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951B1 - 대칭 평면형 단측대역 마이크로파 혼합-변조기 - Google Patents

대칭 평면형 단측대역 마이크로파 혼합-변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951B1
KR100256951B1 KR1019970065015A KR19970065015A KR100256951B1 KR 100256951 B1 KR100256951 B1 KR 100256951B1 KR 1019970065015 A KR1019970065015 A KR 1019970065015A KR 19970065015 A KR19970065015 A KR 19970065015A KR 100256951 B1 KR100256951 B1 KR 100256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wave
mixer
strip line
modulator
conto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6863A (ko
Inventor
정순철
올래그 포즈데프
김철동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5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6951B1/ko
Publication of KR19990046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CMODULATION
    • H03C7/00Modulating electromagnetic waves
    • H03C7/02Modulating electromagnetic waves in transmission lines, waveguides, cavity resonators or radiation fields of antennas
    • H03C7/025Modulating electromagnetic waves in transmission lines, waveguides, cavity resonators or radiation fields of antenna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C7/027Modulating electromagnetic waves in transmission lines, waveguides, cavity resonators or radiation fields of antenna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CMODULATION
    • H03C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modulators or modulation methods covered by H03C
    • H03C2200/0004Circuit elements of modulators
    • H03C2200/0008Variable capacitors, e.g. a varicap, a varactor or a variable capacitance of a diode or transis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CMODULATION
    • H03C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modulators or modulation methods covered by H03C
    • H03C2200/0004Circuit elements of modulators
    • H03C2200/0033Transmission lines, e.g. striplines, microstrips or coplanar l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 Amplitude Mod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대칭 평면형 단측대역 마이크로파 혼합-변조기는,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대칭 축을 둘러싸고 있는 닫힌 윤곽선 형태의 유전체 스트립 라인과; 상기 제 1 대칭 축과 상기 스트립 라인 윤곽선이 교차되는 첫 번째 지점에서 상기 윤곽선 형태와 접속되며 가늘고 긴 라인 형태인 제 1 마이크로파/RF 입력 포트; 상기 제 1 대칭 축과 상기 스트립 라인 윤곽선이 교차되는 두 번째 지점에서 상기 윤곽선 형태와 접속되는 단락된 스트립 라인; 상기 제 1 대칭 축에 의하여 상기 스트립 라인 윤곽선 형태와 교차되는 두 지점에서 제 1 사선에 의해 상기 스트립 라인 윤곽선 형태와 접속되는 다이오드 쿼드; 상기 다이오드 쿼드의 제 2 사선과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대칭축과 정렬된 두 개의 스트립 라인 형태의 제 2 및 제 3 마이크로파 포트 및 상기 제 2 및 제 3 마이크로파 포트와 각각 접속되어 입/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두 개의 양방향 통신기기(duplexer)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파 단측대파 혼합-변조기는 회로의 구조는 밀집되어 있으며 대칭적이다. 다이오드 쿼드를 사용할 수도 있는 집합구조내에서의 이런 점은 변환 손실과 동적인 특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대칭 평면형 단측대역 마이크로파 혼합-변조기
본 발명은 대칭 평면형(Symmetric planar) 단측대역(Single Side Band: SSB) 마이크로파 혼합-변조기(Mixer-Modulato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이크로파(10GHz대)와 저주파 신호(100Mhz대) 신호간의 상승/하강 변환을 위한 마이크로파 다이오드 혼합-변조기 및 그에 해당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며, 좀더 자세히는 발룬(balun) 회로와 그에 관계된 혼합기 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저주파대에서 기본 대역을 가지는 신호 스펙트럼을 좀더 높은 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헤테로다인(Hetrodyne)을 이용하는 것이다. 헤테로다인 방식의 기본 원리는 실제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고주파(Radio Frequency: RF)나 음성 신호인 저주파가 아닌 특정한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를 사용하여 변조를 수행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헤테로다인 방식은, 증폭(Amplification)과 여파(Filting)등의 작업을, 수신된 주파수와는 관계없이 고정된 중심 주파수에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변조 방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혼합기(Mixer)가 필수적으로 사용되는데, 혼합기는 입력 주파수를 고정된 혼합 주파수와 합성하여 중간 주파수 성분을 생성해내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수신단에서 입력 주파수 RF와 혼합 주파수 LO를 입력받는 혼합기는 RF, LO, LO+RF, LO-RF 등의 여러 가지 성분을 생성해 낸다. 특히 LO+RF 및 LO-RF 성분 만을 생성해내는 혼합기는 조화 혼합기(Balanced Mixer)라고 한다.
이때 상기 LO+RF 및 LO-RF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전송되는 주파수의 대역을 절약하기 위하여 두 주파수 측대역(Side Band)중 하나인 단측대역(SSB)만을 전송하게 된다. 상기한 단측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최초로 DSB(Double Side Band) 신호를 생성하고 그 다음에 여파 작업에 의해 상하측대역들 중에서 하나를 제거하여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단측대역 방식에서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한 성분을 다른 하나의 이미지(image)라고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두가지 성분을 생성해내는 혼합기를 이미지 복구 혼합기(image recovery mixer)라고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혼합기는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두 개의 혼합 생성물을 제공하게 되는데, 혼합기의 유형에 따라 이미지 성분은 제거될 수도 있고 복구될 수도 있다. 만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두 개의 혼합기를 나란히 배치한 다음, 입력되는 신호와 LO 신호의 위상을 적절히 조절해 준다면, 두 혼합기에서 생성된 이미지 성분은 서로간에 180°의 위상차를 가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제거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혼합기를 배치하고 회로를 조절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LO 신호와 원하는 신호 사이의 변조 생성물로서 간주되고 있는 이미지 주파수는 입력(신호) 전력의 필수적인 부분을 운반하게 된다. 그래서 낮은 변환 손실을 야기시킬 수 있는 이미지 채널에, 종단 처리(termination)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혼합기 유형에 상관 없이 이미지 채널은 신호 채널을 따라서 전파되는 경향을 갖는다. 어떠한 단측대역 혼합기에서든, 이미지는 동일한 구조의 두 혼합기 중 반대 위상을 가진 한쪽 혼합기에 의해 생성된다. 그래서 만약 이 혼합기들이 가까운 거리에 함께 위치되어 있다면, 이미지 채널 신호는 흩어져서 출력되지 않고 (nondispersively) 단락화(short circuit)될 것이다.
실제 구조를 조사해 보면, 두 혼합기들 사이의 거리는 다이오드 쿼드(quadrature)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되며, 파장과 비교해 볼 때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작다. 그러나 두 혼합기들 사이의 거리가 논쟁의 여지가 있을 정도로 길어지면, 주파수에 따른 이미지 채널 부하의 중요한 편차와, 결과적으로 공급할 수 없을 정도의 변환 손실(Conversion Loss)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최종 출력단에서 변환 손실을 상쇄시킬 수 없음을 뜻하므로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다이오드 쿼드를 생성하지 않고 각 혼합기들간에 일정한(significant)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형태의 단측대역 혼합기에서, 이미지 임피던스를 안정화하기 위한 방법은 지금까지 단 한가지가 알려져 있다. 즉, 단순한 3 포트 형태의 고주파 전력 분배기를 내부적으로 매직-T (Magic-T)에 의해 절연된 4 포트로 대치하는 것이다. 대치된 매직-T의 입력(실제 신호) 포트 브릿지는 반대편 포트로 초점이 맞춰진 이미지 주파수와는 독립(free)되며, 이렇게 해서 매치된 부하에 의하여 종단처리(Termination)될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이중화 형태의 이미지 제거 혼합기의 구조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단에서 90도의 위상차를 주어 cos RF와 sin RF를 혼합기로 제공하게 되며, 마찬가지로 cos LO와 sin LO가 제공된다. 상기 혼합기에서는 출력된 IF 신호는 출력 하이브리드에서 조합된다. 출력 신호는 이미지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제거되는 IF 포트에서 동위상으로 결합된다. 반대의 신호, 즉 이미지 신호는 서로 더해져서 50Ω 종단처리된 이미지 포트에서 제거된다.
단측대역 혼합기의 이러한 유형들(여기서 이미지 임피던스의 안정화 문제는 변환 손실을 저하시키기 위한 비용에 비하면 별 문제가 아니다.)에 대한 실례는 J.M.Mourant와 S.Jurgiel이 집필한 "A Broadband Planar Image Reject Mixer"(1994,IEEE MTT Symposium, pp.1637~1640, TH3E-3)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한쪽 혼합기와 일종의 고주파 분배기 사이의 거리의 관점에서 볼때, 단측대역 혼합기는 두가지 주된 유형으로 제시될 수 있다.
첫 번째 유형은, 이미지 복구(강화된)는 규격화된 다이오드 쿼드와, 절연되지 않은 포트를 가진 고주파 전력 분배기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입력 신호와 LO 는 위상차이를 두고 다이오드 쿼드로 입력되며, 이미지는 두 혼합기 사이에서 제거된다.
두 번째 유형은, 이미지 제거는 비교적 먼 거리에 위치한 두 개의 혼합기(balanced or more complicated)와, 포트가 절연된 종단(termination)을 가진 4포트 고주파 전력 분배기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그러면 최종 출력되는 이미지 채널은 종단에 의하여 제거된다.
상기 두가지 유형 모두 근사적으로는 같은 이미지 채널 제거의 효과를 갖지만 첫 번째 유형은 좀더 향상된 변환 손실을 갖는다.
미국 특허 제 4,118,670 호에 종래 기술에 의한 이미지 복구 혼합기 회로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은 상기 미국 특허에 개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혼합기 회로의 구조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제거 구조로 구성된 혼합기는 서로 90도 천이된 두 개의 LO 신호(sin LO, cos LO)와 동일한 RF 신호(RF)에 의해 구동되며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두 개의 단일(single) 조화 혼합기를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LO 신호(cos LO, sin LO)는 커플레이너(coplanar) 도파관을 통해 제공되며 대칭 평면내의 자기 장벽(magnetic wall)으로 이븐 모드(even mode)를 발생시킨다. 상기 RF 신호는 마이크로 스트립-슬롯 라인 천이(transition)를 통한 커플레이너을 통해 제공되며 대칭 평면내의 전기 장벽(electric wall)으로 오드 모드(odd mode)를 발생시킨다.
동일한 구조를 가진 상기 혼합기에서는 각각 두 개의 동일한 IF 신호가 발생된다. 첫 번째 IF 신호는 LO 신호의 상호 작용(interaction)에 의한 신호이며 다른 하나는 LO 이미지(image)에 의한 것이다. 원하는 신호 채널과 이미지 채널을 분리하기 위하여, 도 1 에 나타난 IF 쿼드형(quadrature) 하이브리드에서 혼합기의 출력을 조합한다.
두 생성 신호들은 하이브리드의 서로 다른 출력 포트를 통해 각각 출력된다. 이때 원하는 신호 채널은 출력단을 통해 cos IF와 sin IF로 출력되며, 이미지 성분은 다이오드 쿼드 형태를 이루고 있는 두 개의 혼합기 사이에서 180도의 위상차이를 가지게 되므로 제거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어떠한 외부 여파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이미지 채널의 억제가 가능하다는 것은 모든 "위상 형태(phase type)" 단측대역 혼합기의 공통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 도 1 과 같이 구성된 혼합기는 LO 입력 포트와는 별도의 슬롯으로 구성된 RF 입력 포트를 사용하게 되므로, PCB(Printed Circuit Board) 상에 복잡한 에칭(etching) 절차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유형은 PCB 제조상의 밀집도를 떨어뜨리며, 다이오드 조립이나 조정시의 불편함 및 제조 비용 등의 문제점들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미국 특허 제 4,249,263 호에는 일반적인 형태의 단일 혼합기 회로가 계시되어 있다. 도 2 는 상기 미국 특허에 나타난 종래 기술에 의한 단일(single) 조화 혼합기 회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다이오드에 의하여 로드된 반파장 U-자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공진기(resonator)(10)를 포함한다. U-자 형태의 공진기는 변압기인 발룬(balun)으로 간주될 것이다.
그래서 조화되지 않은(unbalanced) 형태로 점 1에 가해지고 있는 RF 신호는 다이오드를 통과하면서 점 1과 2에 조화된 형태로 공급된다. 그렇게 해서 두 다이오드가 동위상이 되도록 한다. DC 바이어스(4)는 RF 채널을 통한 IF 신호의 전파를 막기 위해서 U-공진기로 연결된다. 다이오드 쿼드로 연결된 IF와 LO 채널을 분리하기 위하여는 일종의 양방향기기(duplexer)가 요구된다. 도 2 에서는 캐패시터와 리액턴스를 사용한 양방향기기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일 형태의 조화 혼합기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위상 조절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이미지 채널을 제거할 수 없다. 그러므로 결과적으로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의 변환 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미지 복구가 요구되는 단측대역 혼합기의 응용 분야에서 단측대역 혼합기의 배치를 향상시킴으로써, 제조상의 비용 절감, PCB와 하우징의 단순화, 다이오드 조립과 조정상의 편리와 MMIC(Monolithic Microwave Intergrated Circuit) 형태의 실현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이중화 형태의 이미지 제거 혼합기의 구조도.
도 2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미지 복구 혼합기 회로의 구성도.
도 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단일 조화 혼합기 회로의 구성도.
도 4 은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복구 혼합기 회로의 구성도.
도 5 는 혼합기를 사용하여 생성된 변조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
도 6 는 본 발명에 의한 합 주파수 차단 여파기가 부가된 이미지 복구 혼합기 회로의 구성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대칭 평면형 단측대역 마이크로파 혼합-변조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대칭 축을 둘러싸고 있는 닫힌 윤곽선 형태의 유전체 스트립 라인;
상기 제 1 대칭 축과 상기 스트립 라인 윤곽선이 교차되는 첫 번째 지점에서 상기 윤곽선 형태와 접속되며 가늘고 긴 라인 형태인 제 1 마이크로파/RF 입력 포트;
상기 제 1 대칭 축과 상기 스트립 라인 윤곽선이 교차되는 두 번째 지점에서 상기 윤곽선 형태와 접속되는 단락된 스트립 라인;
상기 제 1 대칭 축에 의하여 상기 스트립 라인 윤곽선 형태와 교차되는 두 지점에서 제 1 사선에 의해 상기 스트립 라인 윤곽선 형태와 접속되는 다이오드 쿼드;
상기 다이오드 쿼드의 제 2 사선과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대칭축과 정렬된 두 개의 스트립 라인 형태의 제 2 및 제 3 마이크로파 포트; 및
상기 제 2 및 제 3 마이크로파 포트와 각각 접속되어 입/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두 개의 양방향 통신기기(duplexer)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마이크로파 포트와 상기 스트립 라인 윤곽선은 하나의(lumped) 캐패시터에 의하여 상호 교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다이오드 쿼드는 브리지와 공통 애노드 리드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사선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2 및 제 3 마이크로파 포트는 1/8 파장 길이의 스터브 형태인 합 주파수 대역 차단 여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 마이크로파/RF 포트로 조정이 가능한 DC 바이어스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이오드 쿼드를 사용한 형태의 이미지 복구 혼합기에 대한 것으로서, RF 포트 및 IF 포트를 하나의 기판상에 제조하여 PCB 상의 밀집도를 높이도록 한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복구 혼합기 회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복구 혼합기는 종래의 조화 혼합기(도 1)에 기초하여 구성되어 있다. 다이오드 21,22는 유전체를 통해 하나의 단일 혼합기(Single Mixer) 구조를 형성하며, 다이오드 23,24도 마찬가지로 하나의 단일 혼합기 구조를 형성한다.
90도의 차이를 가지는 LO 신호의 각 요소(cos LO, sin LO)는 각각 다이오드 21,22 및 23,24와 유전체에 의해 형성된 두 개의 안정된 혼합기로 공급된다. 공급된 두 LO 신호가 위상의 차이를 가지기 때문에, LO-RF와 LO-이미지간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생성되는 IF 신호들(신호, 이미지)은 각각의 혼합기 내에서 90도의 위상 차이를 가진다. 쿼드형(quadrature) 하이브리드와 결합된 IF 혼합기로부터의 출력된 IF 신호는 절연된 반대쪽 출력 포트(31)로 초점이 맞추어진다. 여기서 두 혼합기의 반대 포트들(31)은 동위상으로 결합된다.
각각의 한쪽 혼합기에 의하여 발생된 이미지 주파수 요소들은 RF 채널을 향해서 서로 반대 위상(180°)을 가지고 혼합기로부터 흘러나오게 되어, 결과적으로 서로간에 억제된다. 두 혼합기 사이는 전기적으로 매우 짧은 거리를 가지기 때문에, 이미지 임피던스는 주파수에 무관하며 단락(short circuit)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각각의 혼합기에 의하여 생성된 두 번째 LO 고조파(hamonic)(2LO)는 점 31과 32가 반대 위상이 되도록 한다. 그래서 LO/IF 채널로부터 절연되어 있는 RF 채널을 통해서 전파되는 경향을 가진다.
A.Saleh의 "Theory of Resistive Mixers"(Ph.D)에 개시된 바와 같이, LO의 두 번째 고조파가 낮은 변환 손실을 이룰수 있도록 회로를 단락(short circuit)하는 것은 특히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채널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RF 채널내의 적절한 위치에 어떤 특별한 여파기가 삽입되어야 한다.
같은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상기 도 3 에서와 같이 브리지 구성의 형태를 가지는 다이오드 쿼드를 사용한다. 다이오드 쿼드에서는 한쪽 혼합기에 LO 신호의 기본 요소들간에 90도 위상차가 공급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LO의 두 번째 고조파는 넓은 주파수 대역내의 단락 임피던스에서 180도의 위상차를 가질 것이다.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는 이미지 신호는 결과적으로 서로간에 제거된다. 이와 같이 브리지 구성을 사용하게 되면, 부가적으로 혼합기 다이오드의 DC 바이어싱을 실현함에 있어서 보다 편리하다는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도 3 에서 RF 채널에 연결된 DC 바이어스는 RF 채널을 통한 IF 신호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직류 전원을 RF 채널로 흘려보낼 수 있다. 혼합기에서는 원하는 LO+RF 나 이미지인 LO-RF 외에 고차의 합 주파수(SUM frequency) 성분이 나타날 수 있다.
도 4 는 혼합기를 사용하여 생성된 변조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필요한 IF, RF, LO 및 이미지 성분 외에 같은 차수만큼씩 변환된 합 주파수 성분이 부가되어 나타난다. IF만큼씩 같은 차수로 변환되어 생성되는 합 주파수는 IF 채널로 전파되는 경향을 가지며, 신호 전력의 중요한 부분을 혼합기 밖으로 내보낸다. 이렇게 흘러나가는 신호 전력은 변환 손실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합 주파수 성분의 제거를 위해서는 특별한 합 주파수 차단 여파기(Sum Frequency Stop Filter)를 사용하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하여 합 주파수 차단 여파기가 부가된 이미지 복구 혼합기 회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복구 혼합기는 민감한 합 주파수로 종단된 부가적인 대역 차단 여파기로 구성된다. 합 주파수 성분에 의한 변환 손실의 증가를 막기 위해서, 1/8 파장의 길이를 가지는 스터브 40를 LO 입력 포트와 연결한다. 도 5 에 나타낸 스터브 40은 고차수의 LO 성분인 합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는 차단 필터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회로의 밀집도나 혼합기 구조상 기판의 대칭성을 유지하면서도 배치상의 단순화를 얻을 수 있으며, 기판의 접지면이 에칭 절차에서 제외되므로 제조상에서 어떠한 평행면(double sided alignment)도 요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혼합기는 모든 혼합기 배치상의 부품은 잘 조사된 불연속성의 기초위에 구성되며, 간단한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확실히 모의 실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또다른 다른 바람직한 관점으로는, 직류 바이어스가 LO 전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또는 혼합기의 선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대칭 축을 둘러싸고 있는 닫힌 윤곽선 형태의 유전체 스트립 라인;
    상기 제 1 대칭 축과 상기 스트립 라인 윤곽선이 교차되는 첫 번째 지점에서 상기 윤곽선 형태와 접속되며 가늘고 긴 라인 형태인 제 1 마이크로파/RF 입력 포트;
    상기 제 1 대칭 축과 상기 스트립 라인 윤곽선이 교차되는 두 번째 지점에서 상기 윤곽선 형태와 접속되는 단락된 스트립 라인;
    상기 제 1 대칭 축에 의하여 상기 스트립 라인 윤곽선 형태와 교차되는 두 지점에서 제 1 사선에 의해 상기 스트립 라인 윤곽선 형태와 접속되는 다이오드 쿼드;
    상기 다이오드 쿼드의 제 2 사선과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대칭축과 정렬된 두 개의 스트립 라인 형태의 제 2 및 제 3 마이크로파 포트; 및
    상기 제 2 및 제 3 마이크로파 포트와 각각 접속되어 입/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두 개의 양방향 통신기기(duplexer)를 포함하는, 대칭 평면형 단측대역 마이크로파 혼합-변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마이크로파 포트와 상기 스트립 라인 윤곽선은 럼프된(lumped) 캐패시터에 의하여 상호 교차되는, 대칭 평면형 단측대역 마이크로파 혼합-변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 쿼드는 브리지와 공통 애노드 리드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사선에 포함되어 있는, 대칭 평면형 단측대역 마이크로파 혼합-변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마이크로파 포트는 합 주파수 대역 차단 여파기를 포함하는, 대칭 평면형 단측대역 마이크로파 혼합-변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합 주파수 차단 여파기는 1/8 파장 길이의 스터브 형태인, 대칭 평면형 단측대역 마이크로파 혼합-변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이크로파/RF 포트로 조정이 가능한 DC 바이어스가 제공되는, 이미지 복구를 위한 단측대역 마이크로파의 대칭 평면형 혼합-변조기.
KR1019970065015A 1997-12-01 1997-12-01 대칭 평면형 단측대역 마이크로파 혼합-변조기 KR100256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015A KR100256951B1 (ko) 1997-12-01 1997-12-01 대칭 평면형 단측대역 마이크로파 혼합-변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015A KR100256951B1 (ko) 1997-12-01 1997-12-01 대칭 평면형 단측대역 마이크로파 혼합-변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863A KR19990046863A (ko) 1999-07-05
KR100256951B1 true KR100256951B1 (ko) 2000-05-15

Family

ID=19526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015A KR100256951B1 (ko) 1997-12-01 1997-12-01 대칭 평면형 단측대역 마이크로파 혼합-변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69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863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9891A (en) Planar broadband FET balun
US5361050A (en) Balanced split ring resonator
US5164690A (en) Multi-pole split ring resonator bandpass filter
EP0676861B1 (en) Balancing mixer, distributor and band blocking filter used therefor, and method for mixing frequencies
CN110784179B (zh) 一种双平衡fet混频器
US4000469A (en) Combination waveguide and stripline downconverter
US7164902B2 (en) Filter-integrated even-harmonic mixer and hi-frequency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JPH0452642B2 (ko)
JP4343374B2 (ja) シングルバランスミキサ
JP4501711B2 (ja) 偶高調波ミクサ
US4291415A (en)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double balanced mixer
US4661997A (en) Mixer for use in a microwave system
KR100256951B1 (ko) 대칭 평면형 단측대역 마이크로파 혼합-변조기
US20030045262A1 (en) Waveguide mixer/coupler
US6642882B2 (en) Mixer, radar modul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US4399562A (en) Full balun mixer
JP3412399B2 (ja) 偶高調波ミクサ、直交ミクサ、イメージリジェクションミクサ、2重平衡形ミクサ、受信装置、送信装置および位相同期発振器
CN219513307U (zh) 一种用于分频的新型波导圆极化器
JPH11127034A (ja) シングルバランスドミクサ
JPS61224506A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回路
US6389274B1 (en) Subharmonic frequency converter for applications to millimetric radio waves
JP2896011B2 (ja) 高調波ミクサ
KR0168910B1 (ko) 이중결합 전송선로쌍을 이용한 전력 분배/합성기
Yuan A low noise broadband Ka-band waveguide mixer
KR20050042580A (ko) 브랜치라인 및 링 하이브리드를 이용한 더블밸런스드 믹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