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0493B1 -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제어국에서 기지국간접속을 위한접속 제어 장치의 구조와 이를 이용한동기 획득 및 채널 할당 방법 - Google Patents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제어국에서 기지국간접속을 위한접속 제어 장치의 구조와 이를 이용한동기 획득 및 채널 할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0493B1
KR100250493B1 KR1019970064800A KR19970064800A KR100250493B1 KR 100250493 B1 KR100250493 B1 KR 100250493B1 KR 1019970064800 A KR1019970064800 A KR 1019970064800A KR 19970064800 A KR19970064800 A KR 19970064800A KR 100250493 B1 KR100250493 B1 KR 100250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information
channel
synchronization
determining wh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4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3758A (ko
Inventor
백승준
이헌
안병양
박형래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70064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0493B1/ko
Publication of KR19990043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3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0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0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2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 con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방식의 제어국에서 기지국간 접속을 위한 접속 제어 장치의 구조와 이를 이용한 동기 획득 및 채널 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구간을 갖는 전송 경로의 특성상 개별 무선 가입자의 순시 상태를 알리기 위한 이용자 신호정보 채널을 유지하여야 하며, 이를 하나의 이용자 채널 안에 음성 정보와 동시에 전달하였다. 이 경우 동일한 이용자 채널을 이용하므로써 전송 효율은 증대되지만 서로 다른 종류의 정보를 송신 전에 조합하고 수신 후에 분리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어 시스템의 부하가 증대되고 시스템 구성이 복잡해지며 시스템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신호 정보 채널과 음성 정보 채널을 분리하여 이용하므로써 기지국간 전송 채널의 효율성을 유지하고 신호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며 기지국간의 동기 획득 및 접속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제어국에서 기지국간 접속을 위한 접속 제어 장치의 구조와 이를 이용한 동기 획득 및 채널 할당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제어국에서 기지국간 접속을 위한 접속 제어 장치의 구조와 이를 이용한 동기 획득 및 채널 할당 방법
본 발명은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함) 방식의 제어국에서 기지국간 접속을 위한 접속 제어 장치의 구조와 이를 이용한 동기 획득 및 채널 할당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이하 WLL)서비스를 위한 CDMA 방식의 제어국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와 접속 제어 장치 사이에 송수신되는 각 정보의 채널을 분리하여 정보 종류별로 고정하므로써 정보 처리를 단순화할 수 있는 CDMA 방식의 제어국에서 기지국간 접속을 위한 접속 제어 장치의 구조와 이를 이용한 동기 획득 및 채널 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WLL(Wireless Local Loop) 시스템에서는 기지국과 제어국간의 접속을 위하여 공중전화교환망 전송 설비에 널리 이용되는 등 적용이 용이한 펄스 코드 변조(Pulse Code Modulation ;이하 PCM이라 함) 전송방식을 따르는 2.048Mbps 속도의 E1 트렁크(Trunk)를 이용하고 있다. E1 트렁크는 64kbps속도의 32개 이용가능한 채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0번과 16번은 시스템간의 제어 채널로 이용하고 나머지 30개 채널은 일반 이용자 채널로 사용하고 있다. CDMA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국과 기지국간에 유지되는 정보 채널에는 데이터를 포함한 음성 정보 채널, 시스템 제어 정보 채널 및 이용자 신호 정보 채널을 들 수 있다. 음성 정보 채널은 무선단말과 유선 전화망 가입자, 또는 무선단말과 무선단말 사이의 통화 채널이며, 시스템 제어 정보 채널은 통화 채널이 형성되기 이전에 통화를 요구하거나 통화를 완료한 후의 통화 절체 요구 그리고 기지국과 제어국간의 시스템 관리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CDMA 방식을 따르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구간을 갖는 전송경로의 특성상 개별 무선 가입자의 순시상태를 알리기 위한 이용자 신호정보 채널을 유지하여야 하며, 전송 채널 이용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64kbps인 1개의 이용자 채널(Time Slot)안에 음성정보와 이용자 신호정보를 동시에 전달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동일한 이용자 채널(Time Slot)을 이용하므로써 전송 효율은 증대되지만 서로 다른 종류의 정보를 송신 전에 조합하고 수신 후에 분리하는 과정(Data Assemble and Disassemble)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시스템의 부하가 증대되고 시스템 구성이 까다롭게 되는 등 시스템의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음성 정보와 이용자 신호정보를 동일한 전송채널을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두 종류의 정보를 조합하고 분리하는 과정(Data Assemble and Disassemble)을 고려하여, 신호 정보의 경우 정보패턴의 변경사유가 발생하거나 시스템 관리자의 감시체계의 편의성 등 시스템 운용의 융통성을 갖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로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의 분리 및 조합은 시스템 운용상의 부하요소로 작용하게 되며 특히 전송지연 요인이 되어 고속 호 설정을 필요로 하는 WLL 시스템의 설계에 많은 부담요인이 되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정보 종류별로 채널 이용의 분리를 고려할 수 있으나 단순한 채널이용의 분리는 전송 효율을 저하시키고 시스템 구성을 복잡하게 하는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또한 기존의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제어 장치는 이동 가입자가 통화상태에 있을 때 무선구간의 음성 품질 정보를 해당 음성 정보와 동일한 시각에 음성 품질 정보를 필요로 하는 실시간 방식으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야 하므로 결국 대역내 제어 신호(Inband Signalling)방식을 따르고 있으며, 따라서 프레임 구성 및 송수신이 용이한 패킷 통신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기존의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정보 프레임화 또는 정보전송에 대한 융통성 및 편리함 등은 있으나 패킷방식의 특성상 전송채널에 대한 이용효율이 낮아 가입자 수용 용량이 감소하게 되고, 장치 구성에 대한 제한 사항이 있어 구성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회선 통신 방식을 고려할 수 있으나 CDMA 방식의 경우 무선 구간으로 송수신되는 정보가 패킷 형태를 가지므로 이를 회선(Circuit)방식으로 전송할 경우 기지국과 제어국간의 프레임 동기 획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호 정보 채널과 음성 정보 채널을 분리하여 이용하므로써 기지국간 전송 채널의 효율성을 유지하고 신호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며 기지국간의 동기 획득 및 접속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제어국에서 기지국간 접속을 위한 접속 제어 장치의 구조와 이를 이용한 동기 획득 및 채널 할당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제어국에서 기지국간 접속을 위한 접속 제어 장치의 구조는 무선 가입자의 호 접속에 대하여 기지국과 제어국 간에 연결되는 펄스 코드 변조 전송 선로의 채널에 무선 가입자를 위한 신호 정보 채널, 통화 채널 및 데이터 로깅 채널을 각각 할당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호 발생에 따른 동기 획득의 시작을 지시하는 접속 제어부와, 상기 무선 가입자의 통화가 진행중일 경우 데이터 로깅 채널을 통하여 무선 접속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시스템 성능 분석부와, 상기 접속 제어부의 통보에 따라 새로이 발생된 호의 신호 정보 채널에서 동기를 획득하고 기지국으로 정보 전송을 시작하는 프레임 처리부와, 상기 기지국 또는 공중전화교환망과 접속 제어 장치부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통화 채널을 접속하거나 절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교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제어국에서 기지국간 접속을 위한 접속 제어 장치를 이용한 동기 획득 방법은 접속 제어부가 통화 제어 장치로부터 호 시작명령을 수신하고 프레임 처리부가 통화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와, 기지국 장치 사이에 동기 획득을 위하여 동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한 결과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동기 획득 실시 횟수가 10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 획득 실시 횟수가 10보다 큰지를 판단한 결과 실패 횟수가 10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동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실패 횟수가 10보다 큰지를 판단한 결과 실패 횟수가 10보다 클 경우에는 동기 획득이 실패했음을 통보하고 불완전한 호의 종료를 보고하는 단계와, 상기 호를 해제한 후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 획득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음성 정보 전송을 실시함으로서 통화를 시작하는 단계와, 통화중의 동기 이상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중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결과 통화중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동기 바이트를 이용한 재동기 획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재동기 실패 횟수가 3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재동기 실패 횟수를 판단한 결과 재동기 실패 횟수가 3보다 크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통화중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재동기 실패 횟수를 판단한 결과 재동기 실패 횟수가 3보다 클 경우에는 통화중 재동기 실패 통보를 하고 상기 불완전한 호의 종료 보고를 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중 동기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부터 통화중 이상이 발생하지 않고 정상적인 통화가 계속될 경우에는 음성 품질 상태가 양호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품질 상태가 양호한지를 판단한 결과 음성 품질의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는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한 결과 통화를 종료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통화중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한 결과 통화를 종료할 경우에는 호를 해제한 후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품질의 상태가 양호한지를 판단하는 단계로부터, 음성 품질의 상태가 양호하지 않을 경우에는 동일 통화 사용자의 중복 호의 발생 여부를 감지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동일 중복 호의 발생 여부를 감지했는지 확인한 결과, 동일 사용자의 중복 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한 경우에는 통화 채널을 해제하고 절체 사실을 통보한 후 상기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동일 중복 호의 발생 여부를 감지했는지 확인한 결과, 동일 사용자의 중복 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중복 호 발생을 감지하지 못한 횟수가 10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중복 호 발생을 미감지한 횟수가 10보다 큰지를 판단한 결과 중복 호를 감지하지 못한 횟수가 10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불완전한 호의 종료를 보고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중복 호 발생을 미감지한 횟수가 10보다 큰지를 판단한 결과 중복 호를 감지하지 못한 횟수가 10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제어국에서 기지국간 접속을 위한 접속 제어 장치를 이용한 채널 할당 방법은 접속 제어부가 통화 제어 장치로부터 호 시작 명령을 수신한 후 프레임 처리부에 신호 정보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 처리부에서 기지국 장치와 할당된 신호 정보 채널을 통하여 초기동기 과정을 수행하고 동기를 획득하는 단계와, 확인된 동기 시점에 맞추어 기지국 장치와 신호 정보 채널을 접속하는 단계와, 통화 정보를 전송하므로써 통화를 시작하는 단계와, 수신되는 정보의 종류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가 호 제어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가 호 제어 정보인지를 판단한 결과 호 제어 정보일 경우에는 해당 호의 상태 관리를 수행한 후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 결과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수신 정보의 종류를 분석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 결과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신호 정보의 채널을 해제하고 호를 해제한 후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가 호 제어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호 제어 정보가 아닐 경우에는 수신된 정보가 신호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가 신호 정보인지를 판단한 결과 신호 정보일 경우에는 신호 정보 프레임을 구성하고 2차 동기를 획득하여 동기를 재확인한 후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가 신호 정보인지를 판단한 결과 신호 정보가 아닐 경우에는 수신된 정보가 통화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가 신호 정보인지를 판단한 결과 통화 정보일 경우에는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가 통화 정보인지를 판단한 결과 통화 정보가 아닐 경우에는 수신된 신호가 데이터 로깅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가 데이터 로깅 정보인지를 판단한 결과 데이터 로깅 정보일 경우에는 데이터 로깅 정보 프레임을 구성하고 2차 동기를 획득하여 동기를 재확인한 후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가 데이터 로깅 정보인지를 판단한 결과 데이터 로깅 정보가 아닐 경우에는 오류 처리를 하고 상기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선 로컬 루프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간 접속 제어 장치의 구조도.
도 3은 접속 제어 장치와 기지국 장치 간 프레임의 형태 및 채널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를 이용한 기지국간 동기 획득 방법.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를 이용한 기지국간 채널 할당 방법.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통화 제어 장치 12 : 기지국 장치
13 : 접속 제어 장치 14 : 공중전화교환망 정합 장치
21 : 접속 제어부 22 : 시스템 성능 분석부
23 : 프레임 처리부 24 : 데이터 교환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선 로컬 루프 시스템의 개략도로서, 접속 제어 장치(13)가 통화 제어 장치(11)의 제어에 따라 연동 대상인 기지국 장치(12)와 접속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통화 제어 장치(11)는 기지국 장치(12)로부터 발생되는 무선 가입자의 호 처리 요구 또는 공중전화교환망 정합 장치(14)로부터 발생되는 일반 전화 가입자의 호 처리 요구에 따른 호의 발생, 진행 및 해제 등을 위해, 접속 제어 장치(13)가 각각의 개별 호에 대하여 통화를 위한 접속제어가 가능하도록 호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통화로 경로 제어명령을 지시하고 통화 진행 상태를 관리 및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 장치(12)는 본 기지국 장치의 관리 영역 내에 있는 무선 가입자 단말에 대하여 통화 제어 장치(11)가 원활한 통화제어를 할 수 있도록 무선 정합 기능을 수행한다. 접속제어 장치(13)는 통화 제어 장치(11)의 통화로 경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기지국 장치(12)와 공중전화교환망 정합장치(14) 사이에 통화경로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중전화교환망 정합장치(14)는 WLL 시스템과 공중전화망 사이의 정합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간 접속 제어 장치의 구조도이다. 접속 제어부(21)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수단으로서 구성되어 기지국 장치(도 1의 12) 및 공중전화교환망 정합장치(도 1의 14)간에 주고받게 되는 음성 및 제어정보에 대하여 프레임 처리부(23)가 프레임 구성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호 발생 및 해제에 따른 통화 경로를 결정한다. 즉, 접속 제어부(21)는 무선 가입자의 호 접속에 대하여 기지국과 제어국 간에 연결되는 PCM 전송 선로의 채널에 무선 가입자를 위한 신호 정보 채널, 통화 채널 및 데이터 로깅 채널을 각각 할당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호 발생에 따른 동기 획득의 시작을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
시스템 성능 분석부(22)는 기지국 장치(도 1의 12)에서 송신되는 무선 가입자의 무선 접속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프레임 처리부(23)로부터 데이터 로깅 채널을 통하여 수신한 후 분석하므로서 WLL 시스템의 무선접속 운영 상태를 분석 및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프레임 처리부(23)는 디지털 신호처리 수단으로, 기지국 장치(도 1의 12)와 공중전화교환망 정합장치(도 1의 14)사이에 주고받게 되는 음성 및 제어 정보에 대하여 정보를 조합하여 프레임화하거나 이를 다시 분해하며, 접속 제어부(21)의 통화경로 설정 명령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교환부(24)는 스위치(Switch)수단으로 구성되어 통화 채널의 전환을 위해 접속 제어부(21)의 지시에 따라 통화 채널을 접속 및 절체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접속 제어 장치와 기지국 장치간 프레임의 형태 및 채널의 구조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접속 제어 장치와 기지국 장치간 프레임의 형태를 나타낸다. 개별 무선 가입자를 위하여 프레임 처리부와 기지국 장치간에는 3개의 64kbps인 PCM채널을 할당하고 전체 무선가입자를 위하여 1개의 별도 64kbps PCM채널을 호 제어용으로 고정적으로 할당한다. 이렇게 하여 신호 정보 처리 채널에 통화 채널이 영향을 거의 받지 않게 하므로써 호 설정 지연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동기 획득 방식은 1차로 메시지 동기, 2차로 매 프레임 중의 바이트 동기로 구분된다. 프레임 동기 정보는 기지국 장치와 프레임 처리부 간의 프레임화된 음성 정보의 정확한 전달을 위한 정보로서 기능을 가지며, 호 설정 전에 동기 메시지 교환으로 1차 동기를 획득하고 호 유지 중에 동기 바이트(31)를 기지국 장치와 프레임 처리부가 상호 교환 검증하므로써 2차 동기를 획득한다. 125㎲마다 1개씩의 정보가 신호 정보 채널을 통하여 프레임 처리부와 기지국 장치간에 전달되며, 160개의 정보가 전달되면 20㎳가 경과하게 되고 하나의 프레임 전달이 종료된다.
통화 정보는 32kbps 적응 차분 펄스 코드 변조(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ADPCM) 상태로 정보가 전송되어 지므로 1바이트중 4비트(32)는 통화정보, 그리고 나머지4비트(33)는 비어 있는 상태(Null)이거나 또는 프레임 번호 등이 채워지게 된다. 프레임 처리부와 기지국 장치간에 프레임 전송이 연속될 때 신호 정보 채널의 동기를 위하여 동기 바이트만으로 동기 획득을 수행할 경우 일반 채널 정보 내에 동일한 표시가 있을 때 이것이 동기 바이트인지 일반 채널 정보인지 분별이 안되게 된다. 그러나 동기식 CDMA 시스템의 경우 각 장치들이 엄밀한 동기 획득을 위하여 동일한 시각 정보를 갖고 있는 점을 이용하여 5msec의 시작이 되는 동기 바이트(31 및 34)의 위치를 미리 짐작할 수 있으므로 동기 바이트 확인만으로 정확한 동기획득이 가능하게 된다.
도 3(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접속 제어 장치와 기지국 장치간 정보 채널의 구조를 나타낸다.
기지국 장치와 프레임 처리부 간의 정보 채널은 호 제어 채널(38), 통화 채널(35), 신호 정보 채널(36) 및 데이터 로깅 채널(37)로 구분된다. 호 제어 채널(38)은 호 설정 및 해제 등 무선 가입자 또는 일반 전화 가입자에게서 발생되는 호와 관련한 제어 채널이고, 통화 채널(35)은 음성 채널로서 32kbps ADPCM 데이터로 전송되어 지므로 기지국과 제어국 사이의 PCM 전송선로에서는 64kbps 속도의 매 8bit 데이터 가운데 4bit의 데이터가 채워져서 송수신 되어 지게 된다. 신호 정보 채널(36)은 기지국과 무선 가입자간의 무선 접속 제어를 위하여 전력 제어 기능 등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채널로 이용되며, 데이터 로깅 채널(37)은 기지국과 무선 가입자간의 무선 접속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무선접속 관련 성능 분석값을 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를 이용한 기지국간 동기 획득 방법이다.
접속 제어부가 통화 제어 장치로부터 호 시작명령을 수신(401)하면 프레임 처리부가 통화 채널을 할당(402)하고 기지국 장치 사이에 동기 획득을 위하여 동기메시지를 송신한다(403). 이후 동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확인(404)하여 동기 획득 응답 신호가 일정시간 경과 후에 응답이 없을 경우 다시 10회 이내에서 프레임 동기 획득 과정을 반복한다. 즉, 동기 획득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동기 획득 실시 횟수가 10회 이상인지를 판단(405)하여 실패 횟수가 10회 보다 작을 경우에는 동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403)로 진행하고 실패 횟수가 10회보다 클 경우에는 동기 획득이 실패했음을 통보(406)하고 불완전한 호 종료 보고(407)하고 호를 해제(419)한 후 종료한다. 통기 획득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한 결과 응답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음성 정보 전송을 실시함으로서 통화를 시작하게 한다(408). 통화가 시작된 후에는 통화중의 동기 이상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매 프레임내의 동기 바이트를 검사한다(409). 만약 통화중 이상 발생시에는 동기 바이트를 이용한 재동기 획득 과정을 수행한다(410). 이후 재동기 실패 횟수가 3이상인지를 판단(411)하여 재동기 실패 횟수가 3보다 크지 않을 경우에는 통화중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409)로 진행하고 재동기 실패 횟수가 3보다 클 경우에는 통화중 재동기 실패 통보를 하고(412) 불완전한 호의 종료 보고를 하는 단계(407)로 진행한다. 메시지 동기 방식은 정확도 또는 동기 확인 방식에 따라서 정보 양이 많을 경우 소프트웨어 부하가 비교적 심한데 불구하고, CDMA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경우 서로 일치하는 시각정보를 각 장치들이 갖고 있으므로 프레임 동기 정보를 이용한 동기 메시지 전송으로 소프트웨어 부하를 최소화하면서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음은 물론 재동기 과정을 수행함으로서 이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통화중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한 결과 이상이 발생하지 않고 정상적인 통화가 계속될 경우에는 음성 품질 상태가 양호한지를 판단한다(413). 판단 결과 음성 품질의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는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414)하여 통화를 종료하지 않을 경우에는 통화중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409)로 진행하고 통화를 종료할 경우에는 호를 해제(419)한 후 종료한다. 음성 품질의 상태가 양호한지를 판단한 결과 음성 품질의 상태가 양호하지 않을 경우에는 동일 통화 사용자의 중복 호의 발생 여부를 감지했는지 확인(415)하여, 동일 사용자의 중복 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한 경우에는 통화 채널을 해제(416)하고 절체 사실을 통보(417)한 후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414)로 진행한다. 동일 통화 사용자의 중복 호가 발생 여부를 감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중복 호 발생을 감지하지 못한 횟수가 10회보다 큰지를 판단(418)한다. 판단 결과 중복 호를 감지하지 못한 횟수가 10보다 큰 경우에는 불완전한 호의 종료를 보고하는 단계(407)로 진행하고 미감지 횟수가 10보다 작을 경우에는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414)로 진행한다. 즉, 연속적인 초기동기의 실패, 통화중 재동기의 실패 및 중복호 미감지 등이 발생될 때는 불완전한 호 종료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를 이용한 기지국간 채널 할당 방법이다.
접속 제어부가 통화 제어 장치로부터 호 시작 명령을 수신(501)하면 프레임 처리부에 신호 정보 채널을 할당(502)하고 프레임 처리부는 기지국 장치와 할당된 신호 정보 채널을 통하여 초기동기 과정을 수행하고 동기를 획득한다(503). 이후, 확인된 동기 시점에 맞추어 기지국 장치와 신호 정보 채널을 접속(504)하며 이때 통화 채널은 별도의 동기가 불필요하므로 즉시 통화 정보를 전송하므로써 통화를 시작(505)한다. 통화가 시작된 후에는 호 제어 정보뿐 아니라 신호 정보, 통화 정보 및 데이터 로깅 정보를 모두 처리하여야 하므로 매 수신되는 정보마다 이의 종류를 분석(506)한다. 이후 수신된 정보가 호 제어 정보인지를 판단(507)하여 호 제어 정보일 경우에는 해당 호의 상태 관리를 수행(508)한 후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509).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는지 확인한 결과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신 정보의 종류를 분석하는 단계(506)로 진행하고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신호 정보의 채널을 해제(510)하고 호를 해제(511)한 후 종료한다.
수신된 정보가 호 제어 정보인지를 판단한 결과 호 제어 정보가 아닐 경우에는 수신된 정보가 신호 정보인지를 판단한다(512). 판단 결과 신호 정보일 경우에는 신호 정보 프레임을 구성(513)하고 2차 동기를 획득(514)하여 재확인한 후 프레임을 전송(515)하고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509)로 진행한다.
수신된 정보가 신호 정보인지를 판단한 결과 신호 정보가 아닐 경우에는 수신된 정보가 통화 정보인지를 판단한다(516). 판단 결과 통화 정보일 경우에는 그대로 프레임을 전송(517)하고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509)로 진행한다.
수신된 정보가 통화 정보인지를 판단한 결과 통화 정보가 아닐 경우에는 수신된 신호가 데이터 로깅 정보인지를 판단한다(518). 판단 결과 데이터 로깅 정보일 경우에는 데이터 로깅 정보 프레임을 구성(519)하고 2차 동기를 획득(520)하여 재확인한 후 프레임을 전송(521)하고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509)로 진행한다.
수신된 정보가 데이터 로깅 정보인지를 판단한 결과 데이터 로깅 정보가 아닐 경우에는 즉, 정보의 종류가 분석되지 않을 경우에는 오류 처리(522)를 하고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509)로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CDMA 특성상 발생되는 패킷 프레임을 회선방식으로 전달하므로서 접속 제어 장치와 기지국간 전송 채널 이용에 대한 효율성을 보장하며, 기지국 장치와 접속 제어 장치 사이에 송수신되는 각 정보의 채널을 분리하여 정보 종류별로 고정하므로써 접속 제어 장치 내에 정보 처리가 단순하게 되어 시스템 구성에 필요한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둘째, CDMA 시스템 내의 각 장치가 동일한 시각 정보를 갖고 있는 점을 이용한 메시지 동기 방식을 채택하므로써 동기 획득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의 부하를 최소화하여 접속 제어 장치 구성이 용이해 지며, 전달되는 신호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셋째, 신호 정보 채널, 통화 채널 및 데이터 로깅 채널을 별도로 분리하여 운용하므로써 각 정보들을 프레임화하거나 이를 다시 해체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소프트웨어의 부하를 최소화하여 시스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고속 호 설정(Fast Call Setup)을 필요로 하는 무선 로컬 루프(WLL) 시스템의 특성상 신호 정보 채널을 별도로 분리하여 운용하므로 통화 정보 처리가 용이하게 되어 호 설정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무선 가입자의 호 접속에 대하여 기지국과 제어국 간에 연결되는 펄스 코드 변조 전송 선로의 채널에 무선 가입자를 위한 신호 정보 채널, 통화 채널 및 데이터 로깅 채널을 각각 할당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호 발생에 따른 동기 획득의 시작을 지시하는 접속 제어부와,
    상기 무선 가입자의 통화가 진행중일 경우 데이터 로깅 채널을 통하여 무선 접속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시스템 성능 분석부와,
    상기 접속 제어부의 통보에 따라 새로이 발생된 호의 신호 정보 채널에서 동기를 획득하고 기지국으로 정보 전송을 시작하는 프레임 처리부와,
    상기 기지국 또는 공중전화교환망과 접속 제어 장치부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통화 채널을 접속하거나 절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교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제어국에서 기지국간 접속을 위한 접속 제어 장치의 구조.
  2. 접속 제어부가 통화 제어 장치로부터 호 시작명령을 수신하고 프레임 처리부가 통화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와,
    기지국 장치 사이에 동기 획득을 위하여 동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한 결과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동기 획득 실시 횟수가 10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 획득 실시 횟수가 10보다 큰지를 판단한 결과 실패 횟수가 10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동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실패 횟수가 10보다 큰지를 판단한 결과 실패 횟수가 10보다 클 경우에는 동기 획득이 실패했음을 통보하고 불완전한 호의 종료를 보고하는 단계와,
    상기 호를 해제한 후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 획득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음성 정보 전송을 실시함으로서 통화를 시작하는 단계와,
    통화중의 동기 이상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중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결과 통화중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동기 바이트를 이용한 재동기 획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재동기 실패 횟수가 3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재동기 실패 횟수를 판단한 결과 재동기 실패 횟수가 3보다 크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통화중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재동기 실패 횟수를 판단한 결과 재동기 실패 횟수가 3보다 클 경우에는 통화중 재동기 실패 통보를 하고 상기 불완전한 호의 종료 보고를 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중 동기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부터 통화중 이상이 발생하지 않고 정상적인 통화가 계속될 경우에는 음성 품질 상태가 양호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품질 상태가 양호한지를 판단한 결과 음성 품질의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는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한 결과 통화를 종료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통화중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한 결과 통화를 종료할 경우에는 호를 해제한 후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품질의 상태가 양호한지를 판단하는 단계로부터, 음성 품질의 상태가 양호하지 않을 경우에는 동일 통화 사용자의 중복 호의 발생 여부를 감지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동일 중복 호의 발생 여부를 감지했는지 확인한 결과, 동일 사용자의 중복 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한 경우에는 통화 채널을 해제하고 절체 사실을 통보한 후 상기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동일 중복 호의 발생 여부를 감지했는지 확인한 결과, 동일 사용자의 중복 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중복 호 발생을 감지하지 못한 횟수가 10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중복 호 발생을 미감지한 횟수가 10보다 큰지를 판단한 결과 중복 호를 감지하지 못한 횟수가 10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불완전한 호의 종료를 보고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중복 호 발생을 미감지한 횟수가 10보다 큰지를 판단한 결과 중복 호를 감지하지 못한 횟수가 10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통화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제어국에서 기지국간 접속을 위한 접속 제어 장치를 이용한 동기 획득 방법.
  3. 접속 제어부가 통화 제어 장치로부터 호 시작 명령을 수신한 후 프레임 처리부에 신호 정보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 처리부에서 기지국 장치와 할당된 신호 정보 채널을 통하여 초기동기 과정을 수행하고 동기를 획득하는 단계와,
    확인된 동기 시점에 맞추어 기지국 장치와 신호 정보 채널을 접속하는 단계와,
    통화 정보를 전송하므로써 통화를 시작하는 단계와,
    수신되는 정보의 종류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가 호 제어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가 호 제어 정보인지를 판단한 결과 호 제어 정보일 경우에는 해당 호의 상태 관리를 수행한 후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 결과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수신 정보의 종류를 분석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 결과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신호 정보의 채널을 해제하고 호를 해제한 후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가 호 제어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호 제어 정보가 아닐 경우에는 수신된 정보가 신호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가 신호 정보인지를 판단한 결과 신호 정보일 경우에는 신호 정보 프레임을 구성하고 2차 동기를 획득하여 동기를 재확인한 후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가 신호 정보인지를 판단한 결과 신호 정보가 아닐 경우에는 수신된 정보가 통화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가 신호 정보인지를 판단한 결과 통화 정보일 경우에는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가 통화 정보인지를 판단한 결과 통화 정보가 아닐 경우에는 수신된 신호가 데이터 로깅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가 데이터 로깅 정보인지를 판단한 결과 데이터 로깅 정보일 경우에는 데이터 로깅 정보 프레임을 구성하고 2차 동기를 획득하여 동기를 재확인한 후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가 데이터 로깅 정보인지를 판단한 결과 데이터 로깅 정보가 아닐 경우에는 오류 처리를 하고 상기 호 해제 명령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제어국에서 기지국간 접속을 위한 접속 제어 장치를 이용한 채널 할당 방법.
KR1019970064800A 1997-11-29 1997-11-29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제어국에서 기지국간접속을 위한접속 제어 장치의 구조와 이를 이용한동기 획득 및 채널 할당 방법 KR100250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800A KR100250493B1 (ko) 1997-11-29 1997-11-29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제어국에서 기지국간접속을 위한접속 제어 장치의 구조와 이를 이용한동기 획득 및 채널 할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800A KR100250493B1 (ko) 1997-11-29 1997-11-29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제어국에서 기지국간접속을 위한접속 제어 장치의 구조와 이를 이용한동기 획득 및 채널 할당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758A KR19990043758A (ko) 1999-06-15
KR100250493B1 true KR100250493B1 (ko) 2000-04-01

Family

ID=19526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4800A KR100250493B1 (ko) 1997-11-29 1997-11-29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제어국에서 기지국간접속을 위한접속 제어 장치의 구조와 이를 이용한동기 획득 및 채널 할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04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033A (ko) * 2001-10-29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최소전송률을 보장하는 역방향 전송부하 관리 방법
KR100827092B1 (ko) * 2001-10-29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최소전송률을 보장하는 순방향 전송부하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758A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5090A (en) Wireless access telephone-to-telephone network interface architecture
US5448570A (en) System for mutual synchronization and monitoring between base stations
JPH07508379A (ja) マイクロセルラー無線ネットワーク
US5953676A (en) Fix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originating a call
RU99104503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проведения многочисленных вызовов
US5818906A (en) Connection event reporting in a cable telephony system
JPH09162837A (ja) 圧縮方式を動的に変更する通信方法及び装置
KR100250493B1 (ko)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제어국에서 기지국간접속을 위한접속 제어 장치의 구조와 이를 이용한동기 획득 및 채널 할당 방법
JP3062981B2 (ja) 基地局間の相互監視方式
KR100205251B1 (ko) 코드분할 다중접속 기지국에서의 음성 부호화 장치 및 방법
EP1396163B1 (en) Allocating resources to newly connected network elements
JP410537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WO1993015570A1 (en) Delay circuit for de-interleaving isdn channels
KR100311311B1 (ko) 광대역 무선 이동 단말 기지국 제어기에서의 일반 호 설정 및해제 시험 방법
KR100299660B1 (ko) 통신처리시스템의중계선채널과다중모뎀채널의통화로설정방법및전화망정합장치
JPWO2003079658A1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伝送装置
JP3515252B2 (ja) 圧縮方式を動的に変更する通信方法及び装置
KR20010001289A (ko)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제어기에서의 핸드오프시험 방법
JP3408115B2 (ja) マルチフレーム監視方法
JP2003046426A (ja) 無線装置
JP2927260B2 (ja) 状態監視方式
JP3076329B1 (ja) 多方向多重通信システムおよびisdnポイント−トウ−マルチポイント通信方法
KR20030062016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장애 관리 방법
JPH11298948A (ja) 自動通話障害検出システム
JPH09162834A (ja) 圧縮方式を動的に変更する通信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