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3140B1 - 씨티-2 기지국의 운용을 위한 구성 데이터의 가변화 방법및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씨티-2 기지국의 운용을 위한 구성 데이터의 가변화 방법및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3140B1
KR100253140B1 KR1019970039476A KR19970039476A KR100253140B1 KR 100253140 B1 KR100253140 B1 KR 100253140B1 KR 1019970039476 A KR1019970039476 A KR 1019970039476A KR 19970039476 A KR19970039476 A KR 19970039476A KR 100253140 B1 KR100253140 B1 KR 100253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database
data
call
op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791A (ko
Inventor
류형택
심준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9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3140B1/ko
Publication of KR19990016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Standardisation; Integration using relational databases for representation of network management data, e.g. managing via structured query language [SQ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CT-2 기지국의 운용을 위한 구성 데이터의 가변화 방법은
기지국 운용을 위한 데이터를, 시스템 운용자 구성 데이터베이스와; 운용자 인증 함수 데이터베이스; 호 유형 구성 데이터베이스; 다이얼 번호 분석 데이터베이스; 단축 다이얼 데이터베이스; 기지국 관리 장치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 긴급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 기지국 운용 변수 데이터베이스; 하드웨어 구성 정보 데이터베이스; 장애 레벨 및 저장 시간 정의 데이터베이스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은,
기지국의 다운로드가 시작되는 단계; 기지국과 기지국 관리 장치 사이에 모뎀 링크를 설립하는 단계; 기지국 관리 장치로 기지국이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현재 버전을 전송하는 단계;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 기지국에서 전송해 온 데이터베이스 버전과 기지국 관리 장치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버전을 각 데이터 그룹별로 비교하는 단계; 버전이 일치하지 않으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버전이 일치하면 모뎀 링크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씨티-2 기지국의 운용을 위한 구성 데이터의 가변화 방법 및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
본 발명은 CT-2 기지국의 운용을 위한 구성 데이터의 가변화 방법 및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CT-2 기지국과 기지국 관리 장치 사이에 모뎀을 사용하는 데이터의 전송 기술, 전송 방법 및 전송 데이터의 신뢰도를 보장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기지국의 효과적인 운용을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가변화하는 기술과 관리 장치에서 설정한 데이터에 대한 확인 및 관리 방법을 포함한다.
코드리스(Codeless) 전화 시스템은 전화기와 지정된 고정 포트(기지국)를 무선으로 연결하고 그 기지국으로부터 특정 가입자로 연결되는 통신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CT-1과 CT-2로 대별되는데, CT-1은 현재 일반 가정에서 사용중인 아날로그 코드리스 전화를 말한다.
CT-1은 집안의 벽에 인입된 가입자 선에 연결된 전화기 본체와 송수화기 사이를 무선으로 연결한데 지나지 않으며, 그 사용거리도 100m 이내로 극히 제한되어 있어서 실내나 구내에서만 이용이 가능하였다.
이에 반해 CT-2(국내에서는 시티폰으로 알려짐)는 CT-1에서 발전되어 개인 휴대 통신(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시스템으로 가는 중간단계의 새로운 서비스이다.
CT-2는 고정된 유선에서 완전히 벗어나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전국 어디서나 자유로이 통화할 수 있는 보행자 중심의 이동성을 부여한 발신 전용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는 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과는 달리 보행자 중심이며, 단말기 가격 및 사용료가 저렴하다는 점이 큰 특징이다.
CT-2 통신 시스템은, 일정 영역 내를 이동중인 이동 단말(이동국)을 서비스하는 다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과, 여러 기지국들을 운영 관리하는 기지국 관리 장치(Base Station Manager System: BSMS) 및 가입자 관리 장치(Subscriber Management System: SMS)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은 기지국 및 기지국 관리 장치의 모뎀 장착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모뎀을 사용해서 공중 교환 전화 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과 접속되며, 상기 공중 교환 전화 망은 마찬가지로 모뎀을 사용하여 기지국 관리 장치와 접속된다.
모뎀을 사용하여 기지국 관리 장치와 접속되는 기지국을 통상 TBS(Telepoint Base Station)이라 불리며, 상기 TBS와 접속되는 기지국 관리 장치는 NMS(Network Management System)라고 불린다.
상기와 같이 모뎀을 사용하여 정합되는 기지국과 기지국 관리 장치간의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기지국과 기지국 관리 장치는 공중 교환 전화 망에 모뎀을 사용하여 접속한다.
접속이 성공적으로 설립되면 기지국은 기지국 관리 장치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조회하여, 기지국에 필요한 정보를 다운로드 받는다.
기지국의 운용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는 기지국에서 고정된 데이터 영역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다운로드되어 기지국의 동작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전체 프로그램을 변경하거나 또는 일부 모듈을 변경하여야 한다.
그러면 저장된 데이터중 변경되는 모듈을 일일이 찾아서 변경하여야 하므로 시간과 노력의 낭비가 심하며,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기지국에 저장된 데이터중 변경이 필요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게 되는데, 그렇게 하면 시스템의 설치시, 일일 정기 작업에 의한 경우, 즉시 변경등의 경우, 원하는 부분만을 뽑아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시스템에서 가변되는 데이터만을 뽑아서 데이터베이스화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가변 데이터베이스가 체계적이지 못하면 데이터의 변경시 절차가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데이터를 구분하는 방법에 있어서, CT-2 제품군에 대한 데이터의 체계적 분류가 필요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지국의 운용에 필요한 데이터에 있어서, 변경이 필요한 데이터에 대한 효과적인 데이터베이스화 방법을 제공하며, 또한 기지국 관리 장치에 등록된 기지국의 데이터베이스의 용이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기지국 및 기지국 관리 장치의 모뎀 장착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구분된 데이터베이스의 식별번호 및 버전 번호.
도 3 은 본 발명에 대한 기본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도 4 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운용자 구성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도 5 는 운용자 인증 함수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도 6 은 호 유형 구성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도 7 은 다이얼 번호 분석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도 8 은 기지국 운용 변수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도 9 는 하드웨어 구성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도 10 은 장애 레벨 및 저장 시간 정의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2 는 기지국에 저장된 호 처리 관련 데이터베이스 활용의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기지국 운용을 위한 데이터를, 시스템 운용자 구성 데이터베이스(System Operator Configuration Database)와; 운용자 인증 함수 데이터베이스(Operator Specific Function Database: OSF); 호 유형 구성 데이터베이스(Call Type configuration Database); 다이얼 번호(Dial Number) 분석 데이터베이스; 단축 다이얼 데이터베이스; 기지국 관리 장치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 긴급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 기지국 운용 변수 데이터베이스; 하드웨어 구성 정보 데이터베이스; 장애 레벨 및 저장 시간 정의 데이터베이스로 구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기지국에서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요구된 경우,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 시작된 기지국이 초기 구동되는 경우,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 시작된 정기적 처리에 의해 기지국에 접속하는 경우 및 유지보수 관점에 있어서 기지국에 대한 점검에 대한 사항으로 즉시 처리를 요하는 경우에,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발명은 기지국 운용에 필요한 데이터중 가변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효과적인 관리를 위하여 특성이 같은 그룹끼리 데이터를 묶어서 관리한다.
각각의 데이터 그룹은 데이터베이스 식별번호와 버전 번호를 부여받아, 기지국 관리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될 때 이전 데이터 그룹을 변경할지의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기지국은 기지국 관리 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한 데이터 그룹과 현재 가지고 있는 데이터 그룹의 버전 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으면 현재 저장하고 있는 운용 데이터를 변경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방법과, 기지국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그룹으로 나누어서 전송하는 방법 및 데이터 그룹 사이의 상호 유기적인 구성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는 기지국에 저장될 데이터를, 기지국 각각에 대한 개별 데이터베이스 및 모든 기지국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공통 데이터베이스로 구분하여, 해당 기지국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 기지국에 대한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는 다음의 4가지 경우이다.
1. 기지국에서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요구된 경우,
2.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 시작된 기지국이 초기 구동되는 경우,
3.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 시작된 정기적 처리에 의해 기지국에 접속하는 경우,
4. 유지보수 관점에 있어서 기지국에 대한 점검에 대한 사항으로 즉시 처리를 요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4가지 경우, 기지국 관리 장치는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기지국은 기지국에 대한 초기설치 및 운용 유지보수 또는 기지국 설치국소에서의 즉각적인 처리를 위하여,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 요청하는 절차를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전송받는다.
기지국의 운용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는 기본 데이터베이스를 제외하면 다음의 10가지 그룹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1. 시스템 운용자 구성 데이터베이스
2. 운용자 인증 함수 데이터베이스
3. 호 유형 구성 데이터베이스
4. 다이얼 번호 분석 데이터베이스
5. 단축 다이얼 데이터베이스
6. 기지국 관리 장치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
7. 긴급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
8. 기지국 운용 변수 데이터베이스
9. 하드웨어 구성 정보 데이터베이스
10. 장애 레벨 및 저장 시간 정의 데이터베이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구분된 데이터베이스의 식별번호 및 버전 번호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데이터베이스는 기본 데이터베이스와; 시스템 운용자 구성 데이터베이스와; 운용자 인증 함수 데이터베이스와; 호 유형 구성 데이터베이스와; 다이얼 번호 분석 데이터베이스와; 단축 다이얼 데이터베이스와; 기지국 관리 장치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와; 긴급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와; 기지국 운용 변수 데이터베이스와; 하드웨어 구성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장애 레벨 및 저장 시간 정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정보는 상기 도 2 의 기지국 데이터베이스 종류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그룹으로 묶여진다.
각각의 데이터 그룹은 고유한 식별번호를 가지며, 0x00부터 0xff까지의 버전번호를 가질 수 있다.
단 시스템 운용자 구성 데이터베이스는 각 기지국에 따라 같은 시스템 운용자 구성을 가지거나, 또는 최대 15개까지의 다른 시스템 운용자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0x01부터 0x15까지의 식별번호를 가진다.
초기 기지국이 부트(Boot) 과정을 거쳐 초기화하면, 상기의 데이터베이스는 모두 0x00라는 버전을 가진다. 그리고 나서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전송받게 되면, 전송받은 데이터베이스의 버전값으로 변화된다.
어떤 데이터베이스의 버전 번호가 0xff에서 더 이상 증가하게 되면, 0x00가 되는 것이 아니라 0x01로 바뀐다.
이것은 초기화된 데이터베이스 버전과 이미 변경되었던 데이터베이스의 버전을 구분하기 위해서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상기 기지국의 운용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해당 데이터베이스가 가지고 있는 리코드(record) 종류, 리코드의 개수, 각 리코드의 포맷, 각 리코드의 크기 및 입력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리코드의 포맷인 xN, xA, xb, xH는 각각 x개의 10진수 숫자(Number), 캐릭터(Character), 비트(bit), 16진수 숫자(Hexa)를 나타낸다.
리코드의 사이즈인 xB는 각 리코드가 x바이트의 크기를 가짐을 나타낸다.
각 데이터베이스는 리코드별로 입력방법이 다르다.
도시된 입력 방법에서, 롬(ROM)을 사용하는 입력방법은 해당 리코드에 들어가는 값으로 각 기지국마다 기본적으로 읽기 전용 메모리(ROM)로서 구성된 고정 값을 사용함을 뜻한다.
로컬을 사용하는 입력 방법은, 유지 보수성의 확장을 위하여 사용되는 기지국 시스템의 운용자 화면, 즉 콘솔(Console)에서 직접 조회하여 데이터베이스의 리코드를 변경하는 방법을 뜻한다.
자체 입력 방법은, 해당 리코드에 들어가는 값으로, 기지국 시스템내에서 자체적으로 생성되는 값을 사용함을 뜻한다.
NMS 입력 방법은, 해당 리코드에 들어가는 값을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 변경하는 방법을 뜻한다.
입력 방법이 ○로 표시된 것은 이미 저장된 값을 사용함을 뜻하며, ●로 표시된 것은 데이터를 내/외부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음을 뜻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각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대한 기본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데이터베이스는 기지국 식별번호와; 기지국 모델 번호와; 기지국 소프트웨어 버전 번호와; 기지국 비밀번호와; 기지국 관리 장치 비밀 번호와; 콘솔 비밀번호라는 리코드를 각각 1개씩 가지고 있다.
상기 기지국 식별번호는 10개의 10진수(10N)로 이루어진 5바이트(5B) 크기의 리코드이며, 상기 기지국 모델 번호는 8개의 캐릭터(8A)로 이루어진 8바이트 크기의 리코드이다.
상기 소프트웨어 버전 번호는 기지국이 저장하고 있는 동작 프로그램에 대한 버전 정보를 말하며, 상기 기지국과 기지국 관리 장치의 비밀번호는 기지국과 기지국 관리 장치사이의 통신시 보안성 유지를 위한 것이다.
또한 운용자의 필요에 따라 기지국 시험을 수행할 경우 변경이 가능하다. 콘솔에서의 데이터 변경시, 변경하고자 하는 해당 데이터 그룹의 버전을 0x00로 초기화하여 향후 기지국 관리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받게될 데이터와의 버전과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4 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운용자 구성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용자의 독립적인 정보인 운용자 인증 식별 코드(OPeratorS Identification Code: OPSIC)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될 OSF 인덱스를 설정한다.
동시에 불량 가입자 리스트(Blacklist)를 공유하는 불량 가입자 공유 인덱스(Blacklist Sharing Index: BSI)를 지정하여 운용자간에 불량 가입자 리스트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동일하게 한 사업자에서 사용되어질 단말 서비스 등급(Terminal Class Of Service: TCOS) 구성, 통화시 사용될 홈(Home) 네트워크 링크 식별 코드(Link IDentification code: LID), 로밍(Roaming) 네트워크 LID, 무선 공중 등록(Over The Air Registration) LID, 단말기 초기 화면 표시 메시지인 초기 단말기 표시 문자열(Welcome Window), 로밍 지역 번호(Roaming Area Code)를 포함한다.
또한 음성 매핑 테이블을 사용함으로써, 운용자가 원하는 음성 안내 규격에 맞추어 이미 장착되어 있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단말기 호 시도 상황에 따라 번호(Number), 반복(Repetition), 잠깐멈춤(Pause), 시간 제한(Time Limit) 등의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리코드를 가지는 시스템 운용자 구성 데이터베이스는 같은 구조를 총 15개 가지고 있어서, 15종류의 운용자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 는 운용자 인증 함수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용자 인증 함수(OSF) 데이터베이스는 단말기의 인증에 사용되는 함수로서 기지국의 동작 코드로 구성된다. 상기 인증 함수는 상기 시스템 운용자 구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OSF 인덱스에 의하여 선택된다.
기지국은 단말기로부터 전해진 임의의 코드를 상기 OSF에 의하여 처리한 뒤 결과를 확인해 봄으로써, 해당 단말기가 인증된 단말기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모든 운용자가 동일한 OSF를 사용한다고 하면 1개의 OSF만을 저장하여 사용하며, 각 운용자가 독립된 OSF를 사용한다면 최대 15개까지의 인증함수(OSF)를 지원할 수 있다.
도 6 은 호 유형 구성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 번호(Number Valid)와, 허용 DT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 기대된(Expected) 호출 가입자 응답(Called Subscriber Answering: CSA), 최대 호 간격(Maximum Call Duration), 가입자 다이얼이 선행되는 다이얼 번호(Preferred Carrier)등의 리코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호 유형 데이터베이스는, 가입자의 다이얼에 따라 다이얼 번호 분석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되는 호 유형을 선정하고, 호 유형에서는 가입자의 호가 긴급 호, 무료 통화, 과금 통화인지의 여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이다.
이러한 구조는 여러개의 사업자에 대한 호 유형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정보이다.
도 7 은 다이얼 번호 분석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 번호(Dial Number)와 호 유형(Call Type)이라는 필드(Field)를 포함하는 다이얼 번호 리스트 리코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구성된 다이얼 번호 분석 데이터베이스는, 가입자가 다이얼한 번호에서 4자리의 디지트를 추출하여, 그에 해당하는 호 유형을 제공하도록 하는 테이블이다.
그러므로 다이얼에 대한 서비스 계정이 바뀔 때마다 이 데이터베이스만을 다운로드시켜 쓸 수 있으며, 다른 지역 사업자에 대한 정보시 기지국 관리 장치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다운로드 받는 것만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단축 다이얼 데이터베이스는 단말에서 저장할 수 있는 종류의 데이터베이스가 아니며, 사업자가 고객 서비스를 위하여 제공하는 기지국에서 저장되어 운용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기지국 관리장치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는 기지국에서 기지국 관리 장치로 전송하여야 할 데이터가 있을 때 사용되는 기지국 관리 장치 모뎀의 전화 번호이다.
긴급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도도 마찬가지로 단말에서 저장할 수 있는 종류가 아니며, 사업자가 고객 서비스를 위하여 제공하는 기지국에서 저장되어 운용되는 데이타베이스이다.
도 8 은 기지국 운용 변수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의 프로그램 운용 모드는 기지국의 동작 프로그램을 복수화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기지국의 동기 신호로 사용되는 버스트(Burst) 세팅 모드는 기지국간 동기의 주체를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 데이터베이스를 다운로드시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첫 번째 다이얼 디지트 대기 시간(First Dial Digit Wait Time), 다이얼 디지트간 대기 시간(Dial Inter-digit Wait Time)을 두어, 가입자의 다이얼 성향에 따라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중앙 인가(Central Validation: CV) 대기 시간은 가입자에 대한 호 서비스 결과가 중앙 인가나 무선 공중 등록(Over The Air Registration: OTAR)시 모뎀을 사용하여 상위 장치인 기지국 관리 장치에 접속을 시도하는데, 시간의 제약을 둘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중앙 인가 대기 시간은 기지국 관리 장치의 부하에 의하여 가변될 수 있다.
만약 상위 장치와의 접속이 실패할 경우에 대한 처리를 위하여 중앙 인가 장애 동작(Central Validation Fault Action)과 임계 장애 레벨(Critical Fault Level)이라는 리코드를 두어, 중앙 인가 실패시 호 서비스의 여부를 기지국에서 결정하도록 한다.
단말기가 초기 음성 언어를 설정하지 않고 호를 시도할 경우, 운용자가 디폴트 언어(Default Language)를 지정함으로써 음성 언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측의 공중 교환 전화 망을 시험하기 위하여, 정상 회선 시험 주기(Line Test Interval for normal line)와, 비정상 회선 시험 주기(Line Test Interval for faulty line)를 다르게 설정한다. 이것은 정상 회선의 경우 시험 빈도가 높으면 가입자의 회선 사용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도 9 는 하드웨어 구성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회선 구성(Tel Line Configuration)와, 무선(Radio Frequency: RF) 모듈 구성와, 근거리(Near) 수신 신호 세기 지시자(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원거리(Far) RSSI, 자유 RSSI, 전력 RSSI, 무선 채널 간격, 묵음 조건(Muting Condition) 및 오디오 레벨등의 리코드를 갖는다.
상기 전화 회선 구성는 회선 유형과, 회선 상태 및 호출 가입자 응답 유형등의 필드를 가지며, 상기 무선 모듈 구성는 무선 유형과, 무선 상태, RSSI 옵셋등의 필드를 가진다.
기지국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하드웨어는 모듈 단위로 구성하여 착탈이 용이한 구조로 설계되기 때문에, 현재 서비스에 적용되는 회선 및 무선 채널 카드(RF Channel Card)의 구성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범위(Coverage) 최적화를 위한 근거리, 원거리 RSSI값의 변경이 용이하며, 무선 사용권을 제한하는 자유(Free) RSSI의 선택이나 전력 제어를 위한 값도 가변화 할 수 있다.
도 10 은 장애 레벨 및 저장 시간 정의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모델들에 대하여 공통적 또는 개별적인 데이터를 장애 레벨에 설정된 값에 의하여 심각도가 큰 장애와 작은 장애로 구분하여 관리 장치에서 지정할 수 있도록, 운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데이터 그룹별로,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 데이터를 다운받는 방법은 기지국과 관리 장치 사이의 각각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버전 번호에 의하여 수행된다.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110)에서는, 기지국으로의 다운 로드가 시작된다.
기지국 관리 장치로부터 기지국으로의 다운 로드 절차는, 기지국에서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요구된 경우,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 시작된 기지국이 초기 구동되는 경우,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 시작된 정기적 처리에 의해 기지국에 접속하는 경우 및 유지보수 관점에 있어서 기지국에 대한 점검에 대한 사항으로 즉시 처리를 요하는 경우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120)에서는, 기지국과 기지국 관리 장치 사이에 모뎀 링크를 설립한다.
단계(130)에서는, 기지국 관리 장치로 기지국이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현재 버전을 전송한다.
단계(140)에서는,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 기지국에서 전송해 온 데이터베이스 버전과 기지국 관리 장치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버전을 각 데이터 그룹별로 비교한다.
단계(150)에서는, 상기 단계(140)에서 버전이 일치하지 않으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단계(160)에서는, 상기 단계(140)에서 버전이 일치하면 모뎀 링크를 종료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시스템의 초기 설치를 위하여 다운로드가 요구된 경우, 기지국은, 요구한 대로 데이터베이스의 다운로드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뒤에야, 시스템의 모드를 구동 모드에서 호 처리 모드로 전환하고 시스템을 재구동한다.
상기와 같이 수행되는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의 다운 로드는, 기지국으로부터 전해진 데이터베이스의 버전 정보를 각 데이터 그룹별로 비교하여 수행된다.
실제 단말기로부터의 통화가 요구되면, 기지국은 단말기와의 링크 셋업과 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시마다 기지국 관리 장치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다운로드 받게 된다.
도 12 는 기지국에 저장된 호 처리 관련 데이터베이스 활용의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210)에서는, 먼저 단말의 가입자에 의하여 호 시도가 요구된다.
단계(220)에서는, 단말기의 통화용 링크 식별번호와 동일한 데이터가 기지국 데이터에 존재하는가를 시스템 운용자 구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존재하면 링크를 셋업한다.
단계(230)에서는, 단말기와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운용자 인증 함수(OSF)를 확인한다. 이때 사용되는 운용자 인증 함수는 운용자 인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으며, 기지국 관리 장치에 의하여 사업자 운용 개념을 수렴하여 반영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와의 인증 절차가 실패하면, 단계(270)에서 저장된 음성 안내를 제공받는다.
단계(240)에서는, 인가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시스템 운용자 구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BSI를 검색한다.
이때 BSI에 오류가 발생하면, 단계(270)에서 저장된 음성 안내를 제공받는다.
단계(250)에서는, 인가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시스템 운용자 구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단말기 서비스 등급(TCOS)과, 단계(260)에서 다이얼 번호 분석 데이터베이스에서 단말기 디지트를 통해 검색된 호 서비스 유형을 비교한다.
단말기 서비스 등급의 비교결과 오류가 발생되면, 단계(270)에서 저장된 음성 안내를 제공받는다.
상기 단계(240) 내지 단계(260)는 인가 절차에 포함된다.
상기 단계(230) 내지 단계(260)의 인증 및 인가 절차에서 예외 처리가 발생하였을 경우, 단계(270)에서, 음성 안내를 제공한다.
이 경우 해당 음성 멘트은 시스템 운용자 구성 데이터베이스의 음성 매핑 테이블로부터 검색되며, 각각의 상태에 따라 서비스되는 음성 멘트는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 가변하여 지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기지국과 기지국 관리 장치가 이상없이 접속되면, 단계(280)에서 통화 상태에 들어간다.
통화 상태에 따라 호 서비스 유형에 지정된 정보를 호 유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통화 시간을 제약한다.
단계(290)에서는, 가입자 호가 종료되면 상기 단계(280)에서 검색된 호 서비스 유형에 의하여 호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기지국 운용에 필요한 데이터를 프로그램 코드화 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서비스의 운용 방안에 따라 프로그램 자체를 변화시키지 않도록 한다.
운용자에 무관하게 기지국의 운용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므로, 기지국 제품의 일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운로드시 필요한 정보군으로 관리하여 기지국에 관계된 설치를 위하여 운용자에게 편리한 구조를 제공한다.
사업자간 OSF를 공유하거나, 또는 각 기지국별로 독립적인 OSF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사업자간 불량 가입자 리스트를 공유하거나, 필요에 따라 각 기지국별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Claims (17)

  1. 기지국 운용을 위한 기본 데이타베이스;
    운용자별 독립적인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 운용자 구성 데이터베이스;
    단말기 인증에 필요한 함수를 저장하는 운용자 인증 함수 데이터베이스;
    가입자의 다이얼에 따라 해당되는 호 유형을 저장하는 호 유형 구성 데이터베이스;
    가입자의 다이얼에 따른 다이얼 리스트를 저장하는 다이얼 번호 분석 데이터베이스;
    운용자가 제공하는 단축 다이얼을 저장하는 단축 다이얼 데이터베이스;
    기지국 관리 장치 모뎀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기지국 관리 장치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
    운용자가 고객 서비스로 제공하는 긴급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긴급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
    기지국의 운용 모드를 저장하는 기지국 운용 변수 데이터베이스;
    기지국의 하드웨어적 구성을 모듈 단위로 저장하는 하드웨어 구성 정보 데이터베이스;
    기지국 모델에 대한 장애 등급을 저장하는 장애 레벨 및 저장 시간 정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기지국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내의 데이터를 선별적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2 기지국의 운용을 위한 구성 데이터의 가변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는 버전 번호와, 각 데이터베이스별로 고유한 데이터베이스 식별번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2 기지국의 운용을 위한 구성 데이터의 가변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전 번호는 초기설치시 또는 기지국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임의로 변경하는 경우 0x00으로 설정되며, 기지국 관리 장치에 의한 데이터베이스 다운로드시 다운로드된 데이터베이스의 버전 번호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2 기지국의 운용을 위한 구성 데이터의 가변화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운용자 구성 데이터베이스는 각 기지국별로 다른 시스템 운용자 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최대 15가지의 식별번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2 기지국의 운용을 위한 구성 데이터의 가변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운용자 구성 데이터베이스는,
    OPSIC를 사용하여 사업자 개별 정보를 구성하며, BSI 및 OSF를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2 기지국의 운용을 위한 구성 데이터의 가변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운용자 구성 데이타베이스는,
    기지국 관리 장치에 의하여 지정할 수 있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2 기지국의 운용을 위한 구성 데이터의 가변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자 인증 함수 데이터베이스는,
    OSF를 서로 다른 사업자간에 공유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2 기지국의 운용을 위한 구성 데이터의 가변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번호 분석 데이터베이스는,
    저장된 다이얼 번호 분석으로부터 호 유형을 추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2 기지국의 운용을 위한 구성 데이터의 가변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는,
    사업자가 고객 서비스를 위하여 제공하는 기지국에서 저장되어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2 기지국의 운용을 위한 구성 데이터의 가변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운용 변수 데이터베이스는,
    운용자의 운용개념에 따른 운용 모드를 저장하여, 기지국의 운용 모드를 설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2 기지국의 운용을 위한 구성 데이터의 가변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 구성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기지국 하드웨어의 각 모듈개념의 데이터 관리 및 RSSI값에 대한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의 직접 관리를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CT-2 기지국의 운용을 위한 구성 데이터의 가변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레벨 및 저장 시간 정의 데이터베이스는,
    장애 레벨에 대한 지정을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 실시하고, 운용자의 편의에 맞추어 장애등급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2 기지국의 운용을 위한 구성 데이터의 가변화 방법.
  13. 기지국의 다운로드가 시작되는 단계(110);
    기지국과 기지국 관리 장치 사이에 모뎀 링크를 설립하는 단계(120);
    기지국 관리 장치로 기지국이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현재 버전을 전송하는 단계(130);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 기지국에서 전송해 온 데이터베이스 버전과 기지국 관리 장치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버전을 각 데이터베이스별로 비교하는 단계(140);
    상기 단계(140)에서 버전이 일치하지 않으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150);
    상기 단계(140)에서 버전이 일치하면 모뎀 링크를 종료하는 단계(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의 단계(110)는,
    기지국에서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요구된 경우,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 시작된 기지국이 초기 구동되는 경우,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 시작된 정기적 처리에 의해 기지국에 접속하는 경우 및 유지보수 관점에 있어서 기지국에 대한 점검에 대한 사항으로 즉시 처리를 요하는 경우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 시작된 기지국이 초기 구동되는 경우,
    기지국 관리 장치로부터의 다운로드가 끝나면, 기지국은 구동 모드에서 호 처리 모드로 전환하고 시스템을 재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150)은,
    기지국에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개별 데이터베이스 및 공통 데이터베이스로 구분하여 다운로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
  17. 단말의 가입자에 의하여 호 시도가 요구되는 단계(210);
    단말기의 통화용 링크 식별번호와 동일한 데이터가 기지국 데이터에 존재하는가를 검색하여 존재하면 링크를 셋업하는 단계(220);
    기지국 데이터에 저장된 운용자 인증 함수에 의하여 단말기와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230);
    기지국 데이터에 저장된 불량 가입자 리스트를 확인하는 단계(240);
    기지국 데이터에 저장된 TCOS에 의하여 단말기 서비스 등급을 확인하는 단계(250);
    기지국 데이터에 저장된 다이얼 디지트에 의하여 호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여 상기 단계(250)에서 검색된 단말기 서비스 등급과 비교하는 단계(260);
    상기 단계(230) 내지 단계(260)에서 오류가 발생된 경우, 기지국 데이터에 저장된 음성 안내를 제공받는 단계(270);
    상기 단계(230) 내지 단계(260)에서 기지국과 기지국 관리 장치가 이상없이 접속되면, 기지국 데이터에 저장된 통화 시간에 의하여 통화 상태에 들어가는 단계(280);
    가입자 호가 종료되면 상기 단계(280)에서 검색된 호 서비스 유형에 의하여 호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2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
KR1019970039476A 1997-08-20 1997-08-20 씨티-2 기지국의 운용을 위한 구성 데이터의 가변화 방법및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 KR100253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476A KR100253140B1 (ko) 1997-08-20 1997-08-20 씨티-2 기지국의 운용을 위한 구성 데이터의 가변화 방법및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476A KR100253140B1 (ko) 1997-08-20 1997-08-20 씨티-2 기지국의 운용을 위한 구성 데이터의 가변화 방법및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791A KR19990016791A (ko) 1999-03-15
KR100253140B1 true KR100253140B1 (ko) 2000-04-15

Family

ID=19517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476A KR100253140B1 (ko) 1997-08-20 1997-08-20 씨티-2 기지국의 운용을 위한 구성 데이터의 가변화 방법및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31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307B1 (ko) * 2000-12-29 2002-10-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물리특성 측정값 처리장치 및 그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307B1 (ko) * 2000-12-29 2002-10-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물리특성 측정값 처리장치 및 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791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9052A (en) Base storage of handset's base registrations
US6725033B2 (en) Customer activation system for cellular network
US67250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over-the-air provisioning of a mobile station from a provisioning server via a traffic channel
US6195531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onfiguration of fixed cellular terminals
US6148192A (en) Checking the access right of a subscriber equipment
EP10573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mobile telephones
RU216097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го интерфейса вызывающего абонента в стационарной сотовой системе связи
US20040043788A1 (en) Management of parameters in a 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KR20010096543A (ko) 해석된 바이트코드 프로그램의 무선 전송을 이용하여이동국을 준비/업데이트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50003816A1 (en) Communications ope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000069257A (ko) 통화 셋업 프로세스
JP344232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
KR20030036163A (ko) 셀룰러 네트워크 제어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데이터메세지의 데이터 페이로드를 확장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1519609B1 (en) Method of preventing clone call of clone terminal
KR20020044558A (ko) 음성서비스 옵션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253140B1 (ko) 씨티-2 기지국의 운용을 위한 구성 데이터의 가변화 방법및 기지국 관리 장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
CN101317345A (zh) 用于注册多接口汇聚终端的位置的设备与方法
US6741857B1 (en) Access method and apparatus for a wireless local loop telephone network
US8200276B2 (en) Communication method
KR100610867B1 (ko)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자동 착신 전환 방법 및 장치
EP0948874B1 (en) Dynamically selecting a wireless network offering a desired service feature
US20020016184A1 (en) Automatic method of managing network services
KR100254193B1 (ko) 셀영역표시가가능한ct2무선통신네트워크및무선단말기의셀영역표시방법
EP1033053A2 (en) Method of installing a terminal, and a wireless telephone system
KR100253142B1 (ko) 불량 가입자 리스트의 전송 및 리스트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