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2968B1 -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2968B1
KR100252968B1 KR1019970066728A KR19970066728A KR100252968B1 KR 100252968 B1 KR100252968 B1 KR 100252968B1 KR 1019970066728 A KR1019970066728 A KR 1019970066728A KR 19970066728 A KR19970066728 A KR 19970066728A KR 100252968 B1 KR100252968 B1 KR 100252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rity
error
bits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6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8115A (ko
Inventor
김선경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66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2968B1/ko
Publication of KR19990048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8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6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interleav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3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stor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11B2020/185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using a product code which has inner and outer parity symb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olo Graphy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록하고자 하는 로우(raw) 데이터의 각 페이지에 있는 픽셀 데이터를 일정 크기의 행렬로 블록화하여 에러 정정을 위한 패리티(parity) 데이터를 삽입하고, 블록내에 있는 데이터를 인터리빙(interleaving)한 후, 그 데이터를 고주파화하도록 에러 정정을 위한 주파수 비트를 삽입하여 엔코딩한다. 그리고, 엔코딩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그 데이터를 상기 주파수 비트로 패리티 체크를 한 후, 데이터를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한 다음, 패리티 데이터로 에러 데이터를 찾아 정정하여 디코딩함으로써, 데이터 에러를 줄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처리방법
본 발명은 홀로그래픽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홀로그래픽(holographic) 기록은 정보를 가진 광과 참조광을 기록 매체 내부에서 포개어 간섭줄무늬를 만드는 방법으로 기록하는 것이다.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데에는 그 기록 매체에 참조광을 조사시키면 그 간섭줄무늬에 의한 회절로 이미지 정보를 띄워 재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홀로그래피라 하면 그 기록방식을 나타내고, 홀로그램은 기록된 매체 및 재생상 등을 나타낸다.
볼륨 홀로그래피(volume holography)는 이 기록 매체의 두께방향도 활용하여 삼차원적으로 간섭줄무늬를 기입하는 방식으로서, 두께를 증가하는 것으로 회절효율을 높이고 다중기록을 이용한 기억용량 증대를 꾀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기록 재생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화상을 디지털화한 재생 데이터를 처리하는 컴퓨터부분, 광원, 광로계부분 등은 생략하였다.
홀로그램의 기록 재생방법 및 다중기록의 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기록하고자 하는 원화상 등의 소스(source)를 디지털화하여 0과 1의 신호를 이차원으로 배치한다.
이것을 엘씨디(LCD)와 같은 공간광변조기에 투과하여 픽셀(pixel)로 표시한다.
결국 페이지 데이터(page data)는 크로스워드 퍼즐(crossword puzzle)과 유사한 백과 흑의 픽셀로 구성된다.
이것을 투과하여 공간적으로 변조된 빛은 정보광이 되고, 참조광은 이 정보광에 각각 직교하는 방향으로 홀로그램 기록매질에 입사시켜 기록매질의 결정내부에 정보광과 참조광 θ1을 겹치게하여 간섭줄무늬를 기록한다.
회절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참조광을 원통형 렌즈(cylindrical lens) 등을 이용하여 타원형 빔으로 변형시켜 간섭줄무늬가 기록매체의 두께방향으로 길게 기록되게 한다.
다음으로 다른 페이지 데이터와 입사각도를 바꾸어 놓은 참조광 θ2을 겹치게 맞추어 홀로그램 기록매질의 같은 위치에 기록함으로써 다중기록이 가능하게 한다.
이처럼 다중화하여 기록한 홀로그램을 하나의 스택(stack)이라 하는데, 이 스택으로부터 임의의 페이지 데이터를 재생하는데에는 그 페이지 데이터를 기록한 때와 같은 입사각도의 참조광을 조사해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그 참조광은 선택적으로 회절되어 그 재생 패턴이 CCD 어레이로 검출할 수 있다.
물론 이 재생 패턴도 크로스워드 퍼즐과 같이 페이지 데이터로서 기록시와는 반대로 디코드(decode)하여 원화상을 재생한다.
여기서, 이웃하는 페이지 데이터의 크로스토크(cross talk)는 참조광 입사각도를 바꾸면 없어지고, 빔의 입사각도는 고속이고 랜덤(random)하게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스택중의 페이지 데이터는 수십 μsec인 고속 억세스(access)가 가능하다.
또한, 페이지 데이터는 병렬로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전송 레이트(rate)화를 달성하기 쉬운 장점이 있고, 기록밀도는 기록매체의 체적을 늘리어 쉽게 증가시킬 수 있다.
약 1㎤ 정도의 LiNbO3에 수 Giga 픽셀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균일하고 에러가 없는 재생 이미지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페이지 데이터중 화살표로 표시된 한 열을 설명하면, 먼저 기록하는 원정보를 0 및 1로 디지털화하여 그 디지털 데이터를 공간광변조기로 표시한다.
이때, 1 비트 데이터를 명과 암으로 코드화한다.
데이터의 0을 암(off)으로부터 명(on)으로 표시하고, 데이터의 1을 명(on)으로부터 암(off)으로 표시한다.
이렇게 코드화하는 것으로 얻을 수 있는 메모리는 몇가지가 있다.
첫째는 0 및 1이 연속하여도 공간변조를 행할 수 있고, 둘째는 명과 암의 1페어(pair)로 1비트를 구성하여 페이지 데이터를 투과하여 여러 정보광의 전광량이 항상 일정하며, 셋째는 변조된 패턴의 공간주파수 분포도 제한되어 항상 균일하고 최적한 간섭조건을 만들 수 있고, 넷째는 다중화에 의하여 재생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N)가 저하하여도 미분 검출로 명암 에지(edge)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온(on)과 오프(off)의 픽셀인 광 강도 히스토그램(histogram)과 광 강도의 명암이 명확히 분리되는 기록전의 정보광 패턴은 다중기록후에는 재생 패턴이 다음과 같이 된다.
즉, 온(on)의 광 강도 피크(peak)가 저하되면서 분포가 넓어져 히스토그램상에서 온(on)의 광 강도와 오프(off)의 광 강도가 겹쳐지게 되는 부분이 생기게 됨으로써, 온(on)과 오프(off)와의 경계가 구분되지 않는다.
그리고, 렌즈나 기록매질에 생기는 먼지에 의한 광분포의 불균일함, 각 광학계에서 반사되는 빛과의 간섭무늬에 의한 광분포의 불균일함 등에 의한 데이터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USP 5450218에서는 HDSS에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엔코딩(encoding) 및 디코딩(decoding)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엔코딩시 각 페이지 데이터에서 광분포가 균일한 부분을 임의로 나누어 각 부분에 참조 데이터(reference data)를 넣어 디코딩시 이 참조 데이터를 아날로그값으로 읽어 온, 오프의 드레스호울드(threshold)를 정하는 방법이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처리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서는 각 페이지 데이터가 광분포에 따라 임의의 모양으로 나뉘어지고 또한 몇 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지는지 정할 수 없기 때문에 디코딩시 시간이 많이 소모된다.
그리고, HDSS에서 나타나는 광분포의 불균일함은 광학계에서 반사되는 빛과의 간섭무늬와 먼지 등에 의한 스펙클(speckle)무늬와 레이저의 세기가 가우시안(Gaussian)분포를 가짐으로써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동일한 광분포를 갖는 부분의 모양이 고리띠와 같은 모양이 되어버린다.
이러한 모양을 하나의 부분으로 나누어 디코딩을 하게 되면 프로세싱( processing)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데이터 에러를 줄여 기록 및 재생시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기록 재생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균일한 재생 영상 페이지 데이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엔코딩 및 디코딩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엔코딩시 한 페이지의 데이터양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를 블록화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리브를 보여주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비트의 홀수 패리티와 짝수 패리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기록된 데이터와 읽어들인 데이터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처리방법은 기록하고자 하는 로우(raw) 데이터의 각 페이지에 있는 픽셀 데이터를 일정 크기의 행렬로 블록화하여 에러 정정을 위한 패리티(parity) 데이터를 삽입하고, 블록내에 있는 데이터를 인터리빙(interleaving)한 후, 그 데이터를 고주파화하도록 에러 정정을 위한 주파수 비트를 삽입하여 엔코딩하는 스텝과, 엔코딩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그 데이터를 상기 주파수 비트로 패리티 체크를 한 후, 데이터를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한 다음, 패리티 데이터로 에러 데이터를 찾아 정정하여 디코딩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처리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홀로그래픽 저장장치에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때,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 에러를 줄이기 위한 엔코딩 및 디코딩 방법인데, 홀로그래픽 저장장치에서 발생하는 에러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광원인 레이저의 광분포가 중심이 가장 강하고 주변이 약한 가우시안 분포를 가짐으로써 발생되는 광불균일성에 의한 에러가 있고, 둘째는 각 광학계와 광학계에서 반사되는 빛과 투과되는 빛과의 간섭에 의해 생기는 간섭무늬에 의한 에러가 있으며, 셋째는 각 광학계에 붙어있는 먼지와 같은 스펙클(speckle)에 의한 회절(diffraction) 때문에 생기는 광분포의 불균일성에 의한 에러가 있고, 넷째는 공간광변조기와 CCD와의 미스얼라인(misalign)과, CCD 또는 공간광변조기의 픽셀이 손상(demage)으로 인해 사용이 불가능하여 생기는 블랭크(blank) 등이 있다.
여기서,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의 원인에 의해 나타나는 에러는 모두 저공간주파수(low spatial frequency)의 성질을 가지며, 네 번째 원인에 의한 에러는 점(point)나 선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에러들을 줄이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를 기록할 때 엔코딩을 하고 인터리브(interleave)를 거쳐 에러정정신호를 실어주고, 데이터를 읽을 때는 이 데이터를 다시 디-인터리브(de-interleave)와 에러정정을 하여 디코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엔코딩방법과 디코딩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엔코딩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코딩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엔코딩방법은 먼저 기록하기 위한 그림이나 기타 여러 포맷(format)을 갖는 파일을 기존에 나와 있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압축한다.
압축방법으로는 그 파일의 포맷에 따라 달라지는데 동화상일 경우는 MPEG이 가장 좋고 정지그림은 JPEG이나 GIF이 좋다.
그리고, 바이너리(binary)파일일 경우는 LZW방식이나 기타 기존에 나와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면 될 것이다.
이렇게 압축된 파일을 로우(raw) 데이터라 하면 이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에러정정코드를 첨가한다.
한 페이지(page)의 데이터양은 공간광변조기와 CCD에 의해 결정이 되는데, 여기서는 한 페이지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M(픽셀)×N(픽셀)로 나타낸다.
이처럼 한 페이지에 있는 픽셀 데이터를 순서대로 m개씩 묶어 하나의 행으로 만들고 이행을 n개 만들어 (m,n)행렬로 하여 1개의 블록(block)을 만든다.
한 페이지에 있는 블록의 개수는 1개에서 여러개까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 블록에 있는 데이터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6×11행렬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행과 열 끝에 에러정정데이터로 패리티(parity)를 첨가하여 (m+1)×(n+1)행렬로 나타낸다.
여기서, m+1열은 패리티열이고 n+1은 패리티행이다.
즉, 17열과 12행은 패리티 데이터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m+1, n+1)위치에 있는 데이터는 m+1과 n+1의 패리티 데이터를 정정하기 위한 패리티 비트(parity bit)이다.
이 패리티 데이터에는 짝수 패리티(even parity)와 홀수 패리티(odd parity)가 있는데, 데이터열 또는 데이터행에서 1인 비트의 수가 짝수가 되도록 패리티 비트를 정해주는 것이 짝수 패리티이고, 1인 데이터가 홀수가 되도록 패리티 비트를 정해주는 것이 홀수 패리티이다.
도 5에서는 짝수 패리티를 사용하고 있는데 홀수 패리티도 짝수 패리티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5에서 흰 픽셀을 0이라 하고 검은 픽셀을 1이라 하면 1행의 데이터에 1인 비트의 개수는 9개가 되기 때문에 이를 짝수로 만들기 위하여 패리티위치에 1을 더해주어 1인 비트의 총개수를 짝수가 되게 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열방향으로도 패리티를 첨가하였다.
또한, 패리티 비트는 패리티 데이터의 패리티를 세어서 정하게 된다.
이처럼, 도 5에서는 패리티열과 패리티행의 1인 비트의 개수가 각각 홀수이므로 패리티 비트에 1을 넣어 짝수가 되도록 하였다.
이어, 에러 정정을 위한 패리티 데이터가 삽입된 데이터를 인터리브(interleave)한다.
인터리브를 하는 이유는 기록매질에 국부적인 스크래치(scratch)나 이물질이 묻어있는 있거나 또는 CCD에 결상시키는 광학계에 이물질이 있는 경우에 읽은 데이터의 신뢰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인접해 있는 각 데이터가 분리되도록 인터리브한다.
인터리브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한 페이지가 M×N 픽셀로 이루어져 있을 때, 한 페이지가 i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고, 한 블록은 j개의 픽셀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면, M×N 픽셀은 각각을 블록 i와 그 블록내의 픽셀 번호를 j로 나타내어 순서쌍 (i,j)로 표시할 수 있다.
한 블록단위로 패리티 데이터를 삽입하게 되므로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 블록에 있는 데이터를 분리시켜 놓아야 하므로 이 (i,j) 순서쌍을 (j,i)로 바꾸어 놓는다.
그리고, 이렇게 인터리브된 데이터가 연속된 0의 값을 갖거나 연속된 1의 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 이를 없애기 위하여 k번째 비트에 패리티를 맞추어 셋팅(setting)한다.
즉, 비트 주파수를 8비트로 한다면, 7개의 데이터 비트와 1개의 패리티 비트로 이룰 수 있다.
데이터 비트의 개수가 홀수이면 홀수(odd) 패리티로 맞추고 데이터 비트의 개수가 짝수이면 짝수(even) 패리티로 맞춘다.
도 7a는 주파수 비트의 홀수 패리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b는 짝수 패리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비트를 삽입할 때, 연속된 0이나 연속된 1이 있는 데이터의 개수가 홀수일 경우 홀수 패리티를 사용하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된 0이나 연속된 1이 있는 데이터의 개수가 짝수일 경우 짝수 패리티를 사용함으로써, 주파수 비트가 데이터에 고주파(high frequency) 성향을 강하게 해준다.
이와 같이, 주파수 비트로 데이터를 고주파 성향을 띠게 하는 이유는 연속된 1의 값을 갖는 데이터나 연속된 0의 값을 갖는 데이터가 있으면 이들 데이터는 저주파 영역에 해당하여 광학계에서 반사된 빛과 간섭하여 생기는 무늬나 광학계의 스펙클에 의해 생기는 노이즈와 구별이 쉽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디지털신호처리를 하여 저주파에 해당하는 값을 제거할 때, 이들 노이즈와 구별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고주파화함으로써 엔코딩을 완료한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코딩방법은 다음과 같다.
홀로그래픽 데이터가 저장된 기록매질에서 데이터를 CCD로 사용하여 읽어들일 때, 광학계에 의한 노이즈 등 여러 가지의 노이즈가 섞여나오게 된다.
읽어들인 데이터는 한 픽셀이 1바이트(byte)의 값을 갖게 되지만 입력된 데이터는 한 픽셀이 한 비트이므로 이를 다시 2진화하여야 한다.
도 8a는 기록매질에 기록한 오리지널 데이터이고, 도 8b는 기록매질로부터 읽어들인 데이터이다.
여기서, 도 8a는 데이터가 0과 1로 구성된 비트 데이터임을 알 수 있지만 도 8b는 노이즈에 의하여 데이터가 희미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노이즈의 대부분은 저주파부분이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디지털신호처리방법을 사용하여 저주파부분을 제거한다.
이 디지털신호처리방법에는 하이 패스 필터(high pass filter)를 사용하는 방법, 샤펜(sharpen)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들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0과 1의 구별을 뚜렷이 할 수 있다.
히스토그램상에서 0과 1의 구별이 확실해지면 이를 다시 2진화하여 0과 1의 디지털값으로 바꿀 수 있다.
이처럼 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하고나서 패리티를 체크하여 오류가 있는 데이터의 주소를 저장하여 디-인터리브(de-interleave) 후 에러 정정을 할 때 참조한다.
여기서, 주파수 비트로 사용된 에러 정정값은 패리티 비트로도 사용되었기 때문에 패리트를 체크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주파수 비트를 제거하고 데이터를 인터리브한 방법과 반대 방법으로 디-인터리브한다.
즉, (j,i)형태로 되어 있는 데이터를 (i,j)형태로 바꾸어 저장한다.
이와 같이, 디-인터리브된 한 페이지의 데이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개의 블록 형태로 되어있게 된다.
그러므로 각 블록의 패리티열과 패리티행과 패리티 비트를 비교하여 오류가 있는 패리티 데이터를 찾아내고나서 다시 패리티 데이터와 로우 데이터를 비교하여 오류 데이터를 찾아내어 정정함으로써 디코딩을 완료한다.
여기서, 데이터의 에러정정 순서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위치에 있는 데이터 A가 오류가 있다고 가정하면, 먼저, 패리티행과 패리티열과 패리티 비트를 비교하여 패리티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를 체크한다.
오류가 없으면 다시 각 데이터의 열과 데이터의 행과 패리티 값을 비교하여 몇번째 행렬에 있는 데이터가 오류가 있는지를 체크한다.
즉, 4번째 행을 보면 A를 제외한 1의 값을 갖는 비트 수는 6개가 된다.
그때의 패리티 값은 0이어야되는데 데이터는 1로 되어 있다.
상기에서 패리티 데이터 체크시 오류가 없음을 알 수 있었으므로 4번째 행의 데이터중에서 오류가 있는 데이터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6번째 열을 보면 데이터 A를 제외한 1의 값을 갖는 비트의 수는 4개가 되어 패리티 값은 0이 되어야 하나 1의 값을 가지므로 순서쌍 (4,6)에 있는 데이터의 값이 1이 되어야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패리티 데이터에 있는 값이 오류가 있는 경우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오류인 비트 값을 알아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진행을 통하여 발생하는 대부분의 데이터 오류를 정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처리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간단한 방법으로 엔코딩시 에러정정코드를 삽입하여 기록매질에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할 때, 데이터 에러를 줄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Claims (7)

  1. 기록하고자 하는 로우(raw) 데이터의 각 페이지에 있는 픽셀 데이터를 일정 크기의 행렬로 블록화하여 에러 정정을 위한 패리티(parity) 데이터를 삽입하고, 상기 블록내에 있는 데이터를 인터리빙(interleaving)한 후, 상기 데이터를 고주파화하도록 에러 정정을 위한 주파수 비트를 삽입하여 엔코딩하는 스텝;
    상기 엔코딩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그 데이터를 상기 주파수 비트로 패리티 체크를 한 후, 상기 데이터를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한 다음, 상기 패리티 데이터로 에러 데이터를 찾아 정정하여 디코딩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리티 데이터는 블록화된 데이터의 각 행과 열의 끝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처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리티 데이터의 에러를 정정하기 위한 패리티 비트는 순서쌍 (패리티 열, 패리티 행)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처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비트 삽입시 데이터 비트의 개수가 홀수이면 홀수(odd) 패리티를 사용하고, 데이터 비트의 개수가 짝수이면 짝수(even) 패리티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처리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리티 데이터를 이용한 데이터 에러 정정의 순서는 패리티 데이터 행렬과 패리티 비트를 비교하여 패리티 데이터에 에러가 있는지를 체크한 후, 상기 패리티 데이터와 로우 데이터를 비교하여 에러 데이터가 있는지를 체크함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처리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딩하는 스텝은
    기록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압축하여 로우 데이터를 준비하는 스텝;
    상기 로우(raw) 데이터의 각 페이지에 있는 픽셀 데이터를 일정 크기의 행렬로 블록화하고, 상기 각 행과 열의 끝에 에러 정정을 위한 패리티(parity) 데이터를 삽입하는 스텝;
    상기 블록내에 있는 데이터가 분리되도록 인터리빙(interleaving)하는 스텝;
    상기 분리된 데이터를 고주파화하도록 에러 정정을 위한 주파수 비트를 삽입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처리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하는 스텝은
    엔코딩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스텝;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주파수 비트로 패리티 체크하여 에러가 있는 데이터의 주소를 저장하는 스텝;
    상기 주파수 비트를 제거하고 상기 데이터를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하는 스텝;
    상기 디-인터리빙된 데이터의 패리티 데이터 행렬과 패리티 비트를 비교하여 패리티 데이터의 에러를 찾아 정정하고 상기 패리티 데이터와 로우 데이터를 비교하여 에러 데이터를 찾아 정정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처리방법.
KR1019970066728A 1997-12-08 1997-12-08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처리방법 KR100252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728A KR100252968B1 (ko) 1997-12-08 1997-12-08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728A KR100252968B1 (ko) 1997-12-08 1997-12-08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115A KR19990048115A (ko) 1999-07-05
KR100252968B1 true KR100252968B1 (ko) 2000-04-15

Family

ID=19526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6728A KR100252968B1 (ko) 1997-12-08 1997-12-08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29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26534A2 (en) * 2003-10-22 2005-04-27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Holographic rom disk having multiple error correction code rat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769B1 (ko) * 2000-12-29 2003-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피엔에이 모뎀의 잡음 제거 장치
KR100589594B1 (ko) * 2004-04-12 2006-06-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데이터 엔코딩/디코딩 방법
KR100569480B1 (ko) * 2004-08-20 2006-04-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데이터 인코딩/디코딩 방법
KR100657690B1 (ko) * 2004-12-15 2006-12-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데이터 인코딩/디코딩 방법
KR100681610B1 (ko) * 2004-12-15 2007-02-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데이터 인코딩/디코딩 방법
KR100739313B1 (ko) * 2005-06-30 2007-07-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Hdds시스템에서 데이터 페이지 탐색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26534A2 (en) * 2003-10-22 2005-04-27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Holographic rom disk having multiple error correction code r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115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0129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method
KR100285127B1 (ko) 오류정정 부호화방법 및 장치, 오류정정 복호화방법 및 장치,데이터 기록·재생장치, 및 기억매체
EP0188627B1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optical cards
KR100252968B1 (ko) 홀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처리방법
JP3841244B2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方法
US20010055259A1 (en) Digital signal recording/reproducing method
US5121377A (en) Error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number of errors generated when reading digital data stored on a recording medium such as film
KR100569480B1 (ko) 홀로그래픽 데이터 인코딩/디코딩 방법
KR100822633B1 (ko) 광정보의 모듈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
US8000204B2 (en) Data processing method for a holographic data storage system
KR100589594B1 (ko) 홀로그래픽 데이터 엔코딩/디코딩 방법
KR100657690B1 (ko) 홀로그래픽 데이터 인코딩/디코딩 방법
KR100589620B1 (ko) 홀로그래픽 데이터 엔코딩/디코딩 방법
KR100681610B1 (ko) 홀로그래픽 데이터 인코딩/디코딩 방법
KR100535823B1 (ko)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저장시스템의 멀티-레벨 차분코딩 및 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100551373B1 (ko)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시스템의 코딩 및 디코딩 방법
KR100589588B1 (ko) 홀로그램 데이터 엔코딩/디코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36227B1 (ko)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타 저장 시스템과 이의 데이타저장 및 재생방법
KR101084093B1 (ko) Hdds 시스템에서 이미지의 회전 검출방법
KR20050099865A (ko)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시스템의 코딩 및 디코딩 방법
KR20050092603A (ko)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저장시스템의 멀티-레벨 차분코딩 및 디코딩 방법 및 장치
WO2006003537A2 (en) Apparatus for reading an information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