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7743B1 - 저해상도 시시디 카메라를 이용한 고해상도 화상 획득방법 - Google Patents

저해상도 시시디 카메라를 이용한 고해상도 화상 획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7743B1
KR100257743B1 KR1019970068949A KR19970068949A KR100257743B1 KR 100257743 B1 KR100257743 B1 KR 100257743B1 KR 1019970068949 A KR1019970068949 A KR 1019970068949A KR 19970068949 A KR19970068949 A KR 19970068949A KR 100257743 B1 KR100257743 B1 KR 100257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solution
camera
pixel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8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9937A (ko
Inventor
홍제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68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7743B1/ko
Publication of KR19990049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9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Testing Of Optical Devices Or Fiber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규칙적 미세 패턴의 결함 검출시 센서로서 사용되는 시시디(CCD)카메라와 검사 대상물의 상대적 위치를 미세하게 변화시키며 복수의 화상을 획득하여 이의 합성을 통해 사용된 센서의 해상도 보다 향상된 고해상도의 화상을 얻도록한 저해상도 시시디 카메라를 이용한 고해상도 화상 획득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미소 이동을 하며 얻어지는 각 화상에 대하여 에일리어싱(Aliasing) 효과의 제거를 위한 필터링 과정으로 인해 처리 속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X, Y 방향으로 각각 1/n 화소 거리 만큼씩 미소 이동하며 화상을 획득하는 제 1 단계와, 획득한 화상의 화소를 재배치하여 저역 패스 필터링된 값과 동일한 화상을 획득하는 제 2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저해상도 시시디 카메라를 이용한 고해상도 화상 획득방법
본 발명은 저해상도 시시디 카메라를 이용한 고해상도 화상 획득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규칙적 미세 패턴의 결함 검출시 센서로서 사용되는 시시디(CCD) 카메라와 검사 대상물의 상대적 위치를 미세하게 변화시키며 복수의 화상을 획득하여 이의 합성을 통해 사용된 센서의 해상도 보다 향상된 고해상도의 화상을 얻도록 한 저해상도 시시디 카메라를 이용한 고해상도 화상 획득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규칙적인 미세 패턴을 가지는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얻는데 있어, 저해상도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언더 샘플링(Under Sampling)에 의한 에일리어싱(Aliasing) 효과를 필터링 과정을 거쳐 제거하고, 해상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되는 카메라의 화소 크기 이하로 카메라와 검사 대상들의 상대 위치를 이동 시키며, 복수의 화상을 획득한 후 이를 고해상도의 화상으로 합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미소 이동을 하며 얻어지는 각 화상에 대하여 에일리어싱(Allasing) 효과의 제거를 위한 필터링 과정으로 인해 처리 속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규칙적 미세 패턴의 결함 검출시 센서로서 사용되는 CCD 카메라와 검사 대상물의 상대적 위치를 미세하게 변화시키며 복수의 화상을 획득하여 이의 합성을 통해 사용된 센서의 해상도 보다 향상된 고해상도의 화상을 얻도록한 저해상도 시시디 카메라를 이용한 고해상도 화상 획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X, Y 방향으로 각각 1/n 화소 거리 만큼씩 미소 이동하며 화상을 획득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획득한 화상의 화소를 재배치하여 저역 패스 필터링된 값과 동일한 화상을 획득하는 제 2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저해상도 시시디 카메라를 이용한 화상 처리 플로우 차트.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저해상도 시시디 카메라를 이용한 고해상도 화상 획득장치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1/3 화소 거리 만큼씩 이동하는 경우의 화상 취득 위치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1/3 화소거리 만큼 이동할 경우의 화상 합성도표.
제5도는 종래의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고해상도 카메라로 얻은 경우 화상도.
제6도는 제5도의 화상을 3×3 윈도우를 이용 저역 패스 필터링한 경우의 화상도표.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미소 이동법을 통한 합성 결과 화상도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검사 대상물 102 : L×L의 저해상도 카메라
103 : 비젼 보드 104 : 모니터 및 컴퓨터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저해상도 시시디 카메라를 이용한 고해상도 화상 획득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규칙적인 미세 패턴을 가지는 검사 대상물(101)과, 상기 검사 대상물(101)의 패턴을 촬상하여 L×L의 해상도로 획득하는 L×L의 저해상도 카메라(102)와, 상기 저해상도 카메라(102)에서 획득한 N×N
개의 화상을 조합하여 (N×L)×(N×L)의 해상도를 가지는 저역 패스 필터링된 화상을 얻는 비젼 보드(103)와, 상기 비젼 보드(103)에서 결정한 내용을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해주어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해주는 모니터 및 컴퓨터(104)로 구성 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도면 제2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의 기술이 저해상도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복수의 화상을 취득한 후 이를 합성하여 고해상도의 카메라로 얻은 것과 같은 화상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반면, 본 발명은 미소 이동법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고해상도의 화상을 저역 패스 필터링한 것과 같은 화상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과정을 화상 취득 및 화상 합성의 두 단계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L×L의 해상도 카메라(102)를 사용하여 검사 대상물 전체의 화상을 취득할 수 있는 위치에서 검사 대상물(101)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상기 L×L의 해상도 카메라(102)를 미소 이동하며, 화상을 취득한다.
이때, 미소 이동량은 1/N 화소 거리로써, 취득하는 화상의 총수는 N×N 개가 된다.
이렇게 가로 N 스텝 및 세로 N 스텝을 이동하며 취득한 N×N 개의 화상을 비젼 보드(103)에 출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비젼 보드(103)는 상기 L×L의 해상도 카메라(102)에서 출력된 N×N 개의 화상을 조합하여 (L×L)×(L×L)의 해상도를 가지는 저역 패스 필터링된 화상을 얻어 모니터 및 컴퓨터(104)를 통해 결정한 내용을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해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의 취득 방법은 일반 미소 이동에 의한 화소 확대 방법과 같으나 여기서의 제한 조건은 미소 이동의 양이 화소 크기의 1/3, 1/5, 1/7 등으로 1/(3 이상의 홀수)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목적하는 고해상도의 저역 패스 필터링된 화상을 얻는데 있어서 필수 조건이 된다.
또한, 요구되는 화상의 수는 1/3 화소 거리 만큼씩 이동할 경우는 X 방향 1/3 화소 이동될 때마다 Y 방향으로 0, 1/3, 2/3 화소 거리 만큼씩 이동하여 취득한 화상을 각각 얻어야 한다.
즉, 총 9개의 화상을 얻어야 하고, 마찬가지로 1/5 화소 거리 만큼씩 이동하며 화상을 얻을 경우는 층 25개의 화상을 얻어야 한다.
아울러, 1/7 화소 거리 만큼씩 이동하며 화상을 얻을 경우에는 층 49개의 화상을 얻어야 한다.
이렇게 얻은 화상을 합성하는 방범은 X, Y 방향으로 각 1/3 화소 거리 만큼씩 검사 대상물과 카메라의 상대 위치를 이동하며 얻은 화상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한다.
즉, 합성된 화상의 화소 계조값 G(m, n)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m = 3j+1, n = 3k+1인 경우 g(#1,j ,k), m = 3j+2, n = 3k+1인 경우 g(#2,j,k) m = 3j+3, n = 3k+1인 경우 g(#3,j,k) m = 3j+1, n = 3k+2인 경우 g(#4,j,k), m = 3j+2, n = 3k+2인 경우 g(#5,j,k) m = 3j+3, n = 3k+2인 경우 g(#6,j,k) m = 3j+1, n = 3k+3인 경우 g(#7,j,k), m = 3j+2, n = 3k+1인 경우 g(#8,j,k) m = 3j+3, n = 3k+3인 경우 g(#9,j,k) 여기서,i,j는 제로(0) 이상의 정수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1/5, 1/7 1/9 … 1/(3이상의 홀수)에 대해서도 화상의 합성이 가능하다.
이렇게 합성된 화상은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취득하기 위해 사용된 카메라의 해상도의 3배의 해상도를 가지는 고해상도 카메라를 사용하여 얻은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저역 패스 필터링한 것과 칼은 화상이 된다.
일 예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고해상도 카메라로 얻은 경우와 제5도의 화상을 3×3 윈도우를 이용 저역 패스 필터링한 경우의 화상과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소 이동법을 통한 합성 결과 화상을 비교하여 설명 한다.
먼저, 1/3 화소 거리만큼 이동하며 얻은 화상의 합성 화상과 이때 사용된 카메라 해상도의 3배의 해상도를 가지는 카메라로 같은 대상물의 화상을 얻은 후 저역 패스 필터링한 결과가 같다는 것을 보이면 제6도의 화소 좌표(1,1)의 계조값 L(1,1)은 다음과 같이 구하여 진다.
L(1,1) = {0(0,0)+0(0.1)+0(0,2)+0(1,0)+0(1,1)+0(1,2)+0(2,0)+0(2 ,1)+0(2,2)}/9 이 값은 이러한 3×3 영역을 하나의 CCD 셀이 볼 때와 같은 결과 값이다.
즉, L(1,1) = g(#1,1,10) = G(1,1)이 성립한다.
또한, 다른 예를 들면 L(3,2) = {0(2,1)+0(3,1)+0(4,1)+0(2,2)+0(3,2) +0(4,2)+0(2,3)+0(3,3)+0(4,3)} /9이고, 이는 X 방향으로 2/3 화소거리, Y 방향으로 1/3 화소 거리만큼 이동한 후 얻은 #6 화상의 첫 번째 화소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L(3,2) = g(#6,1,1) = G(3,2)이 성립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1/5, 1/7 화소 거리 만큼씩 미소 이동하며, 합성한 화상은 사용되어진 카메라의 5배, 7배의 해상도를 가지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얻은 화상을 각각 5×5, 7×7 윈도우를 사용하여 저역 패스 필터링한 화상과 같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규칙적인 미세 패턴을 가지는 대상물(예로서, LCD 패널, 섀도우 마스크등)의 검사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저해상도 카메라를 사용하여 언더 샘플링이 되면 발생하는 언더 샘플링(Under Sampling)에 의한 에일리어싱(Aliaslng) 효과를 제거하는 처리 과정이 불필요해지며, 결함검출을 위한 전 처리로서 따로 저역 패스 필터링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검사 시간을 단축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X,Y 방향으로 각각 1/n 화소 거리 만큼씩 미소 이동하며 화상을 획득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획득한 화상의 화소를 재배치하여 저역 패스 필터링된 값과 동일한 화상을 획득하는 제 2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저해상도 시시디 카메라를 이용한 고해상도 화상 획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 1 단계의 1/n 화소 거리에서 n은 3이상의 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해상도 시시디 카메라를 이용한 고해상도 화상 획득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 2 단계예서 화소 재배치 방법은 임의의 화소의 주변을 감싸는 화소와 상기 임의의 화소를 모두 가산하고 그 결과치(가산치)를 화상의 개수로 나누어 그 위치의 화소값으로 결정하는 방법으로 화소를 재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해상도 시시디 카메라를 이용한 고해상도 화상 획득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의 개수는 3이상의 홀수의 제곱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해상도 시시디 카메라를 이용한 고해상도 화상 획득방법.
KR1019970068949A 1997-12-16 1997-12-16 저해상도 시시디 카메라를 이용한 고해상도 화상 획득방법 KR100257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949A KR100257743B1 (ko) 1997-12-16 1997-12-16 저해상도 시시디 카메라를 이용한 고해상도 화상 획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949A KR100257743B1 (ko) 1997-12-16 1997-12-16 저해상도 시시디 카메라를 이용한 고해상도 화상 획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937A KR19990049937A (ko) 1999-07-05
KR100257743B1 true KR100257743B1 (ko) 2000-06-01

Family

ID=19527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8949A KR100257743B1 (ko) 1997-12-16 1997-12-16 저해상도 시시디 카메라를 이용한 고해상도 화상 획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77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8053B2 (en) 2008-10-17 2014-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high sensitive color imag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014A (ja) * 2000-11-21 2002-05-31 Hitachi Ltd 画像生成装置および生成方法
KR102119881B1 (ko) 2013-11-22 2020-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휘도 보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8053B2 (en) 2008-10-17 2014-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high sensitive color images
US9025871B2 (en) 2008-10-17 2015-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high sensitive color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937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12016002043T5 (de) Durchlaufanzeige von erfassten bildern
JP2967986B2 (ja) イメージ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イメージデータ処理方法
US20040239885A1 (en) Super-resolution overlay in multi-projector displays
EP1860875A2 (en) High resolution enabling apparatus and method
EP0370322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ment of images
US5191416A (en)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KR100298466B1 (ko) 플랫패널·디스플레이 검사용 화상취득방법 및 장치
EP0370323A3 (en) High resolution image compression methods and apparatus
US6731301B2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computer graphics rendering
KR100257743B1 (ko) 저해상도 시시디 카메라를 이용한 고해상도 화상 획득방법
US7006669B1 (en) Machine vi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sholding images of non-uniform materials
US20030137585A1 (en) Machine vision system
JPH11174219A (ja) 色エイリアス防止フィルターを有するデジタル画像形成システム
Watson Spatial standard observer
JPH02108392A (ja) 画像の動き測定方法及び装置
DE112010005744T5 (de) Verfahren für die Detektion und Korrektur einer lateralen chromatischen Aberration
JP2006208340A (ja) 欠陥検査装置
EP1676238B1 (en) A method for measuring dimensions by means of a digital camera
JPH08201025A (ja) 非接触座標寸法測定機
KR100303181B1 (ko) 다수의 촬상소자를 이용한 고해상도 촬영장치의 보정방법
US9787978B1 (en) Display inspection
JPH0979946A (ja) 表示装置の検査装置
EP1394739A1 (en) Mosaicing from microscopic images of a specimen
EP1320254A1 (en) An image processing system
JP6068010B2 (ja) 顕微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