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883B1 - 가방 도난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방 도난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883B1
KR100256883B1 KR1019970055682A KR19970055682A KR100256883B1 KR 100256883 B1 KR100256883 B1 KR 100256883B1 KR 1019970055682 A KR1019970055682 A KR 1019970055682A KR 19970055682 A KR19970055682 A KR 19970055682A KR 100256883 B1 KR100256883 B1 KR 100256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voltage
transmitter
output
microcomputer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178A (ko
Inventor
엄종석
Original Assignee
신양주
주식회사한국프로안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양주, 주식회사한국프로안전시스템 filed Critical 신양주
Priority to KR1019970055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6883B1/ko
Publication of KR19990034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8Device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purses, luggage or hand carried bags
    • A45C13/24Devices for sound-producing, piercing, gas-discharging,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8Device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purses, luggage or hand carried bags
    • A45C13/185Device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purses, luggage or hand carried bags of purses, money-bags or wal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H13/0012Electrical discharge weapons, e.g. for stu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방에 탑재된 고전압발생수단을 리모콘으로 원격조정이 가능하게 하여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경보/정지/자동 등의 기능버튼이 구비된 입력부(110)와, 입력부에서 설정된 기능을 다음 신호가 입력될 때 까지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래치부(120)와, 래치부에서 래치된 신호를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엔코딩부(130)와, 엔코딩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주파수 대역이 다른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140)를 갖는 송신기(100); 송신기(100)에서 반송된 무선주파수를 주파수 대역별로 각각 수신하는 수신부(210)와, 수신부에 수신된 RF 무선주파수에 실린 비밀코드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고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컴(220)과,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의해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복호화시켜 출력하는 음원저장부(230)와, 음원저장부에서 출력된 음원을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는 증폭부(240)와,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의해 송출되는 음원과 함께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암발생수단 (250)을 갖는 수신기(2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가방 도난방지 시스템
본 발명은 중요서류나 현금등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방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방에 고전압발생수단을 탑재하고 원거리에서 무선으로 제어함으로써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가방 도난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금융기관이나 회사의 현금을 운반할 경우, 국가의 기밀서류가 담긴 외교행량을 운반할 경우, 또는 귀중품 등 중요한 현물을 운반할 경우 가능한 가방에 휴대하여 이동하게 되며, 이동중 경호요원에 의해 보호를 받고 있다.
그러나 범죄수법이 갈수록 지능화되면서 적극적인 방법수단을 동원하여도 예기치 못한 도난을 당할 수 있다.
따라서 가방을 도난당하거나 또는 탈취된 후 즉각적으로 대처하여 무용화시킬 수 있는 도난 방지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가방에 고전압발생장치나 경보장치를 탑재시키고 원격조종에 의해 이들을 제어할 수 있는 도난방지용 원격시스템이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일예로 종래의 가방 도난방지시스템은 한국 특개공 95-30918호나 본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공개된 한국 실개공 96-243호 등에 알려져 있다.
상기한 고안들은 고전압/경보 발생장치를 가방에 탑재하고 가방이 탈취 또는 도난당할 경우 원격제어에 의해 고전압을 발생시켜 탈취자의 인체에 전기적인 충격을 가함으로써 탈취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종래 제시된 고안들과 도난방지 시스템에 대한 원리는 동일하다.
이러한 도난 방지 시스템은 리모콘 송신기와 본체에 사용자가 임의로 특정암호를 세팅하고 무선주파수에 의해 고전압발생장치를 동작시키거나 가방과 사용자간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격될 경우 자동으로 고전압발생장치 및 경보장치가 구동하며, 또한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이 부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시스템은 동상 2인 1조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갖는 2대의 리모콘 송신기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 주파수 혼선에 의해 본체에서 인식하지 못하고 오동작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비밀코드 입력방식은 하드웨어적으로 회로기판(PCB)의 패턴을 끊어 비밀코드를 세팅하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비밀코드만을 사용할 수 있고 리모콘 분실시 수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시스템에 운영에 필요한 기능을 설정하거나 또는 이상이 있을 경우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식별하는 방식이므로 시스템에 이상이 있어도 정확히 인식하지 못한 채 사용할 수 있는 등 사용상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RF 무선주파수 대역폭이 다른 2대의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비밀코드를 각각 인식하여 주파수 혼선을 방지함으로써 수신측의 정확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가방 도난 방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축 비밀코드를 임외로 변경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다수의 비밀코드를 저장 및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송신기 분실시 비밀코드의 변경과 리코콘 송신기의 대체가 용이토록 하는 가방 도난 방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각종 기능을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시스템의 기능 점검 및 기능설정이 용이토록 하는 등 사용상의 편리와 시스템의 안정된 운영을 도모할 수 있는 가방 도난 방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송신측 주파수 대역을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 및 해당 기능을 인식할 수 있는 집적회로를 사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으며, 이는 고전압/경보 발생회로를 무선에서 원격 조작으로 구동할 수 있는 리모콘 송신기와, 가방등에 탑재되고 리모콘 송신기에 의해 원거리에서 고전압발생이나 경보음을 송출할 수 있는 고전압/경보 발생회로가 구비된 도난 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경보/정지/자동 등의 기능버튼이 구비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설정된 기능을 다음 신호가 입력될 때 까지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래치부와, 상기 래치부에서 래치된 신호를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엔코딩부와, 상기 엔코딩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주파수 대역이 다른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증폭/송신부를 갖는 송신기; 상기 송신기에서 반송된 무선주파수를 주파수 대역별로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RF 무선주파수에 실린 비밀코드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고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의해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복호화시켜 출력하는 음원저장부와, 상기 음원저장부에서 출력된 음원을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는 증폭부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의해 송출되는 음원과 함께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압발생수단을 갖는 수신기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기는 배터리의 전압레벨 상태를 검출하여 엔코딩부에 출력하는 배터리전압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신기의 음원저장부는 서어비스 안내음성 및 경고음성이 저장된 음성 IC와 경보음이 저장된 경보음 IC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기는 배터리의 저전압상태를 판별하는 배터리전압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송신기에서 반송된 신호에 따라 가방에 탑재된 고전압발생수단 및 음원송출수단이 동작하면서 도난자에게 일시적으로 전압충격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과정에 있어서, 사용자가 경보버튼을 누르면 주파수대역이 낮은 주파수가 출력하게 되고 마이컴에서는 해당 주파수를 인식하여 비밀코드와 일치할 경우 가방에 탑재된 고전압발생수단 및 경고음발생수단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자동버튼을 누르면 높은 주파수대역의 주파수가 출력되어 전파도달 거리를 짧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와 가방과의 거리가 전파도달 거리 범위에서 벗어날 경우 마이컴에서 상대적으로 약해지는 수신감도를 기준감도와 비교한 후 고전압발생수단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고전압을 출력함으로써 전압충격에 의해 탈취자로부터 가방 파지상태를 해제시키고 경각심을 고취시켜 더 이상의 이동을 제한시킨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경보발생장치가 탑재된 가방 부분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도난방지 시스템을 보인 블록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의 상세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본체에 적용된 고전압/음원발생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송신기 110 : 입력부
120 : 래치부 130 : 엔코딩부
140 : 송신부 150 : 배터리전압 검출부
200 : 수신기 210 : 수신부
220 : 마이컴 230 : 음원저장부
240 : 증폭부 250 : 고전압발생부
260 : 배터리전압 검출부 270 : 충전부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난 방지시스템이 적용된 일예로 서류가방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전체부호를 1로 표시한 가방은 저면에 고전압발생회로 및 경고음송출회로가 설계된 도난방지 회로기판(2)를 탑재하고 있다. 가방(1)은 내측케이스(3)와 외측케이스(4)로 이루어진 2중 케이스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외측케이스(3)(4) 사이에는 코일(5)이 균일하게 배열되어 있다. 상기 코일(5)의 양단은 고전압발생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후술할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고전압을 발생함으로써 도난자에게 고전압의 충격을 가하여 가방 파지상태를 해제시킨다.
제2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 시스템을 보인 블록회로도로써 사용자가 보관하는 송신기(100)와 가방(1)에 탑재된 수신기(200)로 2원화되어 있으며, 송신기(100)에서 송출되는 RF 무선주파수에 의해 수신기(200)를 원격제어한다.
상기 송신기(100)는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경보/정지/자동 등의 기능버튼이 구비된 입력부(110)와, 입력부(110)에서 설정된 기능을 다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래치부(120)와, 래치부(120)에서 래치된 신호를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엔코딩부와, 엔코딩부(130)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고출력안테나(ANT1) 및 저출력안테나(ANT2)를 통해 각각 RF 무선주파수를 송출하는 송신부(14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출력안테나(ANT1)는 4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송출하고 저출력안테나(ANT2)는 300MHz 대역의 RF 무선주파수를 각각 송출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경보버튼(S1), 자동버튼(S2) 및 정지버튼(S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경보버튼(S1)은 사용자가 직접 수신기(200)를 제어하는 것으로, 고출력의 RF 무선주파수를 송출하고, 반대로 자동버튼(S2)은 저출력의 RF 무선주파수를 송출하여 송신기(100)와 수신기(200) 사이의 전파도달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수신감도가 기준감도보다 그 감도가 낮을 경우 자동으로 고전압 및 경고음을 발생시켜 직간접적으로 도난자에게 경각심을 고취시킨다.
상기 래치부(120)는 3개의 노어게이트(NOR1-NOR3)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며, 제1노어게이트(NOR1)는 경보버튼(S1)와 자동버튼(S2)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제2노어게이트(NOR2)는 제1노어게이트(NOR1)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있다. 제3노어게이트(NOR3)는 경보버튼(S1)과 정지버튼(S3) 신호 및 제1노어게이트(NOR1)의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으로 한다.
상기 엔코딩부(130)는 집적화된 IC를 사용하며, 이의 입력단(In1-In3)에는 경보버튼(S1), 정지버튼(S3) 및 자동버튼(S2)를 입력으로 하는 제2노어게이트 (NOR2)의 출력신호가 각각 입력되며, 출력단(Out1)은 송신부(140)와 접속되어 제어한다.
상기 송신부(140)는 고출력부(141)와 저출력부(142)로 구성되며, 상기 엔코딩부(130)의 출력단(Out1)과 연결되어 동시에 제어된다.
상기 고출력부(141)는 엔코딩부(130)의 출력단(Out1)과 연결된 제1트랜지스터(Q1)와 자동버튼(S2)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1노어게이트(NOR1)의 출력단과 연결된 제2트랜지스터(Q2)와 연결되며 상기한 트랜지스터들의 동작에 따라 엔코딩부(120)의 출력신호를 증폭함과 동시에 고출력안테나(ANT1)를 통해 RF 무선주파수를 송출하게 되며, 상기 고출력안테나(ANT1)는 자동버튼(S2)의 입력신호와 관련하여 RF 무선주파수를 송출한다.
상기 저출력부(142)는 엔코딩부(130)의 출력단(Out1)과 연결된 제3트랜지스터(Q3)의 동작상태에 따라 경보버튼(S1)의 입력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정지버튼 (S3)의 입력신호를 상기 제3트랜지스터(Q3)에 의해 증폭하여 저출력안테나(ANT2)를 통해 RF 무선주파수를 송출한다.
송신부(100)에는 배터리전압을 검출하는 배터리전압검출부(150)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전압검출부(150)는 제너다이오드(ZD1)의 제너전압(7.5V)에 의해 동작하는 제4트랜지스터(Q4)와, 상기 제4트랜지스터(Q4)의 출력신호를 반전하여 엔코딩부(130)에 출력하는 제4노어게이트(NOR4)로 구성된다.
또한, 경보버튼(S1)과 정지버튼(S3) 후단에는 발광다이오드(LED1)가 연결되며, 자동버튼(S2) 후단에도 발광다이오드(LED2)가 연결되어 이들 버튼이 압압될 경우 발광함으로써 입력상태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수신기(200)는 송신기(100)의 송신부(130)에서 송출된 RF 무선주파수를 주파수 대역별로 수신하는 수신부(210)와, 상기 수신부(210)에 수신된 RF 무선주파수에 실린 비밀코드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고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컴(220)과, 상기 마이컴(22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복호화시켜 출력하는 음원저장부(230)와, 상기 음원저장부(230)에서 출력된 복화화된 음원을 증폭하여 스피커(SP)를 통해 송출하는 증폭부(240)와, 상기 마이컴(220)의 제어신호에 의해 송출되는 음원과 함께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압발생부(250)로 구성되며, 수신기(200)는 배터리의 저전압상태를 판별하는 배터리전압검출부(260) 및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27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신부(210)는 수신된 RF 무선주파수를 대역별로 감지하는 제1수신부 (211)와 제2수신부(212)로 구성되며, 제1수신부(211)는 400MHz대역의 RF 무선주파수를 수신하고, 제2수신부(212)는 300MHz대역의 RF 무선주파수를 수신함으로써, 송신기(100)의 경보버튼(S1), 자동버튼(S2), 정지버튼(S3)의 입력신호를 각각 감지하여 마이컴(220)에 인가한다.
상기 마이컴(200)은 수신된 RF 무선주파수에 따라 해당 시스템을 제어하게 되며, 비밀코드입력부(221)에서 입력되는 비밀코드를 부호화하여 코드저장부(222)에 저장한다. 이때 코드저장부(222)는 시스템 고유의 비밀코드를 부여받게 되고 다른 가방에 탑재된 시스템과 차별화된다. 즉, 해당 송신기의 RF 무선주파수에 반송된 비밀코드와 수신기의 비밀코드가 일치할 경우에 동작하고, 반대로 다른 조의 송신기에서 송출되는 RF주파수에는 동작하지 않게 되며, 송신기를 분실하였을 경우에는 수신기에 탑재된 비밀코드와 일치하는 비밀코드를 신규 송신기를 통해 세팅시킴으로써 송신기 분실시 비밀코드를 수정하기가 편리하다.
상기 음원저장부(230)는 음성IC(231)와 경보음IC(232)로 각각 구분되며, 상기 음성IC(231)는 기능버튼의 현재 세팅된 상태나 배터리 충전상태를 안내음성으로 서어비스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과 동시에 저전압에 의해 시스템 이 오동작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경보음IC(232)는 마이컴(220) 제어에 의해 고전압발생부(250)의 전압발생과 동시에 경고음을 송출하여 탈취자에게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아을러 탈취자 주변사람들로부터 가방을 탈취한 자임을 경고음에 의해 인식시켜 검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오디오증폭부(240)는 음성IC(231)와 경보음IC(232)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레벨로 증폭시켜 스피커(SP)를 통해 외부를 송출하는 것으로, 이를 후단에는 각 트랜지스터(Q4)와 증폭기(AMP1)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Q4)나 증폭기(OP1)를 통해 출력된 음성신호 및 경보음신호는 시스템을 점검할 때 또는 실제 실전상황에 응용될 때를 구분하여 중복되지 않도록 스위칭회로(233)에 의해 음원증폭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되며, 상기 스위칭회로(233)는 마이컴(220)에 의해 제어된다.
부호 250은 고전압발생부로 그 출력단은 고전압모듈(도면 생략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고전압모듈은 가방(1)의 내측케이스(3)와 외측케이스(4)에 배열된 코일(5)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전압 검출부(260)는 배터리(BAT)의 전압레벨을 검출하여 저전압 상태에서 시스템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논 배터리(BAT) 전압을 바이어스 전압으로 이용하는 트랜지스터(Q5)의 후단에 반전비교기(OP3)를 연결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트랜지스터(Q5)의 동작에 따라 인가되는 전압레벨을 비교한 후 그 출력신호를 부정게이트(NOT1)를 통해 반전시켜 마이컴(220)에 인가함으로써 배터리(BAT)의 전압레벨을 검출하게 되며, 배터리(BAT)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낮을 경우에 마이컴(220)에서는 배터리 충전을 요구하는 음성을 송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음성인식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충전부(270)를 통해 충전하거나 또는 새로운 배터리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기(100)와 대응하는 수신기(200)로 이원화되어 있고 RF 무선주파수에 의해 원격 조정이 가능하게 하여 가방 탈취자에게 전압충격을 가함으로써 탈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송신기(100)에는 경보버튼(S1), 자동버튼(S2) 및 정지버튼(S2)이 구비되어 있으며, 경보버튼(S1)은 300MHz대역의 RF무선 주파수를 송출하여 원거리에 있는 수신기(200)를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는 수동방식에 의해 고전압을 발생시키게 되며, 자동버튼(S2)는 사용자와 가방과의 거리가 RF 주파수 도달거리를 벗어날 경우 자동으로 고전압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가방(1)을 도난당해 탈취자가 멀리 달아날 경우 사용자가 수신기 (100)에 구비된 경보버튼(S1)을 누르면 엔코더IC(131)의 입력단(In1)에 하이레벨이 걸리면서 상기 엔코더IC(131)는 출력단(Out1)을 통해 하이레벨을 출력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엔코더IC(131)의 출력단(Out1)에 연결된 저출력부(142)의 제3트랜지스터(Q3)에 하이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면서 도통되어 전원(Vcc)을 증폭시킨 후 고출력 안테나(ANT2)를 통해 비밀코드가 실린 300MHz대역의 RF 무선주파수를 송출한다.
이때 래치부(120)는 경보버튼(S1)의 입력신호에 따라 래치상태가 된다. 즉, 경보버튼(S1)이 압압되면 제1노어게이트(NOR1)의 출력은 로우레벨 상태가 되므로 상기 제1노어게이트(NOR1)과 연결된 고출력부(141)의 제2트랜지스터(Q2)에는 바이어스 전류가 인가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고출력부(141)는 RF 무선주파수를 송출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송신기(100)로부터 송출된 400MHz대역의 RF 무선주파수는 수신기(200)의 제2수신부(212)에 감지되어 마이컴(220)에 인가되며, 상기 마이컴 (220)은 감지된 신호에 반송된 비밀코드를 코드저장부(222)에 저장된 비밀코드와 일치되는지 판단하게 된다. 만약 송수신기의 비밀코드가 일치할 경우에는 마이컴 (220)에서는 경음IC(232)와 고전압발생부(250)를 제어하여 경고음을 송출함과 동시에 고전압을 발생시킴으로써 가방을 파지하고 있는 탈취자에게 전압쇼크를 가해 가방 파지상태를 해제시키게 되고 경고음에 의해 주위사람에게 탈취자임을 환기시킬 수 있다.
만약, 경보버튼(S1)이 압압되면 마이컴(220) 제어에 의해 경음IC(232)는 발진하게 되고, 동시에 스위칭회로(233)가 접속되면서 발진신호는 트랜지스터(Q4)에 의해 증폭되어 스피커(SP)를 통해 약 110dB의 경고음을 송출한다. 동시에 마이컴(220)에서는 출력단(Out1)을 통해 일정한 듀티비를 갖는 구형파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반전게이트(NOT4)에 의해 반전되어 콘덴서(C1)를 충방전시키게 된다.
즉, 반전게이트(NOT4)의 출력신호가 로우레벨일 경우에는 상기 콘덴서(C1)는 방전상태가 되며, 이 방전신호는 로우패스필터(251)를 통해 필터링 된후 고전압모듈에서 승압되어 고전압을 발생한다. 반대로 반전게이트(NOT4)의 출력신호가 하이 레벨일 경우에는 콘덴서(C1)는 충전상태가 되어 고전압발생이 중단되며, 이러한 콘덴서(C1)의 충방전과 연동하여 약 70KV의 고전압을 발생한다. 이때 상기 고전압은 탈취자가 치명상을 입지 않도록 약 30mA정도의 전류가 인가되게 한다.
이후 상황을 해제할 경우 정지버튼(S3)를 누르거나 경보버튼(S1)을 오프상태로 절환한다.
이하, 자동버튼(S2)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자동버튼(S2)은 가방에 탑재된 수신기(200)가 송신기(100)의 RF 무선주파수 도달범위를 벗어나 마이컴 (220)을 제어할 수 없거나 또는 송신기(100)를 소유한 사용자와 근접되게 가방이 위치한 상태에서 탈취자에 의해 가방이 송신기(100)와 일정거리(대략 10M)를 벗어날 경우 즉시 자동으로 마이컴(220)이 고전압발생부(250)를 제어하여 가방 탈취자를 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경보버튼(S1)이 압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송신기(100)에 구비된 자동버튼 (S2)를 누르면 전원(Vcc)이 접지되면서 래치부(200)는 자동버튼(S2)의 입력로직을 기억함과 동시에 자동경보라는 음성이 반복하여 송출된다.
즉, 자동버튼(S2)을 누르면 엔코더IC(131)의 입력단(In2)에 하이레벨이 걸리면서 상기 엔코더IC(131)는 출력단(Out1)을 통해 하이레벨을 출력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엔코더IC(131)의 출력단(Out1)에 연결된 고출력부(141)의 제1트랜지스터 (Q1)가 동작함과 동시에 제2트랜지스터(Q2)도 동작하여 전원(Vcc)을 도통시키게 되며, 통전된 전원은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에 의해 증폭되어 고출력안테나(ANT1)를 통해 엔코더IC(131)에 저장된 비밀코드를 400MHz대역의 RF 무선주파수를 통해 송출한다.
이때 상기 저출력부(142)는 제3트랜지스터(Q3)가 동작하여도 전원(Vcc)이 접지되어 차단되므로 RF 무선주파수를 출력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2대의 송신기를 운영할 경우 어느 하나의 송신기를 통해 경보기능을 수행할 경우 다른 송신기로는 자동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주파수 혼선을 막음과 동시에 긴급상황에 동시에 대처할 수 있다. 탑재된 수신기(200)가 송신기(100)의 RF 무선주파수 도달범위를 벗어나 마이컴(220)을 제어할 수 없거나 또는 송신기(100)를 소유한 사용자와 근접되게 가방이 위치한 상태에서 탈취자에 의해 가방이 송신기(100)와 일정거리(대략 10M)를 벗어 날 경우 즉시 자동으로 마이컴(220)이 고전압발생부(250)를 제어하여 가방 탈취자를 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경보버튼(S10이 압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송신기(100)에 구비된 자동버튼(S2)를 누르면 전원(Vcc)이 접지되면서 래치부(200)는 자동버튼(S2)의 입력로직을 기억함과 동시에 자동경보라는 음성이 반복하여 송출된다.
즉, 자동버튼(S2)을 누르면 엔코더IC(131)의 입력단(In2)에 하이레벨이 걸리면서 상기 엔코더IC(131)는 출력단(Out1)을 통해 하이레벨을 출력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엔코더IC(131)의 출력단(Out1)에 연결된 고출력부(141)의 제1트랜지스터 (Q1)가 동작함과 동시에 제2트랜지스터(Q2)도 동작하여 전원(Vcc)을 도통시키게 되며, 통전된 전원은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에 의해 증폭되어 고출력안테나(ANT1)를 통해 엔코더IC(131)에 저장된 비밀코드를 400MHz대역의 RF 무선주파수를 통해 송출한다.
이때 상기 저출력부(142)는 제3트랜지스터(Q3)가 동작하여도 전원(Vcc)이 접지되어 차단되므로 RF 무선주파수를 출력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2대의 송신기를 운영할 경우 어느 하나의 송신기를 통해 경보기능을 수행할 경우 다른 송신기로는 자동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주파수 혼선을 막음과 동시에 긴급상황에 동시에 대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신기(100)로부터 송출된 400MHz대역의 RF 무선주파수는 수신기 (200)의 제1수신부(212)에 감지되어 마이컴(220)에 인가되며, 상기 마이컴(220)은 수신된 신호에 실린 비밀코드를 코드저장부(222)에 저장된 비밀코드와 일치하는지 판단한 후 비밀코드가 일치할 경우 자동경보 동작중이라는 음성을 반복송출하고 이후 시스템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방을 탈취한 탈취자가 송신기(100)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달아나게 되면 마이컴(220)에서는 경보버튼(S1)의 기능과 동일하게 자동으로 경음IC(232)와 고전압발생부(250)를 제어하여 탈취자를 저지시키게 된다.
즉, 고출력안테나(ANT1)로부터 출력되는 송신기(100)의 RF 무선주파수 대역이 300MHz 대역의 낮은 주파수이므로 송신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탈취당한 가방이 송신기(100)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멀어지면 상기 수신기(200)의 제1수신부(212)에 감지되는 감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이컴(220)에서는 제1수신부(212)에서 인가되는 수신감도를 기준감도와 비교하게 되며, 만약 수신감도가 기준감도보다 낮을 경우에는 마이컴(220)에서는 가방이 탈취된 것으로 판단하여 고전압을 발생함과 동시에 경고음을 송출함으로써 탈취자에게 고전압쇼크를 가해 가방의 탈취를 저지시킨다.
이후 상황을 해제할 경우에는 정지버튼(S3)을 누르게 되며, 이때 자동경보 해제라는 음성이 반복하여 송출된다.
한편, 본 발명은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해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 배터리가 기준전압 이하로 낮아질 경우 시스템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송신기(100)와 수신기(200)에 각각 배터리검출수단이 설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100)에 구비된 배터리전압검출부(150)는 제어다이오드 (ZD1)의 제너전압을 약 7.5V을 기준전압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배터리전압이 상기 제너전압 7.5V 이하로 감소할 경우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는 로우레벨 신호가 인가되어 전원(Vcc)이 통전하게 되며, 후단의 노어게어트(NOR4)는 로우레벨 신호를 엔코딩부(130)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엔코딩부(130)는 배터리 전압검출부(150)에서 인가된 로우레벨 신호를 감지하여 로우배터리 코드를 송신부(140)를 통해 송출하게 되고 수신기(200)에서는 이신호를 감지하여 리모콘 배터리 충전이라는 음성을 송출하여 주의를 환기시킨다.
즉, 수신기(200)의 마이컴(220)에서는 로우배터리 코드가 실린 신호가 감지되면 데이터버스를 통해 음성IC(231)를 제어하여 로우배터리 코드와 일치하는 해당 음성을 복호화한 후 오디오증폭기(AMP1)에서 증폭시킨 후 스피커(SP)를 통해 배터리 충전이라는 음성을 출력한다.
이때 마이컴(220)에서는 오디오증폭기(OP1)와 스피커(SP)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스위칭회로(231)를 제어하여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경보음과 혼합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수신기(200)에 구비된 배터리의 전압이 기준전압 이하일 경우에는 전압판별부(260)의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로우레벨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5)는 정지된다. 따라서 비교기(OP1)의 반전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은 비반전단자(+)의 기준전암 보다 낮으므로 상기 비교기(OP1)는 하이레벨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후 반전게이트(NOT5)에 의해 반전되어 로우레벨신호를 마이컴(220)에 인가한다. 마이컴(220)은 입력된 배터리 전압상태를 판단한 후 배터리 충전이라는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주의를 환기시킨다.
상기한 음성안내음은 시스템 점검이나 또는 시스템 기능이 작동중에도 안내 음성이 반복하여 송출된다.
이하, 코드입력방법 및 시스템 점검에 대해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송신기의 자동버튼(S2)를 누르면서 경보버튼(S1) 또는 정지버튼(S3)을 눌러 비밀코드를 입력하고 코드입력 확인음이 송출되면 버튼 압압상태를 해제한다.
만약 송신기를 2대 사용할 경우 자동버튼(S2)를 누른 상태에서 2대의 송신기를 각각 1번씩 동작시키게 되며, 이때 각각의 송신기에 대한 코드입력 확인음이 송출된다.
그리고 시스템 점검은 시스템에 전원을 인가하면 자동으로 초기화 되면서 자체 기능을 점검하도록 프로그램화 되어 있다.
일예로 전원 인가후 이상이 없으면 본체 기능정상이라는 안내음을 송출한다. 만약 배터리 전압이 낮을 경우에는 송/수신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라는 음성을 송출하고 배터리에 이상이 없을 경우 고전압발생 상태를 점검하게 되며, 이때 고전압 주의라는 음성을 반복하여 송출하여 주의를 환기시킨다. 이후 고전압상태에 대한 점검이 완료되면 이상없으므로 사용하라는 안내음을 송출한다.
한편,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 가방을 도난당하여 송신기 제어가 불가능하거나 탈취자가 고전압발생에 대처하여 무용화시킨 후 멀리 달아났을 경우 발신음을 지속적으로 송출되게 하여 가방의 현재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추적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GPS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RF 무선주파수 대역폭이 다른 2대의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비밀코드를 각각 인식하여 주파수 혼선을 방지함으로써 수신측의 정확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측 비밀코드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다수의 비밀코드를 저장 및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송신기 분실시 비밀코드의 변경과 리모콘 송신기의 대체가 용이하다.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각종 기능을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시스템의 기능 점검 및 기능설정이 용이토록 하는 등 사용상의 편리와 시스템의 안정된 운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

  1. 수신기가 구비된 가방에 고전압/경보 발생수단을 탑재하여 원거리에서 송신기로 무선 제어하는 도난 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측에 구비된 시스템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의 전압레벨 상태를 검출하는 배터리 전압검출부를 갖고, 상기 전압검출부에서 검출된 배터리 전압레벨 상태를 저장된 안내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원저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도난방지 시스템.
KR1019970055682A 1997-10-28 1997-10-28 가방 도난방지 시스템 KR100256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682A KR100256883B1 (ko) 1997-10-28 1997-10-28 가방 도난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682A KR100256883B1 (ko) 1997-10-28 1997-10-28 가방 도난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178A KR19990034178A (ko) 1999-05-15
KR100256883B1 true KR100256883B1 (ko) 2000-05-15

Family

ID=19523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682A KR100256883B1 (ko) 1997-10-28 1997-10-28 가방 도난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68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0853A (zh) * 2014-04-30 2014-08-06 杭州晶格科技有限公司 旅行箱及对应的旅行箱防盗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906B1 (ko) * 1999-03-22 2002-07-19 배용규 도난 방지 장치
KR100375265B1 (ko) * 2000-04-19 2003-03-08 주식회사 프로에스콤 가스 분사식 도난방지 가방
KR100478718B1 (ko) * 2002-03-19 2005-03-24 주식회사 프로에스콤 가방 도난 방지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918A (ko) * 1994-05-14 1995-12-18 박종찬 가방 도난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918A (ko) * 1994-05-14 1995-12-18 박종찬 가방 도난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0853A (zh) * 2014-04-30 2014-08-06 杭州晶格科技有限公司 旅行箱及对应的旅行箱防盗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178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0144A (en) RF/ultrasonic separation distance alarm
US5583486A (en) Security access arrangement
US3833895A (en) Intrusion alarm with indication of prior activation
US7433647B2 (en) Transmit antenna multiplexing for vehicular passive entry systems
US5552641A (en) Remote-control access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6559767B2 (en) Vibration-sensing alarm device
US4631527A (en) Transmitter-receiver coded security alarm system
KR19980032717A (ko) 키없는 원격 엔트리 시스템을 위한 트랜스폰더
KR20090066249A (ko) 기기의 무선제어 구조, 시스템 및 방법
KR100256883B1 (ko) 가방 도난방지 시스템
US10584931B2 (en) Systems and methods to prevent hot-wiring of electronic gun racks
JPH09279917A (ja) キーレスエントリ装置
KR100347610B1 (ko) 비상시 차량위치 자동통보장치 및 그 방법
KR960013408B1 (ko) 가방 등의 도난방지 시스템
KR100306818B1 (ko) 개인휴대통신기기의 양방향 도난방지시스템
KR910007176B1 (ko) 자동 발신 리모콘을 이용한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79320Y1 (ko) 음성출력기능을 갖는 전자식 도어록 장치
JPS6211361A (ja) 車内音声聴取方法
JP2000213216A (ja) 車両用自動ドアロック装置
WO1994027261A1 (en) A transmitter-receiver set
KR19980051448A (ko) 전자식 도어록의 개폐방법 및 그 장치
KR102588530B1 (ko) Relay Station Attack 방어를 위한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0246357Y1 (ko) 가방의 안전 시스템
CN2493991Y (zh) 防盗报警提包
AU676966B2 (en) Security access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