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1585B1 - 동작 전류의 감소를 위한 무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동작 전류의 감소를 위한 무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585B1
KR100251585B1 KR1019970080591A KR19970080591A KR100251585B1 KR 100251585 B1 KR100251585 B1 KR 100251585B1 KR 1019970080591 A KR1019970080591 A KR 1019970080591A KR 19970080591 A KR19970080591 A KR 19970080591A KR 100251585 B1 KR100251585 B1 KR 100251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ue
control voltage
cod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0368A (ko
Inventor
조성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80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1585B1/ko
Publication of KR19990060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0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08Closed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이동 무선 단말기(handheld telephone))에 관한 것으로, 송신기의 소비 전력을 줄여 전류 소모를 최소로 한 업 컨버터(upconverter)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무선 단말기는 폐루프 전력 제어를 행하며, 입력되는 송신 신호를 제어 코드에 대응하는 이득으로 증폭하고, 중간 주파 필터링하는 중간주파부와, 상기 중간주파된 신호와 국부발진 주파수를 믹싱하여 주파수를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와, 제어 전압의 레벨에 대응하는 선형 특성을 가지고 상기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드라이브 증폭기와,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고주파필터링하여 불필요한 고주파수를 제거하여 전력 증폭하는 전력 증폭부와, 제1제어 전압과 제2제어 전압을 입력하며,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제2제어 전압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로 공급하는 제어 전압 스위치와,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따른 제어 코드를 상기 중간 주파부로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 코드와 미리 설정된 설정 코드의 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제2 전압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전압 스위치로 공급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동작 전류의 감소를 위한 무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이동 무선 단말기(handheld telephon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기의 소비 전력을 줄여 전류 소모를 최소로 한 업 컨버터(upconverter)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다수의 무선 단말기(handheld telephone), 예를 들면, 이동 무선 전화기(mobile telephone)는 기지국과 통신을 통해 현재의 필드(field) 상황을 채크하며, 채크된 필드 상황에 따라 무선 송신 증폭도를 조절하여, 최소한의 전력을 사용하도록 하는 폐루프 전력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은 폐루프 전력 제어는 하기와 같다.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그 세기가 미세하므로 잡음을 최소화시킨 후, 신호의 세기를 증폭하고, 저주파수 대역으로 한번의 주파수 변환을 한다. 이후, 저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된 신호의 상태를 확인하여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필드 상황을 검사하고,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무선 단말기의 수신 신호의 이득을 자동 조절하는 자동 이득 제어기(automatic gain controller : AGC)를 제어하여 수신 신호의 세기를 적절히 제어 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적절한 수신 이득으로 제어되어 수신된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신호를 복원하게된다. 이때, 채크된 수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AGC를 제어하는 제어 코드는 테이블화되어 있으며, 상기 AGC의 이득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코드로서 송신기의 이득을 조절하는 자동 이득 증폭기의 이득도 함께 조절하여 송신 환경에 맞게 송신 이득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폐루프 전력 제어의 기술이 적용된 종래의 무선 단말기의 송신기(transmitter: 혹은 unconverter)의 구성은 하기 도 1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무선 단말기(handheld telephone)의 송신부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를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한 무선 단말기의 업 컨버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지금, 디지탈 음성신호가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10로 입력되면, 상기 DAC 10은 입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노드에 접속된 자동 이득 제어기(automatic gain controller)(이하 "AGC"라함)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AGC 12는 송신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제어 코드 CTL에 의해 설정된 값으로 입력되는 아나로그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여 증폭한다.
상기 AGC 12에 의해 이득, 즉 신호의 세기가 조절된 신호는 출력단자에 접속된 중간 주파수 여과기(intermediate frequency filter) 16로 공급되며, 상기 중간 주파수 여과기 14는 에 의해 중간 주파수 대역의 불여파 신호를 제거하여 출력단자에 접속된 믹서(mixer) 16의 일측으로 공급한다.
상기 믹서 16은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 18에 의해 발진되어 또다른 단자로 입력되는 국부 발진 주파수와 상기 중간 주파수 여과기 14의 출력을 믹싱하여 고주파수로 변환된 업 컨버팅(upconverting) 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발생된 고주파수 신호는 드라이브 증폭기(diver amplifier) 20에 입력되어 소정 레벨의 신호로 증폭되어 출력단자에 접속된 고주파용 필터 24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 20은 외부의 제어 전압(control voltage)의 레벨로서 입력되는 고주파수를 증폭하는 것이며, 이는 안테나 28에 접속된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26의 입력 조건을 맞추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어 전압은 통상적으로 레벨이 고정되어 공급된다. 상기 고주파용 필터 24는 상기 믹서 16 및 드라이브 앰프 16의 비선형 특성에 의해 발생된 불필요한 신호들을 제거하여 송신 신호의 특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업 컨버팅되어 필터링된 송신 신호는 전력 증폭기 26에 의해 소정의 신호로 전력 증폭된 후 안테나 28을 통해 대기로 송출되게 된다. 그러나, 도 1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무선 단말기의 업 컨버터는 드라이브 증폭기 20에 제공되는 제어 전압 22이 고정된 레벨을 가지므로써 전력 소모가 비교적 커 폐루프 전력 제어의 효율을 크게 낮아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드라이브 증폭기 20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고주파용 필터 24에 의해 불필요한 신호들이 제거되긴 했지만, 인접해 있는 또다른 무선 채널의 불요파는 필터의 특성상 제거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드라이브 증폭기 20은 인접 채널의 간섭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 높은 전압을 사용하여 선형 특성(linear characteristic)을 좋게 하고 있는데, 요구되는 송신 신호의 세기가 작더라도 드라이브 증폭기 20에 공급하는 전압을 일정한 전압 레벨로 고정하므로써 전류의 손실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무선 단말기의 업 컨버터에서 소비되는 전류의 대부분을 전력 증폭기와 드라이브 증폭기가 사용한다고 한다고 보면, 이들 부분의 전류 소모를 줄이는 것은 무선 단말기의 동작 및 대기 시간을 증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루프 전력 제어를 행하는 자동 이득 제어기의 제어 코드를 이용하여 드라이브 증폭기로 공급되는 제어 전압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전류 소모를 최소화하는 업컨버터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신 필드의 상황에 적응하여 업 컨버터에 인가되는 제어 전압의 레벨을 제어하여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고, 인접 채널의 파워를 최소화하여 선형 특성이 개선되는 무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입력되는 송신 신호를 제어 코드에 대응하는 이득으로 증폭하고, 중간 주파 필터링하는 중간주파부와, 상기 중간주파된 신호와 국부발진 주파수를 믹싱하여 주파수를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와, 제어 전압의 레벨에 대응하는 선형 특성을 가지고 상기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드라이브 증폭기와,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고주파필터링하여 불필요한 고주파수를 제거하여 전력 증폭하는 전력 증폭부와, 제1제어 전압과 제2제어 전압을 입력하며,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제2제어 전압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로 공급하는 제어 전압 스위치와,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따른 제어 코드를 상기 중간 주파부로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 코드와 미리 설정된 설정 코드의 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제2 전압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전압 스위치로 공급하는 제어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무선 단말기(handheld telephone)의 송신부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전류의 감소를 위한 송신부를 갖는 무선 단말기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동작 전류 감소를 위한 동작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전술한 도 1과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동일한 참조부호가 병기되어짐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전류의 감소를 위한 송신부를 갖는 무선 단말기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신 신호의 세기 RFS에 따른 제어 코드(증폭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의미함) CTL를 AGC 12로 제공하고, 미리 설정된 송신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여 설정된 코드와 상기 제어 코드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전압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기 30와, 제1제어 전압과 제2제어 전압을 입력하며 상기 제어기 30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제2제어 전압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 20의 제어 전압으로 출력하는 제어 전압 스위치 32가 더 부가 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동작 전류 감소를 위한 동작 제어 흐름도로서, 도 2에 도시된 제어기 30내의 롬(ROM)의 영역에 마스크된 프로그램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상기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는 기지국과 통신을 통해 현재의 필드 상황를 채크하며, 채크된 상황에 따라 송신 증폭도를 조정하여 최소한의 전력 사용을 하는 폐루프 전력 제어를 실행한다.
상기와 같은 폐루프 전력 제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즉,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그 세기가 미세하므로 잡음을 최소화하여 신호의 세기를 증폭하고, 저주파수의 대역으로 한번의 주파수 변환(dwon converting)한다. 그리고, 주파수 변환된 수신 신호의 세기의 상태를 확인하여 그 결과에 따라 수신 경로상에 놓여진 자동 이득 제어기를 제어하여 수신 신호의 세기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수신 경로에 의해 이득이 제어된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을 복원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수신 경로에 의해 측정된 수신 신호의 세기가 제어기로 입력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신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코드를 메모리 테이블등과 같은 기록 매체로부터 억세스하여 수신 경로상에 위치된 자동 이득 제어기에 공급하여 수신 신호의 세기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수신 신호의 세기 조절은 도 2에 도시된 제어기 30이 실행한다. 무선 단말기에서 송신 경로상에 위치된 송신기의 동작은 하기와 같다.
지금, 송신될 음성신호가 도 2에 도시된 DAC 10으로 입력되면, 상기 DAC 10은 샘플링 클럭에 의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자에 접속된 AGC 12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AGC 12는 제어기 3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코드 CTL에 대응하는 이득으로 송신 신호를 증폭하여 중간 주파수 필터 14로 공급한다. 여기서, 제어 코드라 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 신호의 세기 RFS를 상기 제어기 30가 수신 및 송신 상황에 적절한 신호의 세기를 갖도록 미리 테이블화된 제어 코드를 메모리등으로부터 억세스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중간 주파수 필터 14에 입력된 송신 신호는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믹서 16 및 국부 발진기 18로 구성되는 주파수 변환부에 의해 고주파수로 변환된 후, 드라이브 증폭기 20으로 입력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 20은 도 2에 도시된 제어기 3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전압 스위치 32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제어 전압을 입력하며, 상기 제어 전압에 대응하는 선형 특성의 값으로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 20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는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고주파용 필터 24와 전력 증폭기 26에 의해 필터링 및 전력 증폭되어 안테나 28를 통해 송출된다.
상기의 같은 송신 경로의 설명중, 자동 이득 제어기 12에 제공되는 제어 코드의 값이 높은 출력을 요구하는 값일 경우 강한 송신 신호를 출력해야 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송신기에 적용된 드라이브 증폭기 20, 전력 증폭기 26 및 믹서 16등은 비선형 특성을 갖는 회로들로서, 좋은 선형 특성을 요구하는 높은 전력 상황에서는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 20, 전력 증폭기 26 및 믹서 16등의 선형 특성을 양호하게 설계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믹서 16과 전력 증폭기 26의 사이에 선형 특성이 양호한 증폭기를 사용하여 송신기 전체의 선형 특성을 향상 시키는 구조를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높은 출력을 요구하지 않을 경우 상대적으로 간섭파의 양은 송신될 신호의 ⅓에 비례하여 작아지므로 낮은 송신 출력에서의 간섭파의 세기는 상대적으로 고출력 상태보다 아주 작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드라이브 증폭기 20의 선형 특성이 아주 좋을 필요가 없으며, 선형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해 제어 전압을 크게한데 대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전류의 소모만을 증대 시킬 뿐이다. 본 발명에서는 높은 출력이 요구되지 않은 송신 상황일때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 20에 제공되는 제어 전압의 레벨을 변경하여 전류소모를 억제하는 기술이 제공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송신과정에서 제어기 30은 도 3과 같은 송신 전류 소모 루틴을 콜(call)하여 34과정에서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 12로 공급되는 제어 코드 CTL의 값을 인식(분석)한다. 그리고, 36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설정 코드의 값과 상기 제어 코드 CTL의 값을 비교한 후, 38과정에서 설정된 값이 제어 코드의 값을 초과하는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설정 코드의 값이라 함은 송신신호의 세기가 비교적 높은 전력세기를 갖도록 하는 제어 코드에 대응하는 제어 값이다. 예를 들면, 송신기의 최대의 고출력을 20㏈m이상 이라 가정하면, 이에 해당하는 하는 코드값을 설정 코드의 값으로 세트한다.
상기 비교 검색 판단과정에서 설정 코드의 값이 자동 이득 제어기 207로 공급되는 제어 코드 값 보다 작다면 상기 제어기 30은 높은 출력을 요구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40과정에서 제1전압 V1(예로서, 5볼트의 직류전압)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 전압 스위치 32는 제1제어 전압 V1과 제2제어 전압 V2중 제1제어 전압을 선택 스위칭하여 드라이브 증폭기 20에 공급한다. 이와 같은 이유는 높은 출력을 요구하는 경우, 드라이브 증폭기 20에 비교적 고전압을 인가하여 드라이브 증폭기 20의 선형 특성을 향상 시켜거 간섭 신호대 신호의 비를 향상 시키는 결과를 꾀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도 3의 38과정에서 설정된 값이 자동 이득 제어기 12로 입력는 제어 코드의 값보다 작다면, 제어기 30은 42과정에서 설정 값이 제어 코드 값보다 큰가를 검색한다. 상기 42과정의 검색 결과 설정값이 제어 코드의 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비교적 낮은 송출 출력을 가져도 현재의 송신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상태라고 파단하여 상기 제어기 30은 44과정에서 제2제어 전압 V2(예를 들면, 4볼트의 전압)를 선택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제어 전압 스위치 32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제어 전압 스위치 32는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에 의해 제2제어 전압 V2를 선택하여 드라이브 증폭기 20로 공급하므로써 이로부터 소모되는 전류를 적게한다. 상기와 같이 송신 상황이 높은 출력을 요구하지 않는 상태에서 드라이브 증폭기 20로 공급되는 제어 전압을 낮게하는 이유는 높은 출력이 요구되지 않은 상태에서 드라이브 증포기 20의 전류 소모를 억제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42과정에서 설정 코드의 값이 제어 코드의 값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어기는 46과정에서 자동 이득 제어기 12의 출력세기를 측정한다. 그리고, 제어기 30은 48과정에서 측정된 자동 이득 제어기 12의 출력세기가 미리 설정된 출력세기 값과 같거나 이보다 큰가를 검색한다. 이는 자동 이득 제어기 12의 출력의 세기가 19㏈m과 미리 설정된 설정 코드의 값 20㏈m의 사이에서 변동할 경우 계속적으로 제어 전압의 스위칭이 이루어져 제어에 무리가 오므로 제어 마진을 설정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20㏈m의 출력에 대해 약 3㏈m정도의 마진을 두어 미리 설정된 설정 코드의 값 20㏈m보다 3㏈m정도 출력의 세기가 작지만 고출력으로 간주하여 드라이브 증폭기 20의 제어 전압을 안정화 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48과정에서 자동 이득 제어기 12의 출력 세기가 17㏈m과 같거나 이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기 30은 전술한 44과정을 수행하여 드라이브 증폭기 20에 제1제어 전압 V1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17㏈m 보다 작다면 제2제어 전압 V2가 드라이브 증폭기 20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여 제어 전압 스위치 32를 50과정에서 제어하여 드라이브 증폭기 20에서의 전류 소모를 억제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제어 과정에 의해 자동 이득 제어기 12의 출력 세기가 높은 출력을 요구하지 않는 상황일 때, 드라이브 증폭기 20의 제어 전압을 낮추어 줌으로써 소비 전류를 절약할 수 있게된다. 또한, 자동 이득 제어기 12의 제어 코드와 미리 설정된 설정 코드와의 대소 관계에 따라 드라이브 증폭기 20에 공급되는 제어 전압을 제1제어 전압 V1 혹은 제2제어 전압 V2중 하나를 선택하여 공급하므로써 우수한 선형 특성이 요구되지 않은 낮은 출력의 상태에서 전류 소모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는 자동 이득 제어기로 공급되는 제어 코드가 높은 선형 특성을 요구하지 않은 코드의 값일 때 업 컨버터의 제어 전압을 낮은 전압으로 스위칭하여 공급하므로써 고출력을 요구할 때에는 높은 신호대 잡음비를 얻어낼 수 있게하며, 반대로 저출력이 요구될 때에는 소모 전류를 감소 시킴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폐루프 전력 제어를 행하는 무선 단말기에서 최대 출력의 송신 세기의 값으로 설정된 제어 코드와 자동 이득 제어기의 제어 코드의 값을 비교하여 송신 필드의 상황을 검출하고, 이에 따라 송신기의 제어 전압을 비교적 높은 제1제어 전압과 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된 제2제어 전압중 하나를 선택 스위칭하여 공급하므로써 고출력을 요구할 때에는 높은 신호대 잡음비를 얻어낼 수 있게 하며, 반대로 저출력이 요구될 때에는 소모 전류를 감소 시킬 수 있어 배터리 세이빙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Claims (7)

  1.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여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 자동 이득 제어기의 제어 코드 값을 변경하여 폐루프 전력 제어를 하는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제어 코드의 값에 따른 이득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자동 이득 제어기와,
    상기 이득 조절된 신호를 고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주파수 변환부와,
    입력되는 신호를 전력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와,
    상기 주파수 변환부와 상기 전력 증폭기 사이에 위치되며 입력되는 제어 전압의 레벨에 대응하는 선형 특성을 가지고 상기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에 공급하는 드라이브 증폭기와,
    소정 레벨의 제1제어 전압을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에 공급하고, 상기 제어 코드의 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 코드 값보다 낮을 때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에 공급되는 제어 전압을 상기 제1제어전압 보다 낮게 설정된 제2제어 전압으로 스위칭하는 제어 전압 공급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전류의 감소를 위한 무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코드의 값은 상기 자동 이득 제어기의 출력이 고출력에 대응하는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전류의 감소를 위한 무선 단말기.
  3.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입력되는 송신 신호를 제어 코드에 대응하는 이득으로 증폭하고, 중간 주파 필터링하는 중간주파부와,
    상기 중간주파된 신호와 국부발진 주파수를 믹싱하여 주파수를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와,
    제어 전압의 레벨에 대응하는 선형 특성을 가지고 상기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드라이브 증폭기와,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고주파필터링하여 불필요한 고주파수를 제거하여 전력 증폭하는 전력 증폭부와,
    제1제어 전압과 제2제어 전압을 입력하며,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제2제어 전압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로 공급하는 제어 전압 스위치와,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따른 제어 코드를 상기 중간 주파부로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 코드와 미리 설정된 설정 코드의 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제2 전압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전압 스위치로 공급하는 제어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동작 전류의 감소를 위한 무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코드의 값은 상기 자동 이득 제어기의 출력이 고출력에 대응하는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전류의 감소를 위한 무선 단말기.
  5.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여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 자동 이득 제어기의 제어 코드 값을 변경하는 제어기와, 상기 자동 이득 제어기의 출력을 중간주파하여 고주파수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기 및 제어 전압의 레벨에 대응하는 선형 특성을 가지고 상기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드라이브 증폭기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코드의 값과 미리 설정된 설정 코드의 값의 대소를 비교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비교 결과 상기 제어 코드의 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 코드의 값 이상일 때 소정 레벨을 갖는 제1제어전압을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에 공급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비교 결과, 상기 제어 코드의 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 코드의 값 이하일 때 제1제어전압의 레벨보다 낮은 제2제어전압을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에 공급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전류의 감소를 위한 무선 단말기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은 상기 제어 코드의 값이 미리 설정된 코드의 값 이하일때 자동 이득 제어기의 출력 세기를 측정하고, 그 측정 값이 설정 코드의 값에 근접하는 출력 세기일 때 제1제어전압의 출력을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전류의 감소를 위한 무선 단말기의 제어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설정 코드의 값은 상기 자동 이득 제어기의 출력이 고출력에 대응하는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전류의 감소를 위한 무선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9970080591A 1997-12-31 1997-12-31 동작 전류의 감소를 위한 무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251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591A KR100251585B1 (ko) 1997-12-31 1997-12-31 동작 전류의 감소를 위한 무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591A KR100251585B1 (ko) 1997-12-31 1997-12-31 동작 전류의 감소를 위한 무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368A KR19990060368A (ko) 1999-07-26
KR100251585B1 true KR100251585B1 (ko) 2000-04-15

Family

ID=19530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591A KR100251585B1 (ko) 1997-12-31 1997-12-31 동작 전류의 감소를 위한 무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15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449A (ko) * 2001-08-16 2003-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송신기의 송신 전력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368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26765B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6615028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mplifiers in a communications device
RU225248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усиления мощности передачи беспроводного телефона при пониженном энергопотреблении
KR100357337B1 (ko) 휴대전화
US5852770A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US7193459B1 (en) Power amplifier control technique for enhanced efficiency
US6052572A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US6766156B1 (en) Radio transmitter-receiver, high-frequency radio receiver, and control unit
JP2005518684A (ja) 電力増幅器の制御
JPH07143056A (ja) 移動体通信装置
KR100375402B1 (ko) 출력 전력조정을 행하는 송신기
US200100342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interconnecting amplifiers in a communications device
KR101016567B1 (ko) Wcdma 이동 단말기내 전력 증폭기의 동작 포인트를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KR100508355B1 (ko) 오디오 및 rf 증폭기용 공유 전원을 구비하는 휴대용무선 송수신기
US6982594B2 (en) System for developing a secondary control signal in a power amplifier control loop
KR100251585B1 (ko) 동작 전류의 감소를 위한 무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950618B1 (ko) 전력 레벨 제어를 갖춘 선형 전력의 효율적인 무선 주파수드라이버 시스템 및 방법
KR1006634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55307B1 (ko)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 회로
GB2362523A (en) A transceiver with the bias of an amplifier in the receiver controlled by a baseband processor
KR20000066018A (ko) 출력레벨이 자동 조절되는 cdma 휴대전화기의 송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010406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
KR20020049741A (ko) 피디엠신호를 이용한 전력증폭기의 이득제어장치
KR100689536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송신장치
KR100377083B1 (ko) 파워컨트롤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