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075B1/ko
Priority to US09/126,620 priority patent/US6222844B1/en
Publication of KR19990048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8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78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65Interaction of ATM with other protocols
    • H04L2012/567Frame Relay over AT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M 교환 시스템에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의 서비스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가입자에 대한 프레임 릴레이 연결을 등록하여 그 등록된 프레임 릴레이 연결에 대한 ATM 교환 시스템 내부 경로를 PVC로 접속하도록 하는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ATM 교환 시스템이 프레임 릴레이 인터페이스를 직접 수용하는 함으로 기존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망은 별도의 장치나 기능 없이 ATM 교환 시스템과 접속 가능하다.

Description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본 발명은 영구가상연결를 이용한 프레임릴레이 연동서비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ATM 교환 시스템에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의 서비스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가입자에 대한 프레임 릴레이 연결을 등록하여 그 등록된 프레임 릴레이 연결에 대한 ATM 교환 시스템 내부 경로를 PVC로 접속하도록 하는 영구가상연결를 이용한 프레임릴레이 연동서비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TM 교환 시스템은 1.544 Mbps를 지원하고, T1, 2.048 Mbps를 지원하며, E1, 44.736 Mbps를 지원하는 DS3의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을 갖는 링크를 수용하는 시스템으로, 다음 제 1 단계, 제 2 단계, 제 3 단계로 프레임 릴레이 연동을 수행한다. 제 1 단계에서는 시스템 운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고, 제 2 단계에서는 등록된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에 하나 이상의 프레임 릴레이 연결을 등록하며, 제 3 단계에서는 등록된 프레임 릴레이 연결 간 또는 프레임 릴레이 연결과 ATM 연결간의 ATM 스위치 경로 접속을 위한 PVC 설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ATM 교환 시스템은 기존 서비스에 대하여 상호 운용을 보장하여야 하며, 유연하게 기존 서비스를 수용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ATM 망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종래에 제공되는 프레임 릴레이 서비스 형태는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방법이었다. ATM 교환 시스템과 연동 방법은 프레임 릴레이 단말 또는 망이 ATM 교환 시스템에서 인식 가능한 신호(Signalling)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단말적응 접속기(Terminal Adapter) 또는 ATM 인터워킹 기능(Interworking Function)을 보유해야 한다.
따라서,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는 ATM Interworking Function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보유해야만 ATM 교환 시스템에 접속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ATM 교환 시스템이 프레임 릴레이 연동 기능을 직접 수행하는 방식으로, 연동에 필요한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및 연결 정보를 관리하고, ATM PVC를 이용해 양단간을 접속하는 것으로 별도의 장치 없이 ATM 교환 시스템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영구가상연결를 이용한 프레임릴레이 연동서비스 제어방법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시스템 운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등록요구를 수신하여 타임 슬럿의 사용상태를 검증하고, 액세스율을 계산하며, 등록된 가입자 정보를 FCIM 에 세팅하고, 시스템 콘솔로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등록 처리에 대한 정상/비정상 결과를 출력하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정보 등록과정과, 시스템 운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연결 등록요구를 수신하여 가입자내의 연결등록을 위한 CIR(Committed Information Rate) 허용 여부를 판단하고, 프레임 릴레이 연결결과 대응하는 ATM 연결의 식별자(VPI/VCI)를 생성하며, 프레임 릴레이 트래픽과 ATM 프래픽의 변환을 위한 CIR, Bc(Committed Burst Size), Be(Excess Burst Size)에 대응하는 PCR(Peak Cell Rate)을 계산하고, 등록된 프레임 릴레이 연결정보를 FCIM(Frame Relay Interface Controller)에 세팅하고, 시스템 콘솔로 프레임 릴레이 연결 등록처리에 대한 정상/비정상 결과를 출력하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연결 등록과정과, PVC(Permanent Virtual Circuit) 접속시 인터페이스인 경우 PVC 접속 요구시 지정된 VPI/VCI 로 프레임 릴레이 연결정보 테이블을 검색하여, 프레임 릴레이 연결과 접속요구된 PVC 파라메타의 호환성을 검증하여 ATM 교환시스템에 등록된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간의 연결 또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와 ATM 가입자의 연결을 접속하는 PVC 접속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ATM 교환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 에서의 기능 블럭구성도.
도 3은 ATM 교환 시스템에서 프레임 릴레이 연동을 위한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프로파일과 연결정보 관리를 위한 테이블 구성도로서,
(a)는 도 1 에서의 OMCM 에 저장되어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가 속한 물리적인 위치정보를 갖는 테이블이고,
(b)는 해당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가 속한 도 1 에서의 ALS의 ASCM에 저장되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파일이며,
(c)는 해당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에 속한 프레임 릴레이 연결정보와, 프레임 릴레이 연결에 대응되는 ATM 연결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4는 프레임 릴레이 연결과 대응하는 ATM 연결의 VPI/VCI 변환 관계를 보인 예시도로서,
(a)는 프레임 릴레이 연결이 2 바이트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경우 변환관계를 보인 예시도이고,
(b)는 프레임 릴레이 연결이 4 바이트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경우 변환관계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운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를 ATM 교환 시스템에 등록하는 절차를 보인 신호 흐름도.
도 6 및 도 7은 ATM 교환 시스템에 등록된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에 대한 프레임 릴레이 연결을 ATM 교환 시스템에 등록하는 절차를 보인 신호 흐름도.
도 8 내지 도 10은 ATM 교환 시스템에 등록된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간 또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와 ATM 가입자간의 PVC를 접속하는 절차를 보인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LS 2 : ACS
3 : FRIM 4 : OMCM
5 : ASCM 4a,5a :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6 : HANDF 7 : FCIM
8 : SPVCF 9 : FRIHF
10 : FRSH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ATM교환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ATM 교환시스템은 독립된 스위칭 서브시스템 단위(ALS:ATM Local switching Subsystem)(1)로 분산화 되고, 중앙 교환 서브시스템 (ACS:ATM Central switching Subsystem)(2)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또는 프레임 릴레이 망을 접속하는 가입자 인터페이스 모듈 (FRIM:Frame Relay Subscriber Interface Module)(3)과, 운용자 인터페이스 및 시스템 내의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하는 OMCM(Operation & Maintenance Module)(4)과, 가입자 호 및 연결을 제어하는 ALS(ATM Local Switching Subsystem) 내의 호제어 모듈(ASCM:Access Switching Control Module)(5)로 구성된다.
도 2는 ATM 교환시스템에서의 기능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ATM 교환시스템은 시스템 운용자로 부터 요구되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등록과 연결 설정을 위한 정보를 연계 시키는 HANDF(6) 블록과, 프레임을 ATM으로 변환 또는 역 변환 하는 FCIM(Frame Relay Interface Controller)(7)과, 관리 평면 기능으로 부터 요구 받은 점대점 전용선 서비스 제어를 수행하는 SPVCF(Semi-permanent Point-to-Point Virtual Connection Control Function block)(8)와, 상기 OMCM(4)에 속하며, 상기 HANDF(6)로 부터 수신된 프레임 릴레이 서비스 제어에 대한 입력 명령어를 FRSHF(10)로 연계 시키는 FRIHF(9)와, 상기 ASCM(5)에 속하며,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정보와 연결 정보를 관리하고, 프레임 릴레이 서비스 특성과 ATM 서비스 특성에 따른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FRSHF(Frame Relay Service Handling)(10) 블록으로 구성된다.
도 3의 (a) 내지 (c)는 ATM 교환 시스템에서 프레임 릴레이 연동을 위한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프로파일과 연결 정보 관리를 위한 테이블 구성을 나타낸다.
도 3 의 (a)는 OMCM(4)에 저장되어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가 속한 물리적인 위치 정보를 갖는 테이블이다.
테이블을 구성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D_SUB_NAME(11)은 15자리의 문장열(Character String)로 가입자 번호 또는 ATM 교환기에 접속되는 장치의 고유 이름을 나타낸다.
D_ALS_NO(12)는 1 바이트 정수로 D_SUB_NAME(11)이 속한 ALS(1) 번호를 나타낸다.
D_IM_NO(13)는 1 바이트 정수로 D_SUB_NAME(11)이 속한 IM 번호를 나타낸다.
D_LINK_NO(14)는 1 바이트 정수로 D_SUB_NAME(11)이 속한 LINK 번호를 나타낸다.
도 3의 (b)는 해당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가 속한 ALS(1)의 ASCM(5)에 저장되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파일이다.
테이블을 구성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D_IM_NO(13)는 가입자 정합 모듈 번호로 1바이트의 정수 값이다.
D_SUB_NAME(11)은 15자리의 문자열(Character String)으로 가입자 번호 또는 ATM 교환기에 접속되는 장치의 고유 이름을 나타낸다.
D_LINK_NO(14)는 1 바이트 정수로 D_SUB_NAME(11)이 속한 LINK 번호를 나타낸다.
D_SUB_NO(15)는 1 바이트의 정수로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정합 모듈 내에 등록되는 가입자의 논리 번호로서 DS1E 링크의 경우 1 부터 31 값을 갖으며, T1 링크의 경우 1 부터 24 사이의 값을 갖는다.
D_ACC_UNIT(16)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의 액세스(Access) 단위를 나타낸다.
D_CONN_MA(17)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에 속한 프레임 릴레이 연결의 유지보수 형태를 의미하며, 그 형태는 단방향, 양방향, 비동기(Asynch)로 나타낸다.
D_ACC_RATE(18)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의 액세스율(Access Rate)을 의미한다.
D_ADDR_FMT(19)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의 액세스 포멧(Address Format)을 의미하며, 2 바이트 어드레스(Byte Address)와 4 바이트 어드레스(Byte Address)로 구성된다.
D_PROTO_MA(20)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의 유지보수를 위한 프로토콜을 의미하며, Q933, ANSI, LMI로 구분된다.
D_CHANNEL_TYPE(21)은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에게 제공되는 채널(Channel)의 형태를 나타내며, 채널화(Channelized)와 비채널화(Unchannelized)로 구분된다.
D_SERVICE_TYPE(22)은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의 서비스 형태를 나타내며, 일대일 네트워크 연동 서비스, 다대일 네트워크 연동 서비스, 서비스 연동 서비스로 구분된다.
D_TIME_SLOT(23)은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에게 배정된 타임 슬럿 정보를 비트 맵 형태로 나타낸다.
도 3의 (c)는 해당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에 속한 프레임 릴레이 연결 정보와, 프레임 릴레이 연결에 대응되는 ATM 연결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로서, 테이블을 구성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D_SUB_NAME(11)는 15자리의 문자열(Character String)으로 가입자 번호 또는 ATM 교환기에 접속되는 장치의 고유 이름을 나타낸다.
DLCI(24)는 프레임 릴레이 연결에 부여된 DLCI(Data Link Control Identifier) 값으로 4바이트 정수로 표현된다.
D_IM_NO(13)는 가입자 정합 모듈 번호로서 1바이트의 정수 값이다.
D_LINK_NO(14)는 1 바이트 정수로 D_SUB_NAME(11)이 속한 LINK 번호를 나타낸다.
D_IN_VPI(25)는 2 바이트의 정수로 표현되며, 프레임 릴레이 연결이 ATM 연결로 변환시 ATM 연결을 나타내는 VPI 값이다.
D_IN_VCI(26)는 4 바이트의 정수로 표현되며, 프레임 릴레이 연결이 ATM 연결로 변환시 ATM 연결을 나타내는 VCI 값이다.
D_IN_CIR(27)은 4 바이트 정수로 표현되며, 프레임 릴레이 연결의 입력측 CIR값으로 Kbps단위로 나타낸다.
D_OUT_CIR(28)은 4 바이트 정수로 표현되며, 프레임 릴레이 연결의 출력측 CIR값으로 Kbps단위로 나타낸다.
D_IN_EIR(29)은 4 바이트 정수로 표현되며, 프레임 릴레이 연결의 입력측 EIR값으로 Kbps단위로 나타낸다.
D_OUT_EIR(30)은 4 바이트 정수로 표현되며, 프레임 릴레이 연결의 출력측 EIR값으로 Kbps단위로 나타낸다.
D_IN_BC(31)는 4 바이트 정수로 표현되며, 프레임 릴레이 연결의 입력측 BC값으로 Kbps단위로 나타낸다.
D_OUT_BC(32)는 4 바이트 정수로 표현되며, 프레임 릴레이 연결의 출력측 BC값으로 Kbps단위로 나타낸다.
D_IN_BE(33)는 4 바이트 정수로 표현되며, 프레임 릴레이 연결의 입력측 BE값으로 Kbps단위로 나타낸다.
D_OUT_BE(34)는 4 바이트 정수로 표현되며, 프레임 릴레이 연결의 출력측 BE값으로 Kbps단위로 나타낸다.
D_IN_PCR(35)은 4 바이트 정수로 표현되며, 프레임 릴레이 연결이 ATM 연결로 변환시 적용되는 입력측 PCR값이다.
D_OUT_PCR(36)은 4 바이트 정수로 표현되며, 프레임 릴레이 연결이 ATM 연결로 변환시 출력측 PCR값이다.
D_ULPT(37)는 프레임 릴레이 연결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을 나타내며, 투영(Transparent)와 변환(Translation) 모드를 의미한다.
도 4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가 2 바이트 또는 4 바이트 어드레스를 갖는 경우 프레임 릴레이 연결 정보를 이용한 VPI/VCI 변환을 나타낸다.
프레임 릴레이 인터페이스는 연결이 속한 FRSA 보드 번호, FRSA 보드 내의 링크 번호, 링크 내의 가입자의 논리 번호 그리고 DLCI 값으로 연결이 구별된다. ATM 인터페이스는 VPI/VCI로 연결이 구별된다.
DS1/E1으로 접속되는 가입자는 2 바이트 어드레스를 사용하며, 10 비트의 DLCI를 사용한다. DS3로 접속되는 가입자는 4 바이트 또는 2 바이트 어드레스를 사용하며, 17 비트의 DLCI를 허용한다. ATM 시스템에서 미리 할당된 VPI 및 VCI 값 과의 충돌을 피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신호(Signalling) 및 OAM 용 등의 ATM 규격과 관련한 것과 프로세서간의 통신용 등으로 시스템에서 배타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에 속한다.
따라서, VPI 및 VCI 상위 비트를 "1"로 셋하여 충돌을 피할 수 있다.
도 4의 (a)는 프레임 릴레이 연결이 2바이트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경우 변환 관계를 나타낸다. ATM 셀의 GFC 영역인 첫번째 옥텟의 비트 7 에서 비트 4는 0으로 셋(세팅)하고, ATM 셀의 VPI 영역의 비트 7과 6은 1로 셋하고, 비트 5 에서 비트 2는 FRSA 보드 번호를 셋한다. 비트 1과 0은 FRSA 내의 Link 번호를 셋하여 VPI를 생성한다. ATM 셀의 VCI는 비트 15를 1로 셋하고, 비트 14 에서 비트 10은 가입자의 논리 번호를 셋하며, 비트 9 에서 비트 0은 DLCI를 셋하여 VCI 값을 생성한다.
도 4의 (b)는 프레임 릴레이 연결이 4바이트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경우 변환 관계를 나타낸다. ATM 셀의 GFC 영역인 첫번째 옥텟의 비트 7에서 비트 4는 0으로 셋하고, ATM 셀의 VPI 영역의 비트 7과 6은 1로 셋하며, 비트 5와 비트 4는 0으로 셋한다. 비트 3과 비트 2는 FRSA 보드 번호를 셋하고, 비트 1과 0은 DLCI의 16, 17 비트 값을 셋하여 VPI 값을 생성한다. ATM 셀의 VCI 영역의 비트 15는 1로 셋 하고, 비트 14 에서 비트 0은 DLCI의 비트 14에서 비트 0의 값을 셋하여 VCI를 생성한다.
도 5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서비스 제어방법은 시스템 운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등록요구를 수신하여 타임 슬럿의 사용상태를 검증하고, 액세스율을 계산하며, 등록된 가입자 정보를 FCIM 에 셋하고, 시스템 콘솔로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등록 처리에 대한 정상/비정상 결과를 출력하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정보 등록과정과, 시스템 운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연결 등록요구를 수신하여 가입자내의 연결등록을 위한 CIR(Committed Information Rate) 허용 여부를 판단하고, 프레임 릴레이 연결결과 대응하는 ATM 연결의 식별자(VPI/VCI)를 생성하며, 프레임 릴레이 트래픽과 ATM 프래픽의 변환을 위한 CIR, Bc(Committed Burst Size), Be(Excess Burst Size)에 대응하는 PCR(Peak Cell Rate)을 계산하고, 등록된 프레임 릴레이 연결정보를 FCIM(Frame Relay Interface Controller)에 셋하고, 시스템 콘솔로 프레임 릴레이 연결 등록처리에 대한 정상/비정상 결과를 출력하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연결등록과정과, PVC(Permanent Virtual Circuit) 접속시 인터페이스인 경우 PVC 접속 요구시 지정된 VPI/VCI 로 프레임 릴레이 연결정보 테이블을 검색하여, 프레임 릴레이 연결과 접속요구된 PVC 파라메타의 호환성을 검증하여 ATM 교환시스템에 등록된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간의 연결 또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와 ATM 가입자의 연결을 접속하는 PVC 설정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5는 운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를 ATM 교환 시스템에 등록하는 절차로 다음의 단계로 수행된다.
제 1 단계(S1)에서는 HANDF(6)로부터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의 서비스 정보 등록 요구를 수신한다.
제 2 단계(S2)에서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등록시 지정되는 파라메타는 맨더터리(Mandatory)와 옵셔널(Optional)로 구별 되는 입력 파라메타를 검증한다.
상기 맨더터리(Mandatory) 파라메타는 시스템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의 번호(이름)로 15 자리의 문자(Character)로 표현되며, 가입자가 등록될 ALS/FCIM/LINK의 위치 정보, 서비스 형태가 채널화/비채널화(Channelized/Unchannelized)인지를 나타낸다.
상기 옵셔널(Optional) 파라메타는 채널화(Channelized)인 경우 사용할 타임 슬롯(Time Slot), 접속유지 프로토콜(Connection Maintenance Protocol)로 UDR (Unidirectional), BDR (Bi-directional), ASYNC (Asynchronous)로 지정 가능하며, 액세스 유닛(Access Unit)은 56Kbps /64Kbps, 서비스 연동 / 네트워크 연동, 어드레스 포멧(Address Format)이 2 바이트/4바이트 인지에 대한 서비스 속성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제 11 단계(S11)를 수행하고, 정상으로 판단되면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제 3 단계(S3)에서는 가입자에게 부여되는 액세스율(Access Rate)은 액세스(Access) 단위 (56Kbps,64Kbps)와 가입자가 사용하는 타임 슬럿 수의 곱으로 계산된다.
제 4 단계(S4)에서는 링크 내에 등록된 가입자들이 사용하는 액세스율(Access Rate)과 등록 요구된 가입자의 액세스율(Access Rate)의 합이 링크의 최대 액세스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가입자 등록은 거절되며, 제 11 단계(S11)를 수행한다. 액세스율(Access Rate)을 초과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제 5 단계(S5)에서는 등록 요구된 가입자의 서비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제 6 단계(S6)에서는 FCIM(Frame Relay Interface Controller)으로 등록된 가입자 정보를 전송한다.
제 7 단계(S7)에서는 FCIM으로 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5초 대기 타이머를 등록한다.
제 8 단계(S8)에서는 FCIM으로 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다음 단계를 수행하며, FCIM으로 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고 대기 타이머를 수신한 경우 제 11단계(S11)를 수행한다.
제 9 단계(S9)에서는 FCIM으로 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분석하여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정보가 FCIM에 정상적으로 등록된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 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제 11 단계(S11)를 수행한다.
제 10 단계(S10)에서는 시스템 콘솔로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등록이 완료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 때 입력된 파라메터와 가입자에게 부여된 액세스율(Access Rate)을 출력하며,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등록 처리를 종료한다.
제 11 단계(S11)에서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등록은 거절되며, 거절 이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시스템 콘솔로 출력하며,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등록 처리를 종료한다.
도 6 및 도 7은 ATM 교환 시스템에 등록된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에 대한 프레임 릴레이 연결을 ATM 교환 시스템에 등록하는 절차로 다음의 단계로 수행된다.
제 1 단계(S101)에서는 HANDF(6)로부터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의 연결 등록 요구를 수신한다.
제 2 단계(S102)에서는 프레임 릴레이 연결 등록 시 지정되는 맨더터리(Mandatory)와 옵셔널(Optional)로 구별 되는 입력 파라메타를 검증한다. 맨더터리(Mandatory) 파라메타는 시스템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의 번호(이름)로 15 자리의 문자(Character)로 표현되며, 프레임 릴레이 연결 구분자로 DLCI, 프레임 릴레이 연결이 사용할 입력과 출력측 CIR(Committed Information Rate), Bc(Committed Burst Size), Be(Execess Burst Rate)가 지정된다.
옵셔널(Optional) 파라메타는 프레임 릴레이 연결이 속할 가입자가 서비스 연동인 경우 상위 레이어 프로토콜 형태(Transparent, Translation)가 지정된다. 입력 파라메타에 오류가 있는 경우 제 14 단계(S104)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제 3 단계(S103)에서는 DLCI 는 프레임 릴레이 연결을 구분하며, 프레임 헤더 형태에 따라 사용 범위가 달라지며, 사용자 정보 전달용 이외의 목적으로 예약된 값은 사용할 수 없다. 2 바이트 헤더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 전달을 위해 16 부터 991을 허용하고, 4 바이트 헤더를 사용 하는 경우 2048 부터 126975를 허용한다.
제 3 단계(S103)에서는 프레임 릴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종단되는 프레임을 ATM 셀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DLCI와 VPI/VCI의 변환이 수행된다. 또한, ATM 인터페이스에서 종단되는 ATM 셀을 프레임 헤더로 구성해야 한다. 일대일 망 연동 및 서비스 연동 시 DLCI와 VPI/VCI 간에 일대일로 매핑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프레임 릴레이 연결이 하나의 ATM 연결로 매핑 되는 다대일 접속인 경우 VPI/VCI 생성을 위한 DLCI는 1022로 셋하며, FCIM(7)에서 Frame-to-ATM을 수행할 때 여러 개의 프레임 연결을 하나의 ATM 연결로 매핑 한다.
제 5 단계(S105)에서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는 하나 이상의 연결을 포함한다. 등록 요구된 프레임 릴레이 연결의 CIR과 가입자 내에 등록된 연결들의 CIR의 합이 가입자에게 부여된 액세스율(Access Rate)을 초과하면 제 14 단계(S104)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제 6 단계(S106)에서는 프레임 릴레이 인터페이스와 ATM 인터페이스는 트래픽의 비율이 다르다. 따라서 프레임 릴레이 트래픽 특성을 ATM 트래픽 특성으로 변환하여야 한다. 프레임 릴레이 트래픽 파라메타를 ATM 트래픽 파라메터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프레임에서 ATM 셀로 변환할 경우의 트래픽을 비교하여야 하며, 이들 사이의 차이는 각각에서 필요로하는 오버헤드(Overhead)로 계산할 수 있다.
프레임 릴레이의 트래픽 준수 파라메타(CIR, Bc, Be, Access Rate)와 ATM 파라메타(PCR)간의 변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정 주기 T와 EIR(Excess Information Rate) 그리고 PCR(Peak Cell Rate)은 다음 수학식 (1), 수학식(2), 수학식 (3)과 같이 계산한다.
T = Bc/CIR
EIR = Be/T = (Be*CIR) / Bc
PCR(0+1) = {(CIR+EIR) /8} * (1.5 /53)
PCR(0) = CIR * (1.5 / 53)
제 7 단계(S107)에서는 여러 개의 가입자 링크가 다중화되어 하나의 ATM 스위치로 접속되므로 가입자 링크에 접속된 모든 연결들이 사용하는 PCR은 ATM 스위치 접속부의 최대 PCR허용량을 초과할 수 없다. 등록 요구된 프레임 릴레이 연결에 허용된 PCR과 ATM 스위치 접속 링크에 속한 모든 연결들의 PCR의 합이 최대 허용 가능한 PCR을 초과 하는 경우 제 14 단계(S114)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제 8 단계(S108)에서는 등록 요구된 프레임 릴레이 연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제 9 단계(S109)에서는 FCIM으로 등록된 연결 정보를 전송한다.
제 10 단계(S110)에서는 FCIM으로 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5초 대기 타이머를 등록한다.
제 11 단계(S111)에서는 FCIM으로 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다음 단계를 수행하며, FCIM으로 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고 대기 타이머를 수신한 경우 제 14 단계(S114)를 수행한다.
제 12 단계(S112)에서는 FCIM으로 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분석하여 프레임 릴레이 연결 정보가 FCIM에 정상적으로 등록된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 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제 14 단계(S114)를 수행한다.
제 13 단계(S113)에서는 시스템 콘솔로 프레임 릴레이 연결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 때 입력된 파라메터와 프레임 릴레이 연결과 대응되는 VPI/VCI와 PCR을 출력하며, 프레임 릴레이 연결 등록 처리를 종료한다.
제 14 단계(S114)에서는 프레임 릴레이 연결 등록은 거절되며, 거절 이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시스템 콘솔로 출력하며, 프레임 릴레이 연결 등록 처리를 종료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ATM 교환 시스템에 등록된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간 또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와 ATM 가입자 간의 PVC를 접속하는 절차이다.
PVC 접속은 발신측 처리 단계와 착신측 처리 단계로 구분된다.
먼저, 발신측 PVC 접속 처리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단계(S201)에서는 운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PVC 접속 요구를 수신한다.
제 2 단계(S202)에서는 발신측 인터페이스 형태가 프레임 릴레이인지 ATM 인지를 분석하여 ATM 인 경우 제 5 단계(S205)부터 수행하며, 프레임 릴레이 인터페이스인 경우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제 3 단계(S203)에서는 도 3 의 (c)에 도시된 프레임 릴레이 연결 정보를 검색하여 VPI/VCI와 PCR을 확인한다.
제 4 단계(S204)에서는 PVC 접속 시 지정된 VPI/VCI, PCR이 제 3단계에서 검색된 VPI/VCI, PCR과 다른 경우 제 13단계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제 5 단계(S205)에서는 VPI/VCI의 상태를 사용 중으로 변경한다.
제 6 단계(S206)에서는 프레임 릴레이 연결에 대응하는 ATM PVC가 사용하는 PCR을 점유 상태로 확정한다.
제 7 단계(S207)에서는 착신측 프로세스로 PVC 접속 요구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 8 단계(S208)에서는 착신측으로 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5초 대기 타이머를 등록한다.
제 9 단계(S209)에서는 착신측으로 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다음 단계를 수행하며, 착신측으로 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고 대기 타이머를 수신한 경우 제 13 단계(S213)를 수행한다.
제 10 단계(S210)에서는 착신측으로 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분석하여 PVC 접속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 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제 13 단계(S213)를 수행한다.
제 11 단계(S211)에서는 FCIM으로 PVC에 대한 헤더 변환 정보 및 UPC 정보를 전송한다.
제 12 단계(S212)에서는 PVC 접속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시스템 콘솔에 출력하며, 발신측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제 13 단계(S213)에서는 PVC 접속은 실패 되며 실패 된 원인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시스템 콘솔에 출력하며, 발신측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이후, 착신측 PVC 접속 처리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단계(S301)에서는 발신 프로세스로부터 PVC 접속 요구를 수신한다.
제 2 단계(S302)에서는 착신측 인터페이스 형태가 프레임 릴레이인지 ATM 인지를 분석하여 ATM 인 경우 제 5 단계(S305)부터 수행하며, 프레임 릴레이 인터페이스인 경우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제 3 단계(S303)에서는 도 3 의 (c)에 도시된 프레임 릴레이 연결 정보를 검색하여 VPI/VCI와 PCR을 확인한다.
제 4 단계(S304)에서는 PVC 접속 시 지정된 VPI/VCI, PCR이 제 3 단계(S303)에서 검색된 VPI/VCI, PCR과 다른 경우 제 9 단계(S309)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제 5 단계(S305)에서는 VPI/VCI의 상태를 사용 중으로 변경한다.
제 6 단계(S306)에서는 프레임 릴레이 연결에 대응하는 ATM PVC가 사용하는 PCR을 점유 상태로 확정한다.
제 7 단계(S307)에서는 착신측 FCIM으로 PVC에 대한 헤더 변환 정보 및 UPC 정보를 전송한다.
제 8 단계(S308)에서는 착신측 PVC 접속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발신측 프로세스로 전송하고, 착신측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제 9 단계(S309)에서는 착신측 PVC 접속이 실패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발신측 프로세스로 전송하고, 착신측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본 발명은 ATM 교환 시스템에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의 서비스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가입자에 대한 프레임 릴레이 연결을 등록하고, 등록된 프레임 릴레이 연결에 대한 ATM 교환 시스템 내부 경로를 PVC로 접속할 수 있음으로써 ATM 교환 시스템이 프레임 릴레이 인터페이스를 직접 수용하여 기존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망은 별도의 장치나 기능 없이 ATM 교환 시스템과 접속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시스템 운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등록요구를 수신하여 타임 슬럿의 사용상태를 검증하고, 액세스율을 계산하며, 등록된 가입자 정보를 FCIM 에 셋하고, 시스템 콘솔로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등록 처리에 대한 정상/비정상 결과를 출력하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정보 등록과정과;
    시스템 운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연결 등록요구를 수신하여 가입자내의 연결등록을 위한 CIR(Committed Information Rate) 허용 여부를 판단하고, 프레임 릴레이 연결과 대응하는 ATM 연결의 식별자(VPI/VCI)를 생성하며, 프레임 릴레이 트래픽과 ATM 트래픽의 변환을 위한 CIR, Bc(Committed Burst Size), Be(Excess Burst Size)에 대응하는 PCR(Peak Cell Rate)을 계산하고, 등록된 프레임 릴레이 연결정보를 FCIM(Frame Relay Interface Controller)에 셋하고, 시스템 콘솔로 프레임 릴레이 연결 등록처리에 대한 정상/비정상 결과를 출력하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연결등록과정과;
    PVC(Permanent Virtual Circuit) 접속시 지정된 VPI/VCI 로 프레임 릴레이 연결정보 테이블을 검색하여, 프레임 릴레이 연결과 접속요구된 PVC 파라메타의 호환성을 검증하여 ATM 교환시스템에 등록된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간의 연결 또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와 ATM 가입자의 연결을 접속하는 PVC 접속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등록과정은 HANDF로부터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의 서비스 정보 등록 요구를 수신하면,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등록시 지정되는 파라메타는 맨더터리(Mandatory)와 옵셔널(Optional)로 구별 되는 입력 파라메타를 분석하는 제 1 서브과정과;
    상기 제 1 서브과정에서의 분석 결과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등록은 거절되며, 거절 이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시스템 콘솔로 출력하며,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등록 처리를 종료하고, 정상으로 판단되면 가입자에게 부여되는 액세스율(Access Rate)을 액세스(Access) 단위와 가입자가 사용하는 타임 슬럿 수의 곱으로 계산하는 제 2 서브과정과;
    링크 내에 등록된 가입자들이 사용하는 액세스율(Access Rate)과 등록 요구된 가입자의 액세스율(Access Rate)의 합이 링크의 최대 액세스 용량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 3 서브과정과;
    상기 제 3 서브과정에서의 판단결과 액세스율을 초과하는 경우 가입자 등록은 거절되며, 거절 이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시스템 콘솔로 출력하여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등록 처리를 종료하고, 액세스율(Access Rate)을 초과하지 않으면 등록 요구된 가입자의 서비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FCIM(Frame Relay Interface Controller)으로 등록된 가입자 정보를 전송하고, FCIM으로 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5초 대기 타이머를 등록하는 제 4 서브과정과;
    상기 FCIM으로 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고 대기 타이머를 수신한 경우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등록은 거절되며, 거절 이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시스템 콘솔로 출력하여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등록 처리를 종료하고, 상기 FCIM으로 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그 FCIM으로 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분석하여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정보가 FCIM에 정상적으로 등록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제 5 서브과정과;
    상기 제 5 서브과정에서의 판단결과 비정상적으로 등록된 경우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등록은 거절되며, 거절 이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시스템 콘솔로 출력하여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등록 처리를 종료하고, 정상적으로 등록된 경우 시스템 콘솔로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등록이 완료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한 후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등록 처리를 종료하는 제 6 서브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과정에서의 상기 맨더터리(Mandatory) 파라메타는 시스템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의 번호(이름)로 15 자리의 문자(Character)로 표현되며, 가입자가 등록될 ALS/FCIM/LINK의 위치 정보, 서비스 형태가 채널화/비채널화(Channelized/Unchannelized)인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널(Optional) 파라메타는 채널화(Channelized)인 경우 사용할 타임 슬롯(Time Slot), 접속유지 프로토콜(Connection Maintenance Protocol)로 UDR (Unidirectional), BDR (Bi-directional), ASYNC (Asynchronous)로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제 6 서브과정에서 출력되는 메시지는 입력된 파라메터와 가입자에게 부여된 액세스율(Access R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연결등록과정은 HANDF로부터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의 연결 등록 요구를 수신하면, 프레임 릴레이 연결 등록 시 지정되는 맨더터리(Mandatory)와 옵션널(Optional)로 구별 되는 입력 파라메타를 판단하는 제 1 서브과정과;
    상기 제 1 서브과정에서의 판단결과 입력 파라메타에 오류가 있는 경우 프레임 릴레이 연결 등록은 거절되며, 거절 이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시스템 콘솔로 출력하여 프레임 릴레이 연결 등록 처리를 종료하고, 입력파라메타에 오류가 없는 경우 DLCI를 검사는 제 2 서브과정과;
    상기 제 2 서브과정에서의 검사결과 DLCI 가 비정상인 경우 프레임 릴레이 연결 등록은 거절되며, 거절 이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시스템 콘솔로 출력하여 프레임 릴레이 연결 등록 처리를 종료하고, DLCI 가 정상적인 경우 프레임 릴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종단되는 프레임을 ATM 셀로 변환하기 위해서 DLCI와 VPI/VCI의 변환을 수행하고, ATM 인터페이스에서 종단되는 ATM 셀을 프레임 헤더로 구성하는 제 3 서브과정과;
    등록 요구된 프레임 릴레이 연결의 CIR과 가입자 내에 등록된 연결들의 CIR의 합이 가입자에게 부여된 액세스율(Access Rate)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4 서브과정과;
    상기 제 4 서브과정에서의 판단결과 액세스율 초과하면 프레임 릴레이 연결 등록은 거절되며, 거절 이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시스템 콘솔로 출력하여 프레임 릴레이 연결 등록 처리를 종료하고, 초과하지 않으면 프레임 릴레이 트래픽 파라메타를 ATM 트래픽 파라메터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프레임에서 ATM 셀로 변환할 경우의 트래픽을 비교한 후, 이들 사이의 차이를 각각에서 필요로하는 오버헤드(Overhead)로 계산하는 제 5 서브과정과;
    등록 요구된 프레임 릴레이 연결에 허용된 PCR과 ATM 스위치 접속 링크에 속한 모든 연결들의 PCR의 합이 최대 허용 가능한 PCR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6 서브과정과;
    상기 제 6 서브과정에서의 판단결과 프레임 릴레이 연결 등록은 거절되며, 거절 이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시스템 콘솔로 출력하여 프레임 릴레이 연결 등록 처리를 종료하고, 초과하지 않는 경우 등록 요구된 프레임 릴레이 연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FCIM으로 등록된 연결 정보를 전송하며, FCIM으로 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5초 대기 타이머를 등록하는 제 7 서브과정과;
    상기 제 7 서브과정에서의 FCIM으로 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고 대기 타이머를 수신한 경우 프레임 릴레이 연결 등록은 거절되며, 거절 이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시스템 콘솔로 출력하여 프레임 릴레이 연결 등록 처리를 종료하고, FCIM으로 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FCIM으로 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분석하여 프레임 릴레이 연결 정보가 FCIM에 정상적으로 등록된는지를 판단하는 제 8 서브과정과;
    상기 제 8 서브과정에서의 판단결과 비정상적으로 등록된 경우 프레임 릴레이 연결 등록은 거절되며, 거절 이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시스템 콘솔로 출력하여 프레임 릴레이 연결 등록 처리를 종료하고, 정상적으로 등록된 것으로 판단되면 시스템 콘솔로 프레임 릴레이 연결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한 후, 프레임 릴레이 연결 등록 처리를 종료하는 제 9 서브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과정에서의 맨더터리(Mandatory) 파라메타는 시스템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의 번호(이름)로 15 자리의 문자(Character)로 표현되며, 프레임 릴레이 연결 구분자로 DLCI, 프레임 릴레이 연결이 사용할 입력과 출력측 CIR(Committed Information Rate), Bc(Committed Burst Size), Be(Execess Burst Rate)가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과정에서의 옵션널(Optional) 파라메타는 프레임 릴레이 연결이 속할 가입자가 서비스 연동인 경우 상위 레이어 프로토콜 형태(Transparent, Translation)가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의 제어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과정에서의 DLCI 는 2 바이트 헤더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 전달을 위해 16 부터 991을 허용하고, 4 바이트 헤더를 사용 하는 경우 2048 부터 126975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서브과정에서 변환된 DLCI와 VPI/VCI 는 일대일 망 연동 및 서비스 연동 시에 서로간에 일대일로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서브과정에서의 VPI/VCI 생성을 위한 DLCI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릴레이 연결이 하나의 ATM 연결로 매핑 되는 다대일 접속인 경우 1022로 셋하며, FCIM에서 Frame-to-ATM을 수행할 때 여러 개의 프레임 연결을 하나의 ATM 연결로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서브과정에서 프레임 릴레이의 트래픽 준수 파라메타는 CIR, Bc, Be, 액세스율이고, ATM 파라메타는 PC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PCR 은 다음식과 같이 계산되어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PCR(0+1) = {(CIR+EIR) /8} * (1.5 /53)
    PCR(0) = CIR * (1.5 / 53)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EIR 은 다음식과 같이 계산되어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EIR = Be/T = (Be*CIR) / Bc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주기(T)는 Bc를 CIR 로 제산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8 서브과정에서 출력되는 메시지는 입력된 파라메터와 프레임 릴레이 연결과 대응되는 VPI/VCI와 PC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VC 접속과정은 발신측 PVC 접속처리과정와 착신측 PVC 접속 처리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PVC 접속 처리과정은 운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PVC 접속 요구를 수신하면, 발신측 인터페이스 형태가 프레임 릴레이인지 ATM 인지를 분석하는 제 1 서브과정과;
    상기 제 1 서브과정에서의 분석결과 ATM 인 경우 제 3 서브과정부터 수행하며, 프레임 릴레이 인터페이스인 경우 프레임 릴레이 연결 정보를 검색하여 VPI/VCI와 PCR을 확인한 후, PVC 접속 시 지정된 VPI/VCI, PCR이 확인된 VPI/VCI, PCR과 같은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다른 경우 PVC 접속은 실패 되며 실패 된 원인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시스템 콘솔에 출력하여 발신측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제 2 서브과정과;
    상기 제 2 서브과정에서의 판단결과 같은 경우 VPI/VCI의 상태를 사용 중으로 변경하고, 프레임 릴레이 연결에 대응하는 ATM PVC가 사용하는 PCR을 점유 상태로 확정하고, 착신측 프로세스로 PVC 접속 요구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며, 착신측으로 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5초 대기 타이머를 등록하는 제 3 서브과정과;
    착신측으로 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고 대기 타이머를 수신한 경우 PVC 접속은 실패 되며 실패 된 원인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시스템 콘솔에 출력하여 발신측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착신측으로 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착신측으로 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분석하여 PVC 접속이 정상적으로 수행된는지를 판단하는 제 4 서브과정과;
    상기 제 4 서브과정에서의 판단결과 비정상적으로 판단되면 PVC 접속은 실패 되며 실패 된 원인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시스템 콘솔에 출력하여 발신측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정상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판단되면 FCIM으로 PVC에 대한 헤더 변환 정보 및 UPC 정보를 전송하고, PVC 접속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시스템 콘솔에 출력하여 발신측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제 5 서브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PVC 접속 처리과정은 발신 프로세스로부터 PVC 접속 요구를 수신하면, 착신측 인터페이스 형태가 프레임 릴레이인지 ATM 인지를 분석하는 제 1 서브과정과;
    상기 제 1 서브과정에서의 분석결과 ATM 인 경우 제 3 서브과정을 수행하며, 프레임 릴레이 인터페이스인 경우 프레임 릴레이 연결 정보를 검색하여 VPI/VCI와 PCR을 확인한 후, PVC 접속 시 지정된 VPI/VCI, PCR가 확인된 VPI/VCI, PCR과 같은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다른 경우 착신측 PVC 접속이 실패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발신측 프로세스로 전송하고, 착신측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제 2 서브과정과;
    상기 제 2 서브과정에서의 판단결과 같은 경우 VPI/VCI의 상태를 사용 중으로 변경하고, 프레임 릴레이 연결에 대응하는 ATM PVC가 사용하는 PCR을 점유 상태로 확정하며, 착신측 FCIM으로 PVC에 대한 헤더 변환 정보 및 UPC 정보를 전송한 후, 착신측 PVC 접속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발신측 프로세스로 전송하고, 착신측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제 3 서브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KR1019970067118A 1997-12-09 1997-12-09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KR100258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118A KR100258075B1 (ko) 1997-12-09 1997-12-09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US09/126,620 US6222844B1 (en) 1997-12-09 1998-07-31 Frame relay interworking service control method with ATM network using a permanent virtual conn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118A KR100258075B1 (ko) 1997-12-09 1997-12-09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444A KR19990048444A (ko) 1999-07-05
KR100258075B1 true KR100258075B1 (ko) 2000-06-01

Family

ID=19526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7118A KR100258075B1 (ko) 1997-12-09 1997-12-09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222844B1 (ko)
KR (1) KR1002580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638B1 (ko) * 2002-01-21 2004-05-31 주식회사 케이티 초고속 정보통신 통합망 관리 체계에서 프레임 릴레이연결을 생성하는 방법, 삭제하는 방법, 관리장치 및 그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3477B1 (en) * 1996-09-27 2002-10-08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 Detection of presence of multiprotocol encapsulation in a data packet
US6621829B1 (en) 1998-05-20 2003-09-16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ioritization of control plane traffic in a router
US6650644B1 (en) 1998-05-20 2003-11-18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quality of service translation
US6647424B1 (en) * 1998-05-20 2003-11-11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arding data packets
US6963581B1 (en) * 1998-11-28 2005-11-08 Alcatel Canad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service interworking
US8254394B1 (en) 1999-06-29 2012-08-28 Cisco Technology, Inc. Technique for providing constant bit rate (CBR) service over a time-slotted access channel
US6505244B1 (en) 1999-06-29 2003-01-07 Cisco Technology Inc. Policy engine which supports application specific plug-ins for enforcing policies in a feedback-based, adaptive data network
US6765864B1 (en) 1999-06-29 2004-07-20 Cisco Technology, Inc. Technique for providing dynamic modification of application specific policies in a feedback-based, adaptive data network
US6584502B1 (en) 1999-06-29 2003-06-24 Cisco Technology, Inc. Technique for providing automatic event notification of changing network conditions to network elements in an adaptive, feedback-based data network
US6539427B1 (en) 1999-06-29 2003-03-25 Cisco Technology, Inc. Dynamically adaptive network element in a feedback-based data network
US6577597B1 (en) * 1999-06-29 2003-06-10 Cisco Technology, Inc. Dynamic adjustment of network elements using a feedback-based adaptive technique
US6963585B1 (en) * 1999-10-21 2005-11-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virtual path capability in a frame relay network
KR100580863B1 (ko) * 1999-12-14 2006-05-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프레임 릴레이와 에이티엠 연동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0344875B1 (ko) * 1999-12-27 2002-07-20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 데이터 전송 장비들간의 상호 연동방법
KR20030005792A (ko) * 2001-07-10 2003-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에서 피브이씨 서비스 방법
US8001248B1 (en) 2001-07-13 2011-08-16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to DSL internet connections
KR100780519B1 (ko) * 2001-12-29 2007-11-29 엘지노텔 주식회사 가입자광전송장비-수동광네트워크 장비에서의영구가상연결 구성 방법
KR20040008439A (ko) * 2002-07-18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이티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릴레이 데이터 트래픽 제어방법
US7751412B1 (en) * 2003-01-22 2010-07-06 Cisco Technology, Inc. Virtual circuit automatic configuration
JP6672751B2 (ja) * 2015-12-03 2020-03-25 富士通株式会社 パケット収集方法、パケット収集プログラム及びパケット収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64597A1 (en) * 1993-06-07 1994-12-22 Duncan Hartley Tate Communication system
US5521914A (en) * 1994-07-21 1996-05-28 Newbridge Networks Corporation Switched access to frame relay
US5490141A (en) 1994-09-30 1996-0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VC service through an ATM network for frame relay DTEs with a terminal adapter
US5490140A (en) 1994-09-30 1996-0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TM support for frame relay DTEs with a terminal adapter
US5627836A (en) * 1995-01-31 1997-05-06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VPI/VCI administration
US5802052A (en) * 1996-06-26 1998-09-01 Level One Communication, Inc. Scalable high performance switch element for a shared memory packet or ATM cell switch fabric
JP2980032B2 (ja) * 1996-08-15 1999-11-22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ネクションレスデータ通信方式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638B1 (ko) * 2002-01-21 2004-05-31 주식회사 케이티 초고속 정보통신 통합망 관리 체계에서 프레임 릴레이연결을 생성하는 방법, 삭제하는 방법, 관리장치 및 그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22844B1 (en) 2001-04-24
KR19990048444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8075B1 (ko) 영구가상연결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 서비스 제어방법
US5528590A (en) ATM-UNI-LA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6618381B1 (en) Network system and communication node
US6456629B1 (en) Interworking function
JPH10229405A (ja) Atmスイッチおよび呼受付優先制御方法
Cisco ATM Switched Virtual Circuits
Cisco ATM Switched Virtual Circuits
KR100362164B1 (ko) 프레임릴레이 연동장치의 영구가상연결 제어 방법
Cisco ATM Switched Virtual Circuits
Cisco ATM Switched Virtual Circuits
JP3139994B2 (ja) Atm交換機及びatmコネクションの品質制御方法
JPH07264207A (ja) Atm交換網へのデータ端末接続方法
US6055238A (en) Packet terminal and packet communication network
KR100540892B1 (ko) 분산 환경에서 프레임 릴레이 망과 에이티엠 망간의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0191836B1 (ko) 비동기전송모드 통신방식에서 브릿지 포맷 데이터전송방법
KR100248438B1 (ko) 회선 대행 서비스의 제어방법
US7031300B1 (en) Method for identifying a transfer unit which is part of a connection between a communications terminal and a private branch exchange
KR100204046B1 (ko) 공중망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시스템에서 광대역 전달 능력 정보요소 필드의 파라미터 설정 방법
KR100277700B1 (ko) 비동기 전송 방식 교환시스템에서의 소프트 영구 가상 연결 설정 요구 처리 방법
KR100237883B1 (ko) 비동기 전송방식(atm)의 효율적인 셀라우팅 방법 및 이를 위한 가상경로(vp) 크로스커넥터
JP3593640B2 (ja) Atm交換機及びatmセル中継伝送方法
JP3491135B2 (ja) Atm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警報セルの挿入方法
KR100241339B1 (ko)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에서 신호 연결 제어부의 호환성을 위한메시지 유형 변환방법
KR0164123B1 (ko) 에이티엠 교환시스템에서 연결식별자의 할당 및 해제 방법
JPH11261568A (ja) Atm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被制御パッケージ並びにそのパッケージ間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