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0511B1 - 과류확산이 지배하는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과류확산이 지배하는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0511B1
KR100250511B1 KR1019970057609A KR19970057609A KR100250511B1 KR 100250511 B1 KR100250511 B1 KR 100250511B1 KR 1019970057609 A KR1019970057609 A KR 1019970057609A KR 19970057609 A KR19970057609 A KR 19970057609A KR 100250511 B1 KR100250511 B1 KR 100250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flow
valve
dega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0071A (ko
Inventor
우용수
이또쇼죠
Original Assignee
우용수
수산환경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용수, 수산환경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용수
Priority to KR1019970057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0511B1/ko
Publication of KR19980070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0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0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02F1/685Devices for dosing th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받이 탱크등에 있어서, 수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수질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탈기통(1)의 일측에 유입관(50)이 형성되어 아래 방향으로 알카리장석(맥반석)에 분무시킬 수 있도록 일반펌프(P1) 및 유압밸브V1이 배설되고, 탈기통(1)의 하단에는 침전물 배출관(70) 및 환류관(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류관(71)에는 웨스코 펌프가 부착형성되어 이들의 물을 환류관(60)을 통하여 다시 분무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또한, 상기 침전물 배출관(70)의 하부에는 드레인 밸브V3가 부착되고, 급수관(80)의 끝단에서는 자기(2)가 배설되어 있으며, 탈기통(1)의 상단부 뚜껑(201)에 연통되어 용존가스배출관(90)이 부설되며, 상기 용존가스배출관(90)에는 필터기구(91)가 관로상에 접속되어 부설되어 있으므로서, 물에 세균이 침투하여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본 발명에 의하여 유해물질인 Zn, Hg, Cd를 제거할 수 있으며, 악취나 대장균까지도 제거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물의 관리를 개별적으로 할 필요없이 전체를 상기 본 발명에 의하여 적용함으로써 수질과 스케일 제거가 충분하며, 과류가 생기면 그 만큼 물질 반응(불순물의 흡착 및 유기 유해물질)제거 기능이 신속하게 처리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과류확산이 지배하는 수처리장치
본 발명은 물받이 탱크등에 있어서, 수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수질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탈기를 포함한 복수처리 공정에서 과류(난류)확산을 이용함과 동시에 자기처리에 의하여 물을 정수하는 물리적인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의 불순물은 부유물이나 고형물 이외에 개스상태 또는 이온상태로서 존재한다.
통상, 가정으로 공급되는 이러한 상기와 같은 수돗물은 노후된 송수관으로 인하여 공급되는 과정에서 여러 불순물이나 병원균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식수로 이용시에는 주로 물을 끓여 먹어야 하였고, 또한, 각종 산업설비계통의 배관 내부를 흐르는 공급수에도 광물질을 포함한 고형물질이 용존하고 있는 바, 이는 관체의 내벽에 스케일이 생성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현재의 고층 아파트나 오피스빌딩의 대부분은 건물전체에 사용하는 물을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 각호마다 수도꼭지에 정수기를 부착하여 음료하거나, 생수등을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스케일은 배관내부를 막혀지게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이를 제거하는 방법들이 많이 제안되어 있다. 그 중의 이러한 방법으로서 화학약품의 투입과 물리적인 방법으로 대별되 수 있고, 이들 스케일의 생성을 억제하고 있다.
전기한 화학약품을 투입하는 방법은 이미 스케일에 의하여 내부가 막혀진 상태에서 이를 뚫려지게 하는 제거수단으로서, 강한 산성물질을 흐르게 하여 화학반응에 의하여 뚫려지는 바, 이는 주기적인 세척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관의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스케일의 생성을 미연에 방지하고, 사용중 형성된 스케일을 물리적으로 관의 수명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자장을 이용한 용수처리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약품을 사용하지 않는 물리적인 수처리방법이 개발된 것으로 여기에는 압력차를 이용한 기액 분리, 흡착에 의한 제거, 자기에 의한 물분자의 변화등이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이러한 종래의 정수의 방법으로 맥반석을 이용하거나 세라믹 필터를 이용한 정수기가 있었으며, 또한 활성탄이나 잘고 굵은 입자상의 천연석으로 이루어진 여과제를 칼럼내에 충전한 장치를 사용하여 물을 대기압하에서 침투여과하는 방법도 개발되었으나, 이는 물을 상온, 상압하에서 여과시키게 되므로 장치내 및 정수속에 미생물이 번식하기 쉽고, 또한 활성탄은 염소이온이나 유기물질에 대한 흡착력이 뛰어나지만 활성탄이 미생물의 좋은 번식환경을 제공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후,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고분자 분리막을 이용한 역삼투압형, 한외여과막형 및 정밀여과막형등의 고분자분리막을 이용한 정수기가 개발되었으며, 근래에는 활성탄과 한외여과막, 즉 중공사막이 결합된 것이 개발되어 활성탄층으로는 주로 활성탄의 흡착성질을 이용하여 유기물질이나 염소이온등을 흡착제거하게하고, 한외여과막으로 세균이나 수도관 부식으로 생긴 녹등을 제거하는 단계를 채용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더구나, 종래에도 고압 직류에 의하여 정전장을 만들어 그곳을 통과하는 물을 약알카리성으로 변화시키고, 수중의 금속이온은 물이 이온해리하여서된 수산이온과 반응하여 친화물로 되어 관벽에 고착되지 않고 수압으로 관 밖으로 유출토록 하였으나, 이러한 장치는 수중에 용존하는 수소가스, 산소가스, 탄산가스, 염소가스 등의 용존가스를 뽑아낼 수 없었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녹이 발생하였고, 이를 개량하여 정전기 수질 처리장치와 기체 및 물의 분리장치를 직렬로 배열하거나, 수리가 용이하도록 이들을 병렬로 착설한 수질처리장치가 개발되었고, 탈기통내에 급속 혼합기를 설치하여 사용한 것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정수의 방법으로 맥반석을 이용하거나 세라믹 필터를 이용한 정수기의 경우에는, 상기 정수기들가 정수된 물을 저장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물에 세균이 침투하여 번식하므로 정수하지 않는 물보다 나빠지는 문제점이 많았다. 또한, 활성탄이나 잘고 굵은 입자상의 천연석으로 이루어진 여과제를 칼럼내에 충전한 장치를 사용하여 물을 대기압하에서 침투여과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이는 물을 상온, 상압하에서 여과되므로 장치내 및 정수속에 미생물이 번식하기 쉽고, 또한 활성탄은 염소이온이나 유기물질에 대한 흡착력이 뛰어나지만 활성탄이 미생물의 좋은 번식환경을 제공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분자 분리막을 이용한 역삼투압형, 한외여과막형 및 정밀여과막형등의 고분자분리막을 이용한 정수기가 개발되었으나, 상기 역삼투압형 정수기는 역삼투현상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정수효과 측면에서 우수하지만 인체에 필요한 미네랄 성분까지도 제거하게 되어 다시 미네랄을 공급하거나 섭취해야 한다는 문제점과 기본적인 투수량이 적이 때문에 물의 저장용기를 사용하는데에 따를 세균의 침투로 인한 번식과 이의 장치에 고압발생수단이 필요하여 설비가 비대하여지고, 관리가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근래에는 활성탄과 한외여과막, 즉 중공사막이 결합된 것이 개발되어 활성탄층으로는 주로 활성탄의 흡착성질을 이용하여 유기물질이나 염소이온등을 흡착제거하게하고, 한외여과막으로 세균이나 수도관 부식으로 생긴 녹등을 제거하는 단계를 채용하였으나, 이들은 종래 활성탄과 한외여과막이 결합된 정수기는 좋은 정수효과를 나타내었지만, 활성탄 용량이 너무 작아 물이 활성탄내에 머무는 시간이 짧으므로 인하여 염소성분과 유기물질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1997년 10월 11일자로 출원한 특허출원 97-52181호 ‘세라믹 특수활성단계와 미약전류의 인가공 단계를 조합시킨 수처리방법’에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이 발명되었고, 이와 관련된 또다른 방안이 특허출원 97-54568호 ‘과류확산이 지배하는 수처리방법’으로 창안되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장치가 창안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물이나 물관련 설비에 있어서, 이종공정의 결합으로 현저한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과류를 일으켜 물질이동속도를 가일층 처리효과를 상승시키고 특히, 자기처리에서는 수중의 용해 가스는 전자밀도의 분포특성이나 이온입자의 상호작용의 변화에 아주 민감한 분극자성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착안하여, 이 용해 가스를 제거함으로써 자기처리과정과 병용하여 물의 물리, 화학적 성질을 쉽게 조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과류발생경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탈기장치를 배치한 개략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의 탈기와 자기장치를 배치한 개략도이며,
제4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자기장치내의 과류흐름을 나타낸 과류선도이며,
제6도는 탈기통내 라히그 링이 설치되어 과류가 발생하는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탈기통 2 : 자기
10 : 라히그 링 11 : 통공
50 : 유입관 60 : 환류관
70 : 침전물 배출관 80 : 급수관
90 : 용존가스배출관 100 : 수수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상의 물을 정화하여 자연수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물의 평균속도의 흐름주위에 미세하게 변동하고 있는 무질서한 흐트러진 흐름이 만들어, 이 흐름 속에 회전하면서 흐르고 있는 과류를 생성하는 단계와 직접 또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수중에 미약전류를 발생시켜 이온의 교류운동을 유도시키는 단계를 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물리적인 수처리방법을 구현하는 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과류 발생경위를 나타낸 것이며, 제2조는 본 발명의 탈기장치를 배치하는 개략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의 탈기장치와 자기장치의 배열을 나타낸 배치도이며, 제4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자기장치내의 과류흐름을 나타낸 과류선도이며, 제6도는 탈기통내 라히그 링(Rachig Ring)이 설치되어 과류가 발생하는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제1(a)도의 물은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평균속도의 흐름주위에 미세하게 변동하고 있는 무질서한 흐트러진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제1(b)도는 물이 흐르는 각 작은 부분의 평균속도의 주위에 변동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1(c)도는 물의 흐름의 한정된 부분에 회전운동 즉, 과류가 되면서 흐르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리적 수처리의 장치나 크기는 단위조작의 총괄 물질 이동계수나 총괄 반응속도 계수등이 기초로서, 특히 동적 물성과 과류(난류)확산이 중요하다.
물의의 처리는 과류(난류)이거나 층류에 따라서 효율, 효과는 전혀하게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물을 비롯하여 액체의 유동상태는 레이놀즈수(Reynolds Number) Re로서 나타내고, 특수조건이 아닌 이상에는 Re2000 이하가 충류고, 그 이상은 난류로 되어 다음과 같은 관계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02
상기 식에서도 보는 바와 같이, 난류에 있어서 물의 일부분에서의 운동은 아주 복잡하다.
이를 요약하면, 평균속도의 흐름주위에 미세하게 변동하고 있는 무질서한 흐트러진 흐름이 만들어지면서, 이들은 평균 유속과 같은 속도로 움직이면서 흐른다. 그리고, 이 흐름 속에 회전하면서 흐르고 있는 부분이 만들어진다. 이것이 과류의 시작(제1(a)도 참조)이 되면서 난류의 발생원이 되는 것이다.
이 상태를 정상적으로 관찰하여 보면, 물이 흐르는 각 작은 부분의 평균속도의 주위에 변동이 연속적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물의 흐름이 작은 부분이 이동하면 이것을 보충하기 위하여 다른 작은 부분이 계속 유입되어(제1(b)도 참조) 다시 그 뒤를 보충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것은 도면의 모형도와 같이 물의 흐름의 한정된 부분에 회전운동 즉, 과류(제1(c)도 참조)가 되면서 흐르는 것이다.
실질적인 유체에서는 과류는 유체와 같이 이동하면서, 항상 같은 회전을 반복하는 유체부분으로부터 구성되고 회전속도는 시간과는 관계가 없다. 그러나, 점성이 있는 실제의 유체에서는 관성력으로 작은 과류로 분열하거나, 또는 자기 자신의 주위에 작은 과류를 만들거나 하면서 점성력에 의해 점차로 꺼지면서 없어지고 결과적으로 균일한 흐름(충류)으로 된다.
운동량이 물성에 비하면 이동하기 쉬운 부분에서는 세분화된 유체덩어리로 부터 확산이 진행되기 이전에 적은 과류는 회전운동이 정지하여 버린다.
그렇기 때문에 과류가 감쇠(減衰)되지 않도록 하기위하여서는 물리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를 위하여서는 각반(혼합)이 필요하고, 또한 물의 흐름에서의 충격등이 필요한 것이다.
특히, 물이 포화 증기압에는 대기압에 역비례하는 원리를 응용한 것이 진공기계탈기 방법이다.
탈기는 수중에 포함하고 있는 용존산소나 유해한 유기물질등 가스체를 제거하는 데는 특히 유효하고 필요한 방법이다. 탈기통내의 물이 과류(난류)상태인가 충류상태인가에 따라서 기액분리에 큰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 3, 4, 5, 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원통형의 진공탈기통의 상부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물을 균등하게 살수한다.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탈기통(1)내에는 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관(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일반펌프(P1)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유압밸브V1이 배설되어 이의 급수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유량계(110)가 연계설치되어 이들의 유량을 측정한다.
따라서, 상기 유입관(50)에 의하여 탈기통(1)내에서 아래 방향으로 알카리장석(맥반석등)등에 분무시켜 과류를 발생하게 된다.
탈기통(1)의 하단에는 침전물 배출관(70) 및 환류관(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류관(71)에는 웨스코 펌프가 부착형성되어 이들의 물을 환류관(60)을 통하여 다시 분무시키며, 이때 전술한 유입관의 분무와 부딪히게 구성되어 진다.
이때, 본 발명이 추구하는 과류확산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상기 침전물 배출관(70)의 하부에는 드레인 밸브V3가 부착되어 스케일등의 고형물이나 침전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구나, 급수관(80)에는 배출밸브V4와 유량계(110)가 연계설치되어 이들의 유량을 측정한다. 그리고, 급수관(80)의 끝단에서는 자기(2)가 배설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탈기통(1)의 상단에는 뚜껑(201)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연통되어 용존가스배출관(90)이 부설되어 있다. 상기 용존가스배출관(90)에는 필터기구(91)가 관로상에 접속되어 부설되어 있는 용존가스에 포함된 습기가 이를 통과시에는 제거되어 오염공기를 오염공기배출구(92)를 통하여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용존가스배출관(90)에는 공기배출밸브V6이 이를 제어하고, 그 배출은 진공펌프(P3)에 의하여 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탈기통(1)의 일측에는 통내의 압력이 소정의 이상으로 될 경우에 에어를 배출할 수 있도록 에어배출밸브V5가 부설되어 있다.
전술한 자기(2)는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류유도관(123)에는 소정크기의 원형공을 갖는 영구자석(121)이 배설되어 있어 자석의 강력한 자화에 의하여 파이프내에 흐르는 수돗물이 자화되면서 수돗물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수질을 개선시키게 된다.
도면 부호 122는 자기(2)에 의하여 물속에 존재하는 이온들이 자화되어 흐르는 것을 나타낸 과류선도이다.
제6도에서는 탈기통내에 과류가 한층 발생하도록 하기 위하여, 라히그 링(Rachig Ring)을 통기내에 설치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유입된 원수는 라히그 링에 의하여 일부는 이것에 부딪혀 과류를 발생케 하고, 일부는 통공(11)을 통하여 아래로 빠지게 되며, 아래로 빠진 유입수는 다시 환류되어 과류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물 입자는 확산과 입자 내외의 압력차로 가스물질이 증발하여 통밖으로 배출되고 물은 아래쪽으로 낙하한다.
탈기통내는 일부분에 분자 확산이 일어나며, 이는 과류확산에 의한 물질 이동이 지배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확산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탈기통의 중간위치 부근에 라히그 링(Rachig Ring)의 충진층과 다시 탈기된 통바닥쪽의 물의 일부를 통위쪽으로 순환시켜서 통내에 공급되는 피처리수이 살수위치의 하부쪽으로 불어 넣어, 물의 흐름에 충격을 준다.
충진층의 허용기액(氣液)속도는 다음의 관계식으로서 생각되나, 본 발명은 pL(물의 밀도)에 영향을 받아서 분리력을 향상시킨다(다음 식 참조).
Figure kpo00003
본 발명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제2도에서와 같이, 탈기통내가 공원통 상태(A)와 탈기통내의 중간위치에 본 발명과 같게 충진층을 설치한 상태(B)의 각각 탈기방식의 제거율을 측정하였다. C는 본 발명의 효과이다.
장치는 수수조를 순환시키는 수관로에 각각의 탈기통을 설치한 것이다.
처리수량 : 3 Ton/Hr
수온 : 9.7
탈기통압 : 50~60 Torr
탈기방식과 효과는 다음 표 1에서와 같이 나타났다.
Figure kpo00004
상기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존산소나 잔류염소 및 유기염소 화학물은 상대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적용시킨 C가 가장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탈기수는 접속되는 자기처리공정에 상승효과를 부여한다.
예로써, 탈기수를 접속하는 공정 다음에 자장(磁場) 즉, 전자파로서 처리하는 시스템에서는 ORP(산화 환원전위)나 PH등이 현저히 높아지고 그 결과 스케일 발생방지, 부식방지, 살균작용 등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수중에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미약저류를 요기시키면 물은 분자중의 전자구름(Electron Cloud)의 모양과 특히 전자의 에너지상태가 변한다.
전자에너지의 상태에서 물분자의 전자구름 모양이 다라진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지고 있다.
전자 구름의 모양에서 물분자간의 결합이 변하거나 물분자 주위의 염류이온이나 용해 고형물의 수와의 상태가 달라지거나 염류의 추출상태의 차이가 발생하여 균류의 생존에 영향을 준다.
물분자는 그의 일부가 이온화하여 수소원자측(H+)과 산소원자측(OH-)과 같이 각자에 대전하고 있다. 실제의 물은 분자구조 이외에 대기중의 산소가 포화에 용해 된 용존 산소가 존재하고, 이 용존 산소가 수중의 미약전류의 물분자의 전자상태의 에너지를 높이는 작용의 속도를 억제시키는 방향으로 영향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술한 반응에 대하여 예로서, 영구자석으로 간접적인 방법으로 수중에 미약전류를 유발시키기 위하여, 수평의 물의 흐름에 수직으로 자계(磁界)를 가하면, 양자에 직각의 방향으로 전계(電界)가 생겨서 운동력이 발생, 대전체의 이온입자의 +와 -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Ca2+나 Na등의 +이온은 -극측으로, CL나 SO4 -2등의 이온은 +극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이 이온의 교류이며 분류이다.
상술한 운동력F는 다음의 관계식으로 표시된다.
F=q(E+V×B)
q : 전하(電荷),
E : 전계(電界),
V : 대전체의 속도백타(VEKTOR)
B : 자속밀도백타(VEKTOR)
상술한 식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수활성물을 통과한 물과 통과하지 않은 물과는 하전(荷電)의 역방향에 이동하여 발생하는 전류의 운동력 F에 격차가 있고, 특수활성물을 통과한 물의 강력한 운동력은 관계식 q에로의 상승효과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미약전류 공급구조시 영구자석의 자속밀도 3000∼5000 GAUS이다.
상술한 조건하에서 실시장치와 수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은 제3도의 장치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탈기는 본 발명의 과류방식으로서 자기(磁器)는 복수의 영구자석을 결합시킨 모양과 자장내에 과류가 발생하는 형식의 것을 각각 탈기 뒤에 접속시켰다.
그 시험결과, PH와 ORP(산화, 환원전위)를 기준으로 하여 볼 때, 표-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방식의 조립에 따라서 현저한 변화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본발명의 과류탈기와 자기(磁器)내의 과류와의 상승효과가 확인되었다.
Figure kpo00005
상기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입수의 PH는 6.9로써 ORP는 130㎷이다.
과류탈기와 자기를 결합한 방식으로는 PH는 7.4이고 ORP는 530㎷이었고, 과류탈기와 과류자기를 결합한 방식으로는 PH는 7.6이고 ORP는 590㎷이었다. 또한, 과류자기의 단독으로 한 방식으로는 PH는 7.1이고 ORP는 480㎷이었다.
이와 같이, HP와 ORP가 가장 양호하게 나타난 것으로는 과류탈기와 과류자기를 결합한 방식임에 틀림없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정수기에서 세균이 침투하여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본 발명에 의하여 유해물질인 Zn, Hg, Cd를 제거할 수 있으며, 악취나 대장균까지도 제거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물의 관리를 개별적으로 할 필요없이 전체를 상기 본 발명에 의하여 적용함으로써 수질과 스케일제거가 충분하며, 전체적인 장치에 있어서도 이의 장치에 고압발생수단이 필요없는 등 경제적인 이점이 있는 것이다.
더구나, 본 발명은 이종공정의 결합으로 현저한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충류나 난류(과류)는 물질의 이동속도가 다름에 따라 과류가 생기면 그 만큼 물질 반응(불순물의 흡착 및 유기 유해물질)제거 기능이 신속하게 처리되는 것이다.
따라서, 물의 부식성이 없어지고, 관내의 녹이 발생되지 않으며, 오래된 녹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녹물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유입수를 정화하여 자연수로서 사용할 수 있는 수질처리장치에 있어서, 탈기통(1)의 일측에 유입관(50)이 형성되어 아래 방향으로 알카리장석(맥반석)에 분무시킬 수 있도록 일반펌프(P1) 및 유압밸브V1이 배설되고, 유량계(110)가 연계설치되어 있으며, 탈기통(1)의 하단에는 침전물 배출관(70)및 환류관(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류관(71)에는 웨스코 펌프가 부착형성되어 이들의 물을 환류관(60)을 통하여 다시 분무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또한, 상기 침전물 배출관(70)의 하부에는 드레인 밸브V3가 부착되고, 급수관(80)에는 배출밸브V4와 유량계(110)가 연계설치되고, 급수관(80)의 끝단에서는 자기(2)가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자기(2)는 전류유도관(123)에는 소정크기의 원형공을 갖는 영구자석(121)이 배설되며, 탈기통(1)의 상단부 뚜껑(201)에 연통되어 용존가스배출관(90)이 부설되며, 상기 용존가스배출관(90)에는 필터기구(91)가 관로상에 접속되어 부설되고, 이에 공기배출밸브V6 및 진공펌프(P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류확산이 지배하는 수처리장치.
KR1019970057609A 1997-11-01 1997-11-01 과류확산이 지배하는 수처리장치 KR100250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609A KR100250511B1 (ko) 1997-11-01 1997-11-01 과류확산이 지배하는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609A KR100250511B1 (ko) 1997-11-01 1997-11-01 과류확산이 지배하는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071A KR19980070071A (ko) 1998-10-26
KR100250511B1 true KR100250511B1 (ko) 2000-04-01

Family

ID=19523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609A KR100250511B1 (ko) 1997-11-01 1997-11-01 과류확산이 지배하는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05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071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31997C (en) Water treatment installation for a tangential filtration loop
Tansel New technologies for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A survey of recent patents
CN103588333A (zh) 油田压裂废液处理设备
RU106613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и умягчения воды
WO20060816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on of low zeta potential mineral crystals to enhance quality of liquid solutions
RU143767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комплексной очистки питьевой воды
CN207108703U (zh) 一种纯化水膜系统
KR100250511B1 (ko) 과류확산이 지배하는 수처리장치
CN111683741B (zh) 用于在液体中产生气泡的设备和方法
KR100250512B1 (ko) 과류확산이 지배하는 수처리방법
KR100711259B1 (ko) 정화처리 장치
JP3577948B2 (ja) 磁気処理水生成装置
KR101391177B1 (ko) 유량/농도비례 차염발생조와 백필터를 포함하는 재염소 투입설비
FI116725B (fi) Laite nesteen puhdistamiseksi
WO2011122986A2 (ru)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ий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оды
KR100250510B1 (ko) 세라믹 특수활성체와 미약전류의 인가공을 조합시킨 수처리장치
KR20020093663A (ko) 정수기
KR0137036Y1 (ko) 역삼투압 정수기
JP4025783B2 (ja) 海水淡水化処理装置
JPH07100496A (ja) 受水型井戸水水質改善装置
KR102346412B1 (ko) 폐수처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
KR20030030583A (ko) 가정용 용수의 정수장치 및 정수방법
Lerch et al. Fouling minimised reclamation of secondary effluents with reverse osmosis (ReSeRO)
Adamski et al. Water treatment technology
CN207685093U (zh) 一种油井水泥外加剂用水处理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