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121B1 - Write mode control method and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of synchronous memory - Google Patents

Write mode control method and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of synchronous memo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121B1
KR100256121B1 KR1019970026183A KR19970026183A KR100256121B1 KR 100256121 B1 KR100256121 B1 KR 100256121B1 KR 1019970026183 A KR1019970026183 A KR 1019970026183A KR 19970026183 A KR19970026183 A KR 19970026183A KR 100256121 B1 KR100256121 B1 KR 100256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switching unit
signal
controlled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61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02549A (en
Inventor
문진석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26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6121B1/en
Publication of KR19990002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5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1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G11C7/1009Data masking during input/outpu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5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for multiport memories each having random access ports and serial ports, e.g. video 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ram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controlling a record mode by a discontinuous bit of a synchronous memory and a device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of the record mode are provid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access time as being capable of performing a mask operation without performing an LMR(Load Write Mask Register) cycle every a recording cycle by all bits. CONSTITUTION: The device includes first through fifth switching portions (MP4,MN15,MN16,MN17,MN18) and outputs a signal for controlling a mask register loading and a signal controlling a bank record from a common node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portions. The first switching portion is connected to a power portion(Vcc) and is controlled by a precharging signal. The second switching portion is in series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ing portion and is controlled by a bank selecting signal. The third switching portion is in series connected to the second switching portion and is controlled by a row selecting signal. The fourth switching portion is in series connected to the third switching portion and is controlled by a DSF signal which is a control signal. The fifth switching portion is in series connected to the fourth switching portion and other end of the fifth switching portion is connected to a ground potential. Also, the fifth switching portion is controlled by a delay controlling portion outputting a delay controlling signal.

Description

동기식 메모리의 비-지속적 비트별 기록 모드 제어방법 및 그 제어신호 발생 장치Non-persistent bit-by-bit write mode control method of synchronous memory and control signal generator thereof

도1은 종래에 있어서 지속적 비트별 기록 모드(persistent WPB mode)를 사용하여 기록 동작을 수행하는 싸이클을 도시한 것이다.FIG. 1 shows a cycle for performing a write operation using a persistent WPB mode in the related art.

비트별 기록 모드는 일반적인 메모리가 워드단위로 입출력이 수행되는데 비해, 그래픽 메모리의 경우에는 각 픽셀단위의 접근을 위해 비트별로 기록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를 메모리 자체에서 지원하기 위한 기록 모드이다.Bit-by-bit write mode is a write mode to support this in the memory itself, since general memory performs input / output in word units, whereas graphic memory needs to write bit by bit for accessing each pixel unit.

도1에서 마스크 레지스터 로딩 싸이클(Load Mask Register)은 입출력의 대상이 되는 비트만을 선택하기위해 대상비트를 한정하는 동작이다. LMR 싸이클(101)은 기존의 WPB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LMR 싸이클 (102)는 기록싸이클(106)의 기록을 위한 입출력 마스크(mask) 싸이클 수행을 위해서 새로운 마스크 데이터를 LMR 레지스터에 저장하기위한 동작이다. 열 활성화 싸이클(104)은 기록싸이클(106)에서의 WPB동작을 위해서 반드시 선행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싸이클로, 대상이 되는 메모리의 열(row)를 활성화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LMR 사이클(103) 역시 다른 뱅크(Bank1)에서 수행되어야 할 WPB 동작 수행을 위해서 마스크 데이터값이 바뀔 경우 수행되어야 할 싸이클이다. 이처럼 비트별 기록싸이클에서 대상 비트의 위치가 빈번히 바뀔 경우 입출력 마스크 데이터가 빈번히 바뀌므로, LMR 싸이클(101, 102, 103)이 매번 수행되어야 한다.In Fig. 1, the load register register (Load Mask Register) is an operation of limiting the target bit to select only the bit that is the target of the input and output. The LMR cycle 101 is for performing an existing WPB operation, and the LMR cycle 102 is for storing new mask data in an LMR register for performing an input / output mask cycle for writing the write cycle 106. Action. The column activation cycle 104 is a cycle that must be performed in advance for the WPB operation in the write cycle 106. The column activation cycle 104 performs an operation of activating a row of a target memory. The LMR cycle 103 is also a cycle to be performed when the mask data value is changed to perform the WPB operation to be performed in another bank Bank1.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sition of the target bit changes frequently in the bit-by-bit write cycle, the input / output mask data frequently changes, and thus the LMR cycles 101, 102, and 103 must be performed every time.

도2는 도1의 종래의 방식에 있어서 각 신호들의 타이밍을 도시한다. WPB 동작을 위해서는 LMR 싸이클(101,102,103)동안 각각의 입출력에 대한 마스크 데이터가 우선 입력되어야 하고, 열 활성화 싸이클(104,105) 싸이클동안은 LMR 싸이클에서 래치된 마스크 데이터에 따라서 WPB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마스크 데이터가 "0 (low)"인 비트는 마스킹 동작이 수행되고, 마스크 데이터가 "1 (high)"이면 비 마스킹 동작이 수행된다.FIG. 2 shows the timing of each signal in the conventional manner of FIG. For the WPB operation, mask data for each input / output must be input first during the LMR cycles 101, 102, and 103, and the WPB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mask data latched in the LMR cycle during the thermal activation cycles 104, 105. Mask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bits having mask data of "0 (low)", and non-masking operation is performed if mask data is "1 (high)".

도2에서의 구체적인 신호에 대해서는 도5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는 본 발명의 구성과 관련이 깊은 lmr 신호와 wpb 신호에 대해 먼저 기술한다. lmr(304)신호는 LMR 싸이클(101,102,103) 동안 레지스터에 마스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신호이다. LMR 레지스터 신호 (305)는 LMR 싸이클동안 레지스터에 입력되는 마스크 데이터 상태를 위상으로 나타낸 것으로 위상이 "high"일 동안은 비-마스킹 데이터, '로우'일 동안은 마스크 데이터이다. wpb_b0(306), wpb_b1(309)신호는 어느 뱅크(bank)에서 WPB 동작을 수행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열 활성화 싸이클(104,105)에서 발생한다. 이들 제어신호 'lmr'와 'wpb'를 발생하기 위한 종래의 회로구성을 도3에 도시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동기식 메모리의 비-지속적 비트별 기록 모드 제어장치는 WPB 동작에서 마스크 데이터가 빈번히 바뀔 경우 LMR 싸이클(101)과 열 활성화 싸이클(104), 열 활성화 싸이클(104)과 LMR 싸이클(102), LMR 싸이클(103)과 열 활성화 싸이클(105)이 반드시 쌍으로 동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실재의 액세스 시간이라는 측면에서 그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specific signal in FIG.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where the lmr signal and the wpb signal, which are rela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first. The lmr 304 signal controls the input of mask data into the register during the LMR cycles 101, 102, and 103. The LMR register signal 305 represents the mask data state input to the register during the LMR cycle in phases. The LMR register signal 305 is non-masking data while the phase is "high" and mask data during the "low" phase. The signals wpb_b0 306 and wpb_b1 309 determine which banks perform the WPB operation and are generated in the thermal activation cycles 104 and 105. A conventional circuit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these control signals 'lmr' and 'wpb' is shown in FIG. The non-persistent bit-by-bit write mode control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synchronous memor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LMR cycle 101, the thermal activation cycle 104, the thermal activation cycle 104 and the LMR cycle 102 when the mask data is frequently changed in the WPB operation. ), Since the LMR cycle 103 and the thermal activation cycle 105 must operate in pai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is reduced in terms of the actual access tim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비트별 기록 모드를 수행시 마스크 데이타가 달라질 경우 매번 마스크 레지스터의 값을 바꾸어주기 위해 로드 라이트 마스크 레지스터 사이클을 수행하던 것을 모든 비트별 기록 사이클마다 LMR 사이클을 수행하지 않고도 마스크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세스 시간의 효율을 증가시킨 동기식 메모리의 비-지속적 비트별기록모드 제어방법 및 그 제어신호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a load write mask register cycle to change the value of the mask register every time when the mask data is changed during the bit-by-bit write mode. By providing a mask operation without performing an LMR cycle for each write cycle for each bit, a non-persistent bit-by-bit write mode control method of a synchronous memory having an increased access time efficiency and a control signal generator thereof are provided.

제1도는 지속적 비트별 기록 모드를 사용하여 기록 동작을 수행하는 종래 메모리의 동작 타이밍도.1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of a conventional memory for performing a write operation using a continuous bit-by-bit write mode.

제2도는 제1도의 종래의 방식에 있어서 각 신호들간의 동작 타이밍도.2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between signals in the conventional manner of FIG.

제3도는 종래의 제어신호 발생장치를 도시한 회로도.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control signal generator.

제4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비트별 기록 모드의 동작 타이밍도.4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of a bit-by-bit recording mod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동기식 메모리의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회로구성도.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data flow of a synchronous memor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6도는 제2도의 비트별 기록 모드에서 각 신호들간의 동작 타이밍도.6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between signals in the bit-by-bit recording mode of FIG.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비트별 기록 모드 제어신호 발생장치의 회로도.7 is a circuit diagram of a bit-by-bit write mode control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비트별 기록 모드 제어신호 발생장치의 회로도.8 is a circuit diagram of a bit-by-bit write mode control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1, 102, 103 : 마스크 레지스터 로딩 싸이클(LMR)101, 102, 103: mask register loading cycle (LMR)

104, 105 : 열 활성화 싸이클104, 105: thermal activation cycle

106, 107 : 메모리 뱅크 기록 싸이클106, 107: memory bank write cycle

703, 704, 705, 706, 708, 709 : 퓨즈703, 704, 705, 706, 708, 709: fu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동기식 메모리의 비-지속적 비트별 기록모드 제어방법은 복수의 뱅크로 구성되는 동기식 메모리의 각각의 뱅크에 대해: 비트별 기록을 위해 대상이 되는 비트만을 선택하기 위해 대상 비트를 한정하는 마스크 레지스터 로딩 단계와; 대상이 되는 메모리의 열(row)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열 활성화 단계와; 각각의 뱅크의 상기 활성화된 열에서 상기 마스크 레지스터에 의해 선택된 비트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트별 기록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데이터 로딩 단계가 열 활성화 단계와 동일한 클록에서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non-persistent bit-by-bit write mode control method of the synchronous memor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bank of the synchronous memory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nks: selecting only bits targeted for bit-by-bit recording A mask register loading step of defining a target bit in order to prevent the target bit; A column activation step for activating a row of a target memory; 32. A method for controlling bit by bit comprising writing data to a bit selected by the mask register in the activated column of each bank; The mask data loading step is performed simultaneously at the same clock as the column activation step.

또한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기식 메모리의 비-지속적 비트별기록모드 제어신호 발생장치는 전원부에 연결되고, 사전충전신호(precharge)에 의해 제어되는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1 스위칭부에 직렬로 연결되며, 뱅크선택신호(bank0,1)에 의해 제어되는 제2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에 직렬로 연결되며, 열선택신호(ras)에 의해 제어되는 제3 스위칭부와; 상기 제3 스위칭부에 직렬로 연결되며, 제어신호인 DSF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4 스위칭부와; 상기 제4 스위칭부에 직렬로 연결되고 다른 종단은 접지전위에 연결되며, 지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지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5 스위칭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의 공통 노드에서 마스크 레지스터 로딩 제어신호(lmr)와 뱅크 기록 제어신호(wpb)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In addition, the non-persistent bit-by-bit write mode control signal generator of the synchronous memor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omprises: a first switching unit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and controlled by a precharge signal; A second switching unit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controlled by a bank selection signal bank0,1; A third switching unit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cond switching unit and controlled by a column select signal ras; A fourth switching unit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third switching unit and controlled by a DSF signal which is a control signal; The fourth switching unit is connected in series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ground potential, and is composed of a fifth switching unit controlled by a delay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delay control signal to the common nod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The mask register loading control signal lmr and the bank write control signal wpb are outputted.

또한 상기 지연제어부는 제5 스위칭부의 제어단자에 출력이 연결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의 출력이 제1 종단에 연결되고, 제2 종단은 전원부에 연결되는 제1 퓨즈와; 상기 인버터의 입력단에 제1 종단이 연결되고 제2 종단은 전원부에 연결되는 제2 퓨즈와; 상기 제2 퓨즈의 제1 종단이 쏘스에 연결되고, 드레인은 접지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인버터의 출력이 게이트로 인가되는 제5 PMOS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lay control unit may include an inverter having an output connected to a control terminal of a fifth switching unit; A first fuse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output of the inverter and a second end of the inverter; A second fuse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inverter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The first terminal of the second fuse is connected to the source, the drain is connected to the ground power sour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fth PMOS switching unit is applied to the output of the inverter as a gate.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비트별 기록 모드의 동작 타이밍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동기식 메모리의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회로구성도이고, 도6은 도2의 비트별 기록 모드에서 각 신호들간의 동작 타이밍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비트별 기록 모드 제어신호 발생장치의 회로도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비트별 기록 모드 제어신호 발생장치의 회로도이다.FIG. 4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of the bit-by-bit write mod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data flow of the synchronous memor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Fig. 7 is a circuit diagram of a bit-by-bit write mode control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bit-by-bit write mode contro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ircuit diagram of a signal generator.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트별 기록 모드는 도1에서 LMR 싸이클(101,102,103)이 인가되어진것과는 달리 WPB 동작을 수행하는 열 활성화 싸이클(104,105)를 통해 인가되어진다는 점이 상이하다. 즉, 도1에서의 종래기술에서는 미리 수행되어진 LMR 싸이클(101,102,103)을 통해서 마스크 데이터를 LMR 레지스터에 래치하고 열 활성화 싸이클(104,105)에서 각각의 입출력에 대한 WPB 동작 여부를 결정한 후 기록 싸이클(106,107)에서 각각의 입출력에 대한 마스크 동작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타이밍을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보면,Referring to FIG. 4, the bit-by-bit recording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LMR cycles 101, 102, and 103 in FIG. 1, which is applied through the thermal activation cycles 104 and 105 performing the WPB operation. That is, in the prior art of FIG. 1, the mask data is latched to the LMR register through the LMR cycles 101, 102, and 103 previously performed, and the write cycles 106 and 107 are determined afte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WPB operation for each input / output is performed in the column activation cycles 104 and 105. Determines whether to operate the mask for each input and output. Referring to Fig. 6, the tim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1. LMR 싸이클(101,102,103)이 없고,1. No LMR cycles (101, 102, 103),

2. 마스크 데이터가 LMR 싸이클(102,103)에서 입력되는 것이 아니고 열 활성화 싸이클(104,105)에서 입력되었고,2. The mask data is not input at the LMR cycles 102, 103, but at the thermal activation cycles 104, 105;

3. lmr 신호(304)가 LMR 싸이클(101,102,103)에서 활성화된 것이 아니라 열 활성화 싸이클(104,105)에서 각 뱅크의 WPB동작을 제어하는 wpb 신호(306,309)와 같은 싸이클에서 활성화된다.3. The lmr signal 304 is not activated in the LMR cycles 101, 102 and 103 but in the same cycle as the wpb signals 306 and 309 which control the WPB operation of each bank in the column activation cycle 104 and 105.

그러면, 도5 내지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기술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도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동기식 메모리의 비트별 기록을 위한 데이터 흐름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러한 데이터 흐름내에서 도4 및 6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어순서에 의해 데이터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 발생장치가 도7과 도8에 도시하였다.Fig.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data flow for the bit-by-bit write of the synchronous memor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7 and 8 show a control signal generator which controls the flow of data by the control sequence as described in FIGS. 4 and 6 within this data flow.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신호인 wpb 신호(306,309)와 lmr(304)를 발생하기 위한 회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원전위(Vcc)와 노드 N7 사이에 접속되며 게이트로 프리차지 신호(piprecharge)가 입력되는 P-모스 MP3와, 상기 노드 N7과 접지전압(Vss)사이에 직렬접속되며 각각의 게이트로 뱅크선택신호(pibank0,1)와 열선택신호(piras) 및 제어신호인 pidsf 신호가 각각 입력되는 N-모스 MN12 내지 MN14와, 상기 노드 N7과 노드 N8 사이에 래치 구조로 접속된 인버터 I3 및 I4와, 상기 노드 N8와 노드 N9 사이에 접속된 인버터 I5와, 상기 노드 N9와 wpb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 사이에 직렬접속된 3개의 인버터 I6 내지 I8과, 상기 노드 N9와 노드 N10 사이에 접속된 인버터 I9와, 상기 노드 N9와 노드 N11사이에 직렬접속된 인버터 I11 내지 I14와, 상기 노드 N10과 노드 N11의 전위신호를 입력하여 논리연산한 신호를 노드 N12로 출력하는 NAND게이트 NA1과, 상기 노드 N12와 lmr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 사이에 접속된 인버터 I10으로 구성된다. 상기 lmr(304)의 펄스폭은 인버터 I11 내지 I14로 구성된 지연회로(604)에 의해 결정된다. lmr(304)신호는 입력버퍼를 통하여 싸이클(109)의 "하이"(비-마스크) 데이터가 입력되면 DQ_b(402)는 "로우"의 위상을 가지고 lmr신호(304)를 통하여 LMR 레지스터(305)에는 "하이"가 래치되어 wpb(308)의 위상에 관계없이 노드(406)이 "로우"로 되어 싸이클(106)에서 입력되는 DQ기록을 입력버퍼를 통하여 받아 들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반대로 싸이클(105)에서처럼 싸이클(110)에서의 DQ데이터가 "로우"인 경우에는 DQB(402)는 "하이"의 위상을 가지고 lmr(304)의 신호를 통하여 LMR레지스터(305)에 "로우"로 래치되어 wpb(308)의 위상이 "하이"로 갈 때 노드(406)은 "하이"가 되어 기록 싸이클(107)에서 입력되는 DQ를 받아들일수 없게 된다.Fig. 7 shows a first embodiment of a circuit for generating the wpb signals 306 and 309 and the lmr 304 which are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potential Vcc and the node N7 and free to the gate. P-MOS MP3 to which a charge signal (piprecharge) is input, and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node N7 and the ground voltage (Vss), and bank selection signals (pibank0, 1), column selection signals (piras), and control signals to respective gates. N-MOS MN12 to MN14 to which the pidsf signal is input, inverters I3 and I4 connected in a latch structure between the node N7 and the node N8, inverter I5 connected between the node N8 and the node N9, and the node. Three inverters I6 to I8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terminal for outputting the signal N9 and wpb, an inverter I9 connected between the node N9 and the node N10, and inverters I11 to I14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node N9 and the node N11. And input potential signals of the node N10 and the node N11. It consists of a logic operation signal to the inverter I10 is connected between the terminal of the NAND gate NA1 and outputs to the node N12, the node N12 and the output signal lmr. The pulse width of the lmr 304 is determined by the delay circuit 604 composed of inverters I11 to I14. The lmr 304 signal has a phase of " low " when the " high " (non-mask) data of the cycle 109 is input through the input buffer, and the LMR register 305 is provided through the lmr signal 304. Hi) is latched so that the node 406 goes low regardless of the phase of the wpb 308, and the DQ record input from the cycle 106 is accepted through the input buffer. Conversely, if the DQ data in cycle 110 is " low " as in cycle 105, DQB 402 has a " high " phase and " low " to LMR register 305 via the signal of lmr 304. When the phase of wpb 308 goes high, the node 406 becomes high and cannot accept the DQ input from the write cycle 107.

도6에서 영역(501)이 기록 가능한 영역이며 영역(502)에서는 WPB동작이 수행되어 입출력 마스킹 동작이 수행된다. 도6에서 신호중 casatv8_b0(307)과 casatv8_b1(310)은 뱅크 선택 정보로 동기식 DRAM, 혹은 그래픽 램에서는 보통 2개의 뱅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어느 뱅크에 기록, 즉 WPB동작을 수행할 것인가를 결정하게금 한다. LCR 레지스터(407)은 그래픽 램의 특별한 모드인 블록 기록 모드시 사용되는 것으로 기록동작시 입력버퍼에서 입력되는 DQ의 역할을 대신한다.In Fig. 6, the area 501 is a recordable area, and in the area 502, a WPB operation is performed to perform an input / output masking operation. In FIG. 6, since the casatv8_b0 307 and the casatv8_b1 310 are two banks in synchronous DRAM or graphics RAM as bank selection information, it is forbidden to decide which bank to write, i.e., perform the WPB operation. . The LCR register 407 is used in the block write mode, which is a special mode of the graphics RAM, and replaces the role of the DQ input from the input buffer during the write operation.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신호 발생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 것으로, 전원전위(Vcc)와 노드 N13 사이에 접속되며 게이트로 프리차지 신호(piprecharge)가 입력되는 P-모스 MP4와, 상기 노드 N13과 접지전압(Vss)사이에 직렬접속되며 각각의 게이트로 뱅크선택신호(pibank0,1)와 열선택신호(piras) 및 제어신호 pidsf 신호가 각각 입력되는 N-모스 MN15 내지 MN17과, 전원전압(Vcc)과 노드 N14 사이에 접속된 퓨즈 708과, 전원전압과 노드 N15 사이에 접속된 퓨즈 709와, 상기 노드 N14와 노드 N15 사이에 접속된 인버터 I15와, 상기 노드 N14와 접지전압 사이에 접속되며 게이트가 상기 노드 N15에 연결된 N-모스 MN19와, 상기 N-모스 MN17의 일측단자와 접지전압 사이에 접속되며 게이트로 상기 노드 N15가 입력되는 N-모스 MN18로 구성된다.FIG. 8 is a circuit diagram of a control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MOS MP4 connected between a power supply potential Vcc and a node N13 and into which a precharge signal is input to a gate is shown. And N-MOS MN15 to MN17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node N13 and the ground voltage Vss, and inputting a bank selection signal pibank0,1, a column selection signal piras, and a control signal pidsf signal to respective gates, respectively. A fuse 708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and the node N14, a fuse 709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and the node N15, an inverter I15 connected between the node N14 and the node N15, and a ground with the node N14. N-MOS MN19 connected between the voltage and the gate connected to the node N15, and N-MOS MN18 connected between one terminal of the N-MOS MN17 and the ground voltage and the node N15 is input to the gate.

도면에서, 종래 기술과 동작이 상이한 점은 CSB, RASB, DSF가 도4와 같은 위상이 되고, 싸이클(109,110)에서 DQ의 값이 "로우"이면 마스크 데이터이고, DQ의 값이 "하이"이면 비-마스크 데이터이다. 따라서 도4에서는 첫 번째 열활성화 싸이클(104)에서는 WPB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되며, 두 번째 열 활성화 싸이클(105)에서는 WPB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the figure, the operation is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in that the CSB, RASB, and DSF are in phase as shown in Fig. 4, and if the value of DQ is "low" in the cycles 109 and 110, the data is mask data. Non-mask data. Therefore, in FIG. 4, the first thermal activation cycle 104 may not perform the WPB operation, and the second thermal activation cycle 105 may perform the WPB operation.

본 발명은 동기식 그래픽 램에서 특정한 모드인 지속적 비트별 기록 모드와 간단한 퓨즈 옵션(fuse option)을 통해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지속적 모드를 쓸 경우 도3의 종래 제어신호 발생기에서는 퓨즈(703,705)를 절단하고 본 발명의 도8에서는 퓨즈(709)의 퓨즈를 절단하면 기존의 지속적 모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비 지속적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8의 퓨즈(704,706)을 절단하고 본 발명의 도8에서는 퓨즈(708)을 절단하면 비지속적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parallel through a continuous bit-by-bit write mode, which is a specific mode in a synchronous graphics RAM, and a simple fuse option. In case of using the existing continuous mode, the conventional control signal generator of FIG. 3 may cut the fuses 703 and 705, and in FIG. 8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isting continuous mode may be used by cutting the fuse of the fuse 709. In use, the non-persistent mode can be used by cutting the fuses 704 and 706 in FIG. 8 and cutting the fuse 708 in FI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기식 그래픽 램에서 비 지속적 비트별 기록 모드를 사용할 경우 기존의 LMR 싸이클이 없어짐에 따라 실재 액세스 시간의 효율을 실질적으로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 지속적 비트별 기록 모드를 사용할 경우 기존에는 분리되었던 lmr, wpb 신호 발생부가 하나의 발생기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기능에서 단순화되었으며 칩 배치 면적 역시 감소할 수 있어 기존의 배치 면적에 비해 효율적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non-persistent bit-by-bit recording mode is used in the synchronous graphics RA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isting LMR cycle is eliminated, thereby effectivel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actual access time. In addition, when the non-persistent bit-by-bit recording mode is used, the previously separated lmr and wpb signal generators can be used as a single generator, which is simplified in a complicated function and the chip area can be reduced, which is more efficient than the conventional area. .

본 발명은 동기식 그래픽 램(Synchronous Graphic RAM)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트별 기록(Write per Bit :이하 'WPB'라 칭힘) 모드를 수행시 마스크 데이타 (Mask Data)가 달라질 경우 매번 마스크 레지스터(Mask Register)의 값을 바꾸어 주기 위해 로드 라이트 마스크 레지스터(Load Write Mask Register : 이하 'LMR'이라 칭함) 사이클(cycle)을 수행하던 것을 모든 비트별(WPB) 기록 사이클마다 LMR 사이클을 수행하지 않고도 마스크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세스 시간의 효율을 증가시킨 동기식 메모리의 비-지속적 비트별기록모드 제어방법 및 그 제어신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nchronous graphic RAM. In particular, the mask register is changed every time when the mask data is changed when performing the write per bit mode. In order to change the value of), the mask operation is performed without performing the LMR cycle every WPB write cycle from the load write mask register (LMR) cy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ersistent bit-by-bit write mode control method of a synchronous memory, which increases the efficiency of access time, and to a control signal generator.

Claims (3)

복수의 뱅크로 구성되는 동기식 메모리의 각각의 뱅크에 대해 비트별 기록을 위해 대상이 되는 비트만을 선택하기 위해 대상 비트를 한정하는 마스트 레지스터 로딩 단계와, 대상이 되는 메모리의 로우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로우 활성화 단계와, 각각의 뱅크의 상기 활성화된 로우에서 상기 마스크 레지스터에 의해 선택된 비트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트별 기록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데이터 로딩 단계가 로우 활성화 단계와 동일한 클록에서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동기식 메모리의 비트별 기록 제어 방법.A mast register loading step of defining a target bit to select only a target bit for bit-by-bit writing for each bank of a synchronous memory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nks, and a row activation for activating a row of the target memory. And writing data in the bit selected by the mask register in the activated row of each bank; And the mask data loading step is performed simultaneously at the same clock as the row activation step. 동기식 메모리의 비트별 기록 모드를 위한 제어신호 발생장치에 있어서, 전원부에 연결되고, 프리차지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1 스위칭부에 직렬로 연결되며, 뱅크선택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2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에 직렬로 연결되며, 로우선택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3 스위칭부와; 상기 제3 스위칭부에 직력로 연결되며, 제어신호인 DSF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4 스위칭부와; 상기 제4 스위칭부에 직렬로 연결되고 다른 종단은 접지전위에 연결되며, 지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지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5 스위칭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의 공통 노드에서 마스크 레지스터 로딩 제어신호와 뱅크 기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식 메모리의 비트별 기록 제어장치.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a bit-by-bit write mode of a synchronous memory, comprising: a first switching unit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and controlled by a precharge signal; A second switching unit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controlled by a bank selection signal; A third switching unit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cond switching unit and controlled by a row selection signal; A fourth switching unit connected directly to the third switching unit and controlled by a DSF signal as a control signal; In the common nod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having a fifth switching unit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ourth switching uni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ground potential, and controlled by a delay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delay control signal. A bit-by-bit write control device of a synchronous memory for outputting a mask register loading control signal and a bank write control sig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제어부는 제5 스위칭부의 제어단자에 출력이 연결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의 출력이 제1 종단에 연결되고, 제2 종단은 전원부에 연결되는 제2 퓨즈와, 상기 제2 퓨즈의 제1 종단이 쏘스에 연결되고, 드레인은 접지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인버터의 출력이 게이트로 인가되는 제5 PMOS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동기식 메모리의 비트별 기록 제어장치.The inverter of claim 2, wherein the delay control unit has an inverter having an output connected to a control terminal of a fifth switching unit, a second fuse having an output of the inverter connected to a first end, and a second termination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And a fifth PMOS switching unit having a first end of the second fuse connected to the source, a drain connected to the ground power source, and an output of the inverter applied to a gate.
KR1019970026183A 1997-06-20 1997-06-20 Write mode control method and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of synchronous memory KR1002561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183A KR100256121B1 (en) 1997-06-20 1997-06-20 Write mode control method and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of synchronous mem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183A KR100256121B1 (en) 1997-06-20 1997-06-20 Write mode control method and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of synchronous memo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549A KR19990002549A (en) 1999-01-15
KR100256121B1 true KR100256121B1 (en) 2000-05-15

Family

ID=19510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6183A KR100256121B1 (en) 1997-06-20 1997-06-20 Write mode control method and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of synchronous memo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61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927A (en) 2015-02-25 2016-09-02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eripheral exposure apparatus, peripheral exposure method, program, computer storage medi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927A (en) 2015-02-25 2016-09-02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eripheral exposure apparatus, peripheral exposure method, program, computer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549A (en)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4622B1 (en) Synchronized semiconductor memory
KR100381968B1 (en) High speed action DRAM
KR0184914B1 (en) Synchronized semiconductor memory
US5155705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flash write function
US663644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improved data transfer rate without providing a register for holding write data
KR100295041B1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precharge control circuit and precharge method thereof
US6636450B2 (en) Fuse read sequence for auto refresh power reduction
KR970029804A (en) DRAM
KR100338084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circuit for controlling data-output timing
KR20080036529A (en) Dram for low power consump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290286B1 (e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fast input/output line precharge scheme and a method of precharging input/output lines thereof
JP2697568B2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KR100242720B1 (en) Column select control circuit of semiconductor device
KR0157289B1 (en) Column selecting signal control circuit
KR100256121B1 (en) Write mode control method and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of synchronous memory
KR100334574B1 (en) Burst-typ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full-page mode
KR20000043193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27572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ynchronous RAM
KR0164797B1 (en) Write recovery circuit
KR100219491B1 (en) Automatic precharge bank selection circuit
KR100190099B1 (en) Data line equalization circuit
KR100427033B1 (en) Apparatus for driving word line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thereof at low voltage stably
KR100361862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ensing current reduction method
JP362524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234362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